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090B1 - 비상상황 통보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상황 통보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090B1
KR960001090B1 KR1019920022628A KR920022628A KR960001090B1 KR 960001090 B1 KR960001090 B1 KR 960001090B1 KR 1019920022628 A KR1019920022628 A KR 1019920022628A KR 920022628 A KR920022628 A KR 920022628A KR 960001090 B1 KR960001090 B1 KR 96000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control
signal
control station
emergency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063A (ko
Inventor
문용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090B1/ko
Publication of KR94001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상상황 통보회로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전용선/버스 이용방식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중 세대장치의 마이컴, 메모리 및 유무선센서입력부의 구체 회로도.
제4도는 제2도중 세대장치의 국선인터페이스부, 펄스파형발생부 및 국선감시부의 구체 회로도.
제5도는 제4도중 펄스파형발생부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유무선센서입력부 4 : 마이컴
5 : 메모리 8 : 국선인터페이스부
9 : 펄스파형발생부 10 : 국선감시부
본 발명은 안전관리시스템(security systim)에 있어서 안전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세대와 중앙관제소간의 상호 비상상황 통보 및 관리를 위한 배선에 따른 시공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각 세대와 중앙관제소간의 거리상의 제약을 없앨 수 있고 신규주택이 아니어도 설치 가능하며 전송신호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비상상황 통보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관리시스템은 세대장치와 이를 관리해 주는 중앙관제소수신기로 구성되어 세대에서 발생되는 각종 비상상황을 세대장치의 해당 센서가 상기 중앙관계소로 통보해 주고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는 일정 주기로 상기 세대장치에 관리신호를 송출하여 세대의 안전상황을 점검한다. 현재 아파트에서는 경비실을 운용하고 있고 이 경비실에는 각 세대에서 오는 전용선이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경비실로 전송하거나 전용선을 쓰지 않고 버스방식으로 세대를 묶어 DTMF(Dual Tone Multi Freguenc y)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제1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용선을 이용하는 방식은 각 세대에서 경비실에 있는 주(master)인터폰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신호의 종류만큼 배선을 하여 경비실에 상황을 통보하고 있다. 예를들어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는 화재선을 로우상태에서 하이상태, 도둑이 들었을 경우는 방범선을 로우상태에서 하이상태로 변환해 주면 경비실의 주인터폰에서는 각 세대의 각 신호에 해당하는 신호(발광다이오드를 켜준다든지 세대에서 발생되는 음성합성음을 이용)를 경비실로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1도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방식의 배선일 경우는 호출선(call line)을 버스구조로 각 세대에 연결하여 경비실로 묶어줌으로써 배선의 단순화를 꾀하고 있으며, 임의의 세대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경비실로 통화로를 형성시키고 정해진 프로토콜로 DTMF를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이 정보에는 각 세대를 구분하기 위한 세대정보와 비상상황 정보등의 포함된다. 그런데 이 방식의 가장 큰 문제점은 거리상의 제약을 받는다는 점이다. 또한 한 세대에서 버스선에 영향을 주게 되면 전체 통화를 못하게 되는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로 할 경우에도 역시 배선의 문제는 남아 있게 된다.
결국 전용선 방식일 때는 배선의 과다로 인하여 시공 설치상이 문제점이 발생하며, 버스방식의 경우 거리상의 제약 때문에 단지내에서만 운용이 가능하게 되고 신호 감쇄로 인한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배선의 필요성으로 인한 시공 문제가 두 방식 모두 존재하므로 신규 주택에만 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경제적으로 가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177133호(86.8.8)에 게시된 발전장치의 집중감시시스템에 따르면, 단일의 센터장치와 복수의 발전장치를 전화회선을 통하여 접속하고, 운전지령신호나 이상검출신호를 서로 전송함으로써 조작인원을 줄이고, 보수나 점검 및 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복수의 발전장치와 단일의 센터장치를 전화회선을 통하여 접속한다. 그리고 각 발전장치에는 이상신호와 운전상태신호 및 계측데이타신호를 각각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들의 신호를 센터장치에 송출함과 동시에 센터장치로부터의 운전지령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와, 이 단말기의 출력에 따라 발전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한다. 또한 센터장치에는 각 발전장치의 단말기와 신호의 주고 받음을 행하기 위한 통신처리부와, 그 제어부와, 경보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계측데이타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검출된 이상신호와 운전상태신호 및 계측데이타신호를 디지탈형태로 전화회선을 통하여 센터장치로 송출하게 되는데, 신호의 신뢰성을 보장할 만한 특별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 않다. 결국 왜곡된 신호를 수신한 센터장치에서 잘못된 운전지령신호를 발생하게 할 우려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센터장치에서 다수의 발전장치를 관리하는데 편의를 기하고 소요 인원을 줄이고자 하는 것인바, 발전장치에는 윤활유 압력저하, 냉각수 온도상승, 과속등의 이상상황을 감지하면 발전장치 자체내의 제어부가 이를 판단하고 일단 운전정지를 시키도록 하는 1차적인 안전장치를 갖추고 있어 그 심각성이 덜하다.
