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602B1 -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602B1
KR100382602B1 KR10-2000-0051040A KR20000051040A KR100382602B1 KR 100382602 B1 KR100382602 B1 KR 100382602B1 KR 20000051040 A KR20000051040 A KR 20000051040A KR 100382602 B1 KR100382602 B1 KR 10038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hair
growth promoting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194A (ko
Inventor
송시훈
백승화
Original Assignee
송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시훈 filed Critical 송시훈
Publication of KR20010030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클로렐라(Chlorella) 6.8∼19 중량%, 효모 4.1∼13 중량%, 백강잠 3.3∼13 중량% 및 화분 4.6∼19 중량%, 가지 1.8∼6 중량%, 죽염 0.02∼0.32 중량% 또는 우골분 0.02∼2.3 중량%를 함유하고, 생약으로서 천마 1.8∼2.2 중량%, 산약 1.8∼14 중량%, 호유자 2.4∼4.6 중량%, 백자인 2.4∼3.2 중량%, 저실자 2.4∼3.2 중량%, 황정 2.7∼14 중량%, 유근피 2.7∼6 중량%, 상백피 2.7∼3.1 중량%, 연전초 2.7∼3.1 중량%, 신이화 2.7∼3.1 중량%, 지부자 5.4∼6.0 중량%, 차전자 2.7∼3.1 중량%, 퇴사자 1.8∼2.2 중량%, 동규자 4.1∼4.5 중량%, 목통 4.1∼4.5 중량%, 오미자 2.8∼3.2 중량%, 음양곽 4.1∼4.5 중량%, 파극 1.8∼2.2 중량%, 황기 2.7∼3.1 중량%, 후박 2.7∼3.1 중량% 또는 건강 2.7∼3.1 중량%를 포함하며, 전해질로서 해조회분 0.8∼2.2 중량%, 황산아연 0.02∼1.2 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02∼0.7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은 생체내에서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나타내어 대머리 질환 및 원형탈모의 치료와 탈모방지를 위한 탈모 방지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Compositions preventing lose of hair and promoting growth of hair}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클로렐라(Chlorella) 6.8∼19 중량%, 효모 4.1∼13 중량%, 백강잠 3.3∼13 중량% 및 화분 4.6∼19 중량%, 가지 1.8∼6 중량%, 죽염 0.02∼0.32 중량% 또는 우골분 0.02∼2.3 중량%를 함유하고, 생약으로서 천마 1.8∼2.2 중량%, 산약 1.8∼14 중량%, 호유자 2.4∼4.6 중량%, 백자인 2.4∼3.2 중량%, 저실자 2.4∼3.2 중량%, 황정 2.7∼14 중량%, 유근피 2.7∼6 중량%, 상백피 2.7∼3.1 중량%, 연전초 2.7∼3.1 중량%, 신이화 2.7∼3.1 중량%, 지부자 5.4∼6.0 중량%, 차전자 2.7∼3.1 중량%, 퇴사자 1.8∼2.2 중량%, 동규자 4.1∼4.5 중량%, 목통 4.1∼4.5 중량%, 오미자 2.8∼3.2 중량%, 음양곽 4.1∼4.5 중량%, 파극 1.8∼2.2 중량%, 황기 2.7∼3.1 중량%, 후박 2.7∼3.1 중량% 또는 건강 2.7∼3.1 중량%를 포함하며, 전해질로서 해조회분 0.8∼2.2 중량%, 황산아연 0.02∼1.2 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02∼0.7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동양의학 및 서양의학에서는 스트레스, 남성 호르몬의 과다분비 및 유전적인 인자가 대머리 및 탈모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개발된 탈모 방지제 또는 탈모증 치료제로서 피부 도포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미국을 포함하는 일부 국가에서는 남성 호르몬 분비 억제제를 이용한 내복용 제제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탈모 방지제 및 탈모증 치료제는 성별 및 연령에 따라 그 활용에 한계가 있고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스트레스, 남성 호르몬의 과다분비 및 유전적 인자 이외에도 다른 주요 탈모 원인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머리 및 탈모의 치료법이 아직까지 뚜렷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대머리 및 탈모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결과, 최근에는 신장 기능의 장해가 탈모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주장이 제시되고 있고 이러한 주장에 대한 이론은 하기와 같다.
