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774B1 -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774B1
KR100368774B1 KR10-2000-0062997A KR20000062997A KR100368774B1 KR 100368774 B1 KR100368774 B1 KR 100368774B1 KR 20000062997 A KR20000062997 A KR 20000062997A KR 100368774 B1 KR100368774 B1 KR 100368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diagnostic
sensing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099A (ko
Inventor
방기영
박종길
김진섭
김강열
김훈모
경제문
최승민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774B1/ko
Publication of KR2002003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엘리베이터를 이동하면서 진단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안전진단장치는 구동부와, 전원공급부와, 센싱부와, 구동점검부와, 전류감지부와, 제어상황검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점검부와 상기 전류감지부와 상기 제어상황검출부 중 어느 하나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여 이로부터 진단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데이터를 퍼지화하여 특정의 알고리즘으로 추론을 하고 비퍼지화 하는 단계와; 상기 비퍼지화된 진단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추이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예상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점검원이 스스로의 스케줄에 따라 다수개의 엘리베이터를 순차적으로 점검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고, 특히 엘리베이터의 점검비율을 높일 수 있기에 보다 정확하게 안전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portable diagnosis system for sefety of an elevat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엘리베이터를 이동하면서 진단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비교적 높은 건물에 설치되어 있으며, 층과 층 간에 사람들을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사람들을 수용하는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승/하강 가능하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카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위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로프와, 이송되는 카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부와, 각 층에 설치되어 상기 카의 이송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와 상기 구동부와 제동부를 각각 별도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켜주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층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는 정기적으로 점검원에 의해 점검될 경우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일반 사용을 금지시킨 상태에서 점검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승객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불편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검원이 시각적인 감각과 간단한 수동조작에 따라 점검하기 때문에 정확한 고장예측과 부품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어 뜻하지 않는 고장이 유발될 수 있으며, 점검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중에 엘리베이터로부터 진단데이터를 받아 즉석에서 비교적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며, 이동이 가능하고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한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엘리베이터카를 승/하강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일정한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와, 상기 구동제어부에게 정지위치에 따른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싱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진동과 속도와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점검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발생하는 과부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와 상기 센싱부의 정지신호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이상상황을 검출하는 제어상황검출부와; 상기 구동점검부와 상기 전류감지부와 상기 제어상황검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로부터의 진단데이터를 퍼지신호로 변환하여 소정의 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 이에 기초하여 시스템을 고장, 이상을 예측하는 포터블진단부와; 상기 구동점검부와 상기 전류감지부와 상기 제어상황검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포터블진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나의 진단데이터를 착/탈 가능하게 전달하는 진단포트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점검부는 상기 구동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구동부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와, 상기 구동부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구동부와, 전원공급부와, 구동제어부와, 센싱부와, 구동점검부와, 전류감지부와, 제어상황검출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점검부와 상기 전류감지부와 상기 제어상황검출부 중 어느 하나를 착탈가능하게 접속하여 이로부터 진단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데이터를 다수의 신호범위로 퍼지화하여 진단알고리즘에 따라 이상발생상황을 추론하는 단계와, 상기 퍼지화된 진단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추이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이상신호의 횟수와 위치의 예상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진단데이터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구동점검부와, 전류감지부와, 제어상황검출부의 자체고장을 점검하는 단계와, 상기 점검에 기초하여 수리와 교체 중 어느 하나를 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카 2 ; 구동부
