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937B1 - 희첨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희첨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937B1
KR0165937B1 KR1019960014517A KR19960014517A KR0165937B1 KR 0165937 B1 KR0165937 B1 KR 0165937B1 KR 1019960014517 A KR1019960014517 A KR 1019960014517A KR 19960014517 A KR19960014517 A KR 19960014517A KR 0165937 B1 KR0165937 B1 KR 0165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re
hair
hair growth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565A (ko
Inventor
김박광
김경순
장성기
강경환
신준수
Original Assignee
김박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박광 filed Critical 김박광
Priority to KR101996001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937B1/ko
Publication of KR970073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희첨의 알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희첨의 알콜 추출물은 부작용이 거의 없이 우수한 육모효과를 나타내므로 탈모증, 특히, 남성형 탈모증의 육모촉진 및 탈모방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희첨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본 발명은 희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규한 육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희첨의 알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의 원인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지금까지 밝혀진 내용에 의하면 국소혈류장해에 의한 영양장해서, 세균감염설, 자기면역질환설, 내분비장해설, 자울신경계장해설 등으로 나뉘고 있느나 무엇보다도 유전적인 요인이 가장 큰 것으로 생각되며, 통상 여러 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탈모가 나타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탈모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비교적 소상히 연구되어 있는 반면, 그 치료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만족할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데 그 가장 큰 이유는 탈모의 원인이 단순하지 않기 때문이다.
두발의 탈모방지 및 증모를 위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증모제의 도포, 모근이 있는 피부에 대한 물리적자극 등의 방법이 있다. 현재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증모제로서 각종 제제, 예를 들면부신피질호르몬, 여성호르몬, 비타민, 아미노산, 생약 추출물, 여러 가지 살균제, 각질용해제, 피부기능항진제 및 멘톨과 같은 말초신경 자극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성호르몬 제제는 장기사용시에 각종 암을 유발할 우려가 있으며, 생약추출물로는 머위 또는 머위민들레의 추출물을 함유한것(일본국 특허 공고(소) 58-11923 호), 다목나무, 시호, 물거머리 등의 추출물을 함유한것(일본국 특허 공고 (소) 58-40923)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이들은 원료생약의 입수가 상당히 곤란하고 그 밖의 상기 다른 방법들도 탈모증을 예방치료 또는 완화하는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한편, 1980년데애 들어와 항고혈압제로 널리 사용되던 미녹시딜에 발모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그 효과는 종전의 육모제가 내분비계와 관련되어 작용을 나타내는 것과는 달리 피부의 혈류를 증가시키는데 원인이 있는 것으롤 추측되고 있다.[참조: Weiss, V. C., et al., J. Am. Acad. Dermatol 5, 224-2261981)]. 그러나, 미녹시딜을 육모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녹시딜 항고혈압작용, 즉 혈관확장효과에 의한 허탈감, 저혈압, 빈맥 등이 유발되는 부작용을 일으킬 염려가 있어 장기 사용할 때에는 적합한 약물이 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기존의 육모제들이 갖고 있는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육모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집중적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천연식물인 희첨의 알콜 추출물이 탁월한 육모효과를 가지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희첨의 알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희첨(Siegesbeckiae Herba)은 진득찰(Siegesbeckia orientalis L. var. pubescens Mak., Siegesbeckia orientalis L., Siegesbeckia orientalis L. var. glabrescens Mak.)이라는 국화과(Compositae)식물의 전초를 건조시킨 것으로 다루틴(darutin), 각종 알칼로이드 및 디테르펜계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주로 항염작용, 혈압강하작용 등이 있어서 고혈압, 외상출혈, 종기 사지마비 들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도경본초(圖經本草)나 진남본초(진南本草)등에는 희첨이 모발의 성장을 돕거나 모발을 검게하며, 눈썹의 탈모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지금까지 희첨은 일반적으로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기 위하여 민간에서 전초를 그대로 물로 달여 먹거나, 압착하여 즙을 내거나 건조괸 생약을 그대로 분말화하여 외용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단지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는 실제로 모발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더구나, 생약의 즙이나 물추출물을 탈모부위에 그대로 외용하는 경우에는 두피에 침투가 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 아니라, 때로는 발적이나 진균증 등을 야기 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희첨으로부터 육모효과를 가장 잘 나타내는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희첨을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그 추출물의 육모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희첨의 알콜 추출물이 탁월한 육모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부작용 및 독성이 거의 없어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희첨의 알콜 추출물은 희첨을 알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함께 가열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고체상태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희첨의 추출에 사용되는 알콜의 양은 알콜의 종류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건조된 희첨 1kg당 5 내지 10ℓ, 바람직하게는 6내지 7ℓ의 비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 제조시에 가열추출과정은 환류 냉각장치를 사용하여 5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6내지 7시간에 걸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추출과정은 1회 또는 수회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내지 3회 반복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되는 희첨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기전에 의해 육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1. 모낭 (follicle) 주위의 말초혈관에 작용하여 국소적 혈류중가를 유발시켜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2. 두피조직에 대한 국소적인 남성홀몬 어거제작용으로 모낭의 생리학적 상태를 정상화시킨다.
