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631B1 - 액상면역글로불린제제 - Google Patents

액상면역글로불린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631B1
KR100370631B1 KR1019970701102A KR19970701102A KR100370631B1 KR 100370631 B1 KR100370631 B1 KR 100370631B1 KR 1019970701102 A KR1019970701102 A KR 1019970701102A KR 19970701102 A KR19970701102 A KR 19970701102A KR 100370631 B1 KR100370631 B1 KR 100370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liquid
immunoglobulin
affinity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뤼거 르네
겐나리 카타리나
호들러 게르하르트
뷔스트 베르나르트
Original Assignee
제트엘비 바이오플라즈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엘비 바이오플라즈마 아게 filed Critical 제트엘비 바이오플라즈마 아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91Stabilisation, frag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면역글로부린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 제제, 구체저으로 정맥내 주입용의 면역글로불린 G의 액상 제제는 하나 이상의 양쪽성 안정화제를 첨가하므로써 이량체 형성에 대해 안정화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양쪽성 안정화제는 니코틴산 유도체, 구체적으로 니코틴아미드 및 친유성 측쇄를 보유하는 천연 발생하는 α-아미노산, 예를 들어 페닐알라닌, 프롤린, 루신 및 이소루신이다.

Description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
면역글로불린 제제, 구체적으로 인간 혈장의 분획으로부터 제조한 IgG의 정맥 내로 주사할 수 있는 형태(iv-IgG)를 제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공지되어 있다. 생성물을 정맥 내로 주사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항상보적 활성을 보유하며, 정맥 내로 주사되는 경우, 과민성 쇼크를 포함한 심각한 부작용온 유발시킬 수 있는 응집체의 형성을 없애거나 방지할 필요가 있다. 임상적 용도에 유용한 대다수의 iv-IgG 제제는 향상된 저장 안정성을 위해 동결 건조되어 있으나, 이러한 제제들은 사용하기 전에 희석액, 예를 들어 멸균수 또는 식염수로 재구성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재구성 단계는 불편하고, 시간 소모적이며, 제품의 오염 가능성을 커지게 한다. 따라서, 그러한 필요한 정도의 저장 안정성을 보유하면서, 액체(수용액) 상태로 저장 및 사용할 수 있는 iv-IgG의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이러한 조성물을 iv-IgG의 액상 제제로 칭하기로 한다. 일부 이러한 액상 제제는 이미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안정한 면역글로불린 제제에 관한 것이다.
정맥 주사용 IgG 제품은 단지 극소량의 응집체(IgG 분자의 삼량체 또는 이보다 고급 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상기 제품은, 예를 들면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당한 다량의 IgG 이량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이량체는 과민성 쇼크를 일으키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문제로서 간주되지 않았다. 실제로, 많은 제품 설명서에서 단량체 및 이량체는 "작용성 IgG"와 같은 표제로 같이 취급한다.
IgG 제제의 이량체 함량은, IgG가 얻어지는 혈장 푸울에 보다 많은 공여자가 기여할수록 높아진다는 것을 탄커슬레이 등의 문헌[Molecular Immunology 25, 41-48 (1988)]은 밝히고 있다. 따라서, 이량체는 단일 개체로부터 얻어지는 IgG 내에서는 검출될 수 없으며, 특정한 질병 항원에 대하여 면역화된 수백명 내지 수천명의 공여자로부터 얻어진 고면역 IgG 내에서 낮게 나타나는 한편, 만명 이상의 공여자의 공여자 푸울로 제조한 IgG 내에서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상기 저자들은, 한 공여자의 항체가 다른 공여자의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항원 결합 부위에 결합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유전자형-항유전자형 이량체가 IgG 이량체인 것으로 결론내리고 있다. 이량체 및 단량체는 평형 상태로 존재하며, 이량체 함량은 총 면역글로불린 농도에 따라 증가한다.
