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204B1 -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 - Google Patents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204B1
KR100470204B1 KR10-2000-0049369A KR20000049369A KR100470204B1 KR 100470204 B1 KR100470204 B1 KR 100470204B1 KR 20000049369 A KR20000049369 A KR 20000049369A KR 100470204 B1 KR100470204 B1 KR 100470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weight
extract
ginse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197A (ko
Inventor
성기승
유익종
박우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푸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푸,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푸
Priority to KR10-2000-004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204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2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생약재의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30∼35 중량%, 30∼35 중량%, 15∼20 중량% 및 15∼20 중량%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솔잎:오갈피:구기자:인삼 추출물의 혼합 비율이 약 2:2: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만억제용 조성물은 각각의 열수 추출물에 의한 효과보다 월등히 높은 비만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열량 섭취의 감소 없이도 정상 대조군과 비슷한 체중 증가량, 복부 지방 또는 간 중성지방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나타내므로 비만 억제를 위한 건강 보조 식품 등의 첨가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Anti-obesity composition containing crude extracts of herbs and health assistant foods with valid component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생약재의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30∼35 중량%, 30∼35 중량%, 15∼20 중량% 및 15∼20 중량%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솔잎:오갈피:구기자:인삼 추출물의 혼합 비율이 약 2:2: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경제 발전과 이에 따른 식생활 개선 및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에너지 함량이 높은 가공식품의 섭취가 늘어나고 운동량이 줄어들면서 비만증이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비만은 지방조직이 과잉 증가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비만에 의한 체중의 증가는 대부분 지방의 증가에 의한 것이다.
지방은 주로 피하조직에 축적되는데, 심장의 주위에 축적되어 심장기능에 장해를 주기도 하며 비만한 사람은 당뇨병, 동맥경화증, 고혈압증, 심장병, 간장병, 담석증, 통풍, 신장병의 발생률이 높고 수술 시에도 위험성이 높아 대체로 단명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만증은 생명과 직결되는 건강상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특히 여성의 경우 미용상으로도 중요한 문제로서 매년 체중감소를 위해 지출되는 비용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만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의 섭취를 줄이고, 에너지 소비를 늘리며, 지방의 체내 축적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음식물 섭취의 감소보다는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는 것이 비만증 억제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많은 에너지의 소비가 심장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및 총사망률을 낮춘다는 보고도 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기 어려운 현대 사회의 특성으로 인해 비만 억제를 위한 주된 노력은 비만 억제 효과를 갖는 보조식품의 섭취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실정이다.
비만 억제 효과를 갖는 식품으로는 많은 것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고추에 함유된 캡사이신(capsaicine)은 음식물의 산화에 의한 발열반응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식이섬유가 음식물의 섭취량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도 있다(Dunkan 등, 1983.Am. J. Clin. Nutr. 37: 263∼267). 그러나 구아 검(Guar gum), 펙틴(pectin) 등의 식이섬유 농축물을 실험식이에 첨가한 경우 위 공복을 지연시키고 만복감을 증가시키지만, 식사 전에 섭취시켰을 때에는 공복으로의 환원 시간이 매우 빠르다고 보고되어 있다(Hyrander 등, 1983.Acta Med. Scand.213: 217∼220).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개발되어 있는 대부분의 비만증 억제 기능성 식품은 주로 식이섬유나 아미노산을 주원료로 함유하고 있으며, 국내산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상과 같은 실정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생약재들 중 비만 억제 효과가 뛰어난 물질을 탐색하고, 이들의 추출 방법 및 첨가 농도와 배합비율 등의 조건을 최적화하여 비만 억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만 억제 효과가 뛰어나며,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비만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비만 억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생약재의 추출방법과 배합 비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솔잎, 오갈피, 구기자, 인삼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은 솔잎 추출물 30∼35 중량%, 오갈피 추출물 30∼35 중량%, 구기자 추출물 15∼20 중량%, 인삼 추출물 15∼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솔잎, 오갈피, 구기자, 인삼의 혼합 비율이 약 2:2:1:1인 경우, 각각의 생약재 추출물에 의해 나타나는 비만 억제 효과보다 월등히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서, 생약재의 열수 