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998Y1 -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998Y1
KR200227998Y1 KR2019980013532U KR19980013532U KR200227998Y1 KR 200227998 Y1 KR200227998 Y1 KR 200227998Y1 KR 2019980013532 U KR2019980013532 U KR 2019980013532U KR 19980013532 U KR19980013532 U KR 19980013532U KR 200227998 Y1 KR200227998 Y1 KR 200227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cage
inclination
gondola
pull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386U (ko
Inventor
이해수
최영근
Original Assignee
최영근
주식회사 경신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근, 주식회사 경신산기 filed Critical 최영근
Priority to KR2019980013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99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3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998Y1/ko

Links

Landscapes

  • Movable Scaffold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케이지를 지지하는 좌/우 와이어 로프의 길이차 또는 드럼의 외주면 가공정도에 따라 작업시 케이지가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센서로 검출하고, 센서에 의한 경사 검출이 종료될 때 까지 경사정도에 따라 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케이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지에 탑승한 작업자 및 적재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한쌍의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여 케이지를 권상 및 권하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에 있어서, 케이지의 좌측과 우측방향 경사를 검출하기 위한 경사센서와, 상기 경사센서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 경사를 검출하는 것에 연동하여 하강된 와이어 로프의 경로를 단축시키고 상승된 와이어 로프의 경로를 연장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각각 케이지와 드럼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변경 활차중 어느 하나에 위치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가동활차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를 서로 상대적으로 변위시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로프의 경로길이를 변경시키기 위한 변위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본 고안은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케이지를 지지하는 좌/우 와이어 로프의 길이차 또는 드럼의 외주면 가공정도에 따라 작업시 케이지가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센서로 검출하고, 센서에 의한 경사 검출이 종료될 때까지 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케이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지에 탑승한 작업자 및 적재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이 지어지면서 빌딩의 외벽수리, 유리창 청소, 보수작업, 이사짐 운반 등을 위하여 곤도라(gondola) 장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곤도라 장비는 일반적으로 옥상의 상부에 설치되어 곤도라에서 외부로 아암을 돌출시켜 아암의 말단부에 설치된 활차와 곤도라 본체의 와이어 드럼 사이에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고 와이어 로프의 끝부분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케이지를 연결하여 드럼을 회전시킴에 의해 케이지를 상하운동시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자를 탑승시킨 케이지를 권상 또는 권하하여 작업이 용이하도록 케이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모터의 구동에 따라 좌/우 와이어 로프를 드럼에 권취하는데 이때, 드럼 외주의 가공정도 및 곤도라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숙련도에 따라 좌/우 와이어 로프 사이에 길이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아울러 케이지의 일측이 기울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특히 고층건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지를 지지하는 좌/우 와이어 로프의 길이차 또는 드럼의 외주면 가공정도에 따라 작업시 케이지가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센서로 검출하고, 센서에 의한 검출이 종료될 때까지 좌/우 각각의 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보상하여 케이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지에 탑승한 작업자 및 적재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지를 이동시키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케이지의 좌/우 경사정도를 파악한 후, 수동으로 직접 핸들을 조작하여 좌/우 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보상할 수 있는 곤도라의 수동식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에 따른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를 구비한 곤도라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및 본체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에서 바라본 개략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의 드럼 및 이동활차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측면도,
도 5 및 6은 본 고안에 따른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의 자동 변위구동수단에 대한 제1 및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곤도라의 수동식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지 13; 암
21; 구동모터 22; 감속기
22a; 축 23; 기어
24; 드럼 25a,25b; 베어링
26a,26b; 이동활차 29; 가이드 스크류
30a,30b; 스프라켓 31; 구동체인
32; 이동너트 35; 본체
36; 가동헤드 37; 건물
37a,37b; 롤러 39; 안내레일
40; 피동롤러 41; 구동롤러
43; 구동벨트 45; 롤러
51a; 제1 경사센서 51b; 제2 경사센서
53a; 제1 리미트 스위치 53b; 제2 리미트 스위치
55; 제어부 60; 변위구동수단
61a,61b; 가동활차 63; 감속기
65; 양방향 모터 67; 스크류 잭
69; 조절편 71; 너트
73; 변위스크류 75a,75b; 안내활차
77; 핸들 81-88; 활차
90; 원격 입력부 91; 표시부
