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424B1 - 산약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약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424B1
KR100447424B1 KR10-2001-0075444A KR20010075444A KR100447424B1 KR 100447424 B1 KR100447424 B1 KR 100447424B1 KR 20010075444 A KR20010075444 A KR 20010075444A KR 100447424 B1 KR100447424 B1 KR 10044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product
quantity quantit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622A (ko
Inventor
손영기
강길성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5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4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4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산약 추출물을 0.1 ~ 20.0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발명에 따른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은 모발 보습 효과 및 모발에 대한 영양효과가 뛰어나다.

Description

산약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A COMPOSITION FOR A HAIR CONDITIONER WHICH COMPRISES THE EXTRACTS OF DISOCOREACEAE RADIX}
본 발명은 천연 생약인 산약(山藥)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빈번한 세정, 지나친 손질에 의한 물리적 요인, 염색, 탈색, 퍼머넌트웨이브 같은 화학적 요인, 드라이에 의한 건조, 날씨(태양광) 혹은 내적인 요인으로 인해 모소피(cuticle; 모발을 구성하는 최외각층)가 손상을 입어 모발 영양성분 및 수분의 손실이 오면서 점차 가늘어지고 약해지게 된다. 특히 세발을 지나치게 자주 하여도 원하지 않는 탈지로 인한 모발과 두피의 손상 등이 올 수 있다.
헤어용 컨디셔너는 손상되어진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하고 유분 등 영양을 공급하여 광택부여는 물론 정전기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모발은 등전점(isoelectric point)이 5.4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구조적으로 음전하를 띄고 있고 손상이 될수록 더 강한 음전하를 띄게 되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헤어컨디셔닝 성분으로는 양이온계면활성제이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들은 모발에 효과적으로 흡착이 되어 얇은 막을 띄고 고급 알코올과 얇은 피막을 형성하여 유연성을 부여하고 윤활제의 역할을 하여 모발에 부드러움을 주며 정전기적 마찰을 감소시켜준다. 하지만 양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한 보습력 강화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에 공지된 헤어용 천연물로서 창포 잎과 뿌리를 달인 물, 들국화 꽃과 잎과 줄기 추출물을 사용한 제품 등은 성분 중에 함유된 정유(essential oil)나 사포닌 등이 모발을 윤기 있고 부드럽게 하는 것으로서 모발에 보습력을 부여하는 작용을 갖지는 않는다.
산약은 마과(科:Disocoreaceae)에 속한 덩굴성 참마(Disocorea japonica) 또는 마(Disocorea batatas)의 덩이뿌리[塊根]로서 전분(澱粉) ·점액질(粘液質) ·단백질 ·지방 ·아르기닌콜린 등과 디아스타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지라[脾臟] ·폐 ·콩팥[腎臟] ·위 ·간의 경락(經絡)에도 작용하여 식욕 감퇴, 원기 부족, 정액이 새거나(遺精) 잠잘 때 식은 땀을 흘릴 경우(盜汗), 몸이 마르고 원기가 부족한 등의 허한 증상을 보일 때는 사용하는 한약재이다.
본 발명자는 산약이 여러 성분 중 특히 타 약용식물에 비해 월등히 많은 점액성 물질을 함유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산약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이 모발에 강한 보습력을 부여하고 두피에 영양과 부드러움을 주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발명자는 이미 "산약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조성물"(특허출원번호 2001-11468호, 출원일자 2001년 3월 6일)을 출원한 바 있다.
본발명은 산약 추출물을 0.1 ~ 20.0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발명에 따른 산약은 바람직하게는 2년근 이상의 산약으로서, 껍질을 벗긴 후 그늘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하여 추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에 함유되는 산약을 추출하는 방법은 종래의 공지된 방법에 따른다.
바람직하게는, 본발명에 사용되는 산약은 클로로포름과 에탄올 혼합 용매(2:1), n-헥산, 프로필렌글리콜 및 순수한 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다.
