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346A -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346A
KR20050102346A KR1020040027661A KR20040027661A KR20050102346A KR 20050102346 A KR20050102346 A KR 20050102346A KR 1020040027661 A KR1020040027661 A KR 1020040027661A KR 20040027661 A KR20040027661 A KR 20040027661A KR 20050102346 A KR20050102346 A KR 20050102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hair growth
composition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4307B1 (ko
Inventor
황성록
이인호
윤인병
박수진
이민호
노석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02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30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for dielectric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12Di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삼(沙蔘, Adenophora triphylla)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효성분으로서 모발의 성장 주기 가운데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이행하는 주기를 단축시켜 새로운 모발이 빨리 자라게 하는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효과와 함께 모낭 세포 활성 작용이 우수한 사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작용이 거의 없고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방지 효과를 나타내며,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작용이 있는 성분을 동시에 함유하였을 경우에도 매우 안전하며 더욱 우수한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HAIR GROWTH A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사삼(沙蔘, Adenophora triphylla)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모발의 성장 주기 가운데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이행하는 주기를 단축시켜 새로운 모발이 빨리 자라게 하는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효과와 함께 모낭 세포 활성 작용이 우수한 사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제에 관련된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15만 개 정도로,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정상적으로 하루 평균 50∼100 개의 모발이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 분비 과잉설, 혈액순환 불량설, 과산화물이나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이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탈모에 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며, 매우 복잡한 작용이 얽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다양하고 복잡한 탈모 원인에 대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탈모 방지 제품에는 유효성분으로 혈행 촉진, 모근 기능 강화, 두피 보습 효과, 비듬 방지 효과, 항산화 효과, 모발성장기 연장 효과, 남성호르몬 작용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하는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 효과 면에서 뚜렷한 효과를 지닌 것은 아직까지 없는 상태이고 부작용의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연구에 이용되는 실험법으로는 실험동물을 이용한 in vivo 평가와 모낭세포 및 조직 배양을 이용한 in vitro 평가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 모낭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 세포인 모유두세포 (dermal papilla cell)와 외모근초세포(outer root sheath cell)의 배양법이 개발되면서 모낭에서의 분화기전에 대한 연구가 활기를 띠게 되었으며, 이후 모낭조직 배양법이 개발되면서 발모, 양모 및 탈모 방지 등의 연구에 유용한 평가모델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최근에는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모발 성장과 관련된 각종 성장인자나 유전자의 동정, 작용기전 연구 및 약물탐색 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제로서 시판되는 제품이 모발에 미치는 작용으로는 성장기 유도 효과, 모발 성장기 연장 효과, 5α-리덕타제 저해 효과, 혈행 촉진 효과, 살균 효과, 비듬 방지 효과, 보습 효과, 항산화 효과 등이 있으나, 기존의 제제에서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
남성형 탈모증은 남성호르몬 의존적이어서 남성호르몬의 양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남성호르몬 활성 억제를 통해 탈모를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남성호르몬에 대한 탈모의 기전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남성호르몬 중의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5α-리덕타제라는 효소에 의해 활성형 남성호르몬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되고, 이처럼 활성화된 호르몬이 일정한 수용체와 결합하여 탈모를 일으키는 단백질을 유도하게 되어 탈모를 진행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기전에 의해 피지를 과잉 생성하기도 하여 여드름이나 지루성 피부염 등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그 결과로서 두피에서는 염증을 동반한 탈모가 나타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남성형 탈모증은 5α-리덕타제의 작용에 의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잉 생성 때문으로, 5α-리덕타제의 활성을 억제한다면 남성형 탈모증을 근본적이고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남성의 전립선 치료제로 사용되어 오던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라는 성분을 이용한 