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915B1 - 긴급통보 단말장치 및 긴급통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긴급통보 단말장치 및 긴급통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915B1
KR100369915B1 KR10-2000-0022418A KR20000022418A KR100369915B1 KR 100369915 B1 KR100369915 B1 KR 100369915B1 KR 20000022418 A KR20000022418 A KR 20000022418A KR 100369915 B1 KR100369915 B1 KR 10036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emergency
emergency call
switch
stat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021A (ko
Inventor
요시오카겐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7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 H04W84/025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with acknowledge back capabi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긴급통보 단말장치는 긴급한 경우에 차량의 현재 위치와 차량의 등록 정보에 데이터를 긴급 센터에 전송하기 위해 차량에 탑재되어 제공된다. 상기 긴급통보 단말장치는, 긴급통보 발신 버튼으로부터 내부 회로의 갑작스런 단선으로 야기된 장치의 내부 회로의 개방 회로의 형성이 원인이 되는 개방 회로 원인 실패와, 긴급통보 발신 버튼으로부터 내부 회로의 갑작스런 단선으로 야기된 내부 회로의 단락 회로의 형성이 원인이 되는 단락 회로 원인 실패와의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서,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긴급통보 단말장치 및 긴급통보 시스템{Failure detecting structure of emergency call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긴급한 경우에 경찰서나 소방서 등에 긴급 통보 접속을 설정하도록 긴급통보 시스템을 제어하는 긴급 센터에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차량에 관한 등록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차량용 긴급통보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어 회로로부터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단선과 같은 장치의 실패를 탐지하도록 설계된 개선된 구조의 긴급통보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을 통하여 긴급 센터에 발신 접속을 설정하는 긴급 전화 발신 유닛을 장착한 차량용 긴급통보 단말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차량용 긴급통보 단말장치는 일반적으로 두가지 유형, 수동으로 긴급통보 발신 버튼을 누르면 발신 신호가 출력되는 제 1 유형과, 에어백 센서 또는 충돌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발신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유형으로 분류된다. 몇몇의 제 1 유형 차량용 긴급통보 단말장치는 긴급통보 발신 버튼으로부터의 신호선이 갑작스럽게 단선되는 것을 탐지하도록 설계되어 개방 회로의 형성을 초래한다. 명확하게는, 제 1 유형 단말 장치는 필요한 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해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누름 및, 긴급통보 발신 버튼에 이르는 신호선의 단선을 모니터링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긴급통보 발신 버튼과 제어 회로의 접속은 긴급통보 발신 버튼을 누르자마자 스위치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는 일단부에서 상기 긴급통보 발신 버튼과, 다른 단부에서 대지와 접속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긴급통보 발신 버튼이 눌러질 때의 접지 전위의 입력 신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이 눌러지지 않을 때의 스위치에 대한 풀업 저항(a pull-up resistor)의 저항 비에 의존한 전압의 입력 신호, 및 신호선이 긴급통보 발신 버튼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게 단선될 때의 풀업 전압의 입력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어 회로의 개방 회로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의 구조는 상기 신호선이 상기 긴급통보 발신 버튼으로부터 단선될 때, 상기 제어 회로가 그라운드에 단선되어 제어 회로에 접지 전위가 나타나고, 상기 제어 회로의 개방 회로의 형성에 이르는 신호선의 단락인지 그라운드로의 제어 회로의 단락 회로의 형성에 이르는 신호선의 단선인지 식별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긴급통보 발신 버튼으로부터 내부 회로의 갑작스런 단선으로 야기된 장치의 내부 회로의 개방 회로의 형성이 원인이 되는 개방 회로 원인 실패와, 긴급통보 발신 버튼으로부터 내부 회로의 갑작스런 단선으로 야기된 내부 회로의 단락 회로의 형성이 원인이 되는 단락 회로 원인 실패 사이를 식별할 수 있는 긴급통보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라서, (a)발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긴급 발신 신호를 미리 선택된 긴급 센터에 출력하는 긴급 발신 회로, (b) 상기 긴급 발신 회로에 접속되고 ON-상태 및 OFF-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긴급 발신 스위치로서, 상기 스위치가 ON-상태로 되면 상기 발신 요구 신호가 긴급 발신 회로에 제공되는 긴급 발신 스위치, 및 (c)상기 긴급 발신 회로가 ON-상태, OFF-상태, 개방 회로 원인 실패 및 단락 회로 원인 실패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전압 