본발명에 따른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은 종래의 공지된 컨디셔너 성분인 양이온계면활성제, 유분, 보습제, 점증/제형안정제, pH 조정제, 분산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향료, 방부제, 금속이온봉쇄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C10-C22인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ATAC), 디알킬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DDAC),베헤닐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BTAC),트리알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TCMAC) 등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며, 컨디셔너 총중량의 0.1-5.0 중량%, 바람직하게 0.3-4.0%의 양으로 사용된다.
유분으로는 모발의 광택을 유지하면서 헤어컨디셔너의 틱소트로피(Thixotrop
y)를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의 고급 알코올, 탄화수소, 에스테르류, 실리콘류 등이 사용된다. 탄화수소는 보통 C15이상의 사슬모양의 포화 탄화수소를 사용하며 대표적으로 유동 파라핀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고급 알코올은 주로 C10-C22, 바람직하게는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Behenyl alcohol)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15-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에스테르류로는 주로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을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0.2~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실리콘류는 디메치콘 또는 아미도메치콘 또는 디메치콘코폴리올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2- 3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보습제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이외에 헥실렌글리콜, 젖산나트륨, 피롤리돈카아복시산나트륨염(PCA-Na)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3-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점증/제형안정제는 점증을 통한 제형 안정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이온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비이온 폴리머인 하이드록시 에칠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가 0.15~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외에도, 단백계 모발영양제, 피부나 모발에 대한 보호기능이 있는 기타 비타민류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함유되는 산약 추출물은 0.1-20%, 바람직하게는 0.3-2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발명을 예시하는 바, 본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산약 추출물의 제조
산약을 대나무 칼로 껍질을 벗기고 그늘에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완전히 건조시킨 산약을 분말로 빻아서 1000g을 준비한다. 산약 건조 분말 1000g을 클로로포름:95% 변성 에탄올(2:1) 용매 6ℓ로 3시간 동안 환류시키면서 추출한다. 클로로포름:에탄올 층을 n-헥산 600ml로 3시간 동안 환류하여 추출하여 n-헥산층을 얻은 후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하여 건조물 60g을 얻었다. 이를 액체 파라핀(LP-70)에 녹여 600g으로 만들어서 추출물I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클로로포름:95% 변성 에탄올(2:1) 추출시 불용성인 층에 대해 순수한 물을 용매로 하여 3시간 동안 환류하여 물로 추출된 층을 얻고 이를 건조시켜 140g의 건조물을 얻었고 여기에 순수한 물 660g을 가하여 800g으로 만들어서 추출물II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n-헥산으로 추출시 불용성인 층에 대해 에탄올:프로필렌글리콜(1:1
) 용매 1ℓ를 3시간 동안 환류하여 에탄올:프로필렌글리콜층을 얻어 추출물III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보습력 실험
(1) 돈피 이용 시험
앞에서 언급된 추출물 Ⅰ,Ⅱ,Ⅲ와 공지된 보습제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히야루론산 및 요소에 대해 생돈피(처리된 돼지의 생가죽)를 이용하여 아래에 기술된 방법으로 5회씩 보습 시험을 시행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법
비계를 제한 생돈피를 3.5cm X 10cm 크기로 준비하고 순수한 물 및 각각의보습제(추출물 I, II 및 III, 글리세린 17.5%(추출물 Ⅲ의 농도와 동일하게 조정함)용액, 프로필렌글리콜 17.5% 용액, 히야루론산 17.5% 용액, 요소 17.5% 용액)를 각각 1ml씩 돈피 1장 당 4군데에 지름 1cm의 원내에 도포하고 25℃, 상대습도 70%의 항온항습기에 넣어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이후에 보습력측정기(Corneometer, 독일Courage+Khazaka사)로 보습의 정도를 측정했다.
