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502B1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502B1
KR100380502B1 KR10-2000-0010400A KR20000010400A KR100380502B1 KR 100380502 B1 KR100380502 B1 KR 100380502B1 KR 20000010400 A KR20000010400 A KR 20000010400A KR 100380502 B1 KR100380502 B1 KR 100380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ord
back cover
terminal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729A (ko
Inventor
니타가즈토
츠카모토히로노리
요네야마마사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1000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60Q1/0094Arrangement of electronic circuits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e.g. mounting of housings for starter circuits for discharg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6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maintenance, e.g. changing the light bulb
    • B60Q1/0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maintenance, e.g. changing the light bulb via a removable c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F21S41/172High-intensity discharg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전 코드 설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고, 급전 코드 배치 작업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전 수단이 마련된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한다.
램프 본체(7)에 에이밍 기구를 매개로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가동식 리플렉터(18)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램프 본체(7)의 후배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백 커버(5)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이며, 상기 램프 본체(7)의 내부에 마련된 광원에 접속되도록 배치되는 급전 코드의 말단과, 상기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접속되도록 배치되는 전원 코드(9)의 말단을 도통시키는 단자(501)가 상기 백 커버(5)에 마련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VEHICLE LAMP}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 램프 등의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차량용 등기구의 광원과 그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배터리)을 도통시키기 위한 소정의 급전 수단이 마련된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량 헤드 램프 등의 차량용 등기구에 배치된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코드 배치 수단의 경우, 그 차량용 등기구를 구성하는 램프 본체의 후배면측에 배치되는 급전 부재, 구체적으로는 램프 본체 배면측으로부터 등의 실내로 향하도록 삽입 장착된 광원에 접속되며 후방에 배치되는 급전 코드를 소정의 전원(배터리)에 접속하는 작업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술이 일반적으로 채용되어 왔다.
즉,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는 광원(방전 전구)에 접속되는 제1 급전 코드(31a)를, 도시 생략한 점등 회로 유닛을 매개로 밸러스트 회로(도시 생략)를 내장하는 밸러스트(34)에 접속하고, 그 밸러스트(34)에 제2 급전 코드(31b)를 접속하여 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급전 코드(31b)의 말단을 미리 준비된 고무제 부싱(35)에 삽입하여 관통시킨 후, 램프 본체 부재(또는 부싱 고정 부재)(37)에 미리 형성된 급전 코드 지지 구멍(38)에 삽입하여 관통시킨다.
그리고, 제2 급전 코드(31b)에 삽입하여 관통되어 있던 상기 고무제 부싱(35)을 강제적으로 급전 코드 지지 구멍(38)에 끼워 넣는 동시에, 제2 급전 코드(31b)의 말단에는 그 말단 부분을 수납하여 도시하지 않은 전원(배터리)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33)를 부착하는 기술이다.
또한, 상기 점등 회로 유닛은 방전 전구(도시 생략)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점등을 개시하는 데에 필수적인 부재로, 전자 부품이나 트랜스 등의 점등 회로 구성 부품을 수용하는 유닛이며, 밸러스트 회로는 방전 전구에 안정된 방전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필수적인 회로이다.
여기서, 도 12에서는 리플렉터(36), 방전 전구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를 예로 들었지만, 백열 전구나 할로겐 전구를 광원으로서 이용한 경우에도, 그 광원에 접속되는 제1 급전 코드(31a)에 부싱(35)을 삽입하여 관통시켜, 그 부싱(35)을 소정의 급전 코드 지지 구멍(38)에 끼우고, 그 말단 부분에 커넥터(33)를 부착하는 기술이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급전 코드(31)에 대한 부싱(35)의 부착 작업, 소정의 급전 코드 지지 구멍(38)에 대한 급전 코드(31) 말단의 삽입 관통 작업, 그리고 급전 코드 지지 구멍(38)에 대한 부싱(35)의 부착 작업 등은 꽤 복잡하고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리플렉터(36)와 방전 전구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광원 후방의 공간(40)이 좁기 때문에 그 작업이 한층 더 오래 걸리고 번거로운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 램프 등의 차량용 등기구의 급전 코드 배치에 관련되는 여러 가지 부재의 조립성 등을 개선하여, 급전 코드 배치 작업의 간소화, 용이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급전 코드 배치 작업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전 수단이 마련된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후배면측에 배치되는,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수단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는 제2 실시예의 급전 수단의 급전 코드의 말단이 커넥터 케이스(13)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상기 급전 코드의 말단이 커넥터 케이스(13)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커넥터 케이스(13)를 위쪽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4a는 백 커버(5b)를 안쪽(광원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 4b는 백 커버(5b)의 내측면에 형성된 커넥터 케이스 부착부(A 부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백 커버(5b)의 측면도.
도 6은 도 5와 동일한 백 커버(5b)의 배면도.
도 7a는 상기 백 커버(5b)를 도 4(a)의 화살표 Ⅰ-Ⅰ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7b는 상기 백 커버(5b)를 도 6의 화살표 Ⅱ-Ⅱ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8은 램프 본체(7)의 후배면에 형성된 개구부(15)의 정면도.
