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762A - 승차 품질 이동 단말 장치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승차 품질 이동 단말 장치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762A
KR20180124762A KR1020180053458A KR20180053458A KR20180124762A KR 20180124762 A KR20180124762 A KR 20180124762A KR 1020180053458 A KR1020180053458 A KR 1020180053458A KR 20180053458 A KR20180053458 A KR 20180053458A KR 20180124762 A KR20180124762 A KR 20180124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tic
noise
mobile terminal
escalator
passeng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3685B1 (ko
Inventor
스코트 코프랜드 조지
송진호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12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7/00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객 컨베이어 진단 시스템은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신호 통신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이동 단말 장치는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승차 품질 데이터를 결정하여 승차 품질 데이터를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단말 장치는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진단 결과는 승차 품질 데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을 적용함에 응답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된다.

Description

승차 품질 이동 단말 장치 애플리케이션 {RIDE QUALITY MOBILE TERMINAL DEVICE APPLIC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 컨베이어 유지 보수 및 작동 진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 에스컬레이터 시스템 등과 같은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의 불만을 토대로 수리를 필요로 하는 기존의 오작동 또는 장애를 경고한다. 일 구성요소 또는 일 시스템이 오작동할 시기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정되지 않은 시기에 시스템을 오프라인으로 전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진단을 위해 승차 품질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문제가 확인되면 한 번 이상의 후속 방문이 필요하다. 또한 구성요소 장애 식별 전후의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 진단 및 모니터링은 정상 작동 중에 보이지 않거나 다양한 패널 뒤에 숨겨질 수 있는 구성요소, 구동 시스템, 제어 박스, 회로에 대한 액세스를 요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 제어 박스, 구동 시스템, 또는 기타 구성요소에 액세스하려면, 필요한 구성요소에 대한 기술자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이 서비스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승객 컨베이어 진단 시스템은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신호 통신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이동 단말 장치는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승차 품질 데이터를 결정하여 승차 품질 데이터를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단말 장치는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진단 결과는 승차 품질 데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을 적용함에 응답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된다.
또 다른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을 진단하도록 구성된 이동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 장치는 승차 품질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 및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승차 품질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 장치는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통신을 구축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승차 품질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교환하는 전자 하드웨어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 제어기는 또한 이동 단말 장치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한다. GUI는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또 다른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을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와,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신호 통신하는 이동 단말 장치를 통해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승차 품질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승차 품질 데이터를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교환하는 단계와,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진단 결과는 승차 품질 데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생성된다.
다음의 설명은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유사한 요소는 유사하게 번호가 매겨진다.
도 1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3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부근에서 동작하는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의 부근에서 동작하는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 장치를 도시한다.
도 5a는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홈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 장치를 도시한다.
도 5b는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진단 결과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 장치를 도시한다. 과
도 6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장치에 설치된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을 진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의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적이지 않게 여기에 제시된다.
용어 "약"은 애플리케이션을 본원 출원 시에 이용 가능한 장비에 기초하여 특정 양의 측정과 관련된 오차의 정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about"은 주어진 값의 ± 8 % 또는 5 % 또는 2 %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100)이 도시되어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메모리(102) 및 전자 하드웨어 프로세서(106)를 포함한다. 메모리(102)는 프로세서(106)에 의해 실행 가능한 다양한 명령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실행 가능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루틴, 절차, 방법, 기능 등과 관련하여서와 같이, 임의의 방식 및 임의의 추상화 레벨로 저장 또는 조직될 수 있다. 일례로서, 명령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프로그램(104a) 및 제 2 프로그램(104b)과 연관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다.
프로세서(106)는 메모리(102) 및 하나 이상의 입출력(I/O) 장치(108)와 전기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I/O 장치(108)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마이크로폰, 스피커, 마우스, 버튼, 리모컨, 조이스틱, 프린터, 전화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O 장치(들)(108)는 사용자가 시스템(100)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200)와 전기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는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200)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구축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예를 들어, Wi-Fi, 이더넷, 위성, 케이블 통신 등)에 따라 동작하는 임의의 통신 장치(예를 들어, 모뎀,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등)를 포함한다.
