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286B1 -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286B1
KR100361286B1 KR1020000043078A KR20000043078A KR100361286B1 KR 100361286 B1 KR100361286 B1 KR 100361286B1 KR 1020000043078 A KR1020000043078 A KR 1020000043078A KR 20000043078 A KR20000043078 A KR 20000043078A KR 100361286 B1 KR100361286 B1 KR 100361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door
panel
door outer
fixed glass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713A (ko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3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2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fixed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고정글래스(3)의 하단부가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22)의 상단부(22a)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리어도어인너패널(24) 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절개부(25)의 바닥면부(25b)에 의해 지지되어져, 별도의 보강패널을 사용하지 않아도 고정글래스(3)의 하단부가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22)의 절개부(25)에 의해 용이하게 지지되므로 작업자의 조립공정이 단축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생산성이 증진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SUPPORT STRUCTURE OF FIXED GLAS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글래스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패널의 부품수가 절감되어져, 조립공정이 단축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어 생산성이 증진되도록 된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리어도어(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리어도어글래스(2)가 설치되고, 이 리어도어글래스(2)의 일측부에는 삼각형모양의 고정글래스(3)가 디비젼채널(4)을 사이에 두고 단단히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글래스(3)의 하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패널들이 서로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글래스(3) 바깥면(3a)의 아래쪽으로 위치된 리어도어아웃터패널(11)은 그 상측부위가 다수번 절곡되면서 끝단이 고정글래스(3)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리어도어아웃터패널(11)의 안쪽으로는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12)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상단부는 리어도어아웃터패널(11)의 상단 소정부위와 용접으로 접합되면서 하단부는 실링부재(13)를 사이에 두고 리어도어아웃터패널(11)의 하단 소정부위와 단단히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글래스(3) 안쪽면(3b)의 아래쪽으로 위치된 리어도어인너패널(14)은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12)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면서 그 상단부가 고정글래스(3)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글래스(3)의 하단부에는 종단면이 니은자(ㄴ)의 모양으로 형성된 보강패널(15)이 위치되어 그 측면부(15a)는 상기 리어도어인너패널(14)의 상단부와 용접으로 접합되면서 밑면부(15b)는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12)의 상단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용접으로 접합을 이루면서 단단히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12)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절곡된 형상에 따라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단부(12a)와 하단부(12b) 및 중간부(12c)로 분류되는 바, 상기 상단부(12a)와 하단부(12b)는 리어도어아웃터패널(11)의 안쪽면과 접합이 용이하도록 소정폭이 평행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12c)는 리어도어아웃터패널(11)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리어도어인너패널(14)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글래스(3)의 하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도어아웃터패널(11)의 상단부위와 보강패널(15)의 밑면부(15b)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지구조에 의하면, 상기 고정글래스(3)의 하단부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보강패널(15)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면서 리어도어아웃터패널(11)과 리어도어인너패널(14)에 각각 용접으로 접합되어 설치됨으로 인해, 작업자의 조립공정이 많아지면서 제조원가도 상승되어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의 상단 소정부위를 절개하여 고정글래스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보강패널을 사용하지 않아도 고정글래스의 하단부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음으로 인해 작업자의 조립공정을 단축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며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도어글래스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글래스의 하단부가 리어도어아웃터패널과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 및 리어도어인너패널의 상단부위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의 상단부에는 전장에 대해 일정폭을 지니면서 소정의 길이만큼 아랫방향으로 절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절개부가 갖춰지면서 이 절개부가 리어도어인너패널 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고정글래스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고정글래스가 장착된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구조로서, 도 1의 I-I선 부분단면도,
도 3은 종래구조에 따른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고정글래스 21 - 리어도어아웃터패널
22 -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 23 - 실링부재
24 - 리어도어인너패널 25 - 절개부
