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320A -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320A
KR20240002320A KR1020220079382A KR20220079382A KR20240002320A KR 20240002320 A KR20240002320 A KR 20240002320A KR 1020220079382 A KR1020220079382 A KR 1020220079382A KR 20220079382 A KR20220079382 A KR 20220079382A KR 20240002320 A KR20240002320 A KR 20240002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actual operation
data
bi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이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석 filed Critical 이원석
Priority to KR102022007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320A/ko
Publication of KR2024000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32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를 수집 및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 실제 운행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조사별 및 모델별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승강기 공급자 및 승강기 수요자에게 공급하여 비교 견적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IG DATA SERVICE ON ACTUAL OPERATION OF ELEVATORS}
본 발명은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를 수집 및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 실제 운행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조사별 및 모델별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승강기 공급자 및 승강기 수요자에게 공급하여 비교 견적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법에 따라 특정 층 이상의 건축물에는 승강기의 설치가 의무화되는 한편, 고층 건축물의 증가와 더불어 편의시설의 확충에 따라 설치되는 승강기의 대수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승강기는 사고 발생시 대형 인명피해와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도 1은 현행 승강기의 기간별 유지보수기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현행 승강기의 3차 정밀검사 주요 교체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현행 승강기의 유지보수는 승강기의 설치 기간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간별로 정밀검사과 정기검사를 원칙으로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유지보수방법은 일률적으로 설치 기간을 기준으로 정해진 기간에 따라 검사나 부품 교체 서비스를 실시함에 따라 승강기의 안전한 운행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승강기는 제조사별, 모델별, 운행방식 또는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작되는 한편, 실제 승강기의 운행횟수, 운행거리 또는 승강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주변 환경에 따라 노후화와 열화가 각각 다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설치 기간에 따라 일률적으로 실시되는 검사만으로는 승강기의 오동작이나 오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다.
KR 10-2016-0148826 A, 2016. 12. 27. KR 10-1924562 B1, 2018. 11. 27. KR 10-1868935 B1, 2018. 06. 12. KR 10-0451376 B1, 2004. 09. 22.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현행 승강기 검사의 한계를 보완하여 보다 안전하게 승강기를 운행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해결 과제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설치되어 운행되고 있는 승강기의 노후화와 열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실제 운행 데이터를 측정하여 빅데이터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빅데이터화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승강기 공급자, 승강기 수요자 및/또는 승강기 관리기관 등이 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빅데이터화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승강기 비교 견적시 함께 제공하여 승강기 공급자에게는 자신의 판매 제품에 대한 장점을 홍보할 수 있고, 승강기 수요자에게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강기 공급자와 승강기 수요자 간의 거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목적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승강기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의 카를 승강시키는 권상기와 메인 도르래 사이에 설치된 메인 로프를 촬영하여 상기 메인 로프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카의 운행횟수 및 운행거리와, 카 도어의 개폐횟수와, 상기 카에 탑승하는 탑승인원수를 포함하는 상기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측정하는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 상기 승강기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승강기 실제 운행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한 후 외부로 송출하는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로부터 상기 승강기의 운행 데이터를 각각 제공받아 수집 및 분석하여 승강기별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한 후, 빅데이터화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승강기 정보와 함께 승강기 공급자와 승강기 수요자에게 각각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는 상기 카의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 상기 메인 로프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로프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상기 