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440B1 - 편직물 변부 봉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편직물 변부 봉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440B1
KR100364440B1 KR10-1999-0005659A KR19990005659A KR100364440B1 KR 100364440 B1 KR100364440 B1 KR 100364440B1 KR 19990005659 A KR19990005659 A KR 19990005659A KR 100364440 B1 KR100364440 B1 KR 100364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es
stitch
fabric
row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790A (ko
Inventor
알베르토 프루리니
파올로 프루리니
Original Assignee
파브리텍스에스.알.엘
상기아코모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13524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6444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파브리텍스에스.알.엘, 상기아코모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파브리텍스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19990072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04B9/5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transfer of knitted goods from one machine to ano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2Loop-transfer poi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2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pneum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원통형 편직물(C)의 변부를 봉합하기 위한 작동 방법은, 편직 스테이션(T)에서 직물을 짜는 예비 단계, 편직 스테이션(T)과 훅-업(hook-up) 스테이션(R)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제 1 유닛에 장착된 스티치-제거 수단으로 마지막 열의 스티치를 제거하고, 다른 반열(semirank)의 스티치에 뒤집힌 스티치를 배치하도록 제 1, 제 2 반열(semirank)로 마지막 편직된 열을 나누는 축 둘레에서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180°로 회전시키며, 이렇게 배치된 제 1,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훅-업(hook-up)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방법의 특징은, 마지막 열의 스티치를 제거하는 과정 이후에, 하나 이상의 반열(semirank)의 스티치를 제거 작업하는 장치와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 장치는 뒤집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반열(semirank)의 스티치를 지지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편직물 변부 봉합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seaming edges of knitted articles}
본 발명은 편직물, 특히 스타킹과 같은 원통형 직물을 봉합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련된다.
단일 또는 이중 프런트(front)의 편직 및 스티치-형성 바늘을 사용하는 1-실린더 또는 2-실린더 환편기에 의해 스타킹을 만드는 것은 공지되어 있는데, 이 환편기에서 편직은 통상 가두리쪽에서 시작하여, 열려져 있는 발끝쪽에서 끝나고, 마지막 열의 스티치는 각각의 바늘로 끼워진다.
이렇게 생산된 발끝 부분을 닫아주기 위해서 관형 조작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EP 635593, EP 592376 및 WO 97/20089에서 발표되었는데, 이 발표된 바에 따르면 각각의 직물은 동일한 두 반열(semirank)의 스티치를 배치하도록 옮겨지고, 마지막 편직된 열(rank)은 두 개의 반열(semirank)로 나누어지며, 편직 스테이션 즉 기계의 직기 또는 분리된 편직 및 훅-업(hook-up) 스테이션에 구비된 장치에 의해 뒤쪽으로 훅-업(hook-up)된다.
그러나, 현재 공지된 조작 기술에 따른 기계 작동은, 기계 구조가 복잡하고 높은 섬도(very high fineness)의 직물을 실제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 스타킹과 같은 원통형 직물을 닫기 위한 수동 공정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 공정에 따르면 각각의 스타킹은 시이밍(seaming) 및 훅-업(hook-up) 기계로 수동으로 공급되고 상기 시이밍(seaming) 및 훅-업 기계는 직물의 발끝 부분의 대향한 두 변부를 봉합한다. 여기에서 수동 시이밍(seaming)과 훅-업(hook-up)은 현재 제작 요건에 비해 장시간이 소요되고 고비용이 든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항과 9항의 특징 부분에 기술한 특징을 가지는 장치와 방법을 부여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다른 특징은 종속항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점은, 직물의 안쪽 부분과 바깥쪽 부분에서, 다양한 유형과 모양의 바늘로부터 제거함으로써, 1-실린더 및 2-실린더 기계에서, 스타킹의 발끝 부분을 닫아주는 것처럼, 직물의 변부를 자동으로 봉합할 수 있으므로, 변부를 봉합하는 단계에서 직물을 짜기 위해 갖추어야 할 부재의 수를 최소로 줄일 수 있고, 각각의 작업 스테이션의 생산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현재 공지된 기계에 비해, 스티치를 처리하기 위해 제공된 부재 사이의 상호 작용 및 기계 구조가 간단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과 특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과 하기 상세한 설명을 정독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원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15 는 보다 자세히 설명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6 내지 2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0 내지 45 는 보다 자세히 기술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작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6 은 스티치-제거 수단의 운동 및 지지를 위한 제 1 가동성 유닛의 평면도;
도 47 은 도 46의 H-H선을 따라서 본 확대된 단면도;
도 4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반열(semirank)의 스티치를 뒤집기 위한 수단을 지지하는 제 2 가동성 유닛과, 훅-업(hook-up) 지지수단의 평면도인데, 상기 가동성 유닛은 편직기의 직물 헤드에 배치하도록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도 49 는 닫힌 상태에서 도 48의 가동성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0 은 도 49의 K-K 선을 따라서 본 확대된 단면도;
도 51 은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뒤집기 위한 수단에 대해 세미크라운(semicrown)이 축 m-m 둘레에서 180°로 뒤집혔을 때 도 49의 가동성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2 는 도 51의 L-L선을 따라서 본 확대된 단면도;
도 53 은 동축으로 배치된 도 46과 49에 나타낸 두 가동성 유닛의 평면도;
도 54 는 도 53에 나타낸 대로 배치된 가동성 유닛의 측면도;
도 55 는 파지 조오(jaw)처럼 장착된, 각각의 세미크라운이 흡입관과 직물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직물 헤드에 배치되도록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유닛은 직기의 직물 헤드에서 작동 위치에 있고 제 2 유닛은 직기 외부에 있는, 두 개의 가동성 유닛의 상측면도;
도 56 은 제 2 가동성 유닛의 세미크라운이 완전 원형 크라운을 형성하도록 닫혀 있는, 도 55와 유사한 도면;
도 57 은 맞물린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두 개의 상보 세미크라운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동성 유닛, 즉 스티치-제거 수단을 지지하는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8 은 두 개의 세미크라운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도 57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9 는 도 57과 58에 대해 정밀 평면도;
도 60 은 도 57에 나타낸 상태에서 도 59의 W-W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61 은 도 58에 나타낸 상태에서 도 59의 W-W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6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동성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63 은 각각의 세미크라운이 이격되어 있는, 도 62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4 는 도 62와 도 63의 정밀 하측면도;
도 65 는 세미크라운이 도 62에 나타난 것처럼 결합된 상태에서, 도 64의 U-U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66 은 세미크라운이 도 63에 나타난 것처럼 이격된 상태에서, 도 64의 U-U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67 은 도 59와 64의 유닛에 결합될 수 있는 제 3 가동성 유닛의 평면도;