표 1: 돈피에 대한 보습력 측정 결과(보습제 도포 전 생돈피의 보습력측정기에 의한 보습력을 100으로 했을 때의 상대치)
시간\보습제 순수한물 추출물Ⅰ 추출물Ⅱ 추출물Ⅲ 글리세린용액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히야루론산 용액 요소 용액
2시간 후 95 210 175 160 190 150 180 130
4시간 후 80 200 160 155 140 100 160 120
6시간 후 75 175 140 140 110 95 135 90
8시간 후 75 150 110 105 90 80 103 80
2. 모발을 이용한 보습력 실험
상기 돈피 실험에서 사용된 각 보습제를 사람의 모발에 대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5회씩 시험하여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법
길이10cm, 무게 1g의 헤어트레스를 만들고 위의 각 시료에 충분히 적셔 헤어트레스에 적용된 시료의 무게가 0.3g정도 되도록 하고 50℃에서 2시간동안 건조한다. 이후 25℃, 70% 상대습도에서 24시간 놓아둔다. 그리고 나서 헤어트레스를 잘라 중간부분 2cm, 0.15g을 취하여 Karl fischer 수분적정기(784 KFP TITRINO + 768 KF OVEN, Metrohm사)를 이용하여 수분량을 측정한다. 측정 조건은 질소 가스 유동 속도는 90 ml/분, 추출 시간은 2,000초, 온도는 150℃이다.
표 2: 사람 모발에 대한 보습력 측정 결과(단위, %)
구분\보습제 순수 추출물I 추출물Ⅱ 추출물Ⅲ 글리세린용액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히야루론산 용액 요소 용액
5회측정평균 9.85 10.45 10.35 10.37 10.28 10.14 10.38 10.17
상기 표 1 및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발명에 따른 산약 추출물은 종래의 보습제인 히야루론산과 비슷한 정도의 보습력을 나타내고, 특히 모발 보습력에서는 보습력이 탁월하다.
실시예 3: 헤어용 컨디셔너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 I, II 및 III을 이용하여 본발명에 따른 헤어용 컨디셔너 제품(본제품)을 표 3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표 4: 본발명에 따른 산약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용 컨디셔너의 조성
사용 원료 본제품 1 본제품2 본제품3 본제품4 본제품5 본제품6 본제품7 본제품8
스테아릴 트리암모늄클로라이드(50%) 3.0 3.0 3.0 3.0 3.0 3.0 3.0 3.0
Lp-70™(유동파라핀) 1.0 1.0 1.0 1.0 1.0 1.0 1.0 1.0
Myrj52s™(POE(40)-stearate) 0.3 0.3 0.3 0.3 0.3 0.3 0.3 0.3
Arlacel60™(sorbitan stearate) 0.5 0.5 0.5 0.5 0.5 0.5 0.5 0.5
실리콘 오일 3.0 3.0 3.0 3.0 3.0 3.0 3.0 3.0
세토스테릴 알코올 2.0 2.0 2.0 2.0 2.0 2.0 2.0 2.0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0.3 0.3 0.3 0.3 0.3 0.3 0.3 0.3
산약 추출물 Ⅰ 3.0 0.1 - - - - - -
산약 추출물 Ⅱ - - 10.0 6.0 0.3 - - -
산약 추출물 Ⅲ - - - - - 20.0 6.0 0.3
EDTA-2Na 0.1 0.1 0.1 0.1 0.1 0.1 0.1 0.1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연산 pH 4.0~6량 pH 4.0~6량 pH 4.0~6량 pH 4.0~6량 pH 4.0~6량 pH 4.0~6량 pH 4.0~6량 pH 4.0~6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식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순수 100 까지 100 까지 100 까지 100 까지 100 까지 100 까지 100 까지 100 까지
실시예 4: 컨디셔너 제품의 성능 실험
(1) 비교예인 컨디셔너 제품 제조
비교실험을 위해 종래의 보습제인 글리세린 17.5% 용액, 프로필렌글리콜 17.5% 용액, 히야루론산 17.5% 용액 및 요소 17.5% 용액을 함유한 컨디셔너 제품을 아래 표 5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표 5: 비교 예인 컨디셔너 제품의 조성
사용 원료 비교 제품1 비교 제품2 비교 제품3 비교제품4