카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의 위치와, 상기 카 도어의 개폐동작과, 상기 카에 탑승하는 탑승객의 인원을 측정하는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 및 상기 승강기의 기계실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와, 상기 카메라 장치와, 상기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로 전송하는 메인 마스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마스터 장치는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인 로프의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메인 로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에서 전송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간별로 카 운행횟수 및 운행거리와, 카 탑승 총 인원수 및 카 탑승 평균 인원수와, 카 도어 개폐횟수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마스터 장치는 산출된 상기 카 운행횟수 및 운행거리와, 상기 카 탑승 총 인원수 및 카 탑승 평균 인원수와, 상기 카 도어 개폐 횟수를 기설정된 기준 설정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기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점검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실의 메인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마스터 장치는 상기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와 함께 승강기를 식별하는 승강기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승강기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승강기 비교 견적 사이트와 연동하고, 승강기별로 각각 리포트를 작성하여 상기 승강기 비교 견적 사이트로 제공하되, 상기 리포트에는 승강기 고유번호, 제조사명, 모델명, 제조년도, 설치년도, 정기검사일 및 부품 교체일을 포함하는 승강기 정보와, 승강기의 평가 요소로서, 기간별 메인 로프의 이상 발생 횟수, 기간별 카의 운행횟수, 기간별 카의 운행거리, 기간별 카 도어의 개폐횟수, 기간별 카의 탑승 총 인원수, 기간별 카의 탑승 평균 인원수, 기간별 승강기의 비정상 동작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를 통해 상기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를 통해 상기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승강기의 실제 운행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출하는 과정; 및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승강기별로 빅데이터화한 후, 빅데이터화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승강기 안전 관리원, 국가 승강기 정보센터, 건물 관리실 및 건물주, 승강기 제조 및 유지보수업체, 민간 보험사 등으로 제공하여 승강기에 대한 합리적인 검사 및 부품 교체시기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각 승강기의 안전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승강기 가동에 따른 실제 운행 데이터(운행횟수/운행거리 등)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플랫폼을 통해 승강기 공급자(제조사/유지보수업체/보험사 등), 승강기 수요자(건설사/건축주/공동주택관리자 등), 승강기 관리기관(승강기 안전 관리원/국가 승강기 정보센터 등) 등으로 제공하여 승강기에 대한 합리적인 검사 및 부품 교체시기를 제공하는 한편, 승강기 공급자와 승강기 수급자에 승강기의 거래 사이트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현행 승강기의 기간별 유지보수기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현행 승강기 3차 정밀검사 주요 교체 부품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의 실제 운행에 대한 빅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촬영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실제 운행 데이터 처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해 얻어진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의 활용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각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크기 및 형상이 과도하게 도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A 및/또는 B'라 기재된 경우 A와 B 모두를 의미하거나, 또는 A 또는 B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와 '정보'는 혼용되어 기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들을 별도로 구분하여 정의하여 설명하지 않는 한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승강기(1)의 실제 운행을 측정하는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10)와,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10)로부터 측정된 승강기(1)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저장 및 송출하는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와, 통신망(30)을 통해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로부터 승강기(1)의 운행 데이터를 제공받아 수집 및 분석하여 승강기(1)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고 빅데이터화된 승강기(1)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승강기 공급자와 승강기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관리서버(4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승강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승강기(1)는 기본적으로 카(1a), 전동기(1b), 권상기(1c), 메인 도르래(1d), 메인 로프(1e), 균형추(1f) 및 제어반(1g)을 포함한다. 전동기(1b), 메인 도르래(1d), 제어반(1g)은 승강로(1i)의 상부 기계실(1h)에 설치된다.
권상기(1c)는 승강로(1i)의 상부에 마련된 기계실(1h)에 설치되고, 맞물려 있는 전동기(1b)의 동력을 전달받은 시브가 회전하여 메인 로프(1e)를 움직이게 하는 장치이다.
메인 로프(1e)는 권상기(1c)의 시브 및 메인 도르래(1d)에 고정되고, 양단에는 카(1a)와 균형추(1f)가 연결되어 있어 시브의 움직임을 전달받아 카(1a)를 승강시킨다.
