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178B1 - 복어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어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178B1
KR100365178B1 KR1020000012940A KR20000012940A KR100365178B1 KR 100365178 B1 KR100365178 B1 KR 100365178B1 KR 1020000012940 A KR1020000012940 A KR 1020000012940A KR 20000012940 A KR20000012940 A KR 20000012940A KR 100365178 B1 KR100365178 B1 KR 10036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fish
edible
weight
puffer fish
p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254A (ko
Inventor
김현대
Original Assignee
김현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대 filed Critical 김현대
Priority to KR1020000012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178B1/ko
Publication of KR2001008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어의 효능을 일반인들이 좀더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복어를 먹을 수 있도록 한 복어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어포 및 그 제조방법.{SWELLFISH DRIED SLICES AND THERE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각종 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독성이 전혀 없는 복어포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어는 분류학적으로 참복과, 불뚝복과, 거북복과, 가시복과 등에 속하는 복어들을 모두 복어라 하나 통상 복어라 함은 참복과에 속하는 복어를 가르킨다. 우리나라 수역에 서식하는 참복과에 속한 복어는 자지복, 검복, 까치복 등 18종과 가시복의 1종을 합쳐 19종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전술한 복어는 간장을 비롯하여 생식선, 소화관, 피부 등에 강력한 신경독, 바람직하게는 테트라도톡씬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신경독은 적은 량으로도 생명체를 치사시킬 수 있는 강한 독성이다.
하지만, 이러한 독성을 가지고 있는 복어는 혈액순환 촉진, 혈중알콜농도 저하 및 지방의 분해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또한 항암 효능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각종 조립방법을 채택하여 복어 매운탕, 복어수육 등의 음식으로 만들어 식용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전술한 복어의 효능을 일반인들이 좀더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복어를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어포를 제조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사안들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독성이 전혀 없는 복어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인들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제조한 복어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냉동 처리된 복어를 5~10℃의 물에 넣어 해동시킨 후, 복어의 비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세척한 다음, 이를 얼음물에 침지시켜 혈육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를 다시 중탄산나트륨에 침지시켜 독성분을 제거한 다음, 이를 다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한 다음, 여기에 각종 식품첨가물을 첨가시킨 후, 이를 18~22℃에서 약 14~17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복어포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바람직한 최상의 실시 예를 토대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복어포에는 신경 독성이 전혀 없으며, 이는 고속액체 색층분석(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이하, 'HPLC'라 함)법과 ICR계 마우스(mouse)를 사용하여 일본후생성검사지침 또는 국립수산물검사소지침에 준하여 독성검사를 2회에 걸쳐 수행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독성검사 방법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HPLC법은 'Onoue, Y., T. Noguchi, Y. Nagshima, K. Hashimoto and K. Tsukada : Separation of tetrodotoxin paralytic shellfish poiso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with a fluorometric detection, J. of chromatography, 257, 373-379, (1983)' 와 'Nagashima, Y., Maruyama, J., Noguchi, T. and Hashimtoto, K. : Analysis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and tetrodotoxin by ion-pair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Nippon Suisan Gakkaishi, 53, 819(1987)' 및 'Hyun-Dae Kim, Yeung-Ho park and Dong-Soo Kim : Tetrodotoxin In a Pufferfish, Fugu xanthopterus, J. Korean Soc. Food Nutr. 23(3), 502-508(1994)'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한 상기 ICR계 마우스를 이용한 분석(mouse assay)법은 'Ministry of Hcalth and Welfare : Pufferfishes available in Japan, Shokuhin Eisei Kensa Shishin 2, p.232 (1978)'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상기 본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복어포를 제조하는 방법은 6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공정;
복어를 (-)40~(-)35℃에서 24시간 동안 급속 동결시킨 다음, 이를 20℃의 냉동고에서 가공전 단계까지 보관 저장하였다.
