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306A -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306A
KR20030008306A KR1020010043363A KR20010043363A KR20030008306A KR 20030008306 A KR20030008306 A KR 20030008306A KR 1020010043363 A KR1020010043363 A KR 1020010043363A KR 20010043363 A KR20010043363 A KR 20010043363A KR 20030008306 A KR20030008306 A KR 20030008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quarter
outer side
reinforcement
re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세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8306A/ko
Publication of KR20030008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3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리어필러부를 구성하는 외측사이드패널내에서 쿼터내측 상부패널과 쿼터내측 하부패널에 각각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접합되는 보강패널의 전면적을 확대시켜, 상기 보강패널이 리어글래스의 상측부위에서 하측부위에 이르기까지 오버랩되는 정도가 확장되게 함으로써, 후방차체의 비틀림 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후방차체의 외측사이드패널(20)내에서 보강패널(22)이 상하로는 쿼터내측 상부패널(24)과 쿼터내측 하부패널(26)에 접합됨과 더불어 좌우로는 상기 외측사이드패널(20)과 함께 쿼터내측 상부패널(24)에 3매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reinforcement structure for rear body of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측사이드패널을 구성하는 보강패널의 크기를 확대시켜 상단으로는 후방루우프패널 및 사이드패널과 연결함과 더불어 후방글래스를 장착하는 패널과의 매치성을 개선하며, 하단으로는 쿼터내측 하부패널과의 오버랩 정도를 증대시킴으로써, 후방차체에 대한 비틀림 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여러 종류의 금속패널이 프레스성형 등의 제조공정을 통해 제작된 다음 각각의 성형품들이 용접 및 체결 등의 접합공정이나, 기타 여러 종류의 적절한 조립공정을 거쳐 제작되도록 되어 있는 바, 그 중에서 자동차의 측방차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드쉴드를 지지함과 더불어 전방도어를 장착하는 프론트필러부(10)와, 차실내를 전/후방으로 구분지음과 더불어 후방도어를 장착하는 센터필러부(12), 후방글래스를 지지하는 리어필러부(14), 그리고 후방 현가장치 및 차륜의 설치를 위한 휠하우징부(16), 차체의 하단부를 형성하도록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실사이드부(18)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어필러부(14)를 포함하는 외측사이드패널(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패널(22)과 쿼터내측 상부패널(24) 및 쿼터내측 하부패널(26)로 이루어지는 바, 특히 상기 보강패널(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사이드패널(20)의 내부에서 리어필러부(14)를 구성하는 부위로 설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외측사이드패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양측 선단이 각각 쿼터내측 상부패널(24)과 접합되고, 특히 외측사이드패널(20)과 쿼터내측 상부패널(24)이 이루는 폐단면에는 상기 보강패널(22)이 쿼터내측 상부패널(24)상에 접합되어 이중의 폐단면을 형성하는 바, 이 보강패널(22)의 일측 선단은 외측사이드패널(20)과 쿼터내측 상부패널(24)에 3매 접합되고, 타측 선단은 쿼터내측 상부패널(24)에만 2매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측사이드패널(20)과 쿼터내측 상부패널(24) 사이의 접합면중 보강패널(22)이 접합되지 않은 2매 접합부위는 리어글래스가 장착되는 안착면에 해당된다.
즉, 종래의 후방차체의 구조에서 상기 보강패널(22)은 외측사이드패널(20)의 내부에서 상하로 쿼터내측 상부패널(24)과 쿼터내측 하부패널(26)상에 각각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접합되어 후방차체의 주된 골격을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후방차체의 구조에서는 상기 보강패널(22)이 리어글래스의 상측부위로만 연장되는 구조이므로, 즉 상기 보강패널(22)이 리어글래스의 중앙부위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부위에 이르기까지는 각각 연결되어 있지 않게 때문에, 후방차체의 비틀림에 대한 강성은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측사이드패널(20)과 쿼터내측 상부패널(24)이 2매 접합되는 부위는 리어글래스를 장착하는 면이므로 이에 대한 적정 강성이 확보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강성부족에 따라 리어글래스의 장착시 차체와 리어글래스 사이의 긴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리어필러부를 구성하는 외측사이드패널내에서 쿼터내측 상부패널과 쿼터내측 하부패널에 각각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접합되는 보강패널의 전면적을 확대시켜, 상기 보강패널이 리어글래스의 상측부위에서 하측부위에 이르기까지 오버랩되는 정도가 확장되게 함으로써, 후방차체의 비틀림 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방차체의 외측사이드패널내에서 보강패널이 상하로는 쿼터내측 상부패널과 쿼터내측 하부패널에 각각 접합됨과 더불어 좌우로는 상기 외측사이드패널과 함께 쿼터내측 상부패널에 각각 3매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차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 후방차체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차체패널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종래 후방차체에서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부위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차체에서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부위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강부재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보강부재가 설치된 후방차체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보강부재가 설치된 후방차체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프론트필러부12-센터필러부
14-리어필러부16-휠하우징부
18-실사이드부20-외측사이드패널
22-보강패널24-쿼터내측 상부패널
26-쿼터내측 하부패널28-휠하우징 내측패널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차체에서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부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강부재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보강부재가 설치된 후방차체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보강부재가 설치된 후방차체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측방차체중 리어필러부(14)를 포함하는 외측사이드패널(20)은 보강패널(22)과 쿼터내측 상부패널(24) 및 쿼터내측 하부패널(26)로 이루어지는 바, 특히 상기 보강패널(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사이드패널(20)의 내부에서 리어필러부(14)를 구성하는 부위로 설치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강패널(22)은 도 5 내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글래스의 상측부위에서 중간부위를 지나 하측부위에 이르기까지 상기 쿼터내측 상부패널(24) 및 쿼터내측 하부패널(26)과 각각 오버랩되는 정도가 확장될 수 있도록 부재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연장부(22a)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사이드패널(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내부에 상하로 쿼터내측 상부패널(24)과 쿼터내측 하부패널(26)이 접합되고, 이에 상기 보강패널(22)이 쿼터내측 상부패널(24)과 쿼터내측 하부패널(26)에 각각 상하측 부위가 오버랩되어 접합되며, 상기 쿼터내측 하부패널(26)의 내측에는 휠하우징 내측패널(28)이 접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측사이드패널(20)과 보강패널(22) 및 쿼터내측 상부패널(24)의 상측 3매 접합부위는 리어글래스의 장착을 위한 안착면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사이드패널(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내부에 보강패널(22)의 양측 선단이 각각 쿼터내측 상부패널(24)과 접합되어, 상기 보강패널(22)은 상기 외측사이드패널(20)과 쿼터내측 상부패널(24)이 이루는 폐단면내에 또 다른 형태의 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보강패널(22)은 이의 양측 선단이 외측사이드패널(20)과 쿼터내측 상부패널(24)에 3매로 접합되어 외측사이드패널(20)과 쿼터내측 상부패널(24)이 형성하는 폐단면을 상하로 분할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측사이드패널(20)과 쿼터내측 상부패널(24) 사이의 접합면중 종래와는 달리 보강패널(22)이 이들과 함께 3매로 접합되어 있는 부위는 리어글래스가 장착되는 안착면에 해당된다.
