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449B1 -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449B1
KR101857449B1 KR1020170156621A KR20170156621A KR101857449B1 KR 101857449 B1 KR101857449 B1 KR 101857449B1 KR 1020170156621 A KR1020170156621 A KR 1020170156621A KR 20170156621 A KR20170156621 A KR 20170156621A KR 101857449 B1 KR101857449 B1 KR 101857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guide rail
length
laser distance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승언
조범연
김흥열
권기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6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449B1/ko
Priority to JP2018218439A priority patent/JP6669840B2/ja
Priority to CN201811397099.8A priority patent/CN109809268B/zh
Priority to US16/198,800 priority patent/US1176719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초고층 건물에서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에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각각 설치하고,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함으로써 미세한 휘어짐 또는 위치 변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초고층 건물의 재난상황 발생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운전모드 전환시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을 실시간으로 수행함으로서 피난용 승강기를 신속하게 재운행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재실자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시킬 수 있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OCCUPANT EVACUATION ELEVATOR,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초고층 건물에서 재난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피난용 승강기(Occupant Evacuation Elevator: OEE)를 운행시키는 운전모드로 전환할 경우,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안전을 점검하도록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고층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 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승강기(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승강기 카, 모터부, 권상기, 승강기 로프 등이 구비되며, 승강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를 포함하고, 또한,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기계부를 제어하여 승강기 카가 해당 층으로 운행되도록 하는 승강기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고층 건물에서 화재 등 재난상황 발생시 승강기를 이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재난상황 발생시에 많은 사람들이 승강기를 이용하여 빠르게 피난 안전구역으로 대피한 사례가 있은 후, 전세계적으로 초고층 건물에서 승강기가 피난에 활용되고 있다. 이렇게 초고층 건물에서 피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일반 승용 승강기에 비하여 안전조치를 보다 강화한 승강기를 피난용 승강기(Occupant Evacuation Elevator: OEE)라고 한다.
특히, 초고층 건물에는 승용 승강기 중 적어도 1대 이상을 피난용 승강기의 설치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하며, 예를 들면, 피난용 승강기에는 화재 발생 시 연기 유입을 차단하는 가압 제연설비를 설치되며, 정전 발생시에도 즉시 비상 발전기를 이용한 비상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도 1은 일반적인 고층 건물의 피난용 승강기의 설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용 승강기(12)는 일반 승용 승강기(11)의 성능을 보완하여 사용하는 방법, 비상용 승강기(13)를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피난용 승강기(12)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법 중에서 안전성, 운행목적의 적합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피난용 승강기(12)의 운행목적은 소방대의 소화활동에 의해 거주자를 구하는 목적과는 별도로 거주자가 직접 승강기를 이용하여 피난 안전구역의 안전한 공간으로 피난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비상용 승강기(13)를 피난용과 소화활동용의 두 가지 목적으로의 사용은 화재 초기단계에서는 거주자의 피난용으로 사용되고 소방대의 도착 후 소화활동으로 사용한다. 이는 거주자가 비상용 승강기로 피난하기 위해 기다렸다가 이용을 할 수 없는 경우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고, 피난용과 소화용으로 사용은 그 사용목적과 방법이 확연히 달라 비상용 승강기(13)를 피난용 승강기(12)로 사용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피난용 승강기(12)를 고층 건물에 별도로 설치하는 방법은 안전성과 유지관리상 효과적이지만, 일반 승용 승강기(11)에 비해 이용 설치대수에 제한이 있으며, 별도의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고 설비의 휴지화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불합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일반 승용 승강기(11)의 성능을 보완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설비의 유휴화 방지, 별도의 승강기 설치면적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인간의 귀소 본능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물론, 초고층 건물에서 일반 승용 승강기(11)를 피난용 승강기(120로 사용하는 것은 사람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한 홍보가 필요하며, 비상시 피난용 승강기(12)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철저한 유지관리 및 훈련이 필요하다.
