KR20010051552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552A
KR20010051552A KR1020000066341A KR20000066341A KR20010051552A KR 20010051552 A KR20010051552 A KR 20010051552A KR 1020000066341 A KR1020000066341 A KR 1020000066341A KR 20000066341 A KR20000066341 A KR 20000066341A KR 20010051552 A KR20010051552 A KR 20010051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data
processing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095B1 (ko
Inventor
오데키수기타카
다카하시유지
나미추카요시유키
미야자키히데토
노미추야수유키
가와모토히로유키
이시이리에
톤다케하루
후쿠다히로아키
미야자키신야
요시자와후미오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10051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5/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haracter selection
    • B41J5/30Character or syllable selection controlled by recorded information
    • B41J5/31Character or syllable selection controlled by recorded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recorded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5/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haracter selection
    • B41J5/30Character or syllable selection controlled by recorded information
    • B41J5/44Character or syllable selection controlled by recorded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storage of recorded inform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 G03B35/12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involving recording of different viewpoint images in different colours on a colour fi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버스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전송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레임·메모리의 기억 용량 또는 보조 기억 장치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판독 유닛(201) 및 센서·보드·유닛(202)에 의해 원고를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에 의해 변환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만 추출하며, 추출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모듈(222)에 저장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AND A COMPUTER PRODUCT}
본 발명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전사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디지털 복사기나 MFP(복사 기능, FAX기능, 프린터 기능, 스캐너 기능 등을 구비한 복합기)등의 화상 처리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화상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판독하여 전사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이용되고 있는 디지털 복사기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9-186836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디지털 복사기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할 때에는 판독한 원고의 화상을 화상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1페이지 분 또는 복수의 페이지 분의 화상 데이터를 플로피 디스크 장치나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의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하며, 또 원고의 화상을 재현할 때에는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1페이지 분 또는 복수의 페이지 분의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에 전송하고, 이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엔진으로 1페이지 분씩 송신하여 판독한 원고의 화상을 프린트한다.
이 디지털 복사기의 제어계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계는 디지털 복사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CPU(1), CPU(2)와, 이들 CPU가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원고의 화상을 프린트할 때에 필요한 폰트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는 주기억 메모리(3)와, CPU(1), CPU(2) 및 주기억 메모리(3) 사이를 서로 접속시키는 CPU버스(30)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응용 프로그램이나 폰트 데이터 등은 보조 기억 장치(21)로부터 판독되어 주기억 메모리(3)에 저장된다.
CPU 버스(30)는 PCI브리지(4)를 통하여 PCI버스(31)에 접속되고, 또는 PCI브리지(5)를 통하여 PCI버스(32)에 접속된다. 나아가 CPU버스(30)는 PCI브리지(4)와 PCI브리지(5)가 접속된 PCI버스·제어기(6)에 접속된다.
또, PCI버스·제어기(6)는 PCI브리지(4)에 의해 지원되는 PCI버스(31)와, PCI브리지(5)에 의해 지원되는 PCI버스(32)의 사이에 조정(arbitration)(경쟁 조정)이나 PCI버스 프로토콜에 대응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기이다.
PCI버스(31)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제어기(7)와, 터치 패널(9)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패널·제어기(8)와,플로피 디스크 장치나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의 보조 기억 장치(2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FD·HD 인터페이스·제어기(11)와, 호스트 컴퓨터(미도시)와의 사이에서 직렬 통신이나 병렬 통신을 행하기 위한 직렬·병렬 인터페이스·제어기(12)와, 근거리 통신망 등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13)가 접속되어 있다.
PCI버스(31)에는 또한, 프레임·메모리(16)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나 판독을 행하기 위한 주소를 생성하고, 프레임·메모리(16)를 구성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재생 제어를 행하기 위한 DRAM 제어기(14)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PCI버스(32)에는 프레임·메모리(17)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나 판독을 위한 주소를 생성하고, 프레임·메모리(17)를 구성하는 DRAM의 재생 제어를 행하기 위한 DRAM제어기(15)와, 프레임·메모리(16)과 프레임·메모리(17)를 구성하는 DRAM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 제어를 행하기 위한 DMA(Direct Memory Access) 제어기(18)와, 도시하지 않은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버스와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SCSI인터페이스(20)가 접속되어 있다.
DRAM제어기(14)는 DMA제어기(18)와 비디오 인터페이스(19)에 접속되고, 또한 DRAM제어기(15)도 DMA제어기(18)와 비디오 인터페이스(19)에 접속된다. DMA제어기(18)는 프레임·메모리(16)에 전개된 화상 데이터를 DRAM 전송 제어에 의해 비디오 이터페이스(19)로 직접 전송하거나, 프레임·메모리(17)에 전개된 화상 데이터를 DRAM의 전송 제어에 의해 비디오 인터페이스(19)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비디오 인터페이스(19)로 전송된 화상 데이터는 프린터 엔진(미도시)으로 송신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지털 복사기의 동작을 복수 페이지 분의 원고를 판독하여 이들 원고의 화상을 프린트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호스트 컴퓨터(미도시)로부터 직렬·병렬 인터페이스·제어기(12)를 통하여 또는 근거리 통신망(미도시) 등으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제어기(13)를 통하여 입력된 문자 부호나 제어 명령을 포함한 화상 데이터는 PCI버스(31), PCI브리지(4), 및 CPU버스(30)를 경유하여 CPU(1)(또는 CPU(2))에 입력되어 CPU(1)로 해독되어 예컨대 프레임·메모리(17) 상에 비트 맵 데이터로서 전개된다.
프레임·메모리(17) 상에 원고 1페이지 분 화상의 비트 맵 데이터가 전개되면, CPU(1)은 DMA제어기(18)를 기동하여 이 1페이지 분 원고 화상의 비트 맵 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17)으로부터 비디오 인터페이스(19)로 전송한다. 프린터 엔진(미도시)은 전송된 비트 맵 데이터에 의거하여 판독된 원고의 화상을 프린트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디지털 복사기에서는 판독한 원고 사이즈의 전체 화상을 비트 맵 데이터로서 프레임·메모리(17)에 전개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판독한 복수의 페이지 분 원고의 화상을 프린트하는 경우에는 프레임·메모리(17)에 적어도 수 페이지 분 화상의 비트 맵 데이터를 전개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컨대, 판독한 원고 사이즈가 A4사이즈(210mm×297mm)인 경우, 도트 밀도가 600dpi,명암 단계가 1화소 당 8비트인 화상의 전체를 프린트하고자 하면, 그 화상 데이터량은 1페이지 분이 실제로 35MB(메가바이트)로 된다. 수 페이지 분의 화상 전체를 프린트하는 경우에는 실제로 이 것의 수 배의 화상 데이터량으로 된다.
나아가, 전사지의 표면과 뒷면 양면에 화상을 프린트하는 양면 복사 시에는 표면과 뒷면 2페이지 분 화상의 비트 맵 데이터가 프레임·메모리(16) 또는 프레임·메모리(17)로 전개된 후, 비디오 인터페이스(19)로 전송되며, 프린터 엔진에서는 전사지의 표면 프린트와 그 전사지의 뒷면 프린트가 연속하여 행해진다.
양면 복사 시에는 원고가 짝수 매이면, 전사지의 표면과 뒷면에는 반드시 원고의 화상이 프린트되지만, 원고가 홀수 매인 경우에는 최후의 전사지 뒤면은 백지로 된다. 이 경우에도 백지인 뒷면 화상의 비트 맵 데이터가 프레임·메모리(16) 또는 프레임·메모리(17)로 전개된다.
