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935B1 -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935B1
KR101868935B1 KR1020160044722A KR20160044722A KR101868935B1 KR 101868935 B1 KR101868935 B1 KR 101868935B1 KR 1020160044722 A KR1020160044722 A KR 1020160044722A KR 20160044722 A KR20160044722 A KR 20160044722A KR 101868935 B1 KR101868935 B1 KR 101868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vator car
elevator
replacement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748A (ko
Inventor
유승주
Original Assignee
유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주 filed Critical 유승주
Priority to KR102016004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93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를 기초로 하여 부품 교체 시기를 용이하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도록 위치 검출부(101), 도어 열림 감지부(102) 및 승객 감지부(103)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검출부/감지부가 감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부품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판단부(130)가 구성된다. 판단부(130)는 소정 부품의 교체시기를 표시부(132)를 통해 통보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단말기기(300)로 전달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Alarm device for parts replacement time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부품 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부품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종적 교통운반 수단으로서, 소규모 빌딩에서부터 수십 층의 고층 건물에 이르기까지 건물의 용도에 따라 기능별로 설치 및 운행되며, 건물의 초 고층화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역할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안전에 대한 필요성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이는 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실질적으로 인명사고를 초래하는 것이고, 이로 인한 경제적, 물질적인 손해 역시 크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각종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기적인 안전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는 통상 수백 ~ 수천 개의 기계부품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기계 부품들의 안전 점검도 반드시 필요하다. 엘리베이터의 노후화에 따라 자주 발생하는 고장 대부분이 각 부품의 안전점검 소홀 및 미실시, 그리고 이로 인한 부품 교환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주요한 원인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부품에 대한 교체시기가 늦어질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 발생은 더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런데 현재까지 각 부품들에 대하여 안전점검은 주로 점검원의 육안 검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부품의 교체시기를 확인하는 방법이 육안 검사 이외에는 적절한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엘리베이터의 안전 여부가 점검원의 점검에 전적으로 의지하기 때문에 점검원의 숙련도에 따라 점검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점검원이 미숙련된 점검원이거나 또는 시간적인 이유로 미숙하게 점검을 하였을 경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점검원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직까지는 각 부품의 사용횟수나 운행 거리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리고 점검원에 의한 부품 점검은 점검시 이외의 고장을 예측하여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 및 점검 시간이 길어 엘리베이터 이용이 불편한 문제점도 초래한다. 더욱이 점검원은 부품에 대한 마모나 상태를 육안으로 하기 때문에 부품 교체시기를 쉽게 알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물론 근래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엘리베이터 제조사에서 승강기 제어반을 이용하여 안전 점검을 수행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승강기 제어반을 이용할 경우 소프트웨어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개발이 어렵고, 제조사마다 승강기 제어반의 입출력장치가 서로 다르게 설계되기 때문에 범용으로 이용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말미암아 엘리베이터의 안전 운행을 위한 우선 과제로 부품의 사용횟수나 운행 거리 등에 정보를 기초로 부품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부품을 적정 시기에 교체할 수 있다면 부품의 미 교체로 인하여 발생하는 각종 사고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엘리베이터의 각 부품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부품들의 교체시기를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가 각 엘리베이터에 장착되거나 또는 하나의 서비스 모듈 형태로 제조하여, 기존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부품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판단부; 그리고 상기 판단부에 의해 소정 부품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검출부는, 가속도 신호나 엔코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부; 및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의 승객 감지신호를 승객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엘리베이터 카의 부품 교체시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백업 저장부; 전원이 정상 공급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카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 및 정전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내장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업 저장부는 탈/ 부착 가능한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가 비정상적으로 운전될 경우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이상신호 출력부; 상기 이상신호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상신호 출력부는 상기 이상신호를 승강기 제어반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단말기기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기가 접속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엘리베이터 카의 부품 교체시기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기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정당한 작업자만 이용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기능을 락(Lock) 시키는 스위치가 더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가 운행될 때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정보나 도어 열림 횟수 정보, 각 층의 정지횟수 정보 등을 검출하고 이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각 부품의 교체 시기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 없이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만으로 간단하게 부품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노후화된 부품이나 불량 부품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가 비정상적으로 정지함을 알 수 있어 구출운전 모드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다. 