반면에 비상상황 통보가 각 세대장치와 중앙관제소간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예를들어 방법에 이상이 생긴 경우나 불이난 경우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전송신호의 왜곡으로 인해 중앙관제소에서 오인을 하여 직접 혹은 방범, 소방요원을 출동시키는 경우 엄청난 인력이나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전술한 경우와는 달리 각 세대의 안전을 관리하는 시스템에서는 전송신호의 신뢰성보장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세대와 중앙관제소간의 상호 비상상황 통보 및 관리를 위한 배선에 따른 시공문제를 해소하며 각 세대와 중앙관제소간의 거리상의 제약을 없애고 신규주택이 아니어도 설치 가능하며 전송신호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비상상황 통보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대장치에서 비상상황 발생시 공중전화망을 통해 펄스형태의 비상상황정보를 중앙관제소로 자동 통보하고, 중앙관제소에서는 수신된 펄스의 갯수로써 비상상황의 종류를 구분하여 감지하며, 상기 펄스에는 특정 주파수를 실어 전송신호의 신뢰성을 보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다수의 세대가 공중전화선을 통하여 중앙관제소수신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각 세대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중앙관제소수신기와 비상상황 통보 및 관리를 위한 정보 혹은 통신제어신호등을 송수신하기 위해 공중전화망(PSTN)에 접속하는 국선인터페이스부 (8)와, 상기 국선인터페이스부(8)를 통해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구형파로 바꾸어 출력하거나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로 비상상황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국선의 상태를 체크하는 국선감시부(10)와, 비상상황을 체크하는 유·무선센서입력부(3)와, 중앙관제소 전화번호와 세대번호 및 종류별 비상상황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와,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와의 통신프로토콜을 만족하며 소정의 주파수가 실린 펄스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국선인터페이스부(8)로 출력하는 펄스파형발생부(9)와, 상기 유ㆍ무선센서입력부(3)를 통해 비상상황을 감지하면 상기 메모리부(5)에 보관되어 있는 중앙관제소 전화번호와 세대번호 및 해당 비상상황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펄스파형발생부(9)로 전달하거나, 상기 국선감시부(10)에서 출력하는 구형파를 분석하여 상기 중앙관제소에서 전송한 정보를 분석하는등 세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4)으로 구성한다.
제3도는 제2도중 유ㆍ무선센서입력부(3)와 마이컴(4) 및 메모리(5)를 구체화한 것으로, 각 세대에 있는 센서로부터 비상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무선 센서의 경우 RF송긴기(21)에 달려있는 접점의 변화 즉 접점이 개방상태에서 단락상태로 변했을시 그 변화에 트리거되어 자신(송신기)에 해당하는 코드를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시켜 RF수신기(22)로 보내면 상기 RF수신기(22)에서는 복조과정을 거쳐 이진정보를 추출해 마이컴(4)으로 입력한다. 유선센서입력부(23)의 경우도 비슷하다. 유선으로 연결되어진 센서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 변화를 상기 마이컴(4)으로 입력하게 된다. 이와같이 유ㆍ무선 센서부터 비상상황을 접수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4)은 외부 중앙관제소에 통보할 준비를 하게 된다.
