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285B1 - 자동 엘리베이터 점검 시스템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자동 엘리베이터 점검 시스템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285B1
KR102652285B1 KR1020180052959A KR20180052959A KR102652285B1 KR 102652285 B1 KR102652285 B1 KR 102652285B1 KR 1020180052959 A KR1020180052959 A KR 1020180052959A KR 20180052959 A KR20180052959 A KR 20180052959A KR 102652285 B1 KR102652285 B1 KR 10265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lock
detection area
boarding door
indicato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750A (ko
Inventor
포코네 오렐리안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124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엘리베이터 카, 점검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위에 표시자 요소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및 엘리베이터 카 상에 위치되고 검출 영역에서 표시자 요소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배치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검출기가 표시자 요소가 검출 영역 내에서 검출될 때,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에 관한 알림이 생성되게 한다.

Description

자동 엘리베이터 점검 시스템 및 방법들{AUTOMATIC ELEVATOR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본원에 개시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점검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다양한 구성요소 및 특징부는 엘리베이터 코드(들)에 따르기 위해 점검이 필요하다. 그러한 구성요소들 및 특징부들은 브레이크들, 케이블들, 록들, 액추에이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서 시스템들은 엘리베이터 카가 특정 승장에 있지 않을 때 승장 도어들을 안전하게 잠금하기 위해 배치되는 승장 도어 록들을 갖는다. 승장 도어 록들은 또한 엘리베이터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격 소지자들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도 있다. 승장 도어 록들은 코드 요건(예를 들어, 승장 도어 록 체결 길이)을 충족하기 위해 때때로 점검되어야 한다. 그러한 점검들은 게이지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엘리베이서 시스템들의 승장 도어 록들에 대한 점검 기술들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이 제공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엘리베이터 카, 점검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위에 표시자 요소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에 위치되고 검출 영역에서 상기 표시자 요소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배치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으로서, 그에 따라 상기 검출기가 상기 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서 검출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에 관한 알림이 생성되게 하는, 상기 점검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점검을 받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승장 도어 록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서 검출될 때 알림을 생성한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표시자 요소가 컬러 페인트, 텍스처 표면, 또는 반사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엘리베이서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승장으로서, 승장 도어를 갖는, 상기 승장을 포함할 수 있되 점검을 받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승장 도어 록이고, 상기 승장 도어 록은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갖되,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상기승장 도어를 잠금하기 위해 배치되되,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표시자 요소를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엘리베이서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승장 도어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상기 승장 도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 바디가 승장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제1 바디가 고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잠금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 요소는 상기 승장 도어를 잠금하기 위해 상기 잠금 요소와 해제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제1 바디가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 요소는 상기 승장 도어를 잠금하기 위해 상기 잠금 요소와 해제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엘리베이서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표시자 요소가 상기 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서 검출될 때 상기 승장 도어 록의 에러가 존재하게 되도록 각각의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의 일부 상에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검출 영역 내 상기 표시자 요소의 검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적절한 동작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검출 영역 내 상기 표시자 요소의 검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동작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구성요소들을 점검하기 위한 방법들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들은 엘리베이터 카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승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에 위치되는 검출기를 사용하여 검출 영역을 관측하는 단계로서, 상기 검출 영역은 점검될 상기 구성요소의 영역인, 상기 검출 영역을 관측하는 단계, 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 존재할 때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승장으로서, 승장 도어를 갖는, 상기 승장을 포함할 수 있되 점검을 받는 상기 구성요소는 승장 도어 록이고, 상기 승장 도어 록은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갖되,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승장 도어를 잠금하기 위해 배치되되,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표시자 요소를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제2 승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검출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승장의 검출 영역을 관측하는 단계로서, 상기 검출 영역은 상기 제2 승장에서 점검될 구성요소의 영역인, 상기 제2 승장의 상기 검출 영역을 관측하는 단계, 상기 제2 승장에서의 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 존재할 때 에러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예로서, 상기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방법이 (i) 유지보수 스케줄, (ⅱ) 미리 결정된 간격, (ⅲ) 상기엘리베이터가 승장에 설 때마다, (ⅳ) 고객 불만, (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요청, (ⅵ) 외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요청, 또는 (ⅶ) 스케줄링된 유지보수 방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의 특징부들 및 요소들은 명시적으로 다르게 표시되지 않는 한, 배타적이지 않게 다양한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들 및 요소들 뿐만 아니라 그것들의 동작이 다음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고려하여 분명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다음 설명 및 도면들은 성질상 예시 및 설명하기 위한 것 및 비-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주제는 특히 명세서의 결론에서 거론되고 명백하게 청구된다. 본 개시 내용의 앞에서의 그리고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지며, 첨부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를 채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을 갖는 엘리베이터 카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엘리베이터 도어 록 점검 시스템의 승장 도어 록의 확대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승장 도어 록의 대안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승장 도어 록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적절하게 잠금된 상태의 승장 도어 록을 도시하는 도 3a의 승장 도어 록의 개략도이다;
