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468B1 -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468B1
KR100589468B1 KR1020050026351A KR20050026351A KR100589468B1 KR 100589468 B1 KR100589468 B1 KR 100589468B1 KR 1020050026351 A KR1020050026351 A KR 1020050026351A KR 20050026351 A KR20050026351 A KR 20050026351A KR 100589468 B1 KR100589468 B1 KR 10058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easoning
clothing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희
강치범
Original Assignee
대경에프.엔.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에프.엔.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경에프.엔.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1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with or without ten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swellfish)을 반나절동안 건조(반건)한 다음, 식염, 솔비톨, 조미료, 발효조미액 및 설탕을 첨가하여 2~3시간동안 조미한 후, -30℃이하, 바람직하게는 -40℃이하의 온도로 초저온 급속냉동하고, -10℃이하, 바람직하게는 -18℃이하의 온도에서 냉동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 특유의 독성, 이미(異味) 및 이취(異臭)가 없고, 장기보존이 가능하며, 복 고유의 담백한 맛 및 각종 영양소를 유지하고, 현대인들이 빠르고 손쉽게 즐겨먹을 수 있는 복 반건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복 반건품은 술안주, 반찬 및 어린이들의 간식용으로 적합하다.
복 반건품, 급속냉동, 제조

Description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a Semi-Dried Swellfis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swellfish)을 반나절동안 건조(반건)한 다음, 식염, 솔비톨, 조미료, 발효조미액 및 설탕을 첨가하여 2~3시간동안 조미한 후, -30℃이하, 바람직하게는 -40℃이하의 온도로 초저온 급속냉동하고, -10℃이하, 바람직하게는 -18℃이하의 온도에서 냉동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복(swellfish)을 하돈(河豚), 일본에서는 후구(ふぐ)라 부르는데, 이는 복어의 배가 볼록한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분류학적으로 참복, 밀복, 까치복, 깨복, 원양은복, 쫄복, 은복 등이 복에 속하며, 중국 연안(조어도), 일본, 한국 등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다.
현재 수입이 가능한 복어의 종류로는 복섬(Fugu niphobles, Takifugu niphobles), 흰점복(Fugu poecilonotus, Takifugu poecilonotus), 졸복(Fugu pardalis, Takifugu pardalis), 매리복(Fugu vermicularis vermicularis, Takifugu vermicularis snyderi), 검복(Fugu vermicularis porphyreus, Takifugu porphyreus), 황복(Fugu obscurus, Takifugu obscurus), 눈불개복(Fugu chrysops, Takifugu chrysops), 자주복(Fugu rubripes rubripes, Takifugu rubripes), 검자주복(Fugu rubripes chinensis, Takifugu rubripes chinensis), 까치복(Fugu xanthopterus, Takifugu xanthopterus), 금밀복(Lagocephalus inermis), 흰밀복(Lagocephalus wheeleri), 검은밀복(Lagocephalus gloveri), 불룩복(Sphoeroides pachygaster, Liosaccus pachygaster), 삼채복(Fugu flavidus, Takifugu falvidus), 강담복(Chilomycterus affinis), 가시복(Diodon holocanthus), 브리커가시복(Diodon liturosus), 쥐복(Diodon hystrix), 거북복(Ostracion cubicus) 및 까칠복(Fugu stictonotus, Takifugu stuctonotus)이 있다.
수입이 가능한 복어는 처리하지 않은 원형의 것이거나 복어의 종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단순히 내장, 아가미, 눈을 제거한 것에 한하며, 수입이 인정되는 복어일지라도 동해, 발해, 황해, 동중국해 이외의 해역에서 어획된 것이라면 독력검사결과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또한, 수입이 인정되는 복어의 종류 및 어획해역명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출하는 국가의 정부기관에서 복어의 종류(학명), 어획해역명을 확인하는 서류를 발부받아야 한다.
복은 간장을 비롯한 생식선, 소화관, 피부 등에 강력한 신경독인 테트라도톡씬(tetradotoxin)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 신경독은 적은 양으로도 생명체를 치사( 최대치사율 60%)시킬 수 있는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다. 복은 복 특유의 맹독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쉽게 조리할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독성을 가지고 있는 복어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에 좋으며 근육의 경화를 방지하고 부드럽게 하는 장점이 있으며, 단백질과 비타민 B1, B2 등이 풍부하고 중성지방이 전혀 없어 성인병(고혈압, 당뇨병, 신경통 등) 예방에 좋으며, 간장해독작용, 숙취제거 및 알코올중독 예방에 효과가 있고, 혈액을 맑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피부를 아름답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암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각종 조리방법을 채택하여 튀김, 회, 죽, 지리, 구이, 조림, 샤브샤브, 불고기 등으로 조리되어 식용으로서 애용하고 있다.
