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407B1 - 전기진공청소기의바닥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진공청소기의바닥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407B1
KR100382407B1 KR1019940014765A KR19940014765A KR100382407B1 KR 100382407 B1 KR100382407 B1 KR 100382407B1 KR 1019940014765 A KR1019940014765 A KR 1019940014765A KR 19940014765 A KR19940014765 A KR 19940014765A KR 100382407 B1 KR100382407 B1 KR 100382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evice
floor suction
switch
floor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115A (ko
Inventor
안드레스 쉬몰
위겐 토데
Original Assignee
포베르크 운트 컴파니 인터홀딩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9309459U external-priority patent/DE9309459U1/de
Application filed by 포베르크 운트 컴파니 인터홀딩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포베르크 운트 컴파니 인터홀딩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50000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3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4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actuating means therefor
    • A47L9/065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actuating means therefor with mechanical actuation, e.g. using a lever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진공청소기(43) 특히 전기 진공청소기(1)의 부착물 및 부품 그중에서도 동력으로 작동되는 회전하는 브러쉬(11)와 커튼장치(V)로 제한되어 있는 진공실(15)을 가지고있는, 카페트바닥 및 딱딱한 바닥의 청소를 위한 흡입 브러쉬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이때 커튼장치(V)는 바닥흡입장치(43)에 대해 상대적으로 들어올릴 수도 내릴 수도 있다. 종류에 적합한 바닥 흡입장치(43)을 제작기술상 간단하게 개선시켜 카페트뿐 아니라 딱딱한 바닥위에서도 최상의 흡입성능이 주어지도륵 하기위해 커튼장치(V)의 운동이 바닥흡입장치(43)의 최저지상고와 무관하게 실행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전기 진공청소기의 바닥흡입장치
본 발명은 전기 진공청소기의 부속장치 특히 바닥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진공실 내에서 회전 작동되는 브러쉬롤러와 상하이동하는 커튼장치를 이용하여 카페트 바닥이나 딱딱한 바닥의 청소를 하는 바닥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실의 커튼장치는 바닥흡입장치내에서 외부로 나오거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작동된다.
파이프연결부를 통해 전기 진공청소기와 같은 것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바닥흡입장치는 종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바닥흡입장치는 기계속에 장착되어 있는 브러쉬롤러의 회전을 위해 개별적인 전기 모터를 갖고 있다. 직물 바닥면의 청소는 보통 공기흡입구 부분에 장착된 브러쉬롤러를 카페트에 밀착시켜서 오염물질을 빨아들이도록 진행된다. 딱딱한 바닥을 청소할 때에는 바닥과 접촉하는 공기흡입구 가장자리가 바닥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딱딱한 바닥에서는 공기흡입구가 부분적으로 청소해야할 바닥으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이는 예를 들어 공기흡입구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강모보더를 통해 진행된다. 전체 공기흡입입구부를 들어올림으로써 공기흡입구가 확대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흡입구의 크기가 일정이상 커질 경우 효과적인 흡입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패킹을 통한 커튼 형태로 공기흡입구의 크기를 한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바닥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판위에 모든 커튼장치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며, 그 판은 흡입구를 빙 돌아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운반판은 기계장치에 의해 들어가고 나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기흡입구를 청소해야 할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특히 단점으로 입증된 것은 그런 종류의 장치가 공기흡입구에 비교적 큰 보유공간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입구부분의 흡입공간 크기가 확대된다는 점이다. 이는 또한 가구등의 밑부분에 대한 바닥 청소를 불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카페트 뿐 아니라 딱딱한 바닥에서도 최상의 흡입성능이 이루어지도록 한 바닥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카페트에서 뿐만 아니라 딱딱한 바닥에서도 최상의 흡입성능을 보유하는 바닥흡입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는 커튼장치의 운동이 바닥흡입장치의 바닥면과의 간극에 무관하게 실행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실의 크기 및 바닥과 관련한 진공실의 균일한 흡입작동이 전체의 바닥흡입장치나 브러쉬 및 브러쉬롤러등의 높이위치를 변경하지 않고도 상하 이동작동되는 커튼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공지된 기술 수준과는 달리 공기흡입을 위해 바닥흡입장치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다. 오히려 기계의 바닥판과 청소할 바닥간의 간격이 카페트 바닥의 청소에서나 딱딱한 바닥의 청소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간극은 기계에 날개 바퀴와 같은 것을 설치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카페트 바닥의 청소를 위해서 커튼장치는 들어올린 위치에머물러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흡입장치의 공기흡입구 부분에 장착된 브러쉬를 카페트에 밀착시켜 카페트로부터 분리되는 오염물을 흡입하게 한다. 공기흡입구는 흡입구멍부분의 테두리에 있는 지지판을 통해 카페트 보풀위에서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딱딱한 바닥의 흡입시에는 이 지지판이 없어져서 바닥흡입장치의 바닥면과의 높이에 따라 공기흡입구가 확대된다. 따라서, 공기흡입의 불균일성이 발생되고 오염물을 흡입하는 흡입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커튼장치에 의해 공기흡입구를 축소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커튼장치의 작동은 커튼장치가 내려진 위치에서 들러올린 상태로 혹은 그 반대로 전환가능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커튼장치는 예를 들어 바닥흡입장치의 바닥에 셔터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커튼장치는 언급한 바와 같이 딱딱한 바닥의 청소시 진공실의 제한을 위해 립(lip)형태나 강모보더의 형태로 밀폐장치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형태로 커튼장치를 아래로 내리는 것이 수평의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가 구상되어 있다. 나아가 커튼장치는 커튼장치의 틀테두리가 주로 병진운동을 함으로써 커튼장치가 스윙하면서 내려가도록 측면장치속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커튼장치에 어느정도의 안정성을 가져다준다. 나아가 커튼장치를 접어 올리고 내리는 것이 바닥흡입장치의 풋스위치를 통해 조작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튼장치를 내리는 것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커튼장치를 보덴와이어와 같은 것을 통해 전술한 위치속에 붙잡아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스위치 작동을 통해 보덴와이어가 이완되고 따라서 커튼장치가 스프링 탄발력에 의해 내려가게 된다. 특히 이는 측면장치속에서 작동되는 커튼장치에서는 틀테두리가 동시에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실링립이 커튼장치로 설계되어 있다면 실링립은 테두리쪽의 조종장치속에 수용될 수 있고 실링립은 그 정점부분과 함께 올려진 상태에서도 여전히 이 조종장치속에 붙잡혀 있게 된다. 틀테두리 및 회전축이 수평적으로 병진운동하면서 커튼이나 립의 정점부분이 자동으로 조종장치를 통해 원하는 하향위치로 회전하며 움직인다. 게다가 회전축이 본래 병진운동이 가능한 활판에 고정되어 있어 활판과 함께 이동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는 진공실의 밀폐를 위해 전면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측면에 강모보더를 커튼장치로써 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그때 후면에는 병진 및 회전 운동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매우 가늘고 유연한 실링립이 설치되도록 하여 딱딱한 바닥의 흡입시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게 한다. 진공실의 밀폐가 필수적이지 않거나 적절해보이지 않는 그러한 상태에서는 실링립이 본래 흡입해야될 바닥에 대해 평행의 위치에서 기계적인 제약으로부터 자유롭도록 하고 불필요한 오염으로부터 보호받게 위치되며, 동시에 이러한 위치는 마모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작동의 오류에 대한 위험성을 크게 줄여준다. 딱딱한 바닥의 청소시 진공실의 후면쪽은 발명에 따라 딱딱한 바닥에 대해 수직의 위치에 있는 얇고 유연한 실링립을 통해 밀폐된다. 실링립의 유연성은 충분히 커서 오물입자를 흡입하게 될 청소할 바닥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동시에 그러한 실링립은 높은 자기정화효과를 가지도록 실링립의 병진 및 회전 운동에 의하여 오물이 실링립에 압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발명의 상술한 구조는 사이즈를 작게 설계한 구조를 통해 단지 미세한 크기(2 ∼ 3 mm)의 오물입자만을 흡입하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매우 작은 구조의 구성부분은 측면장치의 작은 벽두께가 이용되고 측면장치를 바닥흡입장치의 바닥속에 직접적으로 통합함으로써 구조가 축소된다. 