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524B1 -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524B1
KR100356524B1 KR1019990057497A KR19990057497A KR100356524B1 KR 100356524 B1 KR100356524 B1 KR 100356524B1 KR 1019990057497 A KR1019990057497 A KR 1019990057497A KR 19990057497 A KR19990057497 A KR 19990057497A KR 100356524 B1 KR100356524 B1 KR 10035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device
inverter
driving
exha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6078A (ko
Inventor
이정우
이종훈
강동우
이택기
Original Assignee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524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3Methods or algorith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 구동방식의 에스컬레이터들의 교통량 변화를 학습하여 예측 운전을 수행하거나, 시시각각으로 변화되는 교통량에 따라 적절한 운전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계통에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군관리 제어장치의 제어명령이나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운전모드로 해당 호기를 운전하면서 교통량을 학습하여 통계처리하고, 운행 이력을 관리하는 다수의 호기 제어수단과; 상기 각 호기 제어수단의 학습결과를 근거로 군관리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가까운 미래에 전개될 교통량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따라 운전모드를 결정하여 운행하면서 변화되는 교통량에 따라 각 호기의 운전모드를 재조정하는 군관리 제어수단과; 상기 각 호기 제어수단과 인터페이스하여 승차인원에 따른 부하량 정보, 안전계통의 이상 여부를 확인 신호, 운행방향 신호들을 전달해 주는 시스템 상태 정보 입력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GROUP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NVERTER ESCALATOR}
본 발명은 인버터 구동 방식의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스컬레이터들의 교통량 변화를 학습하여 예측 운전을 수행하거나 적절한 운전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되게 하고, 운행 이력을 관리하여 고장 발생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한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이나, 공항, 호텔, 각종 대형 전시장 등과 같이 동시 다발적으로 많은 인원을 수송해야 되는 대형 건물에서는 단지 한대의 에스컬레이터로 이를 감당하기에 어려우므로 여러대의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동일한 장소일지라도 시간 또는 행사 내용에 따라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승객의 현황이 전혀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 제어기술에 있어서는 모든 에스컬레이터를 운행시키거나, 관리 요원이 직접 에스컬레이터의 운행 현황을 파악하여 무부하 상태에서 각 에스컬레이터의 운행 방향을 적절히 조정하거나, 일부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을 중지시키게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에스컬레이터 운행 제어기술에 있어서는 교통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모든 에스컬레이터가 운행되도록 하거나, 운행 관리 요원이 직접 교통량을파악하여 일부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을 중지시기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력 낭비 및 제품의 수명 단축을 초래하고, 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버터 구동방식의 에스컬레이터들의 교통량 변화를 자체적으로 학습하여 예측 운전을 수행하거나, 시시각각으로 변화되는 교통량에 따라 적절한 운전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되게 하며, 운행 이력을 관리하여 고장 발생시 참조할 수 있게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의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각 호기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 예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시간대별 교통량에 따른 운전모드 설정 예시 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센서의 설치 부위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A-101N : 호기 102A-102N : 호기 제어장치
103 : 군관리 제어장치 104 : 시스템 상태정보 입력부
105 : 운전 안내부 111A,11B : 인터페이스부
112 : 클럭 발생기 113 : 통계부
114 : 데이터베이스 저장부 115 : 학습부
116 : 방향 판단/절환부 117 : 운행이력 백업부
118 : 군관리 이상 판단부
도 1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a는 이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할 시스템 상태정보 입력부(104)로부터 안전 운행에 이상이 없음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군관리 제어장치(103)의 제어명령이나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운전모드로 해당 호기를 운전하면서 교통량을 학습하여 통계처리하고, 운행 이력을 관리하는 다수의 호기 제어장치(102A-102N)와; 상기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의 학습결과를 근거로 군관리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가까운 미래에 전개될 교통량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따라 운전모드를 결정하여 운행하면서 시시각각으로 변화되는 교통량에 따라 운전모드를 재조정하며, 운전모드 변경시 운행속도를 서서히 변화시켜 일정 속도에 도달하도록 제어하는 군관리 제어장치(103)와; 상기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와 인터페이스하여 각 호기(101A-101N)의 승차인원에 따른 부하량 정보, 안전계통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위한 정보, 운행방향에 관련된 정보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 상태정보 입력부(104)와;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와 인터페이스하여 각 호기(101A-101N)의 운전모드 변경시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안내 방송을 실시하는 운전 안내부(105)와; 고장 발생시 외부에서 상기 호기 제어장치(102A-102N)와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각 호기(101A-101N)의 운행 이력을 조사하기 위한 컴퓨터 단말기(106)로 구성하였다.