상기 저자들은 이량체 형성이 저장 시간과 더불어 증가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는데, 전형적인 제제의 이량체 함량은 저장 초기 1 주일 동안 2배로 증가하고, 그후 서서히 계속 증가할 수 있다. IgG 제제가 제조 직후 동결 건조되는 경우, 이량체 형성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제제가 액체 형태로 저장 및 사용되는 경우, 이량체 농도는 저장시 증가하게 된다.
IgG 이외의 다른 면역글로불린, 예를 들어 IgA, IgD 또는 IgE에서도 동일한 형태의 이량체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일 클론 항체(MAbs)의 제제에서도 이량체 형성이 관측되나, MAbs에서의 이량체 형성 메카니즘은 상기 탄커슬레이 등에 의해 제안된 것과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고급 중합체와는 달리 IgG 이량체는 과민성 쇼크를 야기시키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량체 함량이 높은 IgG 제제는 정맥내 투여에 대한 허용성이 낮고, 열, 구토 및 경우에 따라서는 혈압 강하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부작용인 혈압 강하는 블리커 등의 문헌[Vox Sanguinis 52, 281-290 (1987)]에 의해 쥐 모델에서 확인되었으며, 또한 이 문헌에서는 이량체 함량과 명백한 상관 관계를 밝혀내었다. 따라서, 면역글로불린 제제, 특히 iv-IgG의 액상 제제를 이량체 형성에 대하여 안정화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iv-IgG를 안정화시키고, 정맥내 주사에 대한 그 iv-IgG의 허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의 첨가제가 사용되어 왔다. 그 예로는 글리신, 이당류, 예를 들어 말토오스 및 사카로오스, 당 알콜, 예를 들어 소르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량의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PEG-20-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또는 PEG-10-노닐옥시페놀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안정화제 중 iv-IgG의 액상 제제 내에서 이량체 형성을 억제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량체 함량은 Ig 농도와 함수 관계이기 때문에, 액상 IgG 제제를 희석시키면 물론 이량체 함량이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부피량의 액체를 환자에게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비실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효량의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를 상기 면역글로불린 제제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는 분자 내에 강하거나 또는 중간 정도의 친수성 부분 뿐만 아니라 강하거나 또는 중간 정도의 친유성 부분을 포함하는 물질이긴 하나, 계면활성제는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는 사용되는 농도로는 수용액 중에서 미셀을 형성하지 않고, 단량체 형태로 존재하는 물질인 것이다. 본 발명의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는 분자 내에 카르복실산기, 설폰산기, 인산(모두 유리산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형태)기, 케토기, 알데히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또는 아미드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 뿐만 아니라 3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및 임의로 1개의 질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친유성 기를 보유한다. 이들 기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케닐기, 및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지방족 또는 헤테로지방족 고리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원자가 친유성 기 내에 존재하는 경우, 그 친유성 기는 3급 형태, 예를 들어 피리딘 고리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비환형 친유성 기는 4개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분지쇄형 알킬기이다.
