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607B1 -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607B1
KR101504607B1 KR1020130045754A KR20130045754A KR101504607B1 KR 101504607 B1 KR101504607 B1 KR 101504607B1 KR 1020130045754 A KR1020130045754 A KR 1020130045754A KR 20130045754 A KR20130045754 A KR 20130045754A KR 101504607 B1 KR101504607 B1 KR 101504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door
elevator
occupant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115A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퓨터
Priority to KR1020130045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60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CCTV,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인터폰 및 센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카;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제어하는 제어부; 정전시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전원장치; 및 사고예방부와 긴급대피부로 이루어지는 안전관리제어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고예방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속품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부속품들의 노후 정도를 각각 단계별로 나누어 위험도를 부여하고, 상기 단계에 따라 부속품의 정보를 관리자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긴급대피부는,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탑승자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근접하는 층으로 이동시켜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개방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검출되는 경우 계속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탑승자가 검출이 안 되는 경우 상기 도어를 폐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부속품의 노후 정도를 단계별로 나누어 관리하며, 비상상황 발생시 탑승자 여부를 검출하고, 탑승자의 여부에 따라 엘리베이터카를 가장 근접한 층으로 이동시켜 승객을 대피시키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통상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치되는 장소에 엘리베이터카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간을 통해 설치되는 장소의 저층과 고층을 수직으로 이동하여, 인력 및 화물을 저층과 고층으로 수송할 수 있어 생활의 편의를 제공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사용시간 누적과 부속품의 노후 또는 고장 등으로 종종 사고가 발생된다.
이에 엘리베이터에 구성되는 부속품의 노후 및 고장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다양한 안전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엘리베이터에 구성되는 부품의 교체시기를 파악하여 수명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하나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2098호에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시스템이 기재되었다.
위에 기재된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시스템은 구동부, 전원공급부, 구동제어부 및 센싱부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구동부의 진동, 속도, 온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행하는 구동점검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발생하는 과부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와 상기 센싱부의 고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이상상황을 검출하는 제어상황검출부; 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점검부, 전류감지부 및 제어상황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진단함으로써, 상기 진단된 데이터에 따라 고장진단과 부품의 교체시기를 파악하여 수명(내구년한)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엘리베이터에 고장이 발생되기 전에 미리 관리자에게 점검을 요청하는 것으로, 부품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어 미리 점검을 할 수 있지만, 관리자가 점검을 미루거나 해당 부품의 교체가 늦어지는 경우에는 위험요소를 소지한 채 운행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관리자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점검이 이루어지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동안은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상태이므로, 조속한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람(사용자)이 엘리베이터를 사용함에 있어 위험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를 비상 운행시키는 시스템의 하나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7204호에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가 기재되었다.
위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는 엘리베이터를 구동할 수 있도록 신호제어부와, 동력제어부와, 도어제어부를 갖는 컨트롤러에 있어서, 정전 시 엘리베이터를 운전할 수 있도록 DC전원을 AC전원으로 전환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컨트롤러가 설치된 동력제어부, 상기 동력제어부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직접 연결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축전지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제어부가 엘리베이터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엘리베이터카를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더하여, 비상상황시 엘리베이터를 비상 운행시키는 다른 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348173호에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가 기재되었다.
위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카에 공급되는 전원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면 엘리베이터카 위치를 파악하고 엘리베이터카를 근접 층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엘리베이터카를 근접 층으로 이동시킨 후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여는 단계, 엘리베이터카 내의 이용자를 검출하는 단계, 엘리베이터카 내의 이용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엘리베이터카 도어를 닫는 단계, 엘리베이터카 내의 이용자를 재검출하는 단계, 엘리베이터카 내의 새로운 이용자가 검출되면 새로운 이용자에게 도어 오픈 버튼을 조작하여 하차하도록 안내하는 단계, 엘리베이터카 내의 새로운 이용자가 검출되지 않으면 카 도어를 닫고 정전 운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 엘리베이터 비상운전 제어기술을 총괄하여 보면, 비상상황 발생시 엘리베이터카를 근접층으로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시키는 점에서는 유용하나, 엘리베이터 부속품의 노후화에 따른 비상운전 제어에 대한 기술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비상상황시 무의식 상태에 빠진 탑승자를 구제할 수 있는 제어기술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번호 제10-2012-0131370호에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하였다.
