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015B1 - 원형 편물기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형 편물기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015B1
KR102596015B1 KR1020187011429A KR20187011429A KR102596015B1 KR 102596015 B1 KR102596015 B1 KR 102596015B1 KR 1020187011429 A KR1020187011429 A KR 1020187011429A KR 20187011429 A KR20187011429 A KR 20187011429A KR 102596015 B1 KR102596015 B1 KR 102596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tubular knitted
needle cylinder
hook
knitted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781A (ko
Inventor
로베르 노센티
안드레아 라나리
Original Assignee
스타우블리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UB2015A005286A external-priority patent/ITUB20155286A1/it
Priority claimed from ITUB2015A005208A external-priority patent/ITUB20155208A1/it
Application filed by 스타우블리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스타우블리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90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transfer of knitted goods from one machine to ano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2Loop-transfer poi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2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pneumat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04B9/5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heel or toe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상기 픽업장치(21)는, 대칭축(B-B)을 가진 원형링(23)으로 이루어지며, 원형링은, 원형 링(23)의 대칭축(B-B)에 대략 직각인 뒤집는 축 둘레에 하나를 다른 하나의 상부에 뒤집을 수 있는 두 개의 하프 링(23A),(23B)으로 분리된다.; 각 하프 링(23A),(23B)은 각각 복수의 픽업 훅(31)이 제공되며, 원형 하프 링(23A),(23B)에 관하여 이동가능하고, 이들 각각은 관형상 편성 물품(M)의 픽업 루프(MP)에 대한 픽업 스파이크(31B)를 포함한다. 각 픽업 훅(31)은, 픽업 스파이크(31B) 가까이에, 픽업 훅(31)에 관하여 관형상 편성 물품(M)의 편성 직물을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배열된 접촉면(39S)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원형 편물기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관형상 편성 물품, 특히 양말 및 스타킹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기계에 관한 것이다.
관형상 물품, 특히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원형 편물기가 사용된다; 이들 기계는, 탄성적인 가장자리로부터 시작해서, 일단 함께 재봉되거나 연결되면, 양말의 발가락 부분을 형성하는 가장자리를 규정하는 반대쪽 끝까지 물품을 편성한다. 전통적인 기계에 있어서는, 일단 물품이 편성되면, 그것은 발가락 부분이 개방된 상태에서 언로딩(unloading)되고, 하나 이상의 원형 편물기로부터 나오는 물품들은 그후 재봉기로 이송된다. 작업자는 하나의 물품을 집어서 이들을 발가락 부분 끝에서 잡고 재봉기로 가져가서 원형 편물기에서 편성된 후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발가락 부분의 끝을 폐쇄한다. 이 전통적인 방법은 노동강도가 강하고 따라서 제조 비용이 높다.
관형상 물품이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자동적으로 픽업되고, 원형 편물기의 외부에 있는 연결 또는 재봉기로 자동적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 장치 및 기계가 제안되어 있다. WO2004/035894는 원형 편물기로 제조된 관형상 물품의 발가락 부분을 자동적으로 이송하고, 재봉 또는 연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WO2010/086708은 관형상 물품을 원형 편물기로부터 재봉기로 이송하는 다른, 보다 간단하고 더 효율적인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공지의 시스템에서는, 하나를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뒤집혀질 수 있는 2개의 하프 링(half ring)으로 다시 분할된 원형 링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픽업 훅을 포함하는 관형상 물품의 픽업 장치가 제공된다. 이 픽업 장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와 동축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고, 관형상 물품을 받을 수 있도록 픽업 훅을 배열하고 있다. WO2004/035894에서는, 원형 편물기의 실린더의 각 니들에 의해 걸어 맞추어진 최종 코스(course)의 각 하나의 스티치(stitch)가 각각의 픽업 훅에 이송되도록 픽업 장치가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원형 편물기의 외부에서 관형상 물품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해서 얻어진 물품은 고품질을 가지지만 연결과정이 복잡하고 오래 지속된다; 더우기, 관형상 물품에 대한 픽업 장치는 특히 복잡하고 고가이다.
WO2010/086708에 개시된 기계는, 관형상 물품의 스티치의 최종 코스가 여전히 원형 편물기의 니들에 의해 걸어 맞추어져 있을 때 원형 물품의 최종 스티치로 들어가는 복수의 고정된 픽업 훅을 가진 픽업 장치를 가진다. 훅의 픽업 운동은, 니들 실린더의 축에 평행한 이동으로 픽업 장치를 스티치 형성면 가까이에 놓아서 훅이 관형상 편성 물품의 직물에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얻어진다. 다음의 단계에서, 최종 코스의 스티치가 니들로부터 제거되고, 관형상 편성 물품은 니들 실린더로부터 물품을 제거하고 그것을 외부의 재봉기 또는 연결기계로 이송하는 픽업 장치의 픽업 훅과 여전히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탈리아 특허 출원 PI2007A000091은, 원형 편물기의 실린더의 니들에 의해 형성된 원형의 니들 베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형의 배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고정된 픽업 훅을 구비한 픽업장치을 가진 원형 편물기를 개시하고 있다. 관형상 물품은, 니들로부터 스티치의 최종 코스를 제거함으로써 니들 실린더로부터 픽업 훅들의 링으로 이송되어서, 스티치의 최종 코스를 형성한 얀(yarn)의 탄력성으로 인하여, 스티치의 최종 코스가 수축되고 픽업 훅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진다.
US6591637호에는 원형 편성기의 실린더의 니들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고, 이 관형상 편성 물품을 재봉하거나 연결함으로써 물품의 발가락 부분을 폐쇄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US5551260호에는, 원형 편성기의 실린더의 니들로부터 개별의 스티치를 픽업하고, 픽업 훅의 하프 링을 훅의 상보적인 하프 링의 최상부에 뒤집어서 이들 스티치를 재봉하거나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US1188125호 및 US1068853호에는, 원형 편성기의 니들로부터 스티치를 픽업하고 스티치의 두 개의 반 코스(semi-courses)를 뒤집어서 연결을 행하기 위한 다른 기구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모든 이들 시스템은 관형상 편성 물품을 취급하는 장치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또는 낮은 신뢰성으로 인하여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특히, 픽업 훅에 의하여 니들 실린더의 니들로부터 최종 코스의 단일 스티치를 픽업하고, 훅의 두 반 원호의 180°회전에 의해서 서로의 위에 두 개의 반 코스를 뒤집고, 이어서 픽업 훅에 의하여 여전히 유지된 스티치를 연결하는 것은, 매우 정밀한 기계적인 부재들을 요구하는 만큼 매우 복잡한 작업이다. 픽업 훅의 작은 변형이라도, 매우 엄격한 기계적 허용도로 인하여, 후속하는 연결이 매우 까다롭거나 심지어 불가능하게 만든다.
WO2014/167047호에는, 일단 물품이 편성되면, 이 물품이 상기 니들 실린더 위에 동축으로 배열된 픽업 장치에 의하여 니들 실린더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 특히 양말 및 스타킹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복수의 픽업 훅을 니들과 협력하여 관형상 물품을 걸어 맞추는, 제조와 유지가 용이한, 보다 단순하고 더욱 신뢰성 있는 시스템을 얻기 위하여, 훅들은, 연속한, 즉 인접한 니들 실린더의 니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훅은, 싱커 루프, 즉 연속한 니들 사이에 형성되는 관형상 물품의 스티치를 걸어 맞춘다. 이어서, 니들 스티치, 즉, 니들에 의하여 형성된 최종 스티치가 니들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혁신적인 장치는 종래 기술의 방법에 비하여, 물품을 픽업하기 위한 매우 더 용이한 방법을 구현하게 한다. 그러나, 관형상 물품을 제조한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물품을 픽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일 양상에 의하면, 원형의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며, 이 장치는, 두 개의 하프 링으로 분할되는 대칭축을 가진 원형 링을 포함한다. 두 개의 하프 링은, 원형 링의 대칭 축에 대략 직교하는 뒤집는 축에 대하여 다른 것 위에 하나를 뒤집기 위하여 구성되고 배열된다. 각 하프 링에는 각 복수의 픽업 훅이 설치된다. 각 픽업 훅은 대칭 축을 향하여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픽업 스파이크를 포함한다. 각 픽업 스파이크는, 제1의, 아이들 포지션(idle position) 및 관형상 편성 물품을 가진 걸어 맞추는 제2의, 액티브 포지션(active position) 사이에서 각 하프 링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픽업 스파이크의 제2의, 액티브 포지션은, 제1의, 아이들 포지션 보다도 대칭축에 더 근접해 있다. 관형상 편성 물품의 단부 가장자리를 정렬하기 위하여, 또한 원형의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물품의 픽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픽업 훅, 또는 적어도 그들 중 몇몇은, 관형상 편성 물품의 발가락 부분의 단부에 대한 접촉면을 포함한다. 접촉면은 대칭축을 향하여 대략 반경방향으로 연장한다. 유리하게는, 접촉면은 대응하는 픽업 스파이크를 넘어서, 즉, 각 픽업 스파이크의 반경 방향의 길이보다 큰 길이 만큼, 대칭축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접촉면은, 각 픽업 스파이크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서, 제2 액티브 포지션에서, 픽업 스파이크 및 접촉면은 관형상 편성 물품의 단부 가장자리의 대향하는 측 위에 배열되어 있다. 접촉면은 거기에서 관형상 편성 물품의 개방된 발가락 부분과 접촉하고, 이것을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배열됨으로써, 원형 링의 대칭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평면에 개방된 발가락 부분을 정렬한다.
원형 링은 그 자신의 대칭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 경우, 대칭축은 회전축도 된다.