특히 비정상 정지 시 카 내의 승객 유무도 함께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신속한 구출이 가능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부품 교체시기 알람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부품 교체시기 알람 장치를 이용하여 부품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부품 교체시기 알람 장치를 보인 구성도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의 정보를 손쉽게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품의 교체 시기를 알려줌으로써, 부품의 노후화나 마모, 불량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주된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부품 교체시기 알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부품 교체시기 알람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보면 승강기 제어반(200)과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부품 교체시기 알람 장치(이하, '알람 장치'라 칭하기로 함)(100)가 제공된다. 통상 엘리베이터는 복수 대가 운영되는 시스템이고, 따라서 엘리베이터마다 이를 관리하는 호기 제어기가 마련되며, 상기 승강기 제어반(200)은 이러한 호기 제어기들을 전체적으로 관리,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승강기 제어반(200)은 엘리베이터 기계실에 마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장치(1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능에 따른 결과, 예를 들어 부품의 교체시기 정보나 엘리베이터의 이상 정보 등을 외부 단말기기(300)나 승강기 제어반(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이하에서는 단지 '카'라고 칭하기도 한다)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101), 카의 도어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부(102), 카 내의 승객 감지신호를 승객 감지부(103) 및 승강기 제어반(200)으로부터 안전회로 신호를 입력받는 안전회로 신호 입력부(104)가 구성된다.
상기 위치 검출부(101)는 가속도 신호를 두 번 적분하여 검출하는 방법 또는 엔코더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열림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스위치(미도시)의 신호를 검출하거나 승강기 제어반(200)의 도어 열림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에 의해 그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객 감지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카메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나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상신호 출력에 카 내의 승객 유무를 송신하고,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상신호출력에 카의 출발 직전 영상을 송신하여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 예는 상기한 구성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다른 검출부나 감지부 등의 수단이 얼마든지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한 위치 검출부(101), 도어 열림 감지부(102), 승객 감지부(103) 및 안전회로 신호 입력부(104)로부터 신호를 수집하는 신호 수집부(110)와, 수집된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연산부(112)가 구성된다. 상기 연산부(112)는 수집된 신호에 의해 도어의 열림 횟수, 각 층에서의 도어 작동 횟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에 의한 총 운행 거리 등을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연산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0) 및 그 저장부(120)의 비정상 동작에 대비한 백업 저장부(122)가 구성된다. 상기 백업 저장부(122)는 탈/ 부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부품 관련 정보는, 그 부품이 교체 완료되면 초기화된다.
한편,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및 엘리베이터 카가 정해진 층에 정지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130)가 구성된다. 즉 판단부(130)는 위치 검출부(101)가 검출한 정보 등을 이용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 층에 정상적으로 정지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판단부(130)는 카의 비정상 정지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승객 감지부(103)의 감지 결과와 협력하여 구출운전이 수행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판단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를 감시하면서 특정 부품의 교체시기가 도래하면 이를 알려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구출운전과 관련하여 이상신호 출력부(140)가 구성된다. 이상신호 출력부(140)는 엘리베이터 카가 비정상적으로 운전될 경우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비정상 운전이란 엘리베이터 카가 정해진 층에 정지하지 않거나, 도어가 열린 채로 운행하거나, 정격 속도 이상으로 운행하는 등,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안전하게 운행되지 못하는 모든 경우를 말할 수 있다. 이처럼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비정상적인 경우 이상신호 출력부(140)는 알람을 출력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전을 제어하는 승강기 제어반(200)으로 전달한다. 물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단말기기(300), 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PC, 전용 단말기 등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신호 출력부(140)가 원격지에 있는 외부 단말기기(300)로의 정보 전달을 위해 인터페이스부(150)가 구성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랜(LAN) 및 USB 등과 같이 유/무선 매체가 이용된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5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기(300)로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단말기기(300)나 승강기 제어반(200)의 제어명령에 따라서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백업 저장부(122)로 복사 저장하는 등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장치(100)에는 인터페이스부(150)의 기능을 락(Lock) 시키는 스위치(152)가 마련된다. 스위치(152)는 비밀번호 입력방식이나 터치 입력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스위치(152)의 구동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한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거나 그러지 못하게 된다. 통산 스위치(152)가 락 상태이면 정보 송수신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알람 장치(100)는 2가지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받는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운전이 정상상태이면 엘리베이터 카에 공급되는 전원이 알람 장치(100)의 전원부(160)로 공급되고, 정전시에는 내장 배터리(161)로부터 공급받는 구조이다. 물론 내장 배터리(161)는 평상시 충전부(162)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이어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알람 장치를 이용하여 부품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과정을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면(S100), 위치 검출부(101), 도어 열림 감지부(102) 및 승객 감지부(103)는 전원 공급에 따라 정상 동작하면서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S102). 그리고 획득한 정보는 신호 수집부(110)가 전달받는다(S104). 예를 들어, 위치 검출부(101)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도어 열림 감지부(102)는 도어 열림 신호를 감지하며, 승객 감지부(103)는 카 내의 승객 유무 정보를 실시간 검출하는데, 이렇게 검출된 정보를 신호 수집부(110)가 실시간으로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또는 정해진 일정 시간동안에만 신호 수집부(110)로 정보 전달이 수행된다.
