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885B1 -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885B1
KR0179885B1 KR1019960032481A KR19960032481A KR0179885B1 KR 0179885 B1 KR0179885 B1 KR 0179885B1 KR 1019960032481 A KR1019960032481 A KR 1019960032481A KR 19960032481 A KR19960032481 A KR 19960032481A KR 0179885 B1 KR0179885 B1 KR 0179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ignal
hoistway
ca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835A (ko
Inventor
노성진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6003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885B1/ko
Publication of KR1998001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개발이나 엘리베이터의 생산 현장에서 반복적인 시험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의 기능과 성능을 검사함으로써 안정성을 확인하거나 특정한 상황을 설정하여 엘리베이터의 제어 동작 상태를 점검하는데 편리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창안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호기 제어반(210)과 홀 제어기, 카 제어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신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기능 및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권상용 전동기의 회전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 거리값(ES)을 입력으로 승강로 상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신호(PS)와 스위치 신호(ES)를 출력하는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와, 상기 호기 제어반(210)의 제어 명령 및 상태 신호와 상기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의 출력 신호(PS)(ES)를 수집, 분석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결과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저장 및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장치(2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일반적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의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서 홀 제어부의 예를 보인 구성도.
제5도는 제3도에서 카 제어부의 예를 보인 구성도.
제6도는 제3도에서 승강로 시뮬레이션부의 블럭도.
제7도는 제6도에서의 신호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서 층고 테이블을 도시한 표.
제9도는 본 발명에서 스위치 위치 테이블을 도시한 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호기 제어반 211 : 운전 제어부
212 : 속도 제어부 220 : 기계부
221 : 엔코더 222 : 권상용 전동기
223 : 권상기 230 : 홀 제어부
240 : 카 제어부 250 : 승강로 시뮬레이션부
251 : 데이터 처리 회로 252 : 스위치 위치 판별 회로
253 : 층 판별 회로 254 : 층신호 출력 회로
255 : 스위치 출력 회로 256 : 특수 시방 출력 회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전에 기능과 성능을 시험하는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건물이 고층화 및 대형화하는 추세에 있으며, 고층 건물내에서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은 엘리베이터가 유일한 이동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의 성능이나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제조업계에서는 성능보다 안전에 우선 순위를 두어 여러 시험과 검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부(112)가 버퍼(102)를 통하여 입출력 장치(101)에 접속됨과 아울러 인터페이스 회로(104)를 통하여 시험 장치(113)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112)는 외부 신호를 받아 들이고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101)를 버퍼(102)를 통해 제어하고 엘리베이터의 정상 동작 여부를 시험하는 시험 장치(113)를 인터페이스 회로(104)를 통해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03)와, 제어 시간의 기준이 되는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3)에 출력하는 펄스 생성 회로(105)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3)에 접속되어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 회로(106)로 구성된다.
상기 시험 장치(113)는 인터페이스 회로(111)를 통해 엘리베이터 신호 제어부(112)에 접속되어 시험 동작을 실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10)와, 외부로부터의 시험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 장치(108)와, 시험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07)로 구성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109는 모뎀이다.