도 3c는 부적절하게 잠금된 상태의 승장 도어 록을 도시하는 도 3a의 승장 도어 록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b는 선(4B-4B)을 따라 보이는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록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록의 고정 요소와 체결되는 록킹 요소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참조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자에 의해 보이는 적절한 동작 시 승장 도어 록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c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자에 의해 보이는 적절하지 않게 동작하고 있는 승장 도어 록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록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 프로세스이다.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특징이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들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들은 특징이 도시되는 도면을 나타내는 상이한 첫번째 숫자가 선행되나, 동일한 참조 부호로 라벨링될 수 있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명시적으로 설명되든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달리 이해될 수 있든,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고 다양한 특징은 변경, 대체, 변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카(103), 균형추(105), 로핑(107), 가이드 레일(109), 기계(111), 위치 인코더(113), 제어기(115)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1)의 사시도이다. 엘리베이터 카(103) 및 균형추(105)는 로핑(107)으로 서로 연결된다. 로핑(107)은 예를 들어, 로프들, 강 케이블들, 및/또는 코팅된 강 벨트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균형추(105)는 엘리베이터 카(103)의 하중의 균형을 맞추도록 구성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117) 내에서 그리고 가이드 레일(109)을 따라 균형추(105)에 대해 동시에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10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로핑(107)은 엘리베이터 시스템(101)의 오버헤드 구조의 부분인 기계(111)에 체결된다. 기계(111)는 엘리베이터 카(103) 및 균형추(105) 간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인코더(113)는 조속 시스템(119)의 상측 시브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샤프트(117) 내 엘리베이터 카(103)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위치 인코더(113)는 기계(111)의 이동 구성요소에 직접 장착될 수 있거나,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은 다른 위치들 및/또는 구성들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기(1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샤프트(117)의 제어기 공간(121)에 위치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101), 특히 엘리베이터 카(103)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115)는 엘리베이터 카(103)의 가속도, 감속도, 평준화, 정지 등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을 기계(11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15)는 위치 인코더(113)로부터 위치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샤프트(117) 내에서 가이드 레일(109)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할 때, 엘리베이터 카(103)는 제어기(115)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나 이상의 승장(125)에서 정지될 수 있다. 제어기 공간(121)에 도시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제어기(115)가 엘리베이터 시스템(101) 내 다른 장소들 또는 위치들에 위치 및/또는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기계(111)는 모터 또는 유사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계(111)는 전기 구동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모터를 위한 전원 공급 기구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조합하여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 그리드를 포함하여, 임의의 전원일 수 있다.
로핑 시스템과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다른 방법들 및 메커니즘들을 채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 및 설명 목적들을 위해 제시되는 단지 비-제한적인 예이다.
엘리베이터들은 코드 요건을 충족하도록 점검 및 모니터링된다. 그러나, 검사, 모니터링, 관련 수리들 등은 시간 소모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서 시스템들의 다양한 구성요소, 특징부, 작동 등의 점검 및 모니터링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프로세스들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엘리베이터들을 점검 및/또는 유지하고/거나 동작 점검 및/또는 모니터링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줄이기 위한 시스템들 및 프로세스들이 제공된다.
적절한 작동을 점검 및 보장하기 위한 노트의 하나의 구성요소는 승장 도어 록이다. 승장 도어 록은 엘리베이터 카가 있지 않을 때 승장 도어들이 개방되지 않음을 보장하는 승장 도어 상의 록이다. 즉, 승장 도어 록들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의 무단 접근 및/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의 의도치 않은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몇몇 표준에 따르면, 잠금 요소는 특정 허용 오차 또는 체결량으로 승장 도어 록의 고정 요소와 체결되어야 한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잠금 요소는 7 mm 이상인 체결 길이로 체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체결 길이는 정기적으로, 이를테면 격주로, 또는 임의의 다른 바람직한 간격으로 점검될 수 있다(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각각의 그리고 모든 승장 도어 록에 대해). 그러한 점검은, 기술자 또는 정비공에 의해 수행될 때, 시간 소모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따라서, 승장 도어 록 체결을 체크하기 위한 자동 점검 시스템을 갖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승장 도어 록 점검에 대하여 제시 및 설명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점검 시스템들이 브레이크들, 안전 장치들, 케이블들/로프들 등, 엘리베이터 카 도어 메커니즘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상이한 엘리베이터 구성요소 및 특징부의 점검을 위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은 제한적인 것이어서는 안되고 본원에서 고려되는 점검 시스템들의 예로서 제공된다.
