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927Y1 - 자동차의 스위치 단선 상태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위치 단선 상태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927Y1
KR200170927Y1 KR2019960047087U KR19960047087U KR200170927Y1 KR 200170927 Y1 KR200170927 Y1 KR 200170927Y1 KR 2019960047087 U KR2019960047087 U KR 2019960047087U KR 19960047087 U KR19960047087 U KR 19960047087U KR 200170927 Y1 KR200170927 Y1 KR 200170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erminal
exclusive
stat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147U (ko
Inventor
이인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7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927Y1/ko
Publication of KR199800341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1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난 감지 장치의 스위치 단선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수한 기능을 위하여 장착되는 장치의 스위치를 고의적으로 단선시키게 되면 스위치가 온된 것으로 판단하여 본래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선택동작에 따라 온오프상태가 가변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일측단자에 추가적으로 더 연결되는 회선과; 상기 스위치의 타측단자와 추가 회선을 입력으로 하는 배타적 반전 논리합 수단과; 상기 배타적 반전 논리합 수단의 출력상태에 따라 해당 기능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위치 단선 상태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위치 단선 상태 감지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난 감지 장치의 스위치 단선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수한 기능을 위하여 장착되는 장치의 스위치를 고의적으로 단선시키게 되면 스위치가 온된 것으로 판단하여 본래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의 스위치 상태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와서 고가인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락 시스템같은 특수 기능들이 내장된 차량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난 방지 장치를 장착하여도 도난 기술이 날로 늘어 차량 도난은 여전히 늘어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 같은 특수 기능을 지닌 스위치의 단선 상태를 감지하여 단선 된 상태에서도 차량 도난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하므로써 보다 강력한 도난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운전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온오프상태가 가변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일측단자에 추가적으로 더 연결되는 회선과, 상기 스위치의 타측단자와 추가 회선을 입력으로 하는 배타적 반전 논리합 수단과, 상기 배타적 반전 논리합 수단의 출력상태에 따라 해당 기능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블로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온오프상태가 가변되는 스위치(SW)와, 상기 스위치(SW)의 일측단자에 추가적으로 더 연결되는 회선(①)과, 상기 스위치(SW)의 타측단자(②)와 추가 회선(①)을 입력으로 하는 EX-OR게이트(X.G)와, 상기 추가 회선(①)에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R1)과, 상기 스위치(SW)의 타측단자(②)에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R2)와, 상기 EX-OR게이트(X.G)의 출력단자에 입력단자가 연결되는 인버터(I.G)와, 상기 인버터(I.G)의 출력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R3)과, 상기 인버터(I.G)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CPU(1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동작을 표 1을 참고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 1]
먼저 운전자에 의해 도난 감지 시스템용 스위치가 온되고 회선이 단선되지 않은 상태 즉 표 1의 첫 번때 상황에서는 EX-OR게이트(X.G)의 출력이 로우가 되고 이 로우 신호는 인버터(I.G)에서 반전되어 하이신호로 된다.
따라서 CPU(10)는 하이 신호를 인가받아 도난 방지 시스템을 자동시켜 정상적으로 도난 방지 시스템이 동작된다.
그러나 운전자에 의해 도난 감지 시스템용 스위치가 온되고 회선이 단선되면 스위치가 온되어 있어도 회선의 단선으로 ①과 ②의 신호는 모두 로우가 되며 즉 표 1의 네 번때 상황이 되므로 EX-OR게이트(X.G)의 출력이 로우가 되고 이 로우 신호는 인버터(I.G)에서 반전되어 하이신호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표 1의 네 번째 상황)도 CPU(10)는 하이 신호를 인가받아 도난 방지 시스템을 작동시켜 정상적으로 도난 방지 시스템이 동작된다.
그러나, 회선이 단선되지 않고 운전자가 스위치를 오프 시키면 표 1의 세 번째 상황과 같으므로 인버터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CPU(10)에서는 도난 방지 시스템을 가동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선이 단선되면 스위치의 온오프와 무관하게 도난 방지 시스템이 작동되므로 감시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제공하므로 운전자에게 도난 방지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며 상품가치를 높혀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운전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온오프상태가 가변되는 스위치(SW)와, 상기 스위치(SW)의 일측단자에 추가적으로 더 연결되는 회선(①)과, 상기 스위치(SW)의 타측단자와 추가 회선(①)을 입력으로 하는 배타적 반전 논리합 수단(X.G, I.G)과, 상기 배타적 반전 논리합 수단(X.G, I.G)의 출력상태에 따라 해당 기능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수단(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위치 단선 상태 감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타적 반전 논리합 수단(X.G, I.G)은 EX-OR게이트(X.G)와, EX-OR게이트(X.G)의 출력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I.G)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위치 상태 감지 장치.
KR2019960047087U 1996-12-10 1996-12-10 자동차의 스위치 단선 상태 감지 장치 KR200170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087U KR200170927Y1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의 스위치 단선 상태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087U KR200170927Y1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의 스위치 단선 상태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147U KR19980034147U (ko) 1998-09-05
KR200170927Y1 true KR200170927Y1 (ko) 2000-05-01

Family

ID=1947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087U KR200170927Y1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의 스위치 단선 상태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9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915B1 (en) * 2002-12-04 2003-11-07 A & P Technology Co Separation sensing apparatus having sense circuit to sense detaching state
KR100562897B1 (ko) * 2002-12-04 2006-03-22 에이앤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절단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이탈 감지 장치{Apparatus For Sensing Separation Including Cutting-Detection Curc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915B1 (en) * 2002-12-04 2003-11-07 A & P Technology Co Separation sensing apparatus having sense circuit to sense detaching state
KR100562897B1 (ko) * 2002-12-04 2006-03-22 에이앤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절단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이탈 감지 장치{Apparatus For Sensing Separation Including Cutting-Detection Curc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147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7645B2 (en) Control device for a restraining system in a motor vehicle
KR200170927Y1 (ko) 자동차의 스위치 단선 상태 감지 장치
KR100369915B1 (ko) 긴급통보 단말장치 및 긴급통보 시스템
US20070203624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KR0178152B1 (ko) 차량용 퓨즈 단선 표시장치
KR0138838Y1 (ko) 초음파 감지센서 고장 검출장치
US4185277A (en) Trip alarm circuit
KR19980044302U (ko) 차량용 사고 발생 경보 장치
KR19980026782U (ko) 자동차의 퓨즈 단선 감지 장치
JP2902153B2 (ja) 衝突安全装置作動回路
KR0153316B1 (ko) 자동차의 윈도우 오픈에 따른 경보장치
KR100246048B1 (ko) 자동차의 오디오 도난 방지 시스템
JPH09172470A (ja) 電子制御装置
KR200169511Y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JP3640765B2 (ja) 車両用電子装置の診断装置
KR100476570B1 (ko) 프래임 바디 차량의 전자식 에어백 제어장치
KR200142808Y1 (ko) 전화기 연결상태 확인 장치
KR970039978A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200142196Y1 (ko) 차량의 방향지시등 단선경보회로
GB2178600A (en) Unified control centre for automobiles
KR950008048Y1 (ko) 자동차용 도난경보장치
GB2270403A (en) Integrated burglar-proof alarm system
JPH0717359A (ja) セキュリティコントローラ
KR100513079B1 (ko) 탑승자 보호장치
KR970004623B1 (ko) 자동차 밧데리방전 경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