도 9는 백 커버(51, 52)가 사등식 헤드 램프(10)의 램프 본체(701) 후배면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상기 백 커버(51, 52)가 램프 본체(701) 후배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수평 단면도.
도 11은 사등식 헤드 램프(10)를 구성하는 서브빔 형성용의 제2 광원(16b; 방전 전구)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가 방전 램프(161)를 구비하는 구성인 변형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종래 기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3 : 제1 급전 코드
2, 201, 202 : 제2 급전 코드
2a, 2b : 제2 급전 코드의 말단3a, 3b : 제2 급전 코드의 단자
4 : (램프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밸러스트
5(5a, 5b), 51, 52, 53 : 백 커버
7, 701, 702 : 램프 본체
9, 91, 92 : 전원 코드
13 : 커넥터 케이스
15 : 개구부
16a : 제1 광원(백열 전구 등)
16b : 제2 광원(방전 전구)
18, 181 : (가동식) 리플렉터101 : 제1 광원(16a)용 급전 코드102 : 제2 광원(16b)용 급전 코드161 : 방전 램프
401, 402 :(램프 본체 외부에 설치된) 밸러스트
501(501a, 501b) : 단자
1001(1001a, 1001b) : 깃발형 단자
1321(1321a, 1321b) : 역결합 방지용 볼록부
5103(5103a, 5103b) : 역결합 방지용 홈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청구항 1에서는, 램프 본체에 에이밍 기구를 매개로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가동식 리플렉터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램프 본체 후배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백 커버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백 커버에는 상기 램프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광원에 접속되도록 배치되는 급전 코드의 말단과, 상기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접속되도록 배치되는 전원 코드의 말단을 도통시키는 단자가 마련된다.
이 수단에서 채용되는 백 커버는, 급전 코드의 말단과, 전원에 도통하는 코드의 말단을 접속하는 중계 부재(커넥터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여, 급전 코드 배치 작업을 간이화 및 용이화하는 작용을 발휘한다.
특히, 등실 내에 가동식 리플렉터가 배치되면 광원 주변의 부품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등실 또는 광원 후방의 영역이 제한되어 더욱 좁아지므로, 상기 백 커버를 통해 급전 코드와 전원 코드를 접속하는 수단이 더욱 효과적이 된다.
청구항 2에서는, 청구항 1의 급전 코드가, 상기 광원을 구성하는 방전 전구에 접속되는 제1 급전 코드와, 그 제1 급전 코드가 접속된 방전 회로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 급전 코드로 구성된다.
이 수단은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 등의 방전 전구가 채용된 차량용 등기구에 적용된다. 즉, 방전 전구에 안정된 방전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불가결한 밸러스트 회로(및 방전 전구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점등을 개시시키는 데에 불가결한 점등 회로)를 내장하는 유닛(「방전 회로 유닛」이라 함)이 마련되는 차량용 등기구에서는, 방전 회로 유닛과 방전 전구를 접속하기 위한 제1 급전 코드가 마련되는 동시에, 그 방전 회로 유닛에 접속되어 인출되는 제2 급전 코드가 마련되고, 이 제2 급전 코드의 말단을 상기 백 커버의 단자에 접속함으로써, 백 커버를 통하여 급전 코드와 전원 코드를 용이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급전 코드의 말단에 그 급전 코드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깃발형 단자가 마련된다.
이 수단에서는, 깃발형 단자를 채용함으로써 그 깃발형 단자 부분을 수납하는 커넥터 케이스가 급전 코드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향할 수 있기 때문에, 백 커버에 급전 코드를 연장 설치하여 접속하기가 용이하다.
청구항 5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급전 코드가 그 급전 코드의 말단을 수납하는 커넥터 케이스를 매개로 상기 백 커버의 단자에 접속된다.
이 수단에서는, 급전 코드의 정부(正負) 말단 각각에 대해 모두 두 번이 필요했던 백 커버와 정부 단자에 대한 접속 작업을 커넥터 케이스를 매개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으로 집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급전 코드의 말단 또는 그 말단에 마련된 단자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에 대한 대책으로서도 효과적이다.
청구항 6에서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커넥터 케이스의 백 커버를, 청구항 5에 기재된 급전 코드의 말단이 백 커버의 단자에 역접속되지 않게 하기 위한 형태로 되어 있고, 커넥터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외벽에는 역결합 방지용 부위가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백 커버에는 상기 역결합 방지용 부위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영역이 형성된다.
