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158B1 -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제 - Google Patents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158B1
KR100583158B1 KR1020040057009A KR20040057009A KR100583158B1 KR 100583158 B1 KR100583158 B1 KR 100583158B1 KR 1020040057009 A KR1020040057009 A KR 1020040057009A KR 20040057009 A KR20040057009 A KR 20040057009A KR 100583158 B1 KR100583158 B1 KR 100583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hair growth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716A (ko
Inventor
김은선
김종순
Original Assignee
김은선
김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선, 김종순 filed Critical 김은선
Priority to KR1020040057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1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제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황기 추출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거의 없고 발모 촉진의 효과가 우수하여 모든 형태의 탈모증에 뚜렷한 개선 효과를 갖고 있으며 모발의 이상 탈모 현상을 방지하고 유실된 모발의 발모를 촉진한다.
황기, 추출물, 발모촉진,

Description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제{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ASTRAGALUSMEMBRANACEUS FOR HAIR GROWING PROMOTOR}
표 1, 본 발명에 의한 발모촉진제 제조 예
표 2, 본 발명에 의한 발모촉진제 실시 예
도 1, 도 3, 도 5, 도 7, 도 9,
본 발명에 의한 발모촉진제 사용 전 사진
도 2, 도 4, 도 6, 도 8, 도 10,
본 발명에 의한 발모촉진제 사용 후 사진
본 발명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개∼15만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모주기를 가지고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반복하며 생성, 성장, 탈락하는데, 그 결과 전체 모발의 약 15%에 해당하는 모발이 휴지기와 퇴행기에 놓여 있어 일일 평균 50∼100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고 재생산된 다. 이러한 모발의 생장주기를 모주기라 하며 모주기는 약 3∼6년을 사이클로 반복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모주기의 성장기(anagen)에 해당하는 기간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짧아져 퇴행기와 휴지기 모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모발이 탈락하는 수가 평균치 보다 많아지는 것을 말하며 원인으로는 유전적 안드로겐 호르몬의 작용설, 국소혈류 장애에 의한 영양장애설, 자율신경계 장애설, 자기면역질환설, 내분비장애설이 있으나 현제까지 탈모에 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며 전술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식생활의 변화, 생활습관의 변화, 사회 환경에 의한 과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비정상적인 탈모를 유발하고 있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청, 장년과 여성 탈모 인구가 늘고 있는 상황이다.
발모 촉진을 위해 지금 가지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발모 촉진용 약물로 미합중국특허 제4,596,812호에 공개되어 있는 업존사(Upjohn Co., Ltd.)의 미녹시딜(Minoxidile)이 있는데 미녹시딜은 항고혈압제로 사용되던 것으로 사용시 부작용으로 인체의 털이 증가하는 것에 착안하여 발모 촉진제화 한 것으로 모낭이 위치한 두피의 혈류를 증가시켜 발모를 촉진하는 것을 기전으로 한다 하지만 미녹시딜을 발모촉진제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그 효과가 반감하고 화학적 혈관 확장 작용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무력증, 피지증가, 등이 보고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 들은 충분한 발모촉진 효과를 갖으며 안전한 천연 발모 촉진제를 위한 연구를 해왔으며 자연계의 천연 식물인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의 혈압강하 작용과 채액성 면역기능 강화 및 인간 에스트로젠 수용체에 대한 결합활성 작용에 대해 유의하여 황기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촉진제에 대해 장기간 임상과 연구를 수행한 결과;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추출물의 안전하고 우수한 발모 촉진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추출물이 발모촉진 효과를 갖는다는 새로운 사실을 확인하고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산지나 고지에서 주로 자생하나 최근에는 각지에서 재배하고 있으며 그의 생약명은 Astragali Radix이며 한방에서는 그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보중익기, 탁독 등의 효능이 있고, 내상노권 및 모든 기쇠허혈증에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관한 주요한 약리효능 연구로는 혈압강하작용, 강심작용, 간장보호작용, 혈당강하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황기의 구성성분 으로는 triterpenoide glocoside 계통과 flavo-noid 계통이 주를 이루고 있고 특히 황기 부탄을 분획물은 그 메탄올 추출물의 여러 성분 중 주로 soyasaponin과 astragalo-sides가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추출물은 황기 뿌리를 건조 한 것으로부터 물 또는 저급 알콜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는데 더욱 효과적으로는 황기(Astragali Radix)에 중량 비 3∼20배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프로판올,)을 가하여 가열 교반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서 고형의 추출물을 분획 한다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촉진제 조성물은 발모를 목적으로 사용 시에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방법에 따라 통상적인 제제(액제, 현탁제, 캅셀제, 정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주사시에 주사용 증류수로 재 조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즉시 사용형 건조분말 등의 형태인 주사용 제제, 연고제, 크림제, 로숀제, 액제, 스프레이제등의 국소 적용제 등의 다양한 제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담체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결합제, 현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이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등이 있고, 국소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추진제 등이 있다. 이렇게 제조된 약제학적 제제는 경구적으로 투여하거나, 비경구적으로, 예를들면 정맥내, 피하, 복강내 투여 또는 국소적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촉진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연고제, 로숀제, 스프레이제 등의 국소 적용 제제로 제형화시켜 탈모 부위에 직접 적용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발모촉진제 조성물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육모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의 생약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 생약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측백, 상백, 고삼, 감초, 정향, 홍화, 진피, 청호, 녹차, 건가지, 진피, 등이 있다. 이러한 추가의 생약성분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에 이들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이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모촉진 조성물은 항균 모발 조성물 및 피부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에는 통상적인 배합성분인 히노키티올, 고추틴크, 초산토코페롤, 니코산아미드 니코틴산벤지, 피록톤올아민, 살리실산, 엘-맨톨 등이 포함되며,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액상의 발모촉진제 타입 등 통상 두피에 적용시킬 수 있는 모든 제형이 가능하다. 상기 피부조성물에는 알파 하이드록시산(a-Hydroxy acid), 베타하이드록시산(B-Hydroxy acid),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등이 포함되며, 화장료 또는 세정제로 샴푸, 비누, 크림 등의 제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적용 량은 탈모증의 종류, 탈모증의 상태에 따라 절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보통 성인에 대하여 1일에 체중 kg당 2 내지 20mg, 바람직하게는 6내지 10mg의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예 및 실험 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 예 1>
황기 추출물
시중에서 구입한 황기 1kg을 세척, 음건한 후 80% MeOH 5L에 넣어 암실에 48시간 방치한 후에 여과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여액을 모아 감압농축기(Buchi Co. R-114, Germany)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 건조기를 이용하여 추출물 164.5g을 얻었다.
통상적인 액상 발모촉진제 제조 방법에 따라 하기 표 1과 같은 비율의 황기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촉진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4510758813-pat00001
<실시 예 1>
발모 실험을 위한 동물로는 생후 45내지 53일된 체중 23내지 28g의 마우스(C57BL/6)를 사용하였으며, 시험물질로는 각 시험군 (10마리)마다 제조 예1에서 3과 비교 예1에서 2를 적용하였다.
생후 45내지 53일된 체중23 내지 28g의 마우스(C57BL/6)의 등 부위의 털 클립퍼(Clipper, Oster #40) 및 전기면도기를 이용하여 제모 처리하였다. 제모처리 한 다음날부터 각 군의 마우스 제모 처리된 피부에 상기한 각각의 시험물질을 1일에 2㎖의 양으로 16일 동안 도포하고, 최초에 처리한 날부터 17일동안 시간경과에 따른 모의 성장정도를 모발성장 스코어(hair growth score)를 기록하여 검색하였다. 모발성장 스코어는 모의 복원정오 및 복원면적에 따라 완전 탈모상태를 0으로 하고, 모낭이 완전히 복원된 상태를 3으로 하며, 그 사이를 모낭의 길이 및 면적을 측정하여 0.5단위로 세분하여 판정하였다.
Figure 112004510758813-pat00002
상기 표 1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기 추출물은 기존의 발모제인 미녹시딜에 비해 더 우수한 발모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황기 추출물은 우수한 발모촉진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Claims (4)

