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203A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203A
KR20200074203A KR1020207015284A KR20207015284A KR20200074203A KR 20200074203 A KR20200074203 A KR 20200074203A KR 1020207015284 A KR1020207015284 A KR 1020207015284A KR 20207015284 A KR20207015284 A KR 20207015284A KR 20200074203 A KR20200074203 A KR 20200074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arthquake
threshold
monitoring cent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615B1 (ko
Inventor
히데키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지진감지기(220)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20)와, 감시센터(300)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으로서, 엘리베이터(20)는, 지진감지기(220)가 운전 중지 역치를 초과하는 고가속도를 감지했을 때에 운전을 중지하고, 고가속도 감지 신호와 운전 중지 신호를 감시센터(300)에 발신하고, 감시센터(300)는, 엘리베이터(20)로부터 고가속도 감지 신호와 운전 중지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엘리베이터(20)가 설치되어 있는 지구의 진도가 진도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20)에 자동복구 진단동작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발신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본 발명은, 지진감지기가 고가속도를 감지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가 거의 손상을 받지 않은 것으로 상정될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자동복구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지진 발생 시에 지진관제운전이 행해진다. 지진관제운전은, 예를 들어, 지진감지기에 의해서 감지한 지표면의 가속도가 소정 저역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한 후에 자동복구진단을 행해서 자동복구하고, 가속도가 소정 고역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한 후에 운전을 중지하는 등이 있다. 지진관제운전으로 운전 중지가 될 경우에는, 전문 기술자가 해당 엘리베이터에 출동해서 인적 복구가 행해진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JP 2016-23044 A
한편, 지진감지기가 고가속도를 감지한 경우에도 지진의 규모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 따라서는 엘리베이터가 거의 손상을 받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러나, 지진관제운전에서는, 엘리베이터가 손상을 받지 않을 것 같을 경우에도 많은 엘리베이터가 동시에 운전 중지되어 버리는 일이 있어, 엘리베이터의 복구에 시간이 걸려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지진감지기가 고가속도를 감지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가 거의 손상을 받지 않은 것으로 상정될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자동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지표면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지진감지기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와, 상기 엘리베이터와 통신해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감시하는 감시센터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지진감지기가 운전 중지 역치를 초과하는 고가속도를 감지했을 때에 운전을 중지하고, 고가속도 감지 신호와 운전 중지 신호를 상기 감시센터에 발신하고, 상기 감시센터는, 상기 엘리베이터로부터 상기 고가속도 감지 신호와 상기 운전 중지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지구(地區)의 진도가 진도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자동복구 진단동작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센터는, 지진 발생 후에 복수의 지진정보 제공조직으로부터 지진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의 지진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지진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지구의 진도가 진도 역치 미만, 또는 상기 지구에서의 지표면의 가속도가 상기 운전 중지 역치보다도 큰 복구가능 역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자동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발신해도 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센터는, 지진 발생 후에 복수의 지진정보 제공조직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지역의 지진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지역에서 진도 역치 이상의 진도가 관측되고 있지 않고, 그리고 상기 지역에서 상기 운전 중지 역치보다도 큰 복구가능 역치 이상의 가속도가 관측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고가속도 감지 신호와 상기 운전 중지 신호를 상기 감시센터에 발신한 상기 엘리베이터 중에서 상기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상기 엘리베이터에 자동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발신해도 된다.