따라서, 프레임·메모리(16)와 프레임·메모리(17)는 이와 같은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가지고 저장할 수 있을 만큼의 기억 용량을 구비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이와 같은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비디오 인터페이스(19)로 전송하는 PCI버스(31), PCI버스(32)의 데이터 전송량도 아주 커진다. 이 때문에, 필연적으로 고성능의 CPU가 요구된다. 고가의 복사기이면, 이와 같은 요구에 응할 수 있지만, 염가 복사기가 이와 같은 요구에 응한다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각종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로 전송할 때, 또는 그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플로피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 등의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할 때, 데이터 버스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프레임·메모리의 기억 용량 또는 보조 기억 장치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로 전송할 때, 또는 그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플로피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 등의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할 때, 나아가 화상을 프린트할 경우에 프레임·메모리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때, 데이터 버스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프레임·메모리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문자 부호나 폰트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를 액세스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로 전개할 때의 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로 전송할 때의 데이터 버스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프레임·메모리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3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홀수 매의 원고를 양면 복사할 때의 최종 페이지와 같이, 프레임·메모리에 백지의 비트 맵 데이터를 전개할 필요를 없애고, 보다 프린터 엔진에 가까운 곳에서 백(白)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데이터 버스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로 전개할 때의 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3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처리 프로세서 처리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데이터 제어부의 처리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비디오·데이터 제어부의 처리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의 처리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팩시밀리 제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모듈에 화상을 저장하기 까지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닛으로 화상을 프린트하기 까지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모듈에 PC로부터의 화상을 저장하기 까지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닛으로 메모리·모듈의 화상을 프린트하기 까지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독 유닛 및 센서·보드·유닛을 통하여 입력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실제로 화상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데이터 제어부에 마련되어 있는 논리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a)는 유효 화상 영역의 주주사 방향 제어 신호의 출력 논리 회로, (b)는 유효 화상 영역의 부주사 방향 제어 신호의 출력 논리 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판독 화상 영역과 유효 화상 영역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프린트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데이터 제어부에 마련되어 있는 논리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a)는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주주사 방향 제어 신호의 출력 논리 회로, (b)는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부주사 방향 제어 신호의 출력 논리 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전사 화상 영역과 유효 화상 영역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복사기의 제어계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
101 화상 판독 유닛
102 화상 메모리 제어 유닛
103 화상 처리 유닛
104 화상 기록 유닛
201 판독 유닛
202 센서·보드·유닛
203 화상 데이터 제어부
204 화상 처리 프로세서
205 비디오·데이터 제어부
206 화상 형성 유닛(엔진)
210 직렬 버스
211 프로세스·제어기
212, 232 RAM
213, 233 ROM
220 병렬 버스
221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
222 메모리·모듈
223 개인용 컴퓨터(PC)
224 팩시밀리 제어 유닛
225 공중 회선
231 시스템·제어기
234 조작 패널
301, 303, 304, 306 인터페이스(I/F)
302 스캐너 화상 처리부
305 출력 화상 처리부
307 명령 제어부
401 화상 데이터 입력 출력 제어부
402 화상 데이터 입력 제어부
403 데이터 압축부
404 데이터 변환부
405, 503, 601 병렬 데이터I/F
406 데이터 신장부
407 화상 데이터 출력 제어부
501 가장자리 평활 처리부
502 펄스 제어부
504 직렬 데이터I/F
505 데이터 변환부
602 시스템·제어기I/F
603 메모리·액세스 제어부
604 라인 버퍼
605 비디오 제어부
606 데이터 압축부
607 데이터 신장부
608 데이터 변환부
701 팩시밀리 송수신부
702 외부I/F
703 팩시밀리 화상 처리부
704 화상 메모리
705 메모리 제어부
706 데이터 제어부
707 화상 압축 신장부
708 모뎀
709 망 제어 장치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데이터 입력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 중, 미리 정해진 혹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결정된 유효 화상 영역내의 화상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화상 데이터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제1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 전송할 때, 나아가 전사 화상을 형성할 때에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 중, 미리 정해진 혹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결정된 유효 화상 영역내의 화상 데이터만을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일 때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일 때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의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데이터 입력 공정과,상기 입력 공정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 중, 미리 정해진 혹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결정한 유효 화상 영역내의 화상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화상 데이터 추출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추출 공정에 의해 추출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제6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공정에 의해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 전송할 때, 나아가 전사 화상을 형성할 때에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공정에 의해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 중, 미리 정해진 혹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결정한 유효 화상 영역내의 화상 데이터만을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의 화상 처리 방법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일 때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의 화상 처리 방법은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일 때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제6항∼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함으로써 그 프로그램을기계로 판독할 수 있게 되고, 이것에 의해 제6항∼제8항의 동작을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원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화상 처리 장치는 아래에 나타내는 5개의 유닛을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5개 유닛이란, 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0)과,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유닛(101)과, 화상을 저장하는 화상 메모리를 제어하여 화상 데이터의 기록/판독을 행하는 화상 메모리 제어 유닛(102)과,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가공 편집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유닛(103)과, 화상 데이터를 전사지 등에 기록하는(프린트하는) 화상 기록 유닛(104)이다. 상기 각 유닛은 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0)을 중심으로 하여 화상 판독 유닛(101)과, 화상 메모리 제어 유닛(102)과, 화상 처리 유닛(103)과 화상 기록 유닛(104)이 각각 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0)에 접속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0)]
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0)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로서 예컨대, 다음의 (1)∼(11)의 처리가 있다.
(1) 화상 데이터의 버스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데이터 압축 처리(1차 압축).
(2) 1차 압축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로의 전송 처리.
(3) 화상 합성 처리(복수개의 유닛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고, 또한 데이터 버스 상에서의 합성도 포함한다)
(4) 화상 시프트 처리(주주사 및 부주사 방향의 화상 시프트)
(5) 화상 영역 확장 처리(화상 영역을 주변으로 임의량만 확대할 수 있음)
(6) 화상 변배 처리(예컨대, 50% 또는 200%의 고정 변배)
(7) 병렬 버스·인터페이스 처리
(8) 직렬 버스·인터페이스 처리(후술하는 프로세스·제어기(211)와의 인터페이스)
(9) 병렬 데이터와 직렬 데이터의 형식 변환 처리
(10) 화상 판독 유닛(101)과의 인터페이스 처리
(11) 화상 처리 유닛(103)과의 인터페이스 처리
[화상 판독 유닛(101)]
화상 판독 유닛(101)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로서, 예컨대 다음의 (1)∼(5)의 처리가 있다.
(1) 광학계에 의한 원고 반사광의 판독 처리
(2) 수광 소자에서의 전기 신호로의 변환 처리
(3) A/D변환기로의 디지털화 처리
(4) 음영 보정 처리(광원의 조명도 분포 불균일을 보정하는 처리)
(5) 스캐너γ보정 처리(판독계의 농도 특성을 보정하는 처리)
[화상 메모리 제어 유닛(102)]
화상 메모리 제어 유닛(102)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로서, 예컨대 다음의 (1)∼(10)의 처리가 있다.