이하, 피난용 승강기(12)를 평상시에는 승객용으로 사용하다가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피난활동에 쓸 수 있게 제작된 승강기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피난용 승강기(12)는 비상용 승강기(12)처럼 승용 승강기(11)와 별도로 추가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승용 승강기(11) 중에 피난용의 성능이 갖추어진 승강기를 말하며, 고층 건물(10)에 설치하는 승용 승강기 중 1대 이상을 피난용 승강기의 설치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피난용 승강기(12)의 설치기준은, 피난용 승강기 승강장의 구조, 피난용 승강기 승강로의 구조, 피난용 승강기 기계실의 구조 및 피난용 승강기 전용 예비전원 등으로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다.
한편, 도 2는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장 구조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장(21)의 출입구를 제외한 부분은 해당 건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25)의 바닥 및 벽으로 구획하여야 하며, 이때, 승강장(21)은 각 층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되, 그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23)을 설치하여야 하며, 이러한 경우, 방화문(23)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또한,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불연재료로 하여야 하고, 예비전원으로 작동하는 조명설비(22)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승강장(21)의 바닥면적은 피난용 승강기(12) 1대에 대하여 6㎡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승강장(21)의 출입구 부근에는 피난용 승강기임을 알리는 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승강장(21)에는 배연설비(24)를 설치하여야 하며, 다만 제연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배연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승강기의 경우, 승강기 로프의 미세한 조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재난상황 발생시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을 신속하게 처리하고, 필요 시 승강기 로프의 미세한 조정이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지진 및 화재 폭발과 같은 재난상황 발생시,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에서의 이탈 등과 같은 문제에 대한 안전점검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701789호(출원일: 2006년 12월 15일), 발명의 명칭: "초고층건물의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시스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15-3476호(공개일: 2015년 9월 22일), 고안의 명칭: "거리측정용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카의 현재 위치 인식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25039호(출원일: 2007년 12월 7일), 발명의 명칭: "엘리베이터 승강로들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7-119945호(공개일: 2017년 10월 30일), 발명의 명칭: "고층 건물용 화재 대피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49008호(출원일: 2009년 12월 9일), 발명의 명칭: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7-15237호(공개일: 2007년 2월 1일), 발명의 명칭: "고층건물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2-6524호(공개일: 2012년 1월 18일), 발명의 명칭: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표식 장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초고층 건물의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에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각각 설치하고,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함으로써 미세한 휘어짐 또는 위치 변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초고층 건물의 재난상황 발생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운전모드 전환시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을 실시간으로 수행함으로서 피난용 승강기를 신속하게 재운행시킬 수 있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은,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초고층 건물에서 평상시에는 승객용으로 사용하다가 재난상황 발생시 운전모드로 전환될 경우, 모드 승강기의 운행이 중지된 상태에서 안전점검이 수행되는 피난용 승강기; 상기 피난용 승강기를 운행시키는 운전모드 전환시 모드 승강기의 운행을 중지하고 상기 피난용 승강기의 재운행을 위해 안전점검을 수행하는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 상기 승강기 로프의 양단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기 로프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하는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양단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하는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포함하되, 상기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는,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을 완료하고 재운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는,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구동시키는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구동시키는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및 상기 레이저 거리 측정기에 무정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 로프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하는 승강기 로프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승강기 로프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인지 비교하여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미세 조정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을 완료하고 재운행시키는 안전점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는,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및 수직도를 기설정된 길이 및 수직도의 오차범위와 각각 비교하여 미세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미세 조정량을 결정하는 조정량 결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정량 결정부에 의해 미세 조정이 필요하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승강기 로프의 장력을 미세 조정하고,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위치 변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는,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의 재운행을 중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는 제1 레이저 발광부 및 제1 레이저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 로프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는 제2 레이저 발광부 및 제2 레이저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및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는 상기 피난용 승강기의 재운행시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및 수직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방법은, a) 초고층 건물의 모든 승강기를 정상 운행하는 단계; b) 초고층 건물에서 재난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재난상황이 발생한 경우, 초고층 건물의 모든 승강기 운행을 정지하고, 피난용 승강기의 운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d) 상기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구동하는 단계; e)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및 수직도를 각각 확인하는 단계; 및 f) 상기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을 완료하고 상기 피난용 승강기를 재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기 (f) 단계의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은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구동시키는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구동시키는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및 상기 레이저 거리 측정기에 무정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 로프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하는 승강기 로프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승강기 로프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인지 비교하여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미세 조정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을 완료하고 재운행시키는 안전점검 제어부를 포함하는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를 구비한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지도록 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방법.