92; 경고부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한쌍의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여 케이지를 권상 및 권하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에 있어서, 케이지의 좌측과 우측방향 경사를 검출하기 위한 경사센서와, 상기 경사센서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 경사를 검출하는 것에 연동하여 하강된 와이어 로프의 경로를 단축시키고 상승된 와이어 로프의 경로를 연장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각각 케이지와 드럼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변경 활차중 어느 하나에 위치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가동활차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를 서로 상대적으로 변위시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로프의 경로길이를 변경시키기 위한 변위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케이지를 권상 또는 권하시키는 도중에 케이지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감지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수단을 통하여 변위구동수단을 작동시켜 각 쌍의 와이어 로프 길이를 보상토록 하여 케이지에 탑승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실 시 예)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a 및 1b는 본 고안에 따른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를 구비한 곤도라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및 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에서 바라본 개략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의 드럼 및 이동활차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측면도이고, 도 5 및 6은 본 고안에 따른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의 자동 변위구동수단에 대한 제1 및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곤도라의 수동식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1a 및 1b를 참고하면 곤도라는 4줄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을 장치의 본체(3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4줄의 와이어 로프(w1-w4)를 정렬감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본 고안은 2줄의 와이어 로프를 사용한 곤도라에도 적용 가능하며, 단일 또는 듀얼 드럼을 갖는 경우도 적용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케이지(1)로부터 4줄의 와이어 로프(w1-w4)가 2줄씩 1조를 이루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단일아암 또는 다단아암(3)의 다수의 활차(81-88)를 거쳐 곤도라 본체(35)의 좌우측 하단에 배치된 한쌍의 경로변경 활차(27a,27b)로 2줄씩 연결되고 경로변경 활차(27a,27b)를 거친 와이어 로프(w1,w2;w3,w4)는 가이드 스크류(29)를 따라 드럼(3)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가동헤드(3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활차(26a,26b)를 거쳐 드럼(3)에 권취되도록 연결된다.
상기한 드럼(3)에 대한 회전구동은 구동모터(21)에 의해 발생된 회전동력이 감속기(22)를 거쳐 감속기(22)의 축(22a)과 드럼(24)의 기어(23)가 기어결합되어 회전력이 인가되고, 가이드 스크류(29)는 드럼(24)의 체인 스프라켓(30a)과 가이드 스크류(29)의 체인 스프라켓(30b) 사이에 구동체인(31)이 연결되어 회전구동이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가이드 스크류(29)의 외주에 나사결합되며 가동활차(26a,26b)가 장착된 이동너트(32)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이동너트(32)와 가동활차(26a,26b)를 지지하는 가동헤드(36)는 양측에 롤러(37a,37b)가 채널에 결합되어 이동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고, 드럼(24)의 양단축은 베어링(25a,2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단일아암 또는 다단아암(3)은 본체(35)의 전후방에 설치된 롤러(52)에 의해 이동시에 마찰 저항력이 작은 구조로 설치되어 있고 피동롤러(49)를 상호연결하는 양단이 아암(3)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어 피동롤러(49)를 구동벨트(51)를 통하여 구동롤러(50)에 의해 좌우 회전시킴에 따라 아암(3)의 신장과 수축 구동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곤도라 본체(35)는 건물(37)의 옥상에 설치된 안내레일(39)에 이동장치(38)을 통하여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건물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제어시스템은 제어부(55)의 입력단에 상기 케이지(10)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10)의 좌우경사에 따라 경사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경사센서(51a,51b)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55)의 출력단에는 상기 제어부(55)로부터 전달되는 경사제어신호에 따라 좌/우 와이어 로프(w1,w3;w2,w4)의 길이차를 보상하는 변위구동수단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55)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좌/우 와이어 로프(w1,w3;w2,w4)의 길이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미리 산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 및 전기제어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경사센서(51a,51b)는 각각 내부에 예를 들어, 수은과 같은 도전성 액체가 장입되어 있어 케이지(10)가 일정 경사각 이상 경사지게 되는 경우 경사센서(51a 또는 51b)의 2접점을 클로즈시켜 경사제어신호를 제어부(55)로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경사센서(51a,51b)는 1개로 통합되어 케이지(10)의 중간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5)로부터 출력되는 경사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 와이어 로프(w1,w3;w2,w4)의 길이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구동되는 변위구동수단(6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변위구동수단(60)은 경사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되는 양방향 모터(65)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에는 양방향 모터(65)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63)를 상기 모터(65)와 연동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감속기(63)의 출력에는 감속기의 출력에 따라 일단이 좌/우로 선회하여 탄성적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조절편(69)을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는 케이지(10)와 드럼(24)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변경활차 중 어느 하나의 활차에 적용된다.