컴퓨팅 시스템(100)은 일례로서 예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엔티티 중 하나 이상은 선택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은 부가적인 엔티티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또는 전화 네트워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엔티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배열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수행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200)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200)는 클라우드 서버(202),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 장치(204), 및 하나 이상의 백엔드 컴퓨터(206)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서버(202)는 컴퓨팅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내부에서 컴퓨팅 동작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이동 단말 장치(204) 및/또는 백엔드 컴퓨터(206)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2)는 선택 기능에 대한 설정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설정 파라미터는 제어기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와 클라우드 서버(202) 사이의 접속 손실이 있는 경우 제어기에 위치하는 단순화된 장애 극복 기능이 있을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2)는 또한 메트릭 리포트 및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SW)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2)는 또한 다양한 진단 테스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및/또는 진단 테스트의 결과인 데이터 또는 리포트를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2)는 또한 장치 그룹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 메트릭은 다수의 유닛, 사이트 또는 그룹의 포트폴리오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2)에서 수집될 수 있다. 메트릭은 예를 들어 백엔드 컴퓨터(206)에 의해 분석되어 포트폴리오의 광범위한 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은 추세(trends)를 나타낼 수 있으며 요구(예: 제품 요구 또는 기능 요구)에 응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분석은 진단 또는 문제 해결 기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메트릭을 사용하여 판매 제안의 정확성을 높이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 메트릭은 예방 유지 관리 활동과 같은 유지 관리 활동을 제공하거나 예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새로운 디바이스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클라우드 서버(202)에 저장되어 로컬 제어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진단, 고장 예지 및 원격 수리/구조 기능을 위한 기능 업그레이드는 이들이 릴리스되어 클라우드 서버(202)에 배치될 때 고객에게 배치될 수 있다. 기능은 이동 단말 장치(204)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된 서버 위치(207)에 설치되는) 백엔드 컴퓨터(206)에서 발전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202)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이 동작을 충족시키거나 안전 요건을 만족시킴을 보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검사가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지원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의 현대화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는 클라우드 서버(202)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능을 가능하게 하거나 새로운 장치/장비를 지원할 수 있다. 현대화 이전 또는 도중, 제어기는 클라우드 서버(202)를 통해 업데이트를 수신하여, 새로운 장비에 대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지원하고/하거나 새로운 기능/능력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필요로하는 새로운 픽스처(fixture)가 추가되면 제어기는 제어기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구없이 새로운 픽스처가 클라우드 네트워크(200)에 통합되면 클라우드 서버(202)로부터 새로운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프로젝트의 현대화 단계 중 트래픽을 최적화하기 위해 클라우드로부터 새로운 디스패치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장치(20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촉진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 채널 또는 링크들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2)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단말 장치(204)와 클라우드 서버(202)는 서로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2)는 또한 모바일 장치(204)와 백엔드 컴퓨터(206) 간의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장치(204)는 예를 들어 승객 컨베이어 위치(205) 내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될 수 있는 스마트 폰(204)을 포함하고, 연결(208)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2)와 전기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연결(208)은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 표준 등을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208)은 전화, 셀룰러, Wi-Fi, 이더넷, 위성 또는 케이블 통신을 따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208)은 일정하거나 영구적 일 수 있다. 이동 단말 장치(204)는 이후 스마트 폰(204)으로 지칭될 것이지만, 이동 단말 장치(204)는 하나 이상의 저장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즉, 앱)과 클라우드 서버(202) 간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모바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 장치(204)는 컴퓨터 태블릿, 랩톱 컴퓨터, 스마트 시계 등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폰(204)은 디스플레이(220) 및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222), 스피커(224), 마이크로폰(226) 및 가속도계(228)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222)는 스마트 폰(204)이 디스플레이(220) 상에서 재생할 수 있는 정지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포착할 수 있다. 스피커(224)는 스마트 폰(204)으로부터의 사운드를 외부 환경으로 출력한다. 마이크로폰(226)은 스마트 폰(204) 부근에 존재하는 소리 및 잡음을 포착한다. 포착된 잡음은 메모리에 기록되어 스피커(224)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가속도계(228)는 단일 축 또는 다중 축 가속도계로 구성될 수 있고, 스마트 폰의 적절한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벡터 양으로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계(228)는 스마트 폰(204)의 방향, 좌표 가속도, 진동, 충격 및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funtionality)은 클라우드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2))에 (재)위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그러한 기능은 하나 이상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 이동 단말, 동작 모드 결정, 진단 기능, 특별 계약 기능 등에 대한 디스패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패치 기능에 관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건물의 특정 층에 위치한 홀 박스에서 수신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클라우드 서버에 전달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는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 엘리베이터 카가 특정 층으로 재배치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컬 제어기(미도시)는 일부 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그러한 기능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및 컴퓨팅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클라우드 서버(202)와 통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클라우드 서버(202)와 데이터 및 명령을 교환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300)의 부근에서 작동하는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 장치(204)가 도시되어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300)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스마트 폰(204)은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직 에스컬레이터 시스템, 수평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즉, 자동 무빙워크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유형의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300)은 수직 승강로(미도시)에 위치된 엘리베이터 카(302)를 구동시키는 기계(301)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 레일(304) 및 가이드(306)가 승강로 벽에 부착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300)은 엘리베이터 카(302)를 평형 추(counterweight)(도시되지 않음)에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기다란 부재(308)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다란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302) 및 평형추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둥근 강철 로프(308)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302)를 승강로 내에서 원하는 방향(예를 들어, 위 또는 아래)으로 추진시킨다. 단일 로프(308)가 도시되어 있지만, 추가 로프가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엘리베이터 기계(301)는 엘리베이터 카(302)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 기계실(303)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기계(301)는 선택된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302)를 구동하도록 로프(308)의 운동을 일으키고 회전하는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305)를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300)은 다양한 견인 로프(308)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도움이 되는 하나 이상의 디플렉터 또는 아이들러 시브(31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302)는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랜딩 또는 플로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302)는 승강기 도어(312)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302)에 오르거나 내리도록, 요청받은 플로어로 구동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유지 보수 기술자 또는 정비공(250)은 이동 단말 장치(204)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300)을 진단하면서 엘리베이터 카(30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 장치(204)가 스마트 폰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컴퓨터 태블릿, 랩톱 컴퓨터, 스마트 시계 등을 포함한,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유형의 이동 단말 또는 사용자 장비(UE)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정비 기술자(25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300)의 실시간 승차 품질 데이터를 얻기 위해 스마트 폰(204)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204)은 도어(312) 근처에 위치하여 마이크로폰을 통해 잡음(가령, 끼익 소리), 및/또는 카메라를 통해 도어 작동의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엘리베이터 주행 중 카(302)가 하나 이상의 플로어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스마트 폰(204)은 가속도계를 통해 진동을 검출할 수 있다.