상기 호기 제어장치(102A)는 상기 시스템 상태정보 입력부(104), 군관리 제어장치(103)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부(111A),(111B)와;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클럭 정보를 제공하는 클럭 발생기(112)와; 해당 호기의 운행관련 데이타를 시간대별, 요일별, 교통량의 특징별로 통계처리하는 통계부(113)와; 상기 통계부(113)에서 통계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114)와;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가 최적의 운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부(114)의 교통정보를 근거로 교통량 변화를 학습하는 학습부(115)와;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의 제어에 따라 또는 관리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운행 방향을 판단하여 절환하는 방향 판단/절환부(116)와; 최근의 운행 이력을 관리하는 운행이력 백업부(117)와;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가 군관리 제어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군관리 이상 판단부(118)로 구성하였다.
나머지의 호기 제어장치(102B-102N)와 군관리 제어장치(103)의 내부 구성도 상기 호기 제어장치(102A)와 동일하다. 단,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는 자신의 호기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호기 제어장치(102B-102N)와 달리 그 호기 제어장치(102B-102N)들을 제어 대상으로 하는 것이 다른 점이고, 상기 호기 제어장치(102A)는 그 군관리 제어장치(103)에 이상이 발생되어 군관리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대행하는 기능이 추가된 것이 다른 점이고, 호기 제어장치(102B-102N)는 운행 방향을 판단하는 기능은 구비되지 않고 군관리 제어에 따라 절환하는 기능만 구비되어 있다는 점이 다른 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호기(101A-101N)들은 근접층에 설치되어 운행되는 것으로, 이들은 군관리 제어장치(103)에 의해 군관리된다. 즉, 각 호기(101A-101N)들은 군관리 제어장치(103)에 의해 선택적으로 운행되고, 운행할 것으로 결정된 호기들의 운행 방향, 속도 등의 운전모드도 그 군관리 제어장치(103)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는 각 호기(101A-101N)를 대상으로 학습된 최근(예:5분전)의 교통량 정보를 백업받아 이를 근거로 하여 가까운 미래에 전개될 교통량을 예측하고, 그 예측된 결과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운행 대수 및 운전모드를 결정하게 된다.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들은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와 연계하여 해당 호기의 운행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추후에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가 최적의 운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교통량의 변화를 학습하게 되는데, 1호기 제어장치(102A)를 예로하여 이들의 작용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페이스부(111B)를 통해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로부터 제1호기 제어장치(102A)에 운전명령이 하달되면, 먼저, 인터페이스부(111A)를 통해 시스템 상태정보 입력부(104)로부터 안전계통(예: 과부하, 팬벨트 늘어짐, 이상물질의 끼임현상 등)에 이상이 없음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상기의 확인 결과 안전계통에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로부터 입력되는 운전 제어신호를 근거로 운행방향을 상승 또는 하강 방향으로 절환한다.
이에 따라, 1호기(101A)가 상기 설정된 운전모드로 운전되는데, 이때, 통계부(113)는 클럭 발생기(112)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량의 특징을 시간대별, 요일별로 통계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 저장부(114)에 저장한다.
또한, 학습부(115)는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가 최적의 운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부(114)의 교통정보를 근거로 교통량 변화를 학습하게 되고, 운행이력 백업부(117)는 유사시 고장 수리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최근의 운행 이력을 관리한다.