추출물은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 시료에 약 5∼15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의 증류수를 혼합하여 85∼95℃에서 2∼3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솔잎, 오갈피, 구기자, 당귀, 인삼, 천궁, 백출 및 두충 등의 생약재를 각각 열수 추출한 추출물과 아세톤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각각 실험쥐에 경구투여하여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아세톤 용매로 추출한 솔잎 추출물의 경우에만 약간의 비만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열수 추출물이 용매 추출물에 비해 비만 억제의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열수 추출물 중에서도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의 열수 추출물이 당귀, 천궁, 백출 및 두충 등의 열수 추출물에 비해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추출물의 투여량과 비만 억제 효과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체중 증가, 열량 섭취, 복부 지방, 간 중성지방, 동맥경화 위험지수 등 비만도의 각종 지표에 대해 솔잎과 오갈피의 경우 1일 투여량이 체중 100g당 10mg 이상, 구기자와 인삼의 경우 5mg 이상일 때 비만 억제 효과가 컸으며, 특히 솔잎과 오갈피 열수추출물의 경우 각 10mg/체중100g/일(day), 구기자와 인삼 열수추출물의 경우 각 5mg/체중100g/일(day)로 투여한 경우에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에서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을 10:10:5:5(mg/체중100g/일(day))의 비율로 배합하여 실험쥐에 급여하였는데, 혼합물의 비만 억제 효과가 각각의 생약재 열수 추출물에 의한 효과보다 현저히 증가하여 정상 대조군과 거의 비슷한 정도의 체중 증가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의 열수 추출물로 이루어진 비만억제용 조성물은 분말, 캡슐, 정제, 과립, 산제 또는 액제의 건강보조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생약제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비독성, 불활성, 제약상 적합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투여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복용이 간편한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환제 및 과립제는 임의로 유백제를 함유하는 통상의 피복 및 외피가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장관의 특정부위에서 유효 화합물만을 또는 유효 화합물을 우선적으로 방출시키도록 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중합성 물질 또는 왁스와 같은 봉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서방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제형들은 또한 착색제, 방부제 및 냄새나 맛을 개선시키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박하유 및 유칼리유 및 감미제 (예, 사카린)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의 열수 추출물로 이루어진 비만억제용 조성물은 분말, 캡슐, 정제, 과립, 산제 또는 액제의 건강보조식품에 있어서 약 0.1 중량% 내지 99.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중량%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에 있어서,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의 열수 추출물로 이루어진 비만억제용 조성물 함량이 0.1 중량% 미만 사용하면 비만억제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으며, 99.5 중량% 초과 사용하면 뚜렷한 비만억제 효과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아 본 발명에서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의 열수 추출물로 이루어진 비만억제용 조성물은 분말, 캡슐, 정제, 과립, 산제 또는 액제의 건강보조식품에서 약 0.1 중량% 내지 99.5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은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약물 또는 건강 보조 식품의 첨가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10∼80mg/체중100g/일(day), 바람직하게는 30∼60mg/체중100g/일(d ay)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
솔잎, 오갈피, 구기자, 당귀, 인삼, 천궁, 백출 및 두충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잘게 세절한 후, 각각의 시료에 10배에 달하는 증류수로 9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진탕하여 추출하고 감압 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한편 용매에 의한 추출은 상기 각각의 시료 6g을 150㎖의 70% 아세톤에 현탁시켜 60℃에서 1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감압건조하여 분말화 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생약재 종류 및 추출방법에 따른 비만 억제 효과
비만 억제 효과를 갖는 생약재 추출물 및 효과적인 추출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솔잎, 오갈피, 구기자, 당귀, 인삼, 천궁, 백출 및 두충 의 열수 추출물 및 용매 추출물을 실험쥐에 경구투여하여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4주령의 스프래그-다우리(Sprague-Dawley, SD) 웅성 쥐에 1주간 시판 펠렛(pellet) 사료를 급여한 뒤 10마리씩 정상대조군, 비만대조군 및 상기 시료의 열수 추출물, 용매추출물을 공급할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정상 대조군은 계속 펠렛 사료만 급여하고 나머지 모든 군은 펠렛 사료와 함께 사람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는 비만증 유형과 가장 가까운 비만증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카페테리아 식이(c afeteria diet)를 급여하였으며, 모든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카페테리아 식이로는 쿠키, 비스켓, 초콜릿, 땅콩, 치즈, 감자칩, 아몬드, 소시지 및 햄을 급여하였으며, 에너지 함량은 식품성분표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시료의 열수 추출물, 용매추출물을 공급할 대조군은 카페테리아 식이를 2주간 급여한 후, 하루에 실험쥐 체중 100g에 대해 추출물 분말 10mg씩을 증류수에 혼합하여 경구투여하였으며, 상기 시료의 급여를 7주간 지속하였다. 정상대조군 및 비만대조군은 같은 부피의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하였다.