이와 같은 종래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 제어부(112)와 입출력 장치(101), 시험 장치(113)를 각기 접속한 후 신호 입력 장치(108)를 통해 정해진 시험 데이터를 입력시키면 상기 시험 장치(113)는 마이크로 컴퓨터(110)가 인터페이스 회로(111)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112)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 제어부(112)는 마이크로 컴퓨터(103)가 엘리베이터 시험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인터페이스 회로(104)를 통해 시험 장치(113)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험 장치(113)는 마이크로 컴퓨터(110)가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를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시 장치(107)에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112) 내에 엘리베이터 시험을 실행하기 위한 시험 운전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시험 장치(113)가 그 시험 운전용 프로그램에 의한 시험 운전 기능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설치 현장의 엘리베이터를 시험 가동할 때 또는 보수시 다양한 입력 데이터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기능을 시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및 전동기 부속 장치인 엔코더 등과 같은 기계 장치와 함께 엘리베이터 전체의 동작 시험을 하기에는 부적절하며, 엘리베이터 제작 또는 설치시에는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관한 기본적인 기능의 확인이 없이 바로 운전을 위한 시험이 실시되므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즉, 엘리베이터는 전기, 전자 및 기계적인 요소가 복합적으로 설치되어 조화롭게 동작하여야만 안전하게 운행되는 매우 정밀하고 위험성이 많은 장비이므로 실제 운행 이전에 부분적인 많은 점검과 시험 운전이 따라야 하며 전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시험도 필수적인 내용이지만 이러한 시험을 행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아 엘리베이터를 설치한 후 곧바로 부름에 의한 운전을 실시함으로써 위험성을 내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건물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야만 홀 부름 버튼, 카 부름 버튼, 랜턴 및 강제 감속 스위치, 종점 스위치, 기타의 안전을 위한 리미트 스위치들이 제대로 작동될 수 있어서 비로서 올바른 시험으로 기능과 성증을 시험할 수 있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시험을 위해서는 고객의 건물로 이동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여러 제약이 따르며 아직 건물에 설치되지 않은 엘리베이터를 시험하기에 부적절함을 의미한다.
만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시험을 행하려 한다면 단순히 엘리베이터 제어기 내의 소프트웨어적인 변수의 확인만이 가능하며 실제의 동작을 확인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즉, 건물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때 함께 설치되는 모든 장치들을 함께 시험을 위하여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장소와 그 비용이 너무 많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24시간 연속 가동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내에 평소에는 불필요한 시험을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어 엘리베이터 시퀀스가 복잡해지며 만약의 경우 프로그램의 폭주 현상 등이 발생하면 이상동작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의 개발이나 엘리베이터의 생산 현장에서 반복적인 시험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의 기능과 성능을 검사함으로써 안전성을 확인하거나 특정한 상황을 설정하여 엘리베이터의 제어 동작 상태를 점검하는데 편리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창안한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엘리베이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호기 제어반(201)은 운전 제어부와 속도 제어부가 합쳐져 하나의 캐비넷으로 구성되며, 승강로의 신호들은 안전에 관련된 것이 대부분으로 병렬 입출력 포트(204)를 통하여 상기 호기 제어반(201)에 직접 인가되어진다.
카 제어기(202)는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와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호기 네트워크(205)를 통하여 호기 제어반(201)에 전송하거나 단독으로 설치되는 카 네트워크(도면 미표시)에 전송하기도 한다.
그리고, 카 제어기(202)는 호기 네트워크(205)를 통해 호기 제어반(201)으로부터의 명령에 의하여 카 내에 설치된 표시기와 카 도어 등의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건물내의 각 층에 승강장에 설치된 홀 제어부(203)의 홀 제어기(203-1~203-N)들도 호기 네트워크(205)를 통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엘리베이터는 설치와 유지 보수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기능과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운행을 담당하는 운전 제어부(211)와 전동기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212)로 구성된 호기 제어반(210)과, 권상기(223)를 구동하는 권상용 전동기(222)와, 이 권상용 전동기(222)의 축에 부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인 거리값(ES)을 출력하는 로터리 엔코더(221)를 포함하는 기계부(220)와, 다수층의 홀 제어부(230) 및 카 제어부(240)와, 건물내의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재현하여 승강로 상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와, 상기 호기 제어반(210), 홀 제어부(230), 카 제어부(240) 및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와 통신하여 엘리베이터의 기능 및 성능을 시험한 결과를 분석, 저정하고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장치(260)로 구성한다.
