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976B1 - 아미노메틸인단, -벤조푸란 및 -벤조티오펜 - Google Patents

아미노메틸인단, -벤조푸란 및 -벤조티오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976B1
KR100357976B1 KR1019950702357A KR19950702357A KR100357976B1 KR 100357976 B1 KR100357976 B1 KR 100357976B1 KR 1019950702357 A KR1019950702357 A KR 1019950702357A KR 19950702357 A KR19950702357 A KR 19950702357A KR 100357976 B1 KR100357976 B1 KR 100357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lkyl
cycloalkyl
alkyl
phenyl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4234A (ko
Inventor
옌스크리스티안페리가르트
Original Assignee
하. 룬트벡 아크티에 셀스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 룬트벡 아크티에 셀스카브 filed Critical 하. 룬트벡 아크티에 셀스카브
Publication of KR950704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4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30Oxygen or sulfur atoms
    • C07D233/32One oxy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6Psychostimulants, e.g. nicotine, c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43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57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condensed ring syste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6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condensed ring systems of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forming part of at least one of the condensed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3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3/4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33/43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hydrogen atom or to a carbon atom of a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6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7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3/80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28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275/4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01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02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311/08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1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14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C07D307/79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07/81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54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33/58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6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 C07C2601/08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2/00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 C07C2602/02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the rings having only two atoms in common
    • C07C2602/04One of the condensed rings be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602/08One of the condensed rings be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other ring being five-membered, e.g. ind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ddiction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Furan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일반식 (I) :
[상기식에서 X및 Y중 하나는 CH2이고, 다른 하나는 CH2, O 또는 S이고; R1은 지방족 탄화수소기, 아릴알킬, 아실, 술포닐기, 카르보네이트기 또는 R11R12NCO-(식중 R11및 R12는 수소 및 탄화수소기로부터 선택된다) 이고; R2는 수소 또는 탄화수소기이고; R3내지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히드록시, 알킬술포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또는 니트로로부터 선택되며; R6및 R7은 각자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거나 함께 결합하여 탄소환고리를 구성하며; R8및 R9은 독림적으로 수소, 탄화수소기 또는
(식중 R13은 수소 또는 탄화수소기이고, W 는 0또는 S이고 r은 2내지 6이다) 이다]을 갖는 화합물은 중심 5-HT1A리셉터에서 효능을 가지며 정신병, 불안장애, 우울, 충동제어 장애, 알코올중독, 공격성, 빈혈증, 종래 항정신병 약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또는 심장혈관장애의 치료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아미노메틸인단, -벤조푸란 및 -벤조티오펜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중추 5-HT1A리셉터에서의 효능을 가진 치환된 아미노메틸인단, -2,3-디히드르벤조푸란, -2,3- 디히드로벤조티오펜, -1,3- 디히드로이소벤조푸란 및 -1,3-디히드로이소벤조티오펜의 신규한 부류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 아미노메틸 화합물은 일정한 정신장애 및 신경학적 장애의 치료에 유용하다.
발명의 배경
몇가지 아미노메틸인단과 관린 화합물은 선행기술로 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유럽특허 0 281 261호는 6번위치(인단) 또는 5번위치(벤조푸란, 벤조티오펜)에서 히드록시기 또는 치한된 히드록시기를 가진 1- 아미노메틸인단, 3-아미노메틸벤조푸란 및 3-아미노메틸벤조티오펜 유도체를 개시한다. 이들 화합물은 중추 도파민아고니스트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시냅스전 도파민리셉터에서의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영국특허 No 2 093 837A는 5-, 6- 및/ 또는 7- 위치에 하나이상의 히드록시 또는 알킬 치환기를 가진 1- 아미노알킬 테트랄린 유도체의 부류에 관한 것이고, 아드레날린 작용성 및 도파민 작용성 효과를 나타내어 고혈압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특허 권리를 주장하였다. 드베르나르디스 등(DeBernardis et al., J. Med. Chem,, 1985, 28(10), 1398-1404)은 디히드록시- 치환 아미노메틸테트랄린, - 인단 및 벤조시클로부텐에 관한 그러한 효과를 논하였다.
유럽특허 No. 0 402 923 A2 는 상이한 기능의 도파민 리셉터와 상호작용을 하는 상이한 화합물을 가지며, 따라서 정신분열증, 고혈압 및 파킨슨병에 대한 효과와 같은 상이한 치료학적 효과를 가진, 중추 도파민 아고니스트 활성을 가졌다고 주장하는 2,5- 디아미노테트랄린 유도체를 개시한다.
독일특허 No. 39 24 365 A1 은 시냅스전 도파민 아고니스트 특성을 가지며 따라서 항고혈압 및 심박수감소 효과와 중추신경계에서의 효과를 가졌다고 말하는 2- 아미노-7- 카르바모일테트랄린 유도체를 기술한다.
미국특허 No. 4,500,543에서 일정한 1- 아미노메틸프탈란 화합물은 아드레날린 작용성 효과와, 따라서 항고혈압 및 심박수 감소 특성을 나타낸다고 말한다. 상기 특허는 5-, 6- 및/ 또는 7- 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프랑스특허 No. 2 548 146은 진통 및 /또는 진경효과를 갖는 것을 특허권리로 주장하는 3-아미노메틸티오프탈리드 및 3- 아미노메틸이소벤조푸란티온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이들 참고문헌에는 어떠한 화합물도 5-HT1A리셉터 활성을 갖는다고 논의되거나 제안되지 않았다.
부스피론, 8-[4-[4-(2- 피리미딜)-1-피페라진일] 부틸]-8-아자스피로[4,5]데칸-7,9- 디온, 게피론, 4,4-디메틸-1-[4-[4-(2-피리미딜)-1-피페라진일] 부틸]-2,6-피페리딘디온 및 입사피론, 2-[4-[4-(2- 피리미딜)-1-피페라진일] 부틸]-1,2-벤조티아졸-3(2H)- 온-1,1- 디옥시드와 같은 5-HT1A아고니스트 활성을 가진 공지화합물의 임상연구는 그러한 화합물이 전신불안장애와 같은 불안장애, 공포장애 및 강박반응장애의 치료에 유용함을 나타내었다(Glitz, D. A,, Pohl, R., Drugs 1991, 41, 11). 또한 임상전 연구는 5-HT1A아고니스트 효과를 가진 화합물이 상기 언급된 불안관련 장애의 치료에 유용함을 지적하였다(Schipper, Human Psychopharm., 1991, 6, S53).
또한 우울, 뿐만아니라 충동제어장애 및 알코올 중독의 치료에서 5-HT1A아고니스트 활성을 가진 화합물의 유리한 효과를 지지해주는 임상 및 임상전 증거가 있다(van Hest, Psychopharm, 1992, 107, 474; Schipper et al, Human Psychopharm., 1991, 6, S53; Cervo et al, Eur. J. Pharm., 1988, 158, 53; Glitz, D. A., Pohl, R., Drugs 1991, 41, 11).
5-HT1A아고니스트 화합물은 수컨 마우스의 고립- 유발 공격성을 저해하며 이들 화합물이 공격성의 치료에 유용함을 나타낸다(et al, Psychopharmacology, 1992, in Press).
또한, 5-HT1A아고니스트 활성을 가진 화합물은 동물모델에서 항정신병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Wademberg and Ahlenius, J. Neural Transm, 1991,83, 43; Ahlenius, Pharm Tox., 1989, 64, 3; Lowe et al., J. Med, Chem., 1991, 34, 1860; New et al., J. Med. Chem., 1989, 32, 1147; and Martin et al., J. Med. Chem., 1989, 32, 1052).
또한, 최근 연구는 5-HT1A리셉터가 할로페리돌-유발 강직증의 세로토닌 작용성 변조에 중요함을 가리키며(Hicks, Life Science 1990, 47, 1609) 5-HT1A아고니스트가 예를들면 할로페리돌과 같은 종래의 항정신병 약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의 치료에 유용함을 제시한다.
5-HT1A아고니스트 활성을 가진 화합물은 국소 및 전체 뇌빈혈을 가진 설치류 모델에서 신경보호 특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빈혈질병 상태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Prehn, Eur, J. Pharm. 1991, 203, 213).
동물모델 및 임상시험에서 5-HT1A아고니스트는 중추 메카니즘을 경유하여 항고혈압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Saxena and, Trends Pharm, Sci. 1990, 11, 95; Gillis et al, J. Pharm. Exp. Ther. 1989, 248, 851). 그러므로 5-HT1A아고니스트 활성을 가진 화합물은 심장혈관장애의 치료에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5-HT1A아고니스트 활성을 가진 화합물은 그러한 조건의 치료에서 유용하므로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믿어진다.
