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515B1 -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515B1
KR100364515B1 KR1020000017185A KR20000017185A KR100364515B1 KR 100364515 B1 KR100364515 B1 KR 100364515B1 KR 1020000017185 A KR1020000017185 A KR 1020000017185A KR 20000017185 A KR20000017185 A KR 20000017185A KR 100364515 B1 KR100364515 B1 KR 100364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level
sensing line
column
lifting
automatic le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882A (ko
Inventor
정용주
박규석
정길용
Original Assignee
(주)안 엔지니어링
(주)단건축사사무소
정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안 엔지니어링, (주)단건축사사무소, 정용주 filed Critical (주)안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00017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51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69Security asp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08B13/12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for a perimeter fence
    • G08B13/124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for a perimeter fence with the breaking or disturbance being optically detected, e.g. optical fibers in the perimeter f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용 건축물 시공시 사용되는 건축용 승강 이동 장치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층용 건축물의 측면에서 외벽 또는 미장 등에 사용되는 승강 이동 장치에 있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발판의 좌우에 고정되어 발판과 함께 상승, 하강하는 두개의 도르래(3, 3'), 한쪽 끝은 제1지주 상단에 고정되고 반대쪽 끝은 상기 두개의 도드래(3, 3')중 한쪽 도르래(3)를 통과하여, 반대편 도르래(3')를 지난 후 제2지주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감지선(5), 상기 제2지주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감지선 끝단의 변위를 측정하는 수평레벨 감지부(6)와 상기 수평레벨 감지부에서의 입력값에 따라 상기 발판을 수평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강 이동식 작업대에서 작업발판(2) 수평의 불균형을 자동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이송장치내 모터 제어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센서값을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이동식 승강 이동식 작업대를 사용하는 건축 작업 현장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수평레벨의 불균형을 운전중에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Automatic horizontal level controller of a elevating working plate for the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승강 이동 장치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승강 이동 장치에 있어서 한쪽편 지주 프레임 상단의 고정된 한점에서부터 상기 지주 프레임과 작업대의 교차점, 반대편 지주 프레임과 작업대의 교차점을 통과하여 반대편 지주 프레임 하단까지 가설한 일정 길이를 갖는 감지선 끝단의 위치를 감지하여 승강 이동장치의 수평을 조절하는 건축용 승강 이동장치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이다.
일반적인 다층 건물의 시공시에 건물의 측면에서 외벽이나 창문시공 또는 미장, 도색 작업등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에 작업자의 안전이나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승강 이동식 작업대를 설치하고 이를 활용하여 건물 측면에서의 작업을 실시하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이동되어지는 자재의 하중이나 작업 범위 등에 따라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구동 모터를 좌우 양측에 각각 1대씩 설치하고 이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어방식에 있어서는 각각의 모터가 전원의 개폐시점의 차이가 발생하거나 운전중 회전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거나, 작업대의 하중이 한쪽으로 쏠려져 있는 경우에는 작업대의 수평이 틀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레벨의 틀어짐은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을 어렵게 하고 수평의 틀어짐이 심한 경우에는 구동 체인이나 구동체인과 작업대를 연결하는 부착 브래킷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승강 이동식 작업대를 사용하는 건축 작업 현장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수평레벨의 불균형을 운전중에 자동적으로 조절해 줄 수 있는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조절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에 있어서 구동 모터의 전원 개폐시점 차이, 운전중 회전속도 차이, 작업대 상의 하중 분포의 쏠림 등에 의해 작업대의 수평이 틀어지는 경우, 이러한 수평레벨의 불균형이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을 어렵게 하거나 수평의 틀어짐이 심한 경우에는, 구동 체인이나 구동체인과 작업대를 연결하는 부착 브래킷의 손상을 가져오는 것을 막기 위한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수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 구성에 관한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수평레벨 감지부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수평상태에 따른 수평레벨 감지부의 거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수평제어를 위한 블록선도의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주 2 : 작업발판
3, 3' : 작업발판 고정 도르래 4 : 감지선 상단 고정점
5 : 감지선 6 : 수평레벨 감지부
7 : 작업발판 이송장치 8 : 복원 스프링
9 : 위치감지 센서 10: 감지선 하단 지시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수직으로 좌우에 설치된 지주(1)에 수평으로 지주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발판(2)의 좌우에 고정되어 발판과 함께 상승, 하강하는 두개의 도르래(3, 3'), 한쪽 끝은 상기 제1지주 상단에 고정되고 반대쪽 끝은 상기 두개의 도드래(3, 3')중 한쪽 도르래(3)를 통과하여, 반대편 도르래(3')를 지난 후 제2지주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일정한 길이의 감지선(5), 상기 제2지주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감지선 끝단의 변위를 측정하는 수평레벨 감지부(6), 상기 수평레벨 감지부에서의 입력값에 따라 상기 발판(2)을 수평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어진다.