상기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코더(221)의 검출 신호(ES)를 받아 위치 카운터의 값을 증감,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회로(251)와, 이 데이터 처리 회로(251)에서 처리된 값으로 승강로 상에서의 엘리베이터 위치를 계산하여 승강로 상의 스위치의 동작을 대신 처리하는 승강로 스위치 위치 판별 회로(252)와, 상기 데이터 처리 회로(251)의 카운터 값을 감시하여 현재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결정하는 층판별 회로(253)와, 층판별 회로(253)의 출력을 받아 릴레이 접점으로 층의 위치 신호(PS)를 출력하는 층신호 출력회로(254)와, 그리고 승강로 스위치 위치 판별 회로(252)의 판별에 의한 승강로 스위치의 위치값인 스위치 신호(SS)를 출력하는 스위치 출력회로(255)와, 특수한 선택 시방의 기능을 위한 특수 시방 출력 회로(25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기 제어부(210)는 기계부(220)에 운전 명령을 전송하여 권상용 전동기(222)를 구동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시험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기계부(220)는 권상용 전동기(222)의 회전을 감지하는 로터리 엔코더(221)에서 출력되는 엔코더 신호(ES)를 호기 제어반(210)과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에 각기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호기 제어반(210)의 속도 제어부(212)와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는 로터리 엔코더(221)에서 전송된 엔코더 신호(ES)를 각기 파형 정형하여 카운터 등에서 적산 처리함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위치 신호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에서 엔코더 신호(ES)를 처리함에 의한 카의 위치 신호는 호기 제어반(210)에서는 카의 위치를 계산하는데 사용하고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에서는 층 신호와 승강로 스위치의 위치에 따른 동작 시점을 계산하는데 사용함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호기 제어반(210)과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에서의 위치 신호는 다소 개념의 차이가 있는 용어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가 운행됨에 있어 홀 제어부(230)는 승객의 홀부름 버튼(233)의 조작에 의하여 부름이 발생하면 홀 제어기(231)가 호기 네트워크를 통해 호기 제어반(210)에 알리고 그 호기 제어반(210)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버튼 램프를 점등하고 서비스 완료 후에는 상기 호기 제어반(210)의 명령을 수신하여 버튼 램프를 소등하게 된다.
이러한 홀 제어부(230)의 일예는 제4도의 구성과 같다.
상기 홀 제어기(231)는 호기 네트워크를 통해 호기 제어반(210)의 명령이 입력되면 홀 표시기(232)와 홀 부름 버튼(233)으로 구성되는 홀 장치를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홀 장치는 홀 표시기와 홀부름 버튼의 일체형(234)와 홀부름 버튼(233)과 홀 표시기(236)으로 이루어지는 아래,위 분리형도 있다.
또한, 홀 제어기(231)는 운전 상황에 따라 홀에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방향이나 도착을 알리는 랜턴(235)을 구동하거나 정보 장치(237)에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여 엘리베이터의 승객에게 단순한 표시 기능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카 제어부(240)는 홀부름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함에 따라 호기 제어반(210)의 명령을 받은 카 제어기(241)가 부하 검출기(247) 또는 도어 제어기(248)등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운행함과 아울러 카 내부에 운행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카 제어부(240)의 일예는 제5도의 구성과 같다.
따라서, 호기 제어반(210)은 운전 제어부(211)가 홀 제어부(230)와 카 제어부(240)에 운전 명령을 전송하고 그 운전에 따른 결과를 전송받아 시뮬레이션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결과를 판단하고 이 판단에 따른 감시용 신호(MS)를 데이터 분석 장치(260)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승강로 시뮬레이션(250)는 건물내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상에 부찰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하는 각종 스위치 또는 센서의 역할을 시뮬레이션하여 위치 신호(PS)와 스위치 신호(SS)를 호기 제어반(210)에 출력하며 동시에 상기 스위치 신호(SS)를 데이터 분석 장치(260)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 신호(SS)는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에서 출력되는 릴레이 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은 로터리 엔코더(221)의 엔코더 신호(ES)가 입력되면 데이터 처리 회로(251)가 위치 카운터의 값을 증감하게 된다.