남성형 탈모증 치료제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성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일도 있을 뿐 아니라, 탈모에 대해서 이들의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작용 단독으로는 그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도 어렵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여러 메커니즘에 대한 효과 중에서 모발의 성장기 유도 촉진 작용을 확인할 수 있는 동물실험을 통해 수십 종의 식물 추출물을 스크리닝한 결과, 사삼 추출물에서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효과가 탁월함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사삼 추출물의 모낭세포 활성 작용을 평가한 실험에서도 매우 우수한 결과를 얻어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탈모증에 대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의 효과를 갖는 동시에 인체에 대한 안전성도 확보된 식물 추출물 수십 종을 선택하여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사삼 추출물이 새로운 모발이 나고 자라서 다시 빠지게 되는 모발성장 주기 가운데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이행하는 단계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더우기, 사삼 추출물은 모낭세포에 대한 활성 작용을 평가하는 in vitro 평가에서도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사삼 추출물을 모발 제품에 이용한 예로서는 일본특허공개 제1991-176414호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사삼의 유사식물인 당잔대(Adenophora stricta)를 이용한 항비듬 작용에 의한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사삼을 모발 성장 촉진이나 탈모 방지와 관련하여 이용한다고 기재되어 있는 문헌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거의 없고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삼(沙蔘, Adenophora triphyll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삼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저급 알코올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 용매일 수 있고, 사삼 추출물의 함량은 고형분으로서 조성물 전체 중량의 0.0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종 이상의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의 함량은 0.00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제, 크림제, 페이스트, 에어로솔제 등의 두피에 적용시킬 수 있는 경피 국소 도포형 제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사삼 추출물이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이라는 명확한 작용기전을 가질 뿐 아니라, 모낭세포에 대한 활성 작용이 있어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사삼 추출물과 함께 유효성분으로서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을 더욱 포함할 경우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더욱 우수하게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이 이루어진 배경을 살펴보면, 탈모증에 대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위해서는 다양한 탈모 원인 또는 작용기전에 대하여 다각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접근하여야 하며, 각각의 작용기전에 대한 최적의 조성비가 요구됨을 전제로 하여 연구 검토하였다. 우선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된 성분들 중에서 남성호르몬 작용 조절 성분, 혈액순환 촉진 성분, 세포 활성 작용 성분, 항염증 성분 등 수백 가지 조합과 이들 조합의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작용을 스크리닝하였으며, 그 결과, 사삼 추출물이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작용과 모낭세포 활성 작용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사삼 추출물과 함께 남성호르몬 작용 조절을 위한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을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발 성장과 탈모 방지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는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작용, 모낭세포 활성 작용,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작용 등의 관점에서, 여러가지 탈모 원인에 대한 복합적인 작용을 통하여 탈모 방지, 모발 성장 촉진 작용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삼은 잔대(Adenophora triphylla) 또는 기타 동속식물(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를 사용하는 생약으로, 생약명은 아데노포라에 라딕스(Adenophorae Radix)이다. 사삼의 성상은 방추형∼긴원추형으로 구부러졌고 드물게는 가지뿌리가 있다. 위쪽에 윤상의 가로주름이 있는 뿌리줄기가 있고 길이 5∼20 ㎝, 뿌리 위쪽의 지름은 1∼3 ㎝이다. 뿌리의 바깥면은 엷은 황백색∼엷은 회갈색을 띠며, 위쪽은 뚜렷한 윤상의 가로주름이 있고 아랫부분은 세로 및 가로주름이 있다. 뿌리는 가볍고 꺾어지기 쉬우며 꺾은 면은 유백색을 띠고 빈틈이 많다. 이 생약은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조금 달고, 씹으면 점액성이 있다. 대표적인 주성분으로는 사포닌(saponin), 이눌린(inulin), 피토데린(phytoderin), 레오이틴 (leoithin), 펜토산(pentosan) 등의 약효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타 동속 생약들의 성분이 들어있다. 약용으로는 강장, 해열, 거담, 해독, 인후염, 임파선염, 종기 치료 등에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사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사삼의 뿌리를 정제하고 세절하여 약 10 배량의 추출 용매에서 5 일간 냉침한 후, 추출 원액을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통해 사삼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얻는다. 