제어반(1g)은 승강기(1)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카(1a)의 내부에 설치된 층 버튼과 연동하여 전동기(1b)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편, 카 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승강기 관리실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10)는 승강기(1)에 설치되어 승강기의 카(1a)의 주변 환경(온도 및 습도 등)을 측정하는 한편, 승강기(1)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측정하여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로 전송한다.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10)는 예를 들어,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11)와, 카메라 장치(12)와,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와, 메인 스마트 장치(14)를 포함한다.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11)는 카(1a)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1a)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다.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11)에서 측정된 온도와 습도는 메인 스마트 장치(14)로 전송된다.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11)는 카(1a)의 외부, 가령 카(1a)가 승강하는 승강로(1i)에 설치되어 승강로(1i)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촬영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와 같이, 카메라 장치(12)는 권상기(1c)에 결합되고 메인 도르래(1d)를 경유하여 카(1a)와 균형추(1f)에 연결된 메인 로프(1e)를 감시하는 카메라로서, 메인 로프(1e)의 변형, 충격(진동/떨림), 꼬임 등의 이상 유무를 감시한다.
카메라 장치(12)는 메인 로프(1e)의 전방에 위치되어 승강기(1)의 운행 중에 메인 로프(1e)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감시한다. 촬영된 메인 로프(1e)의 영상은 메인 스마트 장치(14)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12)는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다.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는 카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카(1a)의 현재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카(1a)의 운행횟수와 운행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카 도어의 개폐동작을 감지하여 카 도어가 개폐되는 횟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는 카(1a)의 운행횟수와 운행거리를 측정하는 동시에 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위치정보 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측정센서는 GPS 모듈과 연결하여 카(1a)의 위치를 인식하고 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한다. 또는 카(1a)의 운행횟수와 운행거리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와, 카 도어 개폐를 각각 독립적으로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가속도 센서와 적외선 센서는 하나의 센서 하우징에 병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는 카(1a)를 탑승하는 탑승객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물리적 접촉없이 카(1a)를 탑승하는 탑승객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기장이나 전자기파(예컨대, 적외선)를 방출하고, 그 전기장과 돌아오는 신호를 감지하여 탑승객을 감지한다.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는 예를 들어 위치정보 측정센서와 근접센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는 각 센서를 통해 측정된 카(1a)의 위치 데이터와, 카 도어의 개폐 여부에 상응하는 데이터와, 카(1a)의 탑승 인원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예컨대, 블루투스)를 통해 메인 마스터 장치(14)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 마스터 장치(14)는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에서 전송된 각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간별(시간별/일별/주별/월별/년별 등)로 카(1a)의 운행횟수와 운행거리, 탑승 총 인원수 및 탑승 평균 인원수, 카 도어 개폐 횟수 등을 산출하여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를 통해 관리서버(40)로 전송한다.
또한, 메인 마스터 장치(14)는 산출된 카(1a)의 운행횟수와 운행거리, 탑승 총 인원수 및 탑승 평균 인원수, 카 도어 개폐 횟수 등을 기설정된 기준 설정값과 비교한다. 만약 기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점검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반(1g)을 통해 해당 승강기가 설치된 건축물을 관리하는 관리실의 메인서버(미도시)나 기등록된 관리자 단말기(예컨대, 휴대용 단말기나 개인 컴퓨터 등)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는 카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점검 요청 신호를 메인 마스터 장치(14)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 도어가 열리지 않거나 닫히지 않는 경우,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 열림 또는 닫힘 조작없이 카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 등과 같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메인 마스터 장치(14)로 점검을 요청하는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메인 스마트 장치(14)는 해당 승강기(1)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수집하여 외부 장치, 예를 들면 제어반(1g)과 연결된 관리실의 메인서버(미도시) 및/또는 관리서버(40)로 전송한다. 즉,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11)와, 카메라 장치(12)와,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로부터 각각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제공받아 전송한다.
이러한 메인 스마트 장치(14)는 기계실(1h) 내 또는 기계실(1h) 내에 설치된 제어반(1g)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11)로부터 측정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와, 카메라 장치(12)를 통해 촬영된 메인 로프(1e)의 촬영 영상 데이터와,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를 통해 측정된 카(1a)의 위치 데이터와 카 도어의 개폐 데이터를 제공받아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로 전송한다.