한편,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는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의 학습 결과를 대상으로 그 1호기 제어장치(102A)와 동일한 방식으로 교통량 변화를 판단하여 각 호기(101A-101N)의 시간대별 운전모드를 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동일 층상에 3대의 호기(101A-101C)가 설치된 건물에서 1호기(101A)와 2호기(101B)의 교통량이 도 3의 표에서와 같이 변화되는 경우, 그에 따른 각 호기(101A-101C)의 운전모드가 군관리 제어장치(103)에 의해 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승차인원이 1-4명인 경우 해당 호기의 운행을 중지하고, 5-15명인 경우 해당 방향으로 1대의 호기를 운행하며, 16명 이상인 경우 해당 방향으로 2대의 호기를 운행하는 것을 예로하며, 1호기(101A)는 상승방향으로, 2호기(101B)는 하강방향으로 운행되고, 3호기(101C)는 1,2호기(101A,101B)의 교통량 변화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 방향으로 운행되며, 운전모드의 변경 단위시간은 10분인 것을 예로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경우, 10:00∼10:30까지 2호기(101B)는 하강 운행을 중지하고, 1호기(101A)에 승객이 집중되는 것을 감안하여 1호기(101A)와 병행하여 3호기(101C)를 상승 방향으로 운행한다. 이후, 10:30∼10:40까지는 1호기(101A)만을 상승방향으로 운행하고, 10:40∼11:10까지는 2호기(101B)만을 하강방향으로 운행한다. 이후, 11:10∼11:20까지는 2호기(101A)와 3호기(101C)를 상승방향으로 운행하고, 11:20∼11:30까지는 1호기(101A)는 상승방향으로, 2호기(101B)는 하강방향으로 운행하며, 11:30∼11:40까지는 1호기(101A)와 3호기(101C)는 상승방향으로, 2호기(101B)는 하강방향으로 운행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교통량의 변화에 따라 각 호기(101A-101N)의 운전모드를 변경할 때 탑승한 승객이나 대기중인 승객을 위하여, 운전 안내부(105)를 통해 현재 운전모드가 변경되고 있음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실시하고, 필요에 따라 각 호기(101A-101N)의 주변에 설치한 부저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운전모드가 변경될 때, 승객의 안전을 위해 모터 구동용 인버터를 적절히 제어하여운행속도를 서서히 감속하고, 변경된 모드로 운행을 시작할 때에도 운행속도를 서서히 증가시켜 일정 속도에 도달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모드 변경시 승객이 당황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다가 기 설정된 운행 종료 시간(업무 종료시간)에 도달하거나 관리자가 수동운전 스위치(도면에 미표시)를 해당 종료모드로 조작하는 경우, 모든 호기(101A-101N)의 운행을 중지하게 된다.
참고로, 통상의 모터를 사용하는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는 속도를 서서히 증가시켜 일정 속도에 도달되게 하거나, 서서히 감속 운행하다가 중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인버터 구동방식의 모터를 사용하는 에스컬레이터의 경우에는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인버터 구동 방식의 모터는 정밀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상기 인버터(예: 벡터 인버터)란 직류(DC)를 교류(AC)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그 직류를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원(VVVF: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으로 출력하는 인버터로 구성되어 3상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이다. 에스컬레이터는 대부분 전동기로 구동되고 있으므로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는 전동기의 속도제어에 의하여 결정된다. 최근들어 에스컬레이터의 속도 제어기술은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여 반도체, 컴퓨터를 기초로 하여 전력전자기술을 중심으로 고성능, 고기능 및 고신뢰도의 제어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 승차감 향상, 보수관리 등의 이점을 고려하여 인버터 방식의 에스컬레이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는 상기와 같이 운전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수동운전, 상승운전, 하강운전, 정지 등의 절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에 탑재된 마이크로컴퓨터의 다운 등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인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군관리 기능을 겸비한 호기 제어장치 예를 들어 1호기 제어장치(102A)가 군관리 기능을 대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군관리 제어장치(103)는 자기 판단부(319)를 통해 군관리 제어 기능에 이상이 있는지 수시로 체크하고, 1호기 제어장치(102A)의 군관리 이상 판단부(118)에서는 군관리 제어장치(103)측으로 소정 주기로 신호를 전송하고 피드백되지 않을 때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에서 군관리 제어장치(103)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때 1호기 제어장치(102A)는 그 군관리 제어장치(103)를 대신하여 모든 호기(101A-101N)에 대한 군관리 제어 기능을 대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1호기 제어장치(102A)는 유사시 군관리 제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평상시 군관리 제어장치(103)와 동일하게 군관리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각 호기(101A-101N)에 각기 설치된 상기 수동운전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의 제어 권한이 해제되고, 사용자의 조작 결과에 따라 해당의 운행이 중지되거나, 운행되고, 또한, 상승,하강 방향으로 운전모드가 결정된다.