스마트 폰(204)은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200)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200)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구축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예를 들어, Wi-Fi, 이더넷, 위성, 케이블 통신 등)에 따라 동작하는 임의의 통신 장치(예를 들어, 모뎀,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등)를 포함한다.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승차 품질의 정량적 측정 및 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엘리베이터 시스템(300)의 실시간 성능을 예상된 성능과 비교할 수 있다. 탑승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분석 데이터는 스마트 폰(204)에 국부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및/또는 클라우드 서버(202)에 저장될 수 있다. 분석 데이터는 기계 소음, 기계 진동, 엘리베이터 카 진동, 로프 소음, 과도/주행 소음, 아이들러/디플렉터 소음, 레일 및 가이드 진동, 그리고 엘리베이터 도어 소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분석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202)에 저장되고, 시간 경과에 따라 보관 및 추적되어 최근의 수리 노력에 따라 식별된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또는 문제가 남아 있거나 악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스컬레이터 시스템(400)의 부근에서 작동하는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204)이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있다. 에스컬레이터 시스템(400)은 하부 랜딩(404)과 상부 랜딩(406) 사이에서 연장되는 트러스(402)를 포함한다.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트레드 플레이트 또는 계단(408)이 구동 체인(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트러스(402) 내 폐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한 쌍의 난간(410)이 트러스(402)에 결합되고, 계단(408)의 대향 측면에 위치된다. 난간(410)은 승객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계단(408)과 함께 이동한다. 기계(412)가 계단(408) 및 난간(410)을 구동한다. 기계(412)는 통상적으로 랜딩 중 하나 아래의(가령, 하부 랜딩(404) 내에 포함된) 기계 공간(414)에 위치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유지 보수 기술자 또는 정비사(250)는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204)과 같은 이동 단말 장치(204)를 사용하여 에스컬레이터 시스템(400)의 동작을 진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태블릿, 랩톱 컴퓨터, 스마트 시계 등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유형의 이동 단말 UE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유지 보수 기술자 또는 정비사(250)는 에스컬레이터 시스템(400)의 실시간 승차 품질 데이터를 얻기 위해 스마트 폰(204)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204)은 핸들 레일(410) 근처에 위치하여 마이크로폰을 통해 잡음(가령, 끼익 소리)을 포착할 수 있고, 및/또는 난간(410)에 대해 배치되어 가속도계를 통해 진동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스마트 폰(204)은 기계 공간(414) 내에 또는 근처에 위치하여, 기계(412)의 소리를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스마트 폰의 카메라는 이동 계단(408) 및/또는 난간(410)의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다.
스마트 폰(204)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200)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200)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구축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예를 들어, Wi-Fi, 이더넷, 위성, 케이블 통신 등)에 따라 동작하는 임의의 통신 장치(예를 들어, 모뎀,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등)를 포함한다.
탑승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폰(204)에 의해 획득된 승차 품질의 정량적 측정 및 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에스컬레이터 시스템(400)의 실제 성능과 기대 성능 사이의 실시간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탑승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분석 데이터는 스마트 폰(204)에 국부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및/또는 클라우드 서버(202)에 저장될 수 있다. 분석 데이터는 기계 소음, 기계 진동, 트러스 진동, 계단 진동, 계단 소음, 난간 진동, 난간 소음 및 구동 체인 소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클라우드 서버(202)에 저장된 분석 데이터는 추가적으로 시간에 걸쳐 보관 및 추적되어, 또한 최근의 수리 노력에 따라 식별된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또는 문제가 남아 있거나 악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204)이 다양한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있다. 각 모드는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 대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사용자(예컨대, 유지 보수 기술자)에게 홈 GUI(500)를 제시하는 진단 선택 모드에서 동작하는 스마트 폰(204)이 도시되어있다. 사용자는 스크린(220) 상에 디스플레이된 터치 스크린 액추에이터(501)를 터치함으로써, 및/또는 스마트 폰(204) 상에 설치된 다른 입력 액추에이터(미도시)를 사용하여 홈 GUI(500)를 조작할 수 있다.