상기와 같은 신장기능의 장해에 의한 탈모 이론에 따르면, 신장 기능의 장해로 인하여 대사기능이 저하되면 동양의학에서는 수기운은 상승하지만 화기운은 하강하는 현상인 수승화강 현상이 역행되어 머리에 열 기운이 상승하고, 이로 인하여 머리 및 두피 등의 신체 상부에 혈액순환장해와 혈액이 머무르는 시간이 장기화되는 현상인 어혈이 유발되어 모근을 형성하는 두피가 부풀어오르고 결과적으로 혈액순환의 신진대사가 저하되는 결과가 유발되게 된다는 보고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장의 기능장해에 의하여 주변 장기의 대사에 합병증이 유도됨으로써 남성 호르몬이 과다분비되고 이로 인한 2 차적 질환으로서 탈모현상이 유도된다는 이론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이론의 근거로는 대머리 또는 원형탈모 환자의 두피가 정상인의 두피에 비하여 피부의 탄성이 결핍되어 있어 말랑말랑하며, 기존 탈모 치료제로 개발된 피부도포제 및 남성 호르몬 분비 억제제가 일부 대머리 환자 또는 탈모증 환자에게만 일시적으로 효과를 나타내고 완전한 탈모방지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장 기능의 장해로 인하여 주변 장기의 대사가 저하되어 남성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합병증이 유발됨으로써 탈모 현상이 나타난다는 이론에 의하면 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장의 기능장해를 치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신장기능을 강화하여 여과와 배뇨를 원할하게 함으로써 상승되어 있는 머리의 열감과 어혈을 혈액순환법으로 해소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식품·영양학적 재료 및 생약재료를 추출, 가공 및 합성하여 신장 기능을 강화하는 생약,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생약, 소화작용을 강화하고 신체를 보온하는 생약, 건강보조 식품 및 전해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상기 조성물이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복용하기 전에 촬영한 40 대 남성의 모발 사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6 개월 동안 복용한 후에 촬영한 40 대 남성의 모발 사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복용하기 전에 촬영한 30 대 남성의 모발 사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5 개월 동안 복용한 후에 촬영한 30 대 남성의 모발 사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복용하기 전에 촬영한 여성의 모발 사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5 개월 동안 복용한 후에 촬영한 여성의 모발 사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클로렐라 12∼14 중량%, 효모 9.6∼11.6 중량%, 백강잠 5∼5.6 중량% 및 화분 12∼14 중량%를 함유하고, 생약으로서 산약 12∼14 중량%, 하수오 12∼14 중량%, 천화분 12∼14 중량% 및 황정 12∼14 중량%를 포함하며, 전해질로서 해조회분 3∼3.5 중량%, 우골분 1.9∼2.3 중량%, 황산아연 0.5∼1.2 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6∼0.7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첨가되는 클로렐라, 효모, 백강잠 및 화분은 건강보조식품이고 이들 중 백강잠은 누에이며 화분은 꿀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서 생약으로서 첨가되는 산약, 하수오, 천화분 및 황정은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생약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전해질로서 첨가되는 해조회분, 우골분, 황산아연 및 산화마그네슘은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들 