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991A -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991A
KR20130088991A KR1020120010296A KR20120010296A KR20130088991A KR 20130088991 A KR20130088991 A KR 20130088991A KR 1020120010296 A KR1020120010296 A KR 1020120010296A KR 20120010296 A KR20120010296 A KR 20120010296A KR 20130088991 A KR20130088991 A KR 20130088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ensor
information
ca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티 filed Critical (주)에이엔티
Priority to KR102012001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8991A/ko
Publication of KR20130088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가동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진단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중앙 관제실은 물론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도 카 내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황을 알려 인명이나 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 승강로, 모터, 웨이트, 브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센서가 감지한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정보 처리부 및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되어 정보 처리부에 의해 분석된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ELEVATOR CONDITION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가동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진단하고, 중앙 관제실과 엘리베이터 내의 승객들에게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설비는 전기, 소방, 냉난방과 같은 건축설비의 한 종류다. 건물의 소방설비는 화재를 감지하여 조기에 진압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와 소방기구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지만, 엘리베이터 설비에서는 화재의 경보나 진압과 같은 설비가 없다.
건물의 화재발생 시 엘리베이터의 통로는 굴뚝의 역학을 해서 화재로 발생한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카에 타고 있는 사람은 유해가스로 인해 질식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 카 안에 탑승한 탑승객에게 화재의 발생 유무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엘리베이터 중앙 관제 시스템의 경우, 엘리베이터의 층 위치 표시, 엘리베이터의 가동 및 정지 상태 등의 단순한 상황만을 알 수 있거나, 소정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정도에 머무는 수준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가동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진단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중앙 관제실은 물론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도 카 내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황을 알려 인명이나 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 승강로, 모터, 웨이트, 브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센서가 감지한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정보 처리부 및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되어 정보 처리부에 의해 분석된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정보 처리부에 의해 분석된 엘리베이터 상태 정보를 원격지에서 전송받아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중앙 감시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정보 처리부에 의해 분석된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센서는 승강로 내에 설치되는 화재 감지 센서, 승강로 또는 카 내에 설치되는 지진 감지 센서, 웨이트에 설치되는 자이로 센서, 모터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진동 센서, 모터의 부하 상태를 감지하는 인버터, 브레이크의 상태를 감지하는 엔코더, 카에 설치되는 진동센서,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자이로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정보 처리부는, 센서가 감지한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엘리베이터의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단하고, 패널을 통해 탑승객에게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센서는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에 각각 설치되고, 패널은 복수 개의 카 내에 각각 설치되며, 정보 처리부는 센서가 감지한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패널에 엘리베이터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탑승객의 안전을 위협할만한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카 내에 설치된 패널을 통해 탑승객에게 안내하여 엘리베이터 안전 사고로 인한 인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다양한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정보 처리부에서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여 이를 중앙 감시반이나, 정보통신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외부에서도 엘리베이터의 안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정보 처리부와 서버를 통해 유지보수 시스템을 전산화하여 엘리베이터에 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이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이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10) 내에 엘리베이터 카(120)가 승강로(110)를 따라 오르내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카(120)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동기(130),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 프레임(132), 권상기(135), 도르래(150), 조속기(160) 등이 설치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1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카 가이드 레일(170), 카 가이드 롤러(172), 균형추(180), 균형추 가이드 레일(182), 균형추 가이드 롤러(미도시), 카와 균형추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로프(184) 등이 구비된다. 또한 안전을 위해 카 완충기(192)와 균형추 완충기(194)가 승강로(110) 바닥에 구비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120) 내로 승객이 탑승하고 하차할 수 있도록 카 도어(122)가 구비되며, 카 도어(122)를 열고 닫기 위한 여닫이 장치(124)가 구비된다. 엘리베이터의 속도, 운행, 카 도어(122)의 열고 닫음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반(140) 또한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은, 승강로(110) 내부에 설치되는 화재 감지 센서(211), 승강로(110) 내부 또는 엘리베이터 카(120)에 설치되는 지진 감지 센서(212), 균형추(180) 상부에 설치되는 균형추 자이로 센서(213), 모터 프레임(132)에 설치되어 모터(130)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214), 제어반(140) 상에 구비되어 모터(130)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인버터(215), 모터(130)축 끝단에 구비되어 브레이크 밀림을 감지할 수 있는 엔코더(216), 카(120)에 설치되어 카(120)의 이상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카 진동센서(217), 선박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일 경우 베이스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롤링이나 피칭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218)를 구비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은 상기한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전송받아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분석, 판단하는 정보 처리부(200)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부(200)는 일반적으로 기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프로세스와 동일하게, 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소정 범위 내일 경우 정상 상태, 안전 상태로 판단하고, 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상 상태, 위험 상태로 판단한다. 정보 처리부(200)는 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을 분석한 결과를 엘리베이터의 카(120) 내에 설치된 패널(220)에 디스플레이하여, 탑승객이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분석 결과를 중앙 감시반(230)으로 전송하여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 감시반(230)을 통해 관리인이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확인하고,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이를 즉시 알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부(200)는 분석한 결과를 서버(240)로 전송하여, 서버(240)를 통해 인터넷, 인트라넷과 같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안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 센서(211)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 경우, 정보 처리부(200)는 가까운 층에 엘리베이터 카(120)가 정지하도록 제어반(140)으로 명령을 보내고, 제어반(140)은 모터(130)를 제어하여 가까운 층에 엘리베이터 카(120)를 정지시키고, 여닫이 장치(124)를 제어하여 도어(122)가 열리도록 한다. 또한 정보 처리부(200)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120) 내에 설치된 패널(220)을 통해 화재가 발생했음을 탑승객에게 알리고, 가까운 층에 정차할 것이니 하차하라는 안내 문구를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상황과 가까운 층에 엘리베이터 카(120)를 정지시키고 탑승객을 하차를 안내한다는 정보를 중앙 감시반(230) 및 서버(240)로 전송하여, 원격지에서도 엘리베이터의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지진 감지 센서(212)를 통해 지진이 발생했음을 감지한 경우, 화재 센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탑승객과 중앙 감시반(230), 서버(240)를 통해 엘리베이터 상황을 전송하며, 가까운 층에 엘리베이터 카(120)를 정지시킨다. 균형추(180) 상부에 설치되는 균형추 자이로 센서(213)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균형추의 이탈을 감지한다. 모터 프레임(132)에 설치되어 모터(130)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214)는 모터(130)의 작동 상태를 감시한다. 또한 제어반(140) 상에 구비되어 모터(130)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인버터(215)는 모터(130)의 과부하 여부를 감시한다. 모터(130)의 축 끝단에 구비되는 엔코더(216)는 브레이크 밀림을 감지할 수 있다. 카(120)에 설치되는 카 진동센서(217)는 카(120)의 이상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1)에 설치되는 자이로 센서(218)는 롤링이나 피칭 등을 감지할 수 있어, 특히 선박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선박의 롤링, 피칭 등의 감지 및 대응 제어에 유용하다.