레벨로, 제 1 동작상태 신호, 제 2 동작상태 신호, 제 3 동작상태 신호, 제 4 동작상태 신호를 발생하는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긴급통보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가 ON-상태 일때, 제 1 동작상태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가 OFF-상태 일때, 제 2 동작상태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개방 회로 원인 스위칭 실패가 긴급 발신 스위치로부터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단선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개방 회로의 형성으로부터 초래될 때 제 3 동작상태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단락 회로 원인 실패가 긴급 발신 스위치로부터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단선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단락 회로의 형성으로부터 초래될 때 제 4 동작상태 신호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1 저항,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 및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긴급 발신 회로의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또한,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1 저항,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긴급 발신 회로의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또한,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저항,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의 접합점과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 및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또한,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 및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긴급 발신 회로의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또한, 그라운드에 이르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1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회로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 및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또한,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회로에 이르는 제 1 접합점에 접속된 제 1 저항, 긴급 발신 스위치 및 제 1 저항에 대해 병렬로, 제 1 접합점과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 2 저항, 긴급 발신 회로와 제 1 접합점을 접속시키는 제 2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또한,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1 저항,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긴급 발신 회로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와 제 1 저항에 대해 병렬로,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 긴급 발신 회로와 제 2 저항의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또한,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 1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회로에 이르는 제 1 접합점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와 제 1 및 제 2 저항에 대해 병렬로, 제 1 접합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 및 제 1 접합점과 긴급 발신 회로를 접속시키는 제 2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풀업 저항, 풀다운 저항의 기능을 이용하여 제 3 및 제 4 동작상태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긴급 발신 회로는 마이크로컴퓨터 내장용 A/D 컨버터 및 A/D 컨버터 중 하나를 통해 제 1 동작상태 신호, 제 2 동작상태 신호, 제 3 동작상태 신호, 제 4 동작상태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긴급 센터 및 긴급통보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긴급통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긴급통보 단말장치는 (a)발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긴급 발신 신호를 긴급 센터에 출력하는 긴급 발신 회로, (b)상기 긴급 발신 회로에 접속되고 ON-상태 및 OFF-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긴급 발신 스위치로서, 상기 스위치가 ON-상태로 되면 상기 발신 요구 신호가 상기 긴급 발신 회로에 공급되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 및 (c)긴급 발신 회로가 ON-상태, OFF-상태, 개방 회로 원인 실패 및 단락 회로 원인 실패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전압 레벨로, 제 1 동작상태 신호, 제 2 동작상태 신호, 제 3 동작상태 신호, 제 4 동작상태 신호를 발생하는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가 ON-상태 일때, 제 1 동작상태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가 OFF-상태 일때, 제 2 동작상태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개방 회로 원인 스위칭 실패가 긴급 발신 스위치로부터 긴급 발신 회로의 단선에 의해 야기된 긴급 발신 회로의 개방 회로의 형성으로부터 초래되면, 제 3 동작상태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단락 회로 원인 실패가 긴급 발신 스위치로부터 긴급 발신 회로의 단선에 의해 야기된 긴급 발신 회로의 단락 회로의 형성으로부터 초래되면, 제 4 동작상태 신호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통보 단말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긴급통보 단말장치 2:안테나