  1. 유효성분으로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촉진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조된 발모촉진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화장료 또는 세정제로 샴푸, 비누, 크림 등의 제형으로 된 발모촉진제.
KR1020040057009A 2004-07-21 2004-07-21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제 KR100583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009A KR100583158B1 (ko) 2004-07-21 2004-07-21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009A KR100583158B1 (ko) 2004-07-21 2004-07-21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716A KR20040081716A (ko) 2004-09-22
KR100583158B1 true KR100583158B1 (ko) 2006-05-23

Family

ID=3736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009A KR100583158B1 (ko) 2004-07-21 2004-07-21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409B1 (ko) * 2018-01-18 2020-07-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3934A (ko) * 1989-03-16 1990-10-22 권영구 탈모방지 및 발모제 조성물
KR100382602B1 (ko) 1999-09-03 2003-05-01 송시훈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3934A (ko) * 1989-03-16 1990-10-22 권영구 탈모방지 및 발모제 조성물
KR100382602B1 (ko) 1999-09-03 2003-05-01 송시훈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716A (ko)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0698B1 (fr)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ntenant au moins une saponine de type ginsenoside, et ses applications, notamment pour le soin des cheveux
KR100839704B1 (ko) 발모 및 육모 조성물
JP3108586B2 (ja) 育毛剤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122141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739229B1 (ko) 탈모예방 및 모발 성장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653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5249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698922B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4027949B2 (ja) 養毛剤
KR101830864B1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JPH05255044A (ja) 養毛料
JP2010184916A (ja) 育毛剤
KR100930688B1 (ko) 천연한방 모근 강화 및 두피 청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12128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100583158B1 (ko)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제
JP3908245B2 (ja) 養毛剤
KR20190103983A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H05310537A (ja) 養毛料
KR20050102346A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JP3536184B2 (ja)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JPH03209309A (ja) 脱毛防止剤
JP2001139436A (ja) 養毛・育毛剤
KR0165937B1 (ko) 희첨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KR102052517B1 (ko)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