3 ; 전원공급부 4 ; 구동제어부
5 ; 센싱부 6 ; 구동점검부
7 ; 제어상황검출부 8 ; 전류감지부
9 ; 온도감지부 10 ; 속도감지부
11 ; 진동감지부 12 ; 에러검출부
13 ; 층위치감지부 14 ; 진단포트
15 ; 포터블진단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포터블안전진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안전진단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높은 건물의 수직이송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층과 하층으로 승객을 이송시키는 엘리베이터카(1)와,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수직이송공간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구동부(2)와, 상기 구동부(2)에 3상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와, 상기 엘리베이터카(1)를 상기 수직이송공간을 따라 주행하고 정해진 설정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구동부(2)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4)와, 상기 구동제어부(4)에게 상기 설정위치에 따른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싱부(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부(2)에는 승/하강 구동시에 발생하는 진동과 회전속도와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소정의 점검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점검부(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3)에는 전원공급시 발생하는 과부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제어부(4)와 상기 센싱부(5)에는 상기 구동제어부(4)의 제어신호와 상기 센싱부(5)의 정지신호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주행운전시의 이상상황을 검출하는 제어상황검출부(7)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에는 수직이송동작에 따라 공급되는 전류의 증감을 감지하여 일정한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전류감지부(8)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점검부(6)는 상기 엘리베이터카(1)의 주행과 정지시 발생하는 상기 구동부(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9)와, 구동부(2)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10)와, 상기 구동부(2)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11)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의 상승은 주행시 과열을 감지하여 무리한 운전상태임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속도의 증감은 기계장치의 이상상황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진동의 유무는 기계장치 및 무리한 운전상태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상황검출부(7)는 상기 구동제어부(4)의 알고리즘에 따른 주행과 정지상황을 점검하여 전기적인 접촉에 따른 이상유무에 따른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부(12)와, 상기 알고리즘에 따른 주행에 따른 상기 센싱부(5)의 동작을 점검하여 정확하게 설정된 정지위치에 정지하는지를 감지하는 층위치감지부(1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점검부(6)와 상기 전류감지부(8)와 상기 제어상황검출부(8)의 출력단자에는 진단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한 진단포트(1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진단포트(14)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진단데이터를 퍼지신호로 변환하여 소정의 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 이에 기초하여 시스템을 고장, 이상을 예측하는 포터블진단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포터블진단부(15)는 진단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터미널보드(terminal)(미도시) 및 데이터 아퀴지션카드(Data Acquisition card)(미도시)와, 이들로부터 입력된 진단데이터를 특정한 진단알고리즘으로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예상결과를 출력하는 휴대용 노트북(미도시)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노트북의 진단알고리즘은 상기 진단포트(14)로부터 인출되는 온도감지신호, 속도감지신호, 진동감지신호 및 전류감지신호의 진단데이타 각각이 정상적으로 발생되는지를 판단하고, 이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다수의 기준감지신호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과 미만으로 분류하고, 이에 기초하여 점검 및 수리를 필요하는 부위를 지적하여 디스플레이하며, 동시에 데이타베이싱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구동점검부(6)와 상기 전류감지부(8)와 상기 제어상황검출부(7)로부터 진단데이타를 검출하고(1),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검출되지 않으면 그들 자체의 동작상태 및 센싱 값을 파악하여 고장상태인지를 판단한다(2). 이 때, 고장상태이면 센서들이 고장임을 디스플레이하여 교체하거나, 수리하고(3), 고장상태가 아니면 전체 시스템을 점검한다(4).
한편, 상기 진단데이터가 검출될 경우에는 이들 각각의 데이터신호를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고(5), 각각의 데이터신호를 소정의 규칙 즉 랜덤한 다수의 일정 데이타신호만을 엘리베이터의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퍼지알고리즘에 따라 다수의 데이타신호범위 8개~10개의 범위로 선정하여 퍼지화(룰베이스화)시킨다(6). 상기 퍼지화 룰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입력되는 현재의 데이타신호에 따른 엘리베이터 상황의 진단에 따라 이상발생상황 유무를 추론한다(7). 즉, 퍼지화란 기준이 되는 다수의 데이타신호를 추출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추출된 다수의 기준데이타신호를 상기 데이타(지식)베이스로부터 인출되는 데이타신호와 비교하여 이상상황발생 유무를 추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추론된 이의 진단데이터를 비퍼지화로 복원한다(8). 이 때, 상기 비퍼지화는 불연속에서 연속으로의 단순변환이다.