메인 스마트 장치(14)는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11), 카메라 장치(12) 및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로부터 각각 제공받은 측정 데이터들을 자체 연결된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로 전송하거나 제어반(1g)을 매개로 관리실의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스마트 장치(14)는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11), 카메라 장치(12) 및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로부터 제공받은 측정 데이터들을 토대로 승강기(1)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한편, 카(1a)의 실제 운행횟수, 운행거리 및 카 도어의 개폐 횟수 등을 설정된 기간 단위로 각각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12)로부터 제공받은 촬영 영상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승강기(1)의 이상 유무(예컨대, 메인 로프(1e)의 이상 유무(메인 로프의 튕김, 진동 및/또는 슬립 현상 등))를 판단할 수 있다.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로부터 제공받은 카(1a)의 위치 데이터와 카 도어의 개폐 데이터를 토대로 카(1a)의 실제 운행거리와 카 도어의 개폐 횟수 등을 설정된 기간 단위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기간 단위는 일별, 주별, 월별 또는 연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가령, 메인 스마트 장치(14)는 승강기(1)의 운행 중에 카메라 장치(12)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메인 로프(1e)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고, 이 영상 데이터를 정상상태의 메인 로프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로프의 기준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고, 이를 토대로 메인 로프의 튕김, 진동 및/또는 슬립 현상 등을 비교 분석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스마트 장치(14)는 승강기(1)의 이상이 발생되거나, 혹은 설정된 기간 내에서 카(1a)의 운행횟수, 운행거리 또는 카 도어의 개폐 횟수가 기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검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어반(1g)과 연결된 메인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승강기(1)를 식별할 수 있도록 승강기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11), 카메라 장치(12) 및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13)로부터 측정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승강기 고유번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는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10)로부터 측정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한 후 통신망(30)을 통해 관리서버(40)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망(30)은 이동통신망, 인터넷망 또는 개인 사설망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망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관리서버(40)는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로부터 제공받은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수집한 후 승강기의 고유번호를 토대로 승강기별로 저장 등록하고, 관리 대상인 승강기에 대한 실제 운행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실제 운행 데이터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10)를 통해 측정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를 통해 관리서버(30)로 전송된다. 관리서버(30)는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로부터 전송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한 후 해당 승강기별로 리포트를 작성하여 온라인 플랫폼 형태로 제공한다.
관리서버(30)는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로부터 제공받은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 즉 메인 로프의 이상 유무, 카의 운행횟수 및 운행거리, 카 도어의 개폐횟수, 카의 탑승 총 인원수 및 탑승 평균 인원수를 제공받고, 이를 토대로 해당 승강기의 기간별 메인 로프의 이상 발생 횟수, 기간별 카의 운행횟수, 기간별 카의 운행거리, 기간별 카 도어의 개폐횟수, 기간별 카의 탑승 총 인원수, 기간별 카의 탑승 평균 인원수 및 기간별 승강기의 비정상 동작 횟수를 산출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승강기 수요자에게 승강기 성능 및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상기 리포트에는 승강기 고유번호, 제조사명, 모델명, 제조년도, 설치년도, 정기검사일 및 부품 교체일을 포함하는 승강기 정보와, 기간별 메인 로프의 이상 발생 횟수, 기간별 카의 운행횟수, 기간별 카의 운행거리, 기간별 카 도어의 개폐횟수, 기간별 카의 탑승 총 인원수, 기간별 카의 탑승 평균 인원수, 승강기의 비정상 동작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간별은 일별/주별/월별/년별로 구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과 같이,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10)를 통해 승강기(1)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측정한다(S1).
이어서,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를 통해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10)로부터 측정된 승강기(1)의 실제 운행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관리서버(30)로 송출한다(S2).