신호 수집부(110)는 상기와 같이 수집된 각종 정보를 연산부(112)로 전달한다. 이에 연산부(112)는 도어의 열림 횟수, 각 층에서의 도어 작동 횟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에 의한 총 운행 거리 등을 누적 연산하고, 이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S106).
이렇게 저장된 각종 정보는 판단부(130)가 계속 감시하게 되며, 그 결과 특정 부품의 교체시기가 도래하게 되면 이를 알려주게 된다(S108). 예를 들어, 도어의 열림 횟수에 의해 도어 작동횟수를 알 수 있고, 이에 도어 관련 부품의 교체시기를 통보할 수 있다. 또한, 각 층의 정지횟수의 합은 권상기 브레이크의 동작횟수이기 때문에 이때에는 권상기 브레이크 관련 부품의 교체를 통보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는 운전 거리로서 카의 총 운행거리를 알 수 있어 권상기 도르래 및 베어링, 로프 및 레일 가이드 부품의 교체를 통보할 수 있다. 이처럼 엘리베이터 카의 운전 거리나 각 도어의 동작횟수에 따라서 대응되는 부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검출된 정보와 비교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교체 여부는 표시부(132)를 통해 통보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32)는 구체적으로 어느 부품에 대한 교체시기가 도래하였는지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어 관련 부품이면 문자정보로 도어 관련 부품을 표시하거나 또는 관련 코드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판단부(130)가 직접 부품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것 대신,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외부 단말기기(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카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엘리베이터 카의 특정 부품 교체시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부품 교체가 이루어지면(S110),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는 초기화되고 처음부터 다시 카운팅하게 된다(S112).
한편, 부품 교체시기를 확인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방문한 상태에서 외부 단말기기(300)를 인터페이스부(150)에 접속하고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외부 단말기기(300)가 알람 장치(100)의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단말기기(300)가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외부 단말기기(300)가 인터페이스부(150)에 접속되면, 그 외부 단말기기(30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달받고,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이다. 그리고 비교 결과에 따라 외부 단말기(300)는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부품 교체시기를 표시한다. 여기서, 외부 단말기기(300)는 정당한 인증 절차 이후에 인터페이스부(150)에 접속되기만 하면 저장부(120)로부터 데이터를 자동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판단부(130)는 위치 검출부(101) 및 승객 감지부(103)의 동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가 비정상적 운전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래서 만약 엘리베이터카가 정해진 위치에 정지하지 않는 경우 이상신호 출력부(140)는 이상 신호를 승강기 제어반(200)으로 출력하도록 관련 신호를 전달하거나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외부 단말기기(300)로 전달하도록 한다(S120). 그 결과 구출운전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엘리베이터 카 내에 승객이 있는 경우 신속한 구출 운전이 수행될 수도 있다(S122).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부품 교체시기 알람 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부품 교체시기를 더 간단하게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장치(400)는 위치 검출부(410), 도어 열림 감지부(420), 승객 감지부(4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검출부(410), 도어 열림 감지부(420), 승객 감지부(430)가 처리한 결과값을 전달받는 승강기 제어반(440)이 구성된다. 여기서 승강기 제어반(440)은 엘리베이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이외에 상기 결과값을 기초로 하여 부품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부품의 교체시기에 대한 기준값은 저장부(450)에 저장되어 있다.