종래 일반적인 복어의 조미방법은 모두 물에 끓이도록 되어 있어서, 복어 자체가 갖는 고유의 담백함과 영양분이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복어 고유의 영양분과 담백한 맛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더욱 맛있는 복어 조미방법의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 결과, 복어구이 제조방법(KR 10-1999-0001329), 복어 갈비의 제조방법(KR 2003-0009811), 복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KR 2001-0002248), 복어를 이용한 물김치의 제조방법(KR 2001-0002249) 등이 특허출원·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복어를 이용한 다양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지만, 현대인들이 별다른 조리과정 없이 손쉽고 간편하게 복을 먹을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손쉽고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복 반건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반건하여 조미한 복을 -30℃이하에서, 바람직하게는 -40℃이하에서 초저온 급속냉동시키고, -10℃이하에서, 바람직하게는 -18℃이하에서 냉동보관하면, 복 고유의 담백한 맛을 유지하고 각종 영양소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현대인들이 손쉽게 즐겨먹을 수 있는 복 반건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복 고유의 담백한 맛을 유지하고 각종 영양소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현대인들이 빠르고 손쉽게 즐겨먹을 수 있는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주원료인 복을 세척하고 내장을 제거한 다음, 제독하여 자르고 보수(補水)하는 단계; (b) 상기 보수한 복을 반건하는 단계; (c) 상기 반건한 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염 0.1~10중량부를 첨가하여 1차 조미한 다음, 솔비톨, 조미료, 발효조미액, 및 설탕을 함유하는 양념장을 사용하여 2차 조미하는 단계; 및 (d) 상기 조미한 복을 -30℃이하로 3~5시간동안 초저온 급속냉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은 검은밀복(Lagocephalus gloveri, 구로사바후 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식염의 첨가량은 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0.5~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념장의 조성은 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솔비톨 0.1~20중량부, 조미료 0.1~20중량부, 발효조미액 0.1~20중량부, 및 설탕 0.1~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솔비톨 0.5~5중량부, 조미료 0.5~5중량부, 발효조미액 0.5~5중량부, 및 설탕 0.5~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제조된 복을 최종선별하여 중량별로 포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d)단계는 -40℃이하에서 급속냉동시키고, -18℃이하에서 냉동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수(補水)"라 함은 살균제 등의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 물로 처리하는 것으로, 어체를 보수 처리할 경우, 색을 희게 하고, 부드럽게 만들 뿐만 아니라, 살균효과와 수율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건(半乾)"이라 함은 반나절동안(하룻밤동안) 말려서 약간의 물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는 어체의 맛을 좋게 하고, 날것보다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완전 건조제품보다 다양한 조리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반건 공정에 의해 수득된 제품을 "반건품(半乾品)"이라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는 복원료로 검은밀복만을 예시하였으나, 복섬, 흰점복, 졸복, 매리복, 검복, 황복, 눈불개복, 자주복, 검자주복, 까치복, 금밀복, 흰밀복, 검은밀복, 불룩복, 삼채복, 강담복, 가시복, 브리커가시복, 쥐복, 거북복 및 까칠복을 사용하는 것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실시예 1: 복 반건품 제조
제1단계: 복어 전처리
동결품인 검은밀복을 자연 해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할복하여 내장(위, 창자 등), 그 내용물 등의 비가식부분을 제거한 다음, 소금물로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였다. 물기가 제거된 검은밀복 중에서 상태가 양호한 검은밀복만을 선별하였다.
상기 선별한 검은밀복을 17~18℃의 소금물에 약 30~40분 동안 담근 후 건져서 깨끗한 위생 마른행주로 눌러 피를 제거한 다음, 수차례 소금물에 씻고 물기를 제거함으로써, 복어 특유의 독성분을 제거하였다.
제2단계: 복 반건품 제조
상기 제독된 검은밀복을 적정 크기로 잘라 보수(補水)하고, 반나절동안(하룻 밤동안) 건조시켰다. 검은밀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염 2.42중량부를 사용하여 조미한 다음, 솔비톨 1.98중량부, 조미료 1.1중량부, 발효조미액 1.98중량부 및 설탕 2.42중량부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사용하여 2~3시간동안 2차 조미하였다. 조미된 검은밀복을 최종선별하여 중량별(200g, 300g, 500g 및 1000g)로 PE, PVDC, PP 등의 플라스틱 용기 또는 삼나무통, 사각목상자 등의 목제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40℃이하의 온도에서 초저온 급속냉동시켜 복 반건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품은 -18℃이하의 온도에서 냉동보관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 반건품의 성분 및 배합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성분 배합비(g)
복어 100
식염 2.42
솔비톨 1.98
조미료 1.1
발효조미액 1.98
설탕 2.42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반건공정 처리하여 조미한 복을, 초저온 급속냉동시킴으로써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 특유의 독성, 이미(異味) 및 이취(異臭)가 없고, 장기보존이 가능하며, 복 고유의 담백한 맛 및 각종 영양소를 유지하고, 현대인들이 빠르고 손쉽게 즐겨먹을 수 있는 복 반건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복 반건품은 술안주, 반찬 및 어린이들의 간식용으로 적합하다.