(1) 시스템·제어기와의 인터페이스 제어 처리
(2) 병렬 버스 제어 처리(병렬 버스와의 인터페이스 제어 처리)
(3) 네트워크 제어 처리
(4) 직렬 버스 제어 처리(복수개의 외부 직렬 포트(port)의 제어 처리)
(5) 내부 버스 인터페이스 제어 처리(조작부와 명령 제어 처리)
(6) 로컬 버스 제어 처리(시스템·제어기를 기동시키기 위한 ROM, RAM, 폰트 데이터의 액세스 제어 처리)
(7) 메모리·모듈의 동작 제어 처리(메모리·모듈의 기록/판독 제어 처리 등)
(8) 메모리·모듈로의 액세스 제어 처리(복수개의 유닛으로부터의 메모리 액세스 요구의 조정을 행하는 처리)
(9) 데이터의 압축/신장 처리(메모리 유효 활용을 위한 데이터량을 삭감하는 처리)
(10) 화상 편집 처리(메모리 영역의 데이터 소거, 화상 데이터의 회전 처리, 메모리상에서의 화상 합성 처리 등)
[화상 처리 유닛(103)]
화상 처리 유닛(103)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로서, 예컨대 다음의 (1)∼(14)의 처리가 있다.
(1) 음영 보정 처리(광원의 조명도 분포 불균일을 보정하는 처리)
(2) 스캐너γ보정 처리(판독계의 농도 특성을 보정하는 처리)
(3) MTF보정 처리
(4) 평활(平滑) 처리
(5) 주주사 방향의 임의 변배 처리
(6) 농도 변환(γ변환 처리:농도 노치에 대응)
(7) 단순한 다치화(多値化) 처리
(8) 단순한 2치화(二値化) 처리
(9) 오차 확산 처리
(10) 디더 처리
(11) 도트 배치 위상 제어 처리(오른쪽 근처 도트, 왼쪽 근처 도트)
(12) 고립점 제거 처리
(13) 상역(像域) 분리 처리 (색 판정, 속성 판정, 적응 처리)
(14) 밀도 변환 처리
[화상 기록 유닛(104)]
화상 기록 유닛(104)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로서, 예컨대 다음의 (1)∼(4)의 처리가 있다.
(1) 가장자리 평활 처리( 깔쭉깔쭉한 가장자리의 보정 처리)
(2) 도트 재배치를 위한 보정 처리
(3) 화상 신호의 펄스 제어 처리
(4) 병렬 데이터와 직렬 데이터의 형식 변환 처리
[디지털 복합기의 하드웨어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가 디지털 복합기를 구성하는 경우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의 블록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판독 유닛(201)과, 센서·보드·유닛(202)과,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와,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와, 화상 형성 유닛(엔진)(206)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직렬 버스(210)에 접속되는 프로세스·제어기(211)와, RAM(212)와, ROM(213)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병렬 버스(220)를 통하여 화상 메모리· 액세스 제어부와, 메모리·모듈(222)과, 팩시밀리 제어 유닛(224)과, 나아가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에 접속되는 시스템·제어기(231)와, RAM(232)와, ROM(233)과, 조작 패널(234)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각 구성부와 도 1에 나타낸 각 유닛(100∼104)과의 관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즉, 판독 유닛(201) 및 센서·보드·유닛(202)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화상 판독 유닛(101)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에 의해 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0)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에 의해 화상 처리 유닛(103)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 및 화상 형성 유닛(엔진)(206)에 의해 화상 기록 유닛(104)을 실현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 및 메모리·모듈(222)에 의해 화상 메모리 제어부 유닛(102)을 실현한다.
다음으로, 각 구성부의 내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판독 유닛(201)은 램프와 미러와 렌즈로 구성되며, 원고에 대하여 램프가 조사한 반사광을 미러 및 렌즈에 의해 수광 소자에 집광한다.
수광 소자 예컨대, CCD(Charge Coupled Device:전하 결합 소자)는 센서 ·보드· 유닛(202)에 탑재되고, CCD에 있어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센서 ·보드· 유닛(202)으로부터 송신된다.
센서 ·보드· 유닛(202)으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에서 수신된다. 도 2의 각 구성 요소 및 데이터 버스 간의 화상 데이터 전송은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가 모두 제어한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센서 ·보드· 유닛(202)과 병렬 버스(220)와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 간의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제어기(211)와 화상 처리 장치의 전체 제어를 관리하는 시스템·제어기(231)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통신을 행한다. 또한, RAM(212)은 프로세스·제어기(211)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며, ROM(213)은 프로세스·제어기(211)의 부트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있다.
센서·보드·유닛(202)으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를경유하여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 전송되고, 광학계 및 디지털 신호로의 양자화에 따른 신호 열화(판독계의 신호 열화)의 보정을 행하여 재차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 송신된다.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는 메모리·모듈(222)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기록/판독을 제어한다. 또한 병렬 버스(220)에 접속된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RAM(232)은 시스템·제어기(231)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며, ROM(233)은 시스템·제어기(231)의 부트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있다.
조작 패널(234)은 화상 처리 장치가 행하는 처리를 입력하는 것이다. 예컨대 처리의 종류(복사, 팩시밀리 송신, 화상 판독, 프린트 등) 및 처리의 매수 등을 입력한다. 이것에 의해 화상 데이터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 팩시밀리 제어 유닛(224)의 내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모듈(222)에 축적하여 재이용하는 작업과, 메모리·모듈(222)에 축적하지 않는 작업이 있는데, 아래에 각각의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모듈(222)에 축적하는 작업의 예로서는, 1매의 원고에 관하여 복수 매를 복사하는 경우에, 판독 유닛(201)을 1 회만 동작시켜 판독 유닛(201)에 의해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모듈(222)에 축적하고, 축적된 화상 데이터를 복수 회 판독하는 방법이다.
메모리·모듈(222)을 사용하지 않는 작업의 예로서는, 1매의 원고를 1매만 복사하는 경우에, 판독 유닛(201)을 1회만 동작시켜 판독 유닛(201)에 의해 판독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재생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판독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재생하면 되므로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에 의한 메모리·모듈(222)에 액세스할 필요가 없다.
우선, 메모리·모듈(222)에 축적하지 않는 경우,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부터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 전송된 화상 데이터는 재차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부터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 복귀된다.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에 있어서는 센서·보드·유닛(202)에 있어서의 CCD에 의한 휘도 데이터를 면적 명암 단계로 변환시키기 위한 화상 품질 처리를 행한다.
화상 품질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부터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로 전송된다. 면적 명암 단계로 변환된 신호에 대하여 도트 배치에 관한 후처리 및 도트를 재현시키기 위한 펄스 제어를 행하며, 그 후, 화상 형성 유닛(206)에 있어서 전사지 위에 재생 화상을 프린트한다.
다음으로, 메모리·모듈(222)에 축적하여 화상 판독시에 부가적인 처리 예컨대, 화상 방향의 회전, 화상 합성 등을 행하는 경우의 화상 데이터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부터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 전송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부터 병렬 버스(220)를 경유하여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로 송신된다.
여기서는, 시스템 제어기(231)의 제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와 메모리 ·모듈(222)의 액세스 제어, 외부 PC(개인용 컴퓨터)(223)의 프린트용 데이터의 전개, 메모리·모듈(222)의 유효 활용을 위한 화상 데이터의 압축/신장을 행한다.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로 송신된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압축 후, 메모리·모듈(222)에 축적되며, 축적된 화상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판독된다.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신장되어 본래의 화상 데이터로 복귀하고,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로부터 병렬 버스(220)를 경유하여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 복귀된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부터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 전송한 후는 화상 처리 및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에서의 펄스 제어를 행하며, 화상 형성 유닛(206)에 있어서 전사지 위에 재생 화상을 프린트한다.