이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200)의 개략도들이 도시된다. 도 2a는 엘리베이터 카(203) 및 승장 도어들(225a)을 갖는 승장(225)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엘리베이터 카(203)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들(202) 및 카 린텔(204)을 갖는다. 엘리베이터 카(203)가 승장 도어(225a)에 위치될 때, 카 린텔(204)은 승장 도어 록(208)을 포함하는 승장 도어 프레임(206)의 부분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다. 승장 도어 프레임(206)은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승장 도어 린텔을 포함할 수 있다. 카 린텔(204) 내 메커니즘은 승장 도어 록(208)과 체결되고 엘리베이터 카 도어들(202)이 개방될 때 승장 도어들(225a)이 개방되게 하기 위해 그것을 잠금해제할 수 있다. 승장 도어 록(208)이 승장 도어들(225a)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승장 도어 록의 위치가 제한적이지 않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배열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승장 도어 록(208)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200)은 엘리베이터 카(203) 상에 위치되는 검출기(210)를 포함한다. 검출기(210) 및/또는 다른 검출기들은 엘리베이터 카(203)의 외부(예를 들어, 상부, 하부, 측면들) 상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위치되고/거나 엘리베이터 카(203)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외부 상에 장착될 경우, 검출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하나 이상의 특징부로의 직접 조준선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검출기가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부분 상에 설치된 실시예들에서, 검출기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예를 들어, 부분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외부의) 특징부들을 볼 수 있을 수 있게 하기 위해 창, 개구, 또는 다른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검출기(210)는 엘리베이터 카(203)의 상부(212) 상에 장착된다. 검출기(210)는 승장 도어 록(208)의 요소들의 적절한 체결을 보장하기 위해 승장 도어 록(208)의 동작을 검출하도록 배치된다. 검출기(210)는 승장 도어 록(208)의 특징부를 검출 및 측정할 수 있는 카메라 또는 다른 시각적/광학 검출기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카(203)가 승장 도어(225a)에 접근할 때, 검출기(210)는 승장 도어 록(208)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승장 도어 록(208)의 상태 또는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는 승장 도어 록(208)의 확대된 도식들을 예시한다. 승장 도어 록(208)은 제1 바디(214) 및 제2 바디(216)를 포함한다. 제1 바디(214) 및 제2 바디(216)는 승장 도어들(225a)의 동작(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에 관해 고정 체결(잠금될 때)을 제공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제1 바디(214)는 승장 도어(225a)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그에 따라 승장 도어(225a)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가능하다. 제2 바디(216)는 승장 도어 프레임(206)(예를 들어, 승장 도어(225a)의 린텔)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제 위치에 고정된다(예를 들어, 이동가능하지 않다). 즉, 제1 바디(214)는 승장 도어 록(208)의 이동가능한 부분이고 제2 바디(216)는 승장 도어 록(208)의 고정된 부분이다.
제1 바디(214)는 승장 도어 록(208)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214)는 제1 바디 브라켓(218), 하나 이상의 승장 도어 록 롤러(220), 카운터웨이트(222), 록 피벗(224), 및 고정 요소(226)를 포함한다. 제1 바디 브라켓(218)은 승장 도어(225a)에 고정되게 연결되며 이는 제1 바디(214)가 승장 도어(225a)의 동작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카운터웨이트(222)는 고정 요소(226)의 록 피벗(224)에 대한 피벗팅을 가능하게 한다.
제2 바디(216)는 제2 바디 브라켓(228) 및 잠금 요소(230)를 포함한다. 제2 바디 브라켓(228)은 제2 바디(216)를 승장 도어 프레임(206)에 단단히 그리고 고정되게 부착시킨다. 잠금 요소(230)는 제2 바디 브라켓(228)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2b 및 도 2c의 실시예에서, 잠금 요소(230)는 제1 바디(214)의 고정 요소(226)(예를 들어, 홀 또는 슬롯)와 상호작용하고 해제가능하게 체결되는 후크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잠금 요소(230) 및 고정 요소(226)의 다른 구성들 및/또는 배열들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다양한 상태의 승장 도어 록(308)의 도면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3a는 개방 또는 잠금해제 상태의 승장 도어 록(308)을 예시한다. 도 3b는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는 폐쇄 또는 잠금 상태의 승장 도어 록(308)을 예시한다. 도 3c는 고장이 난 폐쇄 또는 잠금 상태의 승장 도어 록(308)을 예시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 내지 도 3c는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의 검출기(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카(203)의 상부(212) 상에 위치된 검출기(210))의 가시 영역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의 승장 도어 록(308)은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고, 그에 따라 몇몇 특징부/요소는 간단함 및 명확성의 용이함을 위해 다시 라벨링 또는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장 도어 록(208)은 승장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하는 개방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있다. 그러한 상태는 엘리베이터 카가 각각의 승장 도어에 위치될 때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 도어들 및 승장 도어들이 탑승객들이 엘리베이터 카에 들어가거나 나갈 수 있게 하기 위해 개방될 때 존재할 수 있다. 승장 도어 록(208)은 도 2b 및 도 2c에 대하여 도시 및 설명된 것과 유사한 제1 바디(314) 및 제2 바디(316)를 갖는다. 제1 바디(314)는 제2 바디(316)의 부분인 잠금 요소(330)와 해제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고정 요소(326)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요소(330)는 검출기에 의해(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다른 광학/시각적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가능하도록 선택되는 표시자 요소(3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자 요소(332)는 고정 요소(326)와 상호작용하는 잠금 요소(330)의 적어도 일부 상의 페인팅 또는 컬러링된 표면이다. 아래에 설명될 바와 같이, 표시자 요소(33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에 띄지 않도록 선택 및 배치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 요소(326)의 표시자 요소(332) 및/또는 잠금 요소(330)에 관한 상호작용 및/또는 존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언급될 바와 같이, 도 3b는 적절하게 작동되는 폐쇄 상태의 승장 도어 록(308)을 예시하고 도 3c는 부적절한 잠금 상태의 승장 도어 록(308)을 예시한다. 원하는 또는 요청된 동작 상태에 따른 기능 및/또는 준수는 승장 도어 록(308)이 잠금 상태에 있을 때 표시자 요소(332)를 모니터링 및/또는 검출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요소(326)는 검출기(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검출기(210))로 볼 때 표시자 요소(332)가 고정 요소(326)의 가로막는 부분 단지 일측(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c에서 위 또는 아래)만 보이도록 표시자 요소(332)의 부분을 커버한다.