이에 승강기 제어반(440)은 특정 부품의 교체 시기가 도래하면 인터페이스부(460)를 통해 외부 단말기기(470)로 전송한다. 또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서버(미도시)로 전송한다. 이에 작업자는 특정 엘리베이터 카의 부품 교체시기를 편리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는 비록 승강기 제어반(440)을 이용하고 있지만, 규격화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작업자가 휴대하는 외부 단말기기나 제어 서버로 부품의 교체시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부품 교체시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카의 장시간 운행에 따른 노후화로 인한 부품 교체시기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위치 검출부 102: 도어 열림 감지부
103: 승객 감지부 104: 안전회로 신호 입력부
110: 신호 수집부 112: 연산부
120: 저장부 122: 백업 저장부
130: 판단부 140: 이상신호 출력부
150: 인터페이스부 152: 스위치
200: 승강기 제어반 300: 외부 단말기기

Claims (6)

  1. 서비스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부품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판단부(130);
    상기 판단부(130)에 의해 소정 부품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표시부(132);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비정상적으로 운전될 경우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이상신호 출력부(140);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엘리베이터 카의 부품 교체시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0) 및 백업 저장부(122);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부품 교체시기 정보 또는 상기 이상신호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단말기기(300)로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단말기기(300)가 접속되면 그 외부단말기기(300)가 부품 교체시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단말기기(300)로 전달하며, 정당한 작업자만 이용하도록 정보의 송신 기능을 락(Lock) 시키도록 비밀번호 입력방식이나 터치 입력방식의 스위치가 구비된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가속도 신호나 엔코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101);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부(102); 및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의 승객 감지신호를 승객 감지부(103)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이 정상 공급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카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160); 및
    정전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내장 배터리(16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업 저장부(122)는 탈/ 부착 가능한 구조인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44722A 2016-04-12 2016-04-12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KR101868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722A KR101868935B1 (ko) 2016-04-12 2016-04-12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722A KR101868935B1 (ko) 2016-04-12 2016-04-12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748A KR20170116748A (ko) 2017-10-20
KR101868935B1 true KR101868935B1 (ko) 2018-06-19

Family

ID=6029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722A KR101868935B1 (ko) 2016-04-12 2016-04-12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9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986B1 (ko) 2021-10-21 2022-04-14 주식회사 솔리데오시스템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교체 시점을 예측하는 방법과 그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02320A (ko) 2022-06-29 2024-01-05 이원석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196A (ja) * 2001-01-31 2002-08-16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保守契約支援システム
KR100948360B1 (ko) * 2009-08-19 2010-03-22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원격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196A (ja) * 2001-01-31 2002-08-16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保守契約支援システム
KR100948360B1 (ko) * 2009-08-19 2010-03-22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원격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986B1 (ko) 2021-10-21 2022-04-14 주식회사 솔리데오시스템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교체 시점을 예측하는 방법과 그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02320A (ko) 2022-06-29 2024-01-05 이원석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748A (ko)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2285B1 (ko) 자동 엘리베이터 점검 시스템 및 방법들
US6550585B2 (en) Hoistway intrusion detection
CN101243000B (zh) 电梯系统
KR101394380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940633B1 (ko) 철도차량 객실 실시간 감시 시스템
JP2018188273A (ja) エレベーター点検装置
JP2009155050A (ja) 乗客コンベアの自動診断運転装置
EP3872018B1 (en) An elevator monitoring system
KR20180001953A (ko) 오작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868935B1 (ko)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CN114728758A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JP2004161195A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の集中遠隔監視システム
CN111137773B (zh) 用于检测电梯系统的故障的方法和系统
EP3666710B1 (en) Safety system based on hoistway access detection
KR101352610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KR102165769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101504607B1 (ko)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KR101224732B1 (ko)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74203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10013254A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KR101812926B1 (ko)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KR100372814B1 (ko)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장치
JP2023018224A (ja) エレベータ点検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点検方法
JP2009062152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4509522B2 (ja)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