화상 데이터의 흐름에 있어서, 병렬 버스(220) 및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에서의 버스 제어에 의하여 디지털 복합기의 기능을 실현한다. 팩시밀리 송신 기능은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에서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 및 병렬 버스(220)를 경유하여 팩시밀리 제어 유닛(224)으로 전송한다. 팩시밀리 제어 유닛(224)은 통신망으로의 데이터 변환을 행하고, 공중 회선(PN)(225)으로 팩시밀리 데이터로서 송신한다.
한편, 공중 회선(PN)(225)으로부터 수신된 팩시밀리 데이터는 팩시밀리 제어 유닛(224)에서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고, 병렬 버스(220) 및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를 경유하여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 전송된다. 이 경우, 특별한 화상 품질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에 있어서 도트 재배치 및 펄스 제어를 행하며, 화상 형성 유닛(206)에 있어서 전사지 위에 재생 화상을 프린트한다.
복수의 작업, 예컨대 복사 기능, 팩시밀리 송수신 기능 및 프린터 출력 기능이 병행으로 동작하는 상황에 있어서, 판독 유닛(201), 화상 형성 유닛(206) 및 병렬 버스(220)의 사용권을 작업에 할당함은 시스템·제어기(231) 및 프로세스·제어기(211)에서 제어한다.
프로세스·제어기(211)는 화상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시스템·제어기(231)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각 리소스의 기동을 관리한다. 또한 디지털 복합기의 기능 선택은 조작 패널(234)에 있어서 선택 입력하여 복사 기능, 팩시밀리 기능 등의 처리 내용을 설정한다.
시스템·제어기(231)와 프로세스·제어기(211)는 병렬 버스(220),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 및 직렬 버스(210)를 통하여 상호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내에 있어서, 병렬 버스(220)와 직렬 버스(210)와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데이터 형식 변환을 행함으로써 시스템·제어기(231)와 프로세스·제어기(211)간의 통신을 행한다.
[화상 처리 유닛(103)/화상 처리 프로세서(204)]
다음으로, 화상 처리 유닛(103)를 구성하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에 있어서의 처리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 처리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의 블록도에 있어서,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는 제1입력I/F(301)와, 스캐너 화상 처리부(302)와, 제1출력I/F(303)와, 제2입력I/F(304)와, 화상 품질 처리부(305)와, 제2출력I/F(306)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센서·보드·유닛(202),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를 통하여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의 제1입력 인터페이스(I/F)(301)로부터 스캐너 화상 처리부(302)로 송신된다.
여기서의 화상 처리는 판독된 화상 데이터의 열화를 보정하는 것이 목적이며, 구체적으로는 음영 보정, 스캐너γ보정, MTF보정 등을 행한다. 보정 처리는 아니지만 확대/축소의 변배(變倍) 처리도 행할 수 있다. 판독 화상 데이터의 보정 처리가 종료하면, 제1출력 인터페이스(I/F)(303)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사지에 프린트할 때에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제2입력I/F(304)로부터 수신하고, 화상 품질 처리부(305)에 있어서 면적 명암 단계 처리를 행한다. 화상 품질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는 제2출력I/F(306)를 통하여 비디오·데이터(205) 또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 출력된다.
화상 품질 처리부(305)에 있어서의 면적 명암 단계 처리로서는 농도 변환 처리, 디더 처리, 오차 확산 처리 등이 있으며, 명암 단계 정보의 면적 근사가 주된 처리이다. 일단 스캐너 화상 처리부(302)에 의해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모듈(222)에 저장해 두면, 화상 품질 처리부(305)에 의한 화상 품질 처리를 바꿈으로써 각종의 재생 화상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재생 화상의 농도를 변경하여 보거나, 디더 매트릭스의 라인 수를 변경하여 보거나 함으로써 재생 화상의 분위기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품질 처리를 변경할 때마다 판독 유닛(201)으로부터 화상을 고칠 필요는 없고, 메모리·모듈(22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동일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몇 번이라도 상이한 화상 품질 처리를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단체(單體) 스캐너의 경우에는 스캐너 화상 처리와 명암 단계 처리를 합쳐서 실시하여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 출력한다. 처리 내용은 프로그램 가능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처리의 전환, 처리 순서의 변경 등은 직렬I/F(308)를 통하여 명령 제어부(307)에서 관리한다.
[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0)/화상 데이터 제어부(203)]
다음으로, 화상 데이터 제어부 유닛(100)을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에 있어서의 처리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의 처리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의 블록도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입력 출력 제어부(401)는 센서·보드·유닛(202)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즉, 화상 데이터 입력 출력부(401)는 화상 판독 유닛(101)과 화상 처리 유닛(103)(화상 처리 프로세서(2047)을 접속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며, 화상 판독 유닛(101)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유닛(103)으로 송신하기 위한 전용 입력 출력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 입력 제어부(402)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에서 판독계의 신호 열화 보정이 진행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화상 데이터는 병렬 버스(220)에 있어서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데이터 압축부(403)에서 데이터 압축 처리가 행해진다. 데이터 압축된 화상 데이터는 그 후, 데이터 변환부(404)를 경유하고 병렬 데이터I/F(405)를 통하여 병렬 버스(220)로 송출된다.
병렬 버스(220)로부터 병렬 데이터I/F(405)를 통하여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는 버스 전송을 위하여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변환부(404)를 경유하여 데이터 신장부(406)로 보내져 거기서 데이터 신장 처리가 행해진다. 데이터 신장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출력 제어부(407)에 있어서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 전송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병렬 데이터와 직렬 데이터의 변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시스템·제어기(231)는 병렬 버스(22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프로세스·제어기(211)는 직렬 버스(21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2개의 제어기의 통신을 위하여 데이터 변환을 행한다.
또한, 직렬 데이터I/F는 직렬 버스(210)를 통하여 프로세스·제어기(211)와 데이터 교환을 하는 제1직렬 데이터I/F(408)와,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와의 데이터 교환에 이용되는 제2 직렬 데이터I/F(409)를 구비한다.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 와의 사이에 독립으로 1계통을 구비함으로써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와의 인터페이스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명령 제어부(410)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술한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내 각 구성부 및 각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한다.
[화상 기록 유닛(104)/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
다음으로, 화상 기록 유닛(104)의 일부를 구성하는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에 있어서의 처리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의 처리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의 블록도에 있어서,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는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형성 유닛(206)의 특성에 따라 추가 처리를 행한다.
즉, 가장자리 평활 처리부(501)가 가장자리 평활 처리에 의한 도트의 재배치 처리를 행하고, 펄스 제어부(502)가 도트 형성을 위하여 화상 신호의 펄스 제어를 행하며, 상기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화상 작성 유닛(206)로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의 변환과는 별도로, 병렬 데이터와 직렬 데이터의 형식 변환 기능을 구비하고,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 단체라도 시스템·제어기(231)와 프로세스·제어기(211)의 통신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병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병렬 데이터I/F(503)와, 직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직렬 데이터 I/F(504)와, 병렬 데이터 I/F(503) 및 직렬 데이터 I/F(504)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505)를 구비함으로써 양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한다.
[화상 메모리 제어 유닛(102)/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
다음으로, 화상 메모리 제어 유닛(102)의 일부를 구성하는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에 있어서의 처리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의 처리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의 블록도에 있어서, 화상·메모리 액세스 제어부(221)는 병렬 버스(220)와의 화상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고, 또한 메모리·모듈(222)로의 화상 데이터 액세스, 즉 저장(기록)/판독을 제어하며, 또한 주로 외부의 PC(223)로부터 입력되는 부호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로의 전개를 제어한다.