도 68 은 도 67의 D-D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69 는 각각의 세미크라운이 축 n-n 둘레에서 180°로 회전할 때, 가동성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70 은 도 69의 E-E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71 은 도 69의 가동성 유닛의 "X" 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관 회전 작동기와 상관 세미크라운의 회전 부분 및 대응하는 지지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72 는 공동 지지칼럼에서 세 개의 가동성 유닛의 평면도;
도 73 은 각 유닛의 세미크라운이 이격되어 있을 때, 도 72에 나타낸 유닛의 측면도;
도 74a와 74b는 이격된 상태에서 제거 부재(70)와 전달 부재(84)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75a와 75b는 서로 맞물려 있을 때, 즉 스티치-전환 상태에서 도 74a와 74b의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6a와 76b는 이격된 상태에서 전달 부재(84)와 스파이크(80)의 측면도 및정면도;
도 77a와 77b는 서로 맞물려 있을 때, 즉 스티치-전환 상태에서 도 76a와 76b의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8a와 78b는 전달 부재로서 작동하는 제거 부재(70)와 훅-업(hook-up) 스파이크(80) 사이의 연결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
*부호 설명
1, 2 ... 실린더 3 ... 흡입관
4 ... 바늘 5, 6 ... 슬라이더
7, 8 ... 가동성 유닛 30 ... 구형부
40 ... 싱커(sinkers)
스타킹과 같은 원통형 직물을 만드는데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가두리쪽에서 시작하여 열린 상태의 발끝 부분을 봉합함으로써 끝나는, 1-실린더 또는 2-실린더 환편기에서 직물을 예비 편직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이 예비 단계의 종반에 마지막 열의 스티치는 각각의 편직 바늘로 끼워진다. 직물을 편직한 후에, 다음 과정이 실행된다:
a) 마지막 편직 열의 스티치를 제거하고 지지할 수 있는 제 1 수단을, 기계의 직물 헤드에 배치한다;
b) 마지막 열의 스티치가 제 1 수단으로부터 제거되고 유지될 때, 직물을 편직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의 직물 헤드 바깥쪽으로 직물을 옮긴다;
c) 제 1 열의 스티치를 제 1, 제 2 반열로 나누는 축(m-m) 둘레에서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회전시키는 제 2 수단으로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옮긴다;
d) 훅-업(hook-up)하기 위한 다음 단계에서 제 1,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제 3 수단으로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옮긴다;
e) 축(m-m) 둘레에서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180°로 회전시켜서 이 과정이 끝날 때, 제 1 반열의 각 스티치는 제 2 반열의 스티치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다;
f) 제 1 반열의 뒤집힌 스티치를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제 3 수단으로 옮겨서, 제 1 반열의 스티치는 제 2 반열의 대응하는 스티치와 나란히 배치된다;
g) 마지막 편직 열의 제 1, 제 2 반열의 스티치에 해당하는 직물 변부를 결합하기 위해서 지지수단으로 끼워진 스티치를 훅-업(hook-up)한다;
h) 이렇게 마지막 열의 스티치가 결합된 채, 제 3 수단으로부터 직물을 내려놓는다;
I) 직물을 뒤집고 훅-업(hook-up) 스테이션으로 움직인다.
직물을 뒤집는 과정 I)는 생략될 수 있으므로, 겉면을 뒤집었는지 아닌지 관계없이 훅-업(hook-up) 스테이션으로부터 직물을 내려놓을 때, 직물의 훅-업 부분은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당해 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고, 1-실린더 및 2-실린더 기계의 실린더 바늘과 공동 작용하여 스티치를 만들기 위해 기계의 직물 헤드에 제공된 부재의 조립체는 유용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 마지막 편직 열의 제 1, 제 2 반열의 스티치는 인접한 제 1, 제 2 바늘에 대응하고, 각각의 바늘은 기 설정된 수의 스티치-형성 바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은 -발끝 부분을 열린 채로 원통형 직물을 형성하고 마지막 열(rank)의 스티치를 제 1, 제 2 반열(semirank)로 나눈 후에- 다음 단계를 거친다:
aa) 마지막 열의 스티치를 제거하고 지지할 수 있는 제 1 수단을, 기계의 직물 헤드에 배치한다;
bb) 이렇게 스티치를 제거하고 지지하면서 직물을 환편기의 직물 헤드 바깥쪽으로 옮긴다;
cc)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임시 지지하는 제 2 수단으로 옮긴다;
dd) 마지막 열의 스티치를 제 1, 제 2 반열로 나누는 축 (m-m) 둘레에서 180°로 회전시킬 수 있고, 연속 훅-업 과정에서 스티치를 지지할 수 있는 제 3 수단으로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옮긴다;
ee) 직물을 뒤집는다;
ff) 상기 축 (m-m) 둘레에서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180°로 뒤집는다;
gg)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공된 수단으로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옮겨서, 제 1, 제 2 반열의 대응하는 스티치는 동축으로 나란히 배치될 것이다;
hh) 이렇게 배치된 제 1,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훅-업한다;
ii) 훅-업된 바늘땀을 지지하는 수단으로부터 직물을 내려놓는다;
ll) 직물을 다시 뒤집고 훅-업 스테이션으로부터 움직인다.
상기 과정 ll)은 전술한 경우에서처럼 생략될 수 있다.
또, 상기 과정 ee)는 aa)과정 이전에 일어날 수 있지만, 제 1 반열의 시티치를 뒤집기 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기의 직물 헤드 바깥쪽으로 직물을 움직인 후에, 다음 직물을 편직할 수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원통형 직물의 편직은 1-실린더 및 2-실린더 환편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최종 훅-업 과정은 직물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2-실린더 기계에서 하부 실린더 평편 조직을 형성하고 상부 실린더는 역스티치를 형성하고, 2-실린더 기계에서 상부 및 하부 실린더의 공동으로 직물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직물은 겉면을 바깥쪽으로 둔 상태 또는 뒤집은 상태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1-실린더 기계에서 직물은 겉면에서 제거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은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 가능하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는 여러 가지 작동 모드를 통합해 나타내었다.
케이스 A
기계: 2-실린더형
실행되는 과정: a) - I)
스티치 제거: 하부 실린더로부터 제거
훅-업 면: 바깥쪽
제거되는 직물 상태: 뒤집어 있음
케이스 B
기계: 2-실린더형
실행되는 과정: a) - I)
스티치 제거: 상부 실린더로부터 제거
훅-업 면: 안쪽
제거되는 직물 상태: 겉면이 바깥쪽에 있음
케이스 C
기계: 1-실린더형
실행되는 과정: a) - I)
스티치 제거: 기계에 장착된 단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제거된다
훅-업 면: 바깥쪽
제거되는 직물 상태: 뒤집어 있음
케이스 D
기계: 2-실린더형
실행되는 과정: a) - h)
스티치 제거: 하부 실린더로부터 제거
훅-업 면: 바깥쪽
제거되는 직물 상태: 겉면이 바깥쪽에 있음
케이스 E
기계: 2-실린더형
실행되는 과정: a) - h)
스티치 제거: 상부 실린더로부터 제거
훅-업 면: 안쪽
제거되는 직물 상태: 뒤집어 있음
케이스 F
기계: 1-실린더형
실행되는 과정: a) - h)
스티치 제거: 기계에 장착된 단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제거된다
제거되는 직물 상태: 겉면이 바깥쪽에 있음
케이스 G
기계: 2-실린더형
실행되는 과정: aa) - ll)
스티치 제거: 하부 실린더로부터 제거
훅-업 면: 안쪽
제거되는 직물 상태: 겉면이 바깥쪽에 있음
케이스 H
기계: 2-실린더형
실행되는 과정: aa) - ll)
스티치 제거: 상부 실린더로부터 제거
훅-업 면: 바깥쪽
제거되는 직물 상태: 뒤집어 있음
케이스 I
기계: 1-실린더형
실행되는 과정: aa) - ll)
스티치 제거: 기계에 장착된 단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제거
훅-업 면: 바깥쪽
제거되는 직물 상태: 뒤집어 있음
케이스 L
기계: 2-실린더형
실행되는 과정: aa) - ii)
스티치 제거: 하부 실린더로부터 제거
훅-업 면: 안쪽
제거되는 직물 상태: 뒤집어 있음
케이스 M
기계: 2-실린더형
실행되는 과정: aa) - ii)
스티치 제거: 상부 실린더로부터 제거
훅-업 면: 바깥쪽
제거되는 직물 상태: 겉면이 바깥쪽에 있음
케이스 N
기계: 1-실린더형
실행되는 과정: aa) - ii)
스티치 제거: 기계에 장착된 단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제거
훅-업 면: 안쪽
제거되는 직물 상태: 뒤집어 있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겉면이 바깥쪽을 향하고 있고 안쪽을 훅-업하여 만들어진 직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실행된다. 그러나 바깥쪽을 훅-업하는 경우에도, 완성된 직물은 최고의 품질을 가진다.