제2 공정;
냉동된 복어를 미온의 물, 바람직하게는 5~10℃의 물에 넣어 해동시킨 다음, 상기 복어의 대가리, 간장, 내장, 비장 등의 비가식 부위를 제거하였다. 이후 가식부위만 남은 복어를 수돗물에 세척한 다음, 이를 식염수에 침지시킨 후, 이를 다시 얼음물에 침지시켜 혈육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제3 공정;
상기 가식부위에 분포되어 있는, 바람직하게는 복어 근육부위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독인 Tetrodotoxin, anhydro-TTX, epi-TTX을 유도물질로 변형시키기 위해 알칼리용제인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에 침지시킨 후, 그 독성분이 유도물질(C9-base)로 변환된 지를 통상의 HPLC법에 의해 확인하여 독성이 완전히 제거되었을 때 가식부위를 용제에서 추출하였다.
제4 공정;
상기 가식부위를, 구체적으로는 복어의 근육부위를 흐르는 수돗물에 세척한다음, 물기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가식부위가 완전히 무독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ICR계 마우스(mouse)를 사용하여 일본후생성검사지침 또는 국립수산물검사소지침에 준하여 독성 검사를 하였다.
제5 공정;
독성이 완전히 제거된 가식부위 91중량%에 식품첨가물인 정제염 1.0중량%, 백설탕 5.0중량%, L-글루타민산 나트륨(L-glutamine sodium) 1.4중량%, 감미료(sorbitol) 1.0중량%, 합성보존료(potassium sorbate) 0.1중량% 및 비타민-E 0.5중량%를 첨가시켜 충분히 간 먹이기를 하였다.
제6 공정;
상기 제5 공정을 거친 복어를 통상의 냉풍 건조기를 사용하여 20℃±2의 온도에서 14~17시간 동안 완전 건조시킨 다음, 이를 OPP 필름을 사용하여 밀봉시킨 후, 이를 다시 포장하여 복어포의 완제품을 만들었다.
한편, 앞에서 개시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혈액순환 촉진, 혈중알콜농도 저하 등의 효과가 있는 복어를 일반인들이 언제어디서나 쉽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독성이 전혀 없기 때문에 면역성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이 즐겨 먹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복어포는 술안주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의 간식용으로도 적합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복어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어를 (-)40~(-)35℃에서 급속 동결시킨 다음, 이를 냉동고에서 가공전 단계까지 보관 저장하는 제1 공정과;
    냉동된 복어를 5~10℃의 물에 넣어 해동시킨 다음, 상기 복어의 대가리, 간장, 내장, 비장 등의 비가식 부위를 제거한 후, 가식부위만 남은 복어를 수돗물에 세척한 다음, 이를 식염수에 침지시킨 후, 이를 다시 얼음물에 침지시켜 혈육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공정과;
    상기 가식부위에 분포되어 있는, 바람직하게는 복어 근육부위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독인 Tetrodotoxin, anhydro-TTX, epi-TTX을 유도물질로 변형시키기 위해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에 침지시킨 후, 그 독성분이 유도물질(C9-base)로 변환된 지를 통상의 HPLC법에 의해 확인하여 독성이 완전히 제거되었을 때 가식부위를 용제에서 추출하는 제3 공정과;
    독성이 완전히 제거된 가식부위 89~92중량%에 식품첨가물인 정제염 0.5~1.5중량%, 백설탕 1.0~10중량%, L-글루타민산 나트륨 0.9~1.9중량%, 감미료 0.5~1.5중량% 및 합성보존료 0.05~0.5중량%, 그리고 비타민-E 0.1~1.0중량%를 첨가시켜 충분히 간 먹이기를 하는 제4 공정과;
    상기 제4 공정을 거친 복어를 통상의 냉풍 건조기를 사용하여 20℃±2의 온도에서 14~17시간 동안 완전 건조시키는 제5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어포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정과 제4 공정 사이에 적용되며, 상기 복어에 잔존하는 독성분은 고속액체 색층분석기를 통해 1차 확인한 다음, 이를 다시 ICR계 마우스를 사용하여 일본후생성검사지침 또는 국립수산물연구소지침에 준하여 2차 독성검사를 수행하는 공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어포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00012940A 2000-03-11 2000-03-11 복어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36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940A KR100365178B1 (ko) 2000-03-11 2000-03-11 복어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940A KR100365178B1 (ko) 2000-03-11 2000-03-11 복어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254A KR20010088254A (ko) 2001-09-26
KR100365178B1 true KR100365178B1 (ko) 2002-12-18

Family

ID=1965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940A KR100365178B1 (ko) 2000-03-11 2000-03-11 복어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1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564B1 (ko) * 2002-01-25 2004-05-24 김현대 알칼리 제독처리에 의한 냉풍 건조시킨 복어껍질 무침포의 제조방법.