중 해조회분은 미역과 다시마를 900℃ 이상의 고온에서 태워 얻은 회분이고 우골분은 소뼈를 900℃ 이상에서 태워 얻은 회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클로렐라 17∼19 중량%, 효모 11∼13 중량%, 백강잠 11∼13 중량%, 가지 5∼6 중량% 및 화분 17∼19 중량%를 함유하고, 생약으로서 천화분 5∼6 중량%, 하수오 5∼6 중량%, 황정 5∼6 중량%, 유근피 5∼6 중량%, 산약 2.4∼3 중량%, 저실자 2.4∼3 중량%, 백자인 2.4∼3 중량%및 호유자 2.4∼3 중량%를 포함하며, 전해질로서 해조회분 1.7∼2.2 중량%, 우골분 0.02∼0.04 중량%, 죽염 0.02∼0.04 중량%, 황산아연 0.01∼0.015 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02∼0.04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첨가되는 클로렐라, 효모, 백강잠, 가지 및 화분은 건강보조식품이고 이들 중 백강잠은 누에이며 화분은 꿀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서 생약으로서 첨가되는 천화분, 하수오, 황정, 유근피, 산약, 저실자, 백자인 및 호유자는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생약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전해질로서 첨가되는 해조회분, 우골분, 죽염, 황산아연 및 산화마그네슘은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들 중 해조회분은 미역과 다시마를 900℃ 이상의 고온에서 태워 얻은 회분이고 우골분은 소뼈를 900℃ 이상에서 태워 얻은 회분이며, 죽염은 대나무에 소금을 넣고 구운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클로렐라 6.8∼7.6 중량%, 효모 4.1∼4.5 중량%, 백강잠 3.3∼3.9 중량%, 가지 1.8∼2.2 중량% 및 화분 4.6∼5.0 중량%를 함유하고, 생약으로서 하수오 3.2∼3.8 중량%, 대회향 3.2∼3.8 중량%, 호유자 4.0∼4.6 중량%, 백자인 2.6∼3.2 중량%, 저실자 2.4∼3 중량%, 천마 1.8∼2.2 중량%, 산약 1.8∼2.2 중량%, 지부자 5.4∼6.0 중량%, 동규자 4.1∼4.5 중량%, 목통 4.1∼4.5 중량%, 음양곽 4.1∼4.5 중량%, 천화분 2.7∼3.1 중량%, 황정 2.7∼3.1 중량%, 유근피 2.7∼3.1 중량%, 상백피 2.7∼3.1 중량%, 연전초 2.7∼3.1 중량%, 신이화 2.7∼3.1 중량%, 차전자 2.7∼3.1 중량%, 황기2.7∼3.1 중량%, 후박 2.7∼3.1 중량%, 건강 2.7∼3.1 중량%, 퇴사자 1.8∼2.2 중량%, 파극 1.8∼2.2 중량%, 마자인 1.8∼2.2 중량% 및 오미자 2.8∼3.2 중량%를 포함하며, 전해질로서 해조회분 0.8∼1.1 중량%, 우골분 0.38∼0.42 중량%, 죽염 0.28∼0.42 중량%, 황산아연 0.08∼0.12 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28∼0.32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첨가되는 클로렐라, 효모, 백강잠, 가지 및 화분은 건강보조식품이고 이들 중 백강잠은 누에이며 화분은 꿀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서 하수오, 대회향, 호유자, 백자인, 저실자, 천마 및 산약은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생약이고, 지부자, 동규자, 목통, 음양곽, 천화분, 황정, 유근피, 상백피, 연전초, 신이화, 차전자, 황기, 후박, 건강, 퇴사자, 파극, 마자인 및 오미자는 순환기 및 신장을 보강하는 작용을 하는 생약으로서 6 내지 8 시간 동안 끓여서 추출한 후 60 내지 70%로 농축하여 이용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전해질로서 첨가되는 해조회분, 우골분, 죽염, 황산아연 및 산화마그네슘은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들 중 해조회분은 미역과 다시마를 900℃ 이상의 고온에서 태워 얻은 회분이고 우골분은 소뼈를 900℃ 이상에서 태워 얻은 회분이며, 죽염은 대나무에 소금을 넣고 구운 것이다.