가두리에서 시작하여 안쪽에서 훅-업되는 발끝 부분에서 끝나는, 2-실린더 기계에 의해 선행 기술에 따른 방법으로 짜는 스타킹을 생산하는 것과 관련된, 케이스 B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첨부 도면의 도 1 내지 15를 참고로 설명된다. 첫째 이런 유형의 기계에서, 편직하는 동안 기계의 실린더(1; 2)와 동축을 이루는 흡입관(3)에 의해 상부 실린더(1) 내부로 스타킹(C)은 빨아들여지고, 바늘, 슬라이더 및 싱커(sinkers)와 같은 편직 부재는 대응하는 제어 표면에 작용하는 캠 수단 등에 의해 움직이도록 구동된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편직을 끝냈을 때, 스타킹(C)은 하부 실린더(2)에 의해 지지되는 바늘(4)과 맞물려지고, 이 바늘은 마지막 열의 스티치를 포함한다(도 1). "내리는" 위치, 즉 바늘 래치의 자유 단부 아래에 동일한 스티치가 놓이도록 닫힌 상태의 대응하는 싱커(40)를 수단으로 스티치-형성 바늘(4)을 들어올린 후, 더많이 들어올려진 바늘(4) 헤드가 상부 실린더(1)의 슬라이더(5)에 의해 연결될 때까지 열린 상태의 싱커(40)를 수단으로 들어올려진다(도 2). 이 조건하에서, 바늘(4)과 마지막 편직 열의 스티치를 통하여 바늘과 맞물린 직물은 슬라이더(5)에 의해 상부 실린더(1)에 연결되고 하부 실린더(2)의 슬라이더(6)로부터 분리되는데, 상기 슬라이더는 하부 실린더(2)로부터 상부 실린더(1)까지 바늘(4)을 옮긴 후에 아래로 낮추어져서 후에 실행될 조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상하 실린더(1,2)는 서로 떨어져 구동된다(도 3). 상기 실린더(1,2) 중 적어도 하나는 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하는 장치에 결합되는데, 이것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다. 그 후에, 상부 실린더(1)의 하부 베이스 가까이로 가동성 유닛(7)을 움직이는데, 상기 유닛은 바늘(4)의 마지막 열의 스티치를 제거하는 수단에 장착되어 있고, 스티치는 그대로 끼워져 있다(도 4). 그 후에, 상기 스티치-제거 수단은 바늘(4)의 헤드 가까이로 움직이고(도 5) 마지막 열의 바늘(4)의 스티치는 스티치를 유지하는 바늘(4) 및 가동성 유닛의 공동 작용에 의해 가동성 유닛(7)을 정지시키는 수단으로 옮겨진다(도 6). 이 작동 중에, 상부 실린더(1)의 싱커(sinkers)에 의해 한정된 스티치 평면은 대조 수단으로서 작용하는데 이것은 가동성 유닛(7)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향해 각 바늘(4)의 스티치를 밀어준다.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바늘(4)과 상기 제거 수단을 정지 상태로 유지함으로서 상부 실린더(1)와 싱커를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스티치-제거 수단은 직물과 함께, 실린더의 축 방향으로, 상부 실린더(1)에서 움직이는데 직물의 마지막 열의 스티치는 바늘(4)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도 7). 이런 조작 중에, 흡입관(3)은 가동성 유닛(7)을 향해 알맞게 구동함으로서 공동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므로 제거 수단에 의해 연결된 직물을 밀 수 있는 위치에 구형부(30)와 함께 배치되고 다음 분리 단계가 실행될 때까지 상기 제거 수단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그 후, 제 2 가동성 유닛(8)은 제 1 가동성 유닛(7)과 상부 실린더(1)의 하부 베이스 사이 영역에 배치되고, 제 2 가동성 유닛(8)은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뒤집고 다음 훅-업 단계에서 영향을 받는 스티치를 지지하도록 장착된다. 가동성 유닛(7, 8)에 장착된 수단은 서로에 대해 인접하도록 움직이고, 흡입관(3)은 상부 실린더(1) 내의 출발 위치로 되돌아간다(도 8). 이 단계 바로 다음 단계에서, 제 1, 제 2 가동성 유닛(7,8)과 직물(C)은 직기의 직물 헤드 바깥쪽으로 옮겨지고, 즉 분리된 훅-업 스테이션(R)에 도달하도록 움직이는데 바늘(4)에서 제거된 스티치는 제 2 유닛(8)의 부재로 움직이고 제 1 반열(semirank)의 스티치는 회전시키는 수단에 배치되고, 제 2 열의 스티치는 훅-업하기 위해 지지수단에 배치된다. 직물이 훅-업 스테이션(R)에 도달하기 전에 제 1 유닛으로부터 제 2 유닛까지 스티치를 움직일 수 있다. 그 후, 훅-업 스테이션(R)에 구비된 흡입관(9)은 직물을 관통하고 이 직물의 발끝 부분은 제 2 가동성 유닛(8)의 부재에 의해 열린 채로 유지되고, 제 1 가동성 유닛(7)은 구동된다. 그 후에, 제 1 반열의 스티치는 축(m-m) 둘레에서 180°로 회전하여서(도 11), 제 1 반열의 각 스티치는 이 단계의 종반에 제 2 반열의 대응하는 스티치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다.제 1 반열의 스티치는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유지하는(도 12) 유닛(8)의 부재로 옮겨져서, 제 1 반열의 각 스티치와 제 2 반열의 스티치는 일치하게 된다;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회전시키는 부재는 출발 위치(도 13)로 되돌아가는데 여기에서 훅-업 기계(90)에 의해 제 1, 제 2 반열의 스티치는 훅-업되고, 상기 스티치는 동축으로 나란히 놓여서 훅-업 하기 위한 지지부재로 끼워 맞추어진다(도 14). 그 후에 직물은 배출될 것이다(도 15). 훅-업 스테이션(R)의 관(9) 내에 직물을 흡입함으로써, 겉면이 바깥쪽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직물을 뒤집어 배출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마지막 편직 열이 세분된 제 1, 제 2 반열의 스티치와 대응하는 스타킹(C)의 변부를 결합한다.