또한 딱딱한 바닥 청소시 공기흡입구의 축소 즉 바닥과 연관하여 진공실 흡입공간의 축소가 2개의 밀폐장치를 통해 바닥쪽에 공기흡입구가 놓이도록 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전면에는 예를 들어 높이가 조절가능하지 않은 강모보더가 밀폐장치로써 설치될 수 있고 반면에 후면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밀폐장치가 실링립 모양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또 다른 강모보더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밀폐장치의 두부분중 한부분은 입구부분의 너비를 초과하여 한쪽 혹은 양쪽의 측면테두리를 지나거나 입구부분의 너비 만큼 뻗어있는 밀폐 기계장치이고 다른 한부분은 공기흡입입구부의 모터 및 브러쉬쪽을 통해 뻗어있는 커튼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바닥흡입장치가 바닥흡입장치의 운행방향으로 공기흡입입구부뒤에 배치되어 있는 모터를 기준으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링립이나 강모보더의 형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밀폐장치를 형성하는 하나의 커튼장치가 공기흡입구의 바닥쪽을 향하여 입구부분의 폭에 걸쳐서 불룩 나와있는 실링립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커튼장치 특히 립 모양으로 형성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밀폐장치의 올리고 내림이 실링립(또는 실링호일)을 접고 펼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펼쳐진 실링호일이 본래 바닥흡입장치의 바닥의 아래부분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호일로서 형성되어 있는 커튼장치는 바람직한 형태로 볼 때 실링호일의 주름 단부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에 대해 수직으로 접기 및 펴기가 진행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실링호일로서 실링립을 형성한 경우에는 흡입해야할 딱딱한 바닥에까지 닿을정도로 연장되어질 수 있다. 그렇게 형성된연장부의 외부 정점선은 바닥흡입장치가 작동시 바닥위에 놓여 있거나 그 위를 미끄러져갈 수 있다. 카페트 청소를 위해 바닥흡입장치를 이용할 때에는 실링호일이 쭉 뻗은 형태 즉 접힘없이 청소기 입구부분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실링호일 자체는 탄성력이 있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이나 금속호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직물 청소시 펼쳐져서 입구부분의 바닥면으로의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실링호일은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탄성적이고 복원력을 가진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에 탄성적이고 복원력이 있는 금속호일을 입혀서 하나 혹은 복수층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나아가 기타 명세를 보면 실링호일은 외부에 또한 강모헤어(bristly wool)를 부착할 수 있다. 입구부분의 폭에 걸쳐 실링호일은 또한 하나 혹은 복수개의 중지부를 보유할 수 있다. 특히 실링호일의 개개 단락들만을 접혀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실링호일 특히 세로횡단면에서 볼 때 두개의 접힘부를 보유할 수 있어서, 운행방향으로 두 개의 접힘부 정점라인이 잇달아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실링호일은 또한 여러개의 재료강도를 보유할 수 있다. 실링호일의 접힘과 복귀는 이를 세게 누르거나 팽팽하게 당기는 슬라이더를 통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기계적으로 자동될 수 있다. 나아가 슬라이더는 내부에 혹은 흡입 입구부분에 존재하는 전동장치로 작동된다. 중요한 점은 전체적으로 실링립을 내리는 것이 수평 슬라이딩 운동속에서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더가 슬라이딩하면서 테두리들이 주로 수평으로 잇달아 밀려 닫혀 아래로 뻗어지도록 되는 주름살의 형태로 실링립이 내려진다. 상술한 실시예의 바닥흡입장치에서도 이미 공지되어 있는 청소기의 적당한 바닥에 대한 높이조절로서 실행될 수 있지만 이것은 커튼장치를 올리거나 내리는데 강제적이지는 않다. 이는 그런종류의 실행형태에 있어서 커튼장치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바닥흡입장치의 낮은 위치에서뿐만 아니라 높은 위치에서도 올려지거나 내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브러쉬롤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역시 커튼장치 운동의 자율성을 확실하게 해준다.
나아가 본 발명은 카페트 청소시에는 청소 바닥과 접촉하지만 딱딱한 바닥의 청소시에는 흡수할 청소 바닥으로부터 일단 분리되도록 모터로 작동되는 회전형 브러쉬롤러가 흡입구부분에 설치된 바닥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고정 커튼장치가 바닥흡입장치의 바닥에 특히 바닥흡입장치의 운행방향과 관련하여 진공실앞과 진공실 측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성 커튼 장치는 따라서 진공실의 후면에서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는 역시 이동성 커튼장치의 올리고 내리는 것이 그때그때 입구부분의 높이위치와 무관하게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커튼장치의 모든 전술한 실시예들이 실행가능하다. 상술한 커튼장치들은 실링립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강모보더를 커튼장치로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진공실이 한 부분은 고정된 커튼장치를 통해 다른 한 부분은 이동성 커튼장치를 통해 조절되는 공기흡입입구부의 구성에 있어서, 고정 커튼장치가 강모보더로서 그리고 이동성 커튼장치는 실링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정 또는 이동성 커튼장치를 모두 브러쉬라인으로 형성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나아가 고정 및 이동성 커튼장치를 실링립으로씨 특히 강모헤어를 부착한 실링호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전기모터를 통해 작동가능한 브러쉬롤러와 강모보더를 전면부에 가지고 있는 카페트 및 딱딱한 바닥청소용 바닥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강모보더가 스위치작동과 관련하여 바닥위에 놓여있는 내린 위치와 들어올려진 위치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고,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가 동시에 켜지고 꺼지도록 되어 있고 강모보더가 상술한 커튼장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를 켜고 끄는 것은 브러쉬롤러의 스위치가 작동되는 가운데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각각의 바닥상태에 따라, 즉 카페트 혹은 딱딱한 바닥위에서 작동되어야 하는지에 따라 강모보더(또는 회전강모)가 내려지거나 올려지고 이와 동시에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 스위치가 온/오프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카페트 바닥을 진공 청소할 때에는 전기모터가 켜져서 강모보더가 들어올려진 위치에 멎어 있게 된다. 카페트올과 같은 곳을 청소할 때에는 브러쉬롤러 전기모터가 차단되도록 하고 강모보더가 들어올려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딱딱한 바닥은 강모보더가 바닥위에 올려져 있고 전기모터가 꺼져있어야 최선의 방식으로 청소되어진다. 그러나 더 잘 청소하기위해 이 전기모터를 켜놓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강모보더의 다양한 위치 및 전기모터의 스위치작동 위치를 실현하기위한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어서 이것이 회전강모를 올리고 내리는것 뿐만 아니라 전기모터를 켜고 끄는 작동을 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브러쉬롤러가 아래로 내려진 상태에서 전기모터가 꺼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브러쉬롤러 앞에 배치되어 있는 강모보더를 내리는 작동과 동시에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가 꺼지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들어올린 강모보더에서 전기모터가 켜지거나 꺼지도록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한 이점이 있다. 카페트 바닥과 같은 곳을 청소할 때에는 강모보더가 들여올려져 있고 더욱이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가 켜져있으면 바람직하다. 기본위치에서부터 스위치를 통해서 예를 들어 카페트올과 같은 곳이 진공청소되야한다면 전기모터가 꺼지게 할 수 있다. 전기모터가 켜져있을 경우 카페트올이 브러쉬롤러로 감겨 올라가게 될 수도 있고, 이것은 카페트의 손상이나 진공브러쉬 장치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조작 기술상 스위치 작동이 풋스위치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효과를 최대화하였다. 이러한 풋스위치는 바닥흡입장치에의 접근이 용이한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유용하다. 게다가 전기 진공청소기의 회전바퀴 양쪽에 평행으로 배치되게 두 개의 풋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강모보더를 올리고 내리기위하여 또한 전기모터를 켜고 끄기 위한 기계장치로 구성된 풋스위치에서는 회전에 대하여 견고하게 강모보더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기계장치는 풋스위치가 보덴와이어를 통해 강모보더와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닥흡입장치에서 강모보더는 보덴와이어 및 회전 롤러를 통한 풋스위치의 작동에 따라서 내린 위치나 올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강모보더가 압력스프링을 통해 내린 위치속에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최상화되어질 수 있다. 나아가 풋스위치를 통해 보덴와이어가 해제되고 이로써 압력스프링을 통해 강모보더가 내려진다. 강모보더의 수직운동을 최상화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보덴와이어가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의 바닥흡입장치에 두 개의 강모보더를 설치하여 하나는 브러쉬롤러 앞에 하나는 뒤에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딱딱한 바닥과 같은 곳을 청소할 때 진공실이 형성되어서 바닥 청소의 효율성을 가져온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강모보더가 내려진 상태에서는 브러쉬롤러 전동장치가 꺼져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강모보더가 브러쉬롤러 앞에 그리고 실링립이 브러쉬롤러 뒤에 배치되어있고, 실링립은 물론 강모보더와 함께 동일한 방식으로 수직으로 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게다가 이러한 실링립은 앞서 기술한 의미에서 커튼장치가 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최적의 진공실이 형성되고 이것은 특히 타일바닥과 같은 곳의 청소시에 특별한 잇점을 가져다 준다. 