이때 추출 용매로는 그 선택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그리고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n-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용매 중에서도,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중에서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사삼 추출물은 고형분으로서 본 발명 조성물 전체 중량의 0.01∼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 중량% 미만에서는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효과가 만족스럽지 않고, 10 중량% 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용량에 비하여 그 작용이 충분하게 나타나지는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삼 추출물과 함께 포함될 수 있는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은 인간의 모낭에서 5α-리덕타제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탈모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외용제의 배합성분으로,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는 한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단독 또는 두 가지 성분 이상을 조합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고삼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정향 추출물, 부평초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강활 추출물, 고본 추출물, 대황 추출물, 도인 추출물, 백강잠 추출물, 백급 추출물, 빈랑자 추출물, 소엽 추출물, 울금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적작약 추출물, 조각자 추출물, 아선약 추출물, 회향 추출물, 원지 추출물, 형개 추출물, 견우자 추출물, 차전자 추출물, 소태나무 추출물 등과 같은 식물 유래 생약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생약은 통상 대한약전 또는 생약규격집 등의 공정서에 수재된 것으로 시중에서 유통되는 일반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것들이다. 이들 생약의 추출물은, 통상의 용매 추출 방법에 의해 얻은 것으로 용매 선택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농축 고형물로서 0.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5.0 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사삼 추출물이나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의 작용을 보강하고 탈모 환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비듬 방지제, 각질 연화제, 청량제, 보습제 등의 보조 성분들을 첨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들 통상의 탈모방지, 모발 성장 촉진제에 배합되는 비듬 방지제, 각질 연화제, 청량제, 보습제 등의 보조 성분으로는 히노키티올, 고추틴크, 니코틴산벤질, 피록톤올아민, 살리실산, 엘-멘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보조 성분은 주성분의 효과에 방해를 주지 않고 제형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사용 농도에 대한 제한은 두지 않으나 인체 안전성이나 제형 안정성을 고려할 때, 히노키티올은 0.001∼0.1 중량%, 고추틴크는 0.001∼10 중량%, 니코틴산벤질은 0.001∼0.1 중량%, 피록톤올아민은 0.001∼1.0 중량%, 살리실산 및 엘-멘톨은 각각 0.01∼1.0 중량% 농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등 두피에 적용시킬 수 있는 모든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통상의 첨가제를 가하여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액상의 양모제 타입 등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이들 제형의 에어졸 타입도 포함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 효과시험예에서,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효과를 평가하는 동물시험 모델로서는 C57BL/6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였는데, C57BL/6 마우스는 체모가 검정색이고, 자발적 탈모(spontaneous alopecia)가 일어나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멜라노사이트(melanocyte)가 모낭에만 한정적으로 존재하고 멜라닌(melanin) 합성이 모발 성장 주기(hair growth cycle)와 잘 일치되어 피부색으로 모발의 성장 주기를 판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 모발 성장기 유도 작용에 대한 연구에 널리 이용되는 것이다.
제조예: 사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사삼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사삼의 뿌리를 세절하여 10호 체를 통과시킨 다음 대한약전품 에탄올을 약 10 배량 가하여 5 일간 실온에서 냉침하였다. 추출된 원액을 와트만 #2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45 ℃에서 추출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건조된 추출물을 얻었다. 수득률은 약 2∼4.5 %였다.
효과 시험예 1: 사삼 추출물의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작용 평가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효과 실험은 모발 성장기 유도 작용 평가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생후 42∼56 일된 마우스(C57BL/6, 수컷)를 사용하였다.
먼저, 마우스 등 부위의 털을 전기면도기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각 마우스의 무게를 재서 몸무게가 골고루 분산이 되도록 12 마리씩 나누었다. 하루 동안 적응 기간을 두고 다음 날부터 제모 부위에 대조약 및 사삼 추출물을 도포하였다. 이때 대조약으로는 40% 에탄올을, 시험약으로는 제조예에서 제조한 사삼 추출물의 농축 고형물을 40% 에탄올로 희석해서 여러 가지 농도로 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 개체당 등 부위에 1 일 1 회, 100 ㎕씩을 28 일간 도포하여 성장기 유도 촉진 작용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화상분석기를 이용하여 털을 제거한 면적에 대하여 신생모가 자란 면적의 비율을 구하고 그 평균값으로 평가하였다. 아래 표 1은 사삼 추출물의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작용 평가 결과로서, 농도에 따른 효과를 보여준다.