3:긴급통보 발신 버튼 4:GPS 안테나
11:송신기 12:제어기
13:자이로 센서 14:위치 결정 회로
15:메모리 16:GPS 수신기
R1,R2,R3,R4:저항 S1,S2:스위치
도면을 참조하여,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을 의미하고, 특히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교통 사고 또는 갑작스런 질병에 걸릴 경우에 긴급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긴급 센터에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예를 들어, 등록판 번호, 등록 ID 번호 등의 소정의 차량 상세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탑재용 긴급통보 단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긴급통보 단말장치(1)는 일반적으로 안테나(2), 긴급통보 발신 버튼(3), GPS(세계 위치결정 시스템) 안테나(4), 송신기(11), 제어기(12), 자이로 센서(13), 위치 결정 회로(14), 메모리(15), 및 GPS 수신기(16)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2)는 긴급 발신 신호를 전형적인 셀룰러 폰 시스템과 같은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통해 긴급 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긴급 센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이 차량 운전자 근처에 설치되고 긴급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눌러지면, 제어기(12)로 ON-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은 예를 들어, 차량 충돌 사고 등에 의해 야기된 제어기로부터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단선을 나타내는 실패 신호를 발생하도록 설계되어, 갑자기 차체에 접속됨으로써 야기된 제어기(12)의 개방 회로 및 제어기(12)의 단락 회로를 초래한다.
트랜시버(11)는 제어기(12)로부터의 발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긴급 센터에 접속하기 위해 제어기(12)로부터 입력된 긴급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프로세스를 초기화한다. 제어기(12)는 발신 요구 신호로서 데이터 전송 요구 신호 및 음성 통신 요구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거나, 연속적으로 양자 모두를 제공한다. 발신 요구 신호를 수신하자 마자, 긴급 센터는 제어기(12)로부터 판독된 진행 경로, 차량의 위치, 차량 상세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가 긴급 센터에 전송되도록 하거나 둘 사이의 음성 통신이 초기화되도록 하기 위해서, 응답 신호를 긴급통보 단말장치(1)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12)는 차량의 위치 등에 관한 데이터를 위치 결정 회로(14)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메모리(15)에 저장한다. 상기 긴급 발신 요구를 나타내는 ON-신호가 긴급통보 발신 버튼(3)으로부터 출력되면, 제어기(12)는 현재 위치, 진행 경로에 관한 데이터를 위치 결정 회로(14)로부터 판독하고, 또한 위치 내역 데이터, 긴급 센터의 전화 번호, 및 차량 설명 정보를 메모리(15)로부터 판독하여 발신 요구 신호를 트랜시버(11)로 출력한다.
상기 자이로 센서(13)는 진행 경로 또는 차량의 방향 설정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위치 결정 회로(14)에 출력한다. 상기 GPS 수신기(16)는 GPS 안테나로부터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위치 결정 회로(14)에 출력한다. 상기 위치 결정 회로(14)는 차량의 위치 및 방향을 발생하기 위해 자이로 센서(13) 및 GPS 수신기(16)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요구된 제어기(12)에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15)는 그 안에 차량 설정 정보(예를 들어, 긴급통보 단말장치(1)에 탑재된 허가판 번호 등), 긴급 센터의 전화 번호, 위치 결정 회로(14)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긴급사태 발생을 나타내는 ON-신호뿐만 아니라 그라운드로의 제어기(12)의 단락 회로의 형성과 제어기(12)로부터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단선을 나타내는 실패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실패 신호 중 하나가 입력되면, 제어기(12)는 지시기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긴급통보 단말장치(1)의 실패를 알린다.
도 2는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은 정상적으로 개방 스위치(S1), 저항(R2), 및 저항(R3)을 포함한다. 저항(R2)은 스위치(S1)의 양 단부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저항(R3)은 스위치(S1)의 한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1)는 출력(O)을 통하여 제어기(12)의 입력이자, 저항(R1)을 통하여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 같은 전압원의 다른 단부인 곳에 접속되어 있다.