타일 접합부에 들어있는 오물입자는 강모보더와 실링립을 아래로 내려서 형성된 진공실로 인해 최상의 방식으로 청소되어진다. 실링립과 강모보더는 스위치작동시 동시에 내려지거나 올려진다. 여기서는 또한 실링립이 강모보더에 상응하여 압력스프링을 통하여 내려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두 개의 스위치가 겹치게 배치되어서 하단스위치가 상단의 스위치를 통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상단스위치가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를 끄고 켜도록, 하단의 스위치는 커튼장치를 올리고 내리는 작동을 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커튼장치는 강모보더나 실링립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 상단스위치를 약하게 작동시키면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를 켜고 끄는 것을 그리고 세게 작동시키면 하단스위치의 변환을 가져와서 그에 상응하여 커플장치가 들어올려지거나 아래로 내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미 언급한대로 딱딱한 바닥을 청소할 때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가 꺼져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 역시 상단스위치의 강한 작동과 그와 동반하여 나타나는 하단스위치의 작동에서 한편으로는 커튼장치가 내려지고 다른 한편으로는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가 꺼지거나 그 반대의 작동이 상술한 구성안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구성 형태는 하단스위치가 상단스위치에 의해 덮혀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단스위치가 작동후에 항상 기본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하기 위해 상단스위치가 하단스위치에 스프링으로 지지되어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단스위치를 기계엔진 쪽 즉 바닥흡입장치의 샤시에 스프링으로 고정시키는것 또한 생각할 수 있다. 동시에 하단스위치 또한 흡입장치의 케이스에 탄력있게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대로 커튼장치의 틀테두리가 주로 병진운동을 하는 가운데 커튼장치가 회전하면서 내려가도록 측면장치속에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커튼장치에서는 하단의 스위치가 지레를 통해 커튼장치의 틀테두리를 주로 수평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실행된다. 틀테두리 및 그렇게 형성된 회전축이 수평으로 운동하면서 특히 실링립으로 형성되어 있는 커튼장치는 원하는 하향위치로 회전이동되어 간다. 이를 위해 상술한대로 커튼장치가 틀테두리가 운동가능하게 놓여있는 측면장치안에 설치되어있고 이때 측면장치는 한편으로는 바닥금속판을 통해 또 다른 한편으로는 케이스쪽의 덮개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바닥금속판은 떼어낼 수 있게 구성되는게 바람직하고 따라서 바닥금속판의 제거에 따라 커튼장치의 수납공간이 열려지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링립과 같은 커튼장치의 교환이 진행된다.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를 요구조건에 상응하여 접속하기위해 상단스위치나 하단스위치가 그때그때 연결스위치에 영향을 끼치도록 되어있으며 여기서 두 개의 연결스위치가 브러쉬롤러의 작동을 켜거나 끄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모든 작동시, 브러쉬롤러 작동을 켜고 끄기위한 펄스를 보내주는 접촉스위치가상단스위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스위치의 접촉스위치로서 브레이크를 설치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며 이것은 상단의 접촉스위치가 마지막으로 보낸펄스에 상관없이 하단스위치를 작동시에는 브러쉬 작동을 차단시킨다. 이것은 딱딱한 바닥 청소를 위해서 내려진 커튼장치에서 브러쉬롤러의 일반적인 정지상태를 의미한다. 하단스위치의 작동은 커튼장치가 내린위치로 수평 스윙을 하게 한다. 사용자에게 현재의 바닥흡입장치의 운용상태 정보를 전달하기위해 브러쉬롤러의 흡입작동, 브러쉬롤러 정지작동 및 커튼장치를 내려놓은 상태에서의 흡입작동 등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램프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다시 말해 보통운용시, 즉 카페트 바닥의 청소시 기능램프에 불이 들어오고 사용자에게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가 켜져있고 커튼장치는 위로 올려진 위치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특히 풋스위치로 형성되어 있는 상단스위치를 가볍게 작동시킴으로써 이러한 보통의 상태에 있는 브러쉬롤러 전기모터는 꺼지게된다. 이러한 운용상태는 다른 기능램프를 통해 보여진다. 상단 풋스위치를 강하게 작동시키면 하단스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커튼장치가 내려지고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가 차단된다. 이러한 세 번째 운용상태는 또 다른 기능램프를 통해 보여진다. 브러쉬롤러 전기모터를 끌 경우 모든 기능램프들의 깜빡이 작동이 켜지게 되는 기능램프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예를 들어 카페트올을 청소할 때 브러쉬롤러 전기모터가 이전에 상단스위치(풋스위치)를 통해 차단되어 있지 않다면 기능램프를 통해 전기모터의 차단을 결정할 수 있다. 카페트올과 또한 흡입브러쉬장치의 손상을 피하기위해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의 자동적인 차단이 브러쉬롤러의 카페트올에 의한 정지시 일어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는 모든 기능램프의 깜빡임을 통해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브러쉬롤러를 정지시키고 있는 카페트올과 같은 것으로부터 브러쉬롤러를 떼어내야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풋스위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양한 접속위치 즉 강모보더를 내리고 올리기 및/또는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를 동시에 켜고 끄는 것 등을 실현하기 위해 측면장치와 함께 작동하는 정지피보트를 풋스위치에 형성시키고, 그 측면장치안에는 상응하는 접속위치속에 조정 만곡부를 형성시킨다. 그래서 규정된 풋스위치의 기본위치에서 복수개의 스위치 단계로 접속될 수 있고 여러 단계를 건너뛰거나 각각의 단계에서 기본단계로 복귀접속도 가능하다. 여기에는 3가지 스위치위치를 위한 조정만곡부를 보유하는 측면장치가 바람직하다. 첫 번째 스위치위치는 특히 회전하는 브러쉬가 전동장치에 의해서 작동되고 강모보더 및/또는 실링립이 보덴와이어를 통해 올린 위치속에 머물러있게 되는 기본위치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 스위치위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가 꺼지고 강모보더 및/또는 실링립이 거의 들어올려진채 유지된다. 이러한 스위치위치에서부터 직접 다시 기본위치 즉 첫 번째 스위치위치로 되돌아 접속될 수 있다. 기본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두 번째 스위치위치에서도 역시 세 번째 스위치위치로 접속될 수 있고 동시에 보덴와이어는 균형이 이루어짐으로써 압력스프링으로 인해 강모보더 및/또는 실링립이 내려진다. 이러한 세 번째 단계에서 직접 기본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측면장치가 고정되어 회전운동하고 있지만 회전운동중에 고정피보트를 통해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시키고 보덴와이어 배치는 보덴와이어의 조정피보트가 하드보드의 길다란 구멍속에 인도되어있고 풋스위치판을 통해 작동가능하게하여 실현하는게 더욱 유리하다. 매 스위치위치마다 케이스쪽 하드보드의 길다란 구멍속에서 이동되는 조정피보트가 풋스위치판을 통해 당겨진 위치로 유지되거나 해제되어진다. 이를 위해 풋스위치판에는 돌출부와 같은 것이 설치될 수 있고 이것은 강모보더 및/또는 실링립이 들어올려진 위치로 이동되도록 조정피보트를 기본위치속에 유지되게 하며 여기서 보덴와이어는 강모보더 및/또는 실링립의 압력스프링의 탄력에 대하여 잡아당겨진다. 풋스위치 작동시 풋스위치의 돌출부가 조정피보트를 해제시키고 따라서 조정피보트는 길다란 구멍내부에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압력스프링의 탄력 때문에 이제 강모보더 및/또는 실링립은 아래로 내려진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풋스위치판 속에 조종만곡부를 형성시켜서 이를 통해 조정피보트가 위치변경이 가능해 지도록 하고 이 조종만곡부는 고정 피보트의 세번째 스위치위치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위치가 옮겨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첫 번째와 두 번째 스위치위치에서는 강모보더 및/또는 실링립이 들어올려져 있게 된다. 하드보드속에 길다란 구멍의 형성과 풋스위치판속의 조정만곡부의 형성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스위치위치에서 고정 피보트의 어떠한 해제나 위치변경도 생겨나지 않도록 한다.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를 켜고 끄는 것은 전기스위치를 통해 일어나며 이것이 기본위치 즉 첫 번째 스위치위치에서 전기모터를 작동시키기위해 회로의 흐름을 닫는다. 이는 예를 들어 풋스위치에 전기스위치로 작동하는 캠(cam)을 장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두 번째 스위치위치에서는 캠이 오프되어서 전기 스위치가 열리고 회로의 흐름이 브러쉬롤러 전기모터를 멈추기 위해 중단된다. 이미 상술한대로 보덴와이어의 조정피보트는 아직 이동하지 않아서 강모보더 및/또는 실링립이 더욱 더 올려진채 유지되게 된다.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9 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 1 의 바닥흡인장치가 설치된 전기 진공청소기 (1)는 휴대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케이스(2) 겉면에 기계핸들(3)이 연결되어 있으며 끝부분의 손잡이(4)와의 사이에는 온/오프 스위치(5)가 부착되어 있다. 플러그(6)가 연결되어 있어서 전원과 전기접속이 되도록 하였다.
케이스(2)는 모터케이스(7)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은 필터주머니를 수납하고 있는 공간케이스(8)로 나누어져 있다. 물론 공기흡입 모터는 도면에 별도 표시는 하지 않았다.
모터케이스(7) 아래로 바닥흡입장치(10)를 파이프연결부(9)로 연결하여 공기흐름을 이루도록 하였다.
이러한 바닥흡입장치(10)는 흡입관입구부 (10')속에 있는 별개의 부재에 의해서 회전되는 브러쉬롤러(11)를 포함하고 있다.
공기흡입 모터는 공기가 아래에서 위로 흐르도록 작동하여 상부에 설치된 필터주머니속으로 오염공기가 걸러 통과되도록 하였다.
