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392B1 -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392B1
KR100382392B1 KR10-2000-0054002A KR20000054002A KR100382392B1 KR 100382392 B1 KR100382392 B1 KR 100382392B1 KR 20000054002 A KR20000054002 A KR 20000054002A KR 100382392 B1 KR100382392 B1 KR 10038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main body
fluid flow
flow path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194A (ko
Inventor
사부로 기타야마
야수오 나까다
게이치 미오기
Original Assignee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70Devices for cutting weft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사단 처리장치는 위사단 절단용 컷터에 관하여 반급사측의 직단측과 반대쪽에 배치되고, 직기의 프레임에 지지된 본체와 위입된 위사의 단부를 상기 본체의 양측 위사부분에 접하면서, 바디의 이동에 따라 직전측을 향해 이송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한다. 본체는 바디의 요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해 있는 유체 유로를 가짐과 동시에, 위사단부의 이동경로상에서 상기 위사단부의 연장방향으로 개구하고 유체 유로까지 이르는 슬릿을 갖는다. 본체와 상기 이송부재와는 직폭영역 내에 있어서의 위사의 바디침에 앞서 위사단부가 슬릿 내에 도입되는 위치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Description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Weft End in Shuttleless Loom}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유체 분사식 직기와 같은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사에의 장력부여기능 및 사단처리기능을 겸비한 위사단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위입된 위사를 바디침에 앞서 긴장시켜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기능 및 사단처리사를 이용하지 않고 유체에 의해 위사단부의 포착·배출을 행하는 사단처리기능을 겸비한 위사단 처리장치의 하나로서, 사단을 흡인하는 흡인관을 반급사측에 배치한 것이 있다(실공평4-26463호, 특개평52-42375호). 이 종래기술에 있어서, 흡인관은 경사의 이동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는 흡인구를 갖고, 상기 흡인구는 위입된 위사의 선단이 도달하는 위치로부터 직전을 포함하는 위치까지 연장하여 개구한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흡인구가 광범위하게 개구하는 흡인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장력을 위사에 작용시킬 수 없고, 흡인관 만으로는 만족스러운 장력을 위사에 부여할 수 없다. 흡인관 만으로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블로워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단처리사를 없애고 러닝코스트를 경감한다는 본래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위사에 대한 장력부여 또는 장력유지를 위한 다른 기구를 부가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하면 구성이 복잡해 질 뿐만 아니라, 위사에 부여하는 장력의 조정 등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위사에의 장력부여기능 및 위단처리기능을 겸비한 다른 위사단 처리장치의 하나로서, 유체의 분출관과 흡인관을 반급사측에 경사의 이동방향과 마주보게 하여배치하고, 분출관과 흡인관과의 사이에 제트류를 형성하는 것이 있다(특공소47-42075호).
상기 다른 종래기술에 있어서, 분출관과 흡인관은 위입된 위사의 선단이 도달하는 위치로부터 직전(clothfell)을 포함하는 위치까지 경사의 이동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다. 위입된 위사의 선단은 분출관에 의해 형성되는 제트류 내에 직접 도달하고, 그 제트류를 타고 흡인관 내로 도입된다.
그러나, 다른 종래기술에서는 분출관과 흡인관과의 사이로 들어온 위사의 선단이 제트류에 직접 부딪치기 때문에, 그 위사의 선단이 제트류에 의해 튕길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 결과, 위사단이 흡인관 내에 도입되지 않고, 장력부여 및 사단처리가 전혀 행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위사의 포착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안정하고 확실한 장력부여 및 사단처리가 행해지는 위사에의 장력부여기능 및 사단처리기능을 겸비한 위사단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위사단 처리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위사단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낸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5는 도3에 나타낸 본체의 확대도이다.