그 때문에 화상·메모리 액세스 제어부(221)는 병렬 데이터I/F(601)와, 시스템·제어기I/F(602)와, 메모리·액세스 제어부(603)와, 라인 버퍼(604)와, 비디오 제어부(605)와, 데이터 압축부(606)와, 데이터 신장부(607)와, 데이터 변환부(608)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병렬 데이터 I/F(601)는 병렬 버스(220)와의 화상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관리한다. 또한 메모리·액세스 제어부(603)는 메모리·모듈(222)로의 화상 데이터 액세스, 즉 저장(기록)/판독을 제어한다.
또한, 입력된 부호 데이터는 라인 버퍼(604)에 있어서, 로컬 영역에서의 데이터 저장을 행한다. 라인 버퍼(604)에 저장된 부호 데이터는 시스템·제어기I/F(602)를 통하여 입력된 시스템·제어기(231)로부터의 전개 처리 명령에 의거하여 비디오 제어부(605)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로 전개된다.
전개된 화상 데이터 혹은 병렬 데이터 I/F(601)를 통하여 병렬 버스(22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모듈(222)에 저장된다. 이 경우, 데이터 변환부(608)에 있어서 저장 대상으로 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데이터 압축부(606)에 있어서 메모리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데이터 압축을 행하며, 메모리·액세스 제어부(703)에서 메모리·모듈(222)의 주소를 관리하면서 메모리·모듈(222)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기록)한다.
메모리·모듈(222)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판독은 메모리·액세스 제어부(603)에 있어서 판독하는 곳의 주소가 제어됨으로써 행해지며,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신장부(607)에 있어서 신장된다. 신장된 화상 데이터를 병렬 버스(220)로 전송하는 경우, 신장된 화상 데이터는 병렬 데이터I/F(601)를 통하여 전송된다.
[팩시밀리 제어 유닛(224)의 구성]
다음으로, 팩시밀리 제어 유닛(224)의 기능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 팩시밀리 제어 유닛(224)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의 블록도에 있어서, 팩시밀리 제어 유닛(224)는 팩시밀리 송수신부(701)와 외부I/F(702)로 구성된다. 여기서, 팩시밀리 송수신부(701)는 화상 데이터를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여 외부 회선으로 송신하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복귀하여 그 화상 데이터를 외부I/F부(702) 및 병렬 버스(220)를 통하여 전송하며, 화상 형성 유닛(206)에 있어서 기록하기 위하여 프린트한다.
팩시밀리 송수신부(701)는 팩시밀리 화상 처리부(703), 화상 메모리(704), 메모리 제어부(705), 데이터 제어부(706), 화상 압축 신장부(707), 모뎀(708) 및 망 제어 장치(709)를 포함한 구성이다.
그 중, 팩시밀리의 화상 처리에 관하여, 수신 화상에 대한 2진 평활화 처리는 도 5에 나타낸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내의 가장자리 평활 처리부(501)에 있어서 행해진다. 또한 화상 메모리(704)에 있어서도 출력 버퍼 기능에 관해서는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 및 메모리·모듈(222)로 그 기능의 일부를 이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팩시밀리 송수신부(701)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할 때, 데이터 제어부(706)가 메모리 제어부(705)에 명령하여 화상 메모리(704)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판독시킨다.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팩시밀리 화상 처리부(703)에 의해 원래 신호로 복귀됨과 동시에 밀도 변환 처리 및 변배 처리가 행해져 데이터 제어부(706)에 가해진다.
데이터 제어부(706)에 가해진 화상 데이터는 화상 압축 신장부(707)에 의해 부호 압축되고, 모뎀(708)에 의해 변조된 후, 망 제어 장치(709)를 통하여 송신할 곳으로 송출된다. 그리고 송신이 완료된 화상 정보는 화상 메모리(704)로부터 삭제된다.
수신 시에는, 수신 화상은 일단 화상 메모리(704)에 저장되고, 그 때에 수신 화상을 기록 출력 가능하면, 1매 분의 화상 수신을 완료한 시점에서 기록 출력한다. 또한 복사 동작 시에 호출되어 수신을 개시하는 경우는 화상 메모리(704)의 사용율이 소정값, 예컨대 80%에 이르기 까지는 화상 메모리(704)에 저장하고, 화상 메모리(704)의 사용율이 80%에 이른 경우에는 그 때에 실행하고 있는 기록 동작을 강제적으로 중단하며, 수신 화상을 화상 메모리(704)로부터 판독하여 기록하기 위하여 프린트한다.
이 때, 화상 메모리(704)로부터 판독한 수신 화상은 화상 메모리(704)로부터 삭제하고, 화상 메모리(704)의 사용율이 소정값, 에컨대 10%까지 저하한 시점에서 중단하고 있던 기록 동작을 재개시하며, 그 기록 동작을 전부 종료한 시점에서 남은 수신 화상을 기록하기 위하여 프린트한다. 또한 기록 동작을 중단한 후에 재개시할 수 있도록 중단 시에 있어서의 기록 동작을 위한 각종 매개변수를 내부적으로 퇴피시키고, 재개시 시에 매개변수를 내부적으로 복귀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개략 구성은 이상 서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합기로서의 화상 처리 장치의 개략 처리를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메모리·모듈(222)에 화상을 저장해서부터 화상 형성 유닛(206)에서 화상을 프린트하기 까지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모듈(222)에 화상을 저장하기 까지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한 도 9는 화상 형성 유닛(206)에서 화상을 프린트하기 까지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 각 처리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의 제어에 의해 버스 및 유닛 간의 데이터 흐름이 제어됨으로써 행해진다.
도 8에 있어서, 우선 판독 유닛(201), 센서·보드·유닛(202)이 판독 제어를 행한다(스텝S801). 다음으로,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가 화상 데이터의 입력 처리 및 출력 제어를 행한다(스텝S802). 또 여기서의 입력 처리 및 출력 제어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가 입력I/F제어 처리를 행하고(스텝S803), 스캐너 화상 처리를 행하며(스텝S804), 출력I/F처리를 행한다(스텝S805).
다음으로, 재차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가 화상 데이터의 입력 제어 처리를 행하고(스텝S806), 데이터 압축(스텝S807) 및 데이터 변환(스텝S808)을 행하며, 병렬 I/F제어 처리를 행한다(스텝S809).
다음으로, 화상 메모리·액세스부(221)가 병렬I/F 제어 처리를 행하고(스텝S810), 데이터 변환(스텝S811), 및 더 한층의 데이터 압축을 행하며(스텝S812), 메모리·모듈(222)에 대하여 메모리·액세스 제어를 행한다(스텝S813). 이것에 의해 메모리·모듈(222)에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다(스텝S814).
또한, 도 9에 있어서 메모리·모듈(22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스텝S901),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가 메모리·액세스 제어를 행하며(스텝S902), 데이터 신장(스텝S903), 및 데이터 변환을 행하고(스텝S904), 병렬 I/F 제어 처리를 행한다(스텝S905). 또한 여기서의 메모리·액세스 제어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가 병렬I/F제어를 행하고(스텝S906), 데이터 변환(스텝S907), 및 데이터 신장을 행하며(스텝S908), 화상 데이터 출력 제어를 행한다(스텝S909).
다음으로,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가 입력I/F제어 처리를 행하고(스텝S910), 화상 품질 처리를 행하며(스텝S911), 출력I/F제어 처리를 행한다(스텝S912).