특히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흡입장치(10)는 크게 케이스(13), 파이프연결접합관(14), 및 진공실(15)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브러쉬롤러(11)와 이를 작동시키는 전기모터(12) 및 벨트(16)가 포함되어 있다. 전기모터(12)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전기접속부를 통해 전기 진공청소기(1)의 본체와 연결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흡입장치(10)는 파이프연결접합관(14)을 사이로 대칭되게 양쪽에 두 개의 픗스위치(17)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풋스위치(17)들은 연결스틱(18)과 연결되어서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진공실(15)의 브러쉬롤러(11) 전면에는 커튼장치(V)의 형태로 강모보더(19)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브러쉬롤러(11)와 동일한 방식으로 바닥흡입장치(10)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 가로로 뻗어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진공실(15) 안에는 강모보더(19)에 대해 반대편쪽으로 있는 브러쉬롤러(11) 위에 역시 커튼장치(V) 형태의 실링립(20)이 배치되어 있다. 브러쉬롤러(11), 강모보더(19), 실링립(20)들의 길이들은 대략 진공실(15)의 길이에 상응한다.
강모보더(19) 뿐만 아니라 실링립(20)도 역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며 이것들은 그때그때 케이스(13)에 고정되어 있는 압력스프링(21, 22)을 통해 원위치되려는 복원력을 갖는다.
강모보더(19) 뿐만 아니라 실링립(20) 역시 올린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두 개의 보덴와이어(23)를 통해 풋스위치(17)와 연결되어 있다.
풋스위치(17)는 본래 측면으로 케이스(13)를 통해 돌출해 있는 작동판(24)과 작동판(24)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측면의 풋스위치판(25)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풋스위치판(25)과 케이스(13)쪽을 향해있는 작동판(24)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두 개의 풋스위치(17)는 동일한 구조로 서로 대칭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미 언급한대로 풋스위치(17)는 연결스틱(18)을 통하여 회전이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스틱(18)의 단부는 풋스위치판(25)에고정되어 있다. 풋스위치판(25)은 케이스(13)쪽을 향하여 평평한 측면으로 케이스의 하드보드(26)와 접하고 있다. 하드보드를 연결스틱(18)이 그때그때 끝부분에서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모든 풋스위치판(25)은 콩팥모양의 조정만곡부(27)를 가지며 이곳과 하드보드(26)에 형성된 L 모양의 길다란 구멍(28) 사이를 관통하도록 조정피보트(29)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각각의 풋스위치(17)속으로 관통되는 조종피보트(29)는 지레(30)(31)를 통해 강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L 모양의 구멍(28)과 조종만곡부(27)를 통해 관통되는 조종피보트(29)의 노출 단부에는 보덴와이어(23)가 고정되어 있다.
나아가 모든 하드보드(26)는 L 모양의 구멍(28) 반대편 부분에 측면장치부(33)를 수납하기 위한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 장치부(33)는 하드보드측면의 피보트(34)를 통해 풋스위치판(25)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위치해 있다.
측면장치부(33)는 풋스위치판(25)을 향한 쪽에 측면장치(35)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것은 측면장치트랙(36)을 프레이즈반으로 깍음으로써 측면장치 고립부(37)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측면장치(35)안으로 즉, 측면장치트랙(36)안으로 풋스위치판 측면의 정지피보트(38)가 맞물려간다.
작동판(24)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풋스위치판(25)은 나사스프링(39)을 통해 항상 도 4 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본위치로 유지하려는 속성을 지니도록 나사스프링(39)을 포함하고 있는 연결스틱(18)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으로는 케이스 쪽의 하드보드(26)에 고정되어 있다. 나아가 연결스틱(18)에는 케이스쪽의 접촉스위치(41)와 함께 작동하는 캠스위치(40)가 설치되어 있다.
풋스위치(17)의 기능방식은 다음과 같다 :
도 5 에 따라 기본위치에 해당하는 첫 번째 스위치위치에서는 풋스위치(17)의 작동판(24)이 거의 수평의 위치로 존재한다. 이와 함께 풋스위치판(25)의 정지피보트(38)가 측면장치(35)의 첫 번째 정지수납공간(A)속으로 맞물려 들어가 있다. 연결스틱(18)의 캠스위치(40)는 접촉스위치(41)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것이 전기모터(12)와의 회로 흐름을 형성하여 브러쉬롤러(11)가 전동으로 작동되어진다. 조정피보트(29)는 L 자형 구멍(28)속에서 풋스위치판(25)의 조종만곡부(27)를 통해 기본위치로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보덴와이어(23)가 강모보더(19)나 실링립(20)을 회전롤러(42)를 통해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이제 풋스위치(17)는 정지피보트(38)가 측면장치길(x)를 통해 두 번째 정지수납공간(B)로 들어가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에서 하드보드(26)속에 위치해 있는 연결스틱(18)이 휘어지고 캠스위치(40)가 접촉스위치(41)와 떨어지면서 전기모터(12)를 위한 전류공급이 중단되어 브러쉬롤러(11)가 꺼지도록 되어있다. 조종만곡부(27)의 콩팥모양의 구조를 통해 조정피보트(29)가 더욱더 기본위치에 유지되도록 하여 강모보더(19)와 실링립(20)이 들어올린 위치에 머물러 있게된다(도7 참조).
정지수납공간(B)에서 출발하여 측면장치길(z)을 통해 세 번째 스위치위치를취할수 있도록 정지피보트(38)가 측면장치길(z)을 통해 정지수납공간(C)까지 움직이고 거기에서 멈추게 된다. 이와 함께 동반하여, 하드보드(26)안에 있는 연결스틱(18)의 베어링포인트를 둘러싼 풋스위치판(25)의 계속된 휘어짐이 이러한 풋스위치판(25)에 배치되어 있는 콩팥모양의 조정만곡부(27)가 그곳을 관통해가는 조정피보트(29)를 하드보드(26)의 L 자형 구멍(28)을 따라 함께 끌고가도록 작용한다. 압력스프링(21, 22)의 탄력에 의해 강모보더(19)와 실링립(20)은 바닥위에 놓여있는 위치로 내려앉는다. 게다가 연결스틱(18)의 캠스위치(40)는 접촉스위치(41)와 오프되어 역시 전동장치(12)를 위한 전류공급이 중단되게 된다. 도 9 에 도시되어 있는 강모보더(19)와 실링립(20)의 내린 위치는 풋스위치(17)의 이러한 세 번째 위치시 브러쉬롤러(11)의 주위로 진공실(15)이 주변으로부터 분리되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하여 바닥과의 사이에 진공구역이 달성되고 이것은 타일과 같은 바닥을 흡입 청소할 때 최상의 효과를 보인다. 풋스위치(17)를 통해 직접 첫 번째 스위치위치 즉 기본위치에서 세 번째 스위치위치로 두 번째 스위치위치를 건너뛰어 접속할 수도 있다. 이는 측면장치길(y)을 통해 실현가능하다. 나아가 두 번째 스위치위치에서 측면장치길(x')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두 번째 스위치위치에서 측면장치길(y')을 통해서도 역시 첫 번째 스위치위치 즉 기본위치로 되돌아 접속될 수 있다.
세 번째 스위치위치에서 기본위치로의 접속에서는 강모보더(19)와 실링립(20)의 들어올림이 나사스프링(20)의 복귀력을 통해 이루어지고 기본위치로 뒤돌아 회전하는 풋스위치판(25)이 조정만곡부(27)를 통해 조정피보트(29)를 L 자형 구멍(28)을 따라 질질 끌고간다. 이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나사스프링(39)의탄력이 강모보더(19) 및 실링립(20)의 압력스프링(21, 22)의 탄력보다 커야한다.
도 10 과 도 11 은 실시예 2 를 나타낸 것으로, 바닥흡입장치(43)가 전기모터(12)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연동장치(44)를 통해 브러쉬롤러(11)가 회전하게 된다. 단지 도식적으로 브러쉬롤러위에 존재하는 브러쉬라인(11')이 표시되어 있다. 주변을 통해 다수의 그러한 브러쉬라인(11')이 브러쉬롤러(11)에 장치되어 있다. 바닥흡입 장치(43)는 흡입관입구부(10')와 진공실(15)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진공실(15)은 전면 테두리(45) 및 전면 강모보더(19)를 통해 커튼장치(V)의 형태로 밀폐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카페트 위에서의 운용상태에서는 진공실(15)이 더욱 후면의 가장자리테두리(46)을 통해 밀폐되어있다. 카페트 바닥의 보풀로 인해서 진공실(15)은 거의 밀폐가 이루어지고 흡입력이 강하게 된다. 따라서 오염입자와 같은 것을 카페트 바닥으로부터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브러쉬롤러(11)에 대해 후면으로 또다른 이동성 강모보더나 실링립(47)이 커튼장치(V)의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11 에서 알 수 있듯이 실링립(47)은 슬라이더(48)의 수평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펼쳐지게 되고 그 정점라인(50)이 딱딱한 바닥쪽을 향하도록 하거나 바닥에 닿도록 돌출주름(49)을 이루도록 한다.
길게 이어진 실링립(47)은 실시예로서 플라스틱같은 탄성적인 재료로 형성되어 진다. 특히 여기에서는 실링호일이나 진동판의 형태일 수 있다. 실링호일은 플라스틱의 기초위에 하나 혹은 복수개의 금속층을 결합하여 이루어져있다. 또한 실링호일 외부에 강모헤어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입관입구부 및 진공실(15)의폭에 걸쳐 밀폐장치를 유연하게 형성하기 위한 실링호일에는 여러 중지부가 주어져 있다.