그에 반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자 요소(332)의 부분들은 고정 요소(326)의 가로막는 부분 양측(예를 들어, 위 그리고 아래)이 보인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자 요소(332)의 부분이 검출 영역(334)에서 보인다(예를 들어, 고정 요소(326) 위 표시자 요소(332)의 부분이 보인다). 표시자 요소(332)의 부분이 검출 영역(334) 내에 검출될 때, 검출기에 연결되는 제어기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는 승장 도어 록(308)이 미리 설정된 조건 또는 요건을 적절하게 준수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알림 또는 다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400)의 개략도들이 도시된다. 도 4a는 검출기(410)를 포함하여,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400)의 부분이 엘리베이터 카(403)의 상부(412) 상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403)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b는 검출기(410)에서의 시계를 예시하는 도 4a에 도시된 라인(4B-4B)을 따라 보이는 개략도이다. 검출기(410)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소정의 승장에서의 승장 도어(425a) 및 승장 도어 프레임(406)에 장착되는 승장 도어 록(408)을 보도록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카(403) 상의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400)의 부분은 검출기(410), 제어 유닛(436), 및 검출기(410) 및 제어 유닛(436)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연결(438)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436)은 검출기(410)로 명령들을 송신하고 그것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 연결(438)은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물리적 라인 또는 와이어일 수 있거나 무선 통신 연결일 수 있다. 나아가, 제어 유닛(436)은 엘리베이터 카(403)의 상부(412)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그러한 배열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엘리베이터 제어기 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부분들 또는 구성요소들과 연관된 다른 전자장치들의 부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엘리베이터 카에서 원격에 위치될 수 있다. 나아가,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유지관리, 점검, 및/또는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범용 컴퓨터의 부분일 수 있다.
검출기(410)는 승장 도어 록(408)의 상태(예를 들어, 표시자 요소(432)의 상대 위치)를 보기 위해 배치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기(410)는 고정 요소(426)와 체결되는 잠금 요소(430)를 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잠금 요소(430)는 승장 도어 록(408)의 바디의 바디 브라켓(428)의 부분이거나 그것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b의 실시예에서, 잠금 요소(430)는 승장 도어 록(408)의 이동가능한 바디의 부분이고(예를 들어, 승장 도어들(425a)에 따라 이동가능하고) 고정 요소(426)는 승장 도어 프레임(406)의 부분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검출기(410)는 검출기(410)가 검출 영역(434) 내 표시자 요소(432)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도록 위치 및 캘리브레이트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영역(434)은 고정 요소(426)의 일측 상에 잠금 요소(430)가 고정 요소(426) 내에 그리고 그것에 충분히 체결되지 않는지 결정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는 공간 또는 구역으로서 정의된다. 제어 유닛(436)(또는 전자 구성에 따라 검출기(410)의 부분)은 표시자 요소(432)의 부분이 존재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검출 영역(434)의 이미지 분석을 수행할 것이다. 표시자 요소(432)의 어떠한 부분도 검출 영역(434) 내에서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 유닛(436)은 승장 도어 록(408)이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고 현재 조건 및/또는 요건을 따른다고 결정할 것이다. 그러나, 표시자 요소(432)의 부분이 검출 영역(434) 내에서 검출되는 경우, 제어 유닛(436)은 승장 도어 록(408)이 이상이 있고 현재 조건 및/또는 요건에 따르지 않는다고 결정할 것이다. 그러한 사례에서, 제어 유닛(436)은 특정 승장 도어 록(408) 상에 유지관리가 요구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알림 또는 다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의 표시자 요소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자 요소는 잠금 요소의 색상과 대조를 이루는 컬러링된 페인트 또는 텍스처일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검출기는 적어도, 표시자 요소의 컬러링된 페인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배치되는 광학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표시자 요소는 잠금 요소에 적용되거나 그것의 부분인 반사 또는 굴절 표면, 텍스처, 또는 코팅일 수 있고 검출기는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표면 표시자 요소를 가지면, 검출기는 반사 표시자 요소쪽으로 빛을 투사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배열들에서, 검출기는 임의의 빛이 반사 표시자 요소로부터 반사되는지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자 요소는 검출기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잠금 요소의 텍스처 표면 또는 다른 표면 특징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자 요소는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의 검출기에 의해 적용되고 검출가능한 코팅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검출기 및/또는 표시자 요소는 특정 파장 또는 파장 범위에서 동작(그리고/또는 그것에 반응)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다양한 다른 유형의 검출기들 및/또는 표시자 요소들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나아가,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한 설명의 정반대인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러가 표시자 요소의 부재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검출기 및 시스템은 표시자 요소의 검출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그러한 검출은 승장 도어 록의 적절한 동작의 확인일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과 채용될 승장 도어 록(508)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승장 도어 록(508)은 위에서 설명된 시스템들 및 장치들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514)는 잠금 요소(530)를 포함하고 제2 바디(516)는 고정 요소(526)를 포함한다. 