다음으로,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가 가장자리 평활 처리를 행하고(스텝S913), 펄스 제어를 행하며(스텝S914), 그 후, 화상 형성 유닛(206)이 화상 처리를 행한다 (스텝S915).
판독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에서의 스캐너 화상 처리를, 화상 형성 유닛(206)으로 출력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에서의 화상 품질 처리를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한다.
또한, 스캐너 화상 처리와 화상 품질 처리는 병행하여 행할 수 있고, 판독 화상은 팩시밀리 송신에 이용되며, 병행하여 미리 메모리·모듈(22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품질 처리 내용을 바꾸면서 전사지에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가 프린터 단체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모듈(222)에 PC(223)로부터 화상을 저장하기 까지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한 도 11은 화상 형성 유닛(206)에서 메모리 모듈(222)의 화상을 프린트하기 까지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PC(223)가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고(스텝S1001),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가 라인 버퍼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유지하며(스텝S1002), 비디오 제어를 행하고(스텝S1003), 데이터 변환(스텝S1004), 및 데이터 압축을 행하며(스텝S1005), 메모리·모듈(222)에 대하여 메모리·액세스 제어를 행한다(스텝S1006). 이것에 의하여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모듈(222)에 기억된다(스텝S1007). 또한 여기서의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의 제어는 나중에 더 한층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메모리·모듈(22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스텝S1101),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가 메모리·액세스 제어를 행하며(스텝S1102), 데이터 신장(스텝S1103), 및 데이터 변환(스텝S1104)을 행하고, 병렬 I/F 제어 처리를 행한다(스텝S1105). 또한 여기서의 메모리·액세스 제어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가 가장자리 평활 처리를 행하고(스텝S1106), 펄스 제어를 행하며(스텝S1107), 그 후, 화상 형성 유닛(206)이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한다(스텝S1108).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더 한층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판독 유닛(201) 및 센서·보드·유닛(202)을 통하여 입력한 화상 데이터나, 메모리·모듈(22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전부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것이 아니고, 입력한 화상 데이터 중, 실제로 화상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데이터 만을 취출하여 메모리·모듈(222)에 저장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판독 유닛(201)에 의해 원고를 판독하고,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스캐너 조작 시에, 판독한 원고 전체의 화상 영역(이후, 판독 화상 영역이라고 한다)에 상당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고, 문자나 화상이 그려져 있는 화상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익한 화상 영역(이후, 유효 화상 영역이라고 한다)에 상당한 화상 데이터만을 저장하고 있다.
도 12는 판독 유닛(201) 및 센서·보드·유닛(202)을 통하여 입력한 화상 데이터(판독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 중으로부터 실제로 화상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취출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의 처리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에 의해 행해진다.
우선, 판독 유닛 및 센서·보드·유닛(202)은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스텝S1201). 센서·보드·유닛(202)은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 송신한다(스텝S1202).
다음으로,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판독 화상 영역의 크기를 인식한다(스텝S1203). 이 크기 인식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주주사 방향을 X축, 부주사 방향을 Y축으로 하고, 판독한 원고의 주주사 방향의 크기(Xz)와 판독한 원고의 부주사 방향의 크기(Yz)를 조사하며, 이것에 의해 판독 화상 영역의 크기(Xz,Yz)를 인식한다.
다음으로,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유효 화상 영역의 크기를 인식한다(스텝S1204). 이 크기 인식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판독 화상 영역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흑화소의 일부, 예컨대 고립점을 입력 보정 처리로서의 필터 조작에 의한 고립점 제거 조작에 의해 제거한다. 그리고, 이 고립점 제거 조작을 행할 때, 실제로 화상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익한 흑화소 데이터만을 포함한 최소 구형(矩形) 화상 영역, 즉 유효 화상 영역을 판독한다.
또한, 유효 화상 영역의 추출 방법으로서는 이것 이외에, 미리 페이지 설정값에 의해 고정된 영역, 예컨대, 좌우상하 단을 각각 독립적으로 여백으로서 설정하고, 그 여백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유효 화상 영역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문서 데이터 등 미리 여백 영역이 정해져 있는 화상 데이터의 경우에 유익하다. 이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유효 화상 영역의 좌표를 검출할 필요가 없다.
이 유효 화상 영역은 카운터 등에 의해 좌표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검출한 유효 화상 영역의 좌표는 판독시 유효 화상 주주사 방향 개시점(Xs), 판독시 유효 화상 부주사 방향 개시점(Ys), 판독시 유효 화상 주주사 방향 종료점(Xe), 판독시 유효 화상 부주사 방향 종료점(Ye)으로서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에 기억된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이들 좌표를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만을 메모리·모듈(222)로 전송하기 위한 매개변수로 한다.
다음으로,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메모리·모듈(222)로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만을 전송한다(스텝S1205). 이 화상 데이터의 전송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에는 도 13에 나타낸 논리 회로의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의 (a)는 유효 화상 영역의 주주사 방향 제어 신호의 출력 논리 회로이고, 주주사 방향의 판독 카운터XCNT와 주주사 방향의 화상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어 신호 생성의 상태를 나타내며, 이 도면에서의 (b)는 유효 화상 영역의 부주사 방향 제어 신호의 출력 논리 회로이고, 부주사 방향의 판독 카운터YCNT와 부주사 방향의 화상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어 신호 생성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에 있어서, CMP는 비교기를 나타내고, X-START신호는 주주사 방향의 유효 화상 송신 개시를, X-END신호는 주주사 방향의 유효 화상 송신 종료를 나타낸다. 또한 Y-START신호는 부주사 방향의 유효 화상 송신 개시를, Y-END신호는 부주사 방향의 유효 화상 송신 종료를 나타낸다. 이들 신호에 의해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만이 메모리로 송신되게 된다.
또한, RES-XCNT와 INC-XCNT는 주주사 방향 카운터 XCNT의 리세트 신호와 증분 신호를 나타낸다. RES-YCNT와 INC-YCNT는 부주사 방향 카운터 YCNT의 리세트 신호와 증분 신호를 나타낸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검출한 유효 화상 영역의 좌표, 판독시 유효 화상 주주사 방향 개시점(Xs), 판독시 유효 화상 부주사 방향 개시점(Ys), 판독시 유효 화상 주주사 방향 종료점(Xe), 판독시 유효 화상 부주사 방향 종료점(Ye)을 매개변수로서 입력함과 동시에, 판독 화상 영역의 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주주사 방향의 판독 카운터XCNT의 값, 또는 부주사 방향의 판독 카운터YCNT의 값을 입력하며, 상기 매개변수와 각 카운터의 값을 비교한다.
이 비교에 있어서, 주주사 방향의 판독 카운터XCNT의 값이 판독시 유효 화상 주주사 방향 개시점(Xs) 이상이고, 판독 카운터XCNT의 값이 판독시 유효 화상 주주사 방향 종료점(Xe) 이하이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주주사 방향의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모듈(222)로 송신한다.
이 비교에 있어서, 부주사 방향의 판독 카운터YCNT의 값이 판독시 유효 화상 부주사 방향 개시점(Ys) 이상이고, 판독 카운터YCNT의 값이 판독시 유효 화상 부주사 방향 종료점(Ye) 이하이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부주사 방향의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모듈(222)로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 중,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만을 메모리·모듈(222)로 송신한다.
또, 1페이지 분의 판독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부터 입력할 때, 판독 카운터인 화소수 카운터XCNT와 라인 수 카운터YCNT는 각각의 리세트 신호RES-XCNT, RES-YCNT에 의해 초기화된다. 그리고 최초 라인의 화소 데이터가 입력될 때마다 증분 신호INC-XCNT에 의해 화소수 카운터XCNT가 증가된다.
