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029B1 - 관능적품질이개선된츄잉-검및이러한츄잉-검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관능적품질이개선된츄잉-검및이러한츄잉-검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029B1
KR100360029B1 KR1019950001787A KR19950001787A KR100360029B1 KR 100360029 B1 KR100360029 B1 KR 100360029B1 KR 1019950001787 A KR1019950001787 A KR 1019950001787A KR 19950001787 A KR19950001787 A KR 19950001787A KR 100360029 B1 KR100360029 B1 KR 10036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titol
chewing
gum
table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826A (ko
Inventor
기욤리바도-뒤마
프레데릭부비에
미셸세르펠로니
Original Assignee
호케트프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케트프레르 filed Critical 호케트프레르
Publication of KR95003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hewing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46Finished or semi-finished products in the form of powders, paste or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0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1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aerated products
    • A23G4/20Composite products, e.g. centre-filled, multi-layer, lamina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4Sugar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04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06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beet sugar or cane sugar if specifically mentioned or containing other carbohydrates, e.g. starches, gums, alcohol sugar, polysaccharides, dextrin or containing high or low amount of carbohydr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onfectioner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제는 개선된 관능적 품질의 신규 츄잉-검 조성물이다.
이 조성물은 95% 이상의 순도의 말티톨 입자를 함유하며, 이 입자는 그들중 적어도 50%가 크기 90 마이크론 이하이도록 조성물내에 분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매우 특징적인 특성을 가진 분말 말티톨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능적 품질이 개선된 츄잉-검 및 이러한 츄잉-검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관능적(organoleptic) 품질이 개선된 츄잉-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매우 특징적인 특성을 가진 말티톨 분말의 사용에 의한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풍선검 형태 또는 다른 것 및 당-코팅된 것 또는 다른 것의 대부분의 츄잉-검은 그들이 당을 함유하거나 무가당이든지, 반드시 수불용성 검 기재, 액체 또는 분말 형태로 제공된 수용성 감미제, 및 향미제(flavourings)로 이루어진다. 그들은 때로 염료, 유화제, 가소제, 고감미제(intense sweetner), 물, 등과 같은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대다수의 경우에, 그들이 당 없이 배합될 때, 시판중인 츄잉-검은 분말 형태로 제공된 소르비톨로 이루어진다. 사용된 소르비톨 분말에 함유된 입자의 평균 직경은 일반적으로 100-200 마이크론이다.
츄잉-검, 및 특히 무가당 츄잉-검에서, 소비자에 의해 끊임없이 감지되고 있으며 포뮬레이터(formulator)에 의해 아직 극복되지 않고 있는 결함을 고치는데 목적을 둔 많은 연구 과제가 있어 왔고 아직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결함이 존재하고 있다. 때로 관능적 특성의 다른 결함을 수반하는, 이러한 결함은 츄잉-검에서 향미제의 효과 결핍 및 씹는 중에 그들의 짧은 지속성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츄잉-검에 존재한 향미제가 제공하려는 후각 후감각(retro-olfactory sensation)은 일반적으로 몇분간의 씹는 중에 충분히 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이어지는 수분내에 매우 급속하게 사라진다. 그러나, 아주 맛이 없다고 생각된 츄잉-검은 때로 그들의 배합 중에 도입된 향미제 양의 60-80%를 함유한다.
상기에 요약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몇가지 방법이 문헌에 기재된 바 있다.
제일군의 방법은 츄잉-검 행미제가 물에 너무 잘 녹지 않으며, 이 경우에 츄잉-검의 검 기재에 강하게 결합되며, 또는 물에 너무 잘 녹아서, 이 경우에 츄잉-검의 성분에 의해 충분히 보유되지 않는다는 전제로부터 시작된다.
보다 통상적인 듯한, 처음 경우에, 향미제는 물에서 그리고 타액에서 그의 열악한 용해도 때문에, 효과가 부족하고 처음 수분간의 씹는 중에 너무 약하게 감지되며, 이것은 자연스럽게 그의 확인을 어렵게 한다. 다른 한편, 그것이 타액에 의해 천천히 그리고 연속적으로 추출되며, 이것은 그 결과 통상적으로 츄잉-검에 그의 맛의 지속성을 부여한다.
제이의 경우에, 너무 열악하게 결합되어 있는, 향미제가 츄잉-검으로부터 급속으로, 때로 수용성 감미제 보다 더욱 급속으로 추출된다. 이 경우에, 향미제는 입에서 우수한 효과성 그러나 특히 불충분한 지속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일군의 방법은 입에 넣자마자 동시에 강하고, 고도이며 그 결과연속적인 후각 후감각을 부여하도록, 한편, 검 기재와 다른 한편, 수성 상 또는 타액 사이의 그들의 분배 계수를 가능한한 많이, 그리고 바로 직접적으로 변형시킴으로서 이들 두가지 형태의 향미제의 결함을 고치려는 목적이다. 이 점에서, 소비자에 의해 양호한 품질이 있다고 생각되기 위하여, 츄잉-검이 소비자의 최소 및 최대 씹는 시간에 상응하는, 10-30분간 그의 맛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상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에, 이 그룹 가운데, 향미제의 캡슐화 방법 또는 매트릭스내에 향미제의 트랩핑(trapping)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매트릭스는 친수성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향미제의 보다 큰 방출을 허용한다. 이것은 예를들어 이들 덱스트린 매트릭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 아라비아검, 젤라틴 및 탄화수소의 사용, 히드로콜로이드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폴리올의 사용, 알기네이트와 카라게네이트의 사용,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사용, 제인(zein)의 사용, 미생물 세포의 사용, 소르비톨의 사용 및 시클로덱스트린의 사용을 청구하고 있는 특허 및 특허출원 US 4,122,195, WO 91/00692, US 5,004,595, US 4,695,463, US 3,761,286, EP 102,237, EP 528,466 및 US 5,165,943호에 기재된 방법의 경우이다.
캡슐화 보호 매트릭스는 또한 각각 로진, 랙커 또는 왁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부타디엔, 전분 옥텐일 숙시네이트 및 실리콘 디옥사이드의 혼합물, 및 합성 또는 천연 검을 사용하는 장점을 기재하고 있는 특허 및 특허출원 EP 401,954, WO 84/03201, US 3,826,847, WO 92/05682 및 US 4,590,075에서 추천된 바와 같이 소수성일 수 있다.
이들 기술의 주요 단점은 그들의 높은 비용, 실시하는데 어려움 및 향미제의 특징인 조합물의 단지 불완전한 회수에 대한 위험이다. 이러한 위험은 이들 특징의 몇가지가 다른 것들과 비교하여, 사실상 그들의 매트릭스내에 과도한 보유 때문에 차단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며, 이것은 향미제의 최초 균형을 파괴하는 유해 결과를 가진다. 둘째로, 이러한 제일 그룹의 방법 가운데, 보다 완전한 방법이 또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츄잉-검의 특정 필요성에 보다 적합하게 되도록 향미제를 변형시키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특허 EP 427,505가 언급될 수 있으며, 이것은 해결책으로서 테르펜이 없는 천연 필수 오일의 사용을 추천한다. 또한 이러한 정신에서, 요즈음 향미제 제조업자는 무가당 츄잉-검에 대해 특히 개발된 향미제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것은 표준 배합물에서 사용된 것 보다 가격 면에서 높다.
확인 가능한 효과와 오래 지속되는 맛 모두를 얻도록 적합한 액체 향미제와 캡슐화 향미제를 결합하는 것으로 구성된, 상기에 제안된 두가지 기술 사이의 중간인 방법이 또한 알려져 있다. 실예로서, 특허 EP 265,386 및 US 4,001,438에 참고될 수 있다. 이들 기술은 복잡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캡슐화 향미제에 대해 상기에 언급된 단점을 갖게 된다.
제이 그룹의 방법은 향미제를 결합하는 검 기재의 용량을 이용한다. 이 특성은 임의로 츄잉-검내 향미제의 진정한 푸울(pool)을 생성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 용액은 예를들어 검 기재의 고농도의 사용에 의해 관능적 특성이 개선된 츄잉-검을 주장하는, 특허 US 4,915,958, US 4,808,418 및 US 5,110,608에서 추천된다.이 검 기재는 기계적 특성과 그것이 이러한 츄잉-검을 씹을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사용된 것과 다른 조성을 가져야 한다. 만족스런 결과를 얻기 위하여, 이 경우에도 실제로 츄잉-검의 향미제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편리하며, 이것은 그들의 생산비 가액에 대해 중요성이 없지 않다.
