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120A - 경비시스템에서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경비시스템에서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120A
KR19980021120A KR1019960039865A KR19960039865A KR19980021120A KR 19980021120 A KR19980021120 A KR 19980021120A KR 1019960039865 A KR1019960039865 A KR 1019960039865A KR 19960039865 A KR19960039865 A KR 19960039865A KR 19980021120 A KR19980021120 A KR 19980021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monitoring circuit
reference voltage
circuit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백
Original Assignee
박정옥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옥,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박정옥
Priority to KR1019960039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1120A/ko
Publication of KR1998002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120A/ko

Links

Landscapes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경비시스템에서 다수 감시회로의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경비시스템에서 다수 감시회로의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를 하나의 감지 장치로 감지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다수 감시회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선택부와 기준전압설정부를 구비하여, 입력선택부에서 하나의 감시회로를 선택하고, 기준전압설정부는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부로 전달하면, 감지부는 감시회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여, 제어부가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감시회로의 상태를 판단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하나의 감지 장치로 다수의 감시회로의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비시스템에서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본 발명은 경비시스템에서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 감시회로의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경비시스템은 외부 침입을 검출하는 감시회로와 상기 감시회로의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를 감지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도1은 종래 감시회로의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회로접속부110와 개방상태감지부112와 단락상태감지부114와 제어부116로 구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회로접속부110은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를 감지대상인 감시회로와 개방상태감지부112 및 단락상태감지부114를 접속하여, 상기 감지대상인 감시회로의 상태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달한다. 개방상태감지부112는 회로접속부110로부터 감시회로의 상태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개방(open)상태여부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단락상태감지부114는 회로접속부110로부터 감시회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감시회로의 단락(short)상태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제어부110는 개방상태감지부112와 단락상태감지부114로부터 전달되는 감시회로의 단락상태 또는 개방상태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감시회로의 상태를 판단한다.
도2는 종래 감시회로의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회로접속부110은 접속단자B,M에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의 판단대상인 감시회로를 접속하고, 저항Rt를 접속단자B,M과 병렬로 연결한다. 판단대상인 감시회로의 상태에 따라 회로접속부110에서 출력되어 P1노드에 나타나는 전압의 크기가 달라진다. 감시회로의 상태에 따라 P1노드에서 나타나는 비교전압은 Vs1 =×12V의 식에 따라 결정된다. P1노드에서 나타나는 전압Vs1은 상기와 같은 식에 의해 결정되어, 개방상태감지부112와 단락상태감지부114로 각각 입력된다.
개방상태감지부112는 비교기U1와 저항으로 구성되어 소정 기준전압과 감시회로에서 전달되는 전압Vs1을 비교하여 상기 감시회로의 개방상태여부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P2노드에서 나타나는 개방상태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전압은 Vr1=×12V의 식에 의해 결정된다. 비교기U1은 비교전압Vs1과 기준전압Vr1를 입력받아, 비교전압Vs1과 기준전압Vr1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116로 출력한다. 비교기U1는 비교전압Vs1이 기준전압Vr1보다 큰 경우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즉, 개방상태감지부112는 비교기U1에 의해 판단된 결과 Vs1Vr1이면, 제어부116의 입력단자I1로 하이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달리 비교기U1는 비교전압Vs1이 기준전압Vr1보다 작은 경우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즉, 개방상태감지부112는 비교기U1에 의해 판단된 결과 Vs1Vr1이면 제어부116의 입력단자I1로 로우신호를 인가한다.