시료를 7주간 경구투여한 후 체중을 측정하고, 간 및 복부의 지질을 추출하여 효소법으로 간의 중성지방과 복부지방을 정량하였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실험쥐의 비만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각 대조군에 따른 비만도 측정결과
시료 체중 증가(g) 복부 지방(g)* 간 중성지방(mg/g)**
정상 대조군 205 ±5 8.14 ±0.21 65.2 ±2.3
비만 대조군 270 ±6 12.76 ±0.32 83.5 ±3.1
솔잎 열수추출 232 ±3 10.45 ±0.24 73.2 ±2.2
용매추출 238 ±4 11.77 ±0.17 79.8 ±5.2
오갈피 열수추출 235 ±6 10.40 ±0.23 72.1 ±4.8
용매추출 272 ±2 12.53 ±0.29 80.7 ±3.7
구기자 열수추출 248 ±6 10.98 ±0.22 75.6 ±2.5
용매추출 259 ±5 12.23 ±0.32 79.2 ±2.8
당귀 열수추출 268 ±5 12.52 ±0.30 75.3 ±4.2
용매추출 266 ±4 12.80 ±0.27 78.9 ±3.3
인삼 열수추출 243 ±5 11.87 ±0.25 76.2 ±4.8
용매추출 270 ±5 12.71 ±0.21 81.5 ±4.5
천궁 열수추출 265 ±4 12.57 ±0.23 74.2 ±3.5
용매추출 272 ±3 12.72 ±0.22 79.6 ±2.8
백출 열수추출 257 ±3 11.98 ±0.30 80.1 ±3.7
용매추출 265 ±5 12.42 ±0.31 80.5 ±3.5
두충 열수추출 266 ±6 12.56 ±0.28 77.8 ±3.7
용매추출 273 ±4 12.74 ±0.22 77.0 ±4.1
* 복부지방 측정법 : 복부피하지방을 모두 떼어내 생리식염수로 혈액을 제거한 후 중량 측정
** 간 중성지방 측정법 : Folch법 (Wako Pure Chemical Ind. Ltd., Japan)에 의해 총지질 추출 후 효소법으로 정량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급여한 용매 추출물의 경우에는 솔잎 추출물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만 억제 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열수 추출물이 용매 추출물에 비해 비만 억제 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열수 추출물의 비만 억제 효과는 솔잎, 오갈피, 구기자, 인삼의 시료에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카페테리아 식이로 체중이 증가한 비만 대조군에 비해 20% 이상의 체중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복부 지방 및 간의 중성지방 함량에서도 그 감소 효과가 현저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체중 감소 및 비만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된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의 추출물에 대해 실험을 계속하였다.