이런 구조에서, [1]긴급통보 발신 버튼(3)이 OFF-상태 일때, 즉 스위치(S1)가 개방되었을 때, [2]긴급통보 발신 버튼(3)이 눌러져, 스위치(S1)가 폐쇄되었을 때, [3]스위치(S1)가 바람직하기 못하게 단선되어 제어 회로(12)를 개방 회로가 될 때, [4]스위치(S1)가 그라운드로 바람직하기 못하게 단락 회로가 될때, 상기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들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1]ON-상태 {(R2 + R3) / (R1 + R2 + R3)} V
[2]OFF-상태 {R3 / (R1 + R3)} 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명확하게는, 4개의 다른 전압이 각각의 경우 [1] 내지 [4] 에서 발생한다. 상기 제어기(12)는 4개의 경우 [1] 내지 [4]를 식별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마이크로컴퓨터(도시 생략) 내장용 A/D 컨버터 또는 A/D 컨버터를 통해 4가지 전압 중 하나를 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회로 구조는 정상적으로 폐쇄 스위치(S2)가 사용된다는 점에서만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스위치 폐쇄) {R3 / (R1 + R3)} V
[2]ON-상태(스위치 개방) {(R2 + R3) / (R1 + R2 + R3)} 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저항(R2)이 상기 스위치(S1)와 저항(R3)에 걸쳐서 접속된다는 점에서만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스위치 폐쇄) {R2 / (R1 + R2)} V
[2]ON-상태(스위치 개방) 〔{(R2·R3) / (R2 + R3)} /
{R1 + (R2·R3) / (R2 + R3)}〕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이며, 저항(R2)이 스위치(S2)와 저항(R3)에 걸쳐서 접속된다는 점에서만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스위치 폐쇄) {(R2·R3) / (R2 + R3)} /
{R1 + (R2·R3) / (R2 + R3)} V
[2]ON-상태(스위치 개방) {R2 / (R1 + R2)} 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저항(R4)이 부가로 스위치(S1)와 저항(R3)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는 점에서만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 {(R2 + R3) / (R1 + R2 + R3)} V
[2]ON-상태 〔(R3 + R5) / {R1 + (R3 + R5)}〕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여기서, R5 = (R2·R4) / (R2 + R4)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정상적으로 폐쇄 스위치(S2)가 사용된다는 점에서만 도 6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스위치 폐쇄) 〔(R3 + R5) / {R1 + (R3 + R5)}〕V
[2]ON-상태(스위치 개방) {(R2 + R3) / (R1 + R2 + R3)} 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여기서, R5 = (R2·R4) / (R2 + R4)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저항(R2)이 제어기(12)의 입력과 스위치(S1)의 접합점과 그라운드에 접속된다는 점에서만 도 6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 {R2 / (R1 + R2)} V
[2]ON-상태 {R6 / (R1 + R6)} 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여기서, R6 = {R2·(R3 + R4)} / (R2 + R3 + R4)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정상적으로 폐쇄 스위치(S2)가 사용된다는 점에서만 도 8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 (스위치 폐쇄) {R6 / (R1 + R6)} V
[2]ON-상태(스위치 개방) {R2 / (R1 + R2)} 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여기서, R6 = {R2·(R3 + R4)} / (R2 + R3 + R4)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저항(R3)이 제어기(12)의 입력과 스위치(S1)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다는 점에서만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 {(R2 + R3) / (R1 + R2 + R3)} V