명백하게 iv-IgG의 안정화제로서 사용되는 임의의 화합물은 그 자체가 사용된 농도에서 정맥내 주입에 대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해야 한다. 또한, 상기 안정화제는 IgG 분자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고, 4 내지 8의 pH 범위에서 유의적인 완충능을 보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는 니코틴산 및 이것의 유도체, 예를 들어 니코틴아미드, 니코틴아미드 N-옥사이드 및 N'-메틸 니코틴아미드를 들 수 있으며, 그 중 니코틴아미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의 또다른 바람직한 군으로는 비하전된 친유성 측쇄를 보유하고 있는 천연 α-아미노산 군 뿐만 아니라, 카르복실산 기가 화학식-CONH2-, CONHR, -CH2OH, 또는 -COOR[이때, R은 (C1∼C-4)알킬임]의 기로 치환된 상기 아미노산 유도체 군이 있다. 이러한 아미노산으로는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및 발린이 있고, 그 중 페닐알라닌, 프롤린, 류신 및 이소류신이 바람직하며, 프롤린, 류신 및 이소류신이 더욱 바람직하고, 프롤린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공보 제61-194035호는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당 알콜인 안정화제 10∼100 g/100 mℓ 및 중성 아미노산, 예를 들어 발린, 류신 또는 이소류신, 또는 카르복실산의 염일 수 있는 보조 안정화제의 존재 하에서 열처리한 액상 감마-글로불린 제제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를 면역글로불린 1 g 당 0.2 mmol 이상의 총량 및 20 mmol/ℓ 이상의 총 농도로 함유하는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 특히 정맥 주사용 면역글로불린 G의 액상 제제를 제공하며, 단 상기 제제가 100 g/ℓ 이상의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당 알콜을 함유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는 중성 아미노산 또는 카르복실 산의 염 이외의 것으로, 니코틴산 및 이것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안정화제는 니코틴아미드와 함께 상기 하나 이상의 양쪽 친화성 아미노산 또는 이것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보다 바람직한 안정화제 조성물은 니코틴아미드 및 프롤린을 임의로 하나 이상의 또다른 양쪽 친화성 아미노산과 함께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a) 니코틴아미드와 프롤린의 혼합물, (b) 니코틴아미드, 프롤린과 이소류신의 혼합물 및 (c) 니코틴아미드, 프롤린, 이소류신과 류신의 혼합물이다. 이러한 조성물에서 니코틴아미드 대 전체 양쪽 친화성 아미노산의 몰비는 1:1 내지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0.8∼2.0):(0.8∼2.0)의 몰비의 니코틴아미드, 프롤린과 이소류신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면역글로불린은 IgA, IgD, IgE 또는 IgG 중 어느 하나인 임의의 제제일 수 있으며, 이들의 다중 클론 또는 단일 클론일 수 있고, 인간 혈장 또는 동물 혈장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거나, 또는 기타 수단, 예를 들면 하이브리도마 또는 재조합 DNA 기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 글로불린은 정맥 내로 주사할 수 있도록 처리되고, 액체 상태로 저장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인간 혈장으로부터 분리한 IgG 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글로불린은, 예를 들어 매우 높은 펩신 농도에도 분해되지 않고, 천연 Fc 부위를 비롯하여 7S-IgG 항체의 구조적 및 기능적 완전성을 보유하는 다가의 천연 면역글로불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의 천연 면역글로불린은 pH 4에서 저농도의 펩신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형된 알콜 냉동 침전법에 의해 혈청 분획으로부터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제제의 IgG 함량은 3∼16%인 것이 바람직하고, 6∼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용액의 pH는 4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2 내지 5.4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교적 산성의 pH에서, 상기 용액은 정맥내 주사시 수혜자 혈액의 pH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낮은 완충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액의 등장성은 하나 이상의 비완충성 물질,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글리신,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및 소르비톨을 첨가함으로써 생리적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액상 제제는, 예를 들어 1일 당 체중 1 kg 당 IgG 0.2∼1.0 g의 투여량으로 정맥내 주입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의 양은 IgG 1g 당 0.2∼6 mmol인 것이 바람직하고, IgG 1 g 당 1∼3 mmo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면역글로불린 제제는 다른 단백질, 예를 들어 알부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iv-IgG 제제는 허용할 수 없는 수준으로 이량체 함량이 증가하는 일 없이 2∼25℃의 온도에서 최대 2년 까지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정맥내 주사에 대한 양호한 허용성을 갖는다.
또한, 동결 건조하고, 이 동결 건조된 형태로 판매하고자 하는 iv-IgG의 용액은 제조와 동결 건조 사이에 이량체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를 첨가하여 안정화시킬 수도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A. 액상 iv-IgG 제제의 제조 방법
수집한 인체 혈장을 알콜 분별하여 얻은 미정제 IgG 페이스트를 4℃의 멸균수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이 용액을 pH 4로 산성화시키고, 소량의 펩신과 함께 pH 4 및 37℃의 조건에서 항온 처리한 후, 중화시켰다. 이어서, 생성물을 증류 여과하여 임의의 잔류 알콜을 제거한 후, pH를 5.3으로 조정하고, 한외 여과로 상기 용액을 농축하여 최종 단백질 농도 6∼15% 중량/부피를 얻었다.