도6은 도3에 나타낸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7은 도1에 나타낸 위사단 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제1의 공정을 나타낸 도면, (B)는 제1의 공정에 있어서 본체에 대한 위사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C)는 제2의 공정을 나타낸 도면, (D)는 제2의 공정에 있어서 본체에 대한 위사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E)는 제3의 공정을 나타낸 도면, (F)는 제3의 공정에 있어서 본체에 대한 위사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직전에 대한 본체의 배치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직전에 대한 본체의 배치위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위사단 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 위사단 처리장치 12, 70: 본체
14, 80: 이송부재 16: 컷터
28: 직기의 프레임 30: 바디
40, 74: 슬릿 42: 공간부
44, 76: 유체 유로 46: 유체 유로의 상류쪽 영역
48: 유체 유로의 하류쪽 영역 50: 호상 가이드면
78: 안내판 CF: 직전
CL: 직단 WE: 위사
본 발명에 관한 무북직기의 위사단 처리장치는 위사단 절단용 컷터에 관하여 반급사측의 직단측과 반대쪽으로 배치되고, 직기의 프레임에 지지된 본체와, 위입된 위사의 단부를 상기 본체의 양측 위사부분에 접하면서, 바디의 이동에 따라 직전쪽을 향해 이송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바디의 요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유체 유로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위사단부의 이동경로상에서 그 위사단부의 연장방향으로 개구하고, 상기 유체 유로까지 이르는 슬릿을 갖는다. 상기 본체와 상기 이송부재는 직폭영역 내에 있어서 위사의 바디침에 앞서 상기 위사단부가 상기 슬릿 내에 도입되는 위치관계로 유지되고 있다.
위입된 위사의 단부는 바디의 전진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재에 의해 직전쪽으로 옮겨져, 그 이동경로상에 개구되고 유체 유로까지 미치는 슬릿 내에 도입된다. 이 때 위사단부는 본체의 양측 사부분이 이송부재에 접해진 상태로 운반되기 때문에 슬릿 내에 확실하게 운반됨과 동시에, 슬릿을 통해 본체내의 유체의 작용영역에 확실하게 도달한다.
위사단부는 본체내의 유체작용영역에 도달하면, 본체내의 유체 유로 내에 확실하게 도입되어 굴곡되고, 그것에 의해 유체 및 유체 유로의 벽과의 마찰로 긴장된다. 위사단부는 위사가 경사에 구속되는 바디침의 전에 슬릿 내에 도입되고, 그것에 의해 위사의 포착 및 장력부여가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광범위하게 작용시키는 유체 유로를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러닝코스트가 경감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장력이 위사에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바디의 요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체 유로와, 위사단부를 상기 유체 유로로 안내하는 슬릿을 본체에 형성하고, 위사단부를 이송부재에 의해 슬릿을 거쳐 유체작용영역으로 옮기도록 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위사의 포착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안정하고 확실한 장력부여 및 사단처리가 행해진다.
상기 이송부재는 바디의 요동방향에 있어서 바디와 같은 위치에서 요동되는 부재이고, 또한 상기 슬릿의 위사 수입구측단은 직전보다도 경사 송출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하면, 위사단부를 바디침에 앞서 슬릿 내에 도입하기 위한 다른 기구가 불필요하게 되고, 구성이 더 간략해진다.
상기 슬릿의 안쪽단은 직전보다도 경사 송출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하면, 위사단부가 직전보다도 경사 송출측에 있어서 유체 유로를 지나는 유체에 포착되기 때문에 위사단부가 직단과의 사이에서 굴곡하고, 장력이 위사에 더 부여된다.
상기 슬릿의 안쪽단은 상기 유체 유로의 중심부근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하면, 유체를 그 흐름이 강한 위치에서 위사에 작용시키게 되므로, 유체 통로로의 위사의 도입 및 포착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상기 유체 유로는 상기 슬릿보다도 하류쪽의 영역으로, 상기 슬릿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그와 같이 하면, 슬릿으로의 위사의 진입방향에 대해 위사가 도입되는 하류쪽 유체의 흐름을 이루는 각도가 크기 때문에, 위사가 보다 부드럽게 유체 유로에 도입된다.
상기 유체 유로는 상기 슬릿보다도 더 상류쪽의 영역을 갖고, 상기 하류쪽의 영역은 상기 상류쪽의 영역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와 같이 하면, 상류측 영역에서 하류측 영역으로의 유체의 흐름이 부드럽게 되기 때문에, 양 영역의 직경이 같은 경우와 비교하여, 사단이 하류측 영역으로 부드럽게 도입된다.