그 밖에도 실링호일을 다양한 재료강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연하고 덜 유연한 부분들이 생겨나게 하고 유연한 부분에서는 꺽임현상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따라서 실링호일은 특히 바닥에 닿게되는 매우 유연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48)는 실링호일의 이동을 위해 필요할 때마다 기계식으로 예를 들어 전기모터(12)와 같은 것을 흡입관입구부(10') 주위나 속에 존재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도록 한다.
도 10 에서 실링립(47)이 가로로 한쪽의 단락(a)을 통해 슬라이더(48)위에 올려져 있으며, 마디(51)의 전면은 동시에 슬라이더(48)위에 놓여져 있는 실링립(47)의 단락(a)의 전면테두리를 위한 구축물로써 사용된다. 슬라이더(48)와 상응하는 지지대(52)가 마련되 있지만 여기서는 유동적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지대(52)가 유동적이고 슬라이더(48)가 고정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슬라이더(48)도 지지대(52)도 유동적으로 즉 잇달아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 역시 가능하다. 직물바닥의 청소시에는 흡입관입구부(10')와 그것의 진공실(15)이 직물바닥위에 압착하여 올려져 있고 브러쉬롤러(11)가 이 직물바닥으로 헤쳐 들어가면서 오염물을 털어낸다. 흡입관입구부(10')가 직물바닥에 인접함으로써 진공실(15)의 크기가 제한되게 된다. 실링립(47)은 흡입관 입구부(10')의 바닥면(53)에 접해 있고 주로 평행으로 뻗어있게 된다.
전기모터(12)와 브러쉬롤러(11)는 연동장치(44)와 함께 흡입관입구부(10')의후면부에 장착된다. 흡입관입구부(10')를 딱딱한 바닥청소로 전환하면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관입구부(10')가 들어올려진다. 그러나 이는 실링립이나 커튼장치(V)를 내리기 위한 어떤 조건은 아니다. 이들은 흡입관입구부(10')의 높이 상태와 무관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려질 수 있다.
슬라이더(48)는 실링립이 흡입관입구부(10')의 후면부에서 그 전체 너비에 있어 세게 눌려져서 실링립이 부풀어 오르도록 작동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돌출부를 딱딱한 바닥까지 닿게하여 진공실(15)을 밀폐한다. 흡입관입구부(10')의 나머지 세면에는 기존의 방식대로 (기계장치의 설명은 생략) 진공실(15)이 밀폐되어있다. 진공실은 조화를 이룬 밀폐를 통해 딱딱한 바닥의 청소에서는 도 11 에 따라 축소된다.
도 12 - 18 에 나타낸 실시예 3에서의 바닥흡입장치(43)는 거의 동일한 구성을 보이고 단지 후면 커튼장치(V)의 (실링립이나 강모보더) 실행이 다르다.
바닥흡입장치(43)의 바닥면(53)에 측면장치(54)가 장착되어 있어 그안에 커튼장치(V)의 역할을 하는 실링립(47)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놓여져 있다.
실링립(47)은 한쪽으로 치우친 곳에 실린더부재(55)와 작은 반경의 틀테두리(56)의 형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측면장치(54)속에서 활판(57)이 실링립(47)을 붙들어 놓고 있다. 측면장치(54)의 하부에 즉 청소해야할 바닥쪽을 향한 면에 조종장치홈(5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주보게 옮겨져 배치되어 있는 조장장치 테두리(59, 60)를 가지고 있다. 실링립(47)은 일정하게 단부가 조종장치홈(58) 밖으로 노출해 있다.
동시에 틀테두리(56)는 실링립(47)을 들어올린 위치에서 내린 위치로 스윙하거나 그 반대의 스윙을 위한 회전축(b)을 형성한다.
활판(57)의 병진적 슬라이딩 운동으로 실린더부재(55)는 조종장치홈(58)과 함께 실링립(47)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겨나는 회전 모멘트를 통해 그 주위로 이동된다. 그 결과 실링립(47)은 기계적인 인장하중으로 부터 벗어나 청소해야 할 표면에 거의 평행의 상태에서 유지되는 단부위치에 다다를 때까지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하며 움직인다. 이러한 위치는 예를 들어 도 12 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위치에 실링립(47)의 놓이게 됨으로 실링립의 파손 및 오염을 방지하는 가운데 청소가 진행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의 구성은 작게 설계된 구성부품들(특히 활판(57)과 실린더부재(55))을 이용하여 단지 몇 밀리미터밖에 안되는 매우 작은 구성높이를 갖도록 한다. 나아가 매우 작은 구성높이는 측면장치(54)를 바닥흡입장치(43)의 바닥(53)속으로 직접 통합시켜 이루어진다. 측면장치(54)는 바닥흡입장치를 다루는 사용자의 적절하지 못한 취급으로 인한 장애를 막기위해 활판(57), 실린더부재(55), 실링립(47)등을 보호하고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5 에는 실링립(47)이 밖으로 나가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활판(57)의 슬라이딩을 통해 실링립(47)의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이 생겨난다. 실링립(47)은 항상 측면장치(54)의 조종장치홈(58)밖으로 돌출해 있다. 조종장치테두리(59, 60)는 실링립(47)의 병진운동에서 활판(57)에 의해 회전축(b)을 도는 실링립의 회전을 야기시키고 따라서 실링립(47)은 들어올려진 위치에서 딱딱한 바닥의 청소를 위해 아래로 내려진 위치로 회전한다. 이러한 위치(도 14 참조)에서 실링립(47)은 양쪽으로 조종장치테두리(59, 60)에 고정되도록 하여 딱딱한 바닥에서의 운용시 안전성을 이루도록 하였다. 이제 실링립(47)은 딱딱한 바닥에 대해 수직의 위치에 놓인다. 실링립(47)은 유연성이 충분히 커서 오물입자를 통해 생길 수 있는 청소해야할 딱딱한 바닥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실링립(47)은 높은 자기 청소 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실링립(47)의 병진 및 회전운동과 함께 오물과 같은 것이 털려나감으로 실링립(47)이 오염물질로 압착될 수 있는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실링립(47)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러한 실링립(47)을 그 전체 길이를 통해 여러번 세분화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그렇게하여 실링립(47)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링립(47) 대신에 이러한 커튼장치(V)를 장애없이 들어올리고 내리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적어도 충분한 자기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유연한 강모라인으로 설치하는 것도 구상가능하다.
도 13 은 딱딱한 바닥의 운용중에 있는 바닥흡입장치(43)를 나타내고 있다. 흡입관입구부(10')의 전면부와 측면부에 실링립(47)을 내리는 동시에 유연한 강모보더(19)가 딱딱한 표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공기의 통로가 적어도 국부적으로 밀폐되어진다. 그러나 오물입자는 진공실(15)안으로 밀고 들어가서 회전하는 브러쉬롤러(11)에 붙잡히고 흡입된 공기와 함께 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 및 측면의 강모보더(19)의 활동은 기존의 방식으로 (여기에서는 기계장치의 설명 생략) 진행된다.
또한 여기에서도 전술한 보기에서 가능한 것처럼 흡입관입구부(10')를 딱딱한 바닥의 청소를 위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들어올릴 수 있다. 여기에서도 흡입관입구부(10')의 들어올리기가 실링립의 내리기 기능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나아가 커튼장치(V) 특히 실링립(47)의 운동이 바닥흡입장치(43)의 바닥에 대한 높이와는 무관하게 실행가능하다.
도 16 - 18 에서는 바닥흡입장치(43)속에 상기한 실시예 3의 바람직한 구성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 에 나타낸 바닥흡입장치(43)는 크게 케이스(13), 파이프연결접합관(14), 진공실(15)로 나뉘어지며, 브러쉬롤러(11)가 진공실(15)속에 장착되어 있고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연동장치(44)가 케이스(13)에 내장되어 있다.
바닥흡입장치(43)는 파이프연결접합부(14)쪽을 향하여 측면에 풋스위치(17)를 포함하고 있다.
이 풋스위치(17)는 도 17 에 나타낸 회전축(18)위로 기울일 수 있게 위치해 있다.
또한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파이프연결접합부(14)의 양쪽에 풋스위치(17)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 과 도 18 에는 커튼장치(V) 특히 실링립(47)을 들어올리고 내리기 위한 기계장치가 나타나 있으며 커튼장치(V)와 이것을 움직이는 활판(57)의 또다른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풋스위치(17)는 이미 언급한 축(18)을 통해 바닥흡입장치(43)의 케이스(13)와 연결되어 있다. 나사스프링(39)이 축(18)에 장착되어 있고 한쪽끝으로는 케이스(13)에 다른 한쪽끝으로는 풋스위치(17)에 고정되어 항상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풋스위치(17)를 기본위치로 복귀하도록 작용한다. 풋스위치(17)가 피보트(61)를 통해 보덴와이어(62)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보덴와이어는 장치의 케이스측면에 위치해 있는 회전롤러(63)를 통해 손가락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활판(57)의 단부에까지 연결되어 있다. 활판(57)의 단부는 압력스프링(64)을 통해 케이스측의 고정부재(65)로 탄력있게 고정되어 있고 동시에 도 17에 나타낸 기본위치에서 보덴와이어(62)의 작동에 의하여 활판(57)은 압력스프링(64)이 함께 압축되어 있는 위치로 정지되어 있다.