사삼 추출물 농도 0.001% 0.01% 0.1% 1% 10% 대조군
면적비(%) 18.8 42.6 59.2 80.4 88.2 11.0
위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삼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매우 우수한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작용을 나타내었다. 0.01% 보다 낮은 농도에서는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이 대조군 보다는 양호하였으나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으며, 10% 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용량에 비하여 그 작용이 충분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효과 시험예 2: 사삼 추출물의 모낭세포 활성 증가 평가
성형외과로부터 두피 수술 후의 사람 두피 조직을 얻어 이로부터 모낭조직을 분리하였다. 즉, 두피 조직을 70% 에탄올에 1 분간 침적하여 멸균시키고 세포배양용 배지인 M199로 3 회 세척하였다. 입체 현미경 하에서 표피와 진피의 경계부를 수술용 메스로 절개하여 표피를 분리시키고, 진피에 박혀 있는 모낭을 핀셋을 이용하여 1 개씩 뽑아 내었다. 분리된 모낭을 10% 우태혈청(FBS, 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되어 있는 M199 배양액으로 옮기고 모유두가 들어있는 모낭의 아래 부분을 메스로 절단하였다. 미세한 핀셋을 이용하여 모유두를 분리하고 이를 20% FBS가 함유된 M199 배양액으로 옮겨 2주간 배양하였다. 모유두 조직으로부터 세포가 자라나기 시작하면서 배양용기에 가득 차면 0.25% 트립신, 0.02% EDTA로 세포를 배양용기에서 분리한 후 계대 배양하여 세포를 계속 배양하였다.
2∼3 계대의 모유두 세포를 10% FBS가 들어 있는 M199 배양액으로 2×104/㎖ 농도로 희석한 후 이를 60 ㎜ 배양용기에 5 ㎖씩 넣어주고 37 ℃ 배양기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다음 날 FBS가 함유된 배양액을 제거하고 FBS가 들어 있지 않은 배양액 및 사삼 추출물이 함유된 배양액으로 교환하여 24 시간 배양한 후, 방사선으로 표지된 타이미딘(Thymidine)을 배양접시당 10 μCi씩 첨가해주고 24 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를 인산 완충용액으로 3 회 씻어주고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으로 1 회 세척하였다. 세포를 0.1% 도데실설폰산나트륨, 0.5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녹인 후 신틸레이션 칵테일(scintillation cocktail)에 섞어주고 방사선 동위원소의 양을 베타-카운터(β-coun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활성도는 대조군에 대하여 방사능 표지된 타이미딘을 세포내로 어느 정도 많이 업테이크(uptake)하였는지로 비교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타이미딘 업테이크(Thymidine uptake) 측정방법을 통해 사삼 추출물의 모낭세포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비교적 낮은 농도(10-4∼10-6 %)에서 매우 우수한 모낭세포 활성 작용을 나타내었다. 다음 표 2는 사삼추출물의 모낭세포 활성도 평가 결과로, 농도에 따른 효과를 보여준다.