또다른 해결책은 검 기재의 조성을 변형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하여, 예를들어 통상적으로 사용된 왁스를 제거하는 것이 추천되고 있는 특허출원 WO 93/17577가 알려져 있다. 츄잉-검을 전적으로 그들이 올바른 결합 및 양호한 가소성을 가지기 위하여 재배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제3의 그룹의 방법은 향미제의 효과 및 지속성 결함을 고치도록, 낮은 농도에서, 츄잉-검에 특정 물질을 첨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특허 및 특허출원 US 4,752,481, WO 90/04926 및 EP 202,885에서 친수성-친유성 균형이 7 이하 또는 이상인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 또는 별도로 대두 래시틴(lecithin)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다른 저자들은 염류 또는 별도로 캡슐화된 염류, 코코아 분말, 나트륨 글루타메이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및 리모넨 유도체와 같은 향미 이그조스터(flavour exhauster)의 사용을 추천한 바 있다. 이러한 제품의 사용은 예를들어 특허 및 특허출원 WO 90/12512, US 4,889,727, US 3,903,305, US 4,948,595 및 US 4,157,401에서 주장되어 있다.
여러가지 다른 이그조스터가 기재된 바 있다. 이들은 특히 식품산 및 고감미제이다. 후자에 관해, 많은 특허가 츄잉-검, 특히 당의 첨가 없이 배합된 것들의맛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리 또는 캡슐화 형태로 예를들어 시클라메이트, 아스파르탐, 사카린, 알리탐 및 슈크랄로스의 사용에 대한 장점을 주장하거나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향미 감각을 개선하는 것 보다 단맛의 세기와 지속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보여지는 듯하다. 또한 두가지의 서로 다른 고감미제, 또는 고감미제와 벌크 감미제, 또는 별도로 두가지의 서로 다른 벌크 감미제 사이의 가능한 감미력 상승 작용을 이용할 수 있다. 실예로서 특허 US 4,986,991 및 EP 366,251이 언급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슈크로스와 아스파르탐 사이의 상승 조성물 및 슈크랄로스와 말티톨을 기재로 한 상승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들은 츄잉-검의 배합물에서 유용하다. 또한 보다 양호한 맛이 나는 츄잉-검을 얻기 위하여 슈가와 크실리톨로 이루어진 상승 혼합물의 사용을 주장하는, 특허 EP 453,402, 또는 별도로 예를들어 보다 고감미를 가진 츄잉-검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크실리톨과 말티톨을 기재로 한 상승 조성물에 관한 특허 US 5,017,400이 언급될 수 있다.
제3의 그룹을 구성하고 츄잉-검 향미제의 감식을 강조하기 위하여, 낮은 농도에서, 특정 물질의 사용을 주장하는 방법은 결함이 없지 않다. 그들은 때로 이상하거나 가공적인 맛을 발생시키거나, 향미제 자체에 의해 구성된 조화를 파괴하며, 어떤 특징을 차단하고 다른 것을 보다 조잡하게 하고 보다 악화시킨다. 향미제의 최초 균형은 단지 향미제의 여러가지 성분의 양의 보정에 의해 다시 얻어질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숫적으로, 특히 천연 향미제의 경우에 매우 많다. 이러한 보정을 성취하는 어려움이 명백하다.
츄잉-검의 맛 및 적어도, 그의 감미 프로파일을 변형하는 제4 그룹의 방법은분말 형태로 제공되고 츄잉-검의 배합물에 사용된 수용성 감미제의 암자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특히 츄잉-검에서 미각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직경 325 메쉬(45 마이크론) 이하인 입자를 60% 이상 함유한 슈크로스의 사용을 주장하는 특허 EP 427,541이 알려져 있다. 착향(aromatization)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동시에 통상 배합물에 대해 적어도 25% 정도 검 기재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 및 향미제 함량에 관해 유사하게 하는 것이 추천되고 있다. 이것은 불행하게도,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산비에 대해, 뿐만아니라 츄잉-검이 쉽게 씹힐 능력에 대해 유해 결과를 가지고 있다.
특허 US 4,900,563이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입자 크기가 70 메쉬(212 마이크론) 이하인 분말 프룩토스로 이루어진 무수 츄잉-검에 관한 것이다. 불행히도, 슈크로스에 대한 것처럼, 프룩토스가 발암성이며 결과적으로 때로 원할 때 비발암성 츄잉-검이 제조될 수 없게 한다.
특허 US 4,803,083이 또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무가당 츄잉-검을 제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입자 크기의 두가지 소르비톨 분말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 특허는 무엇보다도 제조 조건 및 제조된 제품의 감촉(texture)의 개선에 관심이 있다. 입자 크기자체에 대한 것 보다도 두가지 분말의 입자 크기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에 대해 더욱 관심이 보이지만, 명백히, 그들중 한가지는 75 마이크론의 영역에서 평균 직경을 가지며 다른 것은 상세한 설명에 따라 이 값 보다 상당히 큰, 200 마이크론에 꽤 근접한 바람직한 평균 직경을 가진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비발암성 츄잉-검이 제조될 수 있으나, 다음에 보이는 바와 같이, 소르비톨에 대해 여기서 추천된 입자 크기가 고순도의 분말 말티톨에 대해 선택되어야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츄잉-검의 관능적 품질, 및 특히 효과 및 기간면에서 맛과 착향이 분말 상으로서 95% 이상의 말티톨 순도 및 츄잉-검내에 말티톨 입자 50%가 크기 90 마이크론 이하이도록 입자크기를 가진 말티톨을 혼합함으로서 개선될 수 있다는 사실을 놀랍고도 예상치 못하게 관찰한 바 있다.
이들 조건하에, 향미제의 우수한 회수가 후자의 착향적 특징의 변형 없이 관찰된다. 따라서 후자가 이미 기준 츄잉-검, 말하자면 주로 슈크로스를 함유한 츄잉-검을 배합하는데 이미 적합할 때 향미제의 조성을 조절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는 않다.
본 발명에서, "착향적 특징"이란 향미제를 구성한 다른 분자와 분리하여 또는 이에 관해 고려된 향미 화합물에 구체적으로 기여될 수 있는 후각 후감각을 뜻한다.
본 발명에서, "관능적 품질의 개선"이란 모든 감각 요인, 즉 맛, 착향 및 감촉의 개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실제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쉽게 측정되는 값인, 분말의 순도가 83%-94%의 차수일 때, 동일한 배합물에 대해 과도하게 경질이고 씹기에 어려운 츄잉-검이 얻어졌다는 것을 입증한바 있다. 감촉를 보정하기 위하여, 검 기재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 그리고 병행하여 향미제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입증된다. 또다른 해결책은 보다 연한 검 기재를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것은 모든 경우에 특히 상기에 언급된 특허 EP 427,541의 사항에 따라 예상될 수 있었던 것과 비교하여, 어떠한 관능적 이점 없이, 배합물의 생산비 상승을 유발한다. 또한, 말티톨이 순도가 낮을 때, 본 발명자들은 의심할 바 없이 반드시 낮은 말티톨의 결정화도 때문에, 말티톨 입자가 너무 급속하게 용해되고 그후 단맛이 향미제에 바르게 수반되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어떤 특정 이론에 참조할 필요 없이, 효과와 기간에 관해 개선된 착향을 얻고자 할 때, 본 발명자들이 관찰한 바와 같이, 각 츄잉-검 감미제 및 선택된 감미제에 대한 각 순도 수준에 상응하는 이상적인 입자 크기가 존재하는 듯하며, 프룩토스는 명백히 슈크로스 보다 조질일 필요가 있고, 말티톨은 예를들어 소르비톨 보다 미세할 필요가 있으며, 고순조 말티롤은 저순도 말티톨 보다 미세할 필요가 있다. 95% 이상의 순도를 가진 말티톨의 경우에, 츄잉-검내 이상적인 입자 크기는 상기에 특정된 것이다.
많은 문헌들은 츄잉-검의 배합에서 말티톨을 사용하는 가능성을 교시하고 있으나, 그들중 어느 것도 후자에 대한 분말 상으로서 고순도 및 적합한 입자 크기의 말티톨 분말을 혼합하는 것을 구체화하고 있지 않다.