이 수단으로는, 급전 코드의 정부 말단이 백 커버의 정부 단자에 역접속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케이스를 역방향으로 백 커버에 삽입하여 장착하려고 하는 경우, 역결합 방지용 부위가 백 커버의 소정의 영역에 삽입되어 장착되지 않기 때문에 역결합 그 자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조속히 역결합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후배면측에 배치되는,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수단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제2 실시예인 급전 수단에서 제1 급전 코드(1)의 말단이 커넥터 케이스(13)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상기 급전 코드의 말단이 커넥터 케이스(13)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커넥터 케이스(13)를 위쪽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며, 도 4(a)는 백 커버를 안쪽(광원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백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커넥터 케이스 부착부(A 부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백 커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와 동일한 백 커버의 배면도이며, 도 7(a)는 상기 백 커버를 도 4(a)의 화살표 I-I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7(b)는 상기 백 커버를 도 6의 Ⅱ-Ⅱ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8은 램프 본체 후배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백 커버(51, 52)가 사등식(四燈式) 헤드 램프(10)의 램프 본체(701) 배면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상기 백 커버(51, 52)가 상기 램프 본체(701) 후배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고, 도 11은 사등식 헤드 램프(10)를 구성하는 서브빔 형성용 제2 광원(16b; 방전 전구)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가 방전 램프를 구비하는 구성인 경우의 변형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도면 부호l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후배면측에 배치되는 급전 부재로서, 전원(도시 생략)으로부터 램프 본체(7) 내의 등실(12)로 향하도록 설치된 광원(도 1에서는 생략)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전 코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를 생략한 광원(또는 점등 회로 유닛을 매개로)으로부터 인출되는 제1 급전 코드(1)가 밸러스트(4)에 접속되고, 그 밸러스트(4)로부터 커넥터(11)를 통해 제2 급전 코드(2)가 인출되어 있다. 또한, 백열 전구와 할로겐 전구 등의 광원의 경우에는 밸러스트 등을 거치지 않고 그 광원으로부터 제1 급전 코드(1)만이 인출되도록 배치된다.
제2 급전 코드(2)의 한쪽 단부는 커넥터(11)를 통해 밸러스트(4)에 접속되고, 다른 쪽의 정부 말단(2a, 2b)에는 단자(3a, 3b)가 각각 고착된다. 또한, 밸러스트는 방전 전구의 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하기 위한 밸러스트 회로 유닛이 내장되어 있는 부재로서, 방전 전구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점등을 개시시키는 점등 회로를 내장하는 경우도 있다.
도면 부호5a는, 램프 본체(7)의 후배면에 대략 원형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광원 삽입 장착 구멍도 겸하는 개구부(15)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그 개구부(15)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각도 돌려져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대략 사발형인 백 커버의 한 가지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백 커버(5a)의 내측 바닥부 영역(B)에는 한 쌍의 정부 단자 [501(501a, 501b)]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노출되어 있다. 또한, 이 정부 단자(501)는 백 커버(5a)의 후배면에 형성된 전원 접속용의 커넥터 장착 구멍(502)측에도 연결 설치되어 노출되어 있다.
백 커버(5a)에 마련된 정부 단자(501a, 501b)에 상기 제2 급전 코드(2)의 단자(3a, 3b)를 각각 접속한 후, 백 커버(5a)를 개구부(15)에 끼워넣어 결합하는 작업에서는, 광원의 후방이나 램프 본체(7)의 후배면 주변이 좁은 영역일지라도 제2 급전 코드(2)와 전원 코드(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의 말단의 접속 작업이 특히 용이하게 된다. 즉, 백 커버(5a)는 제2 급전 코드(2)를 용이하게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중계 부재(커넥터 부재)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선으로 나타낸 도면 부호6은 램프 본체(7)의 등실(12) 내에 배치된 리플렉터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밸러스트(4)는 램프 본체(7)의 내외에 배치되지만 어느 쪽에도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도면 부호13은, 광원(도시 생략)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 수단의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부재로서, 제2 급전 코드(2)의 말단의 단자(3a, 3b)를 수납하여 하나의 접속 부재로 통합하는 커넥터 케이스를 나타낸다.
이 커넥터 케이스(13)를 채용하면, 단자(3a, 3b) 각각에 대해 모두 두 번이 필요했던 단자(501a, 501b)에 대한 접속 작업을 그 커넥터 케이스(13)를 매개로 한번의 작업으로 집약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케이스(13)에 수납되는 제2 급전 코드(2)의 단자(3a, 3b)로는, 제2 급전 코드(2)의 정부 말단(2a, 2b)에 각각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즉 깃발형 단자[1001(1001a, 1001b)]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깃발형 단자(1001)를 채용함으로써, [깃발형 단자(1001) 부분을 수납하는] 커넥터 케이스(13)를 제2 급전 코드(2)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도 5 등에 도시된 백 커버(5b)에 형성된 전용의 커넥터 케이스 부착부(A)에 제2 급전 코드(2)를 연장 설치하여 접속하기가 용이해진다.