사삼 추출물 농도 대조군 0.000001% 0.00001% 0.0001%
활성도(%) 100 110 132 138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사삼 추출물은 직접적으로 모낭 상피에 작용하여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
다음 표 3의 처방에 따라, 사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 그리고 사삼 추출물에 더하여,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으로 알려진 고삼 추출물이나 정향 추출물을 더욱 포함하는 실시예 3 및 4의 조성물, 그리고 사삼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에탄올 40 40 40 40 40 40
사삼 추출물 0.5 1.0 0.5 0.5 - -
고삼 추출물 - - 0.5 - 0.5 -
정향 추출물 - - - 0.5 - 0.5
폴리솔베이트 60(Tween 60) 0.5 0.5 0.5 0.5 0.5 0.5
정제수 100 중량%가 될 때까지 첨가
효과 시험예 3: 동물실험에 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 평가
위 표 3과 같은 조성비로 제조한 각각의 조성물을 가지고, 사삼 추출물의 모발 성장기 유도 작용 평가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모발 성장 촉진 효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조성물에 사용된 추출물은 제조예에 따른 농축 고형물을 사용하였다. 아래 표 4는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작용 평가 결과를 보여준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면적비(%) 52 45 67 78 92 88
위 표 4에서 보듯이,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만을 함유하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도 모발 성장 촉진 작용이 나타났으나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사삼 추출물 단독으로 함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나아가 사삼 추출물과 함께 고삼 추출물 또는 정향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서는 각각의 유효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더욱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작용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삼 추출물의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작용과 함께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작용이 같이 진행될 경우 모발 성장 촉진 작용에 대하여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이상의 실험 결과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삼 추출물과 함께 고삼 추출물 또는 정향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실시예에서는 각각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 작용과 관련 있는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작용,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작용 등 각기 다른 메커니즘을 통하여 매우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어느 한 성분도 다른 유효성분의 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고 그 작용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사삼 추출물과 함께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작용을 갖는 성분을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경우, 여러가지 복잡한 메커니즘으로 얽혀있는 탈모 현상에 대하여 다양한 작용을 제공함으로써, 어느 한 성분에 의한 단독작용을 나타내는 것보다 훨씬 우수한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라, 사삼 추출물 및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작용을 갖는 유효성분과 함께 보조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액상의 양모제로 제조하여 탈모증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사삼 추출물과 함께 고삼 추출물 및 기타 보조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하기와 같은 처방으로 제조하였다.
사삼 추출물 0.5 중량%;
고삼 추출물 0.5 중량%;
히노키티올 0.05 중량%, 고추틴크 1.0 중량%, 니코틴산벤질 0.01 중량%, 피록톤올아민 0.1 중량%, 살리실산 0.1 중량%, 엘-멘톨 0.1 중량%;
에탄올 40.0 중량%, 정제수 57.64 중량%; (총 100 중량%)
효과 시험예 3: 사삼 추출물과 함께 고삼 추출물 및 기타 보조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의 임상 평가
위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조성물에 대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에서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탈모증이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여 시험하였다.
피험자로서 20∼50 세까지의 성인 남녀 중 남성형 탈모증이 있는 사람 또는 일일 평균 탈모수가 100 개 이상인 사람 15 명씩을 대상으로 하여, 탈모 부위에 1 일 2∼3 회 수 방울(약 2 ㎖)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효과 확인의 정도에 따라 최소 1 개월에서 최대 4 개월까지 실시하였다.
효과의 판정은 세발시 일일 평균 탈모량, 육안 판정 소견 및 자각 증상 개선 정도를 다음의 평가 척도에 따라 5 단계로 평가하고(표 5), 종합적으로 전반적인 개선도를 상기 평가 척도의 평균으로 하였다. 최종 판정은 종합적인 전반 개선도 3.0 점 이상을 유효하다고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단계 구분 세발시 탈모량 자각 증상 육안 판정
54321 현저한 감소중등도 감소경도 감소불변악화(증가) 현저한 개선중등도 개선경도 개선불변악화 현저한 개선중등도 개선경도 개선불변악화
구분 세발시 탈모량 자각 증상 육안 판정 종합 개선도
조성예 3.8 4.3 3.9 4.0
위 표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사삼 추출물과 함께 5α-리덕타제 활성억제 성분 및 기타 보조 성분을 함유한 실시예 5의 조성물은, 세발시 탈모량, 자각 증상 및 육안 판정 등에서 경도의 개선 내지 중등도 개선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어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임상시험에서의 사용기간 동안 대상자 전원에게서 어떠한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아 인체에도 안전한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사삼 추출물은 동물실험 모델에서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효과 뿐 아니라 모낭세포에 대한 활성 작용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사삼 추출물과 함께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을 조합하였을 경우에는,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에 비하여 동물을 이용한 실험 및 탈모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들 2 종의 성분을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경우, 여러가지 복잡한 메커니즘으로 얽혀있는 탈모 현상에 대하여 다양한 작용을 제공함으로써 어느 한 성분에 의한 단독작용을 나타내는 것보다 매우 우수한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모발의 성장기 유도 촉진 작용과 모낭세포 활성 작용이 우수한 사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은 부작용이 거의 없고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삼 추출물과 함께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작용이 있는 성분을 동시에 함유하였을 경우에도 매우 안전하며 더욱 우수한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사삼(沙蔘, Adenophora triphyll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삼 추출물의 함량은 고형분으로서 조성물 전체 중량의 0.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삼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저급 알코올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의 함량은 0.0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5α-리덕타제 활성 억제 성분은 고삼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정향 추출물, 부평초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강활 추출물, 고본 추출물, 대황 추출물, 도인 추출물, 백강잠 추출물, 백급 추출물, 빈랑자 추출물, 소엽 추출물, 울금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적작약 추출물, 조각자 추출물, 아선약 추출물, 회향 추출물, 원지 추출물, 형개 추출물, 견우자 추출물, 차전자 추출물 및 소태나무 추출물 중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의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피에 적용하는 경피 국소 도포형 제제.