첨부 도면에서, 직물 변부를 이은 곳은 LR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첨부 도면의 도 16-29를 참고로 설명되는 케이스 D에 관련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발끝 부분은 바깥쪽에서 훅-업되고 2-실린더 환편기에서 편직되는 스타킹 제조 방법에 관련된다. 그러므로, 선행 실시예에서 기술된 조건은 케이스 D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것처럼, 상부 실린더(1)에서 스타킹을 유지할 수 있고, 그 후 편직을 끝냈을 때 하부 실린더(2)로 끼울 수 있다. 이것은 상부 실린더(1)에 구비된 흡입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일단 편직이 끝나고 나면, 마지막 열의 스티치는 하부 실린더에 의해 지지되는 바늘(4)에 맞물려지고(도 16) 실린더(1,2)는 다음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서 알맞게 벌려진다; 각각의 스티치가 내리는 위치, 즉 대응하는 바늘(4)의 래치 아래에 배치될 때까지 싱크(40)는 닫힌 상태로 배치된 채, 바늘(4)은 위로 올려진다(도 17)(환편기의 실린더를 벌리기 전에 바늘(4)을 들어올릴 수 있다). 싱커가 열려있을 때, 바늘(4)은 더 높이 올려져서 싱커의 상부면 위로 마지막 열의 스티치가 배치된다. 싱커의 상부면 아래에 스티치가 다시 놓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싱커가 열려있는 영역에서, 싱커 블러프(sinkerbluff)(400)를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싱커 블러프는 당해업자들에게 공지된 부재이고 싱커(40)에 연결되며 부리 모양의 돌출부(beak)가 형성되어 하부에 있는 만곡부(recess)을 덮어서 스티치가 얽히는 것을 방지한다.본 발명의 실시예가 관련된 2-실린더 환편기는 모든 싱커를 동시에 여닫을 수 없으므로 전술한 조작이 필요하고, 싱커블러프(400)의 운동은 적절한 외부 캠(410)에 의해 제어된다. 그 후에, 제 1 가동성 유닛(7)은 바늘(4)의 작동 영역에 배치되고, 이 유닛은 바늘에 존재하는 마지막 열의 스티치를 제거하는 장치를 장착하고 있다(도 18). 상기 스티치-제거 수단은 바늘(4)의 헤드 가까이로 움직인다(도 19). 이후에, 스티치-제거 수단은 바늘(4)과 함께 낮추어져서, 각각의 스티치는 대응하는 제거 부재로 옮겨진다-왜냐하면 싱커에 의해 제공된 지지면은 제거 부재에 의해 통과되고 바늘에 의해 넘겨지면서 스티치를 고정시키기 때문이다(도 20).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 실린더(2)는 유닛(7)에 대해, 각각의 싱커(40)와 함께 구동되어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한다. 그 후에, 유닛(7)은 마지막 편직 열의 스티치가 놓이는 제거 수단과 함께 기계의 하부 실린더(2)로부터 움직인다(도 21). 이 단계 동안, 제거 수단으로부터 스티치가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관(3)을 사용한다. 이 목적으로, 관(3)은 유닛(7)과 함께 올려져서 구형부(30)와 함께 배치하고 제거 수단에 걸린 직물을 밀어준다. 이후에, 제 1 가동성 유닛(7)에 제 2 유닛(8)이 결합되는데 연속 훅-업 과정에서 스티치를 지지하는 수단뿐만 아니라,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회전시키는 장치가 상기 제 2 유닛에 장착되고(도 22), 이렇게 연결된 스타킹(C)과 함께, 유닛을 배치하기 위해서 두 가동성 유닛(7,8) 아래에 구형부가 놓일 때까지 흡입관(3)은 낮추어지고, 제 1 유닛(7)의 부재로부터 제 2 유닛(8)의 부재까지 스티치는 옮겨진다. 이 과정은 선(先)실시될 수도 있다. 즉 유닛(7,8)이 환편기와 연결되거나, 움직이는 동안 일어날 수도 있다. 훅-업 스테이션(R)의 흡입관(9)은 다음 단계를 가장 잘 제어하고 훅-업한 후에 배출된 직물을 옮기기 위해 직물(C)을 흡입한다. 제 1 가동성 유닛(7)은 움직이고(도 24) 제 1 반열의 스티치는 마지막 열(rank)을 제 1, 제 2 반열(semirank)로 나누는 축 둘레에서 180°로 회전한다(도 25). 이 단계의 종반에, 제 1 반열의 각 스티치는 제 2 반열의 대응하는 스티치와 동축을 이룬다. 제 1 반열의 스티치는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수용한 훅-업 지지수단으로 밀리고(도 26), 상기 회전장치는 출발 위치로 되돌아간다(도 27). 그러고 나서 제 1, 제 2 반열을 훅-업한다(도 28). 바깥쪽에서 훅-업하는 장치로부터 완성된 직물을 내릴 수 있다. 이런 목적으로, 훅-업하기 위한 스티치-지지수단 위로 흡입관(9)을 구동하는 장치가 제공된다(도 29). 스타킹을 관(9) 내부로 흡입함으로써 겉면이 바깥쪽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배출된다.
케이스 F의 조건하에서 1-실린더 기계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타킹을 처리하기 위해 도 16 내지 29를 참고로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케이스 I에 따른 1-실린더 기계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타킹에 대해, 도 30 내지 45를 참고로 설명되는데 마지막 발끝 부분 훅-업은 안쪽에서 이루어진다. 스타킹의 편직은 변부에서 시작하여 열린 상태로 유지되는 발끝 쪽에서 마무리되고, 마지막 열의 스티치는 그것을 형성하는 바늘(4)에 끼워져 있다. 편직이 끝났을 때, 스타킹은 바늘(4)에 걸려있는데 이 바늘에 마지막 편직 열의 스티치가 존재한다(도 30). 각각의 고리(100)를 가지는 판(10)은 실린더(11)에서 움직여서 다음 단계를 규칙적으로 실행한다(도 31). 스티치가 내리는 위치에 있을 때까지, 싱커는 닫힌 채 실린더(11)의 바늘(4)은 위로 올려진다. 그 후에 싱커(40)는 열린 채로 바늘(4)은 위로 들어올려지므로, 마지막 편직 열의 스티치는 싱커 위에 놓인다. 모든 싱커(40)는 닫혀진다. 제 1 가동성 유닛(7)은 바늘(4)의 작동 영역 가까이로 움직이고, 이 가동성 유닛은 각각의 형성 바늘(4)로부터 마지막 열의 스티치를 제거하기 위해 장착된 후에(도 32), 상기 제거 수단은 실린더(11)의 바늘(4) 헤드 가까이로 움직인다. 실린더(11)의 바늘(4)은 움직이도록 구동되고 제거 수단은 실린더(11) 및 침자(40)에 대해 움직여서 바늘(4)로부터 제거 수단까지 스티치를 옮긴다(도 33). 마지막 편직 열의 스티치가 올려진 채, 제거 수단은 실린더(11)로부터 움직이고(도 34), 스티치가 제거 수단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편직 스테이션(T)의 흡입관(3)을 전술한 케이스 B와 D에서처럼 움직이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 2 유닛(8)은 제 1 가동성 유닛(7)에 결합되는데, 제 1 유닛(7)의 각 제거 수단에서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장치뿐만 아니라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는 장치가 상기 제 2 유닛에 장착된다(도 35). 직물(C)과 함께 두 개의 가동성 유닛(7,8)을 분리된 훅-업 스테이션(R)으로 움직이기 위한 설비가 제공되는데(도 23) 직물은 이 스테이션에 제공된 관(9) 내로 흡입된다(도 36). 제 1 반열의 스티치는 제 2 유닛(8)의 수용 및 지지장치로 옮겨져서(도 37), 직물의 과다한 신장을 막도록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가지는 평면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이 조작은 두 유닛(7,8)이 훅-업 스테이션(R)과 연결되기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후에,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움직이고(도 38) 제 3 가동성 유닛(14)에 구비되고 훅-업될 스티치를 지지하는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39). 그 후에, 흡입관(9)은 가동성 유닛 위에 놓이도록 움직이고 편직하면서 직물(C) 내로 삽입된다(도 40). 이것은, 직물이 뒤집혀 있고 관(9) 바깥쪽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반열의 스티치는 제 3 가동성 유닛의 훅-업 지지수단으로 움직이고, 다음 훅-업 단계를 위한 스티치-지지수단은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뒤집기 위해 구비된다. 이 장치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된다. 다음 단계는 축 둘레에서 스티치의 제 1 반열을 180°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제 2 가동성 유닛(8)에 결합된 장치가 움직인 후에 상기 축은 마지막 편직 열의 스티치를 제 1, 제 2 열의 스티치로 나눈다(도 41). 이 단계가 끝났을 때, 제 1 반열의 스티치는 제 2 반열의 대응하는 스티치와 동축으로 놓인다. 그 후에, 제 2 반열의 스티치는 제 1 반열의 스티치와 최근접하여 제 3 가동성 유닛(14)의 훅-업 지지수단으로 옮겨진다(도 42). 그 후에, 제 2 반열의 스티치 제거 수단은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 장치와 결합하도록 움직이고(도 42) 훅-업 지지수단에 끼워진 스티치가 훅-업된다(도 43).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뒤집는 장치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고(도 44) 완성된 제품은 흡입관(9)의 보조로 훅-업에 사용되는 장치로부터 배출된다-이 관은 훅-업 수단 아래에 구형부(30)가 배치되도록 적절히 구동된다(도 45). 관(9) 내에서 흡입함으로서, 직물을 한번 더 뒤집고 겉면이 바깥쪽에 놓인 상태에서 배출한다.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에 대해, 당해 업자들에게 공지된 절차에 따라 훅-업은 이루어지므로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위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은 다음 과정을 포함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 편직 스테이션(T)에서 직물을 예비 편직한다;
- 스테이션(T)과 훅-업 스테이션(R) 사이에서 제 1 가동성 유닛에 장착된 스티치-제거 수단에 의해 마지막 편직 열의 스티치를 제거한다;
- 제거하고, 연속 회전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반열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장치와 다른 장치로, 하나 이상의 반열의 스티치를 옮긴다;
- 다른 반열의 스티치와 대응하여 뒤집힌 스티치를 배치하도록, 제 1, 제 2 반열로 마지막 편직 열을 나누는 축 둘레에서 스티치의 제 1 반열을 180°로 회전시킨다;
- 이렇게 배치된 제 1,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훅-업한다.