본 발명은, 지진감지기가 고가속도를 감지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가 거의 손상을 받지 않은 것으로 상정될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자동복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고가속도 감지 엘리베이터 리스트,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 지진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자동복구 진단지령 발신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의 전반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의 후반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 지진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고가속도 감지 엘리베이터 리스트,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 실행가부 리스트, 자동복구진단 복구 지령 발신 리스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의 전반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은, 지표면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지진감지기(220)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20)와, 엘리베이터(20)와 통신해서 엘리베이터(20)를 감시하는 감시센터(300)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20)는, 빌딩(10)의 승강로(11) 속에 설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20)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반(200)과, 제어반(200)으로부터 입력된 엘리베이터(20)의 운전 상황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30)에 발신하는 통신장치(21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반(200), 통신장치(210)는, 내부에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다. 통신장치(210)는, 감시센터(300)의 정보처리장치(310)로부터의 지령 신호를 통신장치(320), 통신 네트워크(30)를 개재해서 수신해서 제어반(200)에 출력한다. 통신장치(210, 320)는 무선통신을 행하는 기기이어도 되고 유선통신을 행하는 기기이어도 된다. 또, 통신 네트워크(30)는, 인터넷 통신망이어도 되고, 전화 회선망이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 (22)는 카, 부호 (26)은 카(22)의 도어, 부호 27은 카(22)의 바닥, 부호 (12)는 승장장 층의 바닥, 부호 (13)은 승장장 층의 도어를 나타낸다.
감시센터(300)는, 통신장치(210, 320)를 개재해서 엘리베이터(20)의 제어반(200)과 운전 상황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정보처리장치(310)와 감시반(330)을 구비하고 있다. 정보처리장치(310), 통신 장치(320)는, 내부에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이며, 엘리베이터(20)의 제어반(200)으로부터 입력된 운행 상황 데이터를 감시반(330)에 출력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20)의 제어반(200)으로부터 입력된 운행 상황 데이터에 의거해서 지령 신호를 생성, 출력한다. 정보처리장치(310)로부터 출력된 지령 신호는, 통신장치(320), 통신 네트워크(30)를 개재해서 엘리베이터(20)의 제어반(200)에 발신된다. 감시반(330)에는,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상황, 정보처리장치(310)로부터의 통지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1)와, 디스플레이(331)의 표시를 조작하는 스위치(3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시반(330)에는 통신 네트워크(35)를 개재해서 서비스 센터(340)과의 통신을 행하는 전화(33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310)는, 통신 네트워크(35)를 개재해서 복수의 지진정보 제공조직인 조직 A, B, C와 접속되어 있고, 지진이 있었을 경우에는, 조직 A, B, C로부터 각각 지진정보(410, 420, 430)가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
다음에,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직 A, 조직 B로부터는, 진원지, 지진규모와 함께, 각 현(縣)의 지구마다의 진도정보를 포함하는 지진정보(410, 420)가 각각 정보처리장치(310)에 입력되고, 조직 C로부터는, 각 현의 시 혹은 쵸(町)의 가속도를 포함하는 지진정보(430)가 정보처리장치(310)에 입력되는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도 5의 단계 S1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반(200)은 지진감지기(220)로부터 입력되는 지표면의 가속도를 감시하고, 지진감지 가속도(LL), 예를 들어, 30gal 정도를 초과한 경우에 지진이 발생했다고 판단해서 도 5의 단계 S102로 진행되어 지진감지기(220)로부터 입력되는 가속도가 운전정지역치(L)를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운전정지역치(L)는, 지진감지 가속도(LL)보다도 크고, 예를 들어, 80gal 정도여도 된다. 가속도가 운전정지역치(L)를 초과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도 5의 단계 S103으로 진행되고, 제어반(200)은 엘리베이터(20)의 카(22)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켜서 운전을 중지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예를 들어, 3분간 경과한 후에 엘리베이터(20)의 통상 운전을 재개시킨다. 또한, 도 5의 단계 S102에서 가속도가 운전정지역치(L)를 초과한 경우에는, 도 5의 단계 S104로 진행되고, 제어반(200)은, 가속도가 운전중지역치(H)를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운전중지역치(H)는, 운전정지역치(L)보다도 크고, 예를 들어, 120gal 정도여도 된다. 가속도가 운전중지역치(H)를 초과하고 있지 않을 경우, 제어반(200)은, 도 6의 단계 S111로 점프해서, 지진감지기(220)를 리셋하고, 자동복구 진단동작을 실행한다. 이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한편, 가속도가 운전중지역치(H)를 초과하고 있을 경우, 제어반(200)은, 도 5의 단계 S104에서 "예"로 판단해서 도 5의 단계 S105로 진행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20)의 운전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운전 중지 신호와 고가속도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반(200)이 출력한 운전 중지 신호와 고가속도 감지 신호는, 통신장치(210)에 입력된다. 통신장치(210)는 운전 중지 신호와 고가속도 감지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30)에 발신한다. 발신된 운전 중지 신호와 고가속도 감지 신호는 감시센터(300)의 통신장치(320)에서 수신되고, 감시센터(300)의 정보처리장치(310)에 입력된다.