이때, 스위치 위치 판별 회로(252)가 데이터 처리 회로(251)의 카운터 값을 입력으로 승강로 상에서의 위치를 계산하면 스위치 출력 회로(255)가 그 승강로 상의 스위치 값(SS)을 호기 제어반(210)과 데이터 분석 장치(260)에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층 판별 회로(253)가 데이터 처리 회로(251)의 카운터 값을 입력으로 현재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결정하면 층신호 출력 회로(254)가 그 위치 신호(PS)를 호기 제어반(210)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가 출력 신호(PS, SS)가 모두 호기 제어반(210)에 입력되면 엘리베이터가 실제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효과로 기계부(220)의 권상용 전동기(222)를 구동하여 권상기(223)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는 실제 건물에서 작동하는 안전 계통을 포함한 스위치를 대신하여 릴레이의 접점을 구동하면서 시험을 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엘리베이터 운행중에 층 변화의 발생 판별은 제8도의 표 1과 같은 층고 테이블을 기준으로 최초의 값(1층 1500)에서부터 임의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층 인식용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데이터 처리 회로(251)는 엔코더 신호(ES)의 처리를 통하여 얻어지는 카운터의 값과 초기값을 더하여 층 높이의 값(예로, 2층일 경우 3000)과 비교하여 이하이면 1층, 이상이면 2층을 표시하는 릴레이를 동작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는 권상용 전동기(222)의 정,역 회전에 따라 카운터의 값이 가감되어 건물내에서 엘리베이터가 움직이는 것과 같은 효과로 기능 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승강로 상의 각종 안전 스위치들도 제9도의 표 2와 같은 스위치 위치 테이블을 기준으로 층고의 판별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스위치 위치 판별 회로(252)에서 검사되어 해당되는 위치에 가상적으로 도달되면 즉시 스위치 출력 회로(252)를 구동하여 호기 제어반(210)으로 위치 신호(PS)를 출력하여 감속, 비상 정치, 정지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엔코더 신호(ES)를 처리한 카운터값이 종단 스위치의 값인 24000을 넘게 되면 소프트웨어적으로 급정지시키게 되며 이때는, 승차감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도록 한다.
만약, 실제로 엘리베이터를 설치한 건물에서 혹은 개발, 생산시 이러한 작동에 의한 시험이 이루어지면 설치된 엘리베이터나 건물에 물리적인 악영향을 끼치겠지만, 본 발명에 의한 시험이 수행되면 프로그램의 에러 등에 의한 오동작 등은 사전에 충분히 걸러지게 되어 보다 안정화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고장의 횟수와 오동작의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는 제7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는 엘리베이터 시험이 시작되면 카운터값, 층값, 승강로 스위치 위치값을 초기화하게 된다.
이후, 엔코더 신호(ES)가 입력되면 위치 카운터값을 증감하여 초기값과 합하여 층높이 값과 비교함에 의해 층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층 변화가 없으면 카운터 값을 제9도의 스위치 위치 테이블의 값과 비교하여 스위치의 위치가 변화하였는지 판별하게 된다.
만일, 층 변화가 발생하였으면 층을 계속 증가시키면서 카운터 값을 제9도의 스위치 위치 테이블의 값과 비교하여 스위치의 위치가 변화하였는지 판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값이 변화하였으면 그 스위치값을 세팅한 후 층의 위치 신호(PS)와 스위치의 위치값인 스위치 신호(SS)를 출력하게 된다.
이 후, 엔코더 신호(ES)를 계속 카운트하여 층 변화 및 스위치의 위치 변화를 판별하고 그 값(PS)(SS)을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기능 및 성능을 시험할 때 데이터 분석 장치(260)는 승강로 시뮬레이션부(250)에서 발생되는 신호(PS + SS)와 호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호기 제어반(210)으로부터의 제어 명령 및 상태 신호를 감시,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상/정상 판정을 하여 그 결과를 하드 디스크에 저장함은 물론 화면과 프린터의 분석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분석 장치(260)의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가 정상 속도(분속 240M)로 상행 주행하고 있는 경우 2단 감속 스위치(상 : 21000)가 동작하였다면 정상적인 동작시에는 즉시 감속 패턴에 따라 2감속도(분속 150M)로 속도의 변경이 발생하여야 한다.