상기 생성물은 스위스 특허 제684 16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도 있다.
B. 이량체 함량의 측정
상기 생성물을 pH 7.0에서 0.04 M의 인산염 완충액 및 0.2 M의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이동상을 사용하는 크기가 7.8 x 300 mm인 TSK G3000SW-XL 칼럼을 이용하여 휴렛 팩커드 HP 1090 상에서 HPLC로 분석하였다. 유속은 0.7 mm/분이었다. 150 mg/mℓ의 용액 중 1.3 μℓ의 샘플을 사용하였으며, 단백질은 280 nm에서의 UV 흡광도로 검출하였다. 응집체(전형적인 체류 시간은 8∼9 분임), 이량체(9∼10.5분) 및 단량체(10.5∼13.5 분)에 상응하는 피크 면적을 자동적으로 측정하고, 이량체 함량을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 식 중, AA, AD 및 AM은 각각 응집체, 이량체 및 단량체 피크의 면적이다.
C. 안정성 시험
액상 iv-IgG 제제를 밀봉된 컨테이너 내에서 80∼90일 동안 주위 온도(20∼25℃)에서 저장하였으며, 이량체 함량은 상기 기간의 후반부에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상기 A에 따라 제조하고, 단백질 함량이 15%이며, pH가 5.3인 표준 액상 제제 1 ℓ에 페닐알라닌 24.75 g(150 mmol/ℓ, 1 mmol/g 단백질)을 첨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추가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6에 대한 안정성 자료는 첨가제를 포함하지 아니하거나 글리신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A 내지 비교예 G에 대한 결과와 함께 하기 표 1 내지 표 2a 및 2b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은 실온 저장 후 블리커 등의 문헌[Vox Sanguinis 52, 281-290 (1987)]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은 쥐 혈압 강하 모델에서 각각 12%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4개의 액상 제제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실시예 17 내지 실시예 19)는 단지 5∼18%의 혈압 강하를 유발시킨 반면, 안정화되지 않은 제제는 거의 50%의 혈압 강하를 유발시켰다.
[표 1]
Figure pct00002
[표 2a]
Figure pct00003
[표 2b]
Figure pct00004
[표 3]
Figure pct00005

Claims (13)

  1. 비계면 활성의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로서, 상기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는 분자 내에 카르복실산기, 설폰산기, 케토기, 알데히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또는 아미드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 뿐만 아니라 3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임의로 1개의 질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친유성 기를 포함하고, 면역글로불린 1 g 당 0.2 mmol 이상의 총량 및 20 mmol/ℓ 이상의 총 농도로 존재하며, 니코틴산 또는 니코틴산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정맥 주사용 면역글로불린 G의 액상 제제인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니코틴산 유도체가 니코틴아미드인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는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발린, 또는 카르복실산 기가 화학식 -CONH2-, -CONHR, -CH2OH, 또는 -COOR[이때, R은 (C1∼C4)알킬임]의 기로 치환된 이들아미노산의 임의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는 프롤린, 류신 및 이소류신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프롤린 및 니코틴아미드를 함유하는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니코틴아미드 대 전체 양쪽 친화성 아미노산의 몰비가 1:1 내지 1:4인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
  8. 제7항에 있어서, 니코틴아미드, 프롤린 및 이소류신을 단지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로서만 함유하는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1:(0.8∼2.0):(0.8∼2.0)의 몰비로 존재하는 것인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pH가 5 내지 6인 액상 면역글로불린 제제.