홈 GUI(500)는 진단 선택 필드(502) 및 사용자 명령어 필드(504)를 포함한다. 진단 선택 필드(502)는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상이한 유지 보수 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복수의 상이한 진단 동작 중에서 원하는 진단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 환경과 관련하여, 다양한 진단 작업에는 "도어 사이클" 진단 작업과 "플로어-투-플로어" 진단 작업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어 사이클" 진단 테스트는 테스트 루틴을 실행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작동을 진단한다. "플루어-투-플로어" 진단 작업은 테스트 루틴을 실행하여 엘리베이터가 건물 내를 이동할 때 엘리베이터의 비정상 또는 차선의(suboptimal) 작동을 진단한다.
에스컬레이터 시스템 환경과 관련하여, 진단 선택 필드(502)는 사용자로 하여금 기계 진단, 상행 계단 실행 진단, 하행 계단 실행 진단, 난간 진단, 및 제동 진단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진단 동작으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설명한 엘리베이터 진단 테스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정상 또는 차선의 소음 및 진동을 분석하여 특정 제품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관련시킬 수 있다. 증상 및 진단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기계 진단 동작은 기계 공간 내에서 생성된 잡음을 포착하고, 측정된 잡음을 그 설비에 대해 예상되는 잡음 범위와 비교한다.
상행 계단 실행 및 하행 계단 실행 진단 동작은 사용자가 움직이는 계단과 함께 에스컬레이터에 오름에 따라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의 실시간 동작을 모니터링한다. 이 작업 중 진단에는 계단 및 난간 소음의 소리 검출, 구동 체인의 소음, 계단의 진동 및 계단 이동 속도가 포함된다.
난간 진단은 보다 구체적으로 난간의 문제점을 진단하도록 지시될 수 있다. 난간 진단 중에 수행되는 진단에는 난간에 의해 생성된 소음 및/또는 난간의 진동을 분석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동 진단은 에스컬레이터의 계단들이 에스컬레이터 제동 이벤트 이후 예상된 시간 내에 정지하게 되는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계단의 감속도를 임계 값과 비교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제동 기능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동 진단은 또한 계단의 감속을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단의 감속 중 임의의 맥동은 제동 메커니즘의 특정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관련시킬 수 있다.
사용자 명령어 필드(504)는 선택된 진단 동작을 올바르게 수행하는 방법을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진단 동작 명령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대한 위치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와 관련하여 스마트 폰을 배치할 위치를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가장 최적의 결과를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어 사이클" 진단이 선택되면, 사용자 명령어 필드(504)는 사용자에게 "전화를 가슴 높이로 들고, 랜딩 도어와 마주 보며 시작을 누르세요"라고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어 필드(504)에 제시된 명령어는, 진단 선택 필드(502)로부터 선택된 진단 동작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사이클 진단을 수행할 때, 명령어는 엘리베이터 도어 근처 또는 도어와 연관된 특정 구성요소 부근에서 스마트 폰(204)을 위치시키도록 사용자에게 지시할 수 있는 반면에, 기계 진단 명령어에 대응하는 명령어는 에스컬레이터의 기계 공간 내에 전화를 위치시키도록 사용자에게 지시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유형의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과 관련된 진단 동작을 수행할 때 유사한 명령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대응하는 진단 동작의 완료 후 진단 결과 GUI(510)를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진단 결과 모드에서 동작하는 스마트폰(204)이 도시된다. 진단 결과 GUI(510)는 구성요소 필드(512) 및 상태 표시자 필드(514)를 포함한다. 구성요소 필드(512)는 선택된 진단 동작(즉, 홈 GUI(500)에서 선택된 진단 동작)에 따라 진단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나열한다. 선택된 진단 작업에 따라 표시되는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어-투-플로어 진단 작업을 수행한 후에 "로프" 및 "레일"이 표시될 수 있지만, 도어 사이클 진단 작업을 수행한 후 "문틀"(sill) 및 "행거"(hanger)가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에스컬레이터 시스템 진단 작업을 수행한 후, "계단 체인" 및 "난간 구동 체인"과 같은 에스컬레이터 구성요소가 표시될 수 있다.