즉, 제1도에서 승강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승강 이동식 작업대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 이송장치(7), 연결와이어, 상기 연결 와이어를 통하여 이송장치와 연결된 작업 발판(2), 상기 작업발판의 좌우 요동을 방지하고 상하이동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1)로 구성되어진다. 이상의 승강 이동식 작업대에서 상기 두개의 도르래는 실제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업발판의 좌우 양쪽에 이격되어져 설치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르래를 통한 감지선의 이동은 감지선의 이동 경로를 고정시키고, 작업 발판의 상하 이동시에 감지선과 다른 고정부위와 마찰을 줄여 마찰에 따른 감지선의 마모 감소 및 원활한 이동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제1도에서는 본 발명의 감지선 연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서 감지선의 한쪽 끝은 한쪽편 지주 상단(4)에 고정되어지고 반대쪽 끝은 상기 한쪽편 지주를 따라 아래로 이동후 상기 한쪽편 지주 쪽에 위치하고 작업발판에 고정되어져 있는 도르래(3)를 지난 다음 반대편 지주 쪽에 위치하고 작업발판에 고정되어 있는 도르래(3')를 지나고 이후에 반대편 지주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 상기 반대편 지주 아래쪽에 위치한 수평레벨 감지부로 인입된다.
제2도는 수평레벨 감지부의 실시예를 간략히 나타낸 것으로 상기 수평레벨 감지부에 인입된 감지선(5)은 상기 수평레벨 감지부내에 존재하는 복원 스프링(8)을 관통하여 감지선 하단 지시부(10)에 연결된다. 상기 수평레벨 지시부의 복원 스프링으로는 원통형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며 감지선을 하단 지시부에 고정할 때에는이동식 작업대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의 길이가 스프링의 자유길이보다는 짧고, 코일 간격은 0보다 큰 값이 되는 중간값이 되도록 상기 감지선을 하단 지시부에 고정한다. 이는 복원 스프링의 전체 스프링 반발력에서 중간정도의 반발력이 작업대가 수평일때 하단 지시부에 작용토록 하기 위함이다. 또는 인장 스프링, 나선형 스프링, 비틀림 스프링을 지면과 하단 지시부사이에 중간 정도의 복원력을 가진 상태로 장착함으로써 동일한 수평레벨 감지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감지선을 고정한 후 하단 지시부의 지시점이 위치감지 센서(9)의 전체 스팬의 중간이 되도록 위치감지 센서를 장착한다. 이를 위해서 수평레벨 감지부 케이스와 위치센서의 체결부를 슬라이딩 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위치센서의 구체예로서는 가변 저항 형태의 위치 센서를 적용하여 위치 변동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하단 지시부의 상대 위치값으로서 제어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수의 상하로 일렬 배열된 리미트 스위치 또는 광전 센서를 위치 감지 센서로 사용하여, 이들의 ON/OFF 값을 이용한 하단 지시부의 상대위치를 제어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즉, 제3도(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식 작업대가 수평을 이루고 있을 때에는 수평 레벨 감지부의 감지선 하단 지시부는 상기 설치시 초기 조정 작업에 따라 센서의 전체 스펜에서 중간의 위치에 존재하게되고 만약 이동식 작업대가 왼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상단 고정점(4)에서부터 수평레벨 감지부의 입구까지의 감지선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수평레벨 감지부 입구에서부터 감지선 하단 지시부까지의 거리는 제3도(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길어진 거리만큼 짧아져야 일정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도의 가변저항을 위치감지센서로 사용한 실시예에서는 기존 설정치 대비 저항값이 줄어든다. 또한 제3도(c)의 경우에서는 이동식 작업대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단 고정점에서부터 수평레벨 감지부 입구까지의 거리는 짧아지고 상기 짧아진 거리만큼 수평레벨 감지부 입구에서부터 감지선 하단 지시부까지의 거리는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초기 설정에서 복원스프링은 압축된 상태로 조정되어져 있으므로 이에 따른 복원력이 감지선의 하단 지시부를 아래로 밀어 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위치 감지센서는 상기 제3도의 (b)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저항값이 늘어나는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제4도에는 상기 저항값 또는 임의의 위치 감지센서의 출력값의 변화에 따른 이송장치내의 모터 제어에 관한 블록선도를 나타내었다. 즉, 작업대가 이동중이고 이동식 작업대가 작업자가 인지할 정도로 오른쪽으로 많이 기울어지는 경우, 위치 감지센서의 저항값은 미리 설정된 상한 임계치를 넘어가고 수동 조작 스위치는 '위' 또는 '아래'로의 운전모드로 설정되므로 이에 따라 제어장치는 상승중인 경우에는 모터2만을 동작시키고 하강중일 때에는 모터1만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 작업대의 수평을 유지하고 이에 따라 저항값이 중간치로 다시 돌아온 경우에는 다시 두 모터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방법으로 이동식 작업대의 구동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작업대가 왼쪽으로 임계치 이상 기울어진 경우는 이의 역으로 실행된다.