  11. 2∼ 25℃의 온도에서 저장시 이량체 형성에 대하여 iv-IgG의 액상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비계면 활성의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 하나 이상을 면역글로불린 1 g 당 0.2 mmol 이상의 총량 및 20 mmol/l 이상의 총 농도로 면역글로불린 제제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양쪽 친화성 안정화제는 분자 내에 카르복실산기, 설폰산기, 인산기, 케토기, 알데히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또는 아미드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 뿐만 아니라 3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임의로 1개의 질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친유성 기를 포함하며, 니코틴산 또는 니코틴산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약 50℃ 이상의 온도를 수반하는 임의의 열처리 단계로 처리하지 않는 것인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의 방법에 의해 안정화된 액상 제제를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량체 함량이 낮은 iv-IgG의 동결 건조된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70701102A 1994-09-08 1995-09-07 액상면역글로불린제제 KR100370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18092.4 1994-09-08
GB9418092A GB9418092D0 (en) 1994-09-08 1994-09-08 Organic compou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0631B1 true KR100370631B1 (ko) 2003-04-18

Family

ID=1076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1102A KR100370631B1 (ko) 1994-09-08 1995-09-07 액상면역글로불린제제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5871736A (ko)
EP (1) EP0779818B1 (ko)
JP (1) JP3004729B2 (ko)
KR (1) KR100370631B1 (ko)
CN (1) CN1157572A (ko)
AT (1) ATE246005T1 (ko)
AU (1) AU700788B2 (ko)
BR (1) BR9508821A (ko)
CA (1) CA2197432C (ko)
CZ (1) CZ285967B6 (ko)
DE (1) DE69531400T2 (ko)
DK (1) DK0779818T3 (ko)
FI (1) FI970603A (ko)
GB (1) GB9418092D0 (ko)
HU (1) HU223668B1 (ko)
IL (1) IL115226A (ko)
MX (1) MX9701510A (ko)
NO (1) NO971016L (ko)
NZ (1) NZ292919A (ko)
PL (1) PL182738B1 (ko)
PT (1) PT779818E (ko)
RO (1) RO118568B1 (ko)
RU (1) RU2158605C2 (ko)
SK (1) SK282332B6 (ko)
TW (1) TW407056B (ko)
WO (1) WO1996007429A1 (ko)
ZA (1) ZA95758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288B1 (ko) * 2003-11-18 2010-10-22 체에스엘 베링 아게 안정성이 증가된 면역글로불린 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19265T2 (de) * 1996-09-06 2003-12-04 Chemo Sero Therapeut Res Inst Medizinische Zusammensetzung die Gewebeplasminogenaktivator und Nikotinamid enthält
GB9705810D0 (en) * 1997-03-20 1997-05-07 Common Services Agency Intravenous immune globulin
ES2569919T3 (es) 1999-04-09 2016-05-13 Kyowa Hakko Kirin Co., Ltd.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la actividad de una molécula inmunofuncional
US6946292B2 (en) 2000-10-06 2005-09-20 Kyowa Hakko Kogyo Co., Ltd. Cells producing antibody compositions with increased antibody dependent cytotoxic activity
US8703126B2 (en) 2000-10-12 2014-04-22 Genentech, Inc. Reduced-viscosity concentrated protein formulations
EP2116265B1 (en) * 2000-10-12 2020-12-23 Genentech, Inc. Reduced-viscosity concentrated protein formulations
US7132100B2 (en) 2002-06-14 2006-11-07 Medimmune, Inc. Stabilized liquid anti-RSV antibody formulations
US7425618B2 (en) * 2002-06-14 2008-09-16 Medimmune, Inc. Stabilized anti-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antibody formulations