특허출원 및 특허 WO 88/08671, US 4,217,368, EP 302,023, EP 425,115, US 5,110,608 및 US 5,075,118은 예를들어 츄잉-검을 배합하기 위하여 몇가지 폴리올 또는 몇가지 감미제중에서, 말티톨을 선택하는 가능성을 교시하고 있다. 이러한 말티톨의 물리적 상태는 특정되어 있지 않거나, 중대한 일로 생각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리적 상태는 시럽 또는 분말일 수 있다.
특히 비발암성 츄잉-검의 제조를 위해 의도된 아스파르탐을 보호하고 캡슐화하기 위하여 수소화 말토스 시럽 또는 분말의 사용에 대한 실예가 특허출원 WO 85/01962에서 제공된다. 수소화 말토스의 물리적 상태 및 그의 순도는 부적당한 듯 하다. 수소화 말토스에서 캡슐화된 아스파르탐 분말의 입자 크기는 다른 한편, 40-140 메쉬, 말하자면 106-425 마이크론이며, 이것은 본 발명자들이 관찰한 바와 같이, 고순도 말티톨 분말에 대한 이상적인 입자 크기가 전혀 아니다.
특허 JP 74,32067 및 JP 77,27702 및 특허출원 JP 03,133,341은 당, 락토스, 덱스트로스, 글루코스 시럽, 만니톨, 소르비톨 또는 벌꿀과 결합된 말티톨을 함유한 츄잉-검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예이다. 사용된 말티톨의 물리적 상태와 순도가 결코 특정되어 있지 않다.
문헌 "Chewing-gum sans sucre a base de maltitol" [Sugar-free chewong-gum based in maltitol] by T. Maruyama et al., puhlished in Shokuhin Kogyo (1984), 27, N6. 24, p, 73-80 및 특허 EF 325,090은 모두 매우 낮은 흡습성의 비발암성 츄잉-검을 제조하기 위하여 소르비톨에 대한 대체물로서 말리톨을 사용하는 가능성을 교시하고 있다. 말티톨의 물리적 상태가 명백히 특정되어 있지 않지만, 분말형태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말티톨에 대해 바람직한 입자 크기 또는 바람직한 입상체 순도를 선택하는 것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다른 문헌들은 보다 구체적으로 순도가 특정된 말티톨 분말을 사용하는 가능성을 교시하고 있다.
문헌 "Evalution of maltitol in eight food products: comparison withsucrose, fructose and sorbitol" by R.L. De Fielliettaz Goethart et al. published in Basic Studies in Food Science (1983), vol. 2, p.8-9는 츄잉-검의 배합에서 말티톨 88%를 함유한 결정체 분말의 사용에 관한 과제를 기초로 한다. 말티톨이 소르비톨의 감미력 이상이고 당의 감미력 이하인 감미력을 가지고 있는 듯 하다. 말티톨의 기술적 특성은 전적으로 소르비톨의 것과 비교할 만 하다고 평가된다. "MalbitRand its application in the food industry" in "Developments in sweetener", vol. 3 (1987), p. 83-108에서, Y Fabry는 또한 기억하고 있는 바와 같이, 90%의 최대 말티톨 순도와 20 메쉬(850 마이크론) 또는 50 메쉬(300 마이크론)의 영역에서 입자 크기를 가진, 동일한 말티톨 분말 MALBITR를 함유한 츄잉-검 배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끝으로, 99% 이상일 수 있는 순도의 말티톨을 함유한 츄잉-검을 기재하고 있는 세가지 다른 문헌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특허 FR 2,499,576은 실시예 12에서 99.2% 영역의 순도의 무수 말티톨 결정체 30부로 이루어진 츄잉-검에 관한 것이다. 이 말티톨 분말의 입자 크기는 특정되지 않는다.
특허 EP 185,595에 관해, 이것은 실시예 6에서 물에서 결정화된, 순도 94.8% 및 크기 160 마이크론 이상인 입자 65%인, 말티톨로 이루어진 츄잉-검을 기술하고 있다.
세번째 문헌은 상기에 지적된 바와 같이, 크실리톨과 말티톨을 기재로 한 상습작용 조성물에 관한 특허 US 5,017,400이다. 이 조성물은 실시예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99% 순도를 가진 분쇄된 결정화 분말일 수 있다. 이 분말의 입자 크기는 특정되어 있지 않다.
요약하여, 상기 문헌의 어느 것도 본 발명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하여 츄잉-검에 대한 분말 상으로서, 고순도 및 적합한 입자 크기의 말티톨 분말을 혼합하는 장점을 교시하거나 심지어 이에 대한 제안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반드시 검 기재, 향미제 및 분말 말티톨로 구성된 신규의 츄잉-검 조성물로서, 말티톨이 95% 이상의 말티톨 순도 및 조성물내에 존재한 말티톨 입자의 수에서 적어도 50%가 크기 90 마이크론 이하이도록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성물은 개선된 관능적 품질, 말하자면 효과 및 기간에 관해 보다 양호한 맛 및 보다 양호한 착향이 있으며, 뿐만 아니라 우수한 감촉를 가지고 있으며 연질이고 씹을 때 그리고 시간 경과시 안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조성물의 관능적 품질의 관점에서 개선되어 있는, 다음 성분으로 이루어진 츄잉-검 조성물이다:
- 검 기재,
- 95% 이상의 말티톨 순도 및 조성물내에 존재한 말티톨 입자의 수에서 적어도 50%가 크기 90마이크론 이하이도록 입자 크기분포를 가진, 분말 말티톨로 이루어진 감미 충전제,
- 임의로 다른 감미제,
- 임의로 결합제,
- 향미제
상기에 제시된 바와 같이, 분말 말티톨의 입자 크기 분포는 원하는 효과에 대해 큰 영향이 있다. 츄잉-검 조성물내에서, 말티톨입자의 수에서 적어도 50%가 크기 75마이크론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 말티톨이 츄잉-검내에서 심지어 더욱 미세하게 분할될 때, 말하자면 입자의 반 이상이 크기 60 마이크론 이하일 때, 원하는 효과가 더욱 커진다. 본 발명자들은 츄잉-검내에서 크기 40 마이크론 이하의 입자 적어도 50%를 얻는 것이 이상적이라는 것을 관찰한 바 있다.
츄잉-검내 분말 말티톨의 입자 크기 분포는 -20 ℃에서 예비동결된 두께 20 마이크론의 츄잉-검 슬라이스에 대해 간섭 대조 광현미경(inteference contrast photon microscopy)에 의해 쉽게 측정된다.
상기에 제공된 분말 말티톨의 입자 크기는 본 발명자에 의해 관찰된 바와 같이, 매우 높은 순도의 말티톨 분말에 대해 선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후 원하는 효과는 최대이며 감촉은 통상의 검 기재로서 씹을 수 있게 된다. 그후 저울도의 말티톨 분말에 대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과 반대로 그리고 특히 특허 EP 427,541의 교시와 반대로, 검 기재의 양 및 병행하여, 향미제의 양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고순도의 분말 말티톨의 선택이 또한 본 발명자에 의해 관찰된 바와 같이, 95% 이하의 순도를 가진 말티톨 분말과 비교할 때, 고순도의 분말 말티몰의 선택은 또한 매우 쉬운 분쇄, 분진 생성 감소 및 다같이 한덩어리로 되는 위험 감소와 함께 매우 쉬운 저장에 관련된 기술적 이유로 주장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츄잉-검 조성물에 98% 이상, 바람직하게는 99%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99.5% 이상의 순도를 가진 분말 말티톨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츄잉-검내에 분포된 분말 말티톨의 순도 측정은 실릴화후에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후 정량화는 알려진 순도의 말티톨 분말을 사용하여, 내부 기준법(internal calibration method)에 의해 성취된다.
말티톨 입자는 결정성이 크다. 그들의 융해열은 그람당 125 주울을 초과하고 통상적으로 그람당 140 주울을 초과하며, 또는 심지어 그람당 160 주울을 초과한다. 또한, 이들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차수열량 분석에 의해 측정된 융점이 145 ℃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47 ℃ 이상이다.
분말 말티톨이 순수할수록, 매우 미세한 입자를 츄잉-검 조성물로 혼합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관찰이 빈번해진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안정하게 되는 개선된 맛 및 저작성 감촉을 얻기 위하여 순도와 입자 크기 사이에 직접 관계가 존재하는 듯 하다.