발명의 개요
현재 일정한 신규 아미노메틸인단, -2,3- 디히드로벤조푸란, -2,3- 디히드로벤조티오벤, -1,3- 디히드로이소벤조푸란 및 -1,3-디히드로벤조티오펜은 중추 5-HT1A리셉터에서 아고니스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 I을 가진 신규한 부류의 화합물과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 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X 및 Y중 하나는 CH2이고 다른 하나는 CH2,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은 저급알킬, 저급 알켄일, 저급 알킨일, 시클로알크(엔) 일, 시클로알크(엔)일- 저급알크(엔/인) 일, 아릴- 저급 알킬, 아실, 저급- 알킬술포닐, 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 아릴술포닐, Rl0ZCO-(식중 Z는 O 또는 S이고 R10은 알킬, 알켄일, 알킨일, 시클로알크(엔)일, 시클로알크(엔) 일 알킬, 또는 아릴이다.) 또는 R11R12NCO-(식중 R11및 R12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켄일, 알킨일, 시클로알크(엔) 일, 시클로알크(엔) 일 알크(엔/인) 일, 또는 아릴이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는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켄일, 저급 알킨일, 시클로알크(엔) 일, 시클로알크(엔)일- 저급 알크(엔/인) 일, 아릴- 저급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내지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아실, 저급 알킬티오, 히드록시, 저급 알킬술포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또는 니트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6및 R7은 각각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거나 함께 결합하여 3-7- 원 탄소환 고리를 구성하며;
R8및 R9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켄일, 알킨일, 시클로알크(엔) 일, 시클로알크(엔)일- 알크(엔/인) 일, 아릴알킬 또는 다음 기
(식중 R13은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켄일, 저급알킨일, 시클로알크(엔) 일, 시클로알크(엔)일- 저급 알크(엔/인) 일, 아릴- 저급 알킬 또는 아릴이고, W 는 O 또는 S이고 r은 2 내지 6이다) 이며; 또는
R8및 R9는 함께 결합하여 한개의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3-7원 고리를 형성하며; 존재하는 모든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알킬기는 한개 또는 두개의 히드록시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히드록시기는 다시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으로 선택적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으며; 그리고 존재하는 모든 아릴치환기는 할로겐,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저급 알킬티오, 히드록시, 저급 알킬술포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또는 니트로로 선택적으로 치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시험관내 삼중수소화 8- 히드록시-2- 디프로필아미노테트랄린(8-OH-DPAT) 과 5-HT1A리셉터의 결합을 억제하는데 효능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본 화합물은 보통, 시험관내 5-HT1A아고니스트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그것은 각각 항정신병 및 불안완화 특성을 예상하는 동물모델에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정신병, 전신 불안장애와 같은 불안장애, 공포장애, 및 강박반응장애, 우울, 충동제어장애, 알코올중독, 공격성, 빈혈증, 종래의 항정신병약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또는 심장혈관장애의 치료를 위한 약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액과 조합하여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양으로 상기 정의된 바의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신규화합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 이상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정신병, 불안장애, 우울, 충동제어장애, 알코올중독, 공격성, 빈혈증, 종래의 항정신병 약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또는 심장혈관장애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제제의 제조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염의 사용을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일반식 I의 어떤 화합물은 그것의 광학적 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광학적 이성질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의 용어 알킬은 C1-C20직쇄 또는 분지 알킬기를 말하며 유사하게 알켄일 및 알킨일은 각기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가진 C2-C20직쇄 또는 분지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용어 시클로알킬은 3 내지 8탄소원자를 가진 탄소환 고리 또는 이환식 또는 삼환식 탄소고리, 예컨대 아다만틸을 가리킨다.
용어 저급알킬, 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티오 등은 1 내지 6탄소원자를 가진 그러한 분지된 또는 비분지된 기를 말한다. 그러한 기의 예는 메틸, 에틸, 1-프로필, 2-프로필, 1-부틸, 2-부틸, 2-메틸-2- 프로필, 2-메틸-1- 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1-프로폭시, 메틸티오, 에틸티오, 1-프로필티오, 2-프로필티오,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등이다. 유사하게, 저급 알켄일 및 저급 알킨일은 2내지 6탄소원자를 가지며 각기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가진 그러한 기를 말한다.
알크(엔/인) 일이라는 표현은 그 기가 알킬, 알켄일 또는 알킨일 기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아릴은 페닐, 또는 인돌일기를 말한다.
할로겐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의 용어 아실은 포르밀, 알킬카르보닐, 알켄일카르보닐, 알킨일카르보닐, 아릴카르보닐, 아릴알크(엔/인) 일 카르보닐, 시클로알킬카르보닐 또는 시클로알킬 알크(엔/인) 일 가르보닐기를 말한다.
식 I에서 바람직하게는 X는 CH2, O 또는 S이고 Y는 CH2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아릴- 저급알킬기, 아실기, 저급 알킬술포닐기 또는 R11R12N-CO-기(식중 R11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R12는 수소, 알킬, 아릴, 또는 시클로알킬이다) 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1은 벤질 또는 치환 벤질, 포르밀, 알킬카르보닐, 특히 아세틸, 아릴카르보닐, 특히 벤조일 또는 치환벤조일, 또는 R11R12N-CO-기(식중 R11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12는 수소, 저급알킬, 페닐, 치환페닐, 또는 C5-6시클로알킬이다) 이다.
바람직하게는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R3,R4,R5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바람직하게는 R6와 R7은 모두 수소이다.
바람직하게는 R8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R9은 저급 알킬, 아릴- 저급 알킬, 시클로알킬- 저급 알킬 또는 식 Ia 의 기(식중 W는 O이고 R13은 수소, 저급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이거나 대안으로 R8및 R9은 결합하여한개의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C3-C7원 고리를 형성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9는 페닐- 저급 알킬, 치환페닐- 저급알킬, 인돌일- 저급알킬, 시클로헥실- 저급알킬 또는 식 Ia 의 기(식중 W는 O이고 R13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 시클로알킬, 페닐 또는 치환 페닐기이다) 이거나 R8및 R9은 결합하여 피롤리딘 또는 피페리딘 고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산부가염은 비독성 산과 형성된 식 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그러한 유기염의 예는 말레산, 푸마르산, 벤조산, 아스코르브산, 엠본산, 숙신산, 옥살산, 비스- 메틸렌살리실산, 메탄술폰산, 에탄디술폰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타르타르산, 살리실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락트산, 말산, 만델산, 신남산, 시트라콘산, 아스파르트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이타콘산, 글리콜산, p-아미노벤조산, 글루탐산, 벤젠술폰산 및 테오필린아세트산, 뿐만아니라 8- 할로테오필린, 예를들면, 8-브로모테오필린이다. 그러한 무기염의 예는 염산, 브롬산, 황산, 술파민산, 인산 및 질산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캅셀, 분말, 시럽등의 형태로 경구적으로, 또는 주사용 용액의 형태로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 사용되는 모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액, 부형제, 또는 다른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편리하게,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 0.01 내지 50mg의 양으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단위 투여량 형태로 투여된다.