실시예
도1에서 도6을 참조하는데, 위사단 처리장치(10)는 블록상의 본체(12)와 위사단부를 전진시키는 이송부재(14)를 포함한다. 위입된 위사 및 그 단부는 각각 도1, 도3, 도5 및 도6에 있어서, 지면과 직각의 상태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바디(30) 및 이송부재(14)에 의해 이동된다.
본체(12)는 위사단 절단용 컷터(16), 방수판(18) 및 필러(20)에 관하여 반급사측의 직단(CL)측과 반대쪽(위사의 이동방향 하류쪽)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스테이(22), 브래킷(24), 템플바(26) 등을 통해 직기의 프레임(28)에 지지되어 있다.
이송부재(14)는 위입된 위사의 반급사측 단부를 바디(30)의 이동에 따라 직전(CF)쪽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리드홀더(34)에 부착되어 있다. 리드홀더(34)는 슬레이 스워드(36)에 의해 록킹샤프트(38)에 부착되어 있고, 또한 록킹샤프트(38)에 의해 요동되어 이송부재(14)를 바디(30)와 함께 요동시킨다.
도3에서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체(12)는 위사단부가 도입되는 횡U자상의 슬릿(40)과, 사단처리용의 유체가 공급되는 공간부(42)와, 상단부에 있어서 공간부(42)로 연결하여 통하는 유체 유로(44)를 갖는다. 유체 유로(44)는 같은 축으로 형성된 상류쪽 유로 즉 상류측 영역(46)과 하류쪽 유로 즉 하류측 영역(4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슬릿(40)은 본체(12)의 두께방향(위입방향) 양측에 개방하여 있음과 동시에, 경사의 주행방향 상류쪽(경사 송출측)에 개구하여 있다. 상기 슬릿(40)의 위사 수입구측단인 개구단은 위사단부를 슬릿(40)으로 안내하도록 본체(12)에 형성된 상하의 호상 가이드면(50)에 이어져 있다. 슬릿(40)의 개폐측단(안쪽단)은 하류측 영역(48)의 상부에 도달하여 하류측 영역(48)에 연결하여 통해 있고, 또한 하류측 영역(48)의 중심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유체 분사용 파이프(52)는 그 일단부를 공간부(42)에 끼우고, 나사구멍(54)에 박히는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본체(12)에 부착된다. 파이프(52)는 펌프, 블로워 등의 압축유체 공급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어, 물, 공기 등의 유체를 공급한다.
위사포착용 파이프(56)는 그 단부를 하류측 영역(48)에 끼우고, 나사구멍(58)에 박히는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본체(12)에 부착된다. 파이프(56)는 사사(捨絲) 회수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고, 위사단부는 직폭영역의 부위로부터 절단된 후에 유체와 함께 사사 회수수단으로 배출된다. 위사단 처리용의 유체가 액체인 경우, 그 액체는 사사 회수수단에 있어서 회수되고, 다시 사단처리에 이용하도록 순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의 영역(46, 48)은 하류측 영역(48)의 축선이 슬릿(40)에 대해 90°보다 큰 즉 둔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류측 영역(46)의 직경(D1)과 하류측영역(48) 특히 파이프(56)의 내경(D2)은 D1<D2의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이(22)는 본체(12)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류측으로 개구하는 횡U자상의 절흠부(60)를 갖는다. 스테이(22)는 본체(12)의 슬릿(40)이 경사의 주행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절흠부(60)를 이용하여 도1 및 도2에 나타낸 복수의 볼트(62)에 의해, 브래킷(24)에 부착된다. 경사의 주행방향에 있어서 본체(12)의 위치는 브래킷(24)에의 스테이(22)의 부착위치를 변경 또는 조정함으로써, 변경 또는 조정할 수 있다.
경사의 주행방향에 있어서 본체(12)의 위치는 도시한 예에서는 슬릿(40)의 안쪽단이 직전(CF) 보다도 경사 송출측(경사 주행방향 상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경사에 부여되는 장력이 경사의 주행방향에 있어서 슬릿(40)의 안쪽단과 직전(CF)과의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경사 주행방향에 있어서 본체(12)의 위치는 위사의 종류, 부여해야 할 장력 등에 따른 적당한 위치로 설정되고 유지된다.