3. 직접적으로 모낭상피에 작용하여 모발의 성장을 유발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희첨의 알콜 추출물은 부작용 이나 독성이 거의 없이 탁원한 육모효과를 나타내므로 , 탈모증, 특히 남성형 탈모증 이 있는 인간 또는 동물에게서 육모를 촉진시키거나 탈모를 방지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띠르는 희첨의 알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육모촉진 및 탈모방지를 목적으로 사용할 때에 통상정인 약제학적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제,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트로치제, 액제, 현탁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주사요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주사시에 주사용 증류수도 제조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즉시 사용형 주사용 건조분말 등의 형태인 주사용 제제, 연고제, 크림제, 액제 등의 국소적용형 제제 등의 다양한 제제로 제형화 시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담체는 약제학적 분야세서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들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결합체, 현탁화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색소, 향료 등이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안정화제등이 있고 국소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이 있다. 이렇게 제조된 약제학적 제제는 경구적으로 투여하거나,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내, 피하, 복강내 등의 경로로 주사 하여 투여하거나, 또는 국소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연고제, 로숀제, 스프레이제 등의 국소적용형 제제로 제형화시켜 탈모부위에 직적 적용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희첨의 알콜 추출물의 육모효과를 더욱 증진시킬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의 생약성분을 포함시킬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 생약성분으로는 예를들어 상기생, 대두황권, 향부, 하수오, 측백엽, 하숙, 담채, 숙지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생약성분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에 이들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 이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적용량은 탈모증의 종류 및 중증도, 대상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 에 체중 kg당 희첨의 알콜 추출물(건조물로서)을 2내지 40mg, 바람직하게는 4내지 20mg의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어떤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 희첨의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희첨 1.9kg을 음건시킨 후에 환류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메탄올 10ℓ씩으로 6시간씩 3회 반복해서 가열추출하고, 추출물을 합하여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목적하는 희첨의 메탄올 추출물 70g(건조물로서)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 희첨 추출물의 육모활성검색]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희첨의 메탄올 추출물을 2% 니콜(Nikkol) HCO 60, 2% GMO(글리세릴모노올리에이트) 및 트윈 80 적당량을 넣은 다음 30% 에탄올을 가해 5% 시험액을 조제하여 다음과 같은 육모시험방법에 따라 희첨 추출물의 육모활성을 검색하였다.
육모시험(Implant method)을 위한 동물로는 생후 45내지 53일된 체중 23내지 28g의 마우스(C57BL/6)를 사용하였으며, 시험물질로는 제1시험군 (10마리)에는 실시예1에서 제조된 희첨의 메탄올 추출물로 부터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 한 5% 시험액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10마리)에는 2% 미녹시딜 에탄올 용액을 적용하였으며, 비처리군(10마리)에는 부형제인 30% 에탄올만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범은 다음과 같다.
생후 45내지 53일된 체중23 내지 28g의 마우스(C57BL/6)의 등부위의 털 클립퍼(Clipper, Oster #40) 및 전기면도기를 이용하여 제모처리하였다. 제모처리한 다음날부터 각군의 마우스 제모처리된 피부에 상기한 각각의 시험물질을 1일에 2㎖의 양으로 16일 동안 도포하고, 최초에 처리한 날부터 17일동안 시간경과에 따른 모의 성장정도를 모발성장 스코어(hair growth score)를 기록하여 검색하였다. 모발성장 스코어는 모의 복원정오 및 복원면적에 따라 완전 탈모상태를 0으로 하고, 모낭이 완정히 복원된 상태를 3으로 하며, 그 사이를 모낭의 길이 및 면적을 측정하여 0.5단위로 세분하여 판정하였다.