몇몇의 실시예에 있어서, 픽업 훅이 작동하여 관형상 편성 물품을 걸어 맞추는 경우, 각 픽업 훅의 픽업 스파이크와 접촉면은 픽업 훅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몇몇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선회축 둘레를 선회하도록 픽업 훅이 각 하프 링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픽업 훅은, 원형 링의 대칭 축을 포함하는 반경 방향의 평면 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각 훅의 선회 축은 실질적으로 수평일 수 있다. 즉, 원형 링의 대칭 축에 대하여 대략 90°에 있다. 각 픽업 훅의 픽업 스파이크와 접촉면은 하프 링에 대하여 픽업 훅의 선회 축에 대략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픽업 훅에 선회 운동이 주어지는 경우, 접촉면은 대략 각 픽업 훅의 선회 축위에 중심을 가진 원형 단면의 만곡된 부분을 적어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픽업 훅은 장착되어 원형 링의 대칭 축에 대략 직각인 방향을 따라서 각 하프 링 위에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스티치를 좀 더 양호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각 픽업 훅에 대하여, 폐쇄 래치는, 관형상 편성 물품의 싱커 루프를 걸어 맞추기 위해, 각 픽업 훅과 공동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어 제공된다. 몇몇의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래치는 원형 링에 대하여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래치는 원형 링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의하면,
원형의 니들 베드를 형성하는 복수의 니들을 구비한 니들 실린더와, 니들을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제어 캠을 가지는 원형 편물기와;
상술한 픽업 장치와;
관형상 편성 물품이 픽업 장치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져 있는 동안, 관형상 편성 물품의 발가락 부분을 폐쇄하기 위하여 픽업 장치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 폐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원형 편물기는 니들 실린더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와, 니들 실린더의 회전 운동과, 픽업 장치,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픽업 훅의 원형 링과 그 폐쇄 래치의 회전 운동을 동기화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픽업 장치는 그 회전 축 중심으로의 원형링의 회전을 제어하는 부가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의하면, 원형 편물기로 관형상 편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원형 편물기는 관형상 물품을 편성하는 원형의 니들 베드를 가진 니들 실린더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이하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a) 가장자리로 부터 시작하고 개방된 발가락 부분에서 종료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을 편성하는 단계;
b) 니들 실린더와 동축으로 픽업 장치를 배열하며; 상기 픽업장치는, 하나를 다른 하나의 최상부 위에 뒤집도록 구성되고 배열된 두 개의 하프 링으로 분리되는, 대칭축을 가진 원형링을 포함하며, 각 하프 링은 각각 복수의 픽업 훅을 구비하고, 픽업 훅의 각각은 대칭축을 향해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픽업 스파이크를 포함하고, 적어도 픽업 훅의 몇몇은 각각의 접촉면을 포함하며, 접촉면은 대칭축을 향해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각 픽업 스파이크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단계;
c) 픽업 장치를 향해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들어올리고, 니들 실린더의 니들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진 관형상 편성 물품을 유지하는 단계;
d) 픽업 훅의 접촉면에 대하여 관형상 편성 물품의 개방된 발가락 부분을 위치결정하고, 니들 실린더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 위에 개방된 발가락 부분을 정렬하는 단계;
e) 스티치의 최종 코스가 니들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져 있는 동안, 대칭축을 향해 픽업 훅을 이동시켜서 관형상 편성 물품을 걸어 맞추고, 관형상 편성 물품의 개방된 발가락 부분의 제1부분은 제1하프 링의 픽업 훅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지고, 관형상 편성 물품의 개방된 발가락 부분의 제2부분은 제2하프 링의 픽업 훅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지며; 개방된 발가락 부분은 픽업 훅의 픽업 스파이크와 접촉면 사이에서 위치 결정되는 단계;
f) 픽업 훅이 관형상 편성 물품을 걸어 맞춘 후, 니들로부터 최종 코스의 스티치를 제거하는 단계;
g) 픽업 장치에 의하여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제거하는 단계;
h) 두 개의 하프 링을 하나를 다른 하나 위에 뒤집고, 다른 하프 링의 픽업 훅에 대향하는 하나의 하프 링의 픽업 훅을 가져오는 단계;
i) 관형상 편성 물품의 발가락 부분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관형상 편성 물품의 발가락 부분을 폐쇄하는 단계; 및
j) 발가락 부분이 폐쇄된 후, 픽업 장치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제거하는 단계.
다른 양상에 의하면,
원형의 니들 베드를 형성하는 복수의 니들을 구비한 니들 실린더와; 니들의 상승과 하강을 제어하는 캠과; 니들 실린더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으로 니들 실린더를 구동하는 모터로 이루어진 원형 편물기와;
니들 실린더의 니들에 의하여 편성되는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는 픽업장치로서, 니들 실린더에 실질적으로 동축인 위치로부터 발가락 부분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대칭 및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링과;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고, 회전 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픽업 부재와; 니들 실린더의 회전과 동기하여, 대칭 및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링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장치로 이루어진 픽업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며,
또한, 폐쇄 위치에서 배열된 폐쇄 장치를 부가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 여기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폐쇄 장치는 관형상 편성 물품의 발가락 부분을 폐쇄하는 픽업 장치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되고 구성되고, 상기 관형상 편성 물품은 픽업 부재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관련하는 첨부된 종속항에서 열거된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의하면, 현재 개시된 것은, 원형의 니들 베드를 구비한 니들 실린더로 이루어진 원형 편물기로 관형상 편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가장자리로 부터 시작하고 개방된 발가락 부분에서 종료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을 편성하는 단계와;
니들 실린더와 동축의 픽업장치를 위치 결정하는 단계로서, 픽업 장치는 대칭 및 회전 축을 가지며, 원형의 니들 베드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는 복수의 픽업 부재를 구비한 원형 링을 포함하는 단계와;
원형 링을 니들 실린더와 동기 회전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원형 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픽업 부재로 관형상 편성 물품의 발가락 부분을 걸어 맞추고, 니들 실린더와 원형 링이 동기해서 회전함으로써 니들 실린더로부터 픽업 장치로 관형상 편성 물품을 이송하는 단계와;
픽업 장치에 의하여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제거하고 폐쇄 장치로 관형상 편성 물품을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폐쇄 장치로 관형상 편성 물품의 발가락 부분을 폐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관형상 편성 물품은 상기 픽업 부재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져 있는 동안, 발가락 부분의 폐쇄가 픽업 장치의 픽업 부재와 공동 작용하는 폐쇄 장치에 의해서 행해진다. 발가락 부분이 일단 폐쇄되면, 관형상 물품은 픽업 장치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방법의 개선은, 첨부된 종속 청구항에 열거된 1개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 및 장치의 부가적인 유리한 특징 및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후에, 그리고 본 명세서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하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의 보다 완전한 이해와 그 부수적인 이점은, 유첨된 도면과 관련해서 고려하면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해서 보다 잘 이해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얻어질 것이다.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18은, 픽업 공정의 몇몇 동작 단계에서의, 원형 편물기와 원형 편물기로 편성된 관형상 물품의 픽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픽업 장치의 픽업 훅에 의해 싱커 루프를 픽업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0은 관형상 물품의 발가락 부분이 재봉되는 위치에서, 2개의 하프 링의 회전축과 뒤집는 축을 포함하는 부분에서의, 픽업 장치와 발가락 부분을 폐쇄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A와 도 21B는 도 20에서 ⅩⅩⅠ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
도 22는 실린더의 원형의 베드와 픽업 장치의 훅 및 래치의 영역으로 한정된, 변형된 실시예의 확대도,
도 23 및 도 24는 물품의 개방된 발가락 부분의 가장자리를 픽업하는 동안 2개의 다른 위치에서의, 픽업 훅과 각 폐쇄 래치의 단부에 대한 확대도,
도 25는 도 22의 ⅩⅩⅤ-ⅩⅩⅤ를 따른 흡입관의 상부 가장자리의 확대도,
도 26A 내지 도 26C는 다른 실시예에서 픽업 훅과 폐쇄 래치에 의해 형성된 1쌍의 픽업 부재를 4곳의 다른 동작 위치에서 나타낸 도면,
도 27A 내지 도 27C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픽업 훅과 폐쇄 래치에 의해 형성된 1쌍의 픽업 부재를 3곳의 다른 동작 위치에서 나타낸 도면,
도 28 및 도 29는 픽업 훅과 각 폐쇄 래치에 의해 형성된 1쌍의 픽업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
도 30 및 도 31은 발가락 부분을 재봉하고 연결하는 배열에서 각각의 지지 프레임과, 하나를 다른 하나 위에 뒤집을 수 있는 2개의 하프 링을 가진 픽업 장치의 등각 투영도,
도 32는 한 실시예에서의 분리된 픽업 훅의 측면도,
도 33은 도 32의 ⅩⅩⅩⅢ- ⅩⅩⅩⅢ를 따른 정면도,
도 34 및 도35는 2개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원형편물기의 니들 실린더의 니들과 픽업 훅과 폐쇄 래치의 쌍들 사이의 상호작용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36A 내지 도 36K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의 니들로부터 원형상의 물품을 픽업하는 단계 동안의 픽업장치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유첨 도면을 참고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또,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대신에 본 발명의 범위는 유첨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 또는 "몇몇의 실시예"의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해서 기재된 각별한 특징, 구성 또는 특성이 기재된 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여러 곳에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또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또는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라는 어구가 나타나는 것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들)을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처음에,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픽업 장치와 동작 과정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원형의 니들(5)의 베드를 구비한 니들 실린더(3)를 포함하는, 전체로서의 원형 편물기(1)를 나타낸다. 각 니들(5)은 니들 실린더(3)에 형성된 각 홈에서 슬라이딩한다. 캠 맨틀(7)은, 니들 실린더(3)와 결합되어 있고, 도 1에 단지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것이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하는 잭은, 니들(5)과 결합될 수 있으며, 홈(2) 내에서 슬라이딩한다. 캠 맨틀(7)의 캠은 니들(5)과 잭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것을 제어한다.
니들 실린더(3)가 수직면을 따른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회전축(A-A)을 포함한다.