외부에 통보할 전화번호는 상기 메모리(5)의 이이피롬(52)에서 독출하게 되는데, 이 전화번호는 사용자가 함부로 바꿀 수 없고 전원이 나가도 항상 보존이 되어야 하는 중요한 정보이므로 불휘발성 메모리에 보관하도록 하며 프로그램시에도 중앙관제소의 관리자가 직접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전화번호는 경우에 따라 첫번째 전화번호, 두번째 전화번호등 다수의 전화번호가 기억될 수 있다. 또 상기 이이피롬(52)에는 세대를 고유하게 지정할 수 있는 세대번호가 기억되어야 하며, 몇개의 자리수로 표현할 것인지는 상기 중앙관제소의 수신기와의 약속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또 센서로부터 들어온 비상상황을 구분할 비상상황코드도 지정이 되어야 하는데, 세대에서 상기 중앙관제소로 전송할 비상상황의 종류에 따라 몇자리로 할것인가를 결정하면 된다. 예를들어 세대번호를 6자리로 표현하고 비상상황 코드를 한 자리로 지정하게 되면 세대에 전송할 정보의 자리수는 7개가 된다. 이러한 프로토콜에 대한 내용은 세대와 중앙관제소의 수신기 사이의 약속에 의한 것이므로 적절한 통신방식 규약을 결정하면 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통보를 위한 기본적인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의의 세대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마이컴(4)은 메모리(5)에서 상기 중앙관제소의 전화번호를 가져오고 전화를 훅오프(hook-off)하여 국선감시부(10)를 통해 전화선의 상황을 알아본다. 다이알링이 가능한 상황(다이알톤 상황)이 되면 DTMF펄스를 발생시켜 다이알링을 하고 상기 중앙관제소의 수신기에서 링신호에 의해 전화를 받으면 상기 중앙관제소의 수신기에서 통신개시신호를 보내주게 된다. 이 신호를 받은 상기 마이컴(4)은 이어서 펄스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펄스의 갯수에 의해 정보를 표시하게 되는데, 펄스가 하나이면 ′1′, 둘이면 ′2′로 인식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펄스에는 상기 펄스가 하이상태일때 특정 주파수가 실리게 되어 신뢰성을 향상하고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앙관제소의 수신기에서는 데이타를 받아 에러체크방법에 의해 수신신호가 정확하다고 확인이 되면 다시 세대장치로 통신완료신호를 보내준다. 물론 상기 통신완료신호는 전술한 통신개시신호와 같고 특정 주파수로 표현된다. 상기 통신완료신호를 감지한 상기 마이컴(4)은 응답신호(통신완료신호와 구별되는 주파수를 가짐)를 상기 중앙관제소의 수신기로 보내줌으로써 통신이 종료된다.
상기한 내용중 주파수가 실린 펄스 파형을 만드는 부분과 전화선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타를 디코딩하기 위해 국선을 감시하는 부분을 제4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4도는 상기 제2도중 국선감시부(10)와 국선인터페이스부 (8) 및 펄스파형발생부(9)를 구체화한 것이다.
펄스파형발생부(9)에서 주파수발생부(U1)는 출력의 주파수와 진폭 및 파형을 프로그램으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4)으로부터 상기 주파수발생부(U1)의 칩선택단자(CS)와 기록가능단자(WR)로 칩선택신호 및 기록가능신호를 제공하고 데이타버스를 통해 상기 마이컴(4)으로부터 상기 주파수발생부(U1)의 내부 레지스터에 필요한 값을 써주게 되면 원하는 주파수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출력 파형은 두 저항(R4,R6)과 두 캐패시터(C5,C6)에 의해 필터링되어 제1반전증폭기(U2A)로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반전증폭기 (U2A)는 12V의 단전원으로 구동되므로, (+)단을 저항(R1)과 저항(R2)의 분배전압에 의해 12V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도록 레벨을 띄워 놓으면 저항(R7)과 저항(R8)의 비에 의해 반전증폭되어 제2반전증폭기(U2B)에 다시 입력된다. 상기 제2반전증폭기 (U2B)는 전화선의 교류 임피던스 매칭용으로 상기 제1반전 증폭기(U2A)에서 증폭하여 레벨을 키운후 상기 제2반전증폭기(U2B)를 거쳐 위상이 바뀐후 상기 제2반전증폭기(U2B)의 출력 임피던스와 저항(R3)에 의해 출력 임피던스가 600Ω에 가깝게 되어 상기 국선인터페이스부(8)의 트랜스포머(T)를 통해 최대의 신호가 공중전화망을 타고 전송되게 한다. 이때 두 저항(R9,R10)의 값이 같으면 상기 제2반전증폭기(U2B)는 단순히 위상 반전과 출력 임피던스 조정용이 된다.