그러면, 복원된 상기 진단데이터를 진단알고리즘에 따른 상기 롤베이스에 기초하여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의 동일 또는 상이한 데이터 폭을 산출하고(9), 이들 데이터의 변동 추이를 판단하여 예상되는 결과 즉 상기 이상발생상황 유무의 추론에 따라 이상신호의 횟수 및 위치를 출력한다(11). 반면에 안전한 변동폭 내에 있을 경우에 양호한 진단결과를 출력한다(10).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중에 엘리베이터로부터 진단데이터를 받아 즉석에서 비교적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고, 이동이 가능하고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점검원이 스스로의 스케줄에 따라 다수개의 엘리베이터를 순차적으로 점검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고, 특히 엘리베이터의 점검비율을 높일 수 있기에 보다 정확하게 안전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카를 승/하강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일정한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와, 상기 구동제어부에게 정지위치에 따른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싱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진동과 속도와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점검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발생하는 과부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와 상기 센싱부의 정지신호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이상상황을 검출하는 제어상황검출부와;
    상기 구동점검부와 상기 전류감지부와 상기 제어상황검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로부터의 진단데이터를 퍼지신호로 변환하여 소정의 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 이에 기초하여 시스템을 고장, 이상을 예측하는 포터블진단부와;
    상기 구동점검부와 상기 전류감지부와 상기 제어상황검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포터블진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나의 진단데이터를 착/탈 가능하게 전달하는 진단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점검부는 상기 구동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구동부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와, 상기 구동부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3. 구동부와, 전원공급부와, 구동제어부와, 센싱부와, 구동점검부와, 전류감지부와, 제어상황검출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점검부와 상기 전류감지부와 상기 제어상황검출부 중 어느 하나를 착탈가능하게 접속하여 이로부터 진단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데이터를 다수의 신호범위로 퍼지화하여 진단알고리즘에 따라 이상발생상황을 추론하는 단계와;
    상기 퍼지화된 진단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추이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이상신호의 횟수와 위치의 예상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데이터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구동점검부와, 전류감지부와, 제어상황검출부의 자체고장을 점검하는 단계와;
    상기 점검에 기초하여 수리와 교체 중 어느 하나를 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방법.
KR10-2000-0062997A 2000-10-25 2000-10-25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100368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997A KR100368774B1 (ko) 2000-10-25 2000-10-25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997A KR100368774B1 (ko) 2000-10-25 2000-10-25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099A KR20020032099A (ko) 2002-05-03
KR100368774B1 true KR100368774B1 (ko) 2003-01-24

Family

ID=19695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997A KR100368774B1 (ko) 2000-10-25 2000-10-25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486B1 (ko) * 2013-02-15 2013-06-21 (재)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 승강기 품질 성능 진단 장치
CN103482447B (zh) * 2013-09-26 2015-12-02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施工升降机超载保护系统及方法
CN104860149B (zh) * 2015-04-21 2017-11-17 深圳市海浦蒙特科技有限公司 施工升降机负荷检测方法及变频器
CN107352343A (zh) * 2017-07-24 2017-11-17 合肥星袖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实时监测自调节式电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099A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582B1 (ko) 승강장치의 원격감시 진단장치
EP2773584B1 (en) Brake torque monitoring and health assessment
TW487675B (en) Control system for a passenger conveyor
EP1357073A1 (en) Elevator main rope elongation sensor
CN111699148B (zh) 电梯设备的检查控制系统以及转换电梯设备的运行的方法
CN106664043A (zh) 电力转换装置、电力转换方法以及电力转换系统
KR100368774B1 (ko)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H11199153A (ja) エレベータの診断装置
CN110526064B (zh) 电梯轿厢意外移动保护系统功能测试装置
JP2006206245A (ja) エレベータ装置の信号伝送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KR101868935B1 (ko)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KR100372814B1 (ko)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장치
JP2000302349A (ja) エレベータの遠隔故障診断装置
KR100356524B1 (ko) 인버터 에스컬레이터의 군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JP6278859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101224732B1 (ko)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56866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광학 안전 센서 진단 시스템
JPH09227038A (ja) リニアモータ
JP2007145472A (ja) 地震管制運転の復旧システム
JPH09249360A (ja) エレベーターのリミットスイッチ動作点検装置
JPH0952669A (ja) エレベータ位置検出装置
KR0179886B1 (ko) 승강기 고장 검출장치
KR100349266B1 (ko) 주차 및 엘리베이터 원격통합관제시스템
KR102433762B1 (ko)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KR0179885B1 (ko)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