이송부재(14)는 도시한 예에서는, 반급사측의 직단(CL)보다 바깥쪽에 있고 경사 주행방향에 있어서 바디(30)의 위치와 같은 위치가 되도록, 리드홀더(34)에 부착된 플레이트상 부재이다. 이송부재(14)는 도시한 예에서는 1 이상의 판상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한 본체(12), 컷터(16), 방수판(18), 필러(20) 등이 통과 가능한 1 이상의 절흠(64)(도2 참조)을 갖는다. 그러나, 이송부재(14)는 바디(30) 그 자체여도 좋고, 바디(30)를 도시한 위치까지 연장시키고, 바디칼을 홈을 내어 상기와 같은 절흠(64)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컷터(16)는 고정도와 가동도를 갖춘 이미 알려진 것이다. 따라서, 고정도는 컷터브래킷(66)에 부착되어 있고, 가동도는 컷터브래킷(66)에 추축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가동도는 복수의 요동암(68)을 포함하는 구동기구에 의해 고정도에 대해 요동되어 위사를 절단한다.
방수판(18)은 워터 제트 직기의 경우에 필러(20)가 위입용 유체인 물의 영향을 받아 오작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필러(20)에 부착되어 있다. 다만, 에어 제트 직기의 경우나, 워터 제트 직기라도 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형식의 필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수판(18)은 생략할 수 있다. 필러(20)는 위사가 소정의 위치까지 위입된 것을 검지하는 기존의 센서이고, 템플바(26)에 부착되어 있다.
도7을 참조하여, 위사단 처리장치(10)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위입된 위사(WE)는 도7(A) 및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체(12)를 지나 바디(30) 및 이송부재(14)의 전방을 반급사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위사(WE)는 바디(30)에 의해 직전(CF)을 향해 전방으로 운반된다. 이 때, 반급사측의 직단(CL)보다도 바깥쪽에 위치하는 위사단부는 이송부재(14)에 걸리면서 이송부재(14)에 의해 전방(화살표 방향)으로 운반된다.
계속해서, 위사(WE)의 위사단부는 도7(C) 및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직전(CF)에 바디침 되기 전에, 슬릿 내에 그 개구측단으로부터 도입되고, 슬릿(40) 내를 전방으로 더 운반되어, 본체(12) 내를 흐르는 압축유체의 작용영역에 도달한다. 이 때, 위사단부는 위사의 진행방향(위입방향)에 있어서의 슬릿(40)의 양측에서 이송부재(14)에 접해있기 때문에, 압축유체에 의해 튕기어 나가지 않고 유체작용영역에 확실하게 도입되고, 슬릿(40)의 안쪽단에 확실하게 운반된다. 또한, 슬릿(40)의 위사 수입구측단이 직전(CF) 보다도 경사 송출측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직전(CF)으로의 위사(WE)의 바디침에 앞서 위사단부를 슬릿(40) 내로 도입하기 위한 다른 기구가 불필요하고, 구성이 간략해진다.
계속해서, 위사단부는 압축유체에 의해 하류측 영역(48) 내 및 위사 포착용 파이프(56) 내로 들어가, 확실하게 포착됨과 동시에 확실하게 긴장된다. 이에 의해, 위사단부가 경사열에 구속되기 전에 압축유체에 포착되고, 직폭영역 내의 위사(WE)에 충분한 장력이 작용한다.
그 후, 도7(E) 및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WE)는 충분한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직전(CF)에 바디침된다. 위사(WE)에의 장력은 압축유체에 의해 부여될 뿐만 아니라, 슬릿(40)의 안쪽단이 직전(CF)보다 경사 송출측에 위치함으로써 기인하는 위사단부의 굴곡에 의해서도 부여된다. 또한, 위사단부의 포착 및 그 유지는 압축유체에 의해 행해질 뿐만 아니라, 위사단부의 굴곡이나 위사단부와 유체 유로(44)의 벽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도 행해진다.
위사단부의 긴장 및 포착은 압축유체에 의한 견인력이 바디침 후에도 위사단부에 계속해서 작용하기 때문에, 바디침 후에도 계속 유지된다. 그와 같이 단부를 긴장 및 포착된 위사(WE)는 수 픽의 위입 후에 위사단부가 컷터(16)의 작용영역에 도달한 시점에서 직폭영역 내의 부분으로부터 잘려진다. 절단된 사부분은 압축유체에 의해 포착용 파이프(56)를 통해 배출된다.