츄잉-검 조성물내에 상기에 언급된 특성을 가진 분말 말티톨은 조성물의 약 2%-약 85%를 나타낼 수 있다. 효과는 그의 농도가 클수록 비례하여 커진다. 이에 대해, 조성물의 5%-75%, 및 바람직하게는 엄격히 10%-75%의 양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츄잉-검 조성물을 구성한 검 기재는 바람직하게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통상의 검 기재가 바람직하다. 그것이 츄잉 파스틸, 풍선검, 당-코팅 센터또는 저칼로리 츄잉-검인지에 따라, 검 기재는 본 발명에 따라 조성물의 약 15%-약 70%를 나타낼 수 있다. 그의 특성이 또한 제조된 츄잉-검의 형태에 채택될 것이다. 그것은 폴리이소프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이소부틸렌과 같은 합성 및/또는 천연 엘라스터머, 라텍스, 테르펜 수지, 폴리비닐 에스테르와 알코올과 같은 수지, 예를들어 라놀린, 부분적으로 수소화되거나 되지 않은 식물성 오일, 지방산, 글리세롤의 부분 에스테르, 파라핀, 미세결정 왁스와 같은 지방 또는 왁스, 탈크, 칼슘 카보네이트와 같은 충전제, 글리세릴 트리아세테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로진 유도체와 같은 엘라스터머 가소제, 레시틴, 소르비톨 에스테르와 같은 유화제, 염료 또는 표백제, 산화방지제, 만니톨과 같은 점착방지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검 기재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도 15%-40%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함량은 18%-28%, 말하자면 탁월한 분말 벌크 감미제로서 소르비톨로 배합된 시판중인 무가당 츄잉-검의 통상 함량의 약간 아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츄잉-검 조성물은 또한 향미제를 함유한다. 이 시약은 천연 및/또는 합성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은 특히 민트, 신나몬, 오렌지, 레몬 또는 라임 향미제 또는 예를들어 사과, 딸기, 바나나, 체리 또는 혼합 과일 향미제와 같은 다른 과일 또는 식물에 상응하는 향미제일 수 있다.
향미제는 검 기재의 특성, 검 기재의 양, 츄잉-검의 형태 및 이러한 향미제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서, 본 기술에 숙련된 자에 의해 간단한 일과적 시험을 이용하여 쉽게 결정될 수 있는 적합한 양으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약 0.2%-약 3%의비율로 사용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그리고 특히 소수성 향미제에 대해, 과도하게 연질로 되게 함이 없이 검 기재를 가소화하기 위하여 충분한 양이 선택될 것이다. 이에 대해, 0.5%-1.8%의 향미제 함량이 대신 선택될 것이며, 이상적인 것은 0.8%-1.5%의 함량을 선택하는 것이다.
향미제의 사용량은 또한 향미제 화합물에서, 말하자면 진정한 후각 후효과를 가진 화합물에서 후자의 농도에 따를 것이다. 또한, 이러한 사용량은 향미제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다를 것이다. 예를 들어, 캡슐화된 형태에 대해, 사용량은 통상적으로 보다 낮을 것이다.
향미제는 단일 제품의 형태로 또는 동일한 향미제 화합물로 반드시 이루어진 두가지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물리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러가지 특성 및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물리적 상태의 여러가지 향미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츄잉-검 조성물은 0.1%-30%의 농도로 결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제는 바람직하게도 물, 글리세롤,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 모노-, 디-, 올리고- 또는 폴리사카라이드시럽, 및 저칼로리 충전제 및 그의 혼합물의 시럽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츄잉-검내 물은 유리된 물의 형태로 또는 다른 성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모노-, 디-, 올리고-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시럽은 예를들어 크실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락티톨, 이소말툴로스, 수소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에리트리톨의 시럽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및/또는 폴리사카라이드를함유한, 전분 또는 이눌린의 가수분해로부터 유도된, 수소화되는, 시럽이다. 저칼로리 충전제의 시럽에 관해, 특히 폴리덱스트로스, 폴리글루코스 또는 덱스트린의 시럽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건조 또는 액체 형태로 추가의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벌크 감미제 및/또는 슈크로스의 감미력 보다 적어도 10배 큰 감미력을 가진 고감미제일 수 있다. 벌크 감미제중에서, 특히 단 맛을 지속시키기 위하여 만니톨을 사용하는 것, 어떠한 신선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에리트리톨과 크실리톨을 사용하는 것, 또는 감촉을 조절하고 후자를 견고하게 만들기 위하여 95% 이하의 순도를 가진 분말 소르비톨 또는 말티톨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입증될 수 있다. 82-94%의 순도를 가진 말티톨 분말을 첨가할 때, 예를들어 이러한 목적으로서, 그것은 임의로 순도 95% 이상의 분말 말티톨과, 또는 별도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일정한 비율로 프레믹스(premix)로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유리 및/또는 캡슐화 형태로 아스파르탐, 알리탐, 아세술팜 및 슈크랄로스와 같은 고감미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식품 산은 또한 저함량으로, 특히 과일 향미제가 사용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예를들어 이그조스터로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츄잉-검의 맛과 감촉을 개선되게 하나, 또한 츄잉-검에 존재한 향미제의 회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특히 무가당 츄잉-검에 적용된다. 본 방법은 제조후에 츄잉-검이 95% 이상의 말티톨 순도 및 그들중 적어도 50%가 크기 90 마이크론 이하, 바람직하게는 75 마이크론 이하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마이크론 이하이도록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진 말티톨 입자를 츄잉-검내에 함유하는, 입상체 분말 말티톨을 선택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상적인 것은 츄잉-검에서 말티톨 입자의 반 이상이 40 마이크론 이하이도록 하는 것이다. 주요 공정은 적합한 말티톨 조성물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많은 시험후에, 본 발명자들은 놀랍고도 예상치 못하게, 입자 크기, 압축성 및 말티톨 순도가 배합될 츄잉-검의 형태에 따라 조절된 조성물을 선택하고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관찰한 바 있다. 이러한 말티톨 조성물은 모든 경우에 반드시 전체적으로 무수물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씹는 중에 그리고 에이징(areing)시에 안정하게 되는 개선된 맛 및 저작성 감촉을 얻기 위하여 경질 정제를 제공하는, 말하자면 압축성이 있는 분말의 능력, 및 선택될 입자 크기 사이에 직접 관계가 있었다고 관찰된 바 있다.
처음에, 개선된 관능적 물질이 있어야 하고, 또한 실제로 액체상, 말하자면 물과 글리세롤이 없어야 하는 츄잉-검을 제조하려 할때, 츄잉-검내에서 얻어져야 하는 것의 영역에서 입자 크기 또는 이보다 매우 약간 조질일 수 있는, 열악한 압축성 분말 말티톨을 사용하는 것이 선택될 수 있다. 큰 압축성 분말 말티톨도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츄잉-검의 말단에서 얻으려는 것 보다 상당히 큰 입자 크기를 선택하는 것에 바람직하다.
압축성은 본 출원인이 소유자인, 특허 EP 220,103에 기재된 "시험 A" 방법에 따라 80 N 이하와 값이 선택된 분말 말티톨에 대해 얻어질 때 본 발명에서 낮다고생각된다. 압축성은 반대 경우에, 말하자면 이 값이 80 N을 초과할 때 크다고 생각된다.
시험 A는 뉴톤으로 표시된, 힘을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이것은 연구된 분말 말티톨의 압축성의 대표적인 예이고 말티톨로부터 제조된 정제를 분쇄하는, 말하자면 후자를 구성한 벌크내에서 파열선(rupture-line)의 모양을 야기시킬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이 힘은 직경 134 mm, 두께 5 mm 및 중량 0.896 g을 가진, 말하자면 외관 부피 중량 1.35 g/ml를 가진 평면이 있는 실린더형인, 정제의 분쇄 강도를 반영하며, 그 힘은 모선(generatrix)에 따른 표면에 대해 적용된 가동 축받이(movable stop)를 사용한, 후자의 회전 축의 방향으로 정제의 주위 표면에 대해 나타나며, 정제는 또한 가동축받이가 적용되는 것에 직경적으로 반대인 모선에 다른 정제의 주위 표면에 대해 또한 적용된 고정 축받이에 대해 고정된다.