한편, 상기 시스템 상태정보 입력부(104)에서는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들이 상기와 같이 안전계통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기 위한 각종 운행정보를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에 전달하고, 각 호기(101A-101N)의 승차인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해당 운행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시스템 상태정보 입력부(104)에서 출력되는 운행 정보를 근거로 상기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에서 승차인수를 검출하는 예로써, 해당 호기의 부하량을 체크하여 일정 값으로 나누거나, 에스컬레이터의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근거로 하거나, 도 4에서와 같이 핸드레일(401)의 일측 종단 부위에 설치한 한 쌍의 광센서(402A),(402B)를 이용하여 승차인수를 검출하게 된다. 이렇게 검출된 승차인수는 필요에 따라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에 전달된다.
한편,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의 운행이력 백업부(117,217,…)에서는 각호기(101A-101N)의 운행 이력을 관리하고 있으므로, 고장 발생시 수리 요원이 외부에서 컴퓨터 단말기(106)를 해당 호기의 운전이력 백업부와 접속하여 운행 이력을 참조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고장 복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에서 각각 통계부(113,213,…)와 학습부(115,215,…)를 설치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자기 호기의 교통량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써, 도 2c에서와 같이 1호기 제어장치(102A)에서만 통계부(113)와 학습부(115)를 이용하여 각 호기(102A-102N)들의 교통량 변화는 분석하도록 하고, 나머지 호기 제어장치(102B-102N)들은 교통정보들을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나 1호기 제어장치(102A)측으로 전달해 줄 뿐 자체적으로 교통량 변화를 분석하지 않는 경우를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로서, 군관리 제어기능을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만 보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1호기 제어장치(102A)는 다른 호기 제어장치(102B-102N)와 동일한 기능을 갖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 군관리 이상 판단부(118)가 불필요하고, 방향 판단/절환부(116)는 다른 호기 제어장치(102B-102N)에서와 같이 방향 판단 기능이 불필요하며, 절환 기능만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로서, 도 2b에서와 같이 별도의 군관리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1호기 제어장치(102A)에서 군관리 제어기능을 겸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1호기 제어장치(102A)는 다른 호기 제어장치(102B-102N)들과 마찬가지로 자호기(101A)의 제어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모든 호기(101A-101N)들에 대한 군관리 제어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버터 구동방식의 에스컬레이터들의 교통량 변화를 학습하여 예측 운전을 수행하거나, 시시각각으로 변화되는 교통량에 따라 적절한 운전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관리 요원을 투입하지 않고도 최적의 운행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행 이력을 관리하여 고장 발생시 참조하도록 함으로써 고장 발생에 대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군관리 제어기능을 2중계로 구현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군관리 제어장치를 두지 않고 일정 호기 제어장치에서 겸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의 원가를 최대한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인버터 구동방식의 에스컬레이터가 여러대 설치되어 운행되는 장치에 있어서, 군관리 제어장치(103)의 제어명령이나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운전모드로 해당 호기(101A-101N)를 운전하면서 교통량을 학습하여 통계처리하고 임의의 한 호기 제어장치가 군관리 제어기능에 대한 서브 마스터 기능을 병행하도록 구성된 호기 제어장치(102A-102N)와; 상기 호기 제어장치(102A-102N)의 운행정보를 근거로 군관리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가까운 미래에 전개될 교통량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따라 운행할 호기 및 그들의 운전모드를 결정하여 운행하면서 소정 시간 단위로 변화되는 교통량에 따라 각 호기(101A-101N)의 운전모드를 재조정하는 군관리 제어장치(103)와; 상기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와 인터페이스하여 승차인원에 따른 부하량 정보, 안전계통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 운행방향에 관련된 정보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 상태정보 입력부(10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 중 어느 하나의 호기 제어장치만이 각 호기(101A-101N)들의 교통량 변화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계부와 학습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는 운전모드가 변경될 때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를 서서히 증가시키거나 서서히 감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군관리 제어장치(103)에 이상이 발생될 때 군관리 제어 권한을 상기 다수의 호기 제어장치(102A-102N) 중 어느 하나의 호기 제어장치가 대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03)와 인터페이스하여 각 호기(101A-101N)의 운전모드 변경시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안내 방송을 실시하는 운전 안내부(10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 호기(101A-101N)의 운전모드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동 운전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고장 발생시 외부에서 상기 다수의 호기 제어장치(102A-102N)와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해당 호기의 운행 이력을 조사할 수 있도록 각각의 호기 제어장치(102A-102N)에 운행이력 백업부를 구비하고, 이들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컴퓨터 단말기(10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는 상기 시스템 상태정보 입력부(104)로부터 입력되는 부하량 정보를 근거로 승차인수를 판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는 구동 모터의 전류량을 근거로 승차인수를 판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각 호기 제어장치(102A-102N)는 핸드 레일의 일측 종단 부위에 설치한 두 개의 광센서(402A),(402B)를 이용하여 승차인수를 판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11. 인버터 구동 방식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에스컬레이터에 대해 최근에 학습된 교통량 변화를 근거로 하여 앞으로 운행할 호기를 선정함과 아울러 그들의 운전모드를 결정하는 제1과정과; 현재 운행중인 각 호기들의 교통량을 학습하여 통계처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통계 처리 결과를 근거로 현재 운행중인 각 호기의 운행 방향 및 운행 여부를 재조정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운전모드는 운행할 것인지의 여부, 운행 방향, 운행 속도에 관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방법.