만일, 감속 반응이 적절하지 못하거나 감속 동작으로 변경되지 않을 경우 호기 제어반(210) 내부에선 안전 회로들이 동작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분석 장치(240)는 엘리베이터 운행에 따른 데이터를 수집하여 그 입수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의해 감속 미실행 또는 감속 시점 에러 등의 기능까지도 감시하게 되며 동시게 그 결과들을 화면, 하드디스크, 프린터 등의 다양한 형식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분석 장치(240)는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특성을 감안하여 엘리베이터를 실제 건물에 설치하지 않고도 건물에 설치한 것과 거의 유사한 효과로 기능과 성능을 시험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시험탑에서의 시험을 위한 전단계에 활용할 경우 시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건물내 신규 설치후 시험 및 조정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호기 제어반과 홀 제어기, 카 제어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신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기능 및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권상용 전동기의 회전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 거리값(ES)을 출력하는 기계부와, 이 기계부의 움직임 거리값(ES)을 입력으로 승강로 상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신호(PS)와 스위치 신호(ES)를 출력하는 승강로 시뮬레이션부와, 상기 호기 제어반의 제어 명령 및 상태 신호와 상기 승강로 시뮬레이션부의 출력 신호(PS)(ES)를 수집, 분석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결과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저장 및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승강로 시뮬레이션부는 엔코더 신호(ES)를 받아 위치 카운터의 값을 증감,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회로(251)와, 이 데이터 처리 회로(251)에서 처리된 값으로 승강로 상에서의 엘리베이터 위치를 계산하여 승강로 상의 스위치 위치를 판별하는 스위치 위치 판별 회로(252)와, 이 스위치 위치 판별 회로(252)의 판별에 의한 승강로 스위치의 위치값인 스위치 신호(SS)를 출력하는 스위치 출력회로(255)와, 상기 데이터 처리 회로(251)의 카운터 값을 감시하여 현재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결정하는 층판별 회로(253)와, 이 층판별 회로(253)의 출력을 받아 층의 위치 신호(PS)를 출력하는 층신호 출력회로(25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KR1019960032481A 1996-08-03 1996-08-03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KR0179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481A KR0179885B1 (ko) 1996-08-03 1996-08-03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481A KR0179885B1 (ko) 1996-08-03 1996-08-03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835A KR19980013835A (ko) 1998-05-15
KR0179885B1 true KR0179885B1 (ko) 1999-04-15

Family

ID=1946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481A KR0179885B1 (ko) 1996-08-03 1996-08-03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954A (ko) * 2000-11-16 2002-05-23 엄영준 엔코더를 위치감지센서로 이용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835A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4935B1 (en) Elevator apparatus
JP4071008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昇降路監視装置の後付け方法
RU2369554C2 (ru) Контроль состояния лифта
EP1866231B1 (en) Condition monitoring system
EP2660180B1 (en) Overspeed detecting device for elevator apparatus with a safety interlock
EP3599203B1 (en) Elevator safety system
US11305965B2 (en) Elevator with safety chain overlay control unit with a safety PLC separately monitoring various safety switches for increasing a safety integrity level
KR20180124762A (ko) 승차 품질 이동 단말 장치 애플리케이션
EP2671836B1 (en) Safety control device for elevator
EP1864934A1 (en) Elevator apparatus
CA1096074A (en) Elevator system
CN110884972A (zh) 基于电梯安全回路的门锁检测方法
JP200309555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5074548A (ja) エレベータの安全システム
CN111824872A (zh) 电梯系统
CN110526064B (zh) 电梯轿厢意外移动保护系统功能测试装置
KR0179885B1 (ko)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JP2788369B2 (ja) エレベータの速度監視装置
EP3381853B1 (en) Elevator overtravel testing systems and methods
KR20220000792A (ko) 시각적 검사 진단
KR1008982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3650389B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JP7361872B1 (ja) エレベータ遠隔点検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遠隔点検方法
JP7361869B1 (ja) エレベータ遠隔点検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遠隔点検方法
JP2872085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