따라서, 분말 말티톨은 물에서 결정화에 의해 얻어진, 순도가 95%를 초과하고 시험 A에서 8 N 이하 및 통상적으로는 45 N의 영역의 압축성을 가진 결정체로 구성될 때, 액체상이 없는 츄잉-검을 얻으려는 것과 실제로 동일한 입자 크기, 말하자면 입자의 적어도 50%가 크기 90 마이크론 이하이도록 선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고순도 및 고압축성의 제품, 이를테면 특허 EP 220,103의 발명의 과제를 형성한 것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의무적이거나 단지 바람직할 필요 없이, 보다 조질 입자 크기, 말하자면 입자의 적어도 50%가 크기 120 마이크론, 또는 심지어 150 마이크론 이하인 것을 선택할 수 있었다는 것을 관찰한 바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따라서 제조후에, 츄잉-검내에 맛과 감촉에 관해 이상적인 입자 크기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성취하기 위하여, 또한 열악한 압축성 고순도 분말 말티톨과 말티톨 95% 이하의 순도를 가진 고압축성 말티톨 분말의 혼합물을 선택할 수 있다.
둘째로, 액체상으로 단지 글리세롤을 함유한 츄잉-검, 말하자면 실제로 물이 없는 것을 제조하려 할 때, 상기에 요약된 원리가 글리세롤이 있는 츄잉-검의 제조방법이 혼합 또는 압출중에, 말티톨 조성물의 존재하에 심각한 온도 조건을 부여할 때를 제외하고 채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제로 본 발명자들이 관찰한 바와 같이, 액체상이 실제로 없는 츄잉-검에 대해 적절히 선택되는 것 보다 약간 조질인 입자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고순도 결정 말티톨이 무수 글리세롤에서 약간 가용성이라는 사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실제로, 68 ℃, 90 ℃ 및 115 ℃에서 그의 용해도는 문제의 매질에서 각각 5%, 20% 및 50%에 가까우며, 이것은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 결국, 고온에서, 말티톨은 츄잉-검내의 글리세롤에 용해될 수 있는 듯 하다. 따라서, 높은 혼합 또는 압출 온도에서 수행할 때 글리세롤이 있는 무수 츄잉-검을 배합하기 위하여 꽤 조질인 입자 크기가 선택될 수 있다.
세째로, 0.1%-6%의 양으로, 물을 함유한 츄잉-검을 배합하려 할때, 압축성이 많을수록, 혼합 또는 압출 온도가 높고 츄잉-검내에 함유된 물과 글리세롤 함량이 크며 이에 비례하여 조질인 말티톨 조성물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간단한 규칙을 고려함으로서, 본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말티톨 입자의 적어도 50%가 크기 90 마이크론 이하이도록 츄잉-검내의 분포를 얻기 위하여 고순도 분말 말티톨의적합한 입자 크기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
더구나, 적합한 입자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말 말티톨을 도입하는 공정중에 선택된 순간에 생각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실제로, 과도하게 미세한 분말을 선택함으로서 그리고 제조 시작에 바로 그것을 도입함으로서, 특히 상승 온도에서 그리고 많은 양의 물과 글리세롤의 존재하에 수행시에, 일반적으로 말티톨은 가용성이 지나치게 크다. 결과적으로, 츄잉-검 페이스트는 이러한 경우에 점성으로 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은 제조중에 문제를 제기하지 못하지 않는다. 더구나, 냉각시에 그리고 저장시에, 용해된 말티톨은 결정화되며 츄잉-검이 조질 입자를 함유할 수 있고 효과와 기간에 대해 바른 착향이 더이상 없다.
그 결과, 분말 말티톨의 과도한 용해는 제조 변수 및 선택된 배합물의 작용으로서 바른 입자 크기의 현명한 선택에 의해 가능한한 회피되어야 한다.
이들 세가지 형태의 츄잉-검은 츄잉-검에 대해 자체 공지된 공정 및 방법을 이용함으로서 단점 없이 제조될 수 있다. 최종 제품은 츄잉 파스틸로서 검의 당-코팅 스틱(stick) 또는 볼(ball)로서 또는 별도로 특히 아이들을 위한 풍선검으로서 아주 대등하게 판매될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의 주제는 신규 제품으로서, 특히 개선된 관능적 품질의 츄잉-검의 제조를 위해 의도되는 분말 말티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말티톨은 매우 높은 순도 및 잘 선택된 미세입자 크기 모두라는 의미로 특수하다. 칼슘 형태로 이온-교환 수지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량화될 수 있는, 그의 말티톨 순도가 95% 이상이어야 한다.
현미경하의 관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분말 말티톨의 입자크기는 입자 수의 적어도 50%가 마이크론으로 표시된, 크기에서 뉴톤(N)으로 표시되고 상기에 언급된 특허 EP 220,10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된 말티톨의 압축성치의 1.5배 보다 작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말티톨은 바람직하게도 분말 말티톨의 중량에 대해, 크기 10 마이크론 이하의 입자의 35% 이하의 함량을 가지고 있다.
그자체가 분쇄 용이성, 감촉 및 츄잉-검에서 향미제의 감지에 관해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나타내는, 순도는 바람직하게도 9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이상 및 더옥 좋게는 99.5% 이상이다.
통상적으로, 분말 말티톨의 입자는 그람당 140 주울, 또는 심지어 그람당 160 주울의 융해열, 및 145 ℃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147 ℃ 이상의 융점을 가지고 있다.
입자 크기에 관해, 분말 말티톨은 바람직하게도 이들 입자수에서 50%가 상기에 언급된 시험 A에서 뉴톤으로 얻어진 압축성치의 1.2배,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8배 보다 마이크론으로 크기에서 작은 입자 크기의 매우 결정성인 입자로 이루어진다.
끝으로, 생산 설비에서 대부분의 분진을 생성하는 것들이 되며 츄잉-검의 액체상에서 가장 급속하게 용해될 수 있는 것들인, 크기 10 마이크론 이하의 입자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분말 말티톨 중량의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및 더욱 양호하게는 5%이하이다.
이어지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1 입자 크기의 효과
향미있는 츄잉-검 조성물을 다음의 기재 배합물에 따라 제조한다:
DREYCOR검 기재(Dreyfus) : 20%
말티톨 분말 : 63.7%
본 출원인에 의해 시판된,
농축 LYCASINR80/55 : 15%
글리세롤 : 0.5%
천연 민트 향미제(Silesia) : 0.8%
자켓내에 물의 순환에 의해 50 ℃의 온도에 유지된, 두개의 Z-암과 자켓이 구비된 혼련 배합기에 검 기재를 도입한다. 검 기재를 약 5분간 배합한후, 말티톨 분말의 약 3분의 1을 첨가하고 검 기재와 잘 혼합한다.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2분간 배합하고, 이어서 말티톨 분말의 두번째 3분의 1와 55 ℃로 예열된 LYCASINR의 양을 첨가한다. 추가 배합 약 2분후에, 말티톨 분말 잔량과 글리세롤을 도입한다. 끝으로, 2분간 배합후에, 액체 민트 향미제를 첨가한다. 균질 페이스트를 얻도록 추가 1분간 계속 배합한다. 이 페이스트를 혼련기에서 제거하고, 적충화한다음 두께 5밀리미터 스틱으로 절단한다.
이 배합물에 따라, 모두 순도가 95% 이상이고 물에서 결정화에 의해 얻어진, 다음의 다섯가지 말티톨 분말을 사용하여 다섯가지 츄잉-검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들 분말은 시험 A에서 45 N 영역의 압축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음의 특성이 있다:
- 분말 A:
· 말티톨 순도(액상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99.6%
· 물 함량(Karl Fisher 법) 0.27%
· 융점 148 ℃
- 분말 B:
· 말티톨 순도 99. 1%
· 물 함량 0.44%
· 융점 149
- 분말 C:
· 말티톨 순도 98.4%
· 물 함량 0.29%
· 융점 147 ℃
- 분말 D:
· 말티톨 순도 99.4%
· 물 함량 0.26%
· 융점 148.5 ℃
- 분말 E:
· 말티톨 순도 98,4%
· 물 함량 0.32%
· 융점 147 ℃
이들 분말의 입자 크기 분포는 말티톨 입자와 50중량%가 다음 영역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분말 A에 대해 150 마이크론
-분말 B에 대해 95 마이크론
-분말 C에 대해 75 마이크론
-분말 D에 대해 60 마이크론
-분말 E에 대해 40 마이크론
1.1) 경도 측정
INSTRONR브랜드 장치를 사용한 침입도 시험에 의해, 다섯가지 츄잉-검 조성물에 대해 두께 0.5 센티미터이고, 8일째 되고 20 ℃에서 습기의 부존재하에 저장된 스틱의 경도를 비교한다.