위 기술은 비정상정지된 엘리베이터를 작동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에 구성되는 부속품의 노후화에 따른 비상운전 제어에 대한 기술은 기재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에 구성되는 부속품의 노후 정도에 따라 관리자에게 점검을 요청하되, 점검 또는 해당 부속품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비상제어할 수 있고, 비상상황시 적절한 대응을 통해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을 출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엘리베이터에 구성되는 부속품의 노후 정도를 단계별로 나누어 위험도를 부여하고, 단계별로 나누어진 부속품의 노후 정도에 따라 관리자에게 점검을 요청하되, 해당 부속품의 점검 또는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엘리베이터를 제어하여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엘리베이터카를 제어함으로써, 탑승자의 존재를 파악하고 가장 근접한 층으로 이동시켜 탑승자를 안전하게 구출하는 것은 물론,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카가 정상 운행되기 전까지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폐쇄하여 운행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CCTV,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인터폰 및 센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카;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제어하는 제어부; 정전시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전원장치; 및 사고예방부와 긴급대피부로 이루어지는 안전관리제어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고예방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속품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부속품들의 노후 정도를 각각 단계별로 나누어 위험도를 부여하고, 상기 단계에 따라 부속품의 정보를 관리자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긴급대피부는,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탑승자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근접하는 층으로 이동시켜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개방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검출되는 경우 계속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탑승자가 검출이 안 되는 경우 상기 도어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구성되는 부속품의 노후 정도를 단계별로 나누어 위험도를 부여함으로써, 부속품의 노후 정도에 따라 나누어진 단계에 대응되는 관리를 할 수 있으며, 해당 부속품의 점검 또는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엘리베이터를 제어하여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은,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엘리베이터카를 제어함으로써, 탑승자의 존재를 파악하고 가장 근접한 층으로 이동시켜 탑승자를 안전하게 하차시키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카를 근접한 층으로 이동시킨 후, 탑승자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폐쇄시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탑승자가 검출될 경우,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여 심신 미약자 또는 기절한 탑승자에 대한 조치와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안전관리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사고예방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되는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긴급대피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은, 도어(11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카(100); 엘리베이터카(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무정전전원공급장치(300); 비상상황을 검출하며, 비상상황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안전관리제어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엘리베이터카(100)는 상용전원의 수용으로 사람(사용자)의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카(100)의 동작이 제어된다.
제어부(200)는 상용전력을 공급받아 엘리베이터카(100)의 수직 이동 및 도어(110)의 개폐를 제어한다.
무정전전원공급장치(300)는 제어부(200)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용전력을 공급받아 전력을 충전하며, 상용전력이 차단된 경우 즉, 정전시에는 안전관리제어부(4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안전관리제어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부속품의 노후에 따라 발생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사고예방부(410) 및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100)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긴급대피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안전관리제어부(400)는 상용전력을 공급받아 기능을 수행하되, 정전시에는 무정전전원공급장치(3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기능을 수행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안전관리제어부(400)는 엘리베이터카(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연동되도록 설계되거나 제어부(200)에 포함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고예방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고예방부(410)는 데이터베이스(411), 부속품관리모듈(412) 및 노후부속품알림모듈(413)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411)는 엘리베이터카(100)에 구성되는 부속품에 대한 명칭, 제조사, 설치시기, 교환주기 등의 정보가 저장되며, 설치 후 경과한 사용기간 및 가동시간이 저장된다.
바람직하게, 인터페이스가 더 구비되어 엘리베이터에 구성되는 부속품의 설치시기 및 교환주기 등의 정보를 입력 또는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속품관리모듈(412)은 데이터베이스(211)를 참조하여 부속품의 노후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나누는 기능을 수행하되, 각각의 단계는 위험도가 부여된다.
엘리베이터를 구성하는 부속품은 위치 및 사용빈도수에 따라서 교환주기가 달라진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설치시기의 경과시간에 따라서 의무적으로 교체되어야 하는 부품도 존재한다.
상세하게는, 부속품관리모듈(412)은 부속품의 설치경과기간과 가동시간에 대한 노후 정도를 각각 단계별로 나누는 기능을 수행하며, 설치경과기간과 가동시간 중 높은 위험도가 선택되는 하나를 검출한다.