각 감지 센서에서 전송한 정보를 정보 처리부(200)에서 분석하여, 지진이나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서는 비상 정지를 시킬 수 있고, 모터(130)나 카(120)의 이상 진동과 같은 설비 문제 발생 시에는 이를 중앙 감시반(230)과 서버(240)로 전송하여,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카(120) 내에 설치된 패널(220)은 바람직하게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어, 탑승객이 패널(220)을 통해 운행하고자 하는 층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패널(220)은 운행 층의 입력, 표시 및 엘리베이터의 상태 표시 뿐만 아니라, 광고나 동영상 등을 내보낼 수 있도록 하여, 탑승객이 이를 감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청을 원하는 영상이나, 필요한 정보를 중앙감시반(230)을 통해 입력하여 실시간 통제 및 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정보 처리부(200)는 하나의 엘리베이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한 건물 또는 한 선박이나 한 구조물에 설치된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각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전송받아 각각 분석한 다음, 각 엘리베이터 카(120) 내에 설치된 각 패널(220)을 통해, 각 엘리베이터의 탑승객에게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각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중앙 감시반(230)을 통해 감시할 수 있으며, 서버(240)로 전송하여 모든 엘리베이터의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카, 승강로, 모터, 웨이트, 브레이크,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센서가 감지한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정보 처리부; 및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되어 정보 처리부에 의해 분석된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정보 처리부에 의해 분석된 엘리베이터 상태 정보를 원격지에서 전송받아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중앙 감시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정보 처리부에 의해 분석된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지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는, 승강로 내에 설치되는 화재 감지 센서, 승강로 또는 카 내에 설치되는 지진 감지 센서, 웨이트에 설치되는 자이로 센서, 모터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진동 센서, 모터의 상태를 감지하는 인버터, 브레이크의 상태를 감지하는 엔코더, 카에 설치되는 진동센서,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자이로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지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 처리부는, 센서가 감지한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엘리베이터의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단하고, 패널을 통해 탑승객에게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지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는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에 각각 설치되고,
    패널은 복수 개의 카 내에 각각 설치되며,
    정보 처리부는 센서가 감지한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패널에 엘리베이터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감지 시스템.
KR1020120010296A 2012-02-01 2012-02-01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KR20130088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96A KR20130088991A (ko) 2012-02-01 2012-02-01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96A KR20130088991A (ko) 2012-02-01 2012-02-01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150A Division KR20130129156A (ko) 2013-10-07 2013-10-07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991A true KR20130088991A (ko) 2013-08-09

Family

ID=4921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296A KR20130088991A (ko) 2012-02-01 2012-02-01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89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8649A (zh) * 2020-04-26 2020-08-07 波士顿电梯(湖州)有限公司 一种适用于无机房轿厢的平衡装置
US11634301B2 (en) 2017-06-05 2023-04-25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 malfunction in an elev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4301B2 (en) 2017-06-05 2023-04-25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 malfunction in an elevator
CN111498649A (zh) * 2020-04-26 2020-08-07 波士顿电梯(湖州)有限公司 一种适用于无机房轿厢的平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585B2 (en) Hoistway intrusion detection
US11702315B2 (en) Emergency monitoring systems for elevators
CN105129559B (zh) 电梯井道部件检测装置及其方法
EP3366626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CN108217360B (zh) 电梯安全系统和操作电梯系统的方法
US20190077633A1 (en) Elevator device
US6494296B2 (en) Device for signaling movement of an elevator car during the evacuation of elevator passengers
CN103764532A (zh) 电子化电梯
SG192362A1 (en) Electric safety elevator
US20210261383A1 (en) Elevator monitoring system
EP3317220B1 (en) Elevator car location zones in hoistway
CN110697532B (zh) 电梯运行的后台监控方法
JP5985686B1 (ja) エレベータ
CN114728758A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CN108529371B (zh) 电梯维护作业支援系统
KR20130088991A (ko)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KR20130129156A (ko)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WO2010100713A1 (ja) エレベーターの管制運転システム
CN113371569A (zh) 电梯安全系统
JP6749860B2 (ja) エレべーター制御システム
US20220063957A1 (en) Elevator smoke and fire detection system
KR101504607B1 (ko)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CN107207197B (zh) 电梯控制系统
EP3301054B1 (en) Optimized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by utilizing remaining capacity for multi-copartment elevators
KR101857449B1 (ko)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