1라인 분의 화소 데이터 입력이 종료하면, 증분 신호 INC-YCNT에 의해 라인 선 카운터YCNT가 [1]만 증가되면 동시에 화소수 카운터XCNT는 리세트 신호RES-XCNT에 의해 초기화된다. 제 2라인 이후도 이상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XCNT, YCNT)를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로서 메모리·모듈(222)로 송신하는 조건은 (Ys≤YCNT≤Ye), 동시에 (Xs≤XCNT≤Xe)로 된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에 의해 송신된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를 통하여 메모리·모듈(222)에 저장된다(스텝S1206).
이상의 처리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판독 화상 영역과 유효 화상 영역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을 프린트할 때에 유익한 화상은 판독 화상 영역의 전체를 점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판독 화상 영역의 일부가 유효 화상 영역으로 된다. 그리고 유효 화상 영역 이외의 판독 화상 영역은 통상 백 데이터든가, 판독시의 원고의 오점에 기인하는 노이즈로 되는 흑화소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이다.
이와 같은 불필요한 흑화소의 일부, 예컨대 도면 중의 고립점은 입력 보정 처리로서의 필터 조작에 의한 고립점 제거 조작에 의해 제거되어 대신에 백 데이터가 메워지게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유효 화상 영역 이외의 판독 화상 영역은 프린트를 행함에 있어서 전송할 필요가 없어져 프린트함에 있어서 유익한 화상 영역인 유효 화상 영역만이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에서 압축되어 프레임·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메모리·모듈(222)에 저장된다.
이 때문에, 병렬 버스(220)의 데이터 전송량, 필요한 메모리·모듈(222)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 메모리·모듈(222)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때의 CPU 처리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처리는 PC(223) 또는 팩시밀리 제어 유닛(224)으로부터 입력한 화상 데이터 중, 유효 화상 영역만을 취출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제1실시예에서 얻어진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부터 직접 입력하고, 또는 메모리·모듈(22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실제로 화상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취출하여 화상 형성 유닛(206)에 의해 화상을 프린트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판독 유닛(201)에 의해 판독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 또는 메모리·모듈(22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형성 유닛(206)에 의해 프린트하는 경우에는, 문자나 화상이 그려져 있는 유효 화상 영역에 상당한 화상 데이터만을 취출하고, 그 이외의 영역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프린트하고 있다.
도 15는 메모리·모듈(22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프린트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의 처리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 및 화상 메모리 액세스 제어부(221)에 의해 행해진다.
우선, 화상 메모리·액세스 제어부(221)는 메모리·모듈(222)에 기억되어 있는 유효 화상 영역에 상당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스텝S1501). 그리고,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화상 형성 유닛(206)에 의해 프린트하고자 하는 전사지의 사이즈를 인식한다. 이 사이즈의 인식은 프린트를 위하여 선택되어 있는 용지의 사이즈로 인식할 수 있다(스텝S1502).
다음으로,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입력한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유효 화상 영역의 사이즈를 인식한다(스텝S1503). 그리고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유효 화상 영역 이외의 전사지 사이즈 내의 화상 영역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영역의 크기에 상당한 화상 데이터(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S1504). 유효 화상 영역 이외의 화상 영역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는 처리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에는 도 16에 나타낸 논리 회로의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a)는 유효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주주사 방향 제어 신호의 출력 논리 회로이고, 이 도면에서 (b)는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부주사 방향 제어 신호의 출력 논리 회로이다.
도 16에 있어서, CMP는 비교기를 나타내고, H-START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의 주주사 방향의 유효 화상 송신 개시를, H-END는 주주사 방향의 유효 화상 송신 종료를 나타낸다. 또한 V-START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의 부주사 방향의 유효 화상 송신 개시를, V-END는 부주사 방향의 유효 화상 송신 종료를 나타낸다.
그리고, HZ-END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의 주주사 방향의 전사 데이터 송신 종료를, VZ-END는 부주사 방향의 전사 데이터 송신 종료를 나타낸다. 이들에 의해 유효 화상 영역의 주변에 백 데이터가 메워진 전사지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가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 송신되도록 화상 데이터 제어부(204)내에서 제어되게 된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Hs, He는 전사지에 있어서의 유효 화상의 주주사 방향의 개시점과 종료점을, Vs, Ve는 전사지에 있어서의 유효 화상의 부주사 방향의 개시점과 종료점을, 그리고 Hz는 주주사 방향의 전사지 사이즈를, Vz는 부주사 방향의 전사지 사이즈를 나타낸다.
나아가, HCNT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 출력하는 주주사 방향의 화소수 카운터를 나타내고, VCNT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 출력하는 부주사 방향의 라인 수 카운터를 나타낸다. 그리고, RES-HCNT와 INC-HCNT는 주주사 방향 화소 카운터 HCNT의 리세트 신호와 증분 신호를 나타낸다. RES-VCNT와 INC-VCNT는 부주사 방향 카운터 YCNT의 리세트 신호와 증분 신호를 나타낸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전사지에 있어서의 유효 화상의 주주사 방향의 개시점(Hs), 전사지에 있어서의 유효 화상의 부주사 방향 종료점(He), 주주사 방향의 전사지 사이즈(Hz)를 매개변수로서 입력함과 동시에 주주사 방향의 화소수 카운터HCNT값을 입력하고, 상기 매개변수와 각 카운터의 값을 비교한다.
이 비교에 있어서, 주주사 방향의 화소수 카운터HCNT의 값이 전사지에 있어서의 유효 화상의 주주사 방향 개시점(Hs) 이상이고, 주주사 방향의 화소수 카운터HCNT의 값이 전사지에 있어서의 유효 화상의 주주사 방향 종료점(Xe) 이하이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주주사 방향의 화소수 카운터HCNT값이 전사지에 있어서의 유효 화상의 주주사 방향 개시점(Hs) 및 종료점(Xe) 이하의 값이면, 주주사 방향의 전사지 사이즈(Hz)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백의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이 비교에 있어서, 부주사 방향의 화소수 카운터VCNT의 값이 전사지에 있어서의 유효 화상의 부주사 방향 개시점(Vs) 이상이고, 부주사 방향의 화소수 카운터VCNT의 값이 전사지에 있어서의 유효 화상의 부주사 방향 종료점(Ve) 이하이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부주사 방향의 화소수 카운터VCNT값이 전사지에 있어서의 유효 화상의 부주사 방향 개시점(Vs) 및 종료점(Ve) 이하의 값이면, 부주사 방향의 전사지 사이즈(Vz)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백의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 송신하는 전사 화상 영역의 크기에 상당한 화상 데이터(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1페이지 분의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 송신 할 때, 화소수 카운터HCNT와 라인 수 카운터VCNT는 일단 각각의 리세트 신호RES-HCNT, RES-VCNT에 의해 초기화된다. 그리고 최초 라인의 화소 데이터를 출력할 때마다 INC-HCNT에 의해 화소수 카운터HCNT가 증가된다.
1라인 분의 화소 데이터 송신이 종료하면, 증분 신호 INC-VCNT에 의해 라인 선 카운터VCNT가 [1]만 증가되면 동시에 화소수 카운터HCNT는 RES-HCNT에 의해 초기화된다. 제 2라인 이후도 이상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에 의해 생성된 전송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는 비디오·데이터 제어부(205)를 통하여 화상 형성 유닛(206)으로 송신되어 프린트된다(스텝S1505).