상기 3 가지 조성물의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 3 가지 조성물을 복용시킨 실험군과 복용시키지 않은 대조군의 모발 세척시 탈모 예방효과, 잔류 모발의 굵기 변화 및 발모 촉진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3 가지 조성물을 한달 동안 복용한 실험군의 모발 세척시 유발되는 탈모 예방효과는 상기 조성물을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50%, 70% 및 90%로 나타났고 잔류 모발의 굵기는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15%, 60% 및 90% 만큼 증가되었으며, 발모 촉진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변화없었다. 또한, 본 발명의 3 가지 조성물을 3 개월 내지 5 개월 동안 복용한 실험군의 모발 세척시 유발되는 탈모 예방효과는 상기 조성물을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70%, 90% 및 95%로 나타났고 잔류 모발의 굵기는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60%, 90% 및 95% 만큼 증가되었으며, 발모 촉진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10%, 20% 및 50% 만큼 증가되었다(도 2a, 도 2b, 도 3a도 3b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3 가지 조성물을 6 내지 8 개월 동안 복용한 실험군의 모발 세척시 유발되는 탈모 예방효과는 상기 조성물을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90%, 90% 및 95%로 나타났고 잔류 모발의 굵기는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90%, 90% 및 95% 만큼 증가되었으며, 발모 촉진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40%, 60% 및 80% 만큼 증가되었다(도 1a도 1b참조).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3 가지 조성물은 성별에 관계없이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잔류 모발의 굵기를 증가시키는 효과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3 가지 조성물은 탈모 방지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모발생장 촉진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므로 대머리 질환 및 원형탈모의 치료와 탈모방지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 적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형, 예를 들면 정제, 트로치제(troches), 로렌지(lozenge), 수용성 또는 유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elixirs)로 제제화된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괴제; 스테이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된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에 의한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한다.
분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의 유효용량은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50 내지 200 mg/kg이고, 바람직하기로는 70 내지 150 mg/kg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1 일 수회, 바람직하기로는 하루 3 내지 5 회 분할 투여될 수 있다.
급성 독성 실험결과,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은 MLD(Mouse lethal dosage) 값이 10 g/kg 이상으로 매우 안정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의 제조 I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하기와 같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클로렐라 13 중량%, 효모 10 중량%, 백강잠 5.3 중량% 및 화분 13 중량%를 첨가하였고, 생약으로서 산약 13 중량%, 하수오13 중량%, 천화분 13 중량% 및 황정 13 중량%를 첨가하였으며, 전해질로서 해조회분 3.25 중량%, 우골분 2.1 중량%, 황산아연 0.85 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65 중량%를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미세분말 형태로 분쇄하였다. 상기 미세분말에 분말중량의 55%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고 과립 및 환의 형태로 성형한 후 40℃에서 장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의 제조 II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하기와 같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클로렐라 18 중량%, 효모 12 중량%, 백강잠 12 중량%, 가지 5.5 중량% 및 화분 18 중량%를 첨가하였고, 생약으로서 천화분 5.5 중량%, 하수오 5.5 중량%, 황정 5.5 중량%, 유근피 5.5 중량%, 산약 2.7 중량%, 저실자 2.7 중량%, 백자인 2.7 중량% 및 호유자 2.7 중량%를 첨가하며, 전해질로서 해조회분 1.95 중량%, 우골분 0.03 중량%, 죽염 0.03 중량%, 황산아연 0.0125 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03 중량%를 첨가하였으며, 얻은 혼합물을 미세분말로 분쇄하였다. 상기 미세분말에 분말중량의 55%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고 과립 및 환의 형태로 성형한 후 40℃에서 장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의 제조 III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하기와 같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클로렐라 7.2 중량%, 효모 4.3 중량%, 백강잠 3.6 중량%, 가지 2.0 중량% 및 화분 4.8 중량%를 함유하는 미세분말,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생약으로서 하수오 3.5 중량%, 대회향 3.5 중량%, 호유자 4.3 중량%, 백자인 2.9 중량%, 저실자 2.7 중량%, 천마 2.0 중량%, 산약 2.0 중량%를 포함하는 미세분말 및 전해질로서 해조회분 0.95 중량%, 우골분 0.40 중량%, 죽염 0.35 중량%, 황산아연 0.1 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3 중량%를 함유하는 미세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얻었다. 