이때 상기 조절편(69)의 좌우 선회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를 연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편(69)에 각각 연결된 한쌍의 체인 또는 로프(c1,c2)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변위구동수단(60)의 제2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되는 양방향 모터(6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모터(65)의 회전력에 대응한 회전력이 스크류의 회전 출력으로 발생되는 스크류잭(67)이 상기 모터에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잭(67)의 출력은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너트(71)의 외주부와 나사결합되어 있어, 스크류 잭(67)의 회전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또한 너트(71)는 상기 로프(w1-w4)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너트(71)의 회전구동 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되며 양단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61 a,61b)를 변위시키는 변위 스크류(53)의 외주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w1-w4)는 상기 한쌍의 가동활차(61a,61b)를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2쌍의 안내활차(75a,75b)에 의해 안내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경사검출센서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를 참고하면, 케이지(10)의 권상 및 권하시 케이지가 경사지는 위치를 미리 CPU에 입력하여 케이지 경사예상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드럼(24)의 외주부 소정위치에 제1리미트 스위치(53a)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케이지 경사예상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드럼(24)에 대한 와이어 로프를 안내하는 이동활차(26a,26b)의 이동경로상에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53a)와 직렬 또는 병렬접속 되도록 제2 리미트 스위치(53b)를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고하여 자동으로 변위구동수단(60)을 작동시키는 작용을 보면 상기 케이지(10)를 권상 또는 권하하는 도중에 좌/우 와이어 로프(w1,w3;w2,w4)의 길이에 길이차가 발생하여 상기 케이지(10)가 좌/우측으로 경사를 갖게될 경우, 상기 케이지(10)에 설치된 제1 및 제2 경사센서(51a, 51b) 중 어느 하나가 양단 접점이 클로즈되어 경사제어신호를 제어부(55)로 출력한다.
이 경우 경사센서(51a,51b)를 대신하여 리미트 스위치(53a,53b)를 설치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53a)는 상기 활차(88)에 안내되어 드럼(24)에 권취되는 와이어 로프(w1-w4)가 상기 리미트 스위치(53a,53b)가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53a,53b)로부터 경사제어신호를 제어부(55)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55)로 출력된 경사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55)는 제1 또는 제2 경사센서(51a,51b) 중 어느 경사센서로부터 경사제어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양방향 모터(65)의 회전구동방향을 결정하여 모터를 구동시킨다.
모터(65)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감속기(63)의 회전력을 인가받는 조절편(69)은 좌 또는 우로 선회된다. 그 결과 상기 조절편(69)은 타단에 연결된 하나의 체인은 당기고 다른 체인은 풀어주어 탄성적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를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위치 이동시켜 와이어 로프(w1,w2)와 와이어 로프(w3,w4) 사이의 경로길이를 변경시킴에 의해 상기 케이지(1)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로프(w1,w3;w2,w4)의 변위차를 보상한다.