도 1 내지 29를 참고로 설명된 방법을 실시하는데 유용하고 상기 가동성 유닛에 장착된 장치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1- 또는 2-실린더 유형의, 환편기의 바늘(4)로부터 마지막 편직 열의 스티치를 제거하기 위한 부재는 가동성 유닛(7)의 아암(76)에 연결된 두 개의 동심원형 크라운(74,75)으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통하여 유닛(7)에 결합된 직선축을 가지는 스템(700)을 가지는 기소(70)로 이루어지고, 대향한 변부 사이에서 기소(70)의 스템(700)이 등거리로 수용되고 피치는 제거될 스티치의 중심 거리와 동일하다: 스티치-제거 수단(70)의 자유 단부는 스티치-제거 과정 중에 대응하는 바늘(4)의 헤드를 위한 시트(72)를 포함한다. 상기 유닛(7)의 아암(76)은 슬리브(830)에 수용되는 지지칼럼(99)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제거 부재(70)를 포함하는 부분과 대향한 단부와 연결된 구멍(760)을 가진다: 상기 슬리브(830)는 베이스(990)로 장착되고 칼럼(99)은 베이스(900)의 대향한 면에 구비된 칼라 브래킷(900)에 의해 수직으로 유지된다. 훅-업하는 동안 스티치를 지지하는 부재는 상기 슬리브(830)에서 수용하도록 구멍(83)을 구비한 아암(82)의 단부에 포함된 스파이크(80)와 스템(800)을 가지는 대향한 표면 사이에 두 개의 동축, 겹쳐진 반크라운(810,811)으로 이루어진 반원 지지체(81)와-스티치 제거 기소(70) 중 하나와 일치하는 피치를 가지고 등간격을 이루며- 고정된 다수의 훅-업 스파이크(80)로 구성된다. 또, 상기 훅-업 스파이크는 제 3 가동성 유닛(14)에 결합될 수 있다.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제 3 가동성 유닛(14)의 스파이크는 제 2 가동성 유닛(9)의 경우에서처럼 80으로 나타내는 대신에 180으로 나타내었다.
제 1 가동성 열(7)의 기소로부터 수용된 후에 제 2 반열의 스티치에 대해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뒤집는 부재는 직선 스템(840)을 가지는 바디(84)로 이루어지는데 대응하는 반원 지지부(85)에 장착된 직선 스템(840)은 마주보는 표면 사이에 두 개의 동축 반크라운(851,852)을 포함하고 바디(84)의 스템(840)은 제 1 가동성 유닛(7)에 고정된 기소(70)의 피치와 일치하는 피치를 가지고 등각 배치된다: 각 바디(84)의 헤드 부분(841)은 대응하는 스티치 제거 기소(70)의 단부 시트(72)로 끼워질 수 있도록 알맞게 성형되고 스티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각 스파이크(80)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허용하며, 상기 바디(84)의 지지부(85)는 스파이크(80)의 지지부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보적 역할을 한다.
상기 바디(84)의 지지부(85)는 힌지(821)에 의해 아암(82)의 외측 부속장치(820)에 연결된 방사상 부속장치(850)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축은 아암과 직교하므로 이 아암에 연결된 두 지지부(81,85)는 닫힌 상태에서 제거 부재(70)의 지지부(74,75)와 일치하는 원형 크라운 구조를 취하도록 스테이션(T)에서 직물(C)둘레 및 관(3) 둘레에서 닫혀질 수 있을 때 파지 장치의 두 반원형 조오(jaw) 형태를 취할 것이다. 축(m-m) 둘레에서 지지부(85)를 회전시키도록, 지지부(85)의 방사상 부속장치(850)는 회전 작동기(822)에 연결되는데 이 회전 작동기의 축은 지지부(85)의 직경 축(n-n)의 연장선 상에 있다. 도 49에 나타낸 조건에서, 축(m-m) 및 축(n-n)은 겹쳐진다.
제거 부재(70)로부터 전달 부재(84)까지 스티치를 전달하기 위해 제거 부재(70)의 유닛(7)으로부터 이송 부재(84)의 유닛을 향해 스티치를 밀어주는 장치를 구비하는데, 도 1-15와 18-29에 나타난 것처럼 일체로 성형되거나 도 38-45에 나타난 것처럼 다수의 분리된 기소(770)로 형성된 관상체(77)는 제 1 유닛(7)에 의해 지탱된다: 상기 관상체(77)는 제거 부재(70)를 향하여 배치된 환상 변부(770)를 가지고 도 9와 도 23의 화살표 "Q"로 나타낸 것과 같은 제 2 가동성 유닛(8)을 향한 운동 및 도 37의 화살표 "QQ"로 나타낸 것과 같은 동일 관상체(77)를 향한 유닛(8)의 운동에 의해 스티치 뒤에서 밀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처럼, 전달 부재(84)로부터 유닛(8)의 스파이크(80)까지 스티치를 옮기기 위해서, 도 12와 26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유닛의 두 반크라운(81,8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반원형 기소(815)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원형 기소(815)의 변부는 동일한 스티치가 스파이크(80)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전달 부재(84)의 스티치 뒤에서 미는 역할을 한다.
아암(76,82)은 전기 및 공압 제어부를 구비한 모터-구동된 부재에 적절히 연결되는데 상기 전기 및 공압 제어부는 첨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다.