KR1020040027661A 2004-04-22 2004-04-22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1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661A KR101114307B1 (ko) 2004-04-22 2004-04-22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661A KR101114307B1 (ko) 2004-04-22 2004-04-22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346A true KR20050102346A (ko) 2005-10-26
KR101114307B1 KR101114307B1 (ko) 2012-02-14

Family

ID=3728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661A KR101114307B1 (ko) 2004-04-22 2004-04-22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3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779B1 (ko) * 2009-04-23 2012-05-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WO2014077621A1 (ko) * 2012-11-15 2014-05-22 주식회사 알엔에스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WO2016137284A1 (ko) * 2015-02-27 2016-09-01 (주)내츄럴엔도텍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3164B2 (en) 2017-06-30 2020-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odorant compositions
EP3644951A1 (en) 2017-06-30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air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2-pyridinol-n-oxide material and an iron chelator
US10624828B2 (en) 2017-06-30 2020-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2-pyridinol N-oxide material and an iron chelator
US11191705B2 (en) * 2018-09-10 2021-12-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WO2021007587A1 (en) 2019-07-05 2021-0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leaning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534A (ko) * 1998-03-21 1999-10-15 주원중 발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30036A (ko) * 2004-03-20 2004-04-08 주식회사 아이씨티랩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제 및 발모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779B1 (ko) * 2009-04-23 2012-05-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WO2014077621A1 (ko) * 2012-11-15 2014-05-22 주식회사 알엔에스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WO2016137284A1 (ko) * 2015-02-27 2016-09-01 (주)내츄럴엔도텍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307B1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704B1 (ko) 발모 및 육모 조성물
US5674497A (en) Hair growth promoter comprising extract of mulberry root bark and persimmon and/or paulownia, or extract of persimmon and paulownia
KR100846572B1 (ko) 도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약학조성물
KR20060095062A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JP3806900B2 (ja) 育毛剤
KR20100116386A (ko) 발모 및 육모 조성물
KR101114307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66797B1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20180100288A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US9161900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ir loss and enhanced hair growth
KR20120119226A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TW201517929A (zh) 使用黑莓萃取物用於增進髮質之方法及組成物
KR100858224B1 (ko) 도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촉진 효과를 갖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251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의 지질 생성 억제 및 피지 분비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2B1 (ko)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H1160450A (ja) 養毛剤
KR100992414B1 (ko) 무화과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JP5059598B2 (ja) 毛髪成長促進組成物
KR20140131243A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060008662A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JP2002284648A (ja) 育毛剤組成物
CN109952111B (zh) 包括假俭草提取物或其分离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脱发的药物组合物
KR100750473B1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20200114189A (ko)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대자호를 이용한 천연샴푸 및 그 제조방법
CN114948932B (zh) 包含桑根酮的组合物在制备通过作用于毛囊组织防治脱发的产品中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