또한, 순환기 및 신장 기능을 보강하는 생약으로서 지부자 5.7 중량%, 동규자 4.3 중량%, 목통 4.3 중량%, 음양곽 4.3 중량%, 천화분 2.9 중량%, 황정 2.9 중량%, 유근피 2.9 중량%, 상백피 2.9 중량%, 연전초 2.9 중량%, 신이화 2.9 중량%, 차전자 2.9 중량%, 황기 2.9 중량%, 후박 2.9 중량%, 건강 2.9 중량%, 퇴사자 2.0 중량%, 파극 2.0 중량%, 마자인 2.0 중량% 및 오미자 3.0 중량%를 함유하는 미세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6 내지 8 시간 동안 끓여서 추출한 후 65%로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었다. 상기 농축액을 식품·영양학적인 재료,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생약, 순환기 및 신장을 보강하는 생약 및 전해질이 혼합된 상기 혼합분말에 첨가한 후 분말중량의 55%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여 과립 및 환의 형태로 성형하였다. 상기 과립 및 환을 40℃에서 장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실시예 1의 조성물,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10 g/kg/ml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실험된 화합물은 모두 랫트에서 10 g/k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 (LD50)은 10 g/kg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의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 측정
실시예 1의 조성물,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의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 3 가지 조성물을 복용시킨 실험군과 복용시키지 않은 대조군의 모발 세척시 탈모 예방효과, 잔류 모발의 굵기 변화 및 발모 촉진효과를 비교하였다.
먼저, 실시예 1의 조성물,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실시예 3의 조성물 1 내지 1.1 kg을 각각 한달 복용량으로 하여 성인 남녀 20 명에게 8 개월 동안 복용시킨 후 모발 세척시 탈모량, 잔류 모발의 굵어진 정도 및 발모량을 상기 조성물을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1의 조성물의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
조성물의 종류 복용기간 모발 세척시 탈모 예방효과(%) 잔류 모발의 굵기 정도(%) 발모 촉진효과(%)
실시예 1의 조성물 1 개월 50 15 변화없음
3 내지 5 개월 70 60 10
6 내지 8 개월 90 90 40
실시예 2의 조성물 1 개월 70 60 변화없음
3 내지 5 개월 90 90 20
6 내지 8 개월 90 90 60
실시예 3의 조성물 1 개월 90 90 변화없음
3 내지 5 개월 90 95 변화없음
6 내지 8 개월 95 95 50
대조군 1 개월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3 내지 5 개월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6 내지 8 개월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실시예 1의 조성물,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을 한달 동안 복용한 실험군의 모발 세척시 유발되는 탈모 예방효과는 상기 조성물을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50%, 70% 및 90%로 나타났고 잔류 모발의 굵기는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15%, 60% 및 90% 만큼 증가되었으며, 발모 촉진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변화없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성물,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을 3 내지 5 개월 동안 복용한 실험군의 모발 세척시 유발되는 탈모 예방효과는 상기 조성물을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70%, 90% 및 95%로 나타났고 잔류 모발의 굵기는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60%, 90% 및 95% 만큼 증가되었으며, 발모 촉진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10%, 20% 및 50% 만큼 증가되었다(도 2a,도 2b,도 3a도 3). 아울러,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조성물,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을 6 내지 8 개월 동안 복용한 실험군의 모발 세척시 유발되는 탈모 예방효과는 상기 조성물을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90%, 90% 및 95%로 나타났고 잔류 모발의 굵기는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90%, 90% 및 95% 만큼 증가되었으며, 발모 촉진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각각 40%, 60% 및 80% 만큼 증가되었다(도 1a도 1b).
상기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조성물,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실시예 3의 조성물 모두 성별에 관계없이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잔류 모발의 굵기를 증가시키는 효과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3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중 가장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잔류 모발의 굵기를 증가시키는 효과도 본 발명의 조성물 중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조성물,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은 탈모 방지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발모 촉진효과를 나타내고 독성이 없어 탈모 예방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용 약학적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제제예 1> 시럽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을 유효성분 2%(중량/부피)로 함유하는 시럽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사카린, 당을 온수 80 g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사카린, 향미료, 에탄올, 소르브산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 ㎖가 되게 하였다.