이러한 로프길이보상은 케이지(10)가 수평을 유지하여 경사센서로부터 발생된 경사제어신호가 제어부(55)에 입력되지 않은 때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자동으로 변위구동수단(60)을 작동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센서(51a,51b)로부터 출력된 경사제어신호가 상기 제어부(55)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방향 모터(65)가 경사제어신호에 따라 스크류 잭(67)으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스크류 잭(67)은 너트(71)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너트(71)에 나사결합 되어 있는 변위 스크류(73)의 위치를 좌 또는 우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는 상기 변위 스크류(73)의 이동에 따라 좌 또는 우로 위치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로프(w1-w4)는 2쌍의 안내활차(75a,75b)의 안내를 받으며 좌 또는 우로 상호 보상하면서 상기 와이어 로프(w1-w4)에 연결된 케이지(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지(10) 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5)의 입력에 연결된 원격 입력부(90)를 설치하여 상기 케이지에 탑승한 작업자가 상기 원격 입력부(90)를 통하여 직접 와이어 로프의 길이차를 보상하도록 좌 또는 우 로프보상신호를 발생하도록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원격 입력부(90)는 상기한 경사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한 경사검출을 대신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센서 및/또는 리미트 스위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로프길이를 보상하는 자동식 로프길이 보상장치 이외에도 수동으로 작동하여 로프길이를 보상할 수 있는 수동식 로프길이 보상장치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수동식 로프길이 보상장치는 각각 케이지(10)와 드럼(24)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변경 활차중 어느 하나에 위치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와 수동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를 서로 상대적으로 변위시켜 상기 좌/우 와이어 로프(w1,w3;w2,w4)의 경로길이를 변경시키기 위한 수동식 변위구동수단(60a)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동식 변위구동수단(60a)은 수동방식으로 회전력을 발생하는 수동식 양방향 핸들(77)을 설치하고, 상기 핸들(77)의 출력에는 핸들(77)의 회전력에 대응한 회전력이 스크류의 회전 출력으로 발생되는 스크류잭(67)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잭(67)은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너트(71)와 나사결합되며, 너트(71)는 상기 와이어 로프(w1-w4)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너트(71)의 회전구동 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되며 양단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를 변위시키는 변위 스크류(73)의 외주부와 나사결합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로프(w1-w4)가 상기 한쌍의 이동활차(61a,61b)를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2쌍의 안내활차(75a,75b)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본체(35)를 조종하는 작업자는 케이지(10)를 권상 또는 권하하는 도중에 육안으로 케이지(10)가 좌 또는 우로 경사지는 것을 파악한 후, 경사방향에 따라 스크류 잭(67)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핸들(77)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작동시켜, 상기 스크류 잭(67)과 연동되는 너트(71)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너트(71)에 나사결합된 변위 스크류(73)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변위 스크류(73) 양단에 설치된 한쌍의 가동활차(61a,61b)가 좌 또는 우로 이동하게 되며 로프의 길이를 보상하는 오퍼레이터는 상기 2쌍의 안내활차(75a,75b)에 안내되는 상기 와이어 로프(w1-w4)의 길이차가 적절히 보상된 것을 확인한 후 상기 핸들(77)의 작동을 멈춘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와이어 로프(w1-w4)의 길이차를 보상하는 경우에는 케이지(10)에 탑승한 작업자가 경사정도 및 방향을 판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경사센서(51a,51b) 및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53a,53b)로부터 출력되는 경사제어신호를 제어부(55)에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55)는 그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지(10) 좌우측의 경사방향을 알려주는 표시부(91)를 통하여, 오퍼레이터가 직접 육안으로 케이지의 경사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91)를 보면서 좀더 정확하게 케이지의 경사여부를 확인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동식 로프보상장치에는 상기한 경사센서(51a,51b)와 제어부(55) 및 표시부(91) 이외에 경사상태가 발생할 때 경사경고음을 발생하는 경사 경고부저(92)를 제어부(55)의 출력에 접속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수동식 로프보상장치는 갑자기 전기가 차단되어 자동 또는 전동방식으로 조작이 불가능 할 때 매우 유용하게 로프길이를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변위구동수단을 자동 및 수동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용이하게 와이어 로프에 발생하는 길이차를 보상하여, 케이지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지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케이지를 권상 또는 권하하는 동안 발생하는 와이어 로프의 길이차를 케이지의 경사여부를 검출하는 센서 및 가동활차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변위구동수단에 의해 케이지를 수평으로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케이지의 상하이동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한쌍의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여 케이지를 권상 및 권하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에 있어서,
    케이지(10)의 좌측과 우측방향 경사를 검출하기 위한 경사센서와,
    상기 경사센서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 경사를 검출하는 것에 연동하여 하강된 와이어 로프(w1-w4)의 경로를 단축시키고 상승된 와이어 로프의 경로를 연장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55)과,
    각각 케이지(10)와 드럼(24)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변경 활차중 어느 하나에 위치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를 서로 상대적으로 변위켜 상기 와이어 로프(w1-w4)의 경로길이를 변경시키기 위한 변위구동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구동수단(60)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되는 양방향 모터(65)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63)와,