이는 도 3a 내지 도 3c에 대하여 도시 및 설명된 배열과 대조된다. 그러나, 요소(532)의 검출은 위에서 도시 및 설명된 것과 동일하고 그에 따라 그것들과 관련된 설명이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이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고정 요소(626)와 체결된 잠금 요소(630)를 도시하는 개략도들이 도시된다. 도 6a는 잠금 요소(630)가 고정 요소(626)와 체결되며, 잠금 요소(630)가 그 위에 배치된 표시자 요소(632)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는 참조도이다. 또한 도 6a에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검출기에 의해 보이는 영역인 검출 영역(634)이 개략적으도 도시된다. 도 6a는 동작상 준수 상태의 잠금 요소(630)를 예시한다. 동작상 준수 상태는 미리 결정된 조건, 이를테면 고정 요소(626)를 통해 연장되는 잠금 요소의 특정 양 또는 길이에 의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도 6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거리(Dm)가 다양한 고려 사항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 미리 정의, 및/또는 요구될 수 있다. 최소 거리(Dm)는 고정 요소(626)를 통한 잠금 요소(630)의 연장 거리를 나타낸다. 거리는 잠금 요소의 부적절한 언래칭(unlatching)이 회피되도록 그리고/또는 승장 도어들이 단단히 폐쇄 및 잠금됨을 보장하기 위해 승장 도어 록의 요소들 사이에 적절한 힘이 인가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최소 거리는 7 mm이다.
잠금 요소(630)(및 승장 도어 록)의 상태의 점검 및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잠금 요소(630)는 고정 요소(626)와 체결되고/거나 그것을 통해 연장되는 잠금 요소(630)에 적용되거나 그것의 부분인 표시자 요소(632)를 갖는다. 표시자 요소(632)는 잠금 요소(630)가 고정 요소(626)와 적절하게 체결될 때(그리고 최소 거리(D0)이 충족될 때) 표시자 요소(632)의 어떠한 양 또는 부분도 이를테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영역(634) 내에서 검출가능하지 않도록 배열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요소(630)는 고정 요소(626)를 너머 제1 거리(D1)만큼 연장되고 표시자 요소(632)의 어떠한 부분도 검출 영역(634) 내에서 검출가능하지 않다. 제1 거리(D1)는 최소 거리(D0)보다 크거나 같다.
그러나,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요소(630)는 제2 거리(D2)만큼 연장된다. 잠금 요소(630)는 고정 요소(626)를 통해 도 6b에 도시된 만큼 멀리 연장되지 않아, 보다 적은 제2 거리(D2)를 초래한다. 제2 거리(D2)는 최소 거리(D0) 미만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자 요소(632)의 부분(640)이 검출 영역(634) 내에서 보인다. 검출 영역(634) 내 표시자 요소(632)의 부분(640)의 검출은 잠금 요소(630)의 동작이 적절하지 않고 그에 따라 유지관리 행위가 취해지도록 요구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검출기 및/또는 제어 유닛이 검출 영역(634) 내에서 표시자 요소(632)의 부분(640)을 검출할 때, 특정 승장 도어 록 상에서 유지관리가 수행되게 하기 위한 알림 또는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자 요소(632)는 잠금 요소(630)가 고정 요소(626)와 적절하게 체결될 때(그리고 최소 거리(D0)이 충족될 때) 표시자 요소(632)의 적어도 일부가 검출 영역(634)(예를 들어, 확인 영역) 내에서 검출가능하도록 배열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는, 표시자 요소(632)가 검출될 때 동작에 관한 확인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자 요소(632)의 어떠한 부분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라면, 에러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자동 승장 도어 록 체크를 수행하기 위한 흐름 프로세스(700)가 도시된다. 승장 도어 록 체크는 제어 유닛, 검출기, 하나 이상의 승장 도어 록(들),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승장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카를 갖는 것으로, 위에서 도시 및 설명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승장 도어 록 체크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승장 도어 록의 상태를 위해 그것이 바람직할 때 정비공 또는 다른 사람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그러한 테스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처음 건물 내에 설치될 때 수행될 수 있고/거나 설치 이후 여러 경우에, 이를테면 정기 유지관리 스케줄에 따라 승장 도어 록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검은 매시간, 매일, 매주, 매달, 또는 임의의 다른 미리 결정된 간격마다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통한 엘리베이터의 점검 운행 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점검은 엘리베이터가 승장에 설 때마다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점검은 고객 불만에 의해 자동으로 유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점검은 원격으로(예를 들어, 원격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또는 기계공에 의해 현장에서 유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점검은 기계공이 엘리베이터 설비에 스케줄링된 유지관리 방문을 하기에 앞서 자동으로 유발될 수 있고 그 결과들이 기계공에게 미리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거나 기계공이 다운로드하도록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저장될 수 있다.