정보처리장치(310)에는, 각지의 엘리베이터(20)로부터 운전 중지 신호와 고가속도 감지 신호가 입력된다. 도 5의 단계 S10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310)는 수신한 신호에 의거해서, 도 3에 나타낸 고가속도 감지 엘리베이터 리스트(500)를 생성한다. 고가속도 감지 엘리베이터 리스트(500)는, 고가속도 감지 신호를 발신한 엘리베이터(20)의 식별번호와 설치 장소를 리스트로 한 것이다.
다음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310)는, 도 5의 단계 S107에서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0)을 생성한다. 정보처리장치(310)는, 고가속도 감지 엘리베이터 리스트(500)에 조직 A, 조직 B, 조직 C로부터의 지진정보(410, 420, 430) 속의 각 현의 지구마다의 진도정보, 가속도정보를 참조해서 이하와 같이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0)을 생성한다.
고가속도를 감지한 엘리베이터(20)의 설치 장소를 포함하는 지구의 조직 A로부터의 진도정보가 진도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310)는, 고가속도 감지 엘리베이터 리스트(500) 속의 그 엘리베이터(20)의 조직 A의 지진정보의 난에 "OK"를 입력한다. 반대로, 고가속도를 감지한 엘리베이터(20)의 설치 장소를 포함하는 지구의 조직 A로부터의 진도정보가 진도 역치 이상인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310)는, 그 엘리베이터(20)의 조직 A의 지진정보의 난에 "NG"를 입력한다. 조직 B로부터의 지진정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 진도 역치란, 엘리베이터(20)가 손상을 받지 않는 진도이며, 예를 들어, 진도 5 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정보처리장치(310)는, 진도가 3 또는 4인 사이타마현(埼玉縣)에 설치된 식별번호 S1001, S1002의 엘리베이터(20)에서는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0)의 조직 A, B의 지진정보의 난에 "OK"를 입력하고, 진도 5를 포함하는 치바현(千葉縣)에 설치된 식별번호 C1001의 엘리베이터(20)에서는 조직 A, B의 지진정보의 난에 "NG"를 입력한다.
또한, 고가속도를 감지한 엘리베이터(20)의 설치 장소를 포함하는 지구의 조직 C로부터의 가속도정보가 복구가능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310)는,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0) 속의 그 엘리베이터(20)의 조직 C의 지진정보의 난에 "OK"를 입력한다. 반대로, 고가속도를 감지한 엘리베이터(20)의 설치 장소를 포함하는 지구의 조직 C로부터의 가속도정보가 복구가능 역치 이상인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310)는, 그 엘리베이터(20)의 조직 C의 지진정보의 난에 "NG"를 입력한다. 여기에서, 복구가능 역치란, 운전 중지 역치(H)(120gal)보다도 큰 엘리베이터(20)가 손상을 받지 않는 가속도이며, 예를 들어, 250gal 정도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정보처리장치(310)는, 가속도가 250gal 미만인 사이타마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20)에서는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0)의 조직 C의 지진정보의 난에 "OK"를 입력하고, 가속도가 250gal 이상인 치바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20)에서는 조직 C의 지진정보의 난에 "NG"를 입력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310)는, 도 5의 단계 S108에 있어서,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0) 속의 적어도 2개의 지진정보의 난에 "OK"가 입력되어 있는 엘리베이터(20)를 선택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동복구 진단 지령 발신 리스트(520)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사이타마현에 설치되어 있는 식별 번호 S1001, S1002의 엘리베이터(20)에서는, 지진정보의 난에 "OK"가 3개이므로, 자동복구 진단 지령 발신 리스트(520)에 있어서, 자동복구 진단 지령의 발신을 행하도록 "발신"이 입력되어 있다. 또한, 치바현에 설치되어 있는 식별 번호 C1001의 엘리베이터(20)에서는 지진정보의 난에 하나도 "OK"가 없으므로, 자동복구 진단 지령 발신 리스트(520)에 있어서, 자동복구 진단 지령의 발신을 행하지 않도록 "NG"가 입력되어 있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310)는, 자동복구 진단 지령 발신 리스트(520)에 의거해서, 도 5의 단계 S109,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복구 진단 지령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정보처리장치(310)는, 조직 A, B, C로부터 취득한 복수의 지진정보(410, 420, 430) 중 적어도 2개의 지진정보가, 엘리베이터(20)가 설치되어 있는 지구의 진도가 진도 역치 미만, 또는 그 지구에서의 지표면의 가속도가 복구가능 역치 미만인 경우에, 엘리베이터(20)에 자동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정보처리장치(310)의 출력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장치(32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30)에 발신되고, 도 5의 단계 S110,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장치(210)로 수신된다. 통신장치(210)는 수신한 자동복구 진단지령을 제어반(200)에 출력한다.