이하, 깃발형 단자(1001)와 커넥터 케이스(13)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깃발형 단자(1001)는, 그 단자(1001)의 상단 부분에 편평한 단자 부재를 롤형으로 둥글게 형성하여 제2 급전 코드(2)의 정부 말단(2a, 2b)(의 도선)을 삽입하여 관통시켜 고정하는 구멍이 마련되는 말단 고정부(1002)와, 이 말단 고정부(1002)의 아래쪽에서 동일한 단자 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둥글게 롤형으로 형성한 한 쌍의 대략 반원 기둥형의 볼록부(1003)와, 이 볼록부(1003)의 내측 영역에서 상하로 연통하는 간극으로서 형성된 단자 삽입 관통 구멍(1004)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말단 고정부(1002)는 그것이 삽입 관통하는 [제2 급전 코드(2)의] 정부 말단(2a, 2b)을 바깥쪽으로부터 코킹함으로써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볼록부(1003)는 이하에 설명하는 커넥터 케이스(13)의 단자 수납 구멍[1324(1324a, 1324b)]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되고, 단자 삽입 관통 구멍(1004)은 후술하는 단자[501(501a, 501b)]가 직접 삽입되는 부분이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커넥터 케이스(13)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넥터 케이스(13)는, 크게 나누어 케이스부(l32)와 덮개부(13)로 구성되며, 덮개부는 케이스부(132)의 상단부에 가요성을 갖는 연결부[133(133a, 133b)]를 통해 연결 설치되고, 그 연결부(133)를 절첩함으로써 케이스부(132)의 상단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132)는 위쪽으로 개방되는 대략 사각기둥 용기 형상이고, 안쪽에는 중앙벽(1328)으로 구획된 두 개의 단자 수납 구멍(1324a, 1324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부(132)를 구성하는 측벽의 하나로서, 제2 급전 코드(2)가 연장 설치되는 쪽의 전방 측벽(1327)에는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의 역결합 방지용 볼록부[1321(1321a, 1321b)]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역결합 방지용 볼록부(1321a, 1321b)는 후술하는 백 커버(5b)의 커넥터 케이스 부착부(A 부분)에 형성된 역결합 방지용 홈[5103(5103a, 5103b)]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부위로서, 커넥터 케이스(13)를 커넥터 케이스 부착부(A 부분)에 대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132)의 좌우 측벽의 상단부에는 대략 삼각 기둥형의 덮개 걸림용 돌기[1322(1322a, 1322b)]가 돌출되고, 이 덮개 걸림용 돌기(1322a, 1322b)를 각각 둘러싸도록 한 쌍의 스토퍼(1323a, 1323b)가 돌출해 있다.
도 3에 도시된 케이스부(132)의 바닥부에는 직사각형의 단자 삽입 구멍[1329(1329a, 1329b)]이 한 쌍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 삽입 구멍(1329a, 1329b)은 상기 단자 수납 구멍(1324a, 1324b)에 수납된 깃발형 단자(1001)의 단자 삽입 관통 구멍(1004)에 대하여, 후술하는 [백 커버(5b)의] 단자(501a, 501b)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다.
다음에, 덮개부(131)에는, 케이스부(132)에 중첩될 때에 상기 덮개 걸림용 돌기(1322a, 1322b)에 각각 결합되는 대략 U자형의 결합 프레임(1311a, 1311b)이 좌우 측벽에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프레임(1311a, 1311b)은 그 하측 엣지(1314a, 1314b)가 상기 스토퍼(1323a, 1323b)와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덮개 걸림용 돌기(1322a, 1322b)에 결합된다. 즉, 스토퍼(1323a, 1323b)는 덮개부(131)가 아래쪽으로 지나치게 압박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덮개부(131)의 중앙부에는 볼록부(131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볼록부(1313)는 케이스부(132)의 중앙벽(1328)의 상방에 형성된 오목 홈(1326)에 삽입 장착되어, 덮개부(131)가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또한, 덮개부(131)가 케이스부(132)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전방 측벽(1327)의 상방에 급전 코드 인출 구멍(134)이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의 커넥터 케이스(13)의 수납 구멍(1324a, 1324b)에 제2 급전 코드(2)의 깃발형 단자(1001)를 수납하고, 덮개부(131)가 케이스부(132)를 둘러싸도록 결합하면 도 2(b)의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백 커버(5b)의 한 가지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백 커버(5b)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 대략 사발형의 부재로서, 램프 본체(7)의 후배면에 형성된 대략 원형의 개구부(15; 도 8 참조)에 결합된 부재로서, 제2 급전 코드 (2)[백열 전구나 할로겐 전구 등의 광원의 경우에는 제1 급전 코드(1)]와 전원 코드(9; 도 7 참조)를 접속하는 중계 부재(커넥터 부재)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개구부(15)와 대향하는 측(505)의 내면에는, 도면 부호A로 도시된 커넥터 케이스 부착부가 소정 형상으로 오목하게 마련되는 동시에, 개구부(15)에 끼워지는 부분이 되는 대략 원통 형태의 삽입구(507)가 돌출해 있다.