상태 표시자 필드(514)는 구성요소 필드(512)에 표시된 각 구성요소 이름에 대응하는 상태 표시자(516a, 516b 및 516c)를 표시한다. 상태 표시자(516a-516c)는 진단 동작 후 구성요소의 진단된 상태를 표시하는 고유 식별자(가령, 칼라, 형상, 등)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 표시자(516a)(예를 들어, 초록색의 그래픽 표시기)는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진단 동작 후에 정상적으로 또는 예상대로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상태 표시자(516b)(예를 들어, 황색의 그래픽 표시기)는 여전히 적절한 결과를 제공하지만,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하나 이상의 불규칙성을 가지고 동작하는 것으로 검출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가 대부분의 승객에게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소음 수준으로 하나 이상의 플로어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나, 소음은 롤러 베어링이 마모되고 있고 교체되어야 함을 암시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 기술자는 다음 몇 차례 서비스 방문을 위해 이 장치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 3 상태 표시기(516c)(예를 들어, 적색의 그래픽 표시자)는 유닛이 일관되게 고객의 기대에 부합함을 보장하기 위해 서비스가 수행되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는 예를 들어 승객의 편의를 위해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진동 또는 소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요원이 첫 방문시 성공적인 서비스를 위해 올바르게 준비될 수 있도록, 진단 정보는 특정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관련시킬 수 있다.
진단 결과 GUI(510)는 스크린(220) 상에 표시된 주어진 구성요소 이름을 하이라이트 및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구성요소 선택기(518)를 더 포함한다. 하이라이트된 구성요소 이름을 선택함에 응답하여, 선택된 구성요소에 관한 추가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예기치 않은 소음이 발생한 주행 거리, 또는 특성 주파수 및 지속되는 소음의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측정은 스마트 폰(204)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될 수 있어, 간과된 소음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한다. 다른 예에서, 선택된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어)의 실제 동작의 비디오는 도어의 예상된 동작을 나타내는 사전 기록된 비디오와 함께 디스플레이 스크린(220)상에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 또는 관련 구성요소 시스템의 전자 유지 보수 매뉴얼 및/또는 회로도가 스크린(220)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선택된 구성요소를 진단하는데 사용자를 더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기술자는 하나 이상의 문제 구성요소를 즉시 식별하고 승객 입력없이 이상을 해결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흐름도는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이동 단말 장치 상에 설치된 승차 품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을 진단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동작(600)에서 시작하고, 동작(602)에서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진단 동작 중에서 진단이 선택된다. 단계 604에서, 선택된 진단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 명령어가 이동 단말 기기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동작(606)에서, 선택된 진단 동작이 개시되고, 하나 이상의 진단 알고리즘이 실행된다. 동작(608)에서,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실시간 탑승 품질 데이터가 획득된다. 탑승 품질 데이터에는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실시간 작동 중에 포착된 소음, 소리, 진동 및 이미지가 포함된다. 동작(610)에서, 실시간 데이터는 다양한 알고리즘 및 처리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분석된다.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포착된 사운드를 미리 녹음된 예상 사운드와 비교하여 예기치 않은 사운드가 있는지 또는 예상 사운드가 미리 결정된 사운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612)에서, 진단이 완료되었는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진단이 완료되지 않으면, 방법은 동작(610)으로 돌아가서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계속한다.
그러나, 진단이 동작(612)에서 완료되면, 본 방법은 동작(614)으로 진행하고, 이동 단말 장치의 스크린 상에 하나 이상의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 장치는 진단 결과 GUI를 생성하며, 이는 선택된 진단 동작에 따라 진단된 각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진단 상태 표시자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진단 결과 GUI로부터 특정 구성요소 이름을 선택하면, GUI는 단계(616)에서 선택된 구성요소에 관한 부가적인 진단 정보(예를 들어, 실시간 캡쳐된 소음, 이미지, 전자 도식 등)를 디스플레이하고, 방법은 동작(618)에서 종료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 양태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원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 "일", "하나의"및 "상기"는 문맥 상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가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등가물이 그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적용하기 위해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개시 내용을 수행하기 위해 고려된 최선의 형태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는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할 것이다.

Claims (20)

  1. 승객 컨베이어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 및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통신하고, 그리고,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승차 품질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승차 품질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교환하도록 구성된, 이동 단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 장치는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진단 결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을 상기 승차 품질 데이터에 적용함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승객 컨베이어 진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인 승객 컨베이어 진단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품질 데이터는 기계 소음, 엘리베이터 도어 소음, 엘리베이터 카 소음 및 엘리베이터 카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진단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인 승객 컨베이어 진단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품질 데이터는 기계 소음, 계단 진동, 계단 소음, 구동 체인 소음, 난간 소음, 난간 진동, 계단 속도 및 제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진단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장치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진단 동작들 중 하나의 진단 동작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1 GUI로부터 선택된 진단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에 의해 제공되는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GUI를 생성하는 제 2 모드로 동작하는, 승객 컨베이어 진단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장치는 스마트 폰, 컴퓨터 태블릿, 또는 스마트 시계 중 하나인 승객 컨베이어 진단 시스템.