평균 경도 결과(10 스틱에 대해 평균값)는 다음과 같다:
분말 A: 32.0 N
분말 B: 35.3 N
분말 C: 25.6 N
분말 D: 35.9 N
분말 E: 35.4 N
츄잉-검 조성물은 얻어진 스틱이 보다 연질인, 분말 C를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꽤 유사한 경도를 가지고 있다고 관찰된다.
모든 조성물에 대해, 감촉는 양호, 또는 심지어 매우 양호하다고 생각된다.
1.2) 맛 평가
블라인드 시험에서, 25인의 패널에게 다섯가지 츄잉-검 조성물을 바람직성의 순서로 0-4(가장 열악한 맛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 제품에 대해 등급 0 및 바람직한 제품에 대해 등급 4)로 등급을 매기도록 요청한다.
이들 등급을 종합하고 각 시식가의 말을 고려하여, 해석한다.
분말 A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가장 낮은 점수(1.2)를 얻은 것이다.
이 조성물은 판정된 평균 등급에 관해 시험된 다른 조성물과 상당히 다르다. 또한, 처음 수초간의 씹는 중에, 향미의 식별이 이 조성물에 대해 너무 지연된다고 생각된다. 단 맛은 강하나 일시적이며 향미의 식별을 바르게 수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사실은 분말 B, C, D 및 E를 기재로 한 조성물에 대한 경우는 아니며, 이들의 맛과 착향은 효과와 기간에 대해 매우 개선된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분말 C, D 및 F로 이루어진 것들이다. 그들은 가치 있는, 2.9-3.8의 점수를 얻는다.
1.3) 츄잉-검 조성물내 입자의 크기
조성물내 분말 말티톨의 입자 크기 분포를 -20 ℃에서 예비동결된 츄잉-검 슬라이스상의 차수 대조 광현미경에 의해 평가한다. 이들 슬라이스는 두께가 약 20 마이크론이다. 이들 입자 크기 분포는 모든 경우에 사용된 말티톨 분말의 분포 보다 약 10% 낮다. 이들 분포는 말티톨 입자의 적어도 50%가 크기 90 마이크론 이하이며 따라서 입자가 보다 조질인, 분말 A를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본 설명에 따른다.
실시예 2: 말티톨 순도의 효과
실시예 1에 제공된 배합물과 과정을 이용하나, 다음 말티톨 분말을 이들 조성물에 혼합하여 여섯가지 다른 츄잉-검 조성물을 제조한다:
-분말 C
-분말 E
-다음의 분말 F:
· 55 N의 영역에서 시험 A의 압축성
· 말티톨 순도 83.9%
· 물 함량 1.9%
· 소르비톨 함량 4.4%
· 융점 120 ℃
· 숫자상으로, 말티톨 입자 50%가 크기 75 마이크론의 영역에 존재하는 입자 크기 분포.
-다음의 분말 G:
· 175 N의 영역에서 시험 A의 압축성
· 말티톨 순도 92.6%
· 물 함량 1.1%
· 소르비톨 함량 1.7%
· 융점 135 ℃
-숫자상으로, 말티톨 입자 50%가 크기 90 마이크론의 영역에 존재하는 입자 크기 분포.
-다음의 분말 H:
· 180 N의 영역에서 시험 A의 압축성
· 말티톨 순도 94.0%
· 물 함량 1.0%
· 소르비톨 함량 1.2%
- 융점 143 ℃
· 숫자상으로, 말티톨 입자 50%가 크기 20 마이크론의 영역에 존재하는 입자 크기 분포.
-다음의 분말 I
· 50 N의 영역에서 시험 A의 압축성
· 말티톨 순도 99.4%
· 물 함량 0.5%
· 소르비톨 함량 0.3%
· 융점 147.6 ℃
· 숫자상으로, 말티톨 입자 50%가 크기 65 마이크론의 영역에 존재하는 입자 크기 분포.
편리를 위해, 조성물 C, 조성물 E, 조성물 F, 조성물 G, 조성물 H 및 조성물 I가 각각 얻어진 츄잉-검 조성물로서 언급될 것이다.
조성물 C 및 H는 열악한 결합과 열악한 균질성을 나타낸다.
비교하여, 다른 츄잉-검 조성물은 제조후에 허용되는 듯 하다.
2.1) 경도 측정
제조후 1일 및 8일간 습기의 부존재하에 20 ℃에서 저장된 두께 0.5 센티미터의 스틱에 대해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조성물 C 1일 : 20.0 N
8일 : 25.8 N
조성물 E 1일 : 24.5 N
8일 : 35.4 N
조성물 F 1일 : 27.7 N
8일 : 60.9 N
조성물 G 1일 : 74.2 N
8일 : 91.1 N
조성물 H 1일 : 100.0 N
8일 : 91.1 N
조성물 I 1일 : 31.4 N
8일 : 44.4 N
제조후 1일에, 조성물 G 및 H는 과도하게 경질이다. 이들 제품의 감촉은 또한 제조후 8일에 씹을 때 그리고 침입도 시험에 의해 타당하지 않은 듯 하다.
이들 감촉은 검 기재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상당히 높은 가소성의 검 기재를선택함으로서 개선될 수 있다.
조성물 F와 I는 1일후에 비교적 경질이다.
이들 감촉은 허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른 한편, 8일후에, 조성물 F는 씹기 매우 어렵게 되며, 이것은 시간 경과에 따라 안정한 듯 한, 조성물 I에 대한 경우는 아니다.
조성물 C와 E도 안정하며 타당한 감촉을 보유하고 씹기 쉽다.
요약하여, 단지 95% 이상의 순도 및 타당한 입자 크기의 말티톨 분말을 사용함으로서 저작성이 있는 안정한 츄잉-검 조성물의 제조에 적합하다.
2.2) 맛 평가:
실시예 1에서 시식가의 팬널에 의해 얻어진 경도 결과가 전반적으로 기구 수단에 의해 얻어지고 상기에 제공된 것과 전체적으로 일치하는 듯 하다.
맛에 대해, 조성물 C, E 및 I는 입에 넣는 처음 십초이내에 향미의 출현 때문에 그리고 씹는 중에 단 맛 및 향미제의 오랜 지속성 때문에, 다른 조성물과 비교할 때 상당히 바람직하다.

Claims (17)

  1. 검 기재, 향미제 및 분말 말티톨로 구성된 츄잉-검 조성물로서, 상기 말티톨이 95 % 이상의 말티톨 순도를 가지고 상기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50 % 이상의 말티톨 입자가 90 마이크론 이하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티톨이 50 % 이상의 말티톨 입자가 75 마이크론 이하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티톨이 98 % 이상의 말티톨 순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티톨이 조성물의 2% - 8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제가 조성물의 0.2 % -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순도가 95 % 이하인 말티톨 분말로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7. 맛과 감촉에 대한 츄잉-검의 관능적 품질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서, 95 % 이상의 말티톨 순도를 가지고 츄잉-검 내에 존재하는 50 % 이상의 말티톨 입자가 90 마이크론 이하인 입자 크기 분포와 압축성을 가진 분말 말티톨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의 관능적 품질의 개선 방법.
  8. 츄잉검의 관능적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분말 말티톨의 용도로서, 상기 말티톨이 95 % 이상의 말티톨 순도를 가지고 말티톨 입자 수의 50% 이상이 마이크론으로 표시되는 크기에 있어 시험 A에서 측정된 말티톨의 압축성치의 1.5 배 이하인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 시험 A에 의하여 측정되며 뉴톤으로 표시되는 상기 말티톨로부터 제조된 정제(tablet)를 분쇄하는 데 필요한 힘, 즉 말티톨을 구성하는 벌크 내에 파열선을 출현시키는 데 필요한 힘은 정제의 분쇄 강도를 반영하며, 상기 정제의 표면은 평활한 실린더형으로 직경 13 mm, 두께 5 mm, 중량 0.896g, 즉 겉보기상의 부피 비중이 1.35 g/ml이며, 상기 힘은 상기 정제의 주위 표면에 대해 모면을 따라 적용된 가동 축받이(movable stop)를 이용하여 정제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표면에 대해 가해지며, 또한 상기 정제는 가동 축받이가 적용된 모면에 직경으로 반대편의 모면을 따라 정제의 주위 표면에 대해 적용된 고정 축받이(fixed stop)에 대해 고정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말티톨의 용도.