제어반(200)은, 통신장치(210)로부터 자동복구 진단지령이 입력되면, 도 6의 단계 S11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진감지기(220)를 리셋한 후, 도 6의 단계 S1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22) 속의 승객의 유무를 확인한 후, 도 6의 단계 S1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복구 진단동작을 실행한다. 또, 도 6의 단계 S111의 지진감지기(220)의 리셋은, 도 6의 단계 S112의 카(22)의 승객의 유무를 확인하고, 카(22) 속에 승객이 없다고 판단한 후에 실행해도 된다.
제어반(200)은, 도 6의 단계 S1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카(22)의 중량 센서, 카(22) 내의 카메라, 카(22) 내의 인체감지 센서 등의 출력으로부터 엘리베이터(20)의 카(22)의 내부에 승객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카(22) 속에 승객이 있을 경우, 제어반(200)은, 자동복구 진단동작을 스킵해서, 도 6의 단계 S115로 진행되고, 도 6의 단계 S115에서 "복구 불가"라는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에서는, 만약을 위해, 승객의 확인을 행하고 있지만, 카(22)의 내부에 승객이 있을 경우에도 도어 개방 버튼이 점등하고 있고, 도어 개방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도어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단계 S116에서 제어반(200)은, 통신장치(210)를 개재해서 감시센터(300)에 "복구 불가"라는 판정 결과를 발신한 후, 엘리베이터(20)를 운전 중지로 한다. 도 6의 단계 S1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센터(300)의 통신장치(320)는 이 판정 결과를 수신해서 정보처리장치(310)에 출력한다. 정보처리장치(310)는, 이 판정 결과를 디스플레이(331)에 표시한다. 감시자(334)는, 이 표시에 의거해서, 도 6의 단계 S118의 복구 확인에서 "복구 불가"라고 판단하고, 도 6의 단계 S1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센터(340)에 엘리베이터(20)에의 기술자(350)의 파견을 지시한다.
한편, 도 6의 단계 S111에서 제어반(200)이 카(22) 속에 승객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반(200)은, 도 6의 단계 S112로 진행되어서 자동복구 진단동작을 행한다. 자동복구 진단동작의 진단 내용은, 예를 들어, 주행 시의 권상 전동기(모터)의 토크 이상의 유무확인, 주행 중 이상음의 확인 등이다. 자동복구 진단동작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동작이다. 우선, 제어반(200)은, 카(22)를, 예를 들어, 1m/분 정도의 느린 속도로 주행시키는 느린 속도 주행 진단을 행한다. 느린 속도 주행 진단에서 이상이 없으면, 느린 속도보다 빠른 저속주행으로 각 층에 정지하는 각 층 정지 주행 진단을 행한다. 각 층 정지 주행 진단에서 이상이 없으면, 제어반(200)은, 정격 속도로 주행하는 정속 주행 진단을 행한다. 정속 주행 진단에서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제어반(200)은, 각 층에서 도어(13, 26)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진단을 행한다. 도어 개폐 진단에서 이상이 없으면, 제어반(200)은, 이상 없음으로 해서 자동복구 진단동작을 종료한다. 그리고, 제어반(200)은, 도 6의 단계 S115로 진행되고, 도 6의 단계 S115에서 "복구 성공"이라는 판단을 출력한다.