이 삽입구(507)의 전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모두 네 곳의 걸림용 돌기(506)가 바깥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이 걸림용 돌기(506)는 개구부(15)에 형성된 네 곳의 노치(151; 도 8 참조)에 소정 위치에서 각각 끼워진 후, 백 커버(5a)가 주위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개구부(15)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백 커버(5b)의 삽입구(507)의 기부 외주에 형성된 제1 평탄부(508)는 개구부(15)의 평탄부(153)와 O 링(도시 생략)을 매개로 대향하고, 제1 평탄부(508)의 더욱 바깥쪽 둘레에 형성된 제2 평탄부(509)는 평탄부(153)의 더욱 바깥쪽 둘레에 돌출하도록 마련된 주위 단부(152)와 대향하도록 정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 케이스 부착부(A)의 세부 구성을 도 4(b)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커넥터 케이스 부착부(A)는 중앙벽(5106)으로 구획된, 위쪽으로 개방되는 대략 사각 기둥형의 오목부로서, 그 바닥부(5104)로부터 단자[501(501a, 501b)]가 돌출해 있다.
각 단자(501a, 501b)의 외측에는 작은 볼록벽(510la, 510lb)이 내측벽(5105)으로부터 상기 중앙벽(5106)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각 단자(501a, 501b)의 하방측에는 큰 볼록벽(5102a, 5102b)이 내측벽(5105)으로부터 중앙벽(5106)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 4(b)에서 도면 부호1330으로 나타낸 가상선은, 커넥터 케이스 부착부(A)의 바닥부(5104)에 정착되는 경우의 상기 커넥터 케이스(13)의 바닥부 형상을 나타낸다. 이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커넥터 케이스(13)의 케이스부(132)에 형성된 상기 역결합 방지용 볼록부(1321a, 1321b)는 상기 큰 볼록벽(5102a, 5102b)과 중앙벽(5106)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역결합 방지용 홈(5103a, 5103b)에 삽입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작업자가 커넥터 케이스(13)를 커넥터 케이스 부착부(A)에 상하 역방향으로 삽입 장착하는 경우, 역결합 방지용 볼록부(1321a, 1321b)가 역결합 방지용 홈(5103a, 5103b)에 삽입 장착되지 않기 때문에, 신속히 역결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동시에 역결합 그 자체를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은 볼록벽(5101a, 5101b)의 선단부는 커넥터 케이스(13)의 좌우 측벽과 대향하여, 커넥터 케이스(13)를 삽입 장착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한다.
계속해서, 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백 커버(5b)의 후배면(503)의 구성을 설명하면, 후배면(503)은 후방으로 만곡되어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후배면(503)으로부터는 둘레 방향으로 등 간격(60°)으로 더욱 후방을 향해서 보강판(504)이 방사형으로 6개 돌출해 있다.
이 보강판(504)에 둘러싸이도록 전원 코드(9; 도 7 참조)의 말단에 접속되는 커넥터(8)가 삽입 장착되는 부위로 되는 커넥터 삽입 장착부(502)가 소정 형상으로 돌출해 있다.
여기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커넥터 삽입 장착부(502)의 구성을 설명하면, 커넥터 삽입 장착부(502)는 커넥터 케이스 부착부(A)에 연결 설치되어, 전원 코드(9)의 커넥터(8)의 형상에 적합한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5010)를 구비한다.
이 개구부(5010)의 내측에는 단자(501a, 501b)가 노출되어 있고, 이 단자(501a, 501b)에 대하여, 커넥터(8) 내에 수납된 전원 코드(9)의 정부 말단(도시 생략)이 접속된다. 또한, 도 6 및 도 7(b)에 사용된 도면 부호5011은 커넥터(8)를 걸기 위해서 마련된 걸림 구멍이다. 도 7에 사용된 다른 부호는 도 4 내지 도 6에 대응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을 기초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급전 수단을 적용한 차량용 등기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9는 예컨대 사등식 헤드 램프(10)의 한쪽 부분을 램프 본체(701)의 후배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10은 동일한 헤드 램프(10)의 수평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 사등식 헤드 램프(10)에는 메인 빔(주행용 빔) 형성용의 제1 광원(16a)과 서브 빔(엇갈리는 빔) 형성용의 제2 광원(16b)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등실(121)로 향하는 제1 광원(16a; 백열 전구, 할로겐 전구 등)으로부터 직접 인출되어 백 커버(51)에 접속되는 제1 광원(16a)용 급전 코드(101)와, 등실(122)로 향하는 제2 광원(16b; 방전 전구)로부터 인출되는 제2 광원(16b)용 급전 코드(102)와, 이 제2 광원(16b)용 급전 코드(102)에 접속된 밸러스트(401; 도 11 참조)를 매개로 백 커버(52)에 접속되는 제2 급전 코드(20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원(16a)용 급전 코드(101) 및 제2 광원(16b)용 급전 코드(102)의 단자는 상기 커넥터 케이스(13)에 수납되어, 백 커버(51, 52)에 각각 형성된 커넥터 케이스 부착부(A', A")에 삽입 장착되고, 백 커버(51, 52)의 각각의 후방 정상부에 형성된 전원 접속용의 커넥터 장착부(5021, 5022)에는, 커넥터 부재를 매개로 전원(도시 생략)에 도통하는 전원 코드(91, 92)가 도입되어 있다. 도면 부호18은, 등실(121, 122) 내에 배치되어 에이밍 기구에 의해서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가동식 리플렉터를 나타낸다.