(9)는 실질적으로 수직회전축(A-A)의 둘레로 니들 실린더(3)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니들 실린더(3)는 베이스(3)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베이스(13)에는 또는 컬럼(column)(13)이 연결될 수 있고, 이 컬럼은 프레임(15)을 개재하여 다이얼(17)을 지지한다. 다이얼(17)은 공지의 편성부재(훅 및 캠)일 수 있으며, 이 편성부재들은 관형상 편성 물품(M), 예를 들면, 스타킹 또는 양말을 편성하는 원형 편물기(1)의 니들 실린더(3)의 니들(5)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프레임(15)은, 니들 실린더(3)의 상부 또는 헤드에 원형 편물기(1)에서 편성된 관형상 물품(M)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21)(도 4 및 그 이후)가 접근할 수 있도록, 다이얼(17)을 니들 실린더(3)로부터 떨어져 이동시키기 위하여, 화살표(f15) 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니들 실린더(3)와 동축으로, 그리고 그 내부에는, 관형상 편성 물품(M), 예를 들면 스타킹 또는 양말을, 편성하는 동안, 흡입하는 흡인관(4)이 설치되어 있다. 흡입관(4)의 상부는 바깥쪽으로 벌어지고 대략 원추형상(4A)(도 3 및 도 5의 확대도 참조)으로 될 수 있다.
도 2 및 도 2에서 Ⅲ으로 표시한 영역을 확대한 도 3의 확대도는 관형상 물품(M)이 편성된 후의 원형 편물기(1)를 나타낸다. 관형상 편성 물품은 한쪽 끝에서 하부 가장자리(B), 예를 들면 탄성적인 가장자리를 가지고, 반대쪽 끝에서 제2의 가장자리를 가진다. 제2의 가장자리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발가락 부분(P)(특히 도 3의 확대도 참조)을 규정한다. 발가락 부분(P)은 개방되어 있고, 관형상 물품(M)을 편성한 니들(5)에 의해 여전히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 후, 발가락 부분(P)은 재봉되거나 연결되어서 마무리된 관형상 편성 물품(M)을 얻는다.
다이얼(17)은 들어 올려지고, 따라서 원형 편물기(1)의 니들 실린더(3) 위에 여유 공간을 남긴다.
도 3의 확대도는, 니들 실린더(3)의 니들(5) 중 하나 이외에, 인접한 니들(5) 사이에 개재되고, 니들(5)과 상호 작용하여 물품을 편성하는 싱커(6) 중 하나를 또한 나타낸다. 공지된 방법으로, 싱커(6)에는 싱커 캠(도시하지 않음)과 상호 작용하는 힐(6T)이 형성되고, 이들 싱커 캠은 니들 실린더(3)의 상부에 배치된 케이스(8) 내에 수용된다.
도 4는 원형 편물기(1)와, 한편에서 니들 실린더(3) 위에 이와 동축으로 배치된 픽업 장치(21)를 도시한다. 도 5는 픽업 장치(5)와 니들 실린더(3)의, 도 4에서 Ⅴ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도 5의 A-A 및 B-B를 따른 확대된 국부 단면도이다.
픽업 장치(21)는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이동 가능한 프레임(22)에 의해 지지되고, 도 30 및 도 31에서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며, 픽업 장치(21)의 보다 상세한 내용을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해서 설명할 것이다. 이동 가능한 프레임(22)은, 픽업 장치(21)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바람직하게는 수평 이동 만으로 원형 편물기(1)와 폐쇄 장치(예를 들면, 재봉기 또는 연결 기계) 사이로 이동시키고, 이와 같이 해서 픽업 장치(21)의 구성을 특히 간단하게 한다.
프레임(22)의 이동은 전기모터, 수압식 모터, 선형 액튜에이터, 예를 들면 실린더-피스톤 액튜에이터, 또는 다른 적당한 기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픽업 장치(21)는, 그 일반적인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WO2014/167047에 이미 기재된 것과 유사하게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관형상 편성 물품(M)을 픽업하고 이송하는 단계에서 원형 편물기(1)의 니들 실린더(3)의 니들(5)과 협동하는 부재의 형상과 관련해서는 상기 공지의 해결 수단과는 상당히 다르다. 관형상 물품(M)의 픽업 과정도 또한 다르다.
일반적으로, 픽업 장치(21)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니들 실린더(3)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M)을 픽업하는 픽업 부재가 원형으로 배열된 원형링(23)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원형링(23)은 도 4의 위치에서 원형 편물기(1)의 니들 실린더(3)의 회전축(A-A)과 동축인 회전 및 대칭축(B-B)의 둘레로 회전한다.
원형 링(23)은 이 원형 링(23)의 회전축(B-B)에 대략 수직으로 그리고 대략 평행하게 축(C-C) 주위에 힌지된 2개의 제1 하프 링(23A), (23B)으로 분할된다. 특히, 도 5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하프 링(23A), (23B)은 회전축(B-B)에 대략 평행한 각각의 홈(27)의 열을 포함한다. 홈(27)은 관형상 편성 물품(M)의 픽업 부재에 대한 하우징 및 안내 시트를 규정한다. 픽업 부재는, 이하에서 보다 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관형상 편성 물품(M)을 걸어 맞추고, 그것을 니들 실린더(3)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픽업 부재는 전체로서 (29)로 표시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픽업 부재(29)는, 이하에서 보다 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는 복수의 폐쇄 래치(33)와 복수의 픽업 훅(31)을 포함한다. 폐쇄 래치(33)는 각 픽업 훅(31)과 결합되어 있다. 실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픽업 훅(31)과 폐쇄 래치(33)는 각 하우징 시트(27)에 수용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래치(33)와 픽업 훅(31)은 절단된 금속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픽업 훅(31)이 인접한 니들(5)의 쌍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의 확대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픽업 훅(31)은 바닥에서 픽업 스파이크(31b)가 형성된 헤드로 끝나는 보디(31A)를 포함한다. 픽업 스파이크(31B)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을 픽업하고, 그것을 원형 편물기(1)로 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발가락 부분을 폐쇄하는 폐쇄 장치로 이송하기 위하여, 이하에 기재된 방법으로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스티치와 협동한다.
픽업 스파이크(31B)는 픽업 장치(21)의 원형 링(23)의 대칭 및 회전축(B-B)의 쪽을 향하고 있다. 관형상 편성 물품(M)을 픽업하고, 그것을 니들 실린더(3)로 부터 픽업 장치(21)로 이송하기 위하여, 2개의 연속한, 즉 인접한 니들(5) 사이에서 각 싱커 루프를 걸어맞추는 픽업 스파이크(31B)를 구비한 각 픽업 훅(31)이 배열되어 있다. 폐쇄 래치(33)는 이하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픽업 훅(31)에 싱커 루프를 견고하게 놓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5는 하나의 픽업 훅(31)을 도시하고 있지만, 장치(21)에는 대칭 및 회전축(B-B) 둘레를 회전하는 원형 링(23)을 따라서 복수의 픽업 훅(31)이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유리하게는, 픽업 훅(31)의 수량은 원형 편물기(1)의 니들 실린더(3)의 니들(5)의 각 쌍 사이에 픽업 훅(31)을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이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픽업 훅(31)은 반원형의 스프링(35)에 의해 원형 링(23) 위에 장착되어 있다. 실제로, 각 하프 링(23A),(23B)은 각 픽업 훅(31)을 놓는 자신의 반원형의 스프링(35)을 가진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각 픽업 훅(31)은 도 5에 나타낸 양 방향 화살표(f31)를 따라 선회할 수 있도록 각 하우징 시트(27)에 장착된다. 선회 운동은 픽업 장치(21)에 장착된 캠에 의해 제어되고, 이들 캠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대칭 및 회전축(B-B) 둘레로 원형 링(23)이 회전하는 동안 픽업 훅(31)에 점진적으로 작용한다.
픽업 장치(21)의 각 하프 링(23A),(23B)에 대한 다른 반원형 스프링(37)이, 대응하는 복수의 폐쇄 래치(33)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폐쇄 래치(33)는 각 하우징 시트(27) 내에서 양방향 화살표(f33)를 따라 슬라이딩해서 장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폐쇄 래치(33)와 각 픽업 훅(31)은, 하우징 시트(27)를 통과하고 원형 링(23)의 대칭 및 회전축(B-B)을 포함하는 평면 위에서, 각 하우징 시트(27) 내에 서로 동일 평면으로 장착된다. 각 시트(27)로부터 밑으로 돌출한 폐쇄 래치(33)의 끝 부분 또는 선단부(33A)는, 도 5와 도 5A 및 도 5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래치(33)의 나머지 부분과 대응하는 픽업 훅(31)의 누워있는 평면에 대하여 꺾어져서 각 픽업 훅(31)의 대응하는 끝 부분에 인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폐쇄 래치(33)의 끝 부분(33A)은 하우징 시트(27)로 부터 밑으로 돌출하고, 하우징 시트(27)로부터는 또한 픽업 훅(31)의 일부분, 특히 그것의 픽업 스파이크(31B)도 돌출한다.
하우징 시트(27)에 서로 동일 평면인 각 픽업 훅(31)과 각 폐쇄 래치(33)를 배열함으로써, 하우징 시트(27)는 대략 각 픽업 훅(31)의 두께에 해당하는 제한된 탄젠트 치수(tangential dimension)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미세 편물기(1), 즉 원형 니들 베드의 단위 길이당 많은 수의 니들을 가진 편물기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원형 링(23)에 많은 수의 하우징 시트(27)를 배치할 수 있고, 따라서 많은 수의 각 폐쇄 래치(33)와 픽업 훅(31)의 쌍들을 배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각 픽업 훅(31)은, 픽업 스파이크(31B)에 인접한, 또는 그 근처의 아래 부분에, 픽업 스파이크(31B)와 같은 쪽으로, 즉 픽업 장치(21)의 회전하는 원형 링(23)의 대칭 및 회전축(B-B)을 향하여, 반경 방향 안쪽으로 픽업 훅(31)의 메인 보디(31A)로부터 돌출하는 돌기(39)를 가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반경 방향으로의 각 돌기(39)의 길이는 픽업 스파이크(31B)의 반경 방향의 길이의 대략 2배보다 크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각 픽업 훅(31)의 돌기(39)는 관형상 편성 물품(M)에 대한 접촉면(39S)을 규정하는 가장자리(즉, 니들 실린더(3)에 대하여 픽업장치(21)가 동축 위치에 있을때 원형 편물기(1)의 니들 실린더(3)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를 가진다. 관형상 편성 물품(M)의 픽업 사이클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접촉면(39S)은 픽업 단계에서 관형상 편성 물품(M)의 개방된 발가락 부분(P)을 형성하는 가장자리를 수평으로 정렬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제적으로, 픽업 훅(31)의 돌기(39)의 표면을 형성하는 모든 가장자리는 회전하는 원형 링(23)의 회전축(B-B)의 둘레에서 연장하는 환 형상의 면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도 1 내지 19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면(39S)은 실질적으로 원주형상으로 연장한다. 즉, 접촉면(39S)은, 중심이 하우징 시트(27)에 대하여 각각의 픽업 훅(31)의 선회축(D-D)과 대략 일치하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선회축(D-D)은, 반 환형상의 스프링(35)의 중심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규정되며, 픽업 훅(31)이 장착된 회전하는 원형 링(23)의 대칭 및 회전축(B-B)에 대하여 90°로 배향되어 있다.