한편 중앙관제소의 수신기에서 들어오는 신호는 국선인터페이스부(8)의 저항(R17)이 5V에 풀업되어 있으므로, 5V로 떠서 국선감시부(10)의 제2비반증폭기 (U3B)에 입력된다. 상기 제2비반전증폭기(U3B)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제1비반전증폭기(U3A)에 입력되는데 이 증폭도는 상당히 커야 한다. 충분히 증폭된 신호는 상기 제1비반적증폭기에(U3A)의 두 저항(R14,R15)에 의한 히스테리시스 작용에 이해 완전한 구형파로 바뀌어 상기 마이컴(4)으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마이컴(4)에서는 국선상의 모든 주파수 성분을 모두 분석할 수 있다. 즉 링신호는 물론이고 다이알톤, 비지톤, 통화 개시신호등 모든 신호의 분석이 가능하다.
상기한 내용과는 반대로 중앙관제소에서 임의의 세대를 호출하여 필요한 정보를 읽거나 다시 쓸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관제소에서 임의의 세대로 전화를 걸면 링신호는 저항(R16)과 캐패시터 (C9)를 거쳐 두 제너다이오드(ZD1,ZD2)에 의해 레벨이 감소되어 옵토커플러 (OPTO)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두 제너다이오드(ZD1,ZD2)는 일반 데이타나 음성에는 동작하지 않고 링신호에만 동작하도록 레벨을 정해줘야 한다. 상기 링이 발생되면 상기 옵토커플러(OPTO)의 콜렉터단은 링의 주파수에 의한 반전 펄스를 생성하나 캐패시터(C10)에 의해 평활되어 레벨신호를 마이컴(4)으로 주게 된다. 즉 링이 발생되면 로우레벨을 상기 마이컴(4)에 주게 되어 전화가 왔음을 알고 릴레이를 구동시켜 루프를 형성시키게 되며 상술한 방식대로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예를들어 메모리(5)의 에스램(SRAM : 53)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을 읽어 볼 수도 있고 이이피롬 (52)의 내용을 다시 바꿀 수도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일컬어 다운로딩 (down loading)기능이라 한다.
제5도는 제4도중 펄스파형발생부(9)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상기 마이컴(4)에 걸린 프로그램의 부하가 과하지 않거나 포트의 여유가 있을 때 각 포트를 사용하여 원하는 펄스 파형을 발생시킬 수 있다.
DTMF신호를 만들기 위해 저주파(F-LOW)와 고주파(F-HIGH)를 두 저항 (R1,R2)을 통해 합성하여 두 전압 폴로워(67,68)를 거쳐 국선인터페이스부(8)를 통해 송출한다. 한편 마이컴(4)의 데이타포트(F-DATA)는 단일 톤으로 데이타의 펄스, 응답신호등을 발생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전압 폴로워(67)로 전달되는 신호는 네 저항(R1,R2,R7,R4)의 합과 캐패시터(C1)에 의한 적분 파형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에서 전화를 걸어 링을 검출한 후 내부의 메모리 상황을 읽거나 바꾸어 쓸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상상황정보를 주파수가 실린 펄스신호로 만들어 전화라인을 통해 전송하고 국선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분석하여 정해진 약속에 의한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일반 공중 전화망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신호 전송을 할 수 있고, 중앙관제소에서 세대장치로 통화로를 형성하여 정보를 읽고 다시 쓸 수 있어 효율적이며 보다 실제적인 안전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 공중전화망을 이용함으로써 각 세대와 중앙관제소간의 상호 비상상황 통보 및 관리를 위한 배선에 따른 시공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각세대와 중앙관제소간이 거리상의 제약을 없앨 수 있으며, 신규주택이 아니어도 설치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중앙관제소수신기와 다수의 세대장치를 구비한 안전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비상상황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유ㆍ무선센서수단과,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로 비상상황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중앙관제소 수신기와 통신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공중전화망에 접속하는 국선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국선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구형파로 바꾸어 출력하거나 상기 비상상황정보의 전송을 위해 국선의 상태를 검사하는 국선감시수단과, 중앙관제소 전화번호와 세대번호 및 종류별 비상상황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특정주파가 실린 펄스를 해당 갯수만큼 발생하여 상기 국선인터페이스수단으로 출력하는 펄스파형발생수단과, 상기 유ㆍ무선센서수단을 통해 소정의 비상상황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중앙관제소 전화번호와 세대번호 및 해당 비상상황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펄스파형발생수단으로 전달하며, 상기 국선감시수단에서 출력하는 구형파를 분석하여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에서 전송된 정보를 인식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장치의 비상상황 통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파형발생수단이, 출력 주파수와 진폭을 프로그램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그에 따라 소정의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발생수단과, 상기 주파수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 증폭하여 레벨을 일정 정도 높이는 제1반전증폭수단과, 전화선의 교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상기 제1반전증폭된 신호를 다시 반전 증폭하는 제2반전증폭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장치의 비상상황 통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세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통보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파형발생수단이, 각각 저주파와 고주파를 출력하는 마이컴의 제1 및 제2포트와, 단일 톤의 데이타 펄스를 출력하는 마이컴의 제3포트와, 상기 저주파와 고주파를 합성하여 상기 중앙관제소 전화번호 다이알링을 위한 이중음다중주파수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이중음다중주파수신호 혹은 상기 데이타 펄스를 필터링하는 수단과, 상기 필터링한 신호를 상기 국선인터페이스수단에 그대로 전달하기 위한 전압폴로워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장치의 비상상황 통보회로.