  8.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을 진단하도록 구성된 이동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장치는,
    승차 품질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승차 품질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통신을 구축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승차 품질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교환하고,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는 전자 하드웨어 제어기 - 상기 GUI는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진단 결과임 -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품질 데이터는 엘리베이터 기계 소음, 엘리베이터 도어 소음, 엘리베이터 카 소음, 엘리베이터 카 진동, 에스컬레이터 기계 소음, 에스컬레이터 계단 진동, 에스컬레이터 계단 소음, 에스컬레이터 계단 속도, 에스컬레이터 난간 소음, 에스컬레이터 난간 진동, 및 에스컬레이터 제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진단 동작 중에서 일 진단 동작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1 GUI로부터 선택된 진단 동작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에 의해 제공되는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GUI를 생성하는 제 2 모드를 호출하는, 이동 단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GUI는 진단 동작을 선택함에 응답하여 동작 명령어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GUI는 상기 선택된 진단 동작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단 결과는 상기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기록된 소음, 상기 구성요소의 이미지, 상기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도식, 및 상기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유지 보수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장치는 스마트 폰, 컴퓨터 태블릿, 또는 스마트 시계 중 하나인, 이동 단말 장치.
  15.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을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 장치를 통해 상기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의 승차 품질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승차 품질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와 교환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진단 결과는 상기 승차 품질 데이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을 적용함에 응답하여 생성됨 - 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 진단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품질 데이터는 엘리베이터 기계 소음, 엘리베이터 도어 소음, 엘리베이터 카 소음, 엘리베이터 카 진동, 에스컬레이터 기계 소음, 에스컬레이터 계단 진동, 에스컬레이터 계단 소음, 에스컬레이터 계단 속도, 에스컬레이터 난간 소음, 에스컬레이터 난간 진동 및 에스컬레이터 제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 진단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진단 동작 중에서 일 진단 동작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1 GUI로부터 선택된 진단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단 알고리즘에 의해 제공되는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GUI를 생성하는 제 2 모드로 이동 단말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 진단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품질 데이터는 엘리베이터 기계 소음, 엘리베이터 도어 소음, 엘리베이터 카 소음, 엘리베이터 카 진동, 에스컬레이터 기계 소음, 에스컬레이터 계단 진동, 에스컬레이터 계단 소음, 에스컬레이터 계단 속도, 에스컬레이터 난간 소음, 에스컬레이터 난간 진동 및 에스컬레이터 제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 진단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단 결과는 컬러 그래픽, 상기 결과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텍스트 메시지, 상기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기록된 소음, 상기 구성요소의 이미지, 상기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도식, 및 상기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유지 보수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적 표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 진단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장치는 스마트 폰, 컴퓨터 태블릿, 또는 스마트 시계 중 하나인,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 진단 방법.
KR1020180053458A 2017-05-12 2018-05-10 승차 품질 이동 단말 장치 애플리케이션 KR102583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93,707 2017-05-12
US15/593,707 US10547917B2 (en) 2017-05-12 2017-05-12 Ride quality mobile terminal device appl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762A true KR20180124762A (ko) 2018-11-21
KR102583685B1 KR102583685B1 (ko) 2023-10-04

Family

ID=6216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458A KR102583685B1 (ko) 2017-05-12 2018-05-10 승차 품질 이동 단말 장치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47917B2 (ko)
EP (1) EP3401263A3 (ko)
JP (1) JP7166073B2 (ko)
KR (1) KR102583685B1 (ko)
CN (1) CN108861921A (ko)
AU (1) AU2018203280A1 (ko)
BR (1) BR10201800950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9125B1 (en) * 2016-08-03 2019-12-25 Alimak Group Management AB Fall arrest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10472207B2 (en) * 2017-03-31 2019-11-12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initiated dynamic elevator service request
US10414628B2 (en) * 2017-05-12 2019-09-1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device with authorized access control
US11040851B2 (en) * 2018-04-26 2021-06-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passenger frustration reduction
US11518650B2 (en) * 2018-06-15 2022-12-06 Otis Elevator Company Variable thresholds for an elevator system
CN111071886A (zh) * 2018-10-22 2020-04-28 奥的斯电梯公司 用于跟踪电梯乘坐质量的系统