도 1 내지 19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래치(33)의 단부(33A)는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배향된 가장자리(33B)를 제공하며, 이것은 곡선 형상을 가지며, 특히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가장자리(33B)는, 발가락 부분 폐쇄 사이클의 마지막 단계에서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발가락 부분(P)를 폐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재봉 또는 연결 기계의 니들과 폐쇄 래치(33)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면에 놓인 원주의 일부에 따른 프로필을 가질 수 있다.
원형 편물기(1)와 픽업 장치(21)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였으며, 이하 원형 편물기(1)에 의하여 편성된 관형상 물품(M)의 픽업 방법에 대하여, 이하 도 1 내지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에, 원형 편물기(1)를, 일단 관형상 물품(M)의 편성이 완성되고 배열된 위치에서 도시하였다. 다이얼(17)은, 여전히 니들 실린더(3)의 헤드 또는 상부부분에 가깝다. 니들 실린더(3)의 니들(5)에 의하여 형성된 최종 코스는, 아래의 위치에 있는, 니들(5)에 의하여 여전히 걸어맞추어져 있다. 실제적으로, 하나의 니들 루프가 니들 실린더(3)의 각각의 니들(5)에 의하여 걸어맞추어져 있고, 니들 루프는 니들 실린더(3)의 최종 회전에서 형성되었다. 연속 또는 인접한 니들 사이에는, 싱커 루프가 배열되며, 싱커루프는 연속한 니들 루프를 연결하고, 니들 실린더(3)의 니들(5) 사이에 개재된 각각의 싱커들(6)에 의하여 형성된 얀 루프이다.
다음 단계(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다이얼(17)이 올려지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장치(21)를 도입할 여유 공간을 남긴다. 도 5는, 니들(5)의 스템(5D)에, (5C)에서, 그의 단부 훅(5A)과 래치(5B)가 힌지된, 니들 실린더(3) 위에 형성된 니들 원형 베드의 니들 중 하나의 니들(5)을 도시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래치(5B)는 열린 상태로 도시되지만, 실질적으로, 래치(5B)는 폐쇄된 위치, 즉, 니들(5)의 훅(5A)의 끝에 대하여 들어올려져 기댄 위치로 있다. (MA)는, 니들(5)에 의하여 편성된 최종 니들 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니들 실린더(3)의 니들(5)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진 니들 루프(MA)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최종 코스를 형성한다.
도 5에 있어서, 픽업 부재(29)는, 니들 실린더(3)의 니들(5)과 싱커(6)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의 아이들 포지션(idle position)에 있다. 폐쇄 래치(33)는 상부 위치에서, 시트(27)에 끌어 들여져 있고, 픽업 훅(31)은, 즉, 픽업 스파이크(31B)가 회전하는 원형 링(23)의 회전 축(B-B)에 대하여 가장 바깥쪽의 방사상의 위치에 있는, 열린 위치에 있다.
도 6, 7 및 8은 그 다음의 단계를 도시한다. 도 6은 니들 실린더(3)와 픽업 장치(21)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6에서 Ⅶ로 표시한 세부의 확대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도 7에서 Ⅷ로 표시한 세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캠 맨틀(7)을 통하여, 모터(9)에 의하여 니들 실린더(3)를 그 회전 축(A-A)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니들(5)은, 도 4 및 5에 도시된 하부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 즉 니들(5)이 니들 실린더(3)의 홈(2)으로부터 완전하게 인출되는 위치로 점차적으로 들어올려진다.
니들(5)의 상향 이동(도 7의 화살표 f5)은, 완전하게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니들(5)의 훅(5A)이, 픽업 훅(31)의 각각의 돌기(39)에 의하여 형성된 접촉면(39S)(도 8)의 높이 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화살표(f5)를 따른 상승 이동 동안, 각각의 니들(5)은, 니들(5)의 스템(5D)과 루프를 형성하는 얀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각각의 니들 루프(MA)를 당긴다. 이러한 방식으로, 니들 실린더(3)의 회전 동안 모든 니들(5)을 점진적이고 순차적으로 들어 올려서, 돌기(39)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면(39S)에 대하여, 개방된 발가락 부분(P)을 규정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전체의 환상형 가장자리를 가져온다.
실제적으로, 니들 리프팅 캠에 의하여 제어되는 각각의 니들(5)의 인출에 의한 이동의 길이에 의해서, 모든 니들 루프(MA)는 픽업 훅(31)의 접촉면(39S)에 해당하는 높이로 오게된다.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상승 이동은 접촉면(39S)에 접촉할 때 정지하지만, 니들(5)은 최대 상승 위치, 즉, 도 7에 도시된, 최대 인출의 위치까지 계속적으로 상승한다.
도 8은 각각의 돌기를 구비한 픽업 훅(31) 중의 하나의 확대도이다. (S)는 (즉, 니들 실린더의 회전 축(A-A) 둘레와, 두 개의 하프 링(23A)(23B)으로 구성된 회전하는 원형 링(23)의 대칭 및 회전 축(B-B) 둘레에서 환형상으로 연장하는) 기준 토로이드면(toroidal surface)을 표시하며, 그것에 대해서 니들(5)이 상승될 때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발가락 부분(P)을 규정하는 전체 가장자리가 들어 올려진다.
니들 실린더(3)의 모든 니들(5)이 상승되었을 때, 니들(5)에 의하여 여전히 걸어 맞추어져 있는, 개방된 발가락 부분(P)을 규정하는 가장자리는 표면(S)에 정렬된다. 니들(5)의 상승 이동은, 니들의 래치(5B)가 개방하고 니들 루프(MA)가 정지하는 높이 위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몇몇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 단계에서,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들어올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특히 도 7의 확대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니들 실린더(3)의 안쪽에 그것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흡입관(4)을 또한 축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은 픽업 훅(31)의 폐쇄 단계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서 X로 표시된 세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ⅩⅠ로 표시된 세부의 확대도이다. 픽업 훅(31)의 폐쇄 단계 동안, 훅은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선회하며, 픽업 훅(31)의 픽업 스파이크(31B)를, 니들 실린더(3)의 연속한 니들(5)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진 니들 루프(MA) 사이에 배열된 싱커 루프와 걸어 맞추게 한다.
도 12, 13 및 14는 그 다음의 단계에 대하여 도시하며, 여기에서, 니들 실린더(3)의 니들(5)은 하강을 개시하며, 니들 루프(MA)를 방출한다. 도 12는 픽업 장치(21)와 니들 실린더(3)의 세트를 도시하며; 도 13은 도 12에서 ⅩⅢ으로 표시된 세부의 확대도이며; 도 14는 도 13에서 ⅩⅣ로 표시된 세부의 확대도이다. 니들(5)과 니들 루프(MA)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으로, 이들 루프(MA)는 각 니들(5)의 스템(5D)에서 슬라이딩하고 래치(5B)를 폐쇄하게 하여, 루프(MA)는 래치(5B) 위를 지나고 니들로부터 제거된다.
도 7과 10을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캠 맨틀(7)에 의하여 니들을 내리기 전에, 폐쇄 래치(33)를 폐쇄하고, 이것들을 화살표(f33)를 따라 밑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10에 있어서, 폐쇄 래치(33)는 도 7의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에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단일 픽업 훅(31)의 픽업 스파이크(31B)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져 있는 싱커 루프는, 폐쇄 래치(33)와 픽업 훅(31) 사이에서, 보다 정확하게는 각 래치(33)의 아래의 단부(33A)와 각 픽업 훅(31)의 픽업 스파이크(31B)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5, 16 및 17에 있어서, 니들(5)의 하향이동이 완료된다. 도 16은 도 1에서ⅩⅥ로 표시되는 세부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17은 도 16에서 ⅩⅦ로 표시되는 세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니들(5)의 헤드 및 따라서 그 훅(5A)은 각 싱커(6) 아래에서 배열된다.
도 18에 있어서, 픽업 장치(21)는 원형 편물기(1)로부터 폐쇄 장치, 예를 들면, 재봉 또는 연결장치를 향하여 화살표(f21)를 따라서 그 이송 운동을 개시하며, 재봉 또는 연결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WO 2014/167047에서 이미 개시된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두 개의 하프 링(23A),(23B)을, 하나를 다른 하나 위에 뒤집은 후에,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발가락 부분(P) 둘레에 형성된 최종 코스의 스티치를 연결한다.