위사단 처리장치(10)는 위사단부를 바디(30)와 함께 요동되는 이송부재(14)에 의해 본체의 유체작용영역으로 운반하는 구조임과 동시에, 본체(12)의 유체 유로(44)가 바디(30)의 요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체를 광범위하게 작용시키는 유체 유로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러닝코스트가 경감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장력이 위사(WE)에 부여된다.
위사단 처리장치(10)와 같이, 유체 유로(44)의 하류측 영역(48)이 상류측 영역(46)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 상류측 영역(46)으로부터 하류측 영역(48)으로의 유체의 흐름이 부드럽게 되고, 그 결과 양 영역(46, 48)의 직경이 같은 경우와 비교하여 위사단부가 하류측 영역(48)에 부드럽게 들어간다. 그러나, 양 영역(46, 48)의 직경을 같게 해도 좋고, 이 경우 유체가 슬릿(40)으로부터 그 개구쪽으로 유출하지 않도록 적절히 고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체 유로(44)의 하류측 영역(48)이 슬릿(40)에 대하여 둔각을 가지면, 슬릿(40)으로의 위사(WE)의 진입방향에 대한 하류측 유체 흐름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고, 그 결과 위사(WE)가 부드럽게 유체 유로(44), 특히 하류측 영역(48)으로 도입된다. 그러나, 하류측 영역(48)을 슬릿(40)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연장시켜도 좋다.
게다가, 슬릿(40)의 안쪽단이 유체 유로(44)의 중심부근에 위치하면, 유체를 그 흐름이 강한 위치에서 위사에 작용시키게 되므로, 유체 통로로의 위사(WE)의 도입 및 포착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그러나, 슬릿(40)의 안쪽단이 유체 유로(44)의 중심보다도 전방(경사의 이동방향 상류쪽) 또는 후방(경사의 이동방향 하류쪽)이 되도록 슬릿(40)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블록상의 본체(12)에 슬릿(40) 및 유체 유로(44)를 형성하고 있지만, 도8에 나타낸 본체(70)와 같이, 파이프상의 부재(72)를 이용하고, 상기 파이프상 부재(72)에 슬릿(74)을 형성하고, 파이프상 부재(72)의 내부를 유체 유로(76)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위사를 슬릿(74)으로 안내하는 호상 가이드면(50)을 갖는 1 이상의 안내판(78)을 파이프상 부재(72)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의 안쪽단이 직전(CF)보다 경사 송출측에 위치하도록 본체를 위치시키는 대신에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40)의 안쪽단이 직전(CF) 이후의 직포측에 위치하고, 슬릿(40)의 개구측단이 직전(CF)보다 경사 송출측에 위치하도록 본체(12)를 위치시켜도 좋다.
또한, 슬릿의 개구측단이 직전(CF)보다 경사 송출측에 위치하도록 본체를 위치시키는 대신에, 슬릿의 개구측단이 직전(CF) 이후의 직포측에 위치하도록 본체를 위치시켜도 좋다. 이 경우, 직폭영역 내에 있어서의 위사의 바디침에 앞서 위사단부가 슬릿 내에 도입되도록, 이송부재를 바디와 같은 위치에서 요동시키는 대신,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부재(80)를 바디(30)보다 선행하여 직전(CF)쪽으로 이동시키고, 직전(CF)보다 직포측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0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부재(80)는 캠 기구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요동되는 요동암(82)에 부착되어 있다. 이송부재(80)는 위입에 지장을 가져 오지 않도록 위입이 종료할 때까지는 바디(30)와 같은 위치에 후퇴되어 있고, 위입 종료후에 바디(30)보다 선행하여 요동하도록 구동된다.