도 30-45를 참고로 기술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한, 직물(C)-편직 바늘(4)로부터 스티치를 제거하기 위한 부재(70)가 장착된 유닛(7)은, 스테이션(T)와 (R) 사이에서 대응하는 구동 아암(62)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반원형 지지부로 구성된다: 아암(62)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작동기의 제어하에 지지부를 수직으로 분리하도록 수직 핀(66)에 의해 연결된 두 기소(60,600)에 장착된다. 아암(62)의 두 기소(60,600)는 지지칼럼(500)에 힌지-연결하기 위한 구멍을 구비한다. 각각의 지지부는, 편직 바늘로부터 스티치를 제거하기 위한 부재(70)의 스템이 수용되는 대향한 변부 사이에 두 개의 반원형 동심 크라운(64,65)으로 이루어진다.
전달 부재(84)는 이 전달 부재(84)의 스템이 수용되는 대향한 변부 사이에 두 개의 동심 반크라운(33,34)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지지부에 장착되는데, 상기 지지부는 수직 핀(37)에 의해 연결된 두 기소(36,360)에 의해 형성된 아암(35)의 단부에서 지지되고 상기 수직 핀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작동기의 제어하에 수직 상대 운동을 안내한다: 전달 부재(84)의 지지부는 아암(35)의 기소(360)에 고정되고, 유닛(7)의 부재(70) 상에서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유지하고 반원형을 취하는 바디(38)의 지지부는 다른 기소(36)에 고정된다. 전달 부재(84)는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수용하고 전달 부재(84)와 스파이크 사이에서 도 35-40에 나타낸 것처럼 스티치는 전환된다.
훅-업하는 동안 스티치가 끼워진, 스파이크(180)의 지지부(50)는 반원형이고 대응하는 회전 작동기(53)에 고정되며 이 회전 작동기는 칼럼(500)에 고정시키는구멍을 구비한 구동 아암(51)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편직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의 종류 및 도달되는 직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허용되는 보호 범위 내에서, 모양, 크기, 기소 배치, 사용되는 물질의 성질에 관한 구조의 모든 세부 사항은 바꿀 수 있다.

Claims (19)

  1. 편직 스테이션(T)에서 직물을 편직하고, 스테이션(T)과 훅-업 스테이션(R)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제 1 유닛에 장착된 스티치-제거 장치로 마지막 편직 열(rank)의 스티치를 제거하며, 다른 반열의 스티치와 대응하여 뒤집힌 스티치를 배치하도록 제 1, 제 2 반열(semirank)로 마지막 편직 열을 나누는 축 둘레에서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180°로 회전시키고, 이렇게 배치된 제 1,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훅-업하는 예비 과정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편직물(C)의 변부를 봉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지막 편직 열의 스티치를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제거 작동하는 장치와 다른 장치로 하나 이상의 반열의 스티치를 옮기는 과정을 포함하고, 이 전달 장치는 회전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반열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편직물의 변부를 봉합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훅-업하는 동안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회전시키는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이동 단계는 제 1, 제 2 반열의 스티치에 대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는 단 하나의 반열의 스티치에 대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과 4항에 있어서,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임시 지지부의 대응하는 부재 및 회전 지지부재로 옮긴 후 뒤집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과 4항에 있어서,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스테이션(T;R) 사이에서 제 2 가동성 유닛의 임시 지지부의 대응하는 부재 및 회전 지지부재로 옮긴 후 뒤집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직물(C)은 2-실린더 환편기로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직물(C)은 1-실린더 환편기로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훅-업 스테이션(R) 및 편직 스테이션(T)에서 직물(C)을 뒤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편직 스테이션(T)에서 직물을 예비 편직하기 위한 환편기와, 마지막 편직 열의 스티치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이 장치는 스테이션(T)와 훅-업 스테이션(R) 사이에서 제 1 가동성 유닛에 장착되며, 마지막 편직 열을 제 1, 제 2 반열로 나누는 축(m-m) 둘레에서 제 1 반열의 스티치를 180°로 회전시키는 장치와, 훅-업하기 위해 배치된 제 1, 제 2 반열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원통형 편직물(C)의 변부를 봉합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반열의 스티치를 옮기는 장치를 포함하고, 이 전달 장치는 회전부 위에 제공되고 스티치-제거 수단과 분리되고 대응하는 지지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티치를 옮기는 장치는 편직 스테이션(T)과 훅-업 스테이션(R) 사이의 가동성 유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마지막 편직 열의 스티치를 제거하는 장치는 가동성 유닛(7)의 아암(76)에 결합된 두 개의 동심 원형 크라운(74,75)으로 이루어진 지지부를 통하여 대응하는 유닛(7)에 연결된 스템(700)을 가지는 다수의 기소(70)로 구성되고, 대향한 변부 사이에서 기소(70)의 스템(700)은 등거리로 수용되고 제거될 스티치의 중심 거리와 일치하는 피치를 가지며: 스티치-제거 기소(70)의 자유 단부는 스티치-제거 단계 중에 대응하는 바늘(4)의 헤드를 위한 시트(72)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7)의 아암(76)은 베이스(990)에 장착된 슬리브(830)로 끼워진 지지 칼럼(99)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거 부재(70)의 하우징 단부와 대향한 단부에 대해, 구멍(76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훅-업 하는 동안 스티치를 지지하는 장치는 반원형 지지부(81)에 의해 대응하는 유닛(8)에 고정된 다수의 훅-업 스파이크(80)를 포함하고, 대향한 표면 사이에 두 개의 동축, 겹쳐진 반크라운(810,811)이 배치되며 스파이크(80)의 스템(800)은 베이스(990)에 장착된 슬리브(830)로 끼울 수 있도록 구멍(83)을 구비한 아암(82)의 단부에서 등간격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뒤집어진 스티치를 지지하는 장치는 다수의 바디(84)로 이루어지고 대응하는 스템(840)은 두 개의 동축 반크라운(851,852)을 가지는 반원형 지지부(85)에 장착되며, 대향한 표면 사이에 바디(84)의 스템(840)이 등간격으로 끼워지고: 상기 바디(84)는 스티치-제거 장치 및 회전될 스티치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0항과 14항에 있어서, 바디(84)의 지지부(85)는 힌지(821)에 의해 아암(82)의 외측 부속장치(820)에 연결된 방사상 부속 장치(850)를 구비하고, 이 힌지의 축은 아암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지지부(85)의 방사상 부속장치(850)는 회전 작동기(822)에 결합되고 이 회전 작동기의 축은 지지부(85)의 직경 축(n-n) 연장선 상에 배치되며, 작동기를 회전시킨 후에 축(n-n)은 스티치 회전 축(m-m)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직물(C)-편직 바늘로부터 스티치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70)가 장착된, 제 1 가동성 유닛(7)은 스테이션(T)와 (R) 사이에서 대응하는 구동 아암(62)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반원형 지지부를 포함하고: 아암(62)은 직선으로 작동하는 작동기의 제어하에 지지부를 수직 분리하도록 수직 핀(66)에 의해 연결된 두 기소(60,600)에 배치되고, 아암(62)의 두 기소(60,600)는 지지칼럼(500)에 힌지-연결하기 위한 구멍(63)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지지부는 편직 바늘로부터 스티치를 제거하기 위한 부재(70)의 스템을 수용하는 대향한 변부 사이에 두 개의 반원형 동심 크라운(64,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0항에 있어서, 스티치-전달 장치는 두 개의 반원형 동심 반크라운(33,34)을 가지는 지지부에 장착된 다수의 바디(84)로 이루어지고, 대향한 변부 사이에 전달 장치(84)의 스템을 수용하고, 직선으로 작동하는 작동기의 제어하에 수직 상대 운동을 안내하는 수직 핀(37)에 의해 연결된 두 기소(36,360)에서 아암(35)의 단부에서 지탱되며: 전달 부재(84)의 지지부는 아암(35)의 기소(360)에 고정되고, 반원으로 확대되는 지지부(38)는 다른 기소(3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0항에 있어서, 훅-업하기 위한 스티치-지지 장치는 대응하는 반원형 지지부에 장착된 다수의 훅-업 스파이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원형 지지부는 회전 작동기(53)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작동기는 칼럼(500)에 힌지-연결하기 위한 구멍(52)을 구비한 구동 아암(5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0005659A 1998-02-20 1999-02-20 편직물 변부 봉합 장치 및 방법. KR100364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FI98A39 1998-02-20