블록(702)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유지관리 동작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유지관리 모드 내 동작은 임의적일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흐름 프로세스(70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상 동작 동안 수행될 수 있다(블록(702) 제외). 유지관리 모드가 활성화되는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활성화는 수동 또는 자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 작동의 예에서, 기계공 또는 기술자는 기계공 또는 기술자가 있는 동안 점검 또는 다른 유지관리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유지관리 모드로 운행하도록 제어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유지관리 동작 모드는 이를테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자동 점검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엘리베이터 제어기 또는 제어 유닛을 통해,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블록(704)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점검을 위해 승장 도어로 이동된다. 승장 도어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임의의 승장일 수 있으나, 유지관리 루틴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자동 및/또는 프로그램되어) 또는 기계공 또는 기술자로부터의 선택 또는 명령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수동으로) 미리 선택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은 제어 유닛에 의해 정상 동작 속도보다 느릴 수 있는 유리관리 동작 속도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한 감소된 속도가 모든 실시예에 요구되지 않더라도, 그러한 감소된 속도는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승장 도어 록 점검을 수행하는 것에 유익할 수 있다.
블록(706)에서, 검출기가 이를테면 위에서 도시 및 설명된, 검출 영역을 관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검출기는 위에서 도시 및 설명된 바와 같이, 광학 검출기 또는 승장 도어 록의 표시자 요소를 검출할 수 있는 다른 센서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관측은 검출 영역 내 표시자 요소의 적절한 검출(존재하는 경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취해지는 사진 또는 스냅샷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측은 비디오, 연속적인 이미지 캡처/검출, 및/또는 일련의 이미지 캡처 또는 검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과 여부 결정에 더하여, 승장 도어 록의 이미지가 저장되어 기계공에 전송될 수 있다.
블록(708)에서, 검출기 및/또는 제어 유닛은 표시자 요소(또는 그것의 부분)가 검출 영역에 존재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블록(706)에서 이루어진 관측을 분석한다.
어떠한 표시자 요소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흐름 프로세스(700)는 종료될 수 있거나, 상이한 승장 도어로 계속될 수 있거나(즉, 블록(704)으로 되돌일 수 있거나), 또는 블록(710)으로 진행하여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에러 없음 알림, 확인 알림 등). 그러한 알림은 기계공 또는 기술자에게 승장 도어 록이 바람직한 동작에 따르고 있음을 알리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거나 점검 이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러 없음이 검출되는 경우,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미리 결정된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성(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에서, 표시자 요소가 검출되는 경우, 흐름 프로세스(700)는 종료될 수 있거나, 상이한 승장 도어로 계속될 수 있거나(즉, 블록(704)으로 되돌일 수 있거나), 또는 블록(710)으로 진행하여 승장 도어 록의 동작에 관한 알림 또는 확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한 알림은 기계공 또는 기술자에게 승장 도어 록이 바람직한 동작에 따르고 있음을 알리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거나 점검 이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러 없음이 검출되는 경우, 승장 도어 록 점검 시스템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미리 결정된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708)에서, 표시자 요소가 검출 영역에 존재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흐름 프로세스(700)는 블록(712)으로 계속된다. 블록(712)에서, 제어 유닛(또는 다른 구성요소)는 특정 승장 도어 록에 에러가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자를 생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에러 메시지 또는 에러 알림이 생성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에러 없음"이 이루어질 때까지 특정 엘리베이터 이동 속도가 초과될 수 없도록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나아가, 에러 알림 또는 표시 수신 시, 기계공은 특정 승장 도어 록을 수리 및/또는 교체하기 위한 유지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유지관리 동작을 완료한 후, 시스템은 고친 유지관리 동작이 특정 승장 도어 록의 에러를 고쳤는지 결정하기 위해 다시 흐름 프로세서(700)로 이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블록(708)에서, 표시자 요소가 검출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경우, 흐름 프로세스(700)는 블록(712)으로 계속된다. 블록(712)에서, 제어 유닛(또는 다른 구성요소)는 특정 승장 도어 록에 에러가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자를 생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에러 메시지 또는 에러 알림이 생성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에러 없음"이 이루어질 때까지 특정 엘리베이터 이동 속도가 초과될 수 없도록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나아가, 에러 알림 또는 표시 수신 시, 기계공은 특정 승장 도어 록을 수리 및/또는 교체하기 위한 유지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유지관리 동작을 완료한 후, 시스템은 고친 유지관리 동작이 특정 승장 도어 록의 에러를 고쳤는지 결정하기 위해 다시 흐름 프로세서(700)로 이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 프로세스(700)는 단일 사례에서 다수의 승장에서 수행되는 점검에 따른 루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주 유지관리 점검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모든 승장 도어 록을 점검하기 위해 흐름 프로세스(700)를 수행할 수 있다. 시스템이 에러를 검출할 때, 그러한 에러가 언급될 수 있고(예를 들어, 블록(712)에서 알림), 흐름 프로세스(700)는 모든 승장 도어 록이 점검될 때까지 계속된다. 모든 승장 도어 록 점검 마지막에는, 반복된 흐름 프로세스(700)의 에러 알림들 및 에러 없음 알림들을 종합하는 단일 보고가 생성될 수 있다. 알림의 송신은 인터넷 게이트웨이 또는 다른 유사한 통신 연결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유리관리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원에 도시 및 설명되며, 각각 특정 실시예들에서 특정 특징들을 가지나, 본 개시 내용은 그에 따라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즉,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교환, 대체, 또는 그 외 상이한 조합들로 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승장 도어 록들의 자동 점검을 제공한다. 자동화는 기술자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진입할 필요 없이 수동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전체가 자동화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단지 제한된 수의 실시예와 관련되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 내용이 그러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쉽게 이해되어야 한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본 개시 내용은 지금까지 설명되지 않았으나, 본 개시 내용의 범위와 적합한 임의의 수의 변형, 대체, 치환, 조합, 서브-조합, 또는 균등한 배열을 통합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 내용의 측면들은 단지 설명된 실시예들 중 단지 몇몇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은 앞에서의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Claims (15)