즉, 부속품의 설치경과기간이 낮은 단계에 속하며, 가동시간이 높은 단계에 속하는 경우, 해당 부속품의 가동시간에 의해 위험도가 높게 검출되며, 반대로 부속품의 가동시간이 낮은 단계에 속하고, 설치경과기간이 높은 단계에 속하는 경우, 해당 부속품의 설치경과기간에 의해 위험도가 높게 검출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는 교환주기가 5년 또는 10,000시간인 경우, 설치경과기간이 4년이고 가동시간이 3,000시간 경과한 단계는 설치경과기간에 따라 5단계의 높은 위험도이고, 고정도르래는 교환주기가 3년 또는 5,000시간인 경우, 설치경과기간이 1년이고 가동시간이 4,500시간 경과한 단계는 가동시간에 따라 5단계의 높은 위험도이며, 와이어로프와 고정도르래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된다.
이러한 위험도를 구분하는 단계는 부속품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년/10,000시간의 교환주기를 가지는 부속품일 경우, 단계를 5등분하여 구분될 수 있되, 각 단계는 2년/2,000시간으로 구분되며, 다른 예로, 5년/3,000시간의 교환주기를 가지는 부속품일 경우, 1년/600시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물론 더욱 세부화되어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노후부속품알림모듈(413)은 부속품관리모듈(412)에서 단계별로 나누어진 부속품의 노후 정도에 따라 부속품의 정보를 관리자단말기와 긴급대피부(42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의 긴급대피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긴급대피부(420)는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단말기로 제공하고, 비상상황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비상상황검출모듈(421), 탑승자검출모듈(422), 근접층이동모듈(423) 및 도어제어모듈(424)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상상황은 진동, 소음, 부속품의 노후(설치경과기간, 가동시간), 부속품의 고장 및 상용전력 미공급에 따른 정전 등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긴급대피부(420)는 비상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CCTV 또는 감지센서 등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단말기에 제공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전시 무정전전원공급장치(3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비상상황을 감지하며, 또한 진동 및 소음이 검출되면 엘리베이터카(100)의 인터폰을 통해 탑승자에게 안내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에 탑승자가 뛰는 경우, 엘리베이터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관리자단말기에 제공하며, 인터폰을 통해 탑승자에게 경고하는 안내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엘리베이터카(100)내에서의 고함, 비명 등에 따른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엘리베이터에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감지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관리자는 이를 CCTV로 확인하여 범법행위에 따른 경고방송과 더불어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경찰서 또는 경비업체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비상상황검출모듈(421)은 엘리베이터카(100)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센싱값을 검출한다.
여기서, 비상상황은 진동, 소음, 부속품의 노후(설치경과기간, 가동시간) 및 상용전력의 정전 등으로 구성된다.
탑승자검출모듈(422)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것으로, 탑승자 검출 방법은 로드셀을 이용한 무게 검출 방법과 적외선감지센서를 통해 탑승자의 열을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
이에 엘리베이터의 적재된 기본 무게보다 더 중량이 높은 무게를 감지하거나 탑승자의 열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보다 정확하게 탑승자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층이동모듈(423)은 탑승자검출모듈(422)의 검출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카(100)를 근접층으로 이동시킨다.
도어제어모듈(424)은 근접층이동모듈(423)에 의해 이동된 엘리베이터카(100)의 도어(110)를 제어하는 것으로, 탑승자검출모듈(422)을 통해 탑승자가 검출되는 경우, 도어(11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비상상황시, 엘리베이터카(100) 내부에 갇힘으로 인한 폐쇄공포증 등의 심신 미약자가 엘리베이터카(100)에서 정신을 잃은 경우에도 도어(11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신속한 구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검출모듈(422)을 통해 탑승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도어(110)를 폐쇄하며, 도어(110)를 폐쇄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비상상황 사실을 모르고 탑승하는 2차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어(110)의 폐쇄는 관리자의 제어, 상용전원의 투입, 부속품의 교체 등에 따른 비상상황이 해지되기까지 지속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사고예방부(410)의 구성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에 구성되는 부속품의 노후 정도를 단계별로 나누어 위험도를 부여하고, 단계에 따라 부속품의 정보를 관리자단말기에 제공하여 관리함으로써, 부속품의 노후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긴급대피부(420)의 구성에 의해서,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단말기로 제공하며, 엘리베이터카(100)에 탑승자 여부를 검출하고, 엘리베이터카(100)를 근접한 층으로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하여 탑승자를 하차하도록 하되, 탑승자를 검출하여 탑승자가 검출된 경우, 도어(110)의 개방을 유지하여 하차하지 못한 탑승자의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탑승자를 재검출하여 탑승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도어(110)를 폐쇄시켜 2차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6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엘리베이터카 110 : 도어
200 : 제어부 300 : 무정전전원공급장치
400 : 안전관리제어부 410 : 사고예방부
411 : 데이터베이스 412 : 부속품관리모듈
413 : 노후부속품알림모듈 420 : 긴급대피부
421 : 비상상황검출모듈 422 : 탑승자검출모듈
423 : 근접층이동모듈 424 : 도어제어모듈

Claims (2)

  1. 도어, CCTV,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인터폰 및 센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카;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제어하는 제어부; 정전시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전원장치; 및 사고예방부와 긴급대피부로 이루어지는 안전관리제어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고예방부는,