여기서, 에이밍 기구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에이밍 기구는 램프 본체(701)의 배면벽에 형성된 나사 삽입 통과 구멍(도시 생략)을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에이밍 나사(S1, S2)와, 리플렉터(18)의 배면 상부 영역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브래킷(도시 생략)에 각각 감기도록 장착되어 상기 에이밍 나사(S1, S2)에 각각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도시 생략)와, 리플렉터(18)의 배면 하부와 램프 본체(701) 사이에 개재된 자동 레벨링용 액츄에이터(LM)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자동차의 소정의 중심 위치 이동 검출 센서(도시 생략)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리플렉터(18)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진퇴 로드(도시 생략)를 전진 및 후퇴시키도록 구동하는 자동 레벨링용 액츄에이터(LM)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레벨링 축(Lx) 둘레로 경사지게 이동하며, 리플렉터(18)의 광축은 차축에 대하여 일정하게 되도록 조정된다.
또한, 에이밍 나사(S1, S2)를 선회 조작함으로써, 수직 경사지게 이동하는 축(Ly) 둘레로 리플렉터(18)를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경우, 리플렉터(18)의 광축은 좌우 방향으로도 경사 이동이 조정된다. 또한, 에이밍 기구는 전술한 구성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면 부호14a, 14b는 광원에 부착되는 커넥터를, 도면 부호19는 제2 광원(16b)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리플렉터(18)로 효과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 설치되는 쉐이드를, 또한 도면 부호20은 램프 본체(701)에 부착된 전방 렌즈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는 자동 레벨링 기구 및 에이밍 기구가 배치됨으로써 광원의 후방 영역이 더욱 좁아져서, 작업이 제한되는 리플렉터 가동형의 방전 헤드 램프에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등식 헤드 램프(10)를 구성하는 서브 빔 형성용의 제2 광원(16b)의 구성을 그 제2 광원(16b)을 측면으로부터 본 도 11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브 빔 형성용의 제2 광원(16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 튜브로 구성되는 방전 전구이고, 밸러스트(401)는 램프 본체(701)의 외부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방에 배치된 전방 렌즈(20)에 결합되어 등실(122)을 형성하는 램프 본체(701)가 마련되고, 등실(l22)에는 에이밍 기구(도시 생략)로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제2 광원(16b)이 전방 렌즈(20)측을 향해서 배치되는 동시에, 그 제2 광원(16b)의 주변에는 그 제2 광원(16b)를 둘러싸는 리플렉터(18)와, 제2 광원(16b)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리플렉터(18)로 효과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 마련되는 쉐이드(19)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광원(16b)의 후방에는 그 제2 광원(16b)의 기부의 절연성 베이스(27)에 커넥터(14b)가 부착되어 있다. 이 커넥터(14b)의 측면에 돌출해 있는 코드 접속부(17)로부터 제2 광원(16b)용 급전 코드(102)가 인출되며, 그 제2 광원(16b)용 급전 코드(102)는 램프 본체(701) 아래쪽으로 형성된 코드 구멍(23)을 통하여, 램프 본체(701)의 하측면에 결합된 간격 유지 부재(22)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21)에 배치되어 있는 밸러스트(401)에 접속된다. 이 밸러스트(401)는 제2 광원(16b)의 점등 회로 유닛(도시 생략) 및 밸러스트 회로의 양방이 내장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밸러스트(401)로부터는 제2 급전 코드(201)가 코드 구멍(23)을 통과하여 위쪽으로 인출된다. 이 제2 급전 코드(201)의 말단은, 램프 본체(701)의 후방 정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O 링(30b)을 통해 결합된 백 커버(52)에 마련된 단자(501)에 대하여, 커넥터 케이스(13; 가상선으로 표시)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도면 부호25는 리플렉터(18)와 램프 본체(701)의 간극을 숨기는 등의 역할을 하는 익스펜션 리플렉터를, 도면 부호26은 방전 램프(16c)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절연성 베이스(27)의 전방으로 돌출한 리드 지지부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광원(16b)의 후방에 커넥터(14b)가 부착되고, 밸러스트(401)가 램프 본체(701)의 외부에 배치된 구성의 제2 광원(16b)을 채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에 기초하여, 방전 램프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에 대해 설명한다.
방전 램프(161)의 기부에 설치된 절연 베이스(271)의 후방에는 방전 램프(161)에 접속되는 점등 회로 유닛부(24)가 부착되어 있다. 제1 급전 코드(103)가 이 점등 회로 유닛부(24)로부터 아래쪽으로 인출되어, 램프 본체(702)의 하방에 형성된 코드 구멍(231)을 통하여, 램프 본체(702) 하측면에 간격 유지 부재(221)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211)에 배치되는 밸러스트(40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변형례에서의 밸러스트(402)는 점등 회로 유닛(도시 생략)이 점등 회로 유닛부(24)에 내장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밸러스트 회로(도시 생략)만이 내장되는 구성이 된다.