전체 1일 투여량은 보통 본 발명의 활성성분의 약 0.05-5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내지 20mg 의 범위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식 I의 인단, 2,3-디히드로벤조푸란, 2,3-디히드로벤조티오펜, 1,3-디히드로이소벤조푸란 및 1,3- 디히드로이소벤조티오펜의 신규 아미노메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a) 다음 식II:
(식중 R2내지 R9, X 및 Y는 사전 정의된 바와같다) 의 아미노 유도체를 카르복실산 할로겐화물 R1'CO-hal 과 같은 아실화제로 아실화시키는 방법, R1'CO 는 R1의 정의에 포함되는 아실기이고 hal은 할로겐, 카르복실산무수물 또는 혼합 산무수물 R1'CO-OCOR, R 은 알킬, 아릴 또는 알콕시,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또는 이 분야에 널리 공지된 유사한 활성화된 아실화 유도체이다;
b) R1이 저급 알킬, 저급 알켄일, 저급 알킨일, 시클로알크(엔) 일, 시클로알크(엔) 일-저급 알크(엔/인) 일 또는 아릴- 저급알킬인 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식II의 아미노 유도체를 알킬할로겐화물 R1"-hal, 메실레이트 R1"OSO2CH3, 토실레이트 R1"OSO2C6H4-CH3, 또는 적당한 이탈기를 가진 유사한 알킬화제와 같은 알킬화제로 알킬화시키는 방법, R1" 은 저급 알킬, 저급 알켄일, 저급 알킨일, 시클로알크(엔) 일, 시클로알크(엔) 일- 저급 알크(엔/인) 일,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다;
C)다음 식III:
(식중 R1내지 R9, X 및 Y는 사전 정의된 바와같으며, 적어도 하나의 X및 Y는 CH2이고 두개의 점선중 하나는 이중결합을 가리킨다.)의 화합물중의 이중 결합을 환원시키는 방법; 또는
d)다음 식IV:
(식중 R1내지 R8, X 및 Y는 사전 정의된 바와같다) 의 아민 유도체를 알킬할로겐화물 R9-hal, 메실레이트 R9OSO2CH3, 토실레이트 R9OSO2C6H4-CH3또는 적당한 이탈기를 가진 유사한 알킬화제와 같은 알킬화제로 알킬화시키는 방법, 식중 R9은 사전 정의된 바와같다, 또는
e) R1이 사전 정의된 바와 같지만 아미노기에 대하여 1- 위치에 메틸렌기를 가진 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 식V:
(식중 R2내지 R9, X 및 Y는 사전 정의된 바와같으며 R1"' CH2기는 R1기를 구성한다)의 아미드 유도체를 환원시키는 방법; 또는
f)다음 식VI:
(식중 R3' 내지 R5'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이고 그외의 것은 R3,R4또는 R5에 대해 사전 정의된 바와같으며, R6내지 R9, X 및 Y는 사전정의된 바와같다) 의 화합물을 할로겐 또는 할로겐화제, 술폰화제, 질화제, 카르보늄 이온(RCO+, R+)(식중 R은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크(엔/인) 일이다) 을 발생하는 반응제와 같은 반응시약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치환기 R3,R4또는 R5를 도입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 a) 의 아실화는 반응성 카르복실산 염화물,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사용될때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메톡시에탄과 같은 비환성용매내에서 저온(예를들면 실온이하) 에서 용이하게 실행된다. 포르밀화 아민은 포름산중에서 포름산의 에스테르와의 반응에 의하거나 본래 제조된 혼합 포름산 무수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해당 아민으로부터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반응 온도는 0 ℃와 포르밀 전구체 화합물의 비등점사이이다.
방법 b) 및 d) 에 따른 알킬화는 일반적으로 트리에틸아민 또는 탄산칼륨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아세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에탄올 또는 2- 프로판을 같은 적합한 용매내에서 환류시킴으로써 실행된다.
방법 c) 에 따른 이중결합의 환원은 일반적으로 파르(Parr)장치로 저압 (<3atm) 에서 촉매수소화로 실행된다.
방법 e) 에 따른 아미드의 환원은 일반적으로 실온 또는 약간의 승온하에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옥산과 같은 비활성 용매중에서 LiAIH4, AlH3또는 디보란을 사용함으로써 실행된다. 방법 f) 에 따른 할로겐화는 일반적으로 Fe 이온 또는 무기산과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편리한대로 염소 또는 브롬 또는 N- 클로로숙신아미드, N-브로모숙신이미드 또는 다른 할로겐 전구체 분자를 사용함으로써 실행된다.
이하에 본 발명은 몇가지 실시예로 더 설명되지만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6-포르밀아미노인단, 옥살레이트 1a(방법 a)
출발물질, 1-인단카르복실산은 아샴 및 린렐(V. Asham and W. H, Linnell, J. Chem. Soc. 1954, 4691-4693 참조) 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디클로로메탄(100ml) 중의 인단카르복실산(32.2g), 염화티오닐(50ml)및 2방울의 DMF혼합물을 3시간동안 환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키고 남아있는 미정제 카르복실산 염화물을 더 이상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0 내지 5℃로 유지된 디클로로메탄 중의 N,N-디프로필아민(50ml)용액에 디클로로메탄(200ml) 중의 미정제 카르복실산염화물 용액을 모두 적가하였다. 온도를 점차 실온으로 올리고 반응혼합물을 밤새도록 더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남아있는 점성 유상물을 실리카겔을 통과시켜서 여과하여 정제하였다(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 1:1로 용출함). N,N-디프로필-1-인단카르복사미드의 수득량: 32g, -10℃로 유지된 진한 H2SO4(120ml) 중의 인단카르복사미드(20g)의 잘교반된 용액에 -15 내지 -10℃에서 100% HNO3(6g)와 진한 H2SO4(40ml)의 냉각 혼합물을 적가하였다. 온도를 5℃로 올리고(디니트로화합물의 형성을 피할 정도로 높지않게) 혼합물을 파쇄얼음(2kg) 으로연속해서 주입하였다. 유기물질을 디에틸에테르(2× 200ml)로 추출하고, 수집한 유기상을 묽은 Na2CO3수용액(3×50ml) 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시키고(무수 MgSO4) 활성탄으로 처리하였다. 진공하에 디에틸에테르를 증발시켜서 N,N- 디프로필 -6- 니트로-1- 인단카르복사미드를 유상물(15g) 로서 얻었다. 이 유상물을 모두 90%에탄올(250ml) 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환류가열하고 Fe 분말(10 ×2g) 과 6M 수성 HCl(10 ×0.2ml)을 1시간동안 급속교반하에 소량씩 가하였다. 혼합물을 1 시간더 환류시켰다. 무기물질은 혼합물이 아직 뜨거운 동안 여과제거하였다. 용액을 활성탄으로 처리하고 계속해서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남아있는 고체물질을 디엑틸에테르와 이소프로필에테르의 1:1혼합물로부터 재결정하여 9.5g 의 6-아미노-N,N- 디피로필-1- 인단카르복사미드를 얻었다. Mp: 100 ℃. 무수 THF중의 LiAlH4(4g)현탁액에 6- 아미노인단 카르복사미트 용액을 모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동안 환류시키고 이어서 얼음냉각 시켰다. H2O/THF 혼합물을 과량의 LiAlH4가 파괴되지 않게 신중하게 가하였다. 무기염을 여과제거하고 필터케이크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주의깊게 세척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남아있는 유상물을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H2O 를 톨루엔의 증발에 의해 제거하여 6- 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이 유상물로 남았다. 수득량 7.0g. 포름산(98%, 18ml) 에 0℃바로 위의 온도에서 아세트산 무수물 3.1ml를 가하였다. 6-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을 모두 디클로로메탄(15ml)에 용해시키고 0 내지 5℃에서 적가하였다. 5℃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100ml)와 묽은 수성 NH4OH(100ml) 를 가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상기와 같이 반응종결시켜서 표제화합물 1a 이 유상물로서 남았다. 옥살레이트 염을 아세톤에서 결정화하였다. 수득량 7.4g. Mp: 150-152℃.
해당 방식으로 다음 N,N- 디치환 6- 포르밀아미노-1- 아미노메틸인단을 제조하였다:
1-(N,N-디메틸아미노메틸)-6-포르밀아미노인단, 옥살레이트 1b, Mp: 163-164℃
6- 포르밀아미노-1-(1-피페리디노메틸) 인단, 푸마레이트 1c. Mp: 188-190℃
6- 포르밀아미노-1-(1-피롤리디노메틸) 인단, 옥살레이트 1d Mp: 176-179℃
실시예 2
6- 아세틸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염산염 2a(방법 a)
디클로로메탄(50ml)중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6- 아미노-1-(N,N-디프로0필아미노메틸) 인단(9g)용액에 트리에틸아민(4.2g)을 가하였다. 디클로로메탄 (10ml)중의 염화아세틸(3.3g)용액을 0 내지 10℃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더 교반하고 최종적으로 묽은 수성 NH4OH(100ml) 에 주입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반응종결시켜서 11.0g의 미정제 표제생성물 2a를 유상물로서 얻었다. 염산염을 아세톤에서 결정화하였다. 수득량: 9.4g, mp: 212-216 ℃
해당 방식으로 다음 N,N- 디치환 6- 아실아미노-1- 아미노메틸인단을 제조하였다:
6- 아세틸아미노-1-(N,N-디메틸아미노메틸) 인단, 염산염 2b, Mp: 236-238℃
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6-(4- 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 인단, 염산염 2c, Mp: 217-220℃
6- 아세틸아미노-7- 클로로-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옥살레이트 2f, Mp: 77-79℃ (20%의 6- 아미노-7- 클로로-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디옥살레이트를 함유함)
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6-(메틸술포닐아미노) 인단, 옥살레이트 2g, Mp: >300 ℃
7- 클로로-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6-(메틸술포닐아미노) 인단, 옥살레이트 2h, Mp: 80-84℃
5- 아세틸아미노-3-(1-피페리디노메틸)-2,3-디히드로벤조티오펜 2i, Mp: 126-128℃
실시예 3
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6-우레이도- 인단 3a(벙법 a)
메탄올(10ml)중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6- 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5g)용액에 아세트산(7.3g)을 가하였다. 물(5ml) 중의 KOCN(3.3g) 용액을 0 내지 10℃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물(200ml) 과 에틸아세테이트(50ml)를 가하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반응종결시켰다. 표제화합물 3a 의 푸마레이트염을 에탄올에서 결정화하였다. 유리염기를 푸마레이트에서 결정 생성물로서 단리하였다. 수득량 1.1g, Mp: 101℃
실시예 4
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6-(3- 페닐-1- 우레이도) 인단 4a(방법 a)
디클로로메탄(100ml) 중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6- 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4.9g)용액에 페닐이소시아네이트(3g)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동안 표제화합물 4a 를 결정화하였다. 혼합물을 얼음으로 냉각시키고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제거하였다.