압축유체 공급장치로부터의 압축유체를 유체 유로의 상류쪽에서 하류쪽을 향해 분사하는 대신, 하류쪽 유로에 흡인장치를 연결하여 유체 유로를 그 하류쪽으로부터 흡인해도 좋고, 압축유체 공급장치와 흡인장치 양자를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위사의 포착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안정하고 확실한 장력부여 및 사단처리가 행해지는 위사에의 장력부여기능 및 사단처리기능을 겸비한 위사단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위사단 절단용 컷터(16)에 관하여 반급사측인 직단측과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고, 직기의 프레임(28)에 지지된 본체(12, 70)와, 위입된 위사(WE)의 단부를 상기 본체의 양측 위사부분에 접하면서, 바디(30)의 이동에 따라 직전(CF)측을 향해 이송하는 이송부재(14, 8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2, 70)는 바디(30)의 요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유체 유로(44, 76)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위사단부의 이동경로상에서 상기 위사단부의 연장방향으로 개구하고 게다가 상기 유체 유로까지 이르는 슬릿(40, 74)을 갖고,
    상기 본체(12, 70)와 상기 이송부재(14, 80)는 직폭영역 내에 있어서 위사(WE)의 바디침에 앞서 상기 위사단부가 상기 슬릿(40, 74) 내에 도입되는 위치관계가 유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14)는 바디(30)의 요동방향에 있어서 바디와 같은 위치에서 요동되는 부재이고, 또한 상기 슬릿(40, 74)의 위사 수입구측단은 직전(CF)보다도 경사 송출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40, 74)의 안쪽단은 직전(CF)보다도 경사 송출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40, 74)의 안쪽단은 상기 유체 유로(44, 76)의 중심 부근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로(44, 76)는 상기 슬릿(40, 74)보다도 하류쪽의 영역(48)으로 상기 슬릿(40, 74)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영역(4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로(44, 76)는 상기 슬릿(40, 74)보다도 더 상류쪽의 영역(46)을 갖고, 상기 하류쪽의 영역(48)은 상기 상류쪽의 영역(46)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
KR10-2000-0054002A 2000-01-20 2000-09-14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 KR100382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11622A JP3435379B2 (ja) 2000-01-20 2000-01-20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端処理装置
JP2000-11622 2000-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194A KR20010076194A (ko) 2001-08-11
KR100382392B1 true KR100382392B1 (ko) 2003-05-01

Family

ID=1853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002A KR100382392B1 (ko) 2000-01-20 2000-09-14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35379B2 (ko)
KR (1) KR100382392B1 (ko)
TW (1) TW5301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4113B2 (ja) * 2017-12-28 2021-10-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エアジェット織機における筬振れ量検知方法
IT201900014982A1 (it) 2019-08-23 2021-02-23 Santex Rimar Group S R L Dispositivo per il risparmio della trama in macchine per tessere
CN110541232A (zh) * 2019-09-30 2019-12-06 上海纺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喷水织机用的电动剪刀
JP7298965B1 (ja) * 2023-04-18 2023-06-27 網太株式会社 編網装置及び位置調整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35379B2 (ja) 2003-08-11
KR20010076194A (ko) 2001-08-11
TW530103B (en) 2003-05-01
JP2001200451A (ja) 200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4533A (en) Adjustment of filling tension in fluid jet loom and apparatus thereof
KR100382392B1 (ko) 무북직기에 있어서 위사단 처리장치
US4476903A (en) Shuttleless weaving machine
JP3025474B2 (ja) 剛性のグリッパ支持機構を案内および支持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織機
US20050077673A1 (en) Working station of a machine processing plate elements
US6220308B1 (en) Device for stretching and tensioning a weft yarn
JP4028349B2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把持装置
TW201918599A (zh) 劍桿織機的投緯裝置
KR20030091661A (ko) 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처리방법
JPH10245748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端処理方法及びそのためのウォータージェットルーム
JPH0571045A (ja) 無杼織機の緯糸処理装置
KR890001221B1 (ko)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처리방법
JPS6253444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TWI765116B (zh) 劍桿織機的投緯裝置
JPH10266046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JPS5925893Y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H0819595B2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RU1784680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зовани закладной кромки ткани на бесчелночном ткацком станке
JP2829704B2 (ja) 流体噴射織機の緯糸安定化装置
KR200356455Y1 (ko) 직기의 위사장력부여장치
JP2000034649A (ja) タックイン装置用緯糸グリッパ
JPH0616952Y2 (ja) 無杼織機のタックイン耳組装置
JPH07157949A (ja) 糸の繰り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211815A (ja) 糸吸引装置
JP2004256942A (ja) 織機の緯糸張力付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