  9. 관능적 품질이 개선된 츄잉-검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분말 말티톨로서, 상기 말티톨이 95 % 이상의 말티톨 순도를 가지고 말티톨 입자 수의 50 % 이상이 마이크론으로 표시되는 크기에 있어 시험 A에서 측정된 말티톨의 압축성치의 1.5 배 이하인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시험 A에서 측정되며 뉴톤으로 표시되는 상기 말티톨로부터 제조된 정제(tablet)를 분쇄하는 데 필요한 힘, 즉 말티톨을 구성하는 벌크 내에 파열선을 출현시키는 데 필요한 힘은 정제의 분쇄 강도를 반영하며, 상기 정제의 표면은 평활한 실린더형으로 직경 13 mm, 두께 5 mm, 중량 0.896 g, 즉 겉보기상의 비중이 1.35 g/ml이며, 상기 힘은 상기 정제의 주위 표면에 대해 모면을 따라 적용된 가동 축받이(movable stop)를 이용하여 정제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표면에 대해 가해지며, 또한 상기 정제는 가동 축받이가 적용된 모면에 직경으로 반대편의 모면을 따라 정제의 주위 표면에 대해 적용된 고정 축받이(fixed stop)에 대해 고정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말티톨.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말티톨이 50 % 이상의 말티톨 입자가 60 마이크론 이하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말티톨이 50 % 이상의 말티톨 입자가 40 마이크론 이하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말티톨이 99 % 이상의 말티톨 순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말티톨이 99.5 % 이상의 말티톨 순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말티톨이 조성물의 5 % - 7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말티톨이 조성물의 10 % - 7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1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제가 조성물의 0.5 % - 1.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제가 조성물의 0.8 % -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검 조성물.
KR1019950001787A 1994-02-01 1995-01-28 관능적품질이개선된츄잉-검및이러한츄잉-검의제조방법 KR100360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401082A FR2715538B1 (fr) 1994-02-01 1994-02-01 Composition de chewing-gum présentant une qualité organoleptique améliorée et procédé permettant de préparer un tel chewing-gum.
FR94-01082 1994-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826A KR950030826A (ko) 1995-12-18
KR100360029B1 true KR100360029B1 (ko) 2003-01-06

Family

ID=945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787A KR100360029B1 (ko) 1994-02-01 1995-01-28 관능적품질이개선된츄잉-검및이러한츄잉-검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547689A (ko)
EP (1) EP0664960B1 (ko)
JP (1) JP3863201B2 (ko)
KR (1) KR100360029B1 (ko)
AT (1) ATE172076T1 (ko)
AU (1) AU686282B2 (ko)
CA (1) CA2141504C (ko)
DE (1) DE69505281T2 (ko)
DK (1) DK0664960T3 (ko)
ES (1) ES2122463T3 (ko)
FI (1) FI115379B (ko)
FR (1) FR2715538B1 (ko)
IL (1) IL112478A (ko)
MX (1) MX9500745A (ko)
NO (1) NO310954B1 (ko)
WO (1) WO1995020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7334A (en) * 1993-09-30 1997-06-10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containing maltitol
US5651936A (en) * 1993-12-29 1997-07-29 Wm. Wrigley Jr. Company Syrups containing sorbitol, a plasticizing agent and an anticrystallization agent and their use in chewing gum and other products
US5716652A (en) * 1996-10-02 1998-02-10 Wm. Wrigley Jr. Company Coated chewing gum produc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CA2317724A1 (en) * 1998-01-09 1999-07-15 Circassia Limite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sensitisation
FR2791962B1 (fr) 1999-04-08 2001-07-13 Valcalda Florent Bande transporteuse souple sans fin, fonctionnant en auge semi-circulaire profonde, a bande de couverture souple etanche
FR2800050B1 (fr) 1999-10-25 2001-11-23 Florent Valcalda Dispositif de maintien et de centrage automatique pour bande de couverture souple et etanche sur transporteurs courbes
FR2826239B1 (fr) 2001-06-25 2005-02-25 Roquette Freres Procede de drageification dure ameliore
FR2855375B1 (fr) * 2003-05-27 2006-08-11 Roquette Freres Comprime de chewing-gum sans suc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20060089224A (ko) 2003-10-21 2006-08-08 카아길, 인코포레이팃드 응고된 말티톨의 제조방법 및 식품과 의약품에서의 이의용도
US20060280836A1 (en) * 2004-08-25 2006-12-14 Cadbury Adams Usa Llc. Multi-modality tastes in chewing gum compositions
US20070148286A1 (en) * 2004-08-25 2007-06-28 Cadbury Adams Usa Llc. Liquid-filled chewing gum composition
US20060286201A1 (en) * 2004-08-25 2006-12-21 Cadbury Adams Usa Llc. Multi-modality functional ingredients in chewing gum compositions
US20080014302A1 (en) * 2004-08-25 2008-01-17 Cadbury Adams Usa Llc Multi-region chewing gum composition including isomalt gum region
JP5301102B2 (ja) * 2007-03-14 2013-09-25 クラシエフーズ株式会社 ゲル化剤膨潤抑制剤、それを用いた吸い口付き密封容器入りゼリー状食品及びゲル化剤膨潤抑制方法
EP2170093A1 (en) * 2007-07-27 2010-04-07 Cadbury Adams USA LLC Multi-region chewing gum composition including saturated particulate polyols
FR2929512B1 (fr) 2008-04-08 2010-12-31 Roquette Freres Composition pulverulente de maltitol cristallise de grande fluidite et non mottante
CN102448318B (zh) * 2008-11-28 2017-07-18 亿滋日本株式会社 多区域糖食组合物、制品、方法以及设备
US20130177668A1 (en) * 2010-09-07 2013-07-11 Cargill ,Incorporated Solidified sugar alcohol mixture
EP2683251B1 (en) 2011-03-11 2021-08-25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Method of forming multilayer confectionery
JP5912180B2 (ja) 2011-07-21 2016-04-27 インターコンチネンタル グレート ブランズ エルエルシー チューインガムの形成および冷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R2999058B1 (fr) 2012-12-12 2015-03-27 Roquette Freres Procede de fabrication d'un chewing-gum a durete amelioree par mise en oeuvre d'un agent anti-mottant et chewing-gum ainsi obtenu
FR3003135B1 (fr) * 2013-03-12 2020-10-02 Syral Belgium Nv Procede pour ameliorer les proprietes organoleptiques de gomme a macher sans sucres a base de sorbitol
FR3009926B1 (fr) * 2013-09-02 2017-08-11 Roquette Freres Utilisation d'un agent anti mottant pour ameliorer la durete de chewing-gum contenant du maltitol sous forme pulverulente
US10334867B2 (en) 2014-03-03 2019-07-02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estible
FR3023128B1 (fr) 2014-07-01 2017-11-10 Roquette Freres Nouvelle composition edulcorante
CN107087702A (zh) * 2016-02-17 2017-08-25 罗盖特公司 增强的风味释放口香糖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1286A (en) 1966-07-26 1973-09-25 Nat Patent Dev Corp Chewing gum composition containing flavored homopolymers
US3826847A (en) * 1970-10-21 1974-07-30 Lotte Co Ltd Process for preparation of flavor durable chewing gum
JPS4932067A (ko) 1972-07-28 1974-03-23
JPS5025514A (ko) * 1973-07-07 1975-03-18
US3903305A (en) 1973-12-06 1975-09-02 Gen Foods Corp Chewing gums having longer lasting sweetness and flavor
US4001438A (en) * 1974-10-15 1977-01-04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Flavor composition for use in orally utilizable compositions
US4122195A (en) * 1977-01-24 1978-10-24 General Foods Corporation Fixation of APM in chewing gum
JPS53112384A (en) 1977-03-14 1978-09-30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Sequence control unit
US4217368A (en) * 1977-07-08 1980-08-12 Life Savers, Inc. Long-lasting chewing gum and method
US4157401A (en) 1978-04-24 1979-06-05 Life Savers, Inc. Chewing gum having improved flavor duration and shelf-life
JPS57134498A (en) * 1981-02-12 1982-08-19 Hayashibara Biochem Lab Inc Anhydrous crystalline maltitol and its preparation and use
US4448789A (en) 1982-08-27 1984-05-15 Warner-Lambert Company Enhanced flavor-releasing agent