  5. 제1항 혹은 제2항 혹은 제3항 혹은 제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신호는,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에서 상기 세대장치의 호출을 감지하면 상기 세대장치로 전송하는 통신개시신호 혹은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에서 상기 세대장치로부터 비상상황정보를 수신후 상기 세대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통신개시신호와 동일 주파수의 통신완료신호 혹은 상기 세대장치에서 상기 통신완료신호를 수신시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로 전송하는, 상기 통신완료신호와 다른 주파수의 응답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통보회로.
  6. 중앙관제소수신기와 다수의 세대장치를 구비한 안전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와 임의의 한 세대장치 사이에 펄스의 갯수로서 비상상황을 통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세대장치에서 비상상황 발생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중앙관제소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를 호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에서 상기 호출을 감지하고 상기 세대장치로 통신개시신호를 전송하는 제2과정과, 상기 세대장치가 상기 통신개시신호를 수신하면 비상상황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비상상황코드와 세대번호에 따라, 특정 주파수가 실린 펄스를 해당 갯수만큼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에서 상기 펄스를 수신하고 그 갯수를 카운트하여 해당 세대의 비상상황을 감지하면 통신완료신호를 전송하는 제4과정과, 상기 세대장치에서 상기 통신완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중앙관제소수신기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20022628A 1992-11-27 1992-11-27 비상상황 통보회로 및 방법 KR96000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628A KR960001090B1 (ko) 1992-11-27 1992-11-27 비상상황 통보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628A KR960001090B1 (ko) 1992-11-27 1992-11-27 비상상황 통보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063A KR940013063A (ko) 1994-06-25
KR960001090B1 true KR960001090B1 (ko) 1996-01-18

Family

ID=1934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628A KR960001090B1 (ko) 1992-11-27 1992-11-27 비상상황 통보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279A (ko) * 1999-02-12 1999-09-06 임성복 긴급전화자동관제시스템및그의제어방법
JP3070850B1 (ja) 1999-04-28 2000-07-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063A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6047A (en) Automated remote telemetry paging system
US5010568A (en) Remote meter reading method and apparatus
US4086434A (en) Remote condition reporting system
US5673190A (en) Multipurpose remote office machine management system
US5161182A (en) Remote meter reading method and apparatus
KR960001090B1 (ko) 비상상황 통보회로 및 방법
US6442264B1 (en) Telephone call router for transferring data to and from data collection apparatus
JPS6264159A (ja) 計器接続システムを起動するための信号音応答回路
EP10082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telemetering
KR20020004248A (ko) 화재 검출장치와 제어기간 선로를 간소화한 화재경보 시스템
JPS62164362A (ja) 自動検針方式
JPS60204160A (ja) 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JPS61179632A (ja) 情報伝送システム
JPS62235862A (ja) 電話回線を利用するデ−タ転送収集方法
CN107800903A (zh) 一种海运舰船自动拨号报警器
KR950011194B1 (ko) 케이블티비(catv)망을 이용한 방범방재 및 원격검침 시스템의 메타 정합기 운용방법
GB2263605A (en) Emergency voice messaging
JP3453985B2 (ja) 端末網制御装置
KR20060043776A (ko) 양방향 문자제어를 통한 홈 오토메이션의 구동방법 및 그장치
US3800096A (en) Tone data receiver
GB2374755A (en) Remote data transfer without establishing a call connection
JP3750748B2 (ja) 構内交換機及びボタン電話装置
JP2004312670A (ja) 計測通信方法および計測通信装置
JPH01240999A (ja) 自動検針装置
KR19990005838A (ko) 원격검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