단락상태감지부114는 비교기U2로 구성되어 소정 기준전압과 감시회로에서 전달되는 전압Vs1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감시회로의 단락상태여부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P3노드에서 나타나는 단락상태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전압은 Vr2=×12V의 식에 의해 결정된다. 비교기U2는 입력되는 비교전압Vs1과 기준전압Vr2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기U2는 비교전압Vs1이 기준전압Vr2보다 큰 경우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즉, 단락상태감지부114는 Vs1Vr2이면 제어부116의 입력단자I2로 로우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달리 비교기U2는 비교전압Vs1이 기준전압Vr2보다 작은 경우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즉, 단락상태감지부114는 Vs1Vr2이면 제어부116의 입력단자I2로 하이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116는 개방상태감지부112 및 단락상태감지부114로부터 인가되는 각각의 신호에 따라 판단대상인 감시회로의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를 판단한다. 제어부116는 개방상태감지부112로부터 입력단자I1로 하이신호가 인가되고, 단락상태감지부114로부터 입력단자I2로 하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즉, Vr1Vs1Vr2이면 감시회로가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116는 개방상태감지부114로부터 입력단자I1로 로우신호가 인가되면 판단대상인 감시회로가 개방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16는 단락상태감지부로부터 입력단자I2로 로우신호가 인가되면 판단대상인 감시회로가 단락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종래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는 한개의 감시회로의 상태만을 감지한다. 그러므로 감시회로가 다수개이면,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도 감시회로의 개수만큼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감시회로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는 다수의 감시회로 상태를 감지하려면, 그 만큼 회로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가적인 감지장치가 필요함에 따라 경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 감시회로의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를 감지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감시회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선택부와 기준전압을 설정하는 기준전압설정부와 감시회로로부터 전달되는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감시회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감시회로의 단락상태 또는 개방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회로의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입력선택부200와 개방상태감지부112와 단락상태감지부114와 제어부116와 기준전압설정부210로 구성된다. 입력선택부200는 제어부116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제1감시회로 또는 제2감시회로를 선택한다. 기준전압설정부210는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제1감시회로 또는 제2감시회로의 선택에 대응하는 기준전압을 설정한다. 개방상태감지부112는 입력선택부200로부터 인가되는 감시회로의 상태에 대응되는 신호로 개방상태여부를 감지하여 소정 신호로 출력한다. 단락상태감지부112는 제1감시회로 또는 제2감시회로에 따라 각기 상기 기준전압설정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준전압과 입력선택부로부터 인가되는 감시회로의 상태에 대응되는 신호로 단락상태여부를 감지하여 소정 신호로 한다. 제어부116는 개방상태감지부112와 단락상태감지부114로부터 각각 감시회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를 인가받아, 감시회로의 상태를 판단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단대상회로의 개방상태 및 단락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로서, 판단대상회로가 두 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입력선택부200는 감지대상인 제1감시회로X1와 제2감시회로X2를 선택하는 아날로그스위치로서, 4051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6가 출력단자01로 로우신호를 출력하면, 입력선택부200는 제1감시회로X1을 선택한다. 제어부116는 출력단자O2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기준전압설정부210로 전달한다. 기준전압설정부210는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므로 P6에서 나타나는 기준전압은 Vr4 =의 식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달리 제어부116가 출력단자01로 하이신호를 출력하면, 입력선택부200는 제2감시회로X2를 선택한다. 제어부116는 출력단자O2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기준전압설정부210로 전달한다. 기준전압설정부210는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므로 P6에서 나타나는 기준전압은 Vr5 =의 식에 의해 결정된다.
개방상태감지부112는 비교기U1와 저항으로 구성되어 감시회로에서 출력되는 비교전압Vs2이 P3노드에서 나타나는 기준전압Vr3보다 크면,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즉, 비교기U1는 Vs2Vr3이면, 제어부116의 입력단자I1로 하이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달리 개방상태감지부112에서 비교기U1는 비교전압Vs2이 기준전압Vr3보다 작으면,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즉 비교기U1는 Vs2Vr3이면, 제어부116의 입력단자I1로 로우신호를 인가한다.