25a - 바닥면부 25b - 측면접합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고정글래스(3)의 하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도어아웃터패널(21)과 리어도어인너패널(23)사이에 설치된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22)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글래스(3) 바깥면(3a)의 아래쪽으로는 리어도어(1; 도1에 도시됨)의 외형을 이루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리어도어아웃터패널(21)이 설치되고, 이 리어도어아웃터패널(21)의 안쪽으로는 소정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22)이 위치되면서 그 상단부는 리어도어아웃터패널(21)의 상단 소정부위와 용접으로 접합되어 결합되고 하단부는 실링부재(23)를 사이에 두고 리어도어아웃터패널(21)의 하단 소정부위와 단단히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글래스(3) 안쪽면(3b)의 아래쪽으로는 리어도어(1; 도1에 도시됨)의 내형을 이루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리어도어인너패널(2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22)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절곡된 형상에 따라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단부(22a)와 하단부(22b) 및 중간부(22c)로 분류되는 바, 상기 상단부(22a)와 하단부(22b)는 리어도어아웃터패널(21)의 안쪽면과 접합이 용이하도록 소정폭이 평행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22c)는 리어도어아웃터패널(21)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리어도어인너패널(24)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22)의 상단 소정부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에 대해 일정폭을 지니면서 위에서 아래로 절개되는 절개부(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25)는, 상기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22)의 상단 소정부위에서 리어도어인너패널(24)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고정글래스(3)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된 바닥면부(25a)와, 이 바닥면부(25a)의 끝단에서 상방향으로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바깥면이 리어도어인너패널(24)의 상단 소정부위와 접합되어 고정되도록 된 측면접합부(25b)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글래스(3)의 하단부가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22)의 상단부에서 일체로 형성된 절개부(25)의 바닥면부(25a)에 의해 단단히 지지되도록 된 본 발명의 지지구조는,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보강패널(15)을 사용하여 고정글래스(3)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된 종래의 지지구조보다 패널의 부품수가 절감되게 되므로, 작업자의 조립공정이 단축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이로인해 생산성이 증진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글래스의 하단부가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의 상단에서 일체로 형성된 절개부의 바닥면부에 의해 단단히 지지되어져, 별도의 보강패널을 사용하지 않아도 고정글래스의 하단부가 용이하게 지지됨으로써 작업자의 조립공정이 단축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생산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리어도어글래스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글래스의 하단부가 리어도어아웃터패널과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 및 리어도어인너패널의 상단부위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도어아웃터레일패널(22)의 상단부(22a)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폭을 갖추도록 절개되는 절개부(25)가 형성되는데, 이 절개부(25)에는 리어도어인너패널(24)을 향하면서 고정글래스(3)의 하단부와 평행되게 절곡되어 상기 고정글래스(3)의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면부(25a) 및, 이 바닥면부(25a)의 끝단에서 고정글래스(3)의 안쪽면과 평행되도록 재차 절곡되어 리어도어인너패널(24)의 상단과 접합되는 측면접합부(25b)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
  2. 삭제
KR1020000043078A 2000-07-26 2000-07-26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 KR100361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078A KR100361286B1 (ko) 2000-07-26 2000-07-26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078A KR100361286B1 (ko) 2000-07-26 2000-07-26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713A KR20020009713A (ko) 2002-02-02
KR100361286B1 true KR100361286B1 (ko) 2002-11-18

Family

ID=1968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078A KR100361286B1 (ko) 2000-07-26 2000-07-26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2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713A (ko) 200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149B1 (ko) 도어 웨이스트부 구조
JP6026091B2 (ja) 車両用ドアフレーム
JP2006193037A (ja) 車体上部構造
EP1209066B1 (en) Assemble structure of crash pad assembly and cowl panel assembly for vehicle
KR100361286B1 (ko)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
KR100415350B1 (ko) 자동차용 카울 패널의 조립구조
JPH0423742Y2 (ko)
KR100296148B1 (ko) 차량의센터플로어보강구조
KR200153663Y1 (ko) 차량의 로커패널
KR200237706Y1 (ko) 자동차선루프의개구부보강구조
KR100369062B1 (ko) 차량의 루프사이드 연결구조
KR0134640Y1 (ko) 자동차의 스텝어셈블리 구조
JPH0417426Y2 (ko)
JPH0544226Y2 (ko)
KR100308989B1 (ko) 자동차용 루프 레일 보강구조
KR0118293Y1 (ko) 자동차용 백판넬의 조립구조
KR19980045788U (ko) 루프 패널의 보강부재
JPH07101355A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JPS611582A (ja) 車両のセンタピラ結合構造
KR200153662Y1 (ko) 차량의 로커패널 접합구조
KR100187853B1 (ko) 자동차 도어 글레스가이드 구조
KR19990034933A (ko) 오픈카 센터필러 하부구조
KR0113928Y1 (ko) 자동차용 글래스 몰딩의 결합구조
KR20020040337A (ko) 승용차의 루프판넬 보강구조
KR100387440B1 (ko) 차량의 루프패널과 사이드패널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