US20040033228A1 (en) 2002-08-16 2004-02-19 Hans-Juergen Krause Formulation of human antibodies for treating TNF-alpha associated disorders
MY150740A (en) 2002-10-24 2014-02-28 Abbvie Biotechnology Ltd Low dose methods for treating disorders in which tnf? activity is detrimental
US20040208869A1 (en) * 2003-01-30 2004-10-21 Medimmune, Inc. Uses of anti-integrin alphanubeta3 antibody formulations
CN102258464A (zh) 2003-04-04 2011-11-30 健泰科生物技术公司 高浓度抗体和蛋白制剂
DE10333317A1 (de) * 2003-07-22 2005-02-17 Biotecon Therapeutics Gmbh Formulierung für Proteinarzneimittel ohne Zusatz von humanem Serumalbumin (HSA)
WO2005033143A1 (ja) 2003-10-01 2005-04-14 Kyowa Hakko Kogyo Co., Ltd. 抗体の安定化方法及び安定化された溶液状抗体製剤
CA2790018C (en) * 2006-12-21 2015-02-03 Amgen Inc. Formulations
AU2014201388C1 (en) * 2006-12-21 2017-02-02 Amgen Inc. Stable Buffered Formulations Containing Polypeptides
JP5513380B2 (ja) * 2007-06-25 2014-06-04 アムジエ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肝細胞増殖因子に対する特異的結合剤の組成物
ES2391798T3 (es) * 2007-07-10 2012-11-30 Medy-Tox, Inc. Composición líquida farmacéutica de toxina botulínica con estabilidad mejorada
US7560263B2 (en) * 2007-08-17 2009-07-14 Biomarin Pharmaceutical Inc. Compositions of prokaryotic phenylalanine ammonia-lyase and methods of treating cancer using compositions thereof
TWI532498B (zh) 2008-03-17 2016-05-11 巴克斯特保健公司 供免疫球蛋白及玻尿酸酶之皮下投藥之用的組合及方法
US8318161B2 (en) * 2009-03-06 2012-11-27 Genentech, Inc. Anti-oxidized LDL antibody formulation
TWI445714B (zh) * 2009-05-27 2014-07-21 Baxter Int 產製用於皮下使用之高濃度免疫球蛋白製備物之方法
JP5734985B2 (ja) 2009-09-17 2015-06-17 バクスター・ヘルスケヤー・ソシエテ・アノニムBaxter Healthcare SA ヒアルロニダーゼおよび免疫グロブリンの安定な共製剤およびそれらの使用方法
WO2011095543A1 (en) 2010-02-04 2011-08-11 Csl Behring Ag Immunoglobulin preparation
EP2361636A1 (en) 2010-02-26 2011-08-31 CSL Behring AG Immunoglobulin preparation and storage system for an immunoglobulin preparation
MX2012010198A (es) 2010-03-01 2012-10-03 Bayer Healthcare Llc Anticuerpos monoclonales optimizados contra el inhibidor de la via del factor tisular (tfpi).
FR2961107B1 (fr) 2010-06-15 2012-07-27 Lab Francais Du Fractionnement Composition d'immunoglobulines humaines stabilisee
EA027353B1 (ru) 2010-09-17 2017-07-31 Баксалта Инкорпорейтид СТАБИЛИЗАЦИЯ ИММУНОГЛОБУЛИНОВ С ПОМОЩЬЮ ВОДНОГО СОСТАВА С ГИСТИДИНОМ ПРИ pH ОТ СЛАБОКИСЛОГО ДО НЕЙТРАЛЬНОГО
US20150157619A1 (en) * 2012-07-10 2015-06-11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injection
US8613919B1 (en) 2012-08-31 2013-12-24 Bayer Healthcare, Llc High concentration antibody and protein formulations
US9592297B2 (en) 2012-08-31 2017-03-14 Bayer Healthcare Llc Antibody and protein formulations
SI3043776T1 (sl) 2013-09-11 2024-03-29 Eagle Biologics, Inc. Tekoče proteinske formulacije, ki vsebujejo vodotopna organska barvila
WO2015196091A1 (en) 2014-06-20 2015-12-23 Reform Biologics, Llc Viscosity-reducing excipient compounds for protein formulations
US10478498B2 (en) 2014-06-20 2019-11-19 Reform Biologics, Llc Excipient compounds for biopolymer formulations
US11357857B2 (en) 2014-06-20 2022-06-14 Comera Life Sciences, Inc. Excipient compounds for protein processing