제2 급전 코드(202)가 상기 밸러스트(402)로부터 코드 구멍(231)을 통하여 상방으로 인출되어 있다. 상방으로 인출된 제2 급전 코드(202)의 말단은 점등 회로 유닛부(24)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램프 본체(702)의 후방 정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O 링(301)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백 커버(53)에 설치된 단자(501)에 대하여, 커넥터 케이스(13; 가상선으로 도시)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변형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전 램프(161)의 후방에 점등 회로 유닛 부재 및 그 주변 부재(29) 등이 설치되고, 방전 램프(161)의 후방 영역이 더욱 협소해지는 구성과, 밸러스트(402)는 밸러스트 회로만이 내장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라 발휘되는 효과는 이하와 같다.
(1)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에 채용되는 백 커버는 급전 코드의 말단과, 전원에 도통되는 코드의 말단을 접속하는 중계 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 램프 본체의 주변 영역에서의 복잡한 급전 부재의 배치 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이 백 커버를 개재시킨 급전 수단은 차량용 등기구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램프 본체 후배면 설계의 획일화에도 공헌한다.
특히, 램프 본체 내부의 등실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가동식 리플렉터가 설치되는 구성의 차량용 등기구에서는, 등실 내에 가동식 리플렉터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등실 또는 광원 후방의 영역이 더욱 좁아지기 때문에, 급전 부재의 배치 작업이 제한되어, 백 커버를 통해 급전 코드와 전원 코드를 접속하는 수단이 더욱 효과적으로 된다.
(2) 급전 코드의 말단에 소위 깃발형 단자를 설치함으로써, 급전 코드를 백 커버로 연장 설치하여 접속하기 쉬워지므로, 급전 부재의 배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3) 급전 코드의 말단이 커넥터 케이스에 수납되고, 백 커버의 소정의 단자에 접속됨으로써, 급전 코드의 정부 말단 각각에 대해 모두 두 번이 필요했었던, 백 커버를 정부 단자에 접속하는 작업을 한 번으로 집약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급전 부재의 배치 작업을 보다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급전 코드의 말단에 설치된 단자가 외부로 노출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에 대한 대책으로서도 효과적이다.
(4) 급전 코드의 말단과 백 커버의 단자가 역접속되지 않도록 커넥터 케이스와 백 커버의 형태가 고안됨으로써, 역접속을 간단하게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화재의 위험에 대한 대책으로서도 효과적이다.
즉, 커넥터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외벽에 역접속 방지용 부위가 마련되는 동시에, 백 커버에 상기 역접속 방지용 부위가 삽입 장착되는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케이스를 역방향으로 백 커버에 삽입 장착하는 경우, 역방향 결합 방지를 위한 부위가 백 커버의 소정의 영역에 삽입 장착되지 않기 때문에, 역결합을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신속히 역결합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 향상에도 이바지한다.

Claims (6)

  1. 램프 본체에 에이밍 기구를 매개로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가동식 리플렉터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램프 본체의 후배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백 커버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이며,
    상기 백 커버에는, 상기 램프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에 접속되도록 배치되는 급전 코드의 말단과, 상기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접속되도록 배치되는 전원 코드의 말단을 도통시키기 위한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코드는 상기 광원을 구성하는 방전 전구에 접속되는 제1 급전 코드와, 이 제1 급전 코드가 접속된 방전 회로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 급전 코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상기 급전 코드의 말단에는 상기 급전 코드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단자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상기 급전 코드의 말단에는 상기 급전 코드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단자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코드는 그 급전 코드의 말단이 수납된 커넥터 케이스를 통해 상기 백 커버의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케이스와 백 커버는 상기 급전 코드의 말단이 상기 백 커버의 단자에 역접속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외벽에는 역접속 방지용 부위가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백 커버에는 상기 역접속 방지용 부위가 삽입되어 부착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KR10-2000-0010400A 1999-03-03 2000-03-02 차량용 등기구 KR100380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56184 1999-03-03
JP11056184A JP2000251511A (ja) 1999-03-03 1999-03-03 車両用灯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729A KR20010006729A (ko) 2001-01-26
KR100380502B1 true KR100380502B1 (ko) 2003-04-18

Family

ID=1302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400A KR100380502B1 (ko) 1999-03-03 2000-03-02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22239B1 (ko)
JP (1) JP2000251511A (ko)
KR (1) KR100380502B1 (ko)
CN (1) CN1139503C (ko)
DE (1) DE10010624A1 (ko)
GB (1) GB23484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324A (ko) 2021-11-12 2023-05-19 이엔콤 주식회사 골프스윙연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0407A (ja) * 2000-12-01 2002-06-14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3907941B2 (ja) * 2000-12-14 2007-04-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前照灯
US6404132B1 (en) * 2001-03-27 2002-06-11 Liteglow Industries, Inc. Neon cruising lights for use with motor vehicle headlights
DE10228445A1 (de) * 2002-06-26 2004-01-15 Hella Kg Hueck & Co. Fahrzeugleuchte