IT98FI000039A ITFI980039A1 (it) 1998-02-20 1998-02-20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unire i lembi di manufatti tessuti a magli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790A KR19990072790A (ko) 1999-09-27
KR100364440B1 true KR100364440B1 (ko) 2003-01-15

Family

ID=1135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659A KR100364440B1 (ko) 1998-02-20 1999-02-20 편직물 변부 봉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164091A (ko)
EP (1) EP0942086B1 (ko)
JP (1) JP3604297B2 (ko)
KR (1) KR100364440B1 (ko)
CN (1) CN100400731C (ko)
AT (1) ATE267283T1 (ko)
BR (1) BR9903030B1 (ko)
CZ (1) CZ298434B6 (ko)
DE (1) DE69917359T2 (ko)
ES (1) ES2221344T3 (ko)
HK (1) HK1022724A1 (ko)
IT (1) ITFI980039A1 (ko)
PT (1) PT942086E (ko)
TR (1) TR199900319A3 (ko)
TW (1) TW43070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7130A (ko) * 2011-09-19 2014-06-03 로나티 에스.피.에이. 적어도 하나의 이송부 또는 낙하부를 갖는 이중 실린더 원형 기계에서 양말 등과 같은 관형 제품의 형성 끝에서 자동화된 픽업을 위해 그 관형 제품을 준비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중 실린더 원형 기계
KR20150143410A (ko) * 2013-04-12 2015-12-23 스타우블리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관형상 편성 물품을 편성하기 위한 방법 및 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0683B2 (ja) 1999-09-29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処理装置
IT1314218B1 (it) * 1999-11-10 2002-12-06 Colosio Cesare Srl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operare il trasferimento di unmanufatto tubolare, in particolare una calza, dalla macchina che lo
DE60002150T2 (de) * 2000-01-18 2003-11-27 Golden Lady Sp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chlauchstrickwaren und zum Schliessen des Zehenteils
IT1316678B1 (it) * 2000-02-28 2003-04-24 Matec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tubolari,in particolare calze,chiusi in corrispondenza di
IT1316679B1 (it) * 2000-02-28 2003-04-24 Matec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tubolari,in particolarecalze,chiusi in corrispondenza di un'estremita' assiale con macchine
JP4025512B2 (ja) * 2000-05-12 2007-12-19 丸善産業株式会社 靴下のつま先縫製方法と装置
IT1314899B1 (it) * 2000-06-27 2003-01-16 Sangiacomo Spa Dispositivo di sollevamento del manufatto a maglia costruito su unamacchina circolare.
ITFI20010037A1 (it) * 2001-03-08 2002-09-09 Metalworking And Finance Group Metodo e dispositiv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ed in particolare per la chiusura
ITFI20010143A1 (it) * 2001-07-24 2003-01-24 Fabritex Srl Metodo e dispositivo per manipolare o movimentare le maglie di un manufatto tessile
DE10150684C1 (de) 2001-10-17 2003-04-24 Groz Beckert Kg Platine für das Spitzenschließen von Strümpfen
ITMI20021384A1 (it) * 2002-06-24 2003-12-22 Lonati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o calzetteria a doppio cilindro con dispositivo di prelievo e di trasferimento del manufatto a fine lavoraz
ITFI20020199A1 (it) * 2002-10-21 2004-04-22 Fabritex Srl Metodo e apparato per unire i lembi di un manufatto tubolare tessuto a maglia
ITBS20030020A1 (it) * 2003-02-27 2004-08-28 Sangiacomo Spa Metodo e macchina circolare per la costruzione di manufatti di maglia tubolari con l'estremita' chiusa.
ITMI20042084A1 (it) * 2004-11-02 2005-02-02 Cesare Colosio S P A Dispositivo di cucitura automatica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per calze
WO2007135697A1 (en) * 2006-05-22 2007-11-29 Orion Srl Integrated system and relative device for closing the stocking on circular machines for the production of semi-finished tubular knitting
ITFI20070289A1 (it) * 2007-12-21 2009-06-22 Massimo Bianchi "congegno per la chiusura della punta all'estremita' dei manufatti tubolari di calzetteria"
ITMI20080399A1 (it) * 2008-03-10 2009-09-11 Lonati Spa Dispositivo rovesciatore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particolarmente per stazioni di cucitura o di rimagliatura per la chiusura automatizzata dei manufatti tubolari in corrispondenza di una loro estremita' assiale.
ITMI20080397A1 (it) * 2008-03-10 2009-09-11 Lonati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eseguire la chiusura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in corrispondenza di una sua estremita' assiale, al termine del suo ciclo di produzione su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ITMI20080398A1 (it) * 2008-03-10 2009-09-11 Lonati Spa Dispositivo prelevatore per operare il preliev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da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e il suo trasferimento ad un'unita' atta ad eseguire ulteriori operazioni sul manufatto.
IT1392646B1 (it) * 2009-01-30 2012-03-16 N T A S R L Dispositivo di prelievo di una calza da un macchinario cilindric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tubolari con estremita cucita
US7882711B2 (en) * 2009-06-19 2011-02-08 Massimo Bianchi Device for closing the toe at the end of tubular hosiery articles
ITMI20111686A1 (it) * 2011-09-19 2013-03-20 Lonati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o per calzetteria a doppio cilindro con dispositivo di tiraggio del manufatto a maglia.
US8443633B1 (en) * 2012-09-05 2013-05-21 Da Kong Enterprise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loops from the knitting machine needle
ITMI20130050A1 (it) * 2013-01-16 2014-07-17 Lonati Spa Procedimento per attuare la chiusura automatizzata di un'estremita' assiale di un manufatto tubolare e il suo scarico in assetto a rovescio ed apparecchiatura per la sua esecuzione.
ITMI20130296A1 (it) * 2013-02-28 2014-08-29 Lonati Spa Procedimento per attuare la chiusura automatizzata di un'estremita' assiale di un manufatto tubolare e il suo scarico in assetto a rovescio ed apparecchiatura per la sua esecuzione.