[2]ON-상태 {R3 / (R1+R3)} 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정상적으로 폐쇄 스위치(S2)가 사용된다는 점에서만 도 8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스위치 폐쇄) {R3 / (R1 + R3)} V
[2]ON-상태(스위치 개방) {(R2 + R3) / (R1 + R2 + R3)} 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저항(R2)이 스위치(S1)와 저항(R3)에 걸쳐서 배치된다는 점에서만 도 9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스위치 폐쇄) {R2 / (R1 + R2)} V
[2]ON-상태(스위치 개방) 〔{(R2·R3) / (R2 + R3)} /
{R1 + (R2·R3) / (R2 + R3)}〕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정상적으로 폐쇄 스위치(S2)가 사용된다는 점에서만 도 12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스위치 폐쇄) 〔{(R2·R3) / (R2 + R3)} /
{R1 + (R2·R3) / (R2 + R3)}〕V
[2]ON-상태(스위치 개방) {R2 / (R1 + R2)} 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저항(R4)은 한 단부가 그라운드에 다른 단부가 정상적으로 개방 스위치(S1)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1)는 다른 단부가 저항(R3)을 통하여 제어기(12)에, 저항(R1)을 통하여 전압원에 또한 접속되어 있다. 저항(R2)은 저항(R4)과 스위치(R1)에 대해 병렬로 한 단부는 그라운드에 다른 단부는 저항(R3)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 {(R2 + R3) / (R1 + R2 + R3)} V
[2]ON-상태 〔(R3 + R5) / {R1 + (R3 + R5)}〕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여기서, R5 = (R2·R4) / (R2 + R4)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정상적으로 폐쇄 스위치(S2)가 사용된다는 점에서만 도 14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스위치 폐쇄) 〔(R3 + R5) / {R1 + (R3 + R5)}〕V
[2]ON-상태(스위치 개방) {(R2 + R3) / (R1 + R2 + R3)} 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여기서, R5 = (R2·R4) / (R2 + R4)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저항(R2)이 저항(R3,R4)과 스위치(S1)에 대해 병렬로 한 단부는 그라운드에 다른 단부는 출력 단자(O)에 접속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도 14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 {R2 / (R1 + R2)} V
[2]ON-상태 {R6 / (R1 + R6)} 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여기서, R6 = {R2·(R3 + R4) / (R2 + R3 + R4)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보 발신 버튼(3)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회로 구조는 정상적으로 폐쇄 스위치(S2)가 사용된다는 점에서만 도 16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다른 장치는 동일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에서 제어기(12)의 입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1]OFF-상태(스위치 폐쇄) {R6 / R1 + R6)}〕V
[2]ON-상태(스위치 개방) {R2 / (R1 + R2)} V
[3]개방 회로 V
[4]단락 회로 0
여기서, R6 = {R2·(R3 + R4) / (R2 + R3 + R4)이다.
본 발명은 발명의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해 양호한 실시예를 통하여 공개되었으나, 발명의 원리에서 벗어남 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설정한 본 발명의 원리에서 벗어남 없이 실시되는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변형 및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긴급통보 발신 버튼으로부터 내부 회로의 갑작스런 단선으로 야기된 장치의 내부 회로의 개방 회로의 형성이 원인이 되는 개방 회로 원인 실패와, 긴급통보 발신 버튼으로부터 내부 회로의 갑작스런 단선으로 야기된 내부 회로의 단락 회로의 형성이 원인이 되는 단락 회로 원인 실패 사이를 식별할 수 있는 긴급통보 단말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긴급통보 단말장치에 있어서.