도 19는 원형 편물기(1)로부터 픽업 장치(21)로 관형상 편성품(M)을 이송하는 동안의 니들(5)과 픽업 훅(31)의 배열과 편직물의 크게 확대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는 편성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최종 루프인, 니들 루프(MA)를 니들 스템과 여전히 걸어 맞추고 있는 몇몇의 니들(5)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연속한 니들 루프(MA)의 쌍들 사이에 배열된 각 싱커 루프(MP)는, 각 픽업 훅(31)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져 있다. MR은 원형 편물기(1)의 니들(5)에 의하여 형성된 스티치의 최종 코스를 전체로서 표시한다. 도 19의 다이어그램은 이상적인 상황을 도시하며, 이 상황에서 각 픽업 훅(31)은 싱커 루프의 각 컬럼(CP)의 최종 싱커 루프(MP)를 걸어 맞추고 있으며, 즉, 각 픽업 훅(31)은 두 개의 연속적인 니들(5)의 니들 루프(MA) 사이에 배열된 싱커 루프를 걸어 맞추고 있으며, 니들 루프(MA) 사이에는 픽업 훅(31)이 삽입된다. 이 이상적인 상황은 편직물의 비강체 성질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어떤 경우에는 픽업 훅(31)이 내부 코스들 중 하나 이상의 싱커 루프를 걸어 맞출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장치의 동작이나, 최종 제품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단지 실시예로써, 도 20, 21A 및 21B는 픽업 장치(21)와 상호 작용하는, 연결이나 재봉에 의해 발가락 부분을 폐쇄하는 폐쇄 장치의 세부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20은 두 개의 하프 링(23A),(23B)의 뒤집는 축(C-C)과 대칭 및 회전축(B-B)을 포함하는 수직면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1A 및 21B는 각각 도 20에서 ⅩⅩⅠ로 표시되는 영역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1A는 등각투영도(isometric view)이며, 도 21B는 전체로서 (41)로 표시되는 재봉기가 배열된 영역 ⅩⅩⅠ의 평면도이다. (43)과 (45)는 폐쇄 장치(41)의 두 개의 재봉 또는 연결 니들을 표시한다. 도 21A 및 도 21B의 상세도에 있어서, 폐쇄 래치(33)는, 실시예로서, 도 2 내지 도 18에 도시된 폐쇄 래치(33)와 비교하여 상이한 형상이지만, 그들은 도 2 내지 18에 관련하여 개시된 폐쇄 래치와 동일한 기능을 행한다.
재봉 또는 연결 동작은 원래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WO 2014/167047에도 개시되어 있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단지 주목해야 할 것은, 픽업 장치(21)의 두 개의 하프 링(23A),(23B)을, 하나를 다른 하나 위에 뒤집으면, 하나의 하프 링의 픽업 훅(31)은 대향하는 하프 링의 픽업 훅(31)과 대향하여 배열됨으로써, (하프 링(23A)의 픽업 훅(31)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진) 최종 하프 코스의 니들 루프는 (다른 하프 링(24B)의 픽업 훅(31)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진) 보완적인 최종 하프 코스의 니들 루프와 대향하여 배열된다. 니들 (43) 및 (45)에 의한 재봉이나 연결은 이들 니들 루프에서 행해지며, 결과적으로 인접하는 코스의 루프에서 행해짐으로써,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발가락 부분(P)이 폐쇄된다.
또한, 도 21A 및 도 21B에 있어서, 폐쇄 래치(33)는 아치형의 오목한 프로필을 가지는 구부러진 가장자리(33B)를 갖는다. 이 프로필은, 재봉 또는 연결의움직임 동안, 니들(43)이 픽업 훅(31)과 폐쇄 장치(33)의 슬라이딩 시트를 향하여 이들과 충돌하지 않으면서 이동하게 한다. 그러므로, 더 양호한 품질의 재봉이 이루어진다.
실제적으로,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루프(MA)의 재봉 또는 연결의 수단에 의한 폐쇄 동안, 구부러지고, 바람직하게는 원형상인 니들(43)은, 폐쇄 래치(33)의 구부러진 가장자리(33B)에 인접하고 거의 평행한 원형 궤도를 따라서, 예를 들면, 샤프트(43A)(도 21A)에 의하여 제어되는 왕복회전운동(도 21A, 화살표 f43)을 한다. 구부러진 가장자리(33B)는 바람직하게는 니들(43)에 의하여 행해지는 원형 궤도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가지는 원주의 원호 형상을 가진다.
두 개의 하프 링(23A),(23B)을 뒤집기 전 및 발가락 부분(P)을 둘러싸는 스티치의 두 개의 대향하는 반코스를 재봉하거나 연결하기 전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보다 더 상세함을 위하여 언급되어야 하는 예를 들면, WO 2014/167047에 개시된, 예를 들면 픽업 장치(21)의 중심으로부터 흡입관에 의하여, 관형상 편성 물품(M)을 뒤집어서, 관형상 편성 물품의 원래의 내면을 바깥쪽으로 오게 하고 또 그 반대도 가능하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니들 실린더(3)의 니들(5)로부터 픽업 훅(31)으로 관형상 편성 물품(M)을 이송하는 상기 설명한 동작은, 픽업 훅(31)과 폐쇄 래치(33)를 지지하는 원형 링(23)과 니들 실린더(3)를 동기해서 회전시킴으로서 점진적으로 행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적합한 들어올리는 캠을 통하여 니들 실린더(3)를 회전시키는 동안 니들(5)을 점진적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상승시키고, 또한, 이와 같이, 단일의 픽업 훅(31)의 점진적이고 순차적인 선회를 통해 들어올려지는 싱커 루프를 걸어 맞추고, 이하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기재되고, 픽업 장치(21)에 의해 지지되는 캠에 의해 각각의 폐쇄 래치(33)를 내림으로써 스티치를 점진적인 방법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니들 실린더(3)의 니들(5)을 내리는 것은 캠 작동을 통하여 점진적인 방법으로 일어나고, 니들 실린더(3)와 원형 링(23)은 일치하는 축 (A-A) 및 (B-B)을 중심으로 동기해서 회전한다.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픽업 부재(29)를 구비한 시트(27)를 지지하는 원형 링(23)의 회전은, 도 4에 개략적으로 예시되고,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더욱 잘 개시된 니들 실린더(3)를 회전시키는 모터(9) 이외에, 이 모터(9)와는 다른 자율모터(1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4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니들 실린더의 회전용 모터(9)와 원형 링(23)의 회전용 모터(10)는, 이들 모터의 회전의 동기화를 유지하는 제어 유닛(12)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터(9),(10)와 제어 유닛(12) 사이의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니들 실린더(3)로부터 픽업 장치(21)로 관형상 편성 물품(M)을 이송하는 단계 전에, 픽업 장치(21)의 원형 링(23)의 회전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장치(21)와 니들 실린더(3)가 서로 동축으로 배열되었을 경우, 이들은 이미 동기해서 회전할 수 있어서, 니들 실린더(3)의 맨틀(7)의 캠에 의하여 니들(5)을 점진적으로 들어올리는 스텝을 신속하게 시작할수 있으며, 따라서, 관형상 편성 물품(M)을 픽업 장치(21)로 이송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 킬 수 있다.
니들 실린더(3)의 맨틀(7)의 캠에 의한 니들(5)의 순차적인 상승과, 픽업 훅의 픽업 스파이크(31)에 의한 싱커 루프의 동시적이고 점진적인 걸어 맞춤과, 그리고 이어지는 니들의 하강 및 니들 루프(MA)의 제거에 의한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점진적인 이송으로, 이송 동작은 점진적이며, 따라서, 기계적 부재나 편성된 직물에 지나친 스트레스를 주지 않아서 더욱 규칙적이며 균일한 이송이 이루어진다.
도 22 내지 도 25는 픽업 부재(29)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특히 도 22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이, 일단 편성이 종료하면, 니들 실린더(3)로부터 픽업 장치(21)로 이송되는 영역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2에 있어서, 니들(5)이 최대로 상승하는 위치에 있으며, 도 23 및 도 24의 확대도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관형상 편성 물품(M)의 개방된 발가락 부분(P)의 범위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는 픽업 훅(31)의 표면(39S)과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폐쇄 래치(33)는 선단부, 즉 니들 실린더(3)와 대향하는 부분에,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직물과 대향하는 스파이크(33Y)를 갖는다. 도 23 및 24를 비교함으로써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니들 실린더(3)의 니들(5)로부터 픽업 장치(21)까지 관형상 편성 물품(M)을 이송하면서, 폐쇄 래치(33)는 화살표(f33)를 따라서 하향 이동하며, 스파이크(33Y)를, 여전히 니들(5)의 스템(5D)에 의하여 여전히 걸어 맞추어진 니들 루프(MA)의 최종 코스에 인접해서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직물을 통하여 관통하게 한다. (f33)을 따른 폐쇄 래치(33)의 하강 후에, 픽업 훅(31)의 픽업 스파이크(31B)의 선회 운동이 반경 방향 안쪽으로 행해지고, 따라서 발가락 부분(P)을 둘러싸는 편성된 직물의 가장자리에 대한 최적의 픽업을 보장한다.
관형상 편성 물품(M)의 편성된 직물을 통하여 폐쇄 래치(33)의 스파이크(33Y)의 관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몇몇의 실시예에 있어서, 흡입관(4)은, 도 22의 확대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안에 폐쇄 래치(33)의 단부, 특히 스파이크(Y)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 또는 슬롯(4B)를 구비한 빗살 형상의 상단부(4A)를 가질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싱커 루프의 픽업 사이클 동안 세 개의 위치에서의, 픽업 부재(29)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픽업 부재(29)는 쌍들로 이루어지며, 각 쌍은 픽업 훅(31)과 폐쇄 래치(33)에 의하여 형성된다. 동일한 번호는 이전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예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균등한 부분을 표시한다. 도 26A 내지 도 26C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픽업 훅(31)와 폐쇄 래치(33)는 각각의 절단된 금속 시트에 의하여 형성되며, 반 환형상의 스프링(35)에 의하여 회전하는 원형 링(23)의 회전 축 (B-B) 둘레에서 원주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래치(33)와 픽업 훅(31)은 각각의 하우징 시트(27)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며(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음), 도 1 내지 18을 참조하면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축(B-B)를 포함하는 동일한 방사상의 평면상에서 (단지, 하우징 시트(27)에 수용된 부분으로 관해서만) 동일 평면이 아니다. 도 26A 내지 도 26C의 실시예는 구조적으로 용이하지만, 픽업 부재(29)에 대한 하우징 시트(27)의 보다 큰 탄젠트 치수(tangential dimension)를 필요로 한다. 실제적으로, 하우징 시트(27)의 탄젠트 치수는 적어도 픽업 훅(31)과 폐쇄 래치(33)를 형성하는 금속 시트의 두께의 합과 동일해야 한다.