  1.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엘리베이터 카;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승장으로서, 승장 도어를 갖는, 상기 승장;
    점검을 받는 승장 도어 록 - 상기 승장 도어 록은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갖되,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승장 도어를 잠금하기 위해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는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바디는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 요소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고정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표시자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승장 도어를 잠금하기 위해 상기 고정 요소와 해제가능하게 체결됨 - ;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에 위치되고 검출 영역에서 상기 표시자 요소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배치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으로서, 그에 따라 상기 검출기가 상기 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서 검출될 때, 상기 승장 도어 록의 동작 상태에 관한 알림이 생성되게 하는, 상기 승장 도어 록을 점검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점검 시스템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서 검출될 때 알림을 생성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 요소는 컬러 페인트, 텍스처 표면, 또는 반사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인,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승장 도어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상기 승장 도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 바디는 승장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 요소는 상기 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서 검출될 때 상기 승장 도어 록의 에러가 존재하게 되도록 각각의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의 일부 상에 존재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영역 내 상기 표시자 요소의 검출은 상기 승장 도어 록의 적절한 동작을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청구항 1, 3, 4, 6 및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영역 내 상기 표시자 요소의 검출은 상기 승장 도어 록의 동작 이상을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 도어 록을 점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엘리베이터 카를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승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에 위치되는 검출기를 사용하여 검출 영역을 관측하는 단계로서, 상기 검출 영역은 점검될 상기 승장 도어 록의 영역인, 상기 검출 영역을 관측하는 단계 - 상기 승장 도어 록은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갖되,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승장 도어를 잠금하기 위해 배치되되, 상기 제1 바디는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바디는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 요소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고정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표시자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승장 도어를 잠금하기 위해 상기 고정 요소와 해제가능하게 체결됨 - ;
    상기 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 존재할 때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삭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제2 승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검출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승장의 검출 영역을 관측하는 단계로서, 상기 검출 영역은 상기 제2 승장에서 점검될 구성요소의 영역인, 상기 제2 승장의 상기 검출 영역을 관측하는 단계;
    상기 제2 승장에서의 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자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 내에 존재할 때 에러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2 또는 14에 있어서, (i) 유지보수 스케줄, (ⅱ) 미리 결정된 간격, (ⅲ) 상기 엘리베이터가 승장에 설 때마다, (ⅳ) 고객 불만, (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요청, (ⅵ) 외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요청, 또는 (ⅶ) 스케줄링된 유지보수 방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는, 방법.
KR1020180052959A 2017-05-12 2018-05-09 자동 엘리베이터 점검 시스템 및 방법들 KR102652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305542.7A EP3401261B1 (en) 2017-05-12 2017-05-12 Automatic elevator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EP17305542.7 2017-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750A KR20180124750A (ko) 2018-11-21
KR102652285B1 true KR102652285B1 (ko) 2024-03-29

Family

ID=5876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959A KR102652285B1 (ko) 2017-05-12 2018-05-09 자동 엘리베이터 점검 시스템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40769B2 (ko)
EP (1) EP3401261B1 (ko)
KR (1) KR102652285B1 (ko)
CN (1) CN108861920B (ko)
ES (1) ES287097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6039A1 (en) * 2016-12-15 2018-06-20 Otis Elevator Company Acces prevention systems for locks of elevator systems
US10577221B2 (en) * 2017-05-12 2020-03-03 Otis Elevator Company Imaging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levator landing doors
ES2870974T3 (es) * 2017-05-12 2021-10-28 Otis Elevator Co Sistemas y métodos de inspección de ascensor automático
US11577932B2 (en) * 2018-07-26 2023-02-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ponent inspection systems
US11390487B2 (en) * 2018-08-21 2022-07-19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ed elevator safety chain diagnosis
EP3730441B1 (en) * 2019-04-26 2022-11-09 KONE Corporation A solution for generating inspec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ignalization elements of an elevator system
KR102036785B1 (ko) 2019-06-24 2019-11-26 김길곤 엘리베이터의 유지 및 보수의 공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225025A (zh) * 2020-10-29 2021-01-15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监测电梯层门门锁锁钩啮合状况的方法及装置