이는 후방차체의 구조에서 상기 보강패널(22)이 연장부(22a)를 매개로 하여 외측사이드패널(20)과 쿼터내측 상부패널(24) 및 쿼터내측 하부패널(26)이 형성하는 폐단면내에서 또 다른 형태의 폐단면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는 곧 후방차체의 주된 골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후방차체에서 보강패널(22)이 외측사이드패널(20)의 내부에서 쿼터내측 상부패널(24)과 쿼터내측 하부패널(26)에 이르기까지 상하로 연장되어 이중의 폐단면을 형성함과 더불어, 리어글래스의 안착면에 해당되는 외측사이드패널(20)과 쿼터내측 상부패널(24) 사이의 접합면에서도 이들과 함께 3매로 접합됨으로써, 리어글래스의 장착을 위한 차체의 구조적 강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22)은 리어글래스의 상측부위에서부터 중앙부위를 지나 하측부위에 이르기까지는 연장부(22a)를 매개로 전면적이 확장됨과 더불어 쿼터내측 상부패널(24)상에 3매로 접합되어 있음에 따라, 후방차체에 있어 비틀림 강성은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패널(22)은 이의 하단부가 쿼터내측 하부패널(26)상에 오버랩되는 정도가 확대되어 접합됨에 따라, 후방 현가장치에서 차체로 전달되는 하중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차체에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에 의하면, 후방차체의 외측사이드패널내에서 보강패널이 상단으로는 후방루우프패널과 사이드패널에 각각 연결되면서 후방글래스를 장착하는 부위에 대한 강성이 증진되어 리어글래스의 안정된 지지를 가능하게 하고, 하단으로는 쿼터내측 하부패널과의 오버랩 정도를 증대시켜 후방차체에 대한 비틀림 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후방차체의 외측사이드패널(20)내에서 보강패널(22)이 상하로는 쿼터내측 상부패널(24)과 쿼터내측 하부패널(26)에 각각 접합됨과 더불어 좌우로는 상기 외측사이드패널(20)과 함께 쿼터내측 상부패널(24)에 3매로 각각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22)은 쿼터내측 상부패널(24)과 쿼터내측 하부패널(26)측으로 오버랩되는 정도를 확장시키도록 이의 후미에서 상하로 각각 일체로 연장된 연장부(22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KR1020010043363A 2001-07-19 2001-07-19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KR20030008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363A KR20030008306A (ko) 2001-07-19 2001-07-19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363A KR20030008306A (ko) 2001-07-19 2001-07-19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306A true KR20030008306A (ko) 2003-01-25

Family

ID=2771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363A KR20030008306A (ko) 2001-07-19 2001-07-19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83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441B1 (ko) * 2006-09-20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쿼터 후방차체구조
KR20220039224A (ko) * 2020-09-22 2022-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쿼터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441B1 (ko) * 2006-09-20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쿼터 후방차체구조
KR20220039224A (ko) * 2020-09-22 2022-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쿼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0278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US5573274A (en) Automobile sub-frame structure
US3526426A (en) Vehicle body cowl-top and windshield frame structure
KR20030008306A (ko)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KR100783858B1 (ko) 자동차의 카울사이드부와 프론트필라 보강구조
KR20220118169A (ko) 차량용 쿼터부 결합 구조
JPH10181352A (ja) 自動車用ドアのパーティションサッシュの下部取付構造
JPH0423742Y2 (ko)
CN215904604U (zh) 一种车身结构及汽车
JP4284512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CN219295535U (zh) 后轮罩总成
CN218536863U (zh) 车身中部结构及汽车
KR102200087B1 (ko) 프레임 조인트부
JPS6092170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00405616B1 (ko) 도어 벨트라인 샤시부 보강구조
JPH0443426Y2 (ko)
KR0133776B1 (ko) 자동차 전면부의 차체구조
JPS6154369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111183A (ja) サイドシルの結合構造
KR0127082B1 (ko) 자동차 전면부의 차체구조
KR100330792B1 (ko) 자동차차체의카울보강구조
KR20030090348A (ko) 자동차 카울부의 보강구조
KR0147740B1 (ko) 승용차용 카울
KR100435886B1 (ko) 승용차의 바디마운팅부 차체구조
KR100517699B1 (ko) 자동차용 캐리어의 하부프레임 일체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