도 18 에 따라 풋스위치(17)를 아래로 누르면 압력스프링(64)은 보덴와이어(62)의 이완으로 인해 압력스프링(64)이 활판(57)을 고정부재(65)에서 측면장치(54)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완되어진다. 이와 함께 커튼장치(V) 즉 실링립(47)의 위치변경이 일어난다. 이는 활판(57)이 위치변경에 의하여 측면장치(54) 속에서 실링립(47)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를통해 커튼장치(V) 및 실링립(47)의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는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풋스위치(17)를 아래로 눌린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풋스위치(17)위의 압력부하를 중지한 후에는 다시 도 17 에 나타낸 기본위치가 달성된다. 그결과 풋스위치(17)는 나사스프링(39)의 탄발력에 의해 되돌아 스윙해오고 보덴와이어(62)는 회전롤러(63)를 통해 활판(57)을 압력스프링(64)의 탄력에 대항하여 뒤로 이동시킨다. 활판(57)이 실링립(47)의 틀테두리(56)를 작동시킴으로써 실링립(47)의 병진 및 회전운동이 발생되고 실링립(47)이 내려간다.
진공실(15)의 전체 너비를 통해 뻗어있는 실링립(47)의 쓰러짐을 피하기 위해 실링립(47)에 2개의 고정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도 16 에 나타내어 있다. 여기에서는 두 개의 활판(57)이 대략 실링립(47)의 단부에서 실링립(47)의 틀테두리(56)를 작동시키도록 보덴와이어(62, 6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함께 활판(57)이 케이스(13) 내부에 풋스위치(17) (도 16 에서 왼쪽 활판(57)을 참조)와는 다른 수직영역에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다면 적어도 또 다른 회전롤러(63')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실시예에서도 커튼장치(V)를 강모보더로써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강모보더는 풋스위치(17)의 작동시 충돌없는 진행을 확실히 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뻣뻣함)를 보유하고 있어야만 한다.
나아가 실링립(47) 모양을 한 이동성 커튼장치(V) 외에도 상술한대로 하나 혹은 복수개의 여러 고정 커튼장치(V)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바닥흡입장치(43)의 진행방향으로 진공실(15) 전방과 진공실(15)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브러쉬보더가 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 4 를 도 19 - 도 24 에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닥흡입장치(43)는 앞서 기술한 실시예와 같은전기모터(12)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연동장치(44)를 통해 브러쉬롤러(11)를 움직이게 한다. 브러쉬롤러에는 브러쉬라인(11')이 부착되어 있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본 바닥흡입장치(43)는 크게 케이스(13), 파이프 연결접합관(14) 및 진공실로 구성되고 진공실내에는 브러쉬롤러(11)와 전기모터(12) 등이 장착되어 있다.
바닥흡입장치(43)는 그 파이프연결접합관(14)을 향해 파이프연결접합관(14)의 측면으로 풋스위치(17)가 장착되어 있다.
풋스위치(17)의 측면으로 장치의 케이스(13)속에는 세개의 기능램프(66 - 68)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기능램프(66 - 68)는 풋스위치(17)를 통해 장치(43)를 조정하도록 운행종류를 신호처리하고 있다.
본래 바닥흡입장치(43)의 다양한 운행종류는 혼성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때 풋스위치(17)는 상단스위치를 나타낸다. 풋스위치(17)는 장치의 케이스쪽 축(18)에 대하여 기울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단의 판모양의 하단스위치(69)는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그곳에서 역시 장치의 케이스쪽으로 회전가능하게 놓여있는 스틱(70)과 함께 회전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장치의 케이스속에 있는 하단스위치(69)의 배치는 하단스위치가 상단스위치 즉 여기에서는 풋스위치(17)를 통해 덮혀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단스위치(69)는 압력스프링(71)을 통해 장치의 케이스(13)나 바닥면(53)에 대해 탄력있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풋스위치(17)는 또 다른 압릭스프링(72)을 통해 하단스위치(69)와 탄력있게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단스위치 즉 풋스위치(17)를 압력스프링(63)을 통해 케이스(13)에 대해 탄력있게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풋스위치(17)는 그 바닥면 즉 장치의 케이스 내부쪽을 향하여 측면에 실행피보트(73)를 보유한다. 이것을 통해 하단스위치(69)가 상단스위치(17)를 통해 작동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장치의 케이스(13)안에는 두 개의 접촉스위치(74, 7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두 개의 접촉스위치들(74, 75)은 브러쉬 작동을 실행시키거나 차단시킨다.
이와 함께 접촉스위치(74)는 기본위치 즉 풋스위치(17)의 무작동시에는 찰상 풋스위치(17)의 바닥면에서부터 움직이게 배치되어 있다. 상단스위치 즉 풋스위치(17)를 가볍게 누르게 되면 브러쉬롤러를 작동시키는 전동장치(도시 생략됨)에 신호를 보내도록 하는 접촉스위치(74)가 풋스위치(17)의 바닥면과 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풋스위치(17)의 가벼운 실행은 브러쉬롤러 전기모터의 꺼짐을 나타낸다. 따라서 풋스위치(17)의 다음 실행시에서는 브러쉬롤러 전기모터가 다시 켜지게 된다.
하단스위치(69)가 배치되어 있는 스틱(70)은 거의 진공실(15)의 전체 너비를 통해 뻗어 있고 연동장치(44)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U 자 형태로 구부러진 중앙부(76)를 갖는다. 또한 스틱(70)은 아래를 향해 즉 케이스(13)의 바닥면쪽의 방향으로 구부러진 L 자 모양의 단부(77)를 갖는다.
스틱(70)의 U 자로 구부러진 중앙부(76)에는 보덴와이어(62)가 고정되어 있고 이는 케이스 측면에 위치한 회전롤러(78)를 통해 다른쪽 자유단이 강모보더(19)와 연결되어 있다. 이 강모보더(19)는 커튼장치(V)를 형성하고 장치의 케이스(13)쪽을 향하여 압력스프링(21, 22)에 의하여 탄력있게 고정되어 있다. 이와 함께 압력스프링(21, 22)는 청소해야할 바닥을 향한 방향으로 강모보더(19)에 지속적인 인장하중을 제공한다. 도 20 에 따른 기본위치에서 강모보더(19)의 커튼장치(V)는 압력스프링(21, 22)의 스프링 인장하중에 대항하는 보덴와이어(62)의 견인력에 의하여 장치의 케이스(13)내부에서 들어올린 위치 즉 숨겨진 위치속에 머물러 있게 된다.
스틱(70)의 L 자 형태로 구부러진 단부(77)에 활판(57)의 형태로 이루어진 자동집게(79)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단부(77)에 대한 자동집게(79)의 장착은 클립연결물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자동집게(79)는 그 단부가 케이스(13)의 바닥면(53)에 배치되어 있는 측면장치(54)속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측면장치는 한편으로는 케이스쪽의 덮개(80)를 통해 다른 한편으로는 장치 케이스(13)의 제거가능한 바닥금속판(81)을 통해 형성되있다.
모든 자동집게(79)의 단부에는 궁형모양의 수납공간(8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안에는 커튼장치의 실린더부재(55)가 틀테두리(56)의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놓여 있다. 실린더부재(55)에는 한쪽에 치우쳐서 회전축(b)과 관련하여 실링립(47)이 고정되어 있다. 커튼장치(V)로 형성되어 있는 실링립(47)의 단부는 마주보게 옮겨져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조종장치 테두리(59, 60)를 통해 형성되어 있는 조종장치홈(58)속으로 돌출해 있다. 이와 함께 조종장치테두리(59)는 바닥금속판(81)을 들어냄으로써 그리고 조종장치테두리(60)는 그에 상응하여 들어냄으로써 분리가능 하도록 장치(13)의 바닥면(53)에 형성되어 한다.
실링립(47)과 실린더부재(55)로 구성되어 있는 커튼장치(V)는 측면장치(54)속에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단스위치(69)는 측면으로 배치된 정지피보트(83)를 갖는데 이는 기본위치에서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의 케이스 쪽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한 스프링을 단 고정부재(85)의 조종장치홈(84)안에 삽입되어 있다.
아래쪽 하단스위치(69)는 측면으로 돌출해 있는 스프링금속판(86)을 보유하며 이것은 기본위치에서 도 20 에 따라 이미 언급한 접촉스위치(75)를 작동시킨다.
풋스위치(17)를 도 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 아래로 누른다면, 즉 더 강하게 작동시키면 하단스위치(69)의 움직임이 상단스위치 즉 풋스위치(17)에 배치되어 있는 실행피보트(73)를 통해 하단스위치(69)가 고정부재(85)의 정지피보트(83)와 조종장치홈(84)의 공동작용을 통해 제한적으로 실행피보트(73)를 떠나 도 2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 스윙한 위치로 회전하여 이동된다. 이와 함께 하단스위치(69)의 스프링금속판(86)은 접촉스위치(75)를 떠나게 되고 따라서 접촉스위치는 브러쉬롤러의 전기모터 작동을 차단한다. 이러한 브러쉬롤러 전기모터의 차단은 상단 접촉스위치(74)가 마지막으로 어떤 신호를 보냈는가에 무관하게 진행된다.