수득량 4.0g, mp: 198-201℃
해당방식으로 다음 N,N- 디치환 6-우레이도-1- 아미노메틸인단을 제조하였다:
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6-(3- 메틸-1- 우레이도) 인단, 염산염 4b, Mp: 180-182℃
6-(3,3-디메틸-1- 우레이도)-1-(N,N- 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염산염 4c, Mp: 185-187℃
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6-(3- 노닐-1- 우레이도) 인단, 염산염 4d, Mp: 14S-150℃
6-(3-시클로펜틸-1- 우레이도)-1-(N,N- 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42, Mp: 136-138 ℃
실시예 5
3-(N,N- 디프로필아미노메틸)-5-포르밀아미노-2,3- 디히드로벤조티오펜, 옥살레이트 5a(방법 a)
출발물질, 5-아미노-2,3- 디히드로-N,N- 디프로필-3- 벤조티오펜 카르복사미드는 유럽특허 88-301073 CA 110(9), 75302y(1988), J. Amer. Chem, Soc 1948, 70, 1955 및 J. Chem. Soc(c) 1967, 1899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THF(200ml)중의 카르복사미드(10g) 용액에 LiAlH4펠릿(3×1g) 을 가하고 혼합물을 2h 동안 완속 환류하였다. 과량의 LiAlH4를 20℃에서 THF(25ml)중의 물 10%용액을 신중하게 가하여 파괴하였다. 무기염을 여과제거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남아있는 유상물(7.0g)을 더 이상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얻어진 톨루엔(50ml)중의 미정제 5- 아미노-3-(N,N-디프로필아미노메틸)-2,3-디히드로벤조티오펜에 98%포름산(20ml)을 가하였다. 톨루엔/ 포름산을 온도가 130-140℃에 달할 때까지 점차 증류 제거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묽은 수성 NH4OH(250ml) 에 주입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ml) 를 가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반응종결시켰다. 표제화합물 5a를 실리카겔 상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1:1혼합물중의 3% 트리에틸아민으로 용출함). 결정 옥살레이트염을 아세톤중의 에탄을 15%용액에서 얻었다.
수득량: 2.4g, Mp: 135-136 ℃
해당 방식으로 다음 N,N- 디치환 3- 아미노메틸-2,3- 디히드로벤조티오펜을 제조하였다:
3-[N-(2- 페닐에틸)-N-프로필아미노메틸]-5-포르밀아미노메틸-2,3- 디히드로벤조티오펜 5b, 유상물로서 단리됨
6- 아세틸아미노-1-(1-피페리리노메틸) 인단, 옥살레이트 5c, Mp: 158-160℃
실시예 6
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6-(4- 플루오로벤질아미노) 인단, 옥살레이트 6a(방법 e)
-5℃로 유지된 디클로로메탄(75ml)중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6- 아미노-N,N-디프로필-1- 인단카르복사미드(10g) 와, 트리에틸아민(4.2g)용액에 디클로로메탄(30ml)중의 4-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6g)용액을 적가하였다. 온도를 실온으로 천천히 올렸다. 물(200ml) 을 가하고 유기상을 반응종결시켜서 15g의 미정제 4- 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 유도체가 유상물로 남았다. 소량의 샘플을 정제하고 결정화하였다. Mp: 135 ℃. 무수 THF(50ml)중의 LiAlH4(1g)현탁액에 정제된 4-플루오로벤조일아미로 유도체(3g)를 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동안 완속환류시켰다. 냉각후, 과량의 LiAlH4를 20℃에서 THF(15ml)중의 물 10%용액을 신중하게 가하여 파괴하였다. 무기염을 여과제거하고, 필터케이크를 디클로로메탄(2×50ml) 으로 철저하게 세척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미정제 표제화합물 6a가 유상물로 남았다. 옥살레이트염(1.5mol 옥살산/mol표제화합물) 을 아세톤에서 결정화하였다.
수율 1.1g, mp: 135-140℃
실시예 7
5- 아세틸아미노-3-(1-피페리디노메틸)-2,3-디히드로벤조푸란, 옥살레이트7a(방법 a)
3- 벤조푸란카르복실산:
클로로포름(600ml) 중의 벤조푸란(75g) 용액에 -10℃에서 클로로포름(150ml) 중의 브롬(41ml) 용액을 적가하였다. 온도를 실온으로 천천히 도달하게 하고 클로로포름을 진공하에 증발시켜서 미정제 2,3- 디브로모-2,3- 디히드로벤조푸란이 결정생성물로 남았으며 더 이상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수득량: 171g. 에탄올 (600ml)중의 디브로모유도체(147g)에 에탄올(200ml) 중의 KOH(59g) 용액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2.5시간동안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후 혼합물을 물에 주입하고 에틸아세테이트(2×300ml)로 추출하였다. 수집한 유기상을 반응종결시키고 이어서 3- 브로모벤조푸란을 용출액으로서 n- 헵탄을 사용하여 실리카겔을 통과시켜서 용출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 반결정 생성물 51g을 얻었다.
N- 메틸-2- 피롤리딘온(350ml) 중의 이와같이 얻어진 3- 브로모벤조푸란과 CuCN(33g)용액을 모두 N2하에 =190℃로 가열하였다. 1 시간간격으로 CuCN(3×4.5g)을 더 가하였다. 아직 뜨거울때 혼합물을 물(610ml) 과 진한 염산(156ml) 중의 FeCl3· 6H2O 용액으로 주입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0℃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이어서 얼음/ 물(51)에 주입하였다. 디에틸에테르(3×300ml)로 추출하고 수집된 유기상을 반응종결시켜서 융점이 76-82℃인 미정제, 결정 3- 시아노벤조푸란을 얻었다. 수율: 34g. 3-시아노벤조푸란을 아세트산: 진한 H2SO4: 물 1:1:1혼합물(660ml) 에 용해시키고 3시간동안 환류하였다. 냉각시킨후 물을 가하고 최종적으로 3- 벤조푸란카르복실산을 디에틸에테르(3×200ml)로 추출하고 반응종결시켰다. 수득량 37g. Mp: 152-156℃
3-(1-피페리딜카르보닐) 벤조푸란:
디클로로메탄(200ml) 중의 3- 벤조푸란카르복실산(15g), N,N- 디메틸포름아미드(2ml) 및 염화티오닐(25ml)의 혼합물을 5시간동안 환류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과량의 염화티오닐을 톨루엔으로 두번 증발시켜서 제거하였다. 이와같이 얻어진 3-벤조푸란카르복실산 염화물을 디클로로메탄(100ml) 에 용해시키고 0 내지 5℃에서 염화메틸렌(100ml) 중의 피페리딘 용액(21.4g) 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더 교반하였다. 각각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후, 유기 상을 상기와 같이 반응종결시친다. 미정제 피페리디노 유도체를 실리카겔 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더 정제하여(에틸아세테이트/ 헵탄 3:1로 용출함)6.7g 의 순수 표제화합물을 유상물로 얻었다.
3-(1-피페리딜카르보닐)-2,3-디히드로벤조푸란:
35 내지 50℃로 유지된 메탄올(150ml) 중의 3-(1-피페리딜카르보닐) 벤조푸란(6.7g)용액에 Mg부스러기를 소량씩(총 3g) 5시간동안 가하였다. 50℃에서 1시간더 교반한후 혼합물을 NH4Cl수용액에 주입하였다. 수용액을 디클로로메탄(2× 200ml)으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상을 반응종결시켜서 6.7g의 표제 2,3- 디히드로벤조푸란유도체를 유상물로 얻었다.
5- 니트로-3-(1-피페리딜카르보닐)-2,3-디히드로벤조푸란:
상기로부터의 2,3- 디히드로벤조푸란 유도체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35ml)에 모두 용해시키고 10℃로 냉각하였다. 65% 수성 HNO34.3ml를 10℃이하에서 적가하였다. 흑색으로 변색된 용액을 즉시 얼음에 주입하고 에틸아세테이트(2×50ml) 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상을 Na2CO3수용액(2×25ml) 으로 철저히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반응종결시켜서 6.4g 의 미정제 5- 니트로유도체를 유상물로 얻었다. 실리카겔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더 정제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헵탄 3:1으로 용출함) 방치시 결정화된 3.2g 의 순수한 5- 니트로-3-(1-피페리딜카르보닐)-2,3-디히드로벤조푸란을 얻었다 Mp: 108-114℃.