폐쇄 래치(33)의 단부(33A)는 오목부(33X)가 형성된 선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26A 내지 도 26C의 시퀀스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픽업 훅(31)의 픽업 스파이크(31B)의 베이스에 형성되고, (31X)로 표시된 닙과 협력한다. 이것은 픽업 부재(29)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져 있는 싱커 루프를 형성하는 얀의 좀더 양호한 픽업을 확실하게 한다.
도 27A, 27B 및 도 27C는, 도 26A 내지 도 26C의 오목부(33X)와 동일한 목적을 가지며, 오목부(33X)의 형상이 다른, 도 26A 내지 도 26C 중 하나와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8은, 픽업 훅(33)과 폐쇄 래치(33)를 포함하는 한 쌍의 픽업 부재(29)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래치(33)는, 회전하는 원형 링(23)의 회전 축(B-B)에 대하여 그 가장자리가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향하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33B)로 표시되는 오목한 가장자리 부분을 가지며, 그것의 프로필은, 유리하게는 이미 도 21A, 21B를 참조하면서 개시한 목적을 위하여, 원주의 호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오목한 가장자리(33B)의 부분은 폐쇄 래치(33)의 선단부(33A), 즉 픽업 훅(31)의 픽업 스파이크(31B)를 형성하는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다. 오목한 자리(33B)의 부분은,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단부 스티치를 재봉 또는 연결 하는 스텝 동안, 재봉 또는 연결 기계(41)의 니들(43)(도 21A, 도 21B) 사이의 어떠한 충돌 위험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도 29는 하프 링(23A),(23B)의 각 시트(27)에서, 픽업 훅(31)과 폐쇄 래치(33)를 포함하는 픽업 부재(29)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래치(33)는 오목한 가장자리(33B)가 없고, 오목부(33X)를 가지며, 이 오목부(33X)의 형상은 예를 들면 도 27에서 예시한 것에 대하여 약간 상이한 형상이다.
도 30 및 31은 관형상 물픔(M)의 발가락 부분을 폐쇄하는 배열에 있어서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뒤집히는 하프 링(23A),(23B)을 가진 픽업 장치(21) 뿐 만아니라, 픽업장치(21)를 지지하고 이동하는 프레임(22)의 등각 투영도를 도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22)은, 수직컬럼(81) 상에서 지지되고,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발가락 부분을 폐쇄하기 위하여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3)와 동축의 위치로부터 폐쇄 장치(41)까지 픽업 장치(21)를 이송하기 위하여 그 축에 관하여 회전한다.
프레임(22)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칭 및 회전축(B-B) 둘레로 픽업 부재(29)를 가진 원형 링(23)을 회전시키는 모터(10)를 지지할 수 있다. 구동 풀리(drive pulley)(85)와 기어 휠(87)에 대하여 구동되는 톱니 벨트(83)(도 31)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운동학적 전달 수단에 의하여 모터(10)로 부터 원형 링(23)으로 운동이 전달된다. 기어 휠은, 프레임(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원통 지지대(89) 위에서 고정될 수 있다. 기어 휠(87)과 원통 지지대(89)는 원형 링(23)의 대칭 및 회전축(B-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30에서 (91)로 개략적으로 표시되는 캠의 그룹은, 프레임(22)의 아래 부분에 수용될 수 있으며, 원형 링(23)이 모터(10)에 의하여 작동되는 기어 휠(87)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원통 지지대(89)에 일체적으로, 대칭 및 회전축(B-B)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캠은 픽업 훅(31)과 폐쇄 래치(33)에 작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형상 편성 물품(M)을 픽업하고, 이어서 방출하는 단계 동안, 캠의 그룹(91)은 픽업 훅(31)과 래치(33)의 선회와 병진 운동을 제어한다.
(93)은 작동기를 나타내며, 예를 들면, 브래킷(95)을 통하여, 하프 링(23A)의 상단 위에서 뒤집힐 수 있는(화살표 f23) 하프 링(23B)의 회전을 제어하는, 전기 모터, 또는 공압 또는 유압 작동기를 나타낸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픽업 훅(31)이 각 하우징 시트(27) 내에 장착되는 경우, 픽업 훅(31)에 탄성적인 변형을 부여하고, 따라서 탄성적인 프리로딩(preloading)이 될 수 있도록 픽업 훅(31)은 만곡되거나 또는 구부러진, 즉, 비평면의 금속 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2 및 33은 이러한 타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3은 반경 방향 ⅩⅩⅩⅢ-ⅩⅩⅩⅢ을 따른 픽업 훅(31)의 모양을 도시하며, 픽업 훅(31)을 형성하는 금속 시트의 만곡된 형상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탄젠트 치수가 픽업 훅(31)의 만곡된 금속 시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캠버(F)(도 33)보다 작은 좁은 하우징 시트(27) 내로 삽입되는 경우, 픽업 훅(31)은 탄성적으로 프리로딩 되고, 픽업 훅(31)과 폐쇄 래치가 하우징 시트(27) 내에서 서로 동일 평면이거나 또는 서로 인접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서, 하우징 시트(27)의 대향하는 반경 방향의 벽을 가압하거나, 또는 한편으로는 하우징 시트(27)의 반경 방향의 벽 중 하나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동일한 하우징 시트 내에 있는 픽업 훅와 결합된 폐쇄 래치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픽업 훅(31)을 형성하는 절단된 금속 시트는 중간의 곡률을 가진다.
도 34 및 도 35는, 반경 방향을 따른 도면에 있어서, 니들(5)의 원형 베드의 일부를 도시하며, 니들(5)의 원형 베드에서 니들은 들어 올려져서 각각이 폐쇄 래치(33)와 각 픽업 훅(31)으로 이루어지는 픽업 부재(29)의 쌍들 사이에 위치한다. 도 34에 있어서, 폐쇄 래치(33)와 픽업 훅(31)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즉, 회전하는 원형 링(23)에 형성된 각 하우징 시트에 한쪽이 다른 한쪽 옆에 배열된다. 쌍을 이루는 폐쇄 래치(33)/픽업 훅(31)의 하우징 시트(27)의 탄젠트 치수(DT)는 적어도 이들 두 개의 부재(31)과 (33)을 형성하는 금속 시트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다.
역으로, 도 35는 폐쇄 래치(35)가 하우징 시트(27)에서 픽업 훅(31)과 동일 평면으로 배열된 것을 도시한다. 폐쇄 래치(33)의 단부(33A)는, 각 픽업 훅(31)의 누워있는 평면의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관형상 편성 물품(M)을 걸어 맞추기 위하여 두 개의 부재가 상호 작용하는 영역에서 픽업 훅(33)의 픽업 스파이크(31B)와 측면이 접하도록, (33P)에서 구부러진다.
이전에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픽업 훅(31)은 원형 링(23)의 회전축(B-B)에 관하여 90°배향된 수평 축(D-D)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이 주어져서, 픽업 스파이크(31B)를 이동시키고 원형 편물기(1)의 니들 실린더(3)의 두 개의 연속한 니들(5) 사이에 싱커 루프를 걸어 맞춘다. 반대로, 폐쇄 래치(31)에는, 원형 링(23)의 회전축(B-B)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병진 운동이 주어진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픽업 훅(31)의 운동이 상이하며, 예를 들면, 회전 운동 대신에 반경 방향으로의 병진운동일 수 있다.
일련의 도 36A 내지 36K는, 반경 방향의 병진 운동이 주어지는 픽업 훅(31)을 가진 실시예를, 걔략적으로 부등각 투영도로 도시한다. 도면은 니들(5)의 원형 베드의 일부와 픽업 장치(21)의 회전하는 원형 링(23)의 일부 만을 도시한다. (27)은 픽업 부재(29)의 쌍의 하우징 시트를 나타낸다. 픽업 부재(29)의 각 쌍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픽업 훅(31)과 폐쇄 래치(33)로 이루어진다. 폐쇄 래치(33)에는, 회전하는 원형 링(23)의 회전축(B-B)에 평행하게, (f33)을 따른 병진 운동이 주어진다. 반대로,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과 반대로, 픽업 훅(31)에는, 회전하는 원형 링으로부터 인출되고 집어 넣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양방향 화살표(f31)를 따른 반경 방향의 이동이 주어진다.
도 36A에 있어서, 니들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의 니들(5)은 아래의 위치에 있으며, 여기에서 니들 루프(MA)는 니들(5)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지고 래치(5B)는 폐쇄된다. 픽업 훅(31)은 니들(5)의 원형 베드에 동축으로 배열된 픽업 장치(21)의 각 시트(27)로부터 인출되었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일련의 도 36A 내지 36K는, 한 쌍의 픽업 부재(29)을 도시하지만, 유사한 쌍의 픽업 부재(29)가 회전하는 원형 링(23)의 각 하우징 시트(27)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36B, 36C는 화살표(f5)를 따른 니들(5)의 상승 이동을 도시하며, 관형상 편성 물품(M)의 편성 직물이 접촉면(39S)과 간섭하는 높이까지 니들이 이동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접합면(39S)는 픽업 훅(31)의 메인 보디(31A)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에 형성되지 않고, 본체(31A)의 아래쪽으로 향한 가장자리에 의하여 형성된다.
도 36D에 있어서, 픽업 훅(31)은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하여 두 개의 인접하는 니들(5) 사이에 형성된 싱커 루프와 걸어 맞추어지며, 두 개의 인접하는 니들(5) 사이에는 픽업 훅(31)이 배열된다.
도 36E는, 폐쇄 래치(33)와 픽업 훅(31)의 픽업 스파이크(31B) 사이의 싱커 루프를 폐쇄하기 위하여 화살표 방향(f33)을 따라서 폐쇄 래치(33)가 축방향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36F 내지 도 36H는, 래치(5B)가 니들 루프(MA) 위로 이동할 때까지 그 다음의 니들(5)을 더 올리는 단계를 도시한다. 이렇게 더 올리는 것은, 픽업 훅(31)의 반경방향 안쪽으로의 이동과 동시에, 또는 그 전에 행해질 수 있다.