EP3730442A1 (en) * 2019-04-26 2020-10-28 KONE Corporation Mobile operating unit, elevator and method
US20200339385A1 (en) * 2019-04-29 2020-10-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haft distributed health level
US20200361745A1 (en) * 2019-05-13 2020-11-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health status ranking out of acceleration maximum values
US11618652B2 (en) * 2019-11-15 2023-04-04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data acquisition from learning algorithm
US11034551B2 (en) * 2019-11-15 2021-06-15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controls data to internet of things
US11548764B2 (en) * 2019-11-15 2023-01-10 Otis Elevator Company Selective wireless escalator data acquisition
WO2021106155A1 (ja) * 2019-11-28 2021-06-03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診断結果を示す情報を提示する情報提示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EP3832608A1 (en) * 2019-12-02 2021-06-09 KONE Corporation A solution for providing visual output representing maintenance related information of a people transport system or an access control system
US11780704B2 (en) * 2020-02-06 2023-10-10 Otis Elevator Company Measurement and diagnostic of elevator door performance using sound and video
JP7115651B2 (ja) 2020-02-07 2022-08-09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昇降機の診断装置および診断解析装置
JP7108647B2 (ja) * 2020-02-25 2022-07-2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診断装置固定治具
US11691853B2 (en) * 2020-05-26 2023-07-04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with distributed state sensors
US11390488B2 (en) * 2020-06-26 2022-07-19 Otis Elevator Company Visual inspection diagnostics
CN117105040B (zh) * 2023-10-24 2024-01-12 四川省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特种设备快速检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8709A (ja) * 2005-07-04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の診断装置
KR20160143735A (ko) * 2014-04-07 2016-12-14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엘리베이터 헬스 점검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6976A (en) 1979-02-02 1980-08-16 Hitachi Ltd Controller for elevator
US4512442A (en) 1984-03-30 1985-04-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ervicing of an elevator system
US4697243A (en) 1985-07-25 1987-09-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s of servicing an elevator system
US4698780A (en) 1985-10-08 1987-10-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US4750591A (en) 1987-07-10 1988-06-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and motion sequenc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JP2563963B2 (ja) 1988-03-31 1996-12-1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FI89580C (fi) 1988-10-25 1993-10-25 Kone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maetning och avstaemning av ett hissystem
US4936419A (en) 1988-10-26 1990-06-26 Montgomery Elevator Co. Elevator diagnostic display system
US4930604A (en) 1988-10-31 1990-06-0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Elevator diagnostic monitoring apparatus
US5135079A (en) 1990-02-28 1992-08-04 Kabushiki Kaisha Toshiba Noise prevention apparatus for a cable winch elevator
DE9015495U1 (ko) 1990-11-12 1992-01-02 Technischer Ueberwachungs-Verein Bayern E.V., 8000 Muenchen, De
US5254813A (en) 1991-07-29 1993-10-19 Kabushiki Kaisha Toshiba Elevat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system
CA2132152C (en) 1993-10-06 2005-02-15 Peter Spiess Door safety circuit for the monitoring of storey doors in lift installations
FI102884B (fi) 1995-12-08 1999-03-15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toimintojen analysoimiseksi
US5889239A (en) 1996-11-04 1999-03-30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monitoring elevator leveling performance with improved accuracy
US6216539B1 (en) * 1998-11-23 2001-04-17 Csi Technology, Inc. Equipment setup for ultrasonic monitoring
US7437150B1 (en) 2000-10-06 2008-10-14 Carrier Corporation Method for wireless data exchange for control of structural appliances such as heating, ventilation,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WO2002083541A1 (fr) 2001-04-10 2002-10-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ducteur de vibrations pour ascenseur
JP2003192248A (ja) 2001-12-25 2003-07-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遠隔保守システム
US6604611B2 (en) 2001-12-28 2003-08-12 Otis Elevator Company Condition-based, auto-thresholded elevator maintenance
ZA200307740B (en) 2002-10-29 2004-07-02 Inventio Ag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maintenance of a lift.
US7040458B2 (en) 2003-06-27 2006-05-09 Fujitec America, Inc. Elevator destination protocol control with flexible user interface
CN2645072Y (zh) * 2003-08-19 2004-09-29 焦作华飞电子电器工业有限公司 提升机综合参数测试仪
ES2286402T3 (es) * 2003-08-25 2007-12-01 Inventio Ag Procedimiento para examinar una instalacion de ascensor e instalacion de ascensor.