상기 시럽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 ···················2 g
사카린 ······················· 0.8 g
당 ························ 25.4 g
글리세린······················ 8.0 g
향미료 ······················ 0.04 g
에탄올 ·······················4.0 g
소르브산 ······················0.4 g
증류수 ·······················정량
<제제예 2> 정제의 제조방법
유효성분 15 mg이 함유된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250 g을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상기 정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 250 g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콜로이드성 규산 ················ 32 g
10% 젤라틴 용액
감자전분 ····················160 g
활석 ······················ 50 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5 g
<제제예 3> 주사액제의 제조방법
유효성분 10 mg을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1 g, 염화나트륨 0.6 g 및 아스코르브산 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 ㎖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상기 주사액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 ················1 g
염화나트륨···················0.6 g
아스코르브산··················0.1 g
증류수·····················정량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장 및 순환기 기능의 저하를 보강시켜 성별에 관계없이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모발의 굵기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생체내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탈모 방지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클로렐라 12∼14 중량%, 효모 9.6∼11.6 중량%, 백강잠 5∼5.6 중량% 및 화분 12∼14 중량%를 함유하고, 생약으로서 산약 12∼14 중량%, 하수오 12∼14 중량%, 천화분 12∼14 중량% 및 황정 12∼14 중량%를 포함하며, 전해질로서 해조회분 3∼3.5 중량%, 우골분 1.9∼2.3 중량%, 황산아연 0.5∼1.2 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6∼0.7 중량%를 함유하여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2.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클로렐라 17∼19 중량%, 효모 11∼13 중량%, 백강잠 11∼13 중량%, 가지 5∼6 중량% 및 화분 17∼19 중량%를 함유하고, 생약으로서 천화분 5∼6 중량%, 하수오 5∼6 중량%, 황정 5∼6 중량%, 유근피 5∼6 중량%, 산약 2.4∼3 중량%, 저실자 2.4∼3 중량%, 백자인 2.4∼3 중량% 및 호유자 2.4∼3 중량%를 포함하며, 전해질로서 해조회분 1.7∼2.2 중량%, 우골분 0.02∼0.04 중량%, 죽염 0.02∼0.04 중량%, 황산아연 0.01∼0.015 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02∼0.04 중량%를 함유하여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3. 식품·영양학적인 재료로서 클로렐라 6.8∼7.6 중량%, 효모 4.1∼4.5 중량%, 백강잠 3.3∼3.9 중량%, 가지 1.8∼2.2 중량% 및 화분 4.6∼5.0 중량%를 함유하고, 생약으로서 하수오 3.2∼3.8 중량%, 대회향 3.2∼3.8 중량%, 호유자 4.0∼4.6 중량%, 백자인 2.6∼3.2 중량%, 저실자 2.4∼3 중량%, 천마 1.8∼2.2 중량%, 산약 1.8∼2.2 중량%, 지부자 5.4∼6.0 중량%, 동규자 4.1∼4.5 중량%, 목통 4.1∼4.5 중량%, 음양곽 4.1∼4.5 중량%, 천화분 2.7∼3.1 중량%, 황정 2.7∼3.1 중량%, 유근피 2.7∼3.1 중량%, 상백피 2.7∼3.1 중량%, 연전초 2.7∼3.1 중량%, 신이화 2.7∼3.1 중량%, 차전자 2.7∼3.1 중량%, 황기 2.7∼3.1 중량%, 후박 2.7∼3.1 중량%, 건강 2.7∼3.1 중량%, 퇴사자 1.8∼2.2 중량%, 파극 1.8∼2.2 중량%, 마자인 1.8∼2.2 중량% 및 오미자 2.8∼3.2 중량%를 포함하며, 전해질로서 해조회분 0.8∼1.1 중량%, 우골분 0.38∼0.42 중량%, 죽염 0.28∼0.42 중량%, 황산아연 0.08∼0.12 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28∼0.32 중량%를 함유하여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4. 제 1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2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3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0-0051040A 1999-09-03 2000-08-31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KR100382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510 1999-09-03
KR19990037510 1999-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194A KR20010030194A (ko) 2001-04-16
KR100382602B1 true KR100382602B1 (ko) 2003-05-01

Family

ID=1961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040A KR100382602B1 (ko) 1999-09-03 2000-08-31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6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158B1 (ko) 2004-07-21 2006-05-23 김은선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제