스테아릴 트리암모늄 클로라이드(50%) 3.0 3.0 3.0 3.0
Lp-70™(유동파라핀) 1.0 1.0 1.0 1.0
Myrj52s™(POE(40)-stearate) 0.3 0.3 0.3 0.3
Arlacel60™(sorbitan stearate) 0.5 0.5 0.5 0.5
실리콘 오일 3.0 3.0 3.0 3.0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2.0 2.0 2.0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0.3 0.3 0.3 0.3
글리세린(17.5%) 6.0 - - -
프로필렌 글리콜(17.5%) - 6.0 - -
히알루론산(17.5%) - - 6.0 -
우레아(17.5%) - - - 6.0
EDTA-2Na 0.1 0.1 0.1 0.1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연산 pH 4.0~6.00량 pH 4.0~6.00량 pH 4.0~6.00량 pH 4.0~6.00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식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2) 제품 성능 실험
상기 본제품 1 내지 8 및 비교제품 1 내지 3에 대해 성능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 모발 수분
길이10cm , 무게 1g의 헤어트레스를 만들고 위의 각 시료 용액 0.3g을 떨어뜨려 동일한 힘으로 5-6회 문지른 후, 수돗물에 동일한 힘으로 3회 헹구어준다. 이후 50℃의 온도에서 2시간 건조한다. 이후 25℃의 온도, 70% 상대습도에서 24시간 놓아둔다
이후 헤어트레스를 잘라 중간부분 2cm, 0.15g을 취하여 Karl fischer 수분적정기(784 KFP TITRINO + 768 KF OVEN : Metrohm사)를 이용하여 수분량을 5회 측정한다. 측정 조건은 질소 가스 유동 속도는 90 ml/분, 추출 시간은 2,000초, 온도는 150℃이다.
2. 모발 표면마찰계수 측정
20대 여성의 모발 20가닥을 글라스 위에 1mm간격으로 붙여 샘플을 제조한다. 그 샘플을 KSE-SE 마찰 테스트기로 마찰계수를 10회 측정한다. 이후 샘플을 시료에 1분간 담근 후 건져내어 50℃ 온도에서 2시간 건조한다. 25℃,70% 상대습도에서 샘플의 마찰계수를 측정한다.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감도: 고감도(20g/V),
이동 속도: 1.0mm/s,
감지 중량: 25g
이동 거리: 20mm
마찰 센서: 피아노 와이어
3. 부드러움에 대한 관능 검사
20명의 품평자들이 컨디셔너를 사용하고 건조후 모발의 부드러움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여 비교한다.
평가내용 평가수치
++ 매우 부드럽다 5
+ 비교적 부드럽다 4
O 보통이다 3
- 다소 거칠다 2
-- 매우 거칠다 1
평균치 = Σ(평가수치X해당평가수치의인원수)/20
4. 촉촉함에 대한 관능 검사
20명의 품평자들이 컨디셔너를 사용하고 난 후 이때 모발의 촉촉함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여 비교한다.
평가내용 평가수치
++ 매우 촉촉하다. 5
+ 비교적 촉촉하다 4
O 보통이다 3
- 다소 건조하다 2
-- 매우 건조하다 1
평균치 = Σ(평가수치X해당평가수치의인원수)/20
(3) 제품 성능 실험 결과
상기 실험의 결과는 아래 표 5와 같다.
표 5: 제품 성능 실험 결과
비교제품 1 비교제품 2 비교제품 3 비교제품 4 본제품1 본제품2 본제품3 본제품4 본제품5 본제품6 본제품 7 본제품 8
모발수분(%) 10.20 10.18 10.35 10.24 10.33 10.28 10.37 10.34 10.36 10.38 10.34 10.31
모발마찰계수 0.063 0.064 0.053 0.058 0.051 0.055 0.052 0.056 0.054 0.052 0.057 0.057
건조후 부드러움 3.3 3.3 3.9 3.5 4.2 4.0 4.2 3.9 4.2 4.1 3.9 3.9
건조후 촉촉함 3.4 3.2 4.0 3.8 4.2 3.9 4.2 4.1 4.3 4.2 3.9 3.8
위의 4가지 제품시험 결과로 보아서 산약 추출물의 보습력은 히야루론산에 손색 없는 강한 보습력과 지속력을 가지며 계속 사용 시 모발 보호와 개선 작용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에 따라서 산약 추출물을 0.1 ~ 20.0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은 모발 보습 효과 및 모발에 영양과 부드러움을부여한다.