이어서, 관리서버(30)는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20)로부터 전송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승강기별로 빅데이터화한 후(S3), 빅데이터화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승강기 안전 관리원(2), 국가 승강기 정보센터(3), 건물 관리실/건물주(4), 승강기 제조/유지보수업체(5), 민간업체(보험사)(6) 등으로 제공하여 승강기에 대한 합리적인 검사 및 부품 교체시기를 제공한다(S4).
도 1과 같이, 승강기 안전 관리원(2), 국가 승강기 정보센터(3), 건물 관리실/건물주(4), 승강기 제조/유지보수업체(5), 민간업체(보험사)(6) 등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각 통신망(30), 예를 들면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서버(30)에 회원 가입 및 인증 절차를 통해 접속한 후, 관리서버(30)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화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제조사별과 모델별로 각각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얻어진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의 활용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관리서버(30)에서 생성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는 승강기 비교 견적시 함께 제공되어 승강기 공급자에게는 자신의 판매 제품에 대한 장점을 홍보할 수 있고, 승강기 수요자에게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강기 공급자와 승강기 수요자 간의 거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 비교 견적 사이트는 관리서버(40)와 연동된다. 승강기 공급자인 승강기 제조사는 판매하고자 하는 승강기에 대한 견적을 승강기 비교 견적 사이트에 등록한다. 승강기 비교 견적 사이트에서는 승강기 수요자인 건설사로부터 승강기 견적 요청이 들어오면, 승강기 제조사에서 기등록한 승강기 견적을 건설사로 제공한다.
승강기 수요자인 건축주와 공통주택관리자 등, 그리고 승강기 공급자인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와 보험사 등은 비교 견적 사이트에 접속하고, 인증(로그인) 후 기등록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는 관리서버(30)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 등록 관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 : 승강기 1a : 카
1b : 전동기 1c : 권상기
1d : 메인 도르래 1e : 메인 로프
1f : 균형추 1g : 제어반
1h : 기계실 1i : 승강로
10 :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 11 :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
12 : 카메라 장치 13 :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
14 : 메인 스마트 장치 20 :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
30 : 통신망 40 : 관리서버
41 : 관리자 단말기

Claims (7)

  1. 승강기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의 카를 승강시키는 권상기와 메인 도르래 사이에 설치된 메인 로프를 촬영하여 상기 메인 로프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카의 운행횟수 및 운행거리와, 카 도어의 개폐횟수와, 상기 카에 탑승하는 탑승인원수를 포함하는 상기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측정하는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
    상기 승강기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승강기 실제 운행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한 후 외부로 송출하는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로부터 상기 승강기의 운행 데이터를 각각 제공받아 수집 및 분석하여 승강기별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한 후, 빅데이터화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승강기 정보와 함께 승강기 공급자와 승강기 수요자에게 각각 제공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는,
    상기 카의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
    상기 메인 로프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로프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상기 카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의 위치와, 상기 카 도어의 개폐동작과, 상기 카에 탑승하는 탑승객의 인원을 측정하는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 및
    상기 승강기의 기계실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 및 습도 측정센서와, 상기 카메라 장치와, 상기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로 전송하는 메인 마스터 장치;
    를 포함하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마스터 장치는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인 로프의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메인 로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카 운행 및 도어 개폐 측정센서에서 전송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간별로 카 운행횟수 및 운행거리와, 카 탑승 총 인원수 및 카 탑승 평균 인원수와, 카 도어 개폐횟수를 각각 산출하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마스터 장치는 산출된 상기 카 운행횟수 및 운행거리와, 상기 카 탑승 총 인원수 및 카 탑승 평균 인원수와, 상기 카 도어 개폐 횟수를 기설정된 기준 설정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기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점검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실의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마스터 