5- 아미노-3-(1-피페리딜카르보닐)-2,3-디히드로벤조푸란:
환류하에 유지된 90%에탄올(50ml)중의 5- 니트로벤조푸란 용액 모두에 Fe 분말(총 2.5g)과 진한 HCl(총 0.1ml)을 10분동안 소량씩 가하였다. 혼합물을 한시간 더 환류시켰다. 무기 침전물을 여과제거하고 혼합물을 소금물과 에틸아세테이트 (250ml)에 주입하였다. 유기상을 반응종결시켜서 1g의 결정 5-아미노벤조푸란 유도체를 얻었다.
5- 아세틸아미노-3-(1-피페리디노메틸)-2,3-디히드로벤조푸란, 옥살레이트 7a: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에 용해시킨 5- 아미노벤조푸란 유도체(1g)를 무수 THF(30ml) 중의 LiAlH4(0.5g)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얼음욕에 냉각시킨후 과량의 LiAlH4를 NaOH수용액(0.5ml 15%) 으로 첨가하여 가수분해하였다. 무기염을 여과제거 하였다. THF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남아있는 점성유상물을 디클로로메탄(100ml) 에 용해시켰다. 건조(무수 MgSO4) 후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켜서 0.7g 의 미정제 5- 아미노-3-(1-피페리디노메틸)-2,3-디히드로벤조푸란이 남았으며 더 이상의 징제없이 사용하였다. 5-아미노기를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서 아세틸화하였다. 표제화합물 7a 를 아세톤에서 옥살레이트 염으로 결정화하였다. 수율 0.15g, Mp: 144-150 ℃
실시예 8
화합물의 분해
(-)-6- 아세틸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염산염 8a
아세톤중의,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제조된 6- 아세틸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36.5g) 용액에 (S)-(+)- 비나프틸-2,2'-디일 인산염((+)-BNP)(21.2g)을 환류하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냉장고에서 밤새도록 방치하였다. 침전된 결정 생성물을 여과제거하고 용액을 다른 거울상 입체이성질체 8b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메탄올과 에탄올의 2:3혼합물에서 재결정하여 30g의 (+)-BNP염을 얻었다. Mp:257-260℃, [α]D=+293.1°. 표백화합물 8a 의 유리염기를 단리하고([α]D=-84.9° ) 이어서 아세톤에서 염산염으로 결정화하였다. Mp:236-238℃, [α]D=-51.3°
(+)-6-아세틸아미노-1-(N,N-디프펄필아미노메틸) 인단, 염산염 8b
상기로부터의 아세톤 용액을 물(300ml)에 주입하고 묽은 NaOH 수용액을 가하여 알칼리성으로 만들었다. 에틸아세테이트(2×150ml)로 추출하고 이어서 아세톤/메탄올(1:1)에서 (-)-BNP염으로 결정화하였다. 수득량 24.0g, mp:257-260℃, [α]D=-296.9°. 유리염기를 상기와 같이 단리하고([α]D=+84.9°) 이어서 염산염으로 전환하였다. 수득량 10.3g, mp: 236-238℃, [α]D=+54.3° .
화합물 2b 를 분해제로서 O,O- 디톨루일타르타르산을 사용하여 해당방식으로 분해하였다:
(-)-6- 아세틸아미노-1-(N,N-디메틸아미노메틸) 인단, 유상물로 단리됨, 8c
(+)-6- 아세틸아미노-1-(N,N-디메틸아미노메틸) 인단, 유상물로 단리됨, 8d
화합물 2i 를 분해제로서 O,O- 디톨루일타르타르산을 사용하여 해당방식으로 분해하였다·
(-)-6- 아세틸아미노-1-(1-피페리디노메틸) 인단,
(+)-O,O- 디(4- 톨루일)-D-타르트레이트 8e,
Mp: 144-147℃, [α]D=+59.2(유리염기를 상기와 같이 단리하였다([α]D=-46.8° ))
(+)-6- 아세틸아미노-1-(1-피페리디노메틸) 인단, (-)-O,O-디 (4-톨루일)-L-타르트레이트 8f, Mp: 141-146℃. [α]D=-56.3° (유리염기를 상기와 같이 단리하였다([α]D=+50.7°))
실시예 9
(-)- 및 (+)-6- 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9a 및 9b
화합물 8a 및 8b 를 각각 6- 아미노인단의 해당 입체이성질체로 가수분해하였다:
10%진한 염산과 메탄올(100ml) 중의 (-)-6- 아세틸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8,4g)응액을 8시간동안 환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남아있는 유상물을 묽은 수성 NH4OH(pH>9)에 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2×100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반응종결시켜서 (-)- 화합물 9a가 유상물로 남았다. 수득량: 6.5g, [α]D=-81.3° 8b 로부터 해당방식으로 제조하였다:
(+)-6- 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9b, [α]D=+81.4°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8c, 8d, 9e 및 8f 를 다음으로 가수분해하였다:
(-)-6- 아미노-1-(N,N-디메틸아미노메틸) 인단 9c, 유상물로 단리됨
(+)-6- 아미노-1-(N,N-디메틸아미노메틸) 인단 9d, 유상물로 단리됨
(-)-6- 아미노-1-(1-피페리디노메틸) 인단 9e, 유상물로 단리됨
(+)-6- 아미노-1-(1-피페리디노메틸) 인단 9f, 유상물로 단리됨
실시예 10
다음 분해된 유도체를 상술된 바의 표준아실화 방법을 사용하여 화합물 9a-9f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i)6-아세틸아미노-5- 클로로-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옥살레이트 11a (방법 f)
아세트산(15ml)중의 6- 아세틸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2a(3.0g)용액에 SO2Cl2(1.5g)를 한번에 가하였다. 온도를 65℃로 올렸다. 실온에서2시간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묽은 수성 NH4OH로 주입하고 디에틸에테르(2×50ml) 로 추출하였다. 수집한 유기상을 반음종결시키고 표제화합물 11a를 실리카겔 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에틸아세테이트/헵탄/트리에틸아민 40:60:3으로 용출함). 옥살산염을 아세톤에서 결정화하였다. 수득량: 1.3g, mp: 172-174 ℃ 11a의 거울상 입체 이성질체를 상술된 바의 염소화에 의하여 각각 아세틸 유도체 8a 및 8b 로부터 제조하였다:
(ii) 6-아세틸아미노-5- 브로모-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옥살레이트 11d
아세트산(50ml)중의 6- 아세틸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2a (5.0g)용액에 50 내지 55℃에서 아세트산중의 Br2(1.2ml)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에틸 아세테이트에 주입하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Na2S3O3(1%수용액)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의 반응종결후, 남아있는 유상물은 다소 고율로 미반응 출발물질을 함유하였으며 표제화합물을 실리카겔상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혼합물로부터 단리하였다(에틸아세테이트/ 헵탄/ 트리에틸아민 40:60:3 으로 용출함). 표제화합물 11d의 옥살산 염을 아세톤에서 결정화하였다.
수득량: 2.0g, mp: 156-159 ℃
실시예 12
6- 아세틸아미노-1-(N-메틸아미노메틸) 인단, 푸마레이트 12a(방법 g)
디옥산(1L)중의 6- 아세틸아미노-1-(N,N-디메틸아미노메틸) 인단 2b(54g)용액에 디옥산(200ml) 중의 2,2,2- 트리클로로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48.7g) 용액을 50℃에서 적가하였다. 이어서 혼할물을 0.5시간동안 50 내지 60℃로 유지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카르바메이트를 실리카겔을 통과시켜서 여과하여 정제하였다(에틸아세테이트로 용출함) 유상물로써 미정제 카르바메이트의 수득량: 89 7g. 90%수성 아세트산(575ml) 중의 이와같이 제조된 카르바메이트(45g) 용액에 Zn(84g)을 30 내지 40℃에서 소량씩 가하였다. 3시간동안 교반한후 과량의 Zn과 Zn 염을 여과제거하였다. 물(2L)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2×200ml)로 추출하여 중성 생성물을 제거하였다. 얼음냉각된 H2O 상을 NaOH를 신중하게 가하여 알칼리성(pH>10) 으로 만들었다. 디클로로메탄(4×150ml)으로 추출하고 이어서 반응종결시켜서 14g의 표제화합물 12a를 유상물로 얻었다. 푸마레이트염을 에탄올에서 결정화하였다.
MP: 176-178℃ .