그리고, 도 6의 단계 S116에서 제어반(200)은, 통신장치(210)를 개재해서 감시센터(300)에 "복구 성공"이라는 판정 결과를 발신한 후, 엘리베이터(20)의 통상운전을 재개한다. 도 6의 단계 S1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센터(300)의 통신장치(320)는, 이 판정 결과를 수신해서 정보처리장치(310)에 출력한다. 정보처리장치(310)는, 이 판정 결과를 디스플레이(331)에 표시한다. 도 6의 단계 S118에서 감시자(334)가 이 표시를 확인하고, "복구 성공"이라고 판단하면 엘리베이터(20)의 자동복구는 종료한다.
또한, 자동복구 진단동작 중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 6의 단계 S120으로 진행되고, 제어반(200)은 자동복구 진단동작을 중지한다. 그리고, 도 6의 단계 S115로 진행되고, "복구 불가"라는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그리고, 도 6의 단계 S116에서 제어반(200)은, 통신장치(210)를 개재해서, 감시센터(300)에 "복구 불가"라는 판정 결과를 출력한 후, 엘리베이터(20)를 운전 중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은, 지진감지기(220)가 고가속도를 감지했을 경우에도 엘리베이터(20)가 거의 손상을 받지 않은 것으로 상정될 경우에 엘리베이터(20)의 자동복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시간에 많은 엘리베이터(20)를 복구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0) 속의 적어도 2개의 지진정보의 난에 "OK"가 입력되어 있는 엘리베이터(20)를 선택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동복구 진단 지령 발신 리스트(520)를 생성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진도 역치, 복구가능 역치를 앞서 설명한 진도 5, 250gal보다도 작은 진도 4, 200gal 정도로 설정하고,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0) 속의 적어도 1개의 지진정보의 난에 "OK"가 입력되어 있는 엘리베이터(20)를 선택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동복구 진단 지령 발신 리스트(520)를 생성해도 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동작>
그 다음에,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의 다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부위에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동작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동작이다. 우선, 감시센터(300)의 정보처리장치(310)가, 지진 발생 후에 복수의 지진정보 제공조직으로부터 엘리베이터(20)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지역의 지진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그 지역에서 진도 역치 이상의 진도가 관측되고 있지 않고, 또한, 그 지역에서 복구가능 역치 이상의 가속도가 관측되고 있지 않을 경우, 고가속도 감지 신호와 운전 중지 신호를 감시센터(300)에 발신한 엘리베이터(20) 중에서 그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엘리베이터(20)에 자동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생성한다.
지진이 발생하면, 도 10의 단계 S10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310)는, 고가속도 감지 엘리베이터 리스트(500)를 생성한다. 또한, 지진이 발생하면, 정보처리장치(310)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직 A, B, C로부터 각각 지진정보(410, 420, 430)가 입력된다. 정보처리장치(310)는, 도 10의 단계 S201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5)을 생성한다. 정보처리장치(310)는, 조직 A의 각 지구의 진도정보로부터, 특정 지역, 예를 들어, 사이타마현에 진도 역치인 진도 5를 초과하는 진도가 관측된 지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직 A의 진도정보에 의거한 경우에 사이타마현에는 진도 역치인 진도 5를 초과하는 진도가 관측되고 있지 않으므로,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5)의 사이타마현의 조직 A의 지진정보의 난에 "OK"를 입력한다. 마찬가지로, 정보처리장치(310)는, 조직 B의 각 지구의 진도정보로부터 사이타마현에 진도 5를 초과하는 진도가 관측된 지구가 없을 경우에는, 사이타마현의 조직 B의 지진정보의 난에 "OK"를 입력한다. 반대로, 치바현과 같이, 하나의 지구라도 진도 5가 관측되어 있을 경우에는, 치바현의 조직 A, 조직 B의 지진정보의 난에 "NG"를 입력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310)는, 조직 C의 가속도정보로부터, 사이타마현에 복구가능 역치인 250gal을 초과하는 가속도가 관측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타마현에 복구가능 역치인 250gal을 초과한 관측점이 없을 경우에는,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5)의 사이타마현의 조직 C의 지진정보의 난에 "OK"를 입력한다. 반대로, 치바현과 같이, 하나의 지구라도 250gal을 초과하는 가속도가 관측되어 있을 경우에는, 치바현의 조직 C의 지진정보의 난에 "NG"을 입력한다.