KR20200093260A (ko) 2019-01-28 2020-08-05 김동유 한방 식물약재를 이용한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06673B1 (ko) * 2022-09-02 2023-03-08 주식회사 동진제약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발모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24B1 (ko) * 2001-11-30 2004-09-07 씨제이 주식회사 산약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
KR100444102B1 (ko) * 2001-12-21 2004-08-11 주식회사 태평양 백자인 추출물 함유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33324B1 (ko) 2005-12-06 2007-06-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탈모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0755983B1 (ko) 2006-10-02 2007-09-06 주식회사 라이프투게더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7754244B2 (en) * 2007-03-09 2010-07-13 Fatemeh Mirzae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KR100928377B1 (ko) * 2007-11-02 2009-11-2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랑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28378B1 (ko) * 2007-11-13 2009-11-2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랑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1347816B1 (ko) * 2013-03-12 2014-01-07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규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165210B1 (ko) * 2019-11-27 2020-10-1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동규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7526B1 (ko) * 2021-03-16 2023-11-3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5315A (ja) * 1986-11-27 1988-06-07 Nakano Seiyaku Kk 養毛化粧料
JPS63264513A (ja) * 1987-04-22 1988-11-01 Lion Corp 化粧料
KR19980086246A (ko) * 1997-05-31 1998-12-05 김인규 생약으로부터 발모 촉진 성분의 추출 방법 및 그 추출물
KR19990065207A (ko) * 1998-01-09 1999-08-05 남영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5315A (ja) * 1986-11-27 1988-06-07 Nakano Seiyaku Kk 養毛化粧料
JPS63264513A (ja) * 1987-04-22 1988-11-01 Lion Corp 化粧料
KR19980086246A (ko) * 1997-05-31 1998-12-05 김인규 생약으로부터 발모 촉진 성분의 추출 방법 및 그 추출물
KR19990065207A (ko) * 1998-01-09 1999-08-05 남영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158B1 (ko) 2004-07-21 2006-05-23 김은선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제
KR20200093260A (ko) 2019-01-28 2020-08-05 김동유 한방 식물약재를 이용한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06673B1 (ko) * 2022-09-02 2023-03-08 주식회사 동진제약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발모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194A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602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KR100195886B1 (ko) 당뇨병 치료용 의약조성물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CN103891963A (zh) 一种降血压降血脂降血糖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0374416B1 (ko) 고지혈증 및 협심증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CN105250913B (zh) 一种治疗蛋鸡脂肪肝综合症的药物组合物
KR20020085401A (ko) 남성 생식기능 저하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조혈 촉진용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55222B1 (ko) 다이어트 인삼복합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470204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
JP2004262922A (ja) サイクルサプリメント
KR100673266B1 (ko) 성장촉진제
KR20040108512A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발기부전 치료용 조성물
CN107375714A (zh) 补肾保健药酒及其制备方法
KR100712659B1 (ko)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CN107427417A (zh) 叶绿素组合物
KR20120009946A (ko) 양파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JP4610730B2 (ja) カルシウム補給用の組成物
CN104382893A (zh) 一种ve、vc和姜黄素为主药成分的软胶囊
KR100761938B1 (ko) 고지혈증 및/또는 고혈압에 기인한 발기부전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7961244A (zh) 制备复方植物中药熟盐的盐炒方法
JP6621558B2 (ja) 夜間頻尿の予防又は改善剤
KR20030087761A (ko) 남성의 활력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조성물
Govindan et al. Impact of Vitamins and Minerals Enriched Flora in the Management of Calciphytoliths: A Special Focus on Vitamin E
KR101855820B1 (ko) 간 기능 개선 및 스태미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20170121033A (ko) 연령대별 여성에게 필요한 생약 성분을 함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