FR2843445B1 (fr) * 2002-08-08 2005-05-27 Valeo Vision Dispositif projecteur equipe d'un module complementaire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50729B1 (fr) * 2003-02-04 2006-03-17 Valeo Vision Dispositif projecteur equipe d'un module complementaire encastrable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52381B1 (fr) * 2003-03-14 2005-05-27 Valeo Vision Dispositif de blindage pour une connexion entre un projecteur et un module complementaire
JP4438519B2 (ja) 2004-06-02 2010-03-2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ポンプ装置
JP4572796B2 (ja) * 2004-11-11 2010-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放電灯点灯装置
JP2006315512A (ja) * 2005-05-12 2006-11-24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FR2890346A3 (fr) * 2005-09-08 2007-03-09 Renault Sas Bloc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avec integration de connecteurs specifiques
DE102007049473B4 (de) 2007-10-16 2021-09-23 HELLA GmbH & Co. KGaA Verschlusseinrichtung als hintere Abdeckwand und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einem Gehäuse
WO2010104647A1 (en) * 2009-03-10 2010-09-16 Illinois Tool Works Inc. Headlamp access cover
JP5351723B2 (ja) 2009-05-22 2013-11-2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4621799B1 (ja) 2009-05-22 2011-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反射シート、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4519943B1 (ja) * 2009-05-22 2010-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5545936B2 (ja) * 2009-09-16 2014-07-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及びバックカバー
JP6559460B2 (ja) * 2015-04-30 2019-08-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接続可能な結線部材を備えた車両用灯具
FR3039474B1 (fr) * 2015-07-31 2021-02-19 Valeo Iluminacion Sa Dispositif pour fermer une ouverture de boitier optique de vehicule, boitier optique equipe d'un tel dispositif et cordon pour ledit dispositif
JP2019102230A (ja) * 2017-11-30 2019-06-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7097745B2 (ja) * 2018-05-22 2022-07-0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US11772546B2 (en) 2021-11-18 2023-10-03 Valeo North America, Inc. Edge lighting for a continuous illumination appearan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1945B2 (ja) * 1990-05-18 1997-12-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H0740441B2 (ja) * 1990-08-17 1995-05-0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前照灯装置
CA2050179A1 (en) * 1990-08-31 1992-03-01 Yukio Wakimizu Vehicular headlamp of the projection type
JPH0782761B2 (ja) * 1990-09-26 1995-09-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クリアランスランプ一体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GB2249825B (en) * 1990-10-15 1994-06-22 Koito Mfg Co Ltd Vehicular headlamp
JP3062912B2 (ja) 1994-04-26 2000-07-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3061248B2 (ja) * 1995-01-20 2000-07-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5664870A (en) * 1995-06-28 1997-09-09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ular lamps
JP3115803B2 (ja) 1995-07-31 2000-12-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3195215B2 (ja) 1995-12-28 2001-08-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5879073A (en) 1996-01-29 1999-03-09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ular lamp having discharge bulb
JP3162290B2 (ja) * 1996-04-30 2001-04-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324A (ko) 2021-11-12 2023-05-19 이엔콤 주식회사 골프스윙연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004536D0 (en) 2000-04-19
KR20010006729A (ko) 2001-01-26
GB2348480B (en) 2001-02-21
CN1265989A (zh) 2000-09-13
US6322239B1 (en) 2001-11-27
DE10010624A1 (de) 2000-09-14
JP2000251511A (ja) 2000-09-14
GB2348480A (en) 2000-10-04
CN1139503C (zh)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502B1 (ko) 차량용 등기구
US5879073A (en) Vehicular lamp having discharge bulb
KR930008816B1 (ko) 방전램프 전구와 점등회로를 갖는 가동형 전조등
US6540385B2 (en) Vehicular headlamp having a light distribution changing device
JPH0426001A (ja) 車輌用前照灯
US4890200A (en) Down lighting systems and fixtures therefor
EP2268968B1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US5722768A (en) Lamp utilizing discharge bulb as light source and having reduced size
JPH09129007A (ja) 車両用のヘッドランプ
US20020167818A1 (en) Vehicle headlamp assembly with heat conductive cover member
US6467941B1 (en) Vehicle lighting unit
KR20100070294A (ko) 차량용 전조등
JP2006210008A (ja) 照明器具、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
US6913367B2 (en) Vehicle headlamp
JP5281356B2 (ja) 前照灯ユニット
US6672747B2 (en) Vehicle headlamp having removable lighting control unit
US20020167819A1 (en) Vehicle headlamp assembly with lampshade and lighting circuit separately mounted to reflector
JP5845050B2 (ja) 車両用灯具
US6428186B1 (en) Headlamp for a vehicle
JPH07114807A (ja) 車輛用前照灯装置
CN218858291U (zh) 防冲击波车用远近光灯
JP3193630B2 (ja)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US10054284B2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JP4032717B2 (ja) 車両用前照灯
JP2004335308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