한편, 단락상태감지부114는 기준전압설정부210의 트랜지스터Q1가 턴온/오프됨에 따라 P6노드에서 나타나는 기준전압의 값이 달라진다. 입력선택부200에서 제1감시회로X1를 선택하면, 기준전압설정부210의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P6노드에서 나타나는 기준전압은 Vr4가 된다. 단락상태감지부114에서 비교기U2는 비교전압Vs2과 기준전압Vr4를 비교하여, 비교전압Vs2이 기준전압Vr4보다 큰 경우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즉, 단락상태감지부114는 Vs2Vr4이면, 제어부116의 입력단자I2로 로우신호를 인가한다. 반대로 단락상태감지부114에서 비교기U2는 비교전압Vs2이 기준전압Vr4보다 작은 경우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즉, 단락상태감지부114는 Vs2Vr4이면, 제어부116의 입력단자I2로 하이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달리 입력선택부200가 제2감시회로X2를 선택하면, 기준전압설정부210는 제어부116로부터 로우신호를 인가받아 트랜지스터Q1이 턴오프되므로 P6노드에서 나타나는 기준전압은 Vr5가 된다. 단락상태감지부114에서 비교기U2는 비교전압Vs2와 기준전압Vr5을 비교하여, 비교전압Vs2이 기준전압Vr5보다 큰 경우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즉, 단락상태감지부114는 Vs2Vr5이면, 제어부116의 입력단자I2로 로우신호를 인가한다. 반대로 단락상태감지부114에서 비교기U2는 비교전압Vs2와 기준전압Vr5을 비교하여, 비교전압Vs2이 기준전압Vr5보다 작은 경우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즉, 단락상태감지부114는 Vs2Vr5이면, 제어부116의 입력단자I2로 하이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116는 입력단자I1,I2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제1감시회로X1와 제2감시회로X2의 개방상태 또는 단락상태를 판단한다. Vr3Vs2인 경우 제어부116는 입력단자I1로 로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1감시회로X1 또는 제2감시회로X2가 개방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달리 Vr3Vs2Vr4인 경우 제어부116는 입력단자I1,I2로 각각 하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1감시회로X1가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Vr3Vs2Vr5인 경우 제어부116는 입력단자I1,I2로 각각 하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2감시회로X2가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Vs2Vr4인 경우 제어부116는 입력단자I2로 로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1감시회로X1가 단락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Vs2Vr5인 경우 제어부116는 입력단자I2로 로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2감시회로X2가 단락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비시스템에서 다수 감시회로의 개방·단락·정상상태를 하나의 감지장치로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경비시스템에서 다수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다수 감시회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선택부와, 상기 입력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감시회로에 따라 기준전압을 설정하는 기준전압설정부와, 상기 입력선택부로부터 상기 감시회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다수 감시회로를 선택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로 상기 감시회로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선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감시회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설정부는 트랜지스터와 저항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감시회로의 선택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트랜지스터가 턴온/오프됨에 따라 상기 기준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KR1019960039865A 1996-09-13 1996-09-13 경비시스템에서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KR19980021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865A KR19980021120A (ko) 1996-09-13 1996-09-13 경비시스템에서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865A KR19980021120A (ko) 1996-09-13 1996-09-13 경비시스템에서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120A true KR19980021120A (ko) 1998-06-25

Family

ID=6652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865A KR19980021120A (ko) 1996-09-13 1996-09-13 경비시스템에서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11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4463B1 (en) 1999-04-28 2003-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ailure detecting structure of emergency call termina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4463B1 (en) 1999-04-28 2003-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ailure detecting structure of emergency call termin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0269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ransmission for vehicles
EP1218758B1 (en) Automatic monitoring of high voltage signals
WO2006090100A1 (en) Detection arrangements
JP2006266732A (ja) 加速度検出装置
KR20140114674A (ko) 아날로그 센서의 종류 판별 장치
US20070203624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KR19980021120A (ko) 경비시스템에서 감시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US4918390A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plurality of electrical devices
US6324040B1 (en) Sensor supply open load detector circuit
KR101919139B1 (ko) 방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6768624B2 (en) Fan protection
US20040198341A1 (en) RF detection and switching system and method
US8230130B2 (en) Input device
JP2994106B2 (ja) 火災報知設備における断線検出機能の試験装置
JP2006194794A (ja) 端末機器配線の短絡検出装置
JP5457152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01035335A (ja) リレー故障検出装置
KR19990062211A (ko) 반도체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KR200170927Y1 (ko) 자동차의 스위치 단선 상태 감지 장치
KR920002830Y1 (ko) 감지기의 연결회선의 단선 검출회로
KR100374862B1 (ko) 마이컴의 이상제어회로
US20040207268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sensor
KR970006537Y1 (ko) 비디오 스위치의 알람 인터페이스 회로
KR100302758B1 (ko) 노이즈에의한오동작이없는실린더판별방법및그장치
CA1145052A (en) Device for monitoring abnormality of sampled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