하단의 접촉스위치(75)는 브러쉬롤러(11)의 전기모터(12)에 전기공급의 중단을 가져올 수 있다. 반대로 상단의 접촉스위치(74)는 모든 작동시 전기모터(12)의 접속과 차단을 위해 전기적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나아가 브러쉬롤러 전기모터 차단외에 하단스위치(69)의 높은 스윙은 스틱(70)의 U 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중앙부(76)와 L 자 형태로 구부러진 단부(77)의 수평 스윙 운동을 일으킨다. 한편으로 이는 보덴와이어(62)가 압력스프링(21, 22)이 강모보더(19)를 내린 위치에 놓이게 할 정도로 구부러지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L 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단부(77)에 배치되어 있는 자동집게(79)가 여기에서는 실링립(47)의 형태인 커튼장치(V)를 측면장치(54) 내부에서 병진 및 회전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어서 실링립(47)이 청소해야할 딱딱한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내려지도록 작용한다.
실링립(47)은 충분히 높은 유연성을 보유하고 있어서 오물입자로 인하여 딱딱한 청소바닥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피할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실링립(47)은 높은 자기정화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실링립(47)의 병진 및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실링립(47)에 오물의 축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측면장치(54)의 하단부가 바닥금속판(81)을 통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튼장치(V) 특히 실링립(47)의 교환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바닥금속판(81)이 장치의 케이스(13)으로부터, 예를 들어 나사를 풀어서 제거되어지고 따라서 측면장치(54)와 자동집게(79)의 수납공간(82)이 풀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측면장치(54)의 청소 역시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도 역시 커튼장치(V) 즉 한편으로는 강모보더(12)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링립(47)의 운동이 바닥흡입장치(43)의 바닥면과의 높이에 상관없이 작동된다. 바닥흡입장치(43)의 바닥면과의 높이는 도면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날개바퀴를 통해 항상 주어지도록 되어 있다.
바닥흡입장치의 각각의 작동상태는 표시램프(66-68)에 의해 나타내어 진다. 즉, 전기 스위치를 통해 표시램프(66)가 브러쉬의 흡입작동상태를 나타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는 하단스위치(69)가 내려진 위치에 머물러 있어서 정지피보트(83)가 고정부재(85)에 의해 붙잡혀 있게 되고 상단스위치(17)를 통한 접촉스위치(74)에 의해서 전기모터가 켜지도록 신호가 보내졌던 도 20 에 나타낸 스위치(17, 69)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1 에 따라 풋스위치(17)를 가볍게 누르면 접촉스위치(74)를 통해 브러쉬롤러(11)의 전기모터(12)가 꺼지도록 작동되고 표시램프(66)가 꺼진다. 단순한 흡입작동을 위한 새로운 작동상태는 다시 표시램프(67)를 통해 나타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튼장치(V)가 풋스위치(17)를 강하게 누름으로써 내려지고 따라서 브러쉬롤러(11)의 전기모터(12)가 차단되어지면 이 운용상태는 표시램프(68)를 통해 나타나고 각각의 앞선 운용상태에 따라 표시램프(66) 또는 표시램프(67) 중 하나가 끼지도록 된다.
도 23 에서 알 수 있듯이 커튼장치(V)가 내려진 상태에서는 하단스위치(69)가 높게 스윙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단스위치 즉 풋스위치(17)의 가벼운 작동이 실행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상단스위치 즉 풋스위치(17)가 실행피보트(73)를 가지고 하단스위치(69)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단지 풋스위치(17)를 강하게 작동시킬 경우만이 작동이 되도록 하여 실행피보트(73)를 통한 하단스위치(69)는 정지피보트(83)가 고정부재(85)의 조종경사면(87)을 따라서 조종장치(84)와 연접되도록 고정부재를 회전이동 시킨다.
나아가 표시램프(66-68)는 작동장애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쉬롤러가 장애에 걸렸을 때, 또는 카페트올 같은 것이 브러쉬롤러(11)에 말려들어갈 때 모든 표시램프(66-68)가 깜박거리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흡입장치가 설치되이 있는 전기 진공청소기의 개략도,
도 2 는 위에서 내려다본 바닥흡입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낸 투시도,
도 3 은 실시예 1 의 풋스위치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 는 기본 위치에 있을 때의 풋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도 4의 기본 위치에 있는 풋스위치를 더욱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 은 도 5에서와 같이 풋스위치가 위치할 경우 커튼장치 형태로 구성된 강모보더(bristle strip)와 실링립(sealing lip)의 위치를 도 2 의 V1-V1 라인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풋스위치의 두 번째 위치를 나타낸 도 5 에 상응하는 측면도,
도 8 는 풋스위치의 세 번째 위치를 나타낸 도 5 에 상응하는 측면도,
도 9 는 도 8 의 풋스위치의 위치에 따른 도 6 이 상응하는 단면도,
도 10 은 카페트 바닥에서의 운용시 실시예 2 에 따른 바닥흡입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 은 도 10 에 따른 실시예를 딱딱한 바닥에서 작동중일 경우를 나타낸바닥흡입장치의 측면도,
도 12 는 도 10 에 따른 카페트 운용시 실시예 3 에 따른 바닥흡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 은 도 12 에 따른 실시예를 딱딱한 바닥에서 작동중일 경우를 나타낸 바닥흡입장치의 측면도,
도 14 는 도 12 및 도 13 에 따른 바닥흡입장치 내에 장착된 실링립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 는 도 14 에 따른 실링립이 작동되는 상태를 연속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6 은 바닥흡입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사시도,
도 17 은 실링립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풋스위치의 작동과 연결시켜 나타낸 단면도,
도 18 은 도 17 에 상응하여, 풋스위치의 작동과 연동되어 실링립이 내부로 들어오는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 는 바닥흡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4 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 은 커튼장치가 들어 올려져 있을 때의 작동상태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바닥흡입장치의 절개단면도,
도 21 은 풋스위치를 가볍게 누를 경우의 제 20 도에 따른 단면도,
도 22 는 풋스위치를 세게 누를 경우의 제 20 도에 따른 단면도,
도 23 은 도 20 에 따른 커튼장치가 아래로 내려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4 는 커튼장치를 들어 올리고 내리기 위한 기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Claims (33)

  1. 회전구동되는 브러쉬롤러(11) 및 진공실(15)을 포함하고 있으며, 흡입관입구부(10')가 커튼장치(V)에 의해서 한정되어 있으며, 커튼장치(V)는 바닥흡입장치(10, 43)에 대해서 상하이동토록 되어 있는 바닥흡입장치(10, 43)에 있어서, 커튼장치(V)가 흡입관입구부(10')의 바닥면과의 간극에 관계없이 풋스위치(17) 및 슬라이더(48), 또는 풋스위치(17)나 슬라이더(48)에 의해서 상하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진공실(15)은 커튼장치(V)에 의해서 한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바닥흡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커튼장치(V)가 풋스위치(17)에 의해서 내려진 위치에서 올려진 위치로 혹은 그 반대로 피보트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커튼장치(V)가 슬라이더(48)의 수평이동에 의해서 내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커튼장치(V)가 측면장치(54)내에서 이동되게 하여 틀테두리(56)가 병진적 운동을 함으로써 커튼장치(V)가 상하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압력스프링(21, 22)에 의해서 커튼장치(V)가 내려진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틀테두리(56)가 회전축(b)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회전축(b)이 병진운동이 가능한 활판(57)에 의해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커튼장치(V)의 내리고 올림이 실링립(47)의 접고펴기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펼친 실링립(47)이 바닥흡입장치(43)의 바닥면(53)과 접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10.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실링립(47)의 접고 펴기가 실링립(47)의 접혀지는 단부의 수평이동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진공실(15)의 한정이 일부는 고정된 커튼장치(V)를 통해서 그리고 일부는 이동성 커튼장치(V)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커튼장치(V)가 실링립(47)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커튼장치(V)가 강모보더(19)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커튼장치(V)가 올려진 위치에서 스위치작동에 의해 아래의 바닥에 내려진 위치로 이동케하고, 동시에 브러쉬롤러(11)의 전기모터(12)가 켜지고 꺼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커튼장치(V)가 내려진 위치에서 전기모터(12)가 꺼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커튼장치(V)가 들어올려진 위치에서 전기모터(12)가 켜지거나 꺼질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풋스위치(17)가 보덴와이어(23)를 통해 커튼장치(V)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커튼장치(V)가 압력스프링(21)을 통해 내려진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강모 또는 강모보더(19)는 브러쉬롤러(11) 앞에 실링립(2())은 브러쉬롤러(11) 뒤에 배치되어 있고, 실링립(20)이 강모보더(19)와 함께 동일한 방식으로 수직으로 상하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스위치(17, 69)가 함께 배치되어, 하단스위치(69)가 상단스위치(17)를 통해 작동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하단스위치(69)가 상단스위치(17)에 의해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단스위치(17)를 하단스위치(69)와 스프링으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하단스위치(69)를 흡입장치의 케이스(13)에 탄력적으로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하단스위치(69)가 스틱(70)을 통해 커튼장치(V)의 틀테두리(56)를 수평으로 이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틀테두리(56)가 이동가능하게 놓여있는 측면장치(54)는 한면은 바닥금속판(81)에 의해서 다른 한면은 케이스쪽의 덮개(60)에 의해서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단 및 하단스위치(17, 69) 각각이 접촉스위치(74, 75)를 작동케하고, 이 두 개의 접촉스위치(74, 75)가 브러쉬롤러의 작동을 켜거나 끄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27. 제 20 항에 있어서, 하단스위치(69)의 작동을 통해 커튼장치(V)가 내려진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28. 제 20 항에 있어서, 브러쉬롤러(11)작동과 흡입작동, 단순 흡입작동, 커튼장치(V)가 아래로 내려진 상태에서의 흡입작동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램프(66-68)가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브러쉬롤러(11) 작동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모든 표시램프(66-68)의 깜박임작동이 켜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30. 제 1 항에 있어서, 스위치위치에 대응하는 정지수납공간(A, B, C)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장치(35)와 함께 작동되는 정지피보트(38)가 풋스위치(17)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측면장치(35)가 회전이동 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회전운동중에 정지피보트(38)에 의해서 조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32. 제 17 항에 있어서, 보덴와이어(23)의 조정피보트(29)가 하드보드(26)의 구멍(28)에서 풋스위치판(25)을 통해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풋스위치판(25)안에 조종만곡부(27)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조정피보트(29)가 이동되도록 되어있으며, 세 번째 스위치 위치에 이를 경우에만 조정피보트(29)가 이동되도록 조정만곡부(2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흡입장치.