Claims (5)

  1. 산약을 클로로포름과 에탄올로 추출한 후, 이 추출액을 n-헥산으로 추출한 추출물 0.1∼20중량%, C10-C22인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ATAC), 알킬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DDAC), 베헤닐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BTAC) 및 트리알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TCMAC)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 계면활성제 0.1∼5.0중량%,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0.15∼1.5중량%, 및 디메치콘 또는 아미도메치콘 또는 디메치콘코폴리올 또는 사이클로메치콘 0.2~3중량%을 포함하는 헤어 컨디셔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1-0075444A 2001-11-30 2001-11-30 산약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 KR10044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444A KR100447424B1 (ko) 2001-11-30 2001-11-30 산약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444A KR100447424B1 (ko) 2001-11-30 2001-11-30 산약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622A KR20030044622A (ko) 2003-06-09
KR100447424B1 true KR100447424B1 (ko) 2004-09-07

Family

ID=2957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444A KR100447424B1 (ko) 2001-11-30 2001-11-30 산약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4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412A (ja) * 1982-11-29 1984-06-12 Sunstar Inc 生薬配合毛髪保護用化粧料組成物
EP0208533A2 (en) * 1985-07-10 1987-0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US5213792A (en) * 1988-11-08 1993-05-25 Wella Aktiengesellschaft Storage-stable pearlescent hair-conditioning compositions
KR970005271A (ko) * 1995-07-25 1997-02-19 신태율 마과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30194A (ko) * 1999-09-03 2001-04-16 송시훈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412A (ja) * 1982-11-29 1984-06-12 Sunstar Inc 生薬配合毛髪保護用化粧料組成物
EP0208533A2 (en) * 1985-07-10 1987-0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US5213792A (en) * 1988-11-08 1993-05-25 Wella Aktiengesellschaft Storage-stable pearlescent hair-conditioning compositions
KR970005271A (ko) * 1995-07-25 1997-02-19 신태율 마과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30194A (ko) * 1999-09-03 2001-04-16 송시훈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622A (ko) 200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914B2 (ja) 皮膚をひきしめる効果のある化粧組成物
JP2000319157A (ja) 皮膚外用剤
EP3403642B1 (en) Cosmetic
JP2020525492A (ja) イモーテルの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及びオリガヌムの抽出物を含む化粧品組成物
CN110573136B (zh) 用于改善头发保湿力的化妆品组合物
KR101981696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CN108653137B (zh) 一种组合物及其在制备养颜化妆品中的应用
CN110179709A (zh) 一种保湿舒敏复合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451842B (zh) 透气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CN114099393A (zh) 一种具有紧致与抗衰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350554A (zh) 一种具有深层修复作用的护发组合物及其应用
JP3814419B2 (ja) 脂肪分解促進剤および痩身用皮膚化粧料
CN108042476B (zh) 一种含桃花提取物的乳液
KR100447424B1 (ko) 산약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용 컨디셔너 조성물
CN110237002A (zh) 一种含香莲提取物的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CN107375017B (zh) 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172386A (zh) 一种复合型保湿水凝胶
CN109498520A (zh) 去屑组合物、洗发水及其制备方法
CN111135114A (zh) 淡化细纹的眼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992364A (zh) 一种含有月桂酰谷氨酸钠的保湿洗面奶
CN108836904A (zh) 一种祛除皱纹的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743477A (zh) 一种长效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244464B1 (ko) 감잎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상태 개선용 모발 외용제 조성물
JPS6277308A (ja) 化粧料
KR102510285B1 (ko) 속눈썹 손상이 최소화된 속눈썹 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