    데이터베이스, 부속품관리모듈 및 노후부속품알림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구성된 부속품의 설치시기 및 교환주기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부속품관리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각각의 부속품을 노후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나누되, 설치경과기간과 가동시간에 대한 노후 정도를 단계별로 나누어서 위험도를 부여하며,
    상기 노후부속품알림모듈은 상기 부속품관리모듈에서 위험도가 부여된 부속품의 정보를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긴급대피부에 제공하고,
    상기 긴급대피부는,
    비상상황검출모듈, 탑승자검출모듈, 근접층이동모듈 및 도어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비상상황검출모듈은 진동 및 소음을 검출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만약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진동 또는 소음이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부속품의 정보가 기준 위험도를 초과하거나 상기 무정전전원장치가 작동하여 정전임을 인식하는 경우에, 비상상황임을 관리자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탑승자검출모듈은 로드셀감지장치 또는 적외선감지센서를 포함하고, 만약 비상상황인 경우에, 로드셀감지장치 또는 적외선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 내부의 탑승자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근접층이동모듈은, 만약 비상상황에서 탑승자가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근접하는 층으로 이동시켜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개방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검출되는 경우 계속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만약 비상상황에서 탑승자가 검출이 안 되거나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검출이 되지 않으면 상기 도어를 폐쇄하여 2차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2. 삭제
KR1020130045754A 2013-04-24 2013-04-24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KR101504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754A KR101504607B1 (ko) 2013-04-24 2013-04-24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754A KR101504607B1 (ko) 2013-04-24 2013-04-24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115A KR20140127115A (ko) 2014-11-03
KR101504607B1 true KR101504607B1 (ko) 2015-03-20

Family

ID=5245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754A KR101504607B1 (ko) 2013-04-24 2013-04-24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944A (zh) * 2019-06-18 2019-10-25 衢州学院 一种应用于私人健康检测的物联网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9448B (zh) * 2018-06-14 2020-06-19 江苏百倍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电梯事故公开系统
KR101998392B1 (ko) * 2018-10-19 2019-09-27 주식회사 금강엔지니어링 엘리베이터 플렛벨트 이탈 및 파손 안전 감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866A (ja) 2001-07-31 2003-04-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メインテナンス仕様設定支援システム
KR20080013141A (ko) * 2006-08-07 2008-02-13 전병국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KR20100091500A (ko) * 2009-02-10 2010-08-19 신광엘리베이터(주) 위험상태 인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866A (ja) 2001-07-31 2003-04-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メインテナンス仕様設定支援システム
KR20080013141A (ko) * 2006-08-07 2008-02-13 전병국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KR20100091500A (ko) * 2009-02-10 2010-08-19 신광엘리베이터(주) 위험상태 인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944A (zh) * 2019-06-18 2019-10-25 衢州学院 一种应用于私人健康检测的物联网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115A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585B2 (en) Hoistway intrusion detection
EP2643256B1 (en) Elevator protection against short circuit of safety devices
JP2008517855A (ja) エレベータの遠隔制御
KR102657833B1 (ko) 엘리베이터 승강기 통로 액세스 안전
US8281901B2 (en) Elevator door emergency opening control system
KR101504607B1 (ko)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CN108147246A (zh) 电梯安全监控方法、装置、系统和介质
JP2013107749A (ja) エレベーター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14728758A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KR20150104836A (ko) 승강장 안전발판과 전동열차 및 승강장 안전문과의 연동제어시스템
JP2009062127A (ja) 非常用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KR101278469B1 (ko)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4602B1 (ko) 안전슈 보호 시스템
KR100919548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1001196A (ja) 非常用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KR102351523B1 (ko) 비상전원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개방장치
JP6256628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04359405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遠隔救出方法
JP2011105412A (ja) エレベータ
CN103204414B (zh) 电梯系统以及电梯控制方法
KR20130129156A (ko)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924942B1 (ko)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
KR101812926B1 (ko)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JP435372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制御装置
KR101224732B1 (ko)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