CN103205852B (zh) * 2013-03-23 2014-06-04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取领装置
CN103215742B (zh) * 2013-04-26 2014-06-04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刮布运动装置
CN103233320B (zh) * 2013-05-13 2014-06-04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使横编织机所织的单层衣领与衣身相接的方法
CN103266414B (zh) * 2013-05-13 2014-06-18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使横编织机所织的单层衣领与衣身相接的装置
CN103215746B (zh) * 2013-05-17 2014-05-14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能对针耙上的线圈直接进行缝合的装置
TWI539050B (zh) * 2013-11-15 2016-06-21 Da Kong Entpr Co Ltd Sewing sock machine needle plate
TWI509121B (zh) * 2013-11-15 2015-11-21 Da Kong Entpr Co Ltd Socks sewing device
US10309044B2 (en) * 2015-01-28 2019-06-04 Lonati S.P.A. Method for providing semi-finished tubular manufactured articles to be closed by stitching at an axial end thereof for the production of socks, and semi-finished tubular manufactured article obtained with the method
ITUB20155479A1 (it) 2015-11-11 2017-05-11 Lonati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un manufatto tubolare del tipo calza o simile al prelievo automatizzato al termine della sua formazione su una macchina circolare a doppio cilindro con almeno una alimentazione o caduta e macchina circolare a doppio cilindro per la sua esecuzione.
CN105887320B (zh) * 2015-12-07 2018-01-16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一体式袜机
CN105887317B (zh) * 2015-12-07 2018-05-04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一种织袜缝合方法
CN105483922A (zh) * 2016-02-26 2016-04-13 福建祥锦实业有限公司 一种双针筒圆编机
IT201600072994A1 (it) 2016-07-13 2018-01-13 Lonati Spa Dispositivo prelevatore per operare il preliev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da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e il suo trasferimento ad un’unita’ atta ad eseguire ulteriori operazioni sul manufatto.
CN107099922B (zh) * 2017-06-27 2022-08-26 绍兴汉翔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袜机内置式全自动缝头翻转装置
TWI726304B (zh) 2018-08-20 2021-05-01 大康織機股份有限公司 從針織機的織針轉移線圈以及縫紉之機制
IT201900005838A1 (it) 2019-04-16 2020-10-16 Lonati Spa Dispositivo prelevatore per operare il preliev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da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e il suo trasferimento ad un'unità atta ad eseguire ulteriori operazioni sul manufatto.
IT201900023433A1 (it) 2019-12-10 2021-06-10 Lonati Spa Dispositivo prelevatore per operare il preliev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da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IT201900023577A1 (it) * 2019-12-11 2021-06-11 Lonati Spa Dispositivo prelevatore per operare il preliev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da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US20230002940A1 (en) 2020-03-24 2023-01-05 Lonati S.P.A 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tubular item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59688B (it) * 1992-10-09 1996-03-25 Conti Florentia Srl Metodo e dispositivo per eseguire l'unione di due lembi di un manufatto tubolare tessuto a maglia al termine della sua formazione
IT1265881B1 (it) * 1993-07-12 1996-12-12 Fabric & Mfg Principles Metodo e dispositivo per eseguire l'unione di due lembi di un manufatto tubolare tessuto a maglia al termine della sua formazione
US5551260A (en) * 1993-07-29 1996-09-03 Fabritex, S.R.L. Method for joining two edges of a knitted tubular article upon completion thereof
DE69503827D1 (de) * 1994-04-26 1998-09-10 Sangiacomo Spa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gestrickten Produkten, welche an Strumpfrundstrickmaschinen hergestellt sind
IT1269117B (it) * 1994-06-16 1997-03-21 Golden Lady Spa Dispositivo per la automatica formazione iniziale di una punta chiusa in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su macchine da maglieria circolari
IT1277395B1 (it) * 1995-07-28 1997-11-10 Matec Srl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calze o simili a punta chiusa con una macchina circolare monocilindrica
IT1278799B1 (it) * 1995-11-28 1997-11-28 Golden Lady Spa Dispositivo per realizzare la chiusura di un'estremita' di manufatto tubolare sulla stessa macchina circolare che lo ha prodotto
IT1281598B1 (it) * 1996-01-08 1998-02-20 Matec Srl Macchina circolare monocilindrica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ad elevata versatilita' di impieg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7130A (ko) * 2011-09-19 2014-06-03 로나티 에스.피.에이. 적어도 하나의 이송부 또는 낙하부를 갖는 이중 실린더 원형 기계에서 양말 등과 같은 관형 제품의 형성 끝에서 자동화된 픽업을 위해 그 관형 제품을 준비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중 실린더 원형 기계
KR101969740B1 (ko) 2011-09-19 2019-04-17 로나티 에스.피.에이. 적어도 하나의 이송부 또는 낙하부를 갖는 이중 실린더 원형 기계에서 양말 등과 같은 관형 제품의 형성 끝에서 자동화된 픽업을 위해 그 관형 제품을 준비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중 실린더 원형 기계
KR20150143410A (ko) * 2013-04-12 2015-12-23 스타우블리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관형상 편성 물품을 편성하기 위한 방법 및 기계
KR102181383B1 (ko) 2013-04-12 2020-11-23 스타우블리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관형상 편성 물품을 편성하기 위한 방법 및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67283T1 (de) 2004-06-15
TR199900319A2 (xx) 1999-10-21
EP0942086B1 (en) 2004-05-19
DE69917359D1 (de) 2004-06-24
HK1022724A1 (en) 2000-08-18
BR9903030B1 (pt) 2008-11-18
EP0942086A3 (en) 2000-07-12
CN1233673A (zh) 1999-11-03
DE69917359T2 (de) 2005-06-16
JPH11276747A (ja) 1999-10-12
PT942086E (pt) 2004-10-29
BR9903030A (pt) 2001-03-20
TR199900319A3 (tr) 1999-10-21
CZ47499A3 (cs) 1999-09-15
CN100400731C (zh) 2008-07-09
US6164091A (en) 2000-12-26
ITFI980039A1 (it) 1999-08-20
CZ298434B6 (cs) 2007-10-03
EP0942086A2 (en) 1999-09-15
TW430703B (en) 2001-04-21
JP3604297B2 (ja) 2004-12-22
ES2221344T3 (es) 2004-12-16
KR19990072790A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440B1 (ko) 편직물 변부 봉합 장치 및 방법.
JP5813192B1 (ja) 丸編機の編地移し方法及び装置
KR102596015B1 (ko) 원형 편물기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는 장치 및 방법
US7900483B2 (en) Integrated system for closing stockings on circular knitting machines
CN108474150B (zh) 用于将针织管状物品从里往外翻转的翻转设备
CN203307573U (zh) 袜子袜头针织时由开口变为闭合的织袜装置
EP3204544A1 (en)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articles
EP14173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the stitches of a knitted tubular article to an operating station
KR20220111697A (ko) 양말류 또는 편물류 원형 기계에서 직접 관형 제조 물품의 단부를 폐쇄하는 방법 및 각각의 원형 기계
WO2016031282A1 (ja) 丸編機の編地縫合方法及び丸編機システム
US7640880B2 (en) Automatic sewing device for hosiery knitting machines
JP2004027474A (ja) 編み工程終了時に物品を取り外し且つ移送する装置を備えた、特に靴下類品の爪先部の閉じ処理を自動化するダブルシリンダ式靴下類丸編機及びその方法
RU96103624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делывания исходного конца трикотажного изделия, такого, как носок или т.п.
KR960010625B1 (ko) 편물 관형물품의 발가락부 연결방법
WO20010535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tubular knitted articles and for closing their toes
JP5854364B1 (ja) 丸編機の編地縫合方法及び丸編機システム
CN113825868B (zh) 用于生产具有闭合的趾部的管状针织制品的方法和设备
WO2023152605A1 (en) Improved circular machine for hosiery and knitwear and process for closing an end of a tubular manufactured article directly on a circular machine
RU2168574C2 (ru) Способ сшивания краев трубчатого вязаного издел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шивания краев трубчатого вязаного изделия
CZ20023028A3 (en) Device for closing toes in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