KR1019940014765A 1993-06-25 1994-06-25 전기진공청소기의바닥흡입장치 KR100382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9309459U DE9309459U1 (de) 1993-06-25 1993-06-25 Saugmundstück für ein Reinigungsgerät, insbesondere Staubsauger
DEG9309459.0 1993-06-25
DE4341106 1993-12-02
DEP4341106.1 1993-12-02
DEP4403971.9 1994-02-08
DE4403971A DE4403971B4 (de) 1993-06-25 1994-02-08 Bodensauggerät, insbesondere Vorsatz oder Teil eines Elektro-Staubsaug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115A KR950000115A (ko) 1995-01-03
KR100382407B1 true KR100382407B1 (ko) 2003-06-09

Family

ID=2720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765A KR100382407B1 (ko) 1993-06-25 1994-06-25 전기진공청소기의바닥흡입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630604B1 (ko)
KR (1) KR100382407B1 (ko)
CN (1) CN1103572A (ko)
AT (1) ATE170378T1 (ko)
DE (3) DE4403971B4 (ko)
DK (1) DK0630604T3 (ko)
ES (1) ES2120546T3 (ko)
MY (1) MY124428A (ko)
TW (1) TW3022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8036A (zh) * 2019-03-22 2019-05-17 苏州展翘电器有限公司 一种滚刷自适应吸尘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92882C (en) * 1996-01-23 2002-04-16 Shigenori Hato Suction tool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DE102004006350A1 (de) * 2004-02-10 2005-08-25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odendüse für einen Staubsauger
ITMI20041075A1 (it) 2004-05-28 2004-08-28 New Ermes Europe Spa Meccanismo perfezionato per movimentare un inserti di sfregamento-sollevamento in una testa di aspirazione per aspirapolvere
DE102004033736A1 (de) * 2004-07-13 2006-02-02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orsatzgerät für einen Staubsauger
DE102005041810A1 (de) * 2005-09-02 2007-03-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bodendüse mit Schaltvorrichtung
DE102008012889B4 (de) * 2008-03-06 2012-04-19 Wessel-Werk Gmbh Saugdüse für Bodenstaubsauger
DE102008064211A1 (de) 2008-12-08 2010-06-1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lektromotorisch betriebenes Flächenbearbeitungsgerät
DE102013223863A1 (de) 2013-11-21 2015-05-21 BSH Hausgeräte GmbH Saugdüse für einen Staubsauger
EP2939581B1 (de) * 2014-04-29 2017-03-01 Miele & Cie. KG Selbstfahrendes reinigungsgerät und betriebsverfahren für ein selbstfahrendes reinigungsgerät
DE102014106192A1 (de) * 2014-05-05 2015-11-05 Miele & Cie. Kg Staubsaugermund für einen Staubsauger oder eine Staubsaugerdüse
DE102015105229A1 (de) * 2015-04-07 2016-10-1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orrichtung für ein ein saugendes Gebläse aufweisendes Reinigungsgerät
DE102015105228B4 (de) * 2015-04-07 2019-08-22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orrichtung für ein ein saugendes Gebläse aufweisendes Reinigungsgerät
JP6560921B2 (ja) * 2015-07-14 2019-08-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9152501B (zh) * 2016-05-11 2022-09-13 伊莱克斯公司 调整机器人清洁设备的高度
DE202016103041U1 (de) * 2016-06-08 2017-09-1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orrichtung für ein ein Sauggebläse aufweisendes Reinigungsgerät
CN106175589B (zh) * 2016-07-11 2019-03-08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地刷组件及吸尘器
DE102016215954B3 (de) * 2016-08-25 2018-01-04 Markus Kress Handgeführtes Reinigungs- und Pflegegerät
CN107242837B (zh) * 2017-08-23 2019-10-15 扬州市神力吊具制造有限公司 自动扫地机器人
US11224319B2 (en) 2017-12-11 2022-01-18 New Ermes Europe S.R.L. Base plate for a vacuum cleaner suction head for the suction of fine dust and large debris
CN108392146A (zh) * 2018-05-07 2018-08-14 江苏纽唯盛机电有限公司 一种地刷装置及具有其的清洁设备
CN108742310B (zh) * 2018-08-02 2023-08-08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的地刷驱动装置
JP1641037S (ko) 2018-09-18 2019-09-09
KR102386699B1 (ko) * 2019-10-29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USD953673S1 (en) 2020-02-17 2022-05-31 New Ermes Europe S.R.L. Head of a vacuum cleaner
JP2022136424A (ja) * 2021-03-08 2022-09-21 オムロン株式会社 清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90219A (en) * 1966-11-28 1970-04-29 Electrolux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cuum Cleaners
JPS5084166A (ko) * 1973-11-27 1975-07-07
US4014068A (en) * 1975-04-03 1977-03-29 The Hoover Company Brush mounting and torsion spring support for powered nozzle
EP0158145B1 (en) * 1984-03-19 1988-10-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zzl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DE8437619U1 (de) * 1984-12-21 1986-04-1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Mit Laufrädern versehenes Bürstsaugmundstück
EP0307881B1 (en) * 1987-09-16 1993-0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oor nozzle of a vacuum cleaner
US5054156A (en) * 1988-04-20 1991-10-08 Hitachi, Ltd. Suction nozzle with rotary brush for vacuum cleaner
DE9200692U1 (ko) * 1992-01-22 1992-04-23 Kurz, Gerhard, 7000 Stuttgart, 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8036A (zh) * 2019-03-22 2019-05-17 苏州展翘电器有限公司 一种滚刷自适应吸尘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572A (zh) 1995-06-14
DE59406803D1 (de) 1998-10-08
DE4403971B4 (de) 2007-03-01
EP0630604A1 (de) 1994-12-28
DE9422149U1 (de) 1998-07-16
KR950000115A (ko) 1995-01-03
TW302276B (ko) 1997-04-11
ES2120546T3 (es) 1998-11-01
DE4403971A1 (de) 1995-01-05
MY124428A (en) 2006-06-30
EP0630604B1 (de) 1998-09-02
DK0630604T3 (da) 1999-05-31
ATE170378T1 (de)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407B1 (ko) 전기진공청소기의바닥흡입장치
KR100599416B1 (ko) 바닥용 흡입구
KR101350757B1 (ko) 표면 처리 헤드
US6039817A (en) Edge and spot cleaning system for vacuum cleaners
KR20180072763A (ko) 표면 청소 헤드
KR10132224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및 그 높이조절방법
US20040148732A1 (en) Endpiece for a vacuum cleaner
KR20040107357A (ko) 전기 소제기
JP5156500B2 (ja) 真空掃除機用の吸引ブラシ
JP2002165731A (ja) 電気掃除機
JP3047555B2 (ja) 掃除機の床ノズル及び自走式掃除機
JP6579814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102015320B1 (ko) 청소기
KR100194069B1 (ko) 소형 전기 소제기
JPH08322763A (ja) ガラス窓清掃装置
JPH08299230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JP2002000512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H1011096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1299627C (zh) 用于真空吸尘器上的地板吸尘嘴
JP3066544B2 (ja) 電気掃除機の床ブラシ
JP2008289671A (ja) 電気掃除機用アタッチメント
CN219982792U (zh) 清洁装置
KR200181859Y1 (ko) 가변형 흡입구를 가진 진공청소기
JP2001128900A (ja) ガラス清掃方法及びその装置
JPS6048173B2 (ja) 真空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