US7004289B2 (en) 2003-09-30 2006-02-28 Shrum Iii William M Elevator performanc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US7559408B2 (en) 2004-05-19 2009-07-14 Otis Elevator Company Correlating sounds to elevators serving destination floors
JP4627152B2 (ja) 2004-06-01 2011-02-09 三星電子株式会社 危機監視システム
JP4744826B2 (ja) 2004-08-18 2011-08-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異常診断装置
EP1854079A2 (en) 2004-08-27 2007-11-14 L-3 Communications Security and Detection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event signatures
US8028807B2 (en) 2004-11-09 2011-10-04 Inventio Ag Remote recording of maintenance operations for an elevator or escalator installation
FI118466B (fi) 2005-04-08 2007-11-30 Kone Corp Kunnonvalvontajärjestelmä
FI118532B (fi) 2005-08-19 2007-12-14 Kone Corp Paikannusmenetelmä hissijärjestelmässä
FI20060131A0 (fi) 2006-02-13 2006-02-13 Kone Corp Yhteysjärjestelmä
JP5199553B2 (ja) 2006-07-20 2013-05-15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異常診断システム
EP2136358A4 (en) 2007-03-16 2011-01-19 Panasonic Corp LANGUAGE ANALYSIS DEVICE, LANGUAGE ANALYSIS PROCEDURE, LANGUAGE ANALYSIS PROGRAM AND SYSTEM INTEGRATION CIRCUIT
CA2704923C (en) 2007-11-09 2016-04-05 Google, Inc. Activating applications based on accelerometer data
WO2009109471A1 (de) 2008-03-06 2009-09-11 Inventio Ag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r wartung einer solchen aufzugsanlage
ES2403104T3 (es) 2008-04-08 2013-05-14 Otis Elevator Company Análisis observable a distancia para un sistema de ascensor
WO2012000170A1 (en) 2010-06-29 2012-01-0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afety of elevator
FI122366B (fi) 2010-11-09 2011-12-30 Kone Corp Laite ja järjestelmä hissin kunnossapitoa varten
CN103221326B (zh) 2010-11-30 2015-06-17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系统的主动噪声或振动控制的方法和系统
KR101433363B1 (ko) 2011-07-15 2014-09-04 (주)에이치피엔알티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승강기 원격관리시스템 및 승강기 유지보수용 휴대용 단말
CN103874647B (zh) 2011-10-14 2016-10-12 奥的斯电梯公司 具有用于自动化维护的消息传送的升降机系统
EP2604564A1 (de) 2011-12-14 2013-06-19 Inventio AG Fehlerdiagnose einer Aufzuganlage und seiner Komponenten mittels Sensor
WO2014124890A1 (de) 2013-02-12 2014-08-21 Inventio Ag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s fangtests
US9356045B2 (en) * 2013-06-10 2016-05-31 Raytheon Company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column III-V isolation regions
CN105283400B (zh) * 2013-06-10 2020-02-14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噪声监测
US20160107861A1 (en) * 2013-06-11 2016-04-21 Otis Elevator Company Cloud server based control
KR101335929B1 (ko) 2013-06-14 2013-12-0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모바일 앱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고장 처리 원격보수 시스템
JP2015168560A (ja) 2014-03-10 2015-09-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振動騒音測定方法
US9747585B2 (en) * 2014-10-14 2017-08-29 Xicore Inc. Method of retrieving and uniformalizing elevator maintenance and callback data and code events
CN104528507B (zh) * 2014-12-26 2016-11-02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珠海检测院 自动扶梯综合检测方法
DE202014010224U1 (de) * 2014-12-30 2016-03-31 TÜV SÜD Industrie Service GmbH Vorrichtung zur Erfassung wenigstens eines Bewegungsparameters eines Aufzugs einer Windenergieanlage
EP3261969B1 (en) 2015-02-24 2020-10-14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measuring and diagnosing ride quality of an elevator system
WO2016193079A1 (de) 2015-06-02 2016-12-08 Inventio Ag Überwachen einer aufzugsanlage
CN105035899B (zh) 2015-06-03 2017-07-25 沈阳市蓝光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机的电梯调试方法
CN204689297U (zh) 2015-06-03 2015-10-07 沈阳市蓝光自动化技术有限公司 基于智能手机的电梯质量检测装置
CN105173943B (zh) * 2015-08-10 2017-04-12 沈阳市蓝光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电梯体检系统
CN105293238B (zh) 2015-11-04 2017-08-25 浙江大学 一种电梯健康状况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8709A (ja) * 2005-07-04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の診断装置
KR20160143735A (ko) * 2014-04-07 2016-12-14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엘리베이터 헬스 점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01263A3 (en) 2019-04-24
AU2018203280A1 (en) 2018-11-29
US10547917B2 (en) 2020-01-28
JP2018193245A (ja) 2018-12-06
US20180332368A1 (en) 2018-11-15
EP3401263A2 (en) 2018-11-14
BR102018009504A2 (pt) 2018-12-04
JP7166073B2 (ja) 2022-11-07
KR102583685B1 (ko) 2023-10-04
CN108861921A (zh)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685B1 (ko) 승차 품질 이동 단말 장치 애플리케이션
CN108975113B (zh) 乘客输送机性能评定系统
CN110015600B (zh) 使用相机预置的自动排序的电梯检查
EP3640178B1 (en) Determining elevator car location using vibrations
CN108689268A (zh) 用于电梯安全制动器系统的自动化测试方法和电梯制动器测试系统
JP6997680B2 (ja) エレベーター異常監視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異常監視方法
EP3363758A1 (en) Mechanism for monitoring operation of passenger transport device
CN113213290B (zh) 使用声音和视频对电梯门性能进行测量和诊断
CN113844965B (zh) 视觉检视诊断
JP2008081299A (ja) エレベータの機能可変型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方法
JP5535441B2 (ja) 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装置
EP3808693A1 (en) Elevator condition based maintenance using an in-car camera
US20200039785A1 (en) Tracking service mechanic status during entrapment
CN114007974B (zh) 检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