EP3200804A4 (en) 2014-10-01 2018-04-18 Eagle Biologics, Inc. Polysaccharide and nucleic acid formulations containing viscosity-lowering agents
IL301681A (en) * 2020-09-27 2023-05-01 Emergent Biosolutions Canada Inc Hyperimmune globulin prepa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2661A (en) * 1979-08-09 1982-12-07 Teijin Limited Immunoglobulin composition having a high monomer conten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4360457A (en) * 1979-08-30 1982-11-23 Teijin Limited S-Sulfonated immunoglobulin composition having a high monomer content and a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S56135418A (en) * 1980-03-27 1981-10-22 Green Cross Corp:The Heat treatment of aqueous solution containing 8 factor of coagulation of blood derived from human
JPS60120823A (ja) * 1983-12-02 1985-06-28 Green Cross Corp:The IgG単量体
US4597966A (en) * 1985-01-09 1986-07-01 Ortho Diagnostic Systems, Inc. Histidine stabilized immunoglobulin and method of preparation
JPH0825902B2 (ja) * 1985-02-21 1996-03-13 株式会社ミドリ十字 γ−グロブリンの加熱処理方法
JPH0825903B2 (ja) * 1985-05-16 1996-03-13 株式会社ミドリ十字 γ―グロブリン含有水溶液
HUT54308A (en) * 1989-04-04 1991-02-28 Lilly Co Eli Process for producing immunoglobulin conjugates and medicaments comprising same
JP2942412B2 (ja) * 1991-12-26 1999-08-30 鐘紡株式会社 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288B1 (ko) * 2003-11-18 2010-10-22 체에스엘 베링 아게 안정성이 증가된 면역글로불린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K30097A3 (en) 1997-10-08
AU3522995A (en) 1996-03-27
CZ68497A3 (en) 1997-06-11
DE69531400D1 (de) 2003-09-04
PL182738B1 (pl) 2002-02-28
CA2197432A1 (en) 1996-03-14
US5871736A (en) 1999-02-16
AU700788B2 (en) 1999-01-14
IL115226A (en) 1999-08-17
BR9508821A (pt) 1997-12-23
NO971016D0 (no) 1997-03-05
GB9418092D0 (en) 1994-10-26
MX9701510A (es) 1997-05-31
HUT77122A (hu) 1998-03-02
JP3004729B2 (ja) 2000-01-31
DE69531400T2 (de) 2004-05-27
NZ292919A (en) 1998-12-23
NO971016L (no) 1997-03-05
RO118568B1 (ro) 2003-07-30
CZ285967B6 (cs) 1999-12-15
IL115226A0 (en) 1995-12-31
WO1996007429A1 (en) 1996-03-14
EP0779818B1 (en) 2003-07-30
FI970603A0 (fi) 1997-02-12
CN1157572A (zh) 1997-08-20
PT779818E (pt) 2003-11-28
PL318265A1 (en) 1997-05-26
DK0779818T3 (da) 2003-11-24
TW407056B (en) 2000-10-01
FI970603A (fi) 1997-02-12
JPH10502938A (ja) 1998-03-17
SK282332B6 (sk) 2002-01-07
ATE246005T1 (de) 2003-08-15
HU223668B1 (hu) 2004-11-29
RU2158605C2 (ru) 2000-11-10
ZA957583B (en) 1997-03-10
CA2197432C (en) 2008-11-04
EP0779818A1 (en) 199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0631B1 (ko) 액상면역글로불린제제
AU2004290899B2 (en) Immunoglobulin preparations having increased stability
AU2013255413B2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TNF-alpha antibodies
RU2600847C2 (ru) Жидкий состав полипептидов, содержащих fc-домен иммуноглобулина
EA043419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иофилизированног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го состава на основе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бе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