KR100467149B1 (ko) * 2002-01-25 2005-01-24 김현대 물리적 제독처리에 의한 레토르트 팩용 복어국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468B1 (ko) * 2005-03-30 2006-06-14 대경에프.엔.비 주식회사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
KR100646671B1 (ko) * 2005-03-31 2006-11-23 대경에프.엔.비 주식회사 복 프라이의 제조방법
KR102236936B1 (ko) * 2020-04-28 2021-04-05 정규동 복어포 및 그 가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030A (ko) * 1983-07-29 1985-03-14 김진곤 스치로폴 입자의 도색방법
KR930000394A (ko) * 1991-06-15 1993-01-15 김길선 이단 폐수 여과장치
KR19990010316A (ko) * 1997-07-16 1999-02-18 명인식 복어 엑기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030A (ko) * 1983-07-29 1985-03-14 김진곤 스치로폴 입자의 도색방법
KR930000394A (ko) * 1991-06-15 1993-01-15 김길선 이단 폐수 여과장치
KR19990010316A (ko) * 1997-07-16 1999-02-18 명인식 복어 엑기스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000년 2월 *
단행본1989년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564B1 (ko) * 2002-01-25 2004-05-24 김현대 알칼리 제독처리에 의한 냉풍 건조시킨 복어껍질 무침포의 제조방법.
KR100467149B1 (ko) * 2002-01-25 2005-01-24 김현대 물리적 제독처리에 의한 레토르트 팩용 복어국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254A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82123B (zh) 一种低过敏性蟹肉罐头的加工方法
CN103054081B (zh) 一种鳀鱼即食罐头的制备工艺
CN101224015B (zh) 一种养殖鱼类烟熏制品的加工方法
KR101912391B1 (ko) 춘천옥 유래의 미네랄 수(水)와 한방추출액으로 숙성시킨 고품질 코다리의 제조방법
KR100365178B1 (ko) 복어포 및 그 제조방법.
CN105360998A (zh) 一种速冻调味秋刀鱼的制作方法
Anantaphruti Parasitic contaminants in food
JP4783903B2 (ja) 冷凍すり身の製造方法
CN109832327B (zh) 一种鲐鱼涂膜保鲜方法
KR20100057417A (ko) 매실을 함유한 젓갈 및 이의 제조 방법
Gardiner Survival of Anisakis in cold smoked salmon
KR100365179B1 (ko) 복어지느러미를 원료로 하는 티백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694793B1 (ko) 절임생선의 제조방법
KR101942386B1 (ko) 반건조 및 반숙된 가공 생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공 생선
CN111387436B (zh) 一种巴沙鱼柳冻品的制备方法
KR100466002B1 (ko) 효소를 이용한 황태 농축액의 제조방법
Pandey et al. Effect of superchilling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indian mackerel (Rastelliger kanagurta) stored in solar operated refrigerated fish vending unit
KR100732814B1 (ko) 복분자와 유기농 녹차를 이용한 굴비의 가공방법
KR100432564B1 (ko) 알칼리 제독처리에 의한 냉풍 건조시킨 복어껍질 무침포의 제조방법.
CN103549494B (zh) 一种粘粉沙丁鱼片的制作方法
KR940000317B1 (ko) 보존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84810B1 (ko) 간장 멍게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537737B1 (ko) 오징어채 가공 방법
Rohani et al. Processing of surimi from freshwater fish-tilapia
KR940010261B1 (ko) 우렁쉥이 발효식품(멍게육젓)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