실시예 13
6- 아세틸아미노-1-[N-(4- 시클로헥실부탄-1- 일)-N-메틸아미노메틸] 인단, 세스퀴옥살레이트 13a(방법 d)
MIBK(80ml) 중의 6- 아세틸아미노-1-(N-메틸아미노메틸) 인단(1.5g), 4-시클로헥실부탄-1- 올 메실레이트(2.5g), 탄산칼륨(1.4g), 및 요오드화 칼륨결정의 혼합물을 5시간동안 환류하였다. 냉각시킨후 무기염을 여과제거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남아있는 유상물을 SiO2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였다(에틸아세테이트: 헵탄: 트리에틸아민 80:20:4로 용출함). 표제화합물의 유리염기를 유상물로 단리하였다. 13a의 세스퀴옥살레이트를 아세톤에서 결정화하였다. 수득량 1.6g Mp: 145-155 ℃.
해당 방식으로 다음 N,N- 디치환 유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6-(N-아세틸-N- 에틸아미노)-1--(N,N- 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옥살레이트 14a
(방법a)
무수 THF(25ml)중의 화합물 2a(5.0g) 의 유리염기 용액을 20 내지 25℃에서 무수50ml THF 중의 1g LiAlH4현탁액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동안 환류시키고, 과량의 LiAlH4를 2ml묽은 NaOH 수용액을 신중하게 가하여 파괴하였다. 무기염을 여과제거하고, 용매의 증발로 미정제 6- 에틸아미노-1-(N,N-디프로필아미노메틸)인단을 점성유상물로 단리하였다. 수득량: 3.0g 이와같이 얻어진 에틸아미노인단 유도체를 모두 6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2.3ml트리에틸아민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10ml 디클로로메탄중의 1ml염화아세틸 용액을 5 내지 10 ℃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한시간더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물(100ml)을 가하고 이어서 유기상운 분리하고 반응종결시켰다. 남아있는 유상물을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옥살산을 가하였다. 표제화합물 14a의 옥살레이트 염을 결정화하고 여과 제거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수득량: 2.5g, Mp: 129-130 ℃
다음 화합물을 출발물질로서 화합물 1a 를 사용하여 해당방식으로 제조하였다:6-(N- 아세틸-N- 메틸아미노)-1-(N,N- 디프로필아미노메틸) 인단, 옥살레이트 14b, Mp: 126-129 ℃
약리학
식 I의 화합물을 5-HT1A리셉터에 대한 친화도의 결정과 상기 리셉터에 관한 화합물의 생체내 아고니스트 효과의 결정을 위한 확증되고 신뢰성 있는 약리학적 방법에 따라서 시험하였다. 시험은 다음과 같다:
시험관내 래트뇌에서 세로토닌 5-HT1A리셉터에 대한3H-8-OH-DPAT 결합의 저해
이 방법에 의하면 소뇌를 제거한 래트뇌로부터 막내 5-HT1A리셉터에 대한 5-HT1A아고니스트3H-8-OH-DPAT(1nM)의 결합의 약제에 의한 저해가 시험관내 결정되었다.
따라서, 이것은 5-HT1A리셉터에 대한 친화 시험이다.
방법
수컷 위스타(Mol. Wist) 래트(125-250g)를 죽이고 뇌를 해부하고 검량하였다. 소뇌를 제거한 뇌 조직을 12OmM NaCl, 4mM CaCl2및 4mM MgCl2를 함유하는 10ml의 빙냉 50nM Tris 완충제 pH 8.0(25℃) 내에서 균질화하였다(Ultra Turrax, 20sec). 호모게네이트를 10분동안 4℃에서 20,000g로 원심분리하였다. 펠릿을 10ml의 완충제 내에 균질화하고 37℃에서 10분동안 배양하였다. 호모게네이트를 상기와 같이 원심분리하고 펠릿을 파르길린 10μ M 을 함유하는 100vol(w/v)빙냉 완충제내에 균질화하었다. 얼음에 방치된 세번의 배양튜브에 물중의 약제용액 100μ l(또는 전체 결합을 위한 물)와 조직현탁액 1000μl(최종 조직함량은 10mg본래 조직에 해당함)을 수용하였다. 결합 시험은3H-8-OH-DPAT 100μl(최종 농도 1nM) 를 가하고 튜브를 37℃수욕에 넣어서 시작하였다. 15분동안 배양한후 샘플을 진공하에(0-50mBar)와트맨(Whatman)GF/F 필터(25mm)를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튜브를 5ml빙냉 0.9% NaCl로 세척한 다음 필터에 주입하였다. 그후, 필터를 2×5ml 0.9%NaCl로 세척하였다. 필터를 계수 바이얼에 넣고 적당한 신틸레이션 유체(예를들면 PicofluorTM15)4ml를 가하였다. 1시간동안 교반하고 어둠속에서 2시간 방치한 후 방사능 함량을 액체 신틸레이션계수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특이적인 결합은 10μM 5-HT의 존재하의 비특이적인 결합을 빼서 얻었다. 결합의 저해를 결정하기 위하여 30개를 함유하는 약제의 5가지 농도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cpm을 반대수 용지위에 약제 농도에 대하여 도시하고 가장 적당한 s-형 곡선을 도시하였다. IC50- 값을 농도로 측정하였으며 그 농도에서의 결합은 5-HT 10μM 의 존재하에 비특이적인 결합을 제한 대조샘플내 전체 결합이 50%이다.
3H-8-OH-DPAT 는 아머샴사제(Amersham International plc., England)를 구입하였다. 특이적인 활성은 대략 200Ci/mmol 이다.
래트내 8-OH DPAT큐 아고니즘(Cue Agonism)
이 시험 모델은 생체내 5-HT1A리셉터에 대한 시험화합물의 아고니스트 효과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관련방법은 트리클뱅크 등(Tricklebank, M. D., et al, Eur. J. Pharmacol., 1987, 133, 47-56; Arnt, J. Pharmacology & Toxicology, 1989, 64, 165)에 의해 기술되었다.
방법
수컷 위스타 래트를 두개의 반응 레버가 장착된 작동 챔버내의 8-OH-DPAT(0.4mg/kg, 복강내, 15분 사전처리)와 생리식염수를 판별하도록 훈련시켰다. 레버사이에 국자가 놓여있으며 물포상(0.1ml) 이 제공된다. 래트에게 적어도 24시간동안 물을 주지않고 고정비(FR)스케줄(최종 FR=32) 로 작업시켰다.
8-OH-DPAT투여후 반응은 단지 표시된(약제) 레버에 대하여 강화된 반면에 반대편 레버에 대한 반응은 없었다. 식염수 투여후 반응은 약제 레버 반대편 레버에 대하여 강화되었다. 약제와 식염수 시험은 며칠간 임의로 교대로 하였다. 판별 정확도의 수준은 퍼센트 약제반응으로 나타내고 첫번째 포상전, 정확한 반응의 수× 100을 정확한 반응과 부정확한 반응의 합계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첫 번째 포상의시간도 반응시간의 측정으로서 기록하였다. 안정한 정확도(정확한 반응=90%를 의미함; 개체 래트의 적어도 75%정확한 반응) 가 얻어질때 시험기간은 훈련일중에 포함된다. 시험화합물은 각각 시험을 시작하기 30분 또는 45분전에 보통 피하주사되었다. 시험은 총 32회 반응이 양쪽 레버로 이루어지거나 20분이 경과될때 종결하였다. 포상을 제공하지 않고 시험후 래트를 20 내지 30분동안 물에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하였다. 효과는 퍼센트 약제 반응으로 표시하였다. 한쪽 레버에 대하여 적어도 10회 반응을 한 래트로부터의 결과만을 데이터 분석에 포함하였다. 또한 래트의 적어도 절반이 반응한 시험기간만을 포함하였다. 시험화합물의 각각의 투여량 대해 얻어진 약제반응의 퍼센트 저해는 로그- 프로빗 분석에 의해 ED50값을 계산하는데 사용되었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낸다.
공지 5-HT1A리셉터 리간드 8-OH DPAT와 부스피론이 비교 목적을 위한 시험에 포함되었다.
표 1: 약학적 시험데이터
표 1계속: 약학적 시험데이터
본 발명의 화합물이 시험관내 5-HTIA리셉터에 대한 삼중수소화 8- 히드록시-2- 디프로필아미노테트랄린(8-OH-DPAT)의 결합을 저해하는 5-HT1A리셉터 리간드이며 대부분의 그것들이 50nM, 심지어 약 0.5 내지 10nM 범위내에서 더 나은 효능을 가진다는 것은 상기 표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생체내에서 강력한 5-HT1A아고니스트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히텔등(Hyttel et al., J. Neurochem., 1985, 44, 1615) 의 방법에 의하여 D2리셉터에 대한3H-스피로페리돌의 결합을 저해하는 그것들의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도파민 D2리셉터에 대한 친화에 관하여 시험되었다.