정보처리장치(310)는, 도 7, 도 10의 단계 S2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8의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5)에 의거해서, 도 9에 나타낸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 실행가부 리스트(530)를 생성한다.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 실행가부 리스트(530)는, 도 8의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515)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지진정보가 "OK"로 되어 있는 도(都)·도(道)·부(府)·현(縣)은 자동복구진단 실행 가능으로 하고, 1개밖에 지진정보가 "OK"로 되어 있지 않은 도·도·부·현은 자동복구 진단 실행 불가로 한 것이다. 즉, 지역인 도·도·부·현별로 자동복구진단 실행 가부를 리스트로 한 것이다.
다음에, 정보처리장치(310)는, 도 9, 도 10의 단계 S10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 실행가부 리스트(530)와 고가속도 감지 엘리베이터 리스트(500)를 조합시켜서 자동복구 진단지령 발신 리스트(540)를 생성한다. 이 리스트는,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 실행가부 리스트(530)에서 실행 가능으로 된 도·도·부·현의 모든 엘리베이터(20)에, 자동복구 진단지령을 발신하고,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 실행가부 리스트(530)에서 실행 불가로 된 도·도·부·현의 모든 엘리베이터(20)에는, 자동복구 진단 지령 발신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정보처리장치(310)는, 특정한 지역에서 진도 역치 이상의 진도가 관측되고 있지 않고, 그리고 그 지역에서 복구가능 역치 이상의 가속도가 관측되고 있지 않을 경우, 고가속도 감지 신호와 운전 중지 신호를 감시센터(300)에 발신한 엘리베이터(20) 중에서 그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엘리베이터(20)에 자동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생성한다.
정보처리장치(310)의 출력은, 도 7, 도 10의 단계 S1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장치(32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30)에 발신되고, 도 7, 도 10의 단계 S109,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장치(210)에서 수신된다. 통신장치(210)는 수신한 자동복구 진단지령을 제어반(200)에 출력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 동작과 같이 제어반(200)은, 통신장치(210)로부터 자동복구 진단지령이 입력되면, 도 6의 단계 S1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복구 진단동작을 실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동작은, 엘리베이터(20)마다가 아니라, 도·도·부·현 등의 특정 지역별로 자동복구 진단동작을 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일괄 결정하므로, 도쿄도와 같이 다수의 엘리베이터(20)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서의 처리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고, 지진발생 시에 거의 손상을 받지 않는다고 상정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20)를 단시간에 복구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각 도·도·부·현을 하나의 특정 지역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쿄의 치요다구(千代田區), 신주쿠구(新宿區) 등의 구를 하나의 특정 지역으로 해서 지역별로 자동복구 진단동작을 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일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10: 빌딩, 11: 승강로, 12, 27: 바닥, 13, 26: 도어, 20: 엘리베이터, 22: 카, 30, 35: 통신 네트워크, 100: 엘리베이터 시스템, 200: 제어반, 210: 통신장치, 220: 지진감지기, 300: 감시센터, 310: 정보처리장치, 320: 통신장치, 330: 감시반, 331: 디스플레이, 332: 스위치, 333: 전화, 334: 감시자, 340: 서비스 센터, 350: 기술자, 410 내지 430: 지진정보, 500: 고가속도 감지 엘리베이터 리스트, 510: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 515: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실행 가부판정 테이블, 520, 540: 자동복구 진단지령 발신 리스트, 530: 지역별 자동복구 진단가부 리스트.