Claims (7)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
    (a) 주원료인 복을 세척하고 내장을 제거한 다음, 제독하여 자르고 보수(補水)하는 단계;
    (b) 상기 보수한 복을 반건하는 단계;
    (c) 상기 반건된 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염 0.1~10중량부를 첨가하여 1차 조미한 다음, 솔비톨, 조미료, 발효조미액, 및 설탕을 함유하는 양념장을 사용하여 2차 조미하는 단계; 및
    (d) 상기 조미한 복을 -30℃이하로 3~5시간동안 초저온 급속냉동시키고, -10℃이하에서 냉동보관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은 검은밀복(Lagocephalus glover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염의 첨가량은 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0.5~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장의 조성은 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솔비톨 0.1~20중량부, 조미료 0.1~20중량부, 발효조미액 0.1~20중량부, 및 설탕 0.1~2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장의 조성은 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솔비톨 0.5~5중량부, 조미료 0.5~5중량부, 발효조미액 0.5~5중량부, 및 설탕 0.5~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제조된 복을 최종선별하여 중량별로 포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40℃이하에서 급속냉동시키고, -18℃이하에서 냉동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26351A 2005-03-30 2005-03-30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 KR100589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351A KR100589468B1 (ko) 2005-03-30 2005-03-30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351A KR100589468B1 (ko) 2005-03-30 2005-03-30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9468B1 true KR100589468B1 (ko) 2006-06-14

Family

ID=3718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351A KR100589468B1 (ko) 2005-03-30 2005-03-30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936B1 (ko) * 2020-04-28 2021-04-05 정규동 복어포 및 그 가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7878A (en) 1978-12-06 1980-06-12 Hidaka Shokuhin:Kk Swellfish pickled in seasoned sea urchin egg
KR19990047425A (ko) * 1997-12-04 1999-07-05 양승택 수산 조미 반건품 생산 방법
KR20010088254A (ko) * 2000-03-11 2001-09-26 김현대 복어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4035A (ko) * 2002-01-25 2003-07-31 김현대 알칼리 제독처리에 의한 냉풍 건조시킨 복어껍질 무침포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7425A (ko) * 2004-02-26 2005-08-31 김송월 복어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7878A (en) 1978-12-06 1980-06-12 Hidaka Shokuhin:Kk Swellfish pickled in seasoned sea urchin egg
KR19990047425A (ko) * 1997-12-04 1999-07-05 양승택 수산 조미 반건품 생산 방법
KR20010088254A (ko) * 2000-03-11 2001-09-26 김현대 복어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4035A (ko) * 2002-01-25 2003-07-31 김현대 알칼리 제독처리에 의한 냉풍 건조시킨 복어껍질 무침포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7425A (ko) * 2004-02-26 2005-08-31 김송월 복어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936B1 (ko) * 2020-04-28 2021-04-05 정규동 복어포 및 그 가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54081B (zh) 一种鳀鱼即食罐头的制备工艺
KR101704007B1 (ko) 순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순대
CN103393061B (zh) 一种鸭肉调理品去腥味工艺
CN103040033A (zh) 一种田螺罐头及其制备方法
CN105995900A (zh) 一种香辣孜然清真烧烤调味料及其制备方法
KR101513424B1 (ko) 막창순대의 제조방법
KR101692024B1 (ko) 무염 또는 저염의 김치 제조 및 보관 방법
KR100519944B1 (ko) 꽃게장 제조방법
CN106036561B (zh) 一种调理淡水鱼的生物加工方法
CN101411526A (zh) 一种海带调味菜的制作方法
JP2006223115A (ja) 健康キムチおよびその他の漬物
CN105410710A (zh) 野山椒凤爪制作方法
KR20080089006A (ko) 레토르트 매생이탕의 제조방법
KR100589468B1 (ko) 복 반건품의 제조방법
KR100646671B1 (ko) 복 프라이의 제조방법
KR100367577B1 (ko) 버섯김치 제조방법
CN104323337A (zh) 鳕鱼片及其制备方法
KR100690953B1 (ko) 복 양념 프라이의 제조방법
KR100479185B1 (ko) 용봉곰탕 및 그 조리방법
KR102064315B1 (ko) 저염 어리굴젓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27359B1 (ko) 상황버섯과 헛개나무 및 민들레 추출물을 이용한 김치속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김치
KR100471603B1 (ko) 대나무 포장 죽염 생선의 제조방법
KR101080192B1 (ko) 물회용 육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회용 육수를 이용한 물회
KR101192807B1 (ko) 해산물과 명란의 혼합젓갈의 제조방법
KR100917682B1 (ko) 조미 훈제 새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한 조미 훈제 새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