도 36I, 36J 및 36K는, 여전히 화살표(f5)로 표시되는, 니들(5)의 이어지는 하향 이동을 도시하며, 이에 의해 니들(5)로부터 니들 루프(MA)를 제거하게 된다. 도 36K에서, 니들 루프(MA)는, 하향 이동을 계속하는 니들(5)로부터 제거되었고, 따라서 픽업 장치(21)를 둘러싸는 공간을 비움으로써, 픽업 장치(21)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픽업 장치(21)가 재봉 또는 연결 장치(41)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적절한 캠에 의해 점진적이고 순차적인 방식으로 픽업부재를 작동하기 위하여, 축(B-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형 링(23)이 제공되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형 링(23)은 회전하지 않고, 오히려 픽업 장치의 지지대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픽업 훅(31)과 폐쇄 래치(33)의 작동은, 예를 들면, 같은 시간에 모든 픽업 훅(31)과 모든 폐쇄 래치(33)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원형 캠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동안, 픽업 훅(31)과 폐쇄 래치(33)에 순차적으로 작용하는, 축(B-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형 링(23)과 제어 캠의 이용은, 예를 들면, 기계적인 부품과 직물(얀 및 편성 직물)에 대한 스트레스의 저감과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며, 또한 동작 속도와 규칙적인 동작과 관련하여 바람직하다.
회전하는 원형 링을 가진 픽업 장치의 이점, 특히, 원형 편성기(1)의 니들 실린더(3)와 동기해서 회전하는 원형 링이 설치된 픽업 장치의 이점은, 예를 들면, WO2014/167047에 예시된 타입의, 다른 실시예의 픽업 훅과 폐쇄 래치에 대하여도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WO2004/03589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형 링(23)과 니들 실린더(3)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기해서 동작하는 두 개의 전기 모터와, 픽업 부재를 점진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픽업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 캠의 배열은, 예를 들면, 편성기(1)의 니들 원형 베드의 니들의 헤드로부터 직접 단일의 픽업 훅에 의하여 니들 루프를 픽업하도록 설계된, 상이한 형태의 픽업 장치에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5)

  1. 원형 편물기(1)의 니들 실린더(3)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M)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21)로서,
    상기 장치는, 대칭축(B-B)을 가지며, 이 대칭축(B-B)과 직각인 뒤집는축(C-C) 둘레에서 서로에 대하여 뒤집도록 구성되고 배열된 두 개의 하프 링(23A),(23B)으로 분할되는 원형 링을 포함하고; 각 하프 링(23A),(23B)에는 각 복수의 픽업 훅(31)이 제공되며; 각 픽업 훅(31)은 메인 보디(31A)와 대칭 축(B-B)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픽업 스파이크(31B)로 이루어지며; 각 픽업 스파이크(31B)는 제1 아이들 포지션과 관형상 편성 물품(M)에 걸어 맞추는 제 2액티브 포지션 사이에서 각 하프 링(23A),(23B)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제 2액티브 포지션은 제 1아이들 포지션 보다 대칭축에 더 가까운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이며,
    상기 픽업 훅(31)의 적어도 일부는, 각 픽업 스파이크(31B)의 반경 길이 보다 큰 거리 이상으로 대칭축(B-B)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상 편성 물품의 발가락 부분의 단부를 접촉하는 각 접촉면(39S)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면(39S)은, 제 2액티브 포지션에서 픽업 스파이크(31B) 및 접촉면(39S)이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최종 가장자리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각 픽업 스파이크(31B)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링(23)은 대칭축(B-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픽업 훅(31)의 접촉면(39S)은, 픽업 훅(31)의 메인 보디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그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픽업 훅(31)의 접촉면(39S)은, 픽업 훅(31)의 메인 보디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그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픽업 훅(31)의 픽업 스파이크(31B) 및 접촉면(39S)은 대칭축(B-B)을 포함하는 방사상의 평면 위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훅(31)은 각 선회축(D-D) 둘레를 선회하도록 각 하프 링(23A),(23B) 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39S)은, 중심이 각 픽업 훅(31)의 선회축(D-D) 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상의 만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형 링(23)의 대칭축(B-B)에 직각인 방향을 따라 각 하프 링(23A),(23B) 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픽업 훅(31)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픽업 훅(31)에 대하여 폐쇄 래치(33)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폐쇄 래치(33)는, 제1의 휴지 위치와 폐쇄 래치(33)의 단부(33A)가 각 픽업 훅(31)의 픽업 스파이크(31B)와 공동 작용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폐쇄 래치(33)가 제1의 휴지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폐쇄 래치(33)의 단부(33A)는, 각 픽업 훅(31)의 접촉면(39S)과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폐쇄 래치(33)에는 원형 링(23)의 대칭축(B-B)에 평행한 운동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각 폐쇄 래치(33)의 단부(33A)는 원형 링(23)의 대칭 축(B-B)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향하는 오목한 부분(33X)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링(23A)은 각 하우징 시트(27)를 포함하고, 각 하우징 시트(27) 내에는 픽업 훅(31)과 각 폐쇄 래치(33)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훅(31)은 비평면의 금속 박에 의하여 형성되며, 탄성적 변형에 의해 하프 링(23A),(23B)에 형성된 각 하우징 시트(27) 내에 장착되어서, 평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각 픽업 훅(31)과 각 폐쇄 래치(33)는 원형 링(23)의 대칭축(B-B) 둘레의 탄젠트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하우징 시트(27)내에 장착되고, 각 픽업 훅(31)이 하우징 시트(27) 내에 장착될 때에는, 금속 시트가 탄성적으로 변형해서 각 폐쇄 래치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픽업 훅(31)과 각 폐쇄 래치(33)는 원형 링(23)의 대칭축(B-B)을 포함하는 방사상의 평면위에서 서로 동일한 평면상의 하우징 시트(27) 내에 장착되며, 상기 각 픽업 훅(31)의 픽업 스파이크(31B)와 각 폐쇄 래치(33)의 단부(33A)는 각 하우징 시트(27)로 부터 돌출하며; 그리고 상기 폐쇄 래치(33)의 단부(33A)는 구부러져서 상기 반경 방향의 평면 외측에 각 픽업 훅(33)의 픽업 스파이크(31B)에 인접해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래치(33)는, 각 픽업 훅(31)의 픽업 스파이크(31B)에 인접한 단부(33A)를 가지며, 원형 링(23)의 대칭축(B-B)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향한 만곡된 가장자리(33B)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몇몇의 폐쇄 래치(33)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직물을 관통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스파이크(33Y)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스파이크는 원형 링(23)의 대칭축(B-B)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2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칭축(B-B) 둘레로 원형 링(23)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물품(M)을 픽업하는 픽업 장치.
  21. 원형의 니들 베드를 형성하는 복수의 니들(5)을 구비한 니들 실린더(3)와;
    니들(5)의 상승과 하강을 제어하는 제어 캠(7)을 가지는 원형 편물기(1)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픽업 장치(21)와;
    상기 관형상 편성 물품(M)이 픽업 장치(21)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져 있는 동안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발가락 부분(P)을 폐쇄하는 픽업 장치와 공동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 폐쇄 장치(41)로 이루어진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편물기(1)는 니들 실린더(3)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 장치(21)는 니들 실린더(3)의 회전과 동기하여 대칭축(B-B) 둘레로의 원형 링(23)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추가 모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니들 실린더(3)의 회전축(A-A) 둘레로의 니들 실린더(3)의 회전 운동과, 원형 링(23)의 대칭축(B-B) 둘레로의 원형 링(23)의 회전 운동을 동기화하는 중앙 제어 유닛(12)을 부가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21항에 있어서,
    픽업 장치(21)는 픽업 부재(29)을 제어하는 제어 캠(91)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캠은 원형 편물기(1)의 니들(6)의 상승 및 하강 운동과 동기하여 픽업 부재(29)의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장치(21)의 픽업 부재(29)는, 니들 실린더(3)의 연속한 니들(5) 사이에 삽입되고, 니들 실린더(3)에 의하여 형성된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싱커 루프(MP)을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고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니들(5)의 원형 베드를 가진 니들 실린더(3)를 포함하는 원형 편물기(1)에 의한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제조방법으로서,
    a) 가장자리(B)로 부터 시작하고 개방된 발가락 부분(P)에서 종료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을 편성하는 단계와;
    b) 니들 실린더(3)와 동축으로 픽업 장치(21)을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픽업장치(21)는, 대칭축(B-B)을 가진 원형링(23)을 포함하며, 원형링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뒤집히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두 개의 하프 링(23A),(23B)으로 분리되며, 각 하프 링에는 각각 복수의 픽업 훅(31)이 제공되며, 각 픽업 훅은 대칭축(B-B)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픽업 스파이크(31B)를 포함하며, 픽업 훅의 적어도 몇몇은 각 픽업 스파이크(31B)의 반경 길이보다 큰 거리 이상으로 대칭축(B-B)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접촉면(39S)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면(39S)은 각 픽업 스파이크(31B)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으며,
    c) 픽업 장치(21)을 향하여 니들 실린더(3)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M)을 상승시키고, 니들 실린더(3)의 니들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진 관형상 편성 물품(M)을 유지하는 단계와;
    d) 픽업 훅(31)의 접촉면(39S)에 대하여 관형상 편성 물품(M)의 개방된 발가락 부분(P)을 위치결정하고, 니들 실린더(3)의 회전축(A-A)과 직교하는 평면 위에 개방된 발가락 부분(P)을 정렬하는 단계와;
    e) 대칭축(B-B)을 향해 픽업 훅(31)을 이동함으로써 관형상 편성 물품(M)을 걸어 맞추고, 루프의 최종 코스는 니들(5)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지며, 관형상 편성 물품(M)의 개방된 발가락 부분(P)의 제1부분은 제1 하프 링(23A)의 픽업 훅(31)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지고, 관형상 편성 물품(M)의 개방된 발가락 부분(P)의 제2부분은, 제 2하프 링(23B)의 픽업 훅(31)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지고; 개방된 발가락 부분(P)은 픽업 훅(31)의 픽업 스파이크(31B)와 접촉면(39S) 사이에서 위치 결정되는 단계와;
    상기 접촉면(39S)은, 걸어맞추어진 위치에서 픽업스파이크(31B) 및 접촉면 (39S)이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최종가장자리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각 픽업 스파이크(31B)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있으며,
    f) 픽업 훅(31)이 관형상 편성 물품(M)을 걸어 맞춘 후 니들(5)로부터 최종 코스의 루프(MA)를 제거하는 단계와;
    g) 픽업 장치(21)에 의하여 니들 실린더(3)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M)을 제거하는 단계와;
    h) 두 개의 하프 링(23A),(23B)을 위아래로 뒤집어, 다른 하프 링의 픽업 훅(31)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하나의 하프 링의 픽업 훅(3)을 가져오는 단계와;
    i)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발가락 부분(P)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관형상 편성 물품(M)의 발가락 부분(P)을 폐쇄하는 단계와;
    j) 발가락 부분(P)이 폐쇄된 후, 픽업 장치(21)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M)을 제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제조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편성 물품(M)이 원형 편물기(1)의 니들 실린더(3)의 두 개의 연속한 니들(5) 사이에 각 픽업 훅(31)을 삽입함으로써 픽업 훅(31)에 의해 걸어 맞추어지며, 픽업 훅(31)은 니들 실린더(3)의 니들(5) 사이에서 싱커 루프(MP)를 걸어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제조방법.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니들 실린더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M)을 상승시키는 단계는 픽업 장치(21)을 향해 니들 실린더(3)의 니들(5)을 상승시킴으로써 행해지며, 니들(5)은 픽업 장치(21)를 향해 관형상 편성 물품(M)을 끌어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제조방법
  30.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니들 실린더(3)의 내부로부터, 니들 실린더(3)와 동축이며, 픽업 장치(21)를 향하는 상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흡입관(4)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제조방법.