또한, 화합물은 페데르센과 크리스텐센(Pedersen and Christensen, Acta Pharmcol. et Toxicol. 31, 488-496(1972) 에 의해 공고된 바와같은 메틸페니데이트 시험(Methyl Phenidate test)으로 시험되었다.
더 이상의 시험에서, 강경증의 평가는 산체즈(Sanchez, C. et al.; Drug Dev, Res. 1991, 22, 239-250)의 방법에 따라서 이루어졌다.
시험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도파민 D2리셉터에 대한 친화가 실질적으로 없으며 시험된 최고 투여량에서 어떤 강경증 작용성 효과가 없는 반면에, μmol/kg범위내의 ED50값으로 메틸페니데이트 시험에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들 시험 걸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추체외로 부작용을 나타내지않고 항정신병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가리킨다.
끝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발 충격- 유도된 초음파 발성을 저해하는 그들의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불안완화에 관하여 시험되었다. 성년 래트는 발 충격과 같은 피치 못할 유해한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초음파 구조신호를 방출한다. 이것은 불안의 시험모델로서 제시된다(Tonoue T. et al,, Psychoneuroendocrlnology, 1986, 11, No. 2, 177-184).
시험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0.03 내지 1.0μmol/kg범웨내의 ED50값으로 이 시험에서 강력한 불안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조제예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는 이 분야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정제는 활성성분을 통상의 보조제 및/ 또는 희석액과 혼합하고 이어서 종래 정제기계로 압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조제 또는 희석액의 예는: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탤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젤라틴, 락토스, 검등을 포함한다.색소, 조미료, 방부제등과 같은 그러한 목적을 위해 통상 사용되는 어떤 다른 보조제 또는 첨가제도 활성 성분에 적합하다면 사용될 수 있다.
주사용 용액은 활성성분과 주사용 용액의 일부로 가능한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살균수를 용해시키고, 원하는 부피로 용액을 조정하고 용액을 살균하고 적당한 앰풀 또는 바이얼에 충전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긴장제, 방부제, 항산화제등과 같은 이 분야에 통상 사용되는 어떤 적당한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를 위한 처방의 전형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1) 유리염기로서 계산된 화합물 1a 5.0mg을 함유하는 정제:
2) 유리염기로서 계산된 화합물 2b 0.5mg을 함유하는 정제:
3) 밀리리터당 다음을 함유하는 시럽:
4) 밀리리터당 다음을 함유하는 주사용 용액:

Claims (7)

  1. 다음 일반식 I을 가진 화합물과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염:
    상기식에서 Y는 CH2이고 X는 CH2,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l은 저급알킬, 저급 알켄일, 저급 알킨일,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켄일, 시클로알킬-저급알킬, 시클로알킬-저급알켄일, 시클로알킬-저급알킨일, 시클로알켄일-저급알킬, 시클로알켄일-저급알켄일, 시클로알켄일-저급알킨일, 페닐-저급알킬 또는 인돌일-저급알킬, 아실, 저급-알킬술포닐, 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 페닐술포닐 또는 인돌일술포닐, Rl0ZCO-(식중 Z는 O 또는 S이고 R10은 알킬, 알켄일, 알킨일,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켄일, 시클로알킬알킬, 시클로알켄일알킬, 또는 페닐 또는 인돌일이다 ) 또는 R11R12NCO-(식중 R11및 R12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켄일, 알킨일,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켄일, 시클로알킬알킬, 시클로알킬알켄일, 시클로알킬알킨일, 시클로알켄일알킬, 시클로알켄일알켄일, 시클로알켄일알킨일, 또는 페닐 또는 인돌일이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는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켄일, 저급 알킨일,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켄일, 시클로알킬-저급알킬, 시클로알킬-저급알켄일, 시클로알킬-저급알킨일, 시클로알켄일-저급알킬, 시클로알켄일-저급알켄일, 시클로알켄일-저급알킨일, 페닐-저급알킬 또는 인돌일-저급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내지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아실, 저급 알킬티오, 히드록시, 저급 알킬술포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또는 니트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6및 R7은 각각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거나 함께 결합하여 3-7- 원 탄소환 고리를 구성하며;
    R8및 R9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켄일, 알킨일,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켄일, 시클로알킬알킬, 시클로알킬알켄일, 시클로알킬알킨일, 시클로알켄일알킬, 시클로알켄일알켄일, 시클로알켄일알킨일, 페닐알킬 또는 인돌일알킬, 또는 다음 기
    (식중 R13은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켄일, 저급알킨일,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켄일, 시클로알킬-저급알킬, 시클로알킬-저급알켄일, 시클로알킬-저급알킨일, 시클로알켄일-저급알킬, 시클로알켄일-저급알켄일, 시클로알켄일-저급알킨일, 페닐-저급알킬 또는 인돌일-저급알킬, 또는 페닐 또는 인돌일이고, W 는 O 또는 S이고 r은2 내지 6이다) 이며; 또는
    R8및 R9는 함께 결합하여 한개의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3-7원 고리를 형성하며; 존재하는 모든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알킬기는 미치환되거나 한개 또는 두개의 히드록시기로 치환되고 히드록시기는 유리 히드록시기로 존재하거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으며; 그리고 존재하는 모든 페닐 또는 일돌일치환기는 미치환되거나 할로겐,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저급 알킬티오, 히드록시, 저급 알킬술포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 알킬, 시클로알킬알킬 또는 니트로로 치환되어 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은 페닐-저급알킬기 또는 일돌일-저급알킬기, 아실기, 저급알킬술포닐기 또는 R11R12N-CO- 기(식증 R11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12는 수소, 알킬, 페닐 또는 인돌일, 또는 시클로 알킬이다.)이고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R1은 벤질 또는 할로겐치환벤질, 포르밀, 저급알킬카르보닐, 페닐카르보닐 또는 인돌일카르보닐, R11R12N-CO- 기(식중 R11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12는 수소, 저급 알킬, 페닐, 할로겐치환페닐 또는 C5-6시클로알킬이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1 항 내지 지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R3,R4및 R5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6및 R7은 모두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R8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9는 저급알킬, 페닐-저급알킬 또는 인돌일-저급알킬, 시클로알킬-저급알킬 또는 W가 0이고 R13이 수소, 저급알킬, 시클로알킬, 페닐 또는 인돌일인, 제 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식 1a 의 기이고, 또는 R8와 R9은 결합하여 한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3-7원 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 5 항에 있어서, R9은 페닐-저급 알길, 할로겐치환페닐-저급알킬, 인돌일-저급알킬, 시클로 헥실-저급알킬 또는 W가 0이고 R13이 수소 또는 저급알킬, 시클로알킬, 페닐 또는 할로겐치환페닐기인 식 1a 의 기이고, 또는 R8와 R9은 결합하여 피롤리딘 또는 피페리딘 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 1 항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염의 사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병, 불안장애, 우울, 충동제어장애, 알코올중독, 공격성, 빈혈증, 종래의 항정신병 약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또는 심장혈관장애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제제의 제조방법.
KR1019950702357A 1992-12-09 1993-12-08 아미노메틸인단, -벤조푸란 및 -벤조티오펜 KR100357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1482/92 1992-12-09
DK921482A DK148292D0 (da) 1992-12-09 1992-12-09 Forbindel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4234A KR950704234A (ko) 1995-11-17
KR100357976B1 true KR100357976B1 (ko) 2003-01-24

Family

ID=810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357A KR100357976B1 (ko) 1992-12-09 1993-12-08 아미노메틸인단, -벤조푸란 및 -벤조티오펜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2) US5807889A (ko)
EP (1) EP0673360B1 (ko)
JP (1) JP3731827B2 (ko)
KR (1) KR100357976B1 (ko)
AT (1) ATE170168T1 (ko)
AU (1) AU675262B2 (ko)
CA (1) CA2151377C (ko)
CZ (1) CZ289820B6 (ko)
DE (1) DE69320652T2 (ko)
DK (2) DK148292D0 (ko)
ES (1) ES2119991T3 (ko)
FI (1) FI114464B (ko)
HU (1) HU225111B1 (ko)
IL (1) IL107805A0 (ko)
NO (1) NO304686B1 (ko)
NZ (1) NZ258116A (ko)
RU (1) RU2141474C1 (ko)
SG (1) SG48233A1 (ko)
SK (1) SK281014B6 (ko)
WO (1) WO1994013620A1 (ko)
ZA (1) ZA9392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14347D0 (en) * 1996-07-09 1996-09-04 Smithkline Beecham Spa Novel compounds
FR2752839B1 (fr) * 1996-08-29 1998-10-09 Synthelabo Derives de benzofuran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DE19642451A1 (de) * 1996-10-15 1998-04-16 Merck Patent Gmbh Aminothiophencarbonsäureamide
US7053092B2 (en) 2001-01-29 2006-05-30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5-HT1a receptor subtype agonist
AR032641A1 (es) * 2001-01-29 2003-11-19 Otsuka Pharma Co Ltd Agonista de subtipo de receptor 5-ht 1a.