Claims (3)

  1. 지표면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지진감지기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와,
    상기 엘리베이터와 통신해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감시하는 감시센터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지진감지기가 운전 중지 역치를 초과하는 고가속도를 감지했을 때에 운전을 중지하고, 고가속도 감지 신호와 운전 중지 신호를 상기 감시센터에 발신하고,
    상기 감시센터는, 상기 엘리베이터로부터 상기 고가속도 감지 신호와 상기 운전 중지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지구(地區)의 진도가 진도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자동복구 진단동작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발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센터는,
    지진발생 후에 복수의 지진정보 제공조직으로부터 지진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의 지진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지진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지구의 진도가 진도 역치 미만 또는 상기 지구에서의 지표면의 가속도가 상기 운전 중지 역치보다도 큰 복구가능 역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자동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발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센터는,
    지진발생 후에 복수의 지진정보 제공조직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지역의 지진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지역에서 진도 역치 이상의 진도가 관측되고 있지 않고, 그리고 상기 지역에서 상기 운전 중지 역치보다도 큰 복구가능 역치 이상의 가속도가 관측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고가속도 감지 신호와 상기 운전 중지 신호를 상기 감시센터에 발신한 상기 엘리베이터 중에서 상기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상기 엘리베이터에 자동복구 진단 동작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발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207015284A 2017-11-28 2017-11-28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348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42538 WO2019106707A1 (ja) 2017-11-28 2017-11-28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203A true KR20200074203A (ko) 2020-06-24
KR102348615B1 KR102348615B1 (ko) 2022-01-07

Family

ID=6535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284A KR102348615B1 (ko) 2017-11-28 2017-11-28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69314B1 (ko)
KR (1) KR102348615B1 (ko)
CN (1) CN111356646B (ko)
WO (1) WO2019106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5910B2 (ja) 2021-04-23 2024-02-21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7151831B1 (ja) * 2021-06-10 2022-10-12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管理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423A (ja) * 1997-12-15 1999-06-2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自動復帰装置
JP2006232447A (ja) * 2005-02-23 2006-09-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自動復帰装置
JP2007119218A (ja) * 2005-10-31 2007-05-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地震感知器遠隔解除システム
JP2016023044A (ja) 2014-07-22 2016-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仮復旧運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509A (ja) * 2005-04-08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7246183A (ja) * 2006-03-13 2007-09-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US7926620B2 (en) * 2006-08-29 2011-04-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5246636B2 (ja) * 2007-08-21 2013-07-2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423A (ja) * 1997-12-15 1999-06-2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自動復帰装置
JP2006232447A (ja) * 2005-02-23 2006-09-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自動復帰装置
JP2007119218A (ja) * 2005-10-31 2007-05-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地震感知器遠隔解除システム
JP2016023044A (ja) 2014-07-22 2016-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仮復旧運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106707A1 (ja) 2019-12-12
KR102348615B1 (ko) 2022-01-07
CN111356646B (zh) 2021-07-20
JP6469314B1 (ja) 2019-02-13
WO2019106707A1 (ja) 2019-06-06
CN111356646A (zh)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8983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07254039A (ja) エレベータの復旧システム
JP5246636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システム
JP4932855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CN107777491B (zh) 与运输系统中的被困乘客的通信
JP4973014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システム
JP2017043462A (ja) エレベータ用ドア開閉異常判定装置
KR20200074203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US9745169B2 (en)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afety system
JP6450265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2348614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919548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868935B1 (ko)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JP5878832B2 (ja) エレベータ用敷居溝異物検出装置
CN107207197B (zh) 电梯控制系统
JPWO2010067406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4359405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遠隔救出方法
KR20070067143A (ko) 엘리베이터 방범 운전 장치
WO2010086960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3816233A (zh) 帮助或管理救援操作的方法
JP2009001368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管制運転システム
JP2007223693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WO2022224453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16003087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情報収集装置
JP2008050113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救出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