  31.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편성 물품(M)은, 제어캠(7)에 의하여 니들 실린더(3)의 니들(5)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서 올리고, 니들 실린더(3)는 픽업 장치(21)의 원형 링(23)의 회전에 동기해서 회전하는 것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제조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니들(5)의 점진적인 상승 동안, 픽업 훅(31)이 원형 링(23)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이동해서, 관형상 물품(M)이 니들(5)에 의해 서서히 상승될 때 관형상 편성 물품(M)을 점진적으로 걸어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제조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픽업 장치(21)를 니들 실린더(3)와 동축으로 위치 결정하기 전에, 상기 원형 링(23)은 니들 실린더(3)와 동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제조방법.
  34. 제31항에 있어서,
    니들 베드로부터 픽업 장치(21)로의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이송은, 픽업 부재(29)에 각 제어 캠(91),(7)을 통하여 작용함으로써, 니들 실린더(3)와 원형 링(23)이 동기해서 회전하는 동안 점진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제조방법.
  35. 제31항에 있어서,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이송은, 니들 실린더(3)의 니들(5)에 작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 물품(M)의 제조방법.
KR1020187011429A 2015-10-21 2016-10-10 원형 편물기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96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B2015A005286 2015-10-21
ITUB2015A005286A ITUB20155286A1 (it) 2015-10-21 2015-10-21 Dispositivo e metodo per il prelievo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da macchine circolari da maglieria
ITUB2015A005208A ITUB20155208A1 (it) 2015-10-21 2015-10-21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il prelievo graduale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da macchine circolari da maglieria
ITUB2015A005208 2015-10-21
PCT/EP2016/074131 WO2017067801A1 (en) 2015-10-21 2016-10-10 Device and method for picking up tubular knitted articles from circular knitting mach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781A KR20180090781A (ko) 2018-08-13
KR102596015B1 true KR102596015B1 (ko) 2023-10-30

Family

ID=5711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429A KR102596015B1 (ko) 2015-10-21 2016-10-10 원형 편물기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365483B1 (ko)
KR (1) KR102596015B1 (ko)
CN (1) CN108291340B (ko)
PT (1) PT3365483T (ko)
SI (1) SI3365483T1 (ko)
TW (1) TWI701366B (ko)
WO (1) WO2017067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1090B (zh) * 2018-05-25 2020-01-01 大康織機股份有限公司 管狀針織品之翻面方法及其設備
CN108560128B (zh) * 2018-07-24 2024-03-29 浙江嘉志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拨袜机构的管状织物缝合装置及方法
EP3715511B1 (en) 2019-03-26 2022-08-31 Stäubli Italia S.p.A. Method and device for reversing a tubular knitted article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IT201900005636A1 (it) * 2019-04-11 2020-10-11 Gianni Conti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a punta chiusa
IT201900005838A1 (it) * 2019-04-16 2020-10-16 Lonati Spa Dispositivo prelevatore per operare il preliev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da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e il suo trasferimento ad un'unità atta ad eseguire ulteriori operazioni sul manufatto.
IT201900009615A1 (it) * 2019-06-20 2020-12-20 Santoni & C Spa Dispositivo rovesciatore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e metodo per il rovesciament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IT201900023433A1 (it) * 2019-12-10 2021-06-10 Lonati Spa Dispositivo prelevatore per operare il preliev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da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IT201900023577A1 (it) * 2019-12-11 2021-06-11 Lonati Spa Dispositivo prelevatore per operare il preliev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da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IT201900024108A1 (it) * 2019-12-16 2021-06-16 Sgm Automazioni S R L Procedimento per chiudere un’estremità di un manufatto tubolare direttamente su macchine circolari per calzetteria e maglieria e relativa macchina circola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7047A1 (en) 2013-04-12 2014-10-16 Venni S.A.S. Di Massimo Venni E C.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853A (en) 1912-07-06 1913-07-29 Louis N D Williams Stitch-transferring device.
US1188125A (en) 1915-08-06 1916-06-20 Louis N D Williams Stitch transferring and uniting device.
US5551260A (en) 1993-07-29 1996-09-03 Fabritex, S.R.L. Method for joining two edges of a knitted tubular article upon completion thereof
EP0679746B1 (en) * 1994-04-26 1998-08-05 Sangiacomo S.p.A. Device for handling knitted products manufactured on circular stocking knitting machines
IT1316678B1 (it) * 2000-02-28 2003-04-24 Matec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tubolari,in particolare calze,chiusi in corrispondenza di
DE10150684C1 (de) 2001-10-17 2003-04-24 Groz Beckert Kg Platine für das Spitzenschließen von Strümpfen
ITFI20020199A1 (it) 2002-10-21 2004-04-22 Fabritex Srl Metodo e apparato per unire i lembi di un manufatto tubolare tessuto a maglia
ITPI20070091A1 (it) 2007-08-03 2009-02-04 Conti P Sistema per la chiusura della calza su macchine circolari per produzione di calzini tubolari in maglia alla fine del calzino con un equipaggiamento mobile circolare
ITMI20080397A1 (it) * 2008-03-10 2009-09-11 Lonati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eseguire la chiusura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in corrispondenza di una sua estremita' assiale, al termine del suo ciclo di produzione su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IT1392646B1 (it) 2009-01-30 2012-03-16 N T A S R L Dispositivo di prelievo di una calza da un macchinario cilindric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tubolari con estremita cucita
ITMI20111683A1 (it) * 2011-09-19 2013-03-20 Lonati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un manufatto tubolare del tipo calza o simile al prelievo automatizzato al termine della sua formazione su una macchina circolare a doppio cilindro con almeno una alimentazione o caduta e macchina circolare a doppi
ITMI20130050A1 (it) * 2013-01-16 2014-07-17 Lonati Spa Procedimento per attuare la chiusura automatizzata di un'estremita' assiale di un manufatto tubolare e il suo scarico in assetto a rovescio ed apparecchiatura per la sua esecuzi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7047A1 (en) 2013-04-12 2014-10-16 Venni S.A.S. Di Massimo Venni E C.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01366B (zh) 2020-08-11
PT3365483T (pt) 2020-03-11
EP3365483B1 (en) 2019-12-04
EP3365483A1 (en) 2018-08-29
SI3365483T1 (sl) 2020-06-30
CN108291340A (zh) 2018-07-17
WO2017067801A1 (en) 2017-04-27
KR20180090781A (ko) 2018-08-13
TW201723258A (zh) 2017-07-01
CN108291340B (zh)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015B1 (ko) 원형 편물기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는 장치 및 방법
US79543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a tubular knitted article at one of its axial ends, at the end of its production cycle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or the like
US61640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ing edges of knitted articles
US10145043B2 (en)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articles
KR101581875B1 (ko) 양말 등을 위한 원형 편물기로부터 관형 편물을 픽업하고, 편물에 추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닛으로 편물을 이송하기 위한 픽업 디바이스
US7975513B2 (en) Turning device for tubular knitted articles, particularly for sewing or looping stations for the automated closing of tubular articles at an axial end thereof
EP2024544B1 (en) Method and integrated system for knitting a stocking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for closing the toe of the stocking
EP3374554B1 (en) Method for preparing a tubular article, such as a sock or the like, for automated pickup at the end of its forming on a double cylinder circular machine with at least one feed or drop, and double cylinder circular machine for the execution thereof
JP7018425B2 (ja) 靴下類等のための円形編機から管状のニット製品をピックアップして、ニット製品に更なる動作を行うように構成されたユニットにこのニット製品を移すためのピックアップ装置
KR102206977B1 (ko) 관형 제품의 축방향 단부를 자동적으로 폐쇄하고 또한 그 제품을 뒤집힌 상태에서 언로딩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108474150B (zh) 用于将针织管状物品从里往外翻转的翻转设备
EP1417365B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the stitches of a knitted tubular article to an operating station
KR102656125B1 (ko) 원형 편직 기계로부터 관형 편직 물품을 픽업하고 또한 물품에 대한 추가 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유닛에 그 물품을 전달하기 위한 픽업 장치
EP39535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ubular knitted articles with a closed toe
KR20220152188A (ko) 관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형 양말 편직 기계
CN115461504A (zh) 用于在针织管状物品的轴向端部闭合针织管状物品的方法
ITUB20155208A1 (it)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il prelievo graduale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da macchine circolari da maglieria
ITUB20155286A1 (it) Dispositivo e metodo per il prelievo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da macchine circolari da magli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