EP1554572B1 (en) 2001-07-25 2009-10-14 Raptor Pharmaceutical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blood-brain barrier transport
AR033485A1 (es) 2001-09-25 2003-12-26 Otsuka Pharma Co Ltd Sustancia medicinal de aripiprazol de baja higroscopicidad y proceso para la preparacion de la misma
US8703772B2 (en) 2001-09-25 2014-04-22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Low hygroscopic aripiprazole drug substance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3827747A1 (en) 2005-04-28 2021-06-02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harma-informatics system
EP1893568A2 (en) 2005-06-07 2008-03-05 Neurocrine Biosciences, Inc. Monoamine re-uptake inhibitor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EP2063905B1 (en) 2006-09-18 2014-07-30 Raptor Pharmaceutical Inc Treatment of liver disorders by administration of receptor-associated protein (rap)-conjugates
CN101434552B (zh) * 2007-11-16 2012-05-23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4,5-二甲氧基-1-(甲基氨基甲基)-苯并环丁烷的拆分
NZ616673A (en) 2009-02-20 2014-08-29 To Bbb Holding B V Glutathione-based drug delivery system
ES2942923T3 (es) 2009-05-06 2023-06-07 Laboratory Skin Care Inc Composiciones de administración dérmica que comprenden complejos de agente activo-partículas de fosfato de calcio y métodos de uso de las mismas
US20120077778A1 (en) 2010-09-29 2012-03-29 Andrea Bourdelais Ladder-Frame Polyether Conjugates
KR20210018323A (ko) 2018-06-06 2021-02-17 매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진핵 세포에서의 번역을 위한 원형 rna
AU2020280105A1 (en) 2019-05-22 2022-01-2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ircular RNA compositions and methods
EP4289951A3 (en) 2019-12-04 2024-03-13 Orna Therapeutics, Inc. Circular rna composition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22470A1 (de) * 1973-05-04 1974-11-21 Boehringer Sohn Ingelheim Neue indolyl-piperidino-(bzw. 1,2,5,6tetrahydro-pyridyl-)butyrophenon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FR2391211A2 (fr) * 1977-05-18 1978-12-15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de 2,3-dihydroa(4-(3-indolyl) 1-piperidinyl) methyl 1,4-benzodioxin-2-methanol, un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DE2827874A1 (de) * 1978-06-24 1980-02-07 Merck Patent Gmbh Indolalkylamin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GB2093837B (en) * 1981-03-02 1985-04-24 Abbott Lab Aminoalkyl subsituted 1,2,3,4-tetrahydronaphtalenes
US4500543A (en) * 1982-06-01 1985-02-19 Abbott Laboratories Substituted 1-aminomethyl-phthalans
FR2533924A1 (fr) * 1982-10-05 1984-04-06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du 4-(1h-indol-3-yl)a-methyl piperidine-1-ethanol, leurs sels, le procede de preparation, l'application a titre de medicaments et les compositions les renfermant
US4670447A (en) * 1983-08-22 1987-06-02 Hoechst-Roussel Pharmaceuticals Inc. Antipsychotic 3-(piperidinyl)- and 3-(pyrrolidinyl)-1H-indazoles
WO1987000043A1 (en) * 1985-07-05 1987-01-15 The Liposome Company, Inc. Multilamellar liposomes having improved trapping efficiencies
GB8610909D0 (en) * 1986-05-03 1986-06-11 Beecham Group Plc Compounds
GB8704572D0 (en) * 1987-02-26 1987-04-01 Lundbeck & Co As H Organic compounds
GB8707122D0 (en) * 1987-03-25 1987-04-29 Pfizer Ltd Antiarrhythmic agents
US5561152A (en) * 1987-08-14 1996-10-01 Merrell Pharmaceuticals Inc. Antidepressants
EP0395734A4 (en) * 1988-01-15 1991-01-02 Abbott Laboratories 1-aminomethyl-1,2,3,4-tetrahydronaphthalenes
GB8820651D0 (en) * 1988-09-01 1988-10-05 Glaxo Group Ltd Medicaments
US5225596A (en) * 1989-01-09 1993-07-06 The Upjohn Company Halo substituted aminotetralins
DE3919624A1 (de) * 1989-06-15 1990-12-20 Boehringer Ingelheim Kg Neue 2,5-diaminotetral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DE3924365A1 (de) * 1989-07-22 1991-01-24 Boehringer Ingelheim Kg 2-amino-7-carbamoyl-1,2,3,4- tetrahydronaphthal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DK152090D0 (da) * 1990-06-22 1990-06-22 Lundbaek A S H Piperidylsubstituerede indolderiv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19991T3 (es) 1998-10-16
EP0673360A1 (en) 1995-09-27
ATE170168T1 (de) 1998-09-15
DK148292D0 (da) 1992-12-09
ZA939204B (en) 1994-08-08
DK0673360T3 (da) 1999-05-25
RU95116287A (ru) 1997-06-10
HU9501669D0 (en) 1996-05-28
DE69320652T2 (de) 1999-04-01
CA2151377C (en) 2005-07-05
RU2141474C1 (ru) 1999-11-20
HU225111B1 (en) 2006-06-28
AU675262B2 (en) 1997-01-30
FI952823A (fi) 1995-06-08
HUT73633A (en) 1996-08-28
IL107805A0 (en) 1994-02-27
WO1994013620A1 (en) 1994-06-23
AU5561794A (en) 1994-07-04
NO952274D0 (no) 1995-06-08
SG48233A1 (en) 1998-04-17
CZ289820B6 (cs) 2002-04-17
US5972964A (en) 1999-10-26
NZ258116A (en) 1996-06-25
EP0673360B1 (en) 1998-08-26
NO952274L (no) 1995-08-02
CA2151377A1 (en) 1994-06-23
CZ151895A3 (en) 1996-03-13
US5807889A (en) 1998-09-15
JP3731827B2 (ja) 2006-01-05
NO304686B1 (no) 1999-02-01
FI952823A0 (fi) 1995-06-08
DE69320652D1 (de) 1998-10-01
KR950704234A (ko) 1995-11-17
SK281014B6 (sk) 2000-10-09
SK76295A3 (en) 1996-02-07
JPH08504409A (ja) 1996-05-14
FI114464B (fi) 200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7976B1 (ko) 아미노메틸인단, -벤조푸란 및 -벤조티오펜
CA2331870C (fr) Nouveaux composes cycliques substitu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JP4825792B2 (ja) テトラヒドロ−インダゾールカンナビノイドモジュレーター
JP2008013556A (ja) 新規ナフタレン化合物、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薬学的組成物
EP0460169B1 (en) New chroman and thiochroman derivatives
JP2003524571A (ja) インドール−及び2,3−ジヒドロインドール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JPH06511239A (ja) ヘテロアルコキシベンズアゼピン類
JPH06502165A (ja) 治療上有用な2−アミノテトラリン誘導体
SK256090A3 (en) 8-substituted 2-aminotetralin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their use
KR20100135248A (ko) 인돌리논 화합물
JP6131951B2 (ja) インドール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
JP2000516957A (ja) 置換されている1,2,3,4―テトラヒドロ―2―ジベンゾフランアミン類および2―アミノシクロヘプタ[b]ベンゾフラン類
JP2003502332A (ja) 1−アザ三環式−4−ベンジルピペラジン
JP2937837B2 (ja) 新規な三環性オキシムエーテル、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を含む医薬組成物
CZ162996A3 (en) Substituted fluorenyl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based thereon
US5510374A (en) 3-aminochroman compounds
JPH08268987A (ja) テトラリニル−,及びインダニル−エチルアミド誘導体
EP0765877B1 (fr) Composés aminés de 5,6,7,8-tétrahydronaphto(2,3-b)furane et d&#39;indano(5,6-b)furane, leurs procédés de pré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WO2023173227A1 (en) C4-substituted tryptamine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ing
WO2023173197A1 (en) C4-carbonothioate-substituted tryptamine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ing
WO2001089453A2 (en) Derivatives of 2-aminotetralins and pharmaceutical analogs thereof exhibiting differential cns receptor activity and behavior
WO2004043907A1 (fr) Nouveaux derives du phenylnaphtale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