<실시예 3> 급여 농도별 비만 억제 효과
비만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2에서 비만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된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의 열수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투여하면서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쥐에의 추출물 투여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각 시료의 투여량은 실험쥐 체중 100g에 대해 각각 2, 5, 10, 20 mg/㎖/100g로 하여 7주간 투여하였다.(mg/㎖/10 0g은 쥐 100g 체중당 증류수 ㎖당 열수 추출물 분말의 mg를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의 투여량에 따른 비만 억제 효과를 실험쥐의 체중증가, 열량섭취, 복부지방, 간 중성지방 및 동맥경화 위험지수로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각각의 시료 급여량에 따른 비만도 측정결과
시료 1일급여량(mg/㎖/100g) 체중증가(g) 열량섭취(kJ/일) 복부지방(g) 간중성지방(mg/g) 동맥경화위험지수*
정상대조군 - 213 ±5 292 ±5 8.1 ±0.2 65.2 ±2.3 2.3 ±0.2
비만대조군 - 270 ±6 383 ±6 12.8 ±0.3 83.5 ±3.1 3.3 ±0.3
솔잎 2 266 ±3 380 ±3 11.8 ±0.2 82.1 ±2.0 2.9 ±0.1
5 242 ±7 378 ±4 11.0 ±0.3 78.4 ±3.3 2.4 ±0.3
10 232 ±3 382 ±5 10.5 ±0.2 73.2 ±2.2 3.0 ±0.2
20 230 ±4 379 ±2 10.2 ±0.3 74.7 ±4.0 2.6 ±0.4
오갈피 2 267 ±6 387 ±4 12.0 ±0.1 76.2 ±4.8 2.5 ±0.2
5 257 ±4 378 ±2 10.5 ±0.3 72.4 ±3.2 2.2 ±0.2
10 235 ±6 380 ±5 9.30 ±.3 72.3 ±3.8 2.5 ±0.4
20 232 ±4 383 ±6 9.7 ±0.2 73.1 ±2.4 2.5 ±0.2
구기자 2 272 ±5 382 ±5 11.9 ±0.2 74.2 ±3.4 2.6 ±0.2
5 250 ±4 378 ±5 9.8 ±0.3 70.2 ±2.8 2.4 ±0.2
10 248 ±3 373 ±7 10.8 ±0.2 76.5 ±2.2 2.4 ±0.2
20 248 ±5 369 ±4 11.0 ±0.3 75.1 ±2.7 2.6 ±0.2
인삼 2 258 ±4 377 ±3 10.3 ±0.4 72.8 ±3.7 2.5 ±0.3
5 240 ±5 382 ±4 10.4 ±0.2 70.4 ±2.4 2.3 ±0.2
10 238 ±5 386 ±6 11.9 ±0.2 75.7 ±4.5 2.5 ±0.6
20 240 ±3 379 ±2 11.6 ±0.2 75.2 ±3.5 2.3 ±0.4
* 동맥경화위험지수(Antherogenic index)
= (Total cholesterol - HD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솔잎과 오갈피 열수 추출물은 10mg/㎖/100g, 구기자와 인삼의 열수 추출물은 5mg/㎖/100g의 급여농도에서 가장 우수한 체중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러한 체중의 감소는 열량 섭취의 감소를 초래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비만 억제 식품으로 개발할 경우 식사량의 감소 없이도 체중의 감소와 함께 복부 지방 및 간의 중성지방도가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효과적인 비만 억제 보조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 급여에 의한 비만 억제 효과
실시예 3에서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 솔잎 및 오갈피 열수 추출물 최소급여농도 각 10mg과 구기자 및 인삼 열수 추출물 각 5mg을 혼합 급여하여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비만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표 3. 생약재 혼합에 따른 비만도 측정 결과
시료 1일급여량(mg/㎖/100g) 체중증가(g) 열량섭취(kJ/일) 복부지방(g) 간중성지방(mg/g) 동맥경화위험지수
정상대조군 - 213 ±5 292 ±5 8.1 ±0.2 65.2 ±2.3 2.3 ±0.2
비만대조군 - 270 ±6 383 ±6 12.8 ±0.3 83.5 ±3.1 3.3 ±0.3
혼합시료 10:10:5:5 215 ±3 379 ±3 10.0 ±0.2 68.2 ±2.8 2.3 ±0.5
상기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의 체중 증가량은 213g, 비만대조군의 체중 증가량은 270g,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 급여군의 체중 증가량은 215g으로, 각각의 추출물을 급여한 경우보다 이들 추출물을 혼합 급여한 경우 비만 억제 효과가 월등히 높아져 정상대조군과 비슷한 정도의 체중 증가량을 나타내었으며, 복부 지방, 간의 중성지방 정도 및 동맥경화지수도 함께 감소하여 본 발명의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 추출물의 혼합물이 비만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은 각각의 추출물에 비하여 비만 억제 효과가 월등하여 본 발명의 추출방법 및 배합 비율에 의할 경우 정상 대조군과 거의 비슷한 정도의 체중 증가량을 나타내며, 복부 지방,간 중성지방 및 동맥경화 위험지수 등에 있어 정상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을 뿐 아니라, 열량섭취의 감소 정도가 적어 식사량의 감소 없이도 효과적인 비만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 안전성이 널리 알려진 천연 생약재를 이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솔잎 시료에 5∼15배의 증류수를 혼합하여 85∼95℃에서 2시간∼3시간 동안 추출한 솔잎 열수 추출물 30∼35 중량%, 오갈피 시료에 5∼15배의 증류수를 혼합하여 85∼95℃에서 2시간∼3시간 동안 추출한 오갈피 열수 추출물 30∼35 중량%, 구기자 시료에 5∼15배의 증류수를 혼합하여 85∼95℃에서 2시간∼3시간 동안 추출한 구기자 열수 추출물 15∼20 중량%, 인삼 시료에 5∼15배의 증류수를 혼합하여 85∼95℃에서 2시간∼3시간 동안 추출한 인삼 열수 추출물 15∼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솔잎, 오갈피, 구기자 및 인삼의 열수 추출물의 혼합 비율이 2:2: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3. 삭제