JP6930651B1 (ja) * 2020-12-15 2021-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点検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
CN115676568A (zh) 2021-07-27 2023-02-0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门联锁组件及电梯系统
CN117836232A (zh) * 2021-08-19 2024-04-05 通力股份公司 监控电梯门操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4931A1 (en) * 2002-03-27 2005-02-17 Romeo Deplazes Shaft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5081A (en) 1991-05-01 1992-08-04 United States Elevator Corp. Elevator position sensing system using coded vertical tape
JPH07206341A (ja) 1994-01-18 1995-08-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戸ロック点検装置
JPH10114484A (ja) * 1996-10-14 1998-05-0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扉の係合点検装置
US6435315B1 (en) 2000-12-11 2002-08-20 Otis Elevator Company Absolute position reference system for an elevator
SG96681A1 (en) 2001-02-20 2003-06-16 Inventio Ag Method of generating hoistway information to serve an elevator control
KR100953851B1 (ko) * 2001-09-18 2010-04-20 인벤티오 아게 엘리베이터 도어용 안전 회로
US20060232789A1 (en) 2002-12-30 2006-10-19 Jae-Hyuk Oh Position referencing system
AU2004323579B2 (en) * 2004-09-27 2008-02-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lock sensor device
WO2006130145A1 (en) * 2005-06-01 2006-12-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CN2885801Y (zh) 2006-05-12 2007-04-04 苏州太湖电梯制造有限公司 别墅电梯专用门锁
JP5278146B2 (ja) 2009-04-30 2013-09-0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インターロック点検装置
CN201473135U (zh) 2009-08-28 2010-05-19 浙江怡达快速电梯有限公司 一种无机房电梯的平层监视装置
JP5824044B2 (ja) 2010-07-12 2015-11-2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速度位置検知システム
EP2540651B1 (de) * 2011-06-28 2013-12-18 Cedes AG Aufzugvorrichtung, Gebäude und Positionsbestimmungsvorrichtung
EP2562117B1 (de) 2011-08-23 2014-05-14 Cedes AG Aufzugvorrichtung mit Positionsbestimmungsvorrichtung
JP5948205B2 (ja) 2012-10-09 2016-07-0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点検装置
CN202880596U (zh) 2012-10-19 2013-04-17 北京索德电气工业有限公司 带厅门锁检测功能的智能电梯外呼板
CN103322930B (zh) 2013-01-05 2016-06-29 上海奥林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车门锁扣部件检测系统
CN103058039B (zh) 2013-01-18 2015-03-04 江苏立达电梯有限公司 一种无触点电梯门锁、电梯门锁控制器及电梯门锁控制方法
US9352934B1 (en) 2013-03-13 2016-05-31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Elevator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9469501B2 (en) 2013-10-05 2016-10-18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Elevator positioning clip system and method
DE102014101381B4 (de) 2014-02-05 2017-08-17 Dekra E.V. Messsystem und Messverfahren zur Prüfung der Fangvorrichtung eines Aufzugs
US20170015521A1 (en) * 2014-03-19 2017-01-19 Mustapha Toutaoui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movement of at least one door, in particular an elevator door
CN105173949A (zh) 2015-10-22 2015-12-23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轿厢相对位置和速度检测系统及检测方法
US10233053B2 (en) * 2017-01-25 2019-03-19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door switch inspection
ES2870974T3 (es) * 2017-05-12 2021-10-28 Otis Elevator Co Sistemas y métodos de inspección de ascensor automático
EP3599204B1 (en) * 2018-07-26 2022-01-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ponent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11577932B2 (en) * 2018-07-26 2023-02-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ponent inspection systems
EP3730440A1 (de) * 2019-04-26 2020-10-28 Inventio AG Steuer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betriebs einer personentransportanlage
CN111410105B (zh) * 2020-03-05 2021-09-14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系统、检修安全装置及传动机构
JP6735048B1 (ja) * 2020-03-26 2020-08-0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ドア用インターロック
CN111824912A (zh) * 2020-07-20 2020-10-27 吴建国 一种基于保护阻件的电梯层门安全保护方法
CN112125106B (zh) * 2020-09-23 2022-10-04 福建省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基于电梯轿厢门联动的防剪切保护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4931A1 (en) * 2002-03-27 2005-02-17 Romeo Deplazes Shaft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61920A (zh) 2018-11-23
US20180327220A1 (en) 2018-11-15
US11440769B2 (en) 2022-09-13
EP3401261A1 (en) 2018-11-14
ES2870974T3 (es) 2021-10-28
CN108861920B (zh) 2021-05-28
KR20180124750A (ko) 2018-11-21
EP3401261B1 (en)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2285B1 (ko) 자동 엘리베이터 점검 시스템 및 방법들
US10577222B2 (en) Coded elevator inspection and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EP3315450B1 (en) Automatic test of deterrent device
EP3401264B1 (en) Automatic elevator counterweight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US6550585B2 (en) Hoistway intrusion detection
US20210261383A1 (en) Elevator monitoring system
CN108861924B (zh) 自动电梯检查系统和方法
US202000480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movement of an elevator door using rfid
CN109230925B (zh) 用于自动电梯部件检查的系统和方法
KR20170116748A (ko)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US20210107769A1 (en) Elevator condition based maintenance using an in-car camera
JPH0342489A (ja) エレベータ係合装置の取付異常検出装置
JP2872085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装置
JPH05221594A (ja) エレベータドア係合部の取付位置検出装置
KR20130088991A (ko)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KR20230161722A (ko) 엘리베이터 운전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