장치는 상기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와 함께 승강기를 식별하는 승강기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승강기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승강기 비교 견적 사이트와 연동하고, 승강기별로 각각 리포트를 작성하여 상기 승강기 비교 견적 사이트로 제공하되, 상기 리포트에는 승강기 고유번호, 제조사명, 모델명, 제조년도, 설치년도, 정기검사일 및 부품 교체일을 포함하는 승강기 정보와, 승강기의 평가 요소로서, 기간별 메인 로프의 이상 발생 횟수, 기간별 카의 운행횟수, 기간별 카의 운행거리, 기간별 카 도어의 개폐횟수, 기간별 카의 탑승 총 인원수, 기간별 카의 탑승 평균 인원수, 기간별 승강기의 비정상 동작 횟수를 포함하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를 통해 상기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를 통해 상기 승강기 운행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승강기의 실제 운행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출하는 과정; 및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데이터 저장 및 송출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승강기별로 빅데이터화한 후, 빅데이터화된 승강기의 실제 운행 데이터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승강기 안전 관리원, 국가 승강기 정보센터, 건물 관리실 및 건물주, 승강기 제조 및 유지보수업체, 민간 보험사 등으로 제공하여 승강기에 대한 합리적인 검사 및 부품 교체시기를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20079382A 2022-06-29 2022-06-29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2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82A KR20240002320A (ko) 2022-06-29 2022-06-29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82A KR20240002320A (ko) 2022-06-29 2022-06-29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320A true KR20240002320A (ko) 2024-01-05

Family

ID=8954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382A KR20240002320A (ko) 2022-06-29 2022-06-29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32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376B1 (ko) 1997-11-11 2004-12-04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원격감시제어장치
KR20160148826A (ko) 2015-06-16 2016-12-27 최성규 운행정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관리방법
KR101868935B1 (ko) 2016-04-12 2018-06-19 유승주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KR101924562B1 (ko) 2017-01-10 2018-12-04 (주)태두 엘리베이터의 정보수집 시스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376B1 (ko) 1997-11-11 2004-12-04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원격감시제어장치
KR20160148826A (ko) 2015-06-16 2016-12-27 최성규 운행정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관리방법
KR101868935B1 (ko) 2016-04-12 2018-06-19 유승주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KR101924562B1 (ko) 2017-01-10 2018-12-04 (주)태두 엘리베이터의 정보수집 시스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5890B2 (ja) エレベータの火災管制装置
KR102035557B1 (ko) 엘리베이터 사물 인터넷 기반 부지중 자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8028807B2 (en) Remote recording of maintenance operations for an elevator or escalator installation
AU2006297003B2 (en) Lift installation for transporting lift users inside a building
JP5191658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5540377A (zh) 具有人脸匹配功能的物联网远程电梯监控系统
TWI666162B (zh) 電梯裝置及電梯的復原方法
CN108861917A (zh) 一种通过微信平台查看电梯运行的方法
JP5806916B2 (ja) エレベーター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11591183B2 (en) Enhancing elevator sensor operation for improved maintenance
CN112520528B (zh) 一种自动监测电梯故障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AU2012384009A1 (en) Position and load measurement system for an elevator
KR100948360B1 (ko) 엘리베이터 원격 제어 방법
CN113401738A (zh) 电梯运行管理方法和装置、电梯系统以及可读存储介质
CN112866647A (zh) 一种基于智慧社区的物业智能化管理系统
CN110817634B (zh) 一种升降机信息化监控管理系统
KR102289455B1 (ko) 엘리베이터 비상연락 시스템 및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단말
CN202717465U (zh) 一种远程电梯监控系统
CN113949723A (zh) 一种智慧社区管理用物联网标识异构兼容系统
KR20240002320A (ko)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310648B2 (ja) 設備環境データ分析システムおよび設備環境データ分析方法
CN205397747U (zh) 一种电梯设备控制装置
CN113998553A (zh) 一种电梯运行故障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08285073A (zh) 一种电梯监管装置
KR101703497B1 (ko) 출입관리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