  4. 분말, 캡슐, 정제, 과립, 산제 또는 액제의 건강보조식품에 있어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비만억제용 조성물이 0.1중량%∼99.5중량%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건강보조식품.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0-0049369A 2000-08-24 2000-08-24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 KR100470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369A KR100470204B1 (ko) 2000-08-24 2000-08-24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369A KR100470204B1 (ko) 2000-08-24 2000-08-24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197A KR20020016197A (ko) 2002-03-04
KR100470204B1 true KR100470204B1 (ko) 2005-02-04

Family

ID=19685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369A KR100470204B1 (ko) 2000-08-24 2000-08-24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974A (ko) * 2002-03-15 2003-09-22 김정상 잔대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비만억제용 조성물
KR100496622B1 (ko) * 2002-04-29 2005-06-29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비만 억제를 위한 알콜 발효 식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0549193B1 (ko) * 2002-10-23 2006-02-02 (주)바이오뉴트리젠 인삼 및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AU2003256104A1 (en) * 2002-08-14 2004-03-03 Bionutrigen Co., Ltd Powder or extracts of plant leaves with anti-obesity effects and anti-obesity food comprising them
KR20040021862A (ko) * 2002-09-05 2004-03-11 정해봉 산양 산삼 생수삼 엑기스 제조방법 및 산양 산삼 엑기스동결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KR100793205B1 (ko) * 2006-05-18 2008-01-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1845265B1 (ko) 2016-09-26 2018-04-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솔잎착즙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170090B1 (ko) * 2017-11-09 2020-10-26 유의순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197A (ko)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4097B2 (ja) 抗肥満組成物
Lau et al. Allium sativum (garlic) and atherosclerosis: a review
JP2009511468A5 (ko)
EP1186294A2 (en) Ferulic acid and caffeic or chlorogenic acids containing compositions for alleviating hypertension or preventing a rise in blood pressure
US8420116B2 (en) Dietary compositions for promoting weight loss
KR100470204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
JP2011032217A (ja) 脂肪吸収抑制剤
JP5064652B2 (ja) 糖尿病の予防・治療用組成物およびその有効成分を含む健康食品
JPH11180869A (ja) 血中脂質改善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飲食品および皮膚外用剤
KR100828069B1 (ko) 푸코잔틴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7269631A (ja) 中性脂肪蓄積抑制剤
JP2010159283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US20040097429A1 (en) Method for the reduction of the mammalian appetite
JP2007314475A (ja) トリアシルグリセロール合成抑制剤
KR101897770B1 (ko)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6104182A (ja) 体脂肪低減組成物
JP2004000171A (ja) マカを含有した機能性食品
JP2005170836A (ja) 海藻抽出物およびそれを含むリパーゼ阻害剤
JP2007230987A (ja) 抗肥満剤
KR19980085889A (ko) 동과, 팥, 다엽 및 상지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조절용 건강식품
JP2001261569A (ja) 抗肥満症剤
JP2005060338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KR20040003923A (ko) 체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기능성 영양보충용 식품 및 그제조 방법
JP5706142B2 (ja) フユボダイジュ花のエタノール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グルコース低下剤、内臓脂肪蓄積抑制剤、tg低下剤、糞中脂肪排泄促進剤
JP2001046019A (ja) 柑橘系由来の栄養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