상기 모터 제어방식과 같이 수평이 틀어진 경우에 이동을 정지하고 수평조절을 완료후에 다시 이동하는 방법외에도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같은 고도의 제어장치를 활용한 경우에는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두 모터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운전중에 계속적인 모터제어를 실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쪽으로 많이 기울어져 수평조절이 필요한 경우, 수평인 경우의 저항값과 현재상태의 저항값의 차이에 비례하여 모터1과 모터2의 회전속도 차이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수평제어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승강 이동식 작업대에서 작업대 수평의 불균형을 자동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이송장치내 모터 제어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센서값을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이동식 승강 이동식 작업대를 사용하는 건축 작업 현장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수평레벨의 불균형을 운전중에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Claims (4)

  1. 수직으로 좌우에 설치된 제1지주 및 제2지주(1)에 수평으로 상기 제1지주 및 제2지주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발판의 좌우에 고정되어 발판과 함께 상승, 하강하는 두개의 도르래(3, 3');
    한쪽 끝은 상기 제1지주 상단에 고정되고 반대쪽 끝은 상기 두개의 도드래(3, 3')중 제1지주 쪽 도르래(3)를 통과하여, 반대편 제2지주 쪽 도르래(3')를 지난후 제2지주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감지선(5);
    상기 제2지주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감지선 끝단의 변위를 측정하는 수평레벨 감지부(6); 및,
    상기 수평레벨 감지부에서의 변위값에 따라 상기 발판을 수평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수평레벨 감지부가
    상기 감지선의 반대쪽 끝단이 연결되는 감지선 하단 지시부(10);
    상기 감지선 하단 지시부에 복원력을 가하는 복원 스프링(8); 및,
    상기 감지선 하단 지시부의 상대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 센서(9);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위치감지 센서로 광전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를 상하로 일렬 배치한 형태의 센서 또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위치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어장치가 발판의 상하운동을 일으키는 모터의 전원 공급/차단 또는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KR1020000017185A 2000-04-01 2000-04-01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KR10036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185A KR100364515B1 (ko) 2000-04-01 2000-04-01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185A KR100364515B1 (ko) 2000-04-01 2000-04-01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263U Division KR200219480Y1 (ko) 2000-10-30 2000-10-30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882A KR20010093882A (ko) 2001-10-31
KR100364515B1 true KR100364515B1 (ko) 2002-12-16

Family

ID=1966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185A KR100364515B1 (ko) 2000-04-01 2000-04-01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5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021B1 (ko) 2011-12-07 2013-10-2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풍력발전 설비용 기초 블럭