이상의 처리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전사 화상 영역과 유효 화상 영역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할 때도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사지 사이즈 전체에 프린트함에 있어서 유익한 화상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유효 화상 영역은 전사지 사이즈 내측의 일부에 배치된다.
프린트할 때,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메모리·모듈(222)로부터 유효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만을 병렬 버스(220)에 의해 수신한다. 그리고 신장한 후,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효 화상 영역과 전사 화상 영역 간을 백 데이터로 메운다. 수신한 유효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 출력하든가, 아니면 백 데이터를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로 출력하는 가는 도 16의 논리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이 때문에, 병렬 버스(220)의 데이터 전송량, 필요한 메모리·모듈(222)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 메모리·모듈(222)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의 CPU 처리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2에 있어서는 1페이지 분의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 생성에 관하여 서술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지의 표면과 뒷면 양면에 화상 데이터를 프린트하는 양면 복사에 관하여 서술한다.
예컨대, 프린트하는 매수가 짝수 매인 경우, 전사지의 표면과 뒷면에는 반드시 화상이 프린트된다. 그런데 프린트하는 매수가 홀수 매인 경우, 프린트되는 최후의 전사지 뒷면은 백지로 된다. 이 경우, 메모리·모듈(222)로부터 1페이지 분의 화상 데이터를 병렬 버스(220)에 의해 수신하는 것은 효율적이 아니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 처리부(203)내에서 1페이지 분 전부를 백의 화상 데이터로 메운 백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백(백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도 17에 나타낸 유효 화상 영역의 사이즈가 0으로 설정된 경우, 구체적으로는 전사지에 있어서의 유효 화상의 주주사 방향의 개시점과 종료점Hs, He 및 전사지에 있어서의 유효 화상의 부주사 방향의 개시점과 종료점Vs, Ve 전부가 0으로 설정된 경우,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는 백 데이터의 출력으로 인식하고, 화상 처리 프로세서(204)에 전사지 사이즈의 백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는 프로세스·제어기(211)에 의해 백 데이터를 출력하는 명령을 화상 데이터 제어부(203)로 발행하는 것으로도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불필요하게 긴 조작을 삭감시킬 수 있고, 따라서 병렬 버스(220)의 부하 삭감이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의 CPU 처리 부담을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복사 조작시는 상술한 스캐너 조작과 프린터 조작이 병행하여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또, 실시예1∼실시예3에 있어서 설명한 화상 처리 방법은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을 개인용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CD-ROM, MO(Magneto-Opptics), DV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상기 기록 매체를 통하여, 또한 전송 매체로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배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화상 데이터 입력 수단이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고, 화상 데이터 추출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 중, 미리 정해진 혹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결정한 유효 화상 영역내의 화상 데이터만을 추출하고,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수신된 화상 데이터 전체를 저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플로피디스크나 하드디스크 등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것에 의해 염가로 고성능의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 전송할 때, 나아가 전사 화상을 형성할 때에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키며,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염가로 고성능의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이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 중, 미리 정해진 혹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결정한 유효 화상 영역내의 화상 데이터만을 판독하며,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것에 의해 염가로 고성능의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일 때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양면 복사 등에서 뒷면에 전사하는 화상 데이터가 없는 경우와 같이,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미리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백 데이터를 전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일 때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양면 복사 등에서 뒷면에 전사하는 화상 데이터가 없는 경우와 같이,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미리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백지 데이터를 전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 입력 수단이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고, 화상 데이터 추출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 중, 미리 정해진 혹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결정한 유효 화상 영역내의 화상 데이터만을 추출하고,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수신된 화상 데이터 전체를 저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플로피디스크나 하드디스크 등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것에 의해 염가로 고성능의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 전송할 때, 나아가 전사 화상을 형성할 때에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그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의 기억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염가로 고성능의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이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 중, 미리 정해진 혹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결정한 유효 화상 영역내의 화상 데이터만을 판독하며,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것에 의해 염가로 고성능의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일 때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양면 복사 등에서 뒷면에 전사하는 화상 데이터가 없는 경우와 같이,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미리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백지 데이터를 전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일 때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양면 복사 등에서 뒷면에 전사하는 화상 데이터가 없는 경우와 같이,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미리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백지 데이터를 전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CPU)의 처리량을 감소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화상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6∼1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함으로써 그 프로그램을 기계로 판독할 수 있게 되고, 이것에 의해 청구항6∼10의 동작을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데이터 입력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 중, 미리 정해진 혹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결정된 유효 화상 영역내의 화상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화상 데이터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 중, 미리 정해진 혹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결정된 유효 화상 영역내의 화상 데이터만을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일 때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일 때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데이터 입력 공정과,
    상기 입력 공정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 중, 미리 정해진 혹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결정된 유효 화상 영역내의 화상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화상 데이터 추출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추출 공정에 의해 추출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공정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공정에 의해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공정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8.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공정에 의해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영역 중, 미리 정해진 혹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결정된 유효 화상 영역내의 화상 데이터만을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백의 화상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 공정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일 때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백지 화상 데이터일 때에는 백의 화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사 화상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1. 상기 제6항∼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0-0066341A 1999-11-10 2000-11-09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386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20181 1999-11-10
JP32018199A JP2001144920A (ja) 1999-11-10 1999-11-10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552A true KR20010051552A (ko) 2001-06-25
KR100386095B1 KR100386095B1 (ko) 2003-06-02

Family

ID=1811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341A KR100386095B1 (ko) 1999-11-10 2000-11-09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144920A (ko)
KR (1) KR100386095B1 (ko)
CN (1) CN118691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5669B2 (en) 2002-12-26 2009-02-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WI274843B (en) 2002-12-25 2007-03-01 Hon Hai Prec Ind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measurement data on objects via processing images thereof
DE60327736D1 (de) 2002-12-26 2009-07-09 Canon Kk Bildverarbeitungsapparatur und Bildverarbeitungsverfahren
JP4144878B2 (ja) 2004-03-25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23214B2 (ja) * 2004-05-14 2011-0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写真イメージ領域抽出装置およびコピー装置
JP4277768B2 (ja) 2004-05-14 2009-06-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写真イメージ領域抽出装置およびコピー装置
BRPI0600440B1 (pt) * 2006-03-06 2018-10-09 Bematech Ind E Comercio De Equipamentos Eletronicos S/A impressora com cartucho modular
JP5614424B2 (ja) * 2012-04-02 2014-10-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194771B2 (ja) * 2013-11-13 2017-09-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7303A (zh) 2001-05-30
KR100386095B1 (ko) 2003-06-02
CN1186919C (zh) 2005-01-26
JP2001144920A (ja) 200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2702B2 (ja) 画像処理装置
JP3789711B2 (ja) 画像処理装置
JP392738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1169022A (ja) 画像処理装置
KR100386095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030174354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image processing of user registered data
JP3028654B2 (ja) 画像処理装置
JPH04252557A (ja) 並行画像処理装置
JP3938837B2 (ja) 画像処理装置
JP440267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063840B2 (ja) 画像処理装置
JP5304169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2118756A (ja) データ転送方法とデータ転送装置と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8713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670918B2 (ja) 画像処理装置
JPH11187261A (ja) 画像処理装置
JP386917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85295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4048113A (ja) 画像処理装置
JP2004112692A (ja) 画像処理装置
JP2002101303A (ja) 画像処理装置
JP2001186355A (ja) 画像処理装置
JP2003283791A (ja) 画像処理装置
JP2003037739A (ja) データ転送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118985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