  13. 인버터 구동방식의 에스컬레이터가 여러대 설치되어 운행되는 장치에 있어서, 군관리 제어장치의 제어명령이나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운전모드로 해당 호기를 운전하면서 교통량을 학습하여 통계처리하는 다수의 호기 제어수단과; 상기 각 호기 제어수단의 학습결과를 근거로 군관리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가까운 미래에 전개될 교통량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따라 운행할 호기 및 그들의 운전모드를 결정하여 운행하면서 소정 시간 단위로 변화되는 교통량에 따라 각 호기의 운전모드를 재조정하는 군관리 제어수단과; 상기 각 호기 제어수단과 인터페이스하여 승차인원에 따른 부하량 정보, 안전계통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 운행방향에 관련된 정보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 상태정보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14. 인버터 구동방식의 에스컬레이터가 여러대 설치되어 운행되는 장치에 있어서, 군관리 제어장치의 제어명령이나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운전모드로 해당 호기를 운전하면서 교통량을 학습하여 통계처리하는 다수의 호기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호기 제어수단이 군관리 제어기능을 병행하도록 구성된 호기 제어수단과; 상기 각 호기 제어수단과 인터페이스하여 승차인원에 따른 부하량 정보, 안전계통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 운행방향에 관련된 정보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 상태정보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KR1019990057497A 1999-12-14 1999-12-14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56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497A KR100356524B1 (ko) 1999-12-14 1999-12-14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497A KR100356524B1 (ko) 1999-12-14 1999-12-14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078A KR20010056078A (ko) 2001-07-04
KR100356524B1 true KR100356524B1 (ko) 2002-10-18

Family

ID=1962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497A KR100356524B1 (ko) 1999-12-14 1999-12-14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2397B2 (ja) * 2000-03-30 2011-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FI125399B (fi) 2010-11-02 2015-09-30 Kone Corp Ohjausjärjestely henkilökuljettimen ohjaamiseksi
CN102464256A (zh) * 2010-11-05 2012-05-23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自动扶梯智能驱动控制系统
WO2013092373A1 (en) 2011-12-19 2013-06-27 Inventio Ag Informing passengers of person-conveying device operation
US10179719B1 (en) 2017-08-30 2019-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oritizing the direction of a directional pedestrian mover (DPM) in real time, based on predicted pedestrian traffic flow
KR102545137B1 (ko) * 2021-07-09 2023-06-20 (주)대륜엘리스 에스컬레이터용 안전 제어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078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1451B2 (ja) 乗客運搬装置の制御システム
US5241255A (en) Failure detector for regeneration power absorbing means
KR100356524B1 (ko)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EP1357077B1 (en) Passenger conveyer controlle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CN111086938B (zh) 对电梯和自动扶梯系统的健康监测
JP5190178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2270782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3378534B2 (ja) エレベータの呼出しに対する応答制御システム
US20220063957A1 (en) Elevator smoke and fire detection system
JPH1179585A (ja) エレベーターかご位置検出装置
JP6981445B2 (ja) 乗客コンベア
KR100372814B1 (ko)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장치
JP2000327255A (ja) 車椅子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制御装置
KR100368774B1 (ko)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2007254052A (ja) エスカレータシステムの制御装置および運転方法
KR100286353B1 (ko)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및 방법
JP2894420B2 (ja) ビル管理装置
JPH09227038A (ja) リニアモータ
WO2018020662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437915B2 (ja) エレベータの点検装置
JP6821086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KR100202710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 운전 장치 및 방법
JPH0485289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H07257867A (ja) 車椅子用エスカレータの安全装置
KR100219843B1 (ko) 엘리베이터의 문열림위치 검출기 고장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