KR20240066898A (ko) 2022-11-08 2024-05-16 주식회사 대명시스템 수직지주용 배열가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44B1 (ko) * 2011-12-09 2013-06-07 빛샘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40577B1 (ko) * 2020-10-20 2021-04-14 박근우 건축물 배관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CN117627342B (zh) * 2024-01-26 2024-04-19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烟囱内衬砌筑作翻模内模板施工平台及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262A (ja) * 1985-07-15 1987-01-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台
JPH03262869A (ja) * 1990-03-13 1991-11-22 Yasuo Ishii 作業足場
JPH094234A (ja) * 1995-06-15 1997-01-07 Fujita Corp 昇降装置におけるワイヤーの巻き出装置と揚重方法
US5667035A (en) * 1995-10-19 1997-09-16 Hughes; Douglas J. Overhead platform elevation device
KR0121729Y1 (ko) * 1994-11-30 1998-08-01 이해규 수직 승하강 장치의 자동정위치조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262A (ja) * 1985-07-15 1987-01-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台
JPH03262869A (ja) * 1990-03-13 1991-11-22 Yasuo Ishii 作業足場
KR0121729Y1 (ko) * 1994-11-30 1998-08-01 이해규 수직 승하강 장치의 자동정위치조정 장치
JPH094234A (ja) * 1995-06-15 1997-01-07 Fujita Corp 昇降装置におけるワイヤーの巻き出装置と揚重方法
US5667035A (en) * 1995-10-19 1997-09-16 Hughes; Douglas J. Overhead platform elev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021B1 (ko) 2011-12-07 2013-10-2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풍력발전 설비용 기초 블럭
KR20240066898A (ko) 2022-11-08 2024-05-16 주식회사 대명시스템 수직지주용 배열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882A (ko)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84694C2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ровня положения лифта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364515B1 (ko)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CN112551282B (zh) 控制电梯系统的电梯轿厢的移动
KR200219480Y1 (ko)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JP2017064607A (ja) ドラフトチャンバ
JP6648247B2 (ja) 乗客及び障害物検知機能を含む電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2707942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平衡装置
JP4255687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KR200227998Y1 (ko)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KR100447631B1 (ko) 빌딩의 외벽 및 창문용 클리닝장치
JPH08245116A (ja)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
CN108545613B (zh) 一种环链葫芦起重设备防侧倾控制方法及装置
JP2998391B2 (ja) ケーブル自動送り出し装置
KR100607133B1 (ko) 승강식 이동 작업대의 수평 유지장치
JPH0859106A (ja) エレベータの着床誤差修正装置
JP2002210685A (ja) ワークピッキング装置
KR200148505Y1 (ko)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CN117945280B (zh) 一种天车搬运系统的自动调平oht提升装置及提升方法
KR102524406B1 (ko) 리프팅 장치
JPH07300284A (ja) ガイドレールの芯出し装置
JPH02279877A (ja) 立体駐車装置のケージ位置制御装置
CN210620120U (zh) 一种具有分段升降功能的升降系统
CN110777228B (zh) 一种转炉炉口防护装置
JP5280012B2 (ja) 物品昇降装置
KR101523942B1 (ko) 풍력 발전장치 메인터넌스 승강 작업장치 및 승강 작업장치 수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