    발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긴급 발신 신호를 미리 선택된 긴급 센터에 출력하는 긴급 발신 회로,
    상기 긴급 발신 회로에 접속되고 ON-상태 및 OFF-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긴급 발신 스위치로서, 상기 스위치가 ON-상태로 되면 상기 발신 요구 신호가 상기 긴급 발신 회로에 제공되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 및,
    상기 긴급 발신 회로가 ON-상태, OFF-상태, 개방 회로 원인 실패 및 단락 회로 원인 실패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갖는 제 1 동작상태 신호, 제 2 동작상태 신호, 제 3 동작상태 신호, 제 4 동작상태 신호를 발생하는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동작 상태 신호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가 ON-상태 일때 발생되고, 상기 제 2 동작 상태 신호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가 OFF-상태 일때 발생되고, 상기 제 3 동작 상태 신호는 상기 개방 회로 원인 스위칭 실패가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로부터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단선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개방 회로의 형성으로부터 초래될 때 발생되고, 상기 제 4 동작 상태 신호는 상기 단락 회로 원인 실패가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로부터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단선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단락 회로의 형성으로부터 초래될 때 발생되는, 긴급통보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1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 및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을 포함하는, 긴급통보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1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긴급 발신 회로의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을 포함하는, 긴급통보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저항,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의 접합점과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 및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을 포함하는, 긴급통보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 및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을 포함하는, 긴급통보 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그라운드에 이르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1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회로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 및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을 포함하는, 긴급통보 단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회로에 이르는 제 1 접합점에 접속된 제 1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 및 상기 제 1 저항에 대해 병렬로, 제 1 접합점과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 2 저항, 상기 긴급 발신 회로와 상기 제 1 접합점을 접속시키는 제 2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을 포함하는 긴급통보 단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1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긴급 발신 회로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와 상기 제 1 저항에 대해 병렬로,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 상기 긴급 발신 회로와 상기 제 2 저항의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을 포함하는, 긴급통보 단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1 단부와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 1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의 제 2 단부와 상기 긴급 발신 회로에 이르는 제 1 접합점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에 대해 병렬로, 상기 제 1 접합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 및 상기 긴급 발신 회로와 상기 제 1 접합점을 접속시키는 제 2 접합점과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을 포함하는, 긴급통보 단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는 풀업 및 풀다운 저항(pull-up and pull-down resistors)의 기능을 이용하여 제 3 및 제 4 동작상태 신호를 발생하는, 긴급통보 단말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발신 회로는 마이크로컴퓨터에 내장된 A/D 컨버터 및 A/D 컨버터 중 하나를 통해 제 1 동작상태 신호, 제 2 동작상태 신호, 제 3 동작상태 신호, 및 제 4 동작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긴급통보 단말장치.
  12. 긴급통보 시스템에 있어서,
    긴급 센터 및,
    긴급통보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통보 단말장치는,
    (a)발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긴급 발신 신호를 상기 긴급 센터에 출력하는 긴급 발신 회로,
    (b)상기 긴급 발신 회로에 접속되고 ON-상태 및 OFF-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긴급 발신 스위치로서, 상기 스위치가 ON-상태로 되면 상기 발신 요구 신호가 상기긴급 발신 회로에 제공되는 상기 긴급 발신 및,
    (c)상기 긴급 발신 회로가 ON-상태, OFF-상태, 개방 회로 원인 실패 및 단락 회로 원인 실패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전압 레벨로, 제 1 동작상태 신호, 제 2 동작상태 신호, 제 3 동작상태 신호 및, 제 4 동작상태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상태 신호 발생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동작상태 신호는 긴급 발신 스위치가 ON-상태 일때 발생되고, 상기 제 2 동작상태 신호는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가 OFF-상태 일때 발생되고, 상기 제 3 동작상태 신호는 개방 회로 원인 스위칭 실패가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로부터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단선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개방 회로의 형성으로부터 초래될 때 발생되고, 상기 제 4 동작상태 신호는 단락 회로 원인 실패가 상기 긴급 발신 스위치로부터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단선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긴급 발신 회로의 단락 회로의 형성으로부터 초래될 때 발생되는, 긴급통보 시스템.