WO1984003201A1 (en) * 1983-02-18 1984-08-30 Wrigley W M Jun Co Shellac encapsulant for active ingredients in chewing gum
JPS60168364A (ja) * 1983-10-18 1985-08-31 Sekisui Chem Co Ltd 自然感を有する低カロリ−甘味料組成物
WO1985001862A1 (en) 1983-11-04 1985-05-09 General Foods Corporation Sweetener composition, process for making the same, and comestibles comprising said sweetener composition
US4590075A (en) * 1984-08-27 1986-05-20 Warner-Lambert Company Elastomer encapsulation of flavors and sweeteners, long lasting flavored chewing gum compositions based thereon and process of preparation
FR2575180B1 (fr) * 1984-12-20 1987-02-06 Roquette Freres Produit a haute teneur en maltitol, ses application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4604288A (en) 1985-05-23 1986-08-05 Warner-Lambert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 chewing gum composition with improved flavor perception
US4695463A (en) 1985-05-24 1987-09-22 Warner-Lambert Company Delivery system for active ingredients and preparation thereof
FR2588005B1 (fr) * 1985-10-02 1987-12-11 Roquette Freres Maltitol poudre directement compressibl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CA1295874C (en) * 1986-06-19 1992-02-18 Zdravko Dokuzovic Flavor emulsions and chewing gum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4724151A (en) 1986-10-24 1988-02-09 Warner-Lambert Company Chewing gum compositions having prolonged breath-freshening
US4915958A (en) * 1986-12-10 1990-04-10 Warner-Lambert Company High-base gum composition with extended flavor release
US5004595A (en) 1986-12-23 1991-04-02 Warner-Lambert Company Multiple encapsulated flavor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preparation
US4803083A (en) 1987-03-16 1989-02-07 Wm. Wrigley Jr. Company Method of optimizing texture and processability of chewing gums and compositions made therefrom
US4792453A (en) * 1987-05-04 1988-12-20 Wm. Wrigley Jr. Company Hard coated sugarless chewing gum
US4986991A (en) * 1987-05-15 1991-01-22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having an extended sweetness
US4808418A (en) 1987-06-30 1989-02-28 Warner-Lambert Company Heterogenous chewing gum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US4822621A (en) 1987-07-30 1989-04-18 Warner-Lambert Company Method and product for increased aspartame stability in chewing gum
US4933188B1 (en) * 1987-12-31 1997-07-15 Warner Lambert Co Chewing gum composition with improved physical stability
US5017400A (en) * 1988-06-10 1991-05-21 Suomen Xyrofin Oy Non-cariogenic sweetener
US4889727B1 (en) 1988-09-02 1993-12-21 Wm. Wrigley, Jr. Company Using cocoa powder to enhance the flavor of synthetic chewing gum base
US4959225A (en) 1988-10-28 1990-09-25 Warner-Lambert Company Synergistic sweetening compositions containing chlorodeoxysugars and maltitol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CA1332533C (en) 1988-11-04 1994-10-18 Albert H. Chapdelaine Emulsifiers for flavor prolongation in chewing gum
US4900563A (en) 1988-12-29 1990-02-13 Warner-Lambert Company Fructose sweetened chewing gum compositions
US5110608A (en) 1988-12-29 1992-05-05 Warner-Lambert Company Chewing gums having longer lasting sweetness
US5139794A (en) 1989-04-19 1992-08-18 Wm. Wrigley Jr. Company Use of encapsulated salts in chewing gum
US4983404A (en) 1989-06-05 1991-01-08 Warner-Lambert Company Controlled release flavor system and method of preparation
US4948595A (en) * 1989-06-30 1990-08-14 Wm. Wrigley Jr. Company Spearmint enhanced peppermint flavored chewing gum with improved stability
DK167645B1 (da) 1989-07-11 1993-12-06 Danochemo As Tyggegummi med styret aromafrigivelse samt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deraf
JPH0695888B2 (ja) * 1989-10-18 1994-11-30 株式会社サンギ カルシウム補給用チューインガム
US5059429A (en) * 1989-10-27 1991-10-22 Warner-Lambert Company Sucralose sweetened chewing gum
CA2029069A1 (en) 1989-11-07 1991-05-08 Mansukh M. Patel Chewing gum with improved sweetness profile incorporating finely ground bulk sweetener without starch
US5030459A (en) 1989-11-07 1991-07-09 Warner-Lambert Company High impact mint flavor for high base chewing gum
EP0453402A1 (en) 1990-04-16 1991-10-23 Warner-Lambert Company Chewing gum compositions containing xylitol and sucrose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US5075118A (en) 1990-09-28 1991-12-24 Wm. Wrigley Jr. Company Method for making sugarless xylitol containing chewing gum
US5165943A (en) 1991-06-21 1992-11-24 Wm. Wrigley Jr. Company Cooling agent/cyclodextrin complex for improved flavor release
US5153011A (en) 1991-08-16 1992-10-06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flavor ingredient
EP0528466B1 (en) 1991-08-16 1995-04-26 Quest International Nederland Bv Chewing gum with improved flavor release
WO1993017574A1 (en) 1992-03-03 1993-09-16 Wm. Wrigley Jr. Company Low calorie, high base chewing gum
JP3089514B2 (ja) * 1992-08-06 2000-09-18 東和化成工業株式会社 噛み心地の改善された無糖チューインガム及びその製法
US5405623A (en) * 1993-09-22 1995-04-11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5495667A (en) 1994-11-07 1996-03-0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contact pins for semiconductor dice and interconn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05281T2 (de) 1999-05-27
NO310954B1 (no) 2001-09-24
FI115379B (fi) 2005-04-29
CA2141504C (en) 2006-10-10
ATE172076T1 (de) 1998-10-15
FI950394A (fi) 1995-08-02
FR2715538A1 (fr) 1995-08-04
AU1160395A (en) 1995-08-10
IL112478A (en) 1999-08-17
ES2122463T3 (es) 1998-12-16
JP3863201B2 (ja) 2006-12-27
KR950030826A (ko) 1995-12-18
WO1995020882A1 (fr) 1995-08-10
DE69505281D1 (de) 1998-11-19
EP0664960B1 (fr) 1998-10-14
DK0664960T3 (da) 1999-06-23
AU686282B2 (en) 1998-02-05
CA2141504A1 (en) 1995-08-02
NO950341D0 (no) 1995-01-30
JPH08191665A (ja) 1996-07-30
MX9500745A (es) 1997-02-28
US5547689A (en) 1996-08-20
EP0664960A1 (fr) 1995-08-02
IL112478A0 (en) 1995-03-30
FI950394A0 (fi) 1995-01-30
FR2715538B1 (fr) 1996-04-26
NO950341L (no) 1995-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029B1 (ko) 관능적품질이개선된츄잉-검및이러한츄잉-검의제조방법
US4986991A (en) Chewing gum having an extended sweetness
US5082671A (en) Low moisture sucralose sweetened chewing gum
CA2028511C (en) Sucralose sweetened chewing gum
US5912030A (en) Comestible products having extended release of addititives and method of making
CA2045598C (en) Polyvinyl acetate encapsulation of crystalline sucralose for use in chewing gum
RU2662783C2 (ru) Новое кондитерское изделие с улучшенной хрусткостью
JP2514311B2 (ja) パラチノ―スおよび/またはパラチノ―スオリゴ糖を含有するチュ―イングガム
AU608329B2 (en) Chewing gum having a controlled sweetness
KR102501459B1 (ko) 과자류 제품의 신규한 조성물
CA2125558C (en) Chewing gum utilizing codried 3-1-menthoxypropane-1, 2-diol
JP2001513330A (ja) N−エチル−p−メンタン−3−カルボンアミドを含有する増進された香味組成物及びそれを製造及び使用する方法
US5145696A (en) Chewing gum with gum base in rolling compound
EP0356471B1 (en) Chewing gum with improved sweetness employing xylitol rolling compound
JPS586453B2 (ja) 持続性風味を有するチユウインガムおよびその製造法
JPS623189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