    각각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와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체인(c1,c2)을 감속기(63)의 출력에 따라 선회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조절편(6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구동수단(60)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되는 양방향 모터(65)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대응한 회전력이 스크류의 회전 출력으로 발생되는 스크류잭(67)과,
    상기 스크류잭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너트(71)와,
    상기 와이어 로프(w1-w4)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너트(71)의 회전구동 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되며 양단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를 변위시키는 변위 스크류(73)와,
    각각 와이어 로프(w1-w4)가 상기 한쌍의 가동활차(61a,61b)를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2쌍의 안내활차(75a,75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센서는 케이지(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케이지가 경사진 경우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경사방향을 검출하는 제1 및 제2경사센서(51a,51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센서는 드럼(24)의 외주부에 설치된 제1리미트 스위치(53a)와,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와 직렬접속되어 드럼에 대한 와이어 로프를 안내하는 이동활차(26a,26b)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된 제2리미트 스위치(53b)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53a,53b)는 케이지의 상하 이동시에 경사진 위치를 미리 검출한후 케이지(10)가 해당위치에서 도달할때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6. 제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5)과 분리된 원격지에서 케이지(10)의 경사를 해소하기 위한 로프보상신호를 제어수단(55)으로 인가하기 위한 원격 입력수단(9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7. 한쌍의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여 케이지를 권상 및 권하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에 있어서,
    각각 케이지(10)와 드럼(24)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변경 활차중 어느 하나에 위치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와,
    수동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를 서로 상대적으로 변위켜 상기 와이어 로프(w1-w4)의 경로길이를 변경시키기 위한 수동식 변위구동수단(60a)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동식 변위구동수단(60a)은
    수동방식으로 회전력을 발생하는 수동식 양방향 회전수단(77)과,
    상기 회전력에 대응한 회전력이 스크류의 회전 출력으로 발생되는 스크류잭(67)과,
    상기 스크류잭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너트(71)와,
    상기 와이어 로프(w1-w4)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너트(71)의 회전구동 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되며 양단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가동활차(61a,61b)를 변위시키는 변위 스크류(73)와,
    각각 와이어 로프(w1-w4)가 상기 한쌍의 이동활차(61a,61b)를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2쌍의 안내활차(75a,75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좌 또는 우방향 경사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경사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경사방향을 판단하고 경사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사제어수단과,
    상기 경사방향을 나타내는 경고 표시부와,
    상기 경사경고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경고창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KR2019980013532U 1998-07-23 1998-07-23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KR200227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532U KR200227998Y1 (ko) 1998-07-23 1998-07-23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532U KR200227998Y1 (ko) 1998-07-23 1998-07-23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386U KR20000003386U (ko) 2000-02-15
KR200227998Y1 true KR200227998Y1 (ko) 2001-07-19

Family

ID=6951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532U KR200227998Y1 (ko) 1998-07-23 1998-07-23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99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125B1 (ko) * 2015-03-06 2017-02-27 주식회사 경신산기 과부하 방지기능을 갖는 곤도라
KR101979236B1 (ko) * 2019-01-08 2019-05-16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조 승하강용 곤돌라
CN116969340B (zh) * 2023-09-25 2023-12-29 北京玖行智研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车辆换电站的吊具及其安全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386U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0426B1 (en) Dual-mast self-elevating platform construction
KR20170134410A (ko) 운송장치
KR100687304B1 (ko) 교량 하부 결함 점검 장치
KR200227998Y1 (ko)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CN210109037U (zh) 一种具有升降功能的钢结构无损检测设备
KR101194762B1 (ko) 회전모듈, 이동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장치
CN115575262A (zh) 一种混凝土楼板预制件抗冲击强度测试装置
KR102010930B1 (ko) 루퍼 캐리지의 강판 조정 장치
KR100364515B1 (ko)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CN209230857U (zh) 一种升降式声屏障立柱螺栓力矩检测装置
KR100805017B1 (ko) 와이어 로프 마모량 측정장치
JP2008156013A (ja) 旋回装置を有するクレーン
KR200368133Y1 (ko) 권양기의 밸런스 제어장치
US2969128A (en) Device for correlating an elevator signal machine carriage with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KR101710125B1 (ko) 과부하 방지기능을 갖는 곤도라
JP3091319B2 (ja) 揚重装置
KR960011571B1 (ko) 회전형 유압식 엘리베이터
KR100675662B1 (ko) 엘리베이터
KR100348062B1 (ko) 수직형 루퍼의 캐리지의 수평도 조정 장치
JPH0221512Y2 (ko)
JPH0743165Y2 (ja) 基礎工事用機械における深度測定装置
EP0502085A1 (en) Inclined track elevator for preferably disabled persons
JPH0824957B2 (ja) ル−パ−キャリッジ水平度調整装置
KR20000009838U (ko) 대형구조물의 온라인 수평조절장치
JPH0542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