상기 표 1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는 희첨의 메탄올 추출믈은 기존의 육모제인 미녹시딜에비해 더 우수한 육모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희첨의 알콜 추출물은 우수한 육모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실험예 2 : 급성독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르는 희첨의 알콜 추출물의 급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첨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1당 생후 5주된 수컷 마우스(평균체증30g) 5마리씩을 사용하였다. 시험물질로는 실시예1에서 수득한 희첨의 메탄올 추출물을 마우스의 체중 kg 당 1000mg씩의 용량으로 생리식염수 1㎖에 현탁시켜 마우스 경구투여하고,투여 7일후에 각군의 생존동물의 수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에는 따로 생리식염부 1㎖만을 경구투여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희첨의 메탄올 추출물은 시험 최대용량인 100mg/kg/일의 투여량에서 실험동물에 대해 어떠한 독성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희첨 추출물은 급성독성 이 매우 낮으며, 사람 또는 동물의 피부에 큰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 피부자극시험]
본 발명에 따르는 희첨의 알콜 추출물의 피부자극독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첨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1당 생후 5주된 수컷 마우스(평균체증30g) 20마리씩을 사용하고, 시험물질로서는 시험군에는 실시예1에서 수득한 희첨의 메탄올 추출물을 마우스의 체중 kg 당 1000mg의 양으로 취하여 2% 니콜 HCO 60, 2% GMO(글리세릴모노올리에이트) 및 트윈 80 적당량을 넣은 다음 30% 에탄올 5% 시험액을 조제하여 30일간 마우스의 피부에 도포하고 대조군에는 30% 에탄올만을 동일한 방식으로 도포하여 시험동물의 피부의 이상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결과는 다음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 본 발명이 따르는 희첨의 메탄올 추출물은 시험최대용량인 1000mg/kg 도포군에 있어서 30일간 관찰한 결과, 단순히 우발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발적현상이 단지 한 마리의 실험동물에서 관찰되어씨잠 시험동물의 피부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자극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피부자극성이 매우 낮으며 사람 또는 동물의 피부에 거의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물 예]
이하에서 활성물질로 기재된 것은 실시예1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르는 희첨의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한 희첨의 알콜 추출물중의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의 조성물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3% 이하의 범위내의 적정량으로 상기생, 대두황권, 향부 하수오, 측백엽, 하숙, 담채, 숙지황 등의 보조생약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조성 예 1 : 연고제(1% 및 3% 연고제)]
상기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통상의 연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연고제를 1일 1회, 1회에 0.5 내지 1g씩을 3 내지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환부에 도포한다. 1일 총량이 2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환부에 도포한 후에는 부드럽게 맛사지해주어 흡수를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예 2 : 로숀제]
상기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통상의 로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로숀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로숀제를 1일 2회, 1회에 0.5 내지 1㎖씩을 3 내지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환부에 도포한다. 1일 총량이 2㎖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조성예 3 : 스프레이제
상기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통상의 스프레이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스프레이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스프레이제를 1회(약 0.12㎖ 분사)에 4 내지 8회 분무하고, 용기내의 잔량이 적어 약액의 분사가 잘 안될때는 붓으로 탈모부위에 1회에 21 내지 42회 바른다. 도포한 후에는 부드럽게 맛사지해주어 흡수를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7)

  1. 유효성분으로 희첨의 알콜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희첨의 알콜 추출물이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에 의한 추출물인 육모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희첨의 알콜 추출물이 희첨의 메탄올 추출물인 육모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생, 대두황권, 향부, 하수오, 측백엽, 하숙, 담채 및 숙지황중에서 선택된 보조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조괸 육모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국소적용형 제제로 제조된 육모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국소적용형 제제가 연고제, 로숀제 또는 스프레이제인 육모제 조성물.
KR1019960014517A 1996-05-03 1996-05-03 희첨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KR016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517A KR0165937B1 (ko) 1996-05-03 1996-05-03 희첨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517A KR0165937B1 (ko) 1996-05-03 1996-05-03 희첨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565A KR970073565A (ko) 1997-12-10
KR0165937B1 true KR0165937B1 (ko) 1999-01-15

Family

ID=1945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517A KR0165937B1 (ko) 1996-05-03 1996-05-03 희첨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9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168B1 (ko) * 2009-08-24 2012-03-20 주식회사 래디안 포접된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134101A (ko)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키레놀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168B1 (ko) * 2009-08-24 2012-03-20 주식회사 래디안 포접된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134101A (ko)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키레놀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565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3160A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saponin of the ginsenoside type, and its applications, especially for treating the hair
US6361804B2 (en) Cosmetic formulations containing extracts from Phyllanthus emblica and Centella asiatica and/or Bacopa monnieri
US5476651A (en)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especially dermatological composition, intended for promoting the pigmentation of the skin or hair, containing an extract of cyperus, and the process for its manufacture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39229B1 (ko) 탈모예방 및 모발 성장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A2139253C (en) Skin external agent
WO2006114188A1 (en) Hair tonic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JPH05255044A (ja) 養毛料
KR0165937B1 (ko) 희첨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KR102386625B1 (ko)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950006061B1 (ko)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
KR102302131B1 (ko)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조성물
JP3974003B2 (ja) 育毛素材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0173407B1 (ko) 당삼의 알코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KR0165938B1 (ko) 청호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JP2001139436A (ja) 養毛・育毛剤
JPH09241137A (ja) 養毛・育毛剤
JPH11302133A (ja) 頭皮頭髪用化粧料
JP3309914B2 (ja) 養毛料
JPH06135821A (ja) 養毛料
KR102405779B1 (ko) 쐐기풀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7500B1 (ko) 육모용 조성물
JP3542700B2 (ja) 頭部用組成物
CN107569665B (zh) 一种防治脱发的洗发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