KR10-2000-0022418A 1999-04-28 2000-04-27 긴급통보 단말장치 및 긴급통보 시스템 KR100369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22607A JP3070850B1 (ja) 1999-04-28 1999-04-28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99-122607 1999-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021A KR20010007021A (ko) 2001-01-26
KR100369915B1 true KR100369915B1 (ko) 2003-02-05

Family

ID=1484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418A KR100369915B1 (ko) 1999-04-28 2000-04-27 긴급통보 단말장치 및 긴급통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74463B1 (ko)
JP (1) JP3070850B1 (ko)
KR (1) KR100369915B1 (ko)
DE (1) DE1002107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8759A1 (de) * 2003-08-23 2005-03-17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zur Bereitstellung unfallbezogener Daten
KR100606068B1 (ko) * 2003-11-26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파워오프 제어방법
JP2006039610A (ja) * 2004-07-22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緊急通報装置
JP2008116298A (ja) * 2006-11-02 2008-05-22 Denso Corp 車載緊急通報装置及び車載緊急通報システム
DE102008016226A1 (de) * 2007-03-29 2008-10-0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Automatisierter Notruf über Sprache
EP2471051B1 (en) * 2009-08-26 2018-03-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arming of a network access device
US8923802B2 (en) * 2011-05-11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Home network roaming management for eCall-only subscribers
US8849237B2 (en) * 2011-05-11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registration for in-vehicle emergency call service
US8989697B2 (en) * 2011-05-11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registration for in-vehicle emergency call service
DE102012008382A1 (de) * 2012-04-26 2013-10-3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lösung eines Notrufs in einem Kraftfahrzeug
CN103852680A (zh) * 2012-12-07 2014-06-11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检测开关量信号传输电路断线的装置及其方法
CN107976601B (zh) * 2017-10-20 2020-06-12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ntc温度采集线路的故障诊断电路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4984A (en) * 1972-01-25 1974-04-16 Teltronics Inc Emergency circuitry for coin telephone
US4792986A (en) * 1985-12-11 1988-12-20 General Electric Company Portable radio system with externally programmable universal device connector
KR960001090B1 (ko) 1992-11-27 199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상상황 통보회로 및 방법
US5461664A (en) * 1993-04-07 1995-10-24 Cappadona; Steven Emergency wireless telephone
DE4421508A1 (de) 1993-06-21 1994-12-01 Elke Van Buren System zum Herbeiholen von Hilfe für Personen oder Insassen von Fahrzeugen, die ein Mobiltelefon mit sich führen
US5497149A (en) * 1993-09-02 1996-03-05 Fast; Ray Global security system
KR19980021120A (ko) 1996-09-13 1998-06-25 박정옥 경비시스템에서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021A (ko) 2001-01-26
US6574463B1 (en) 2003-06-03
DE10021076C2 (de) 2003-08-28
JP2000311285A (ja) 2000-11-07
DE10021076A1 (de) 2001-03-15
JP3070850B1 (ja) 200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5617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機器、緊急通報システム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機器制御方法
KR100369915B1 (ko) 긴급통보 단말장치 및 긴급통보 시스템
JP3902666B2 (ja) 自動車用テレマティーク装置
US8391831B2 (en) In-vehicle terminal for emergency notification
EP1309132A1 (en) On-vehicle gateway
JP3082282B2 (ja) 車載用通信装置
JP5038166B2 (ja) 車両緊急通報システム
JP3687466B2 (ja) 車両位置通報装置および車両位置通報システム
JP3070842B1 (ja)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機器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US94976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iggering an emergency call in a motor vehicle
JP3700417B2 (ja) 自動緊急通報装置
JP3343816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機器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0341196A (ja) 車載端末装置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US20070002891A1 (en) In-vehicle wireless device
JP2002271276A (ja) 車載用緊急通報装置
JP3871830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1093069A (ja) 車両間連携による緊急通報システム
JP4014768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ひ緊急通報システム
US7112899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n electric load, and a control device
KR100435742B1 (ko) 차량 정보 단말기용 안테나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4310903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機器
JPH11170981A (ja) 車両盗難発見・通報方法及びその装置
JP4096705B2 (ja) 車載用通信システム
JP2002298292A (ja) 緊急時通報システムおよび緊急時通報装置
JP2001216589A (ja) 車両用緊急通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