여기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및 수직도를 기설정된 길이 및 수직도의 오차범위와 각각 비교하여 미세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을 미세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미세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승강기 로프의 장력을 미세 조정하고,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위치 변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 단계의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는 상기 피난용 승강기의 재운행시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및 수직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를 재운행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고층 건물의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에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각각 설치하여,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함으로써 미세한 휘어짐 또는 위치 변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고층 건물의 재난상황 발생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운전모드 전환시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을 실시간으로 수행함으로서 피난용 승강기를 신속하게 재운행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재실자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고층 건물의 피난용 승강기의 설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장 구조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에서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피난용 승강기에 설치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에서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피난용 승강기에 설치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은, 초고층 건물(200)에서 재난상황 발생 시 재실자들의 안전하고 신속한 피난을 위하여 계단 및 피난용 승강기(110)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해당 피난층(210)으로부터 피난 안전구역(220)까지 피난할 수 있도록 피난용 승강기(110)의 안전점검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초고층 건물(200)에서 평상시에는 승객용으로 사용하다가 재난상황 발생시 운전모드(비상모드)로 전환될 경우, 모드 승강기의 운행이 중지된 상태에서 피난용 승강기(110)의 안전점검을 수행한다. 즉, 재난상황 시 모든 승강기가 정지하면, 재실자들의 피난을 위하여 신속한 안전점검을 거친 후에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를 사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피난용 승강기(110)는 카(111), 균형추(112), 전동기(113), 권상기(114), 고정 도르래(115), 조속기(116), 조속기 로프(117), 카 완충기(118) 및 균형추 완충기(119) 등을 포함하며, 또한,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은 카(111)와 균형추(112)의 승강로 평면 내의 위치를 규제하고, 카(111)의 자중이나 하중이 반드시 상기 카(111)의 중심에 있지 않기 때문에 기울어짐을 막아내기 위해 설치되며, 더욱이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했을 때 수직 하중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은 통상적으로 T자형의 것이 사용되고 있고, 승강로 내에 일직선상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저 발광부(151) 및 제1 레이저 수광부(152)가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양단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하며, 제2 레이저 발광부(161) 및 제2 레이저 수광부(162)가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양단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하며, 이때,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가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안전점검을 수행할 경우,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100)은, 피난용 승강기(110)의 운전모드 전환시 피난용 승강기(110)의 안전점검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난용 승강기(110)를 신속하게 재운행시킬 수 있고, 재실자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100)은, 피난용 승강기(Occupant Evacuation Elevator: OEE)(110), 승강기 로프(120), 승강기 가이드레일(130),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는 제1 레이저 발광부(151) 및 제1 레이저 수광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는 제2 레이저 발광부(161) 및 제2 레이저 수광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피난용 승강기(Occupant Evacuation Elevator: OEE)(110)는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이 구비되고, 초고층 건물(200)에서 평상시에는 승객용으로 사용하다가 재난상황 발생시 운전모드(비상모드)로 전환될 경우, 모드 승강기의 운행이 중지된 상태에서 안전점검이 수행된다.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는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를 운행시키는 운전모드 전환시 모드 승강기의 운행을 중지하고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재운행을 위해 안전점검을 수행한다.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는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양단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는 제1 레이저 발광부(151) 및 제1 레이저 수광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한다.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는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양단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는 제2 레이저 발광부(161) 및 제2 레이저 수광부(162)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및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는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재운행시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100)은, 상기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는,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안전점검을 완료하고 재운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는,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재운행을 중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는, 안전점검 제어부(141),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2),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3), 전원공급장치(144), 승강기 로프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5), 승강기 가이드레일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6) 및 조정량 결정부(147)를 포함한다.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2)는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를 구동시키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3)는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를 구동시킨다.
전원공급장치(144)는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및 상기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에 무정전 전원을 공급한다.
승강기 로프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5)는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2)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한다.
승강기 가이드레일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6)는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3)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한다.
안전점검 제어부(141)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2, 143)를 구동하여 상기 승강기 로프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5)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6)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인지 비교하여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미세 조정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안전점검을 완료하고 재운행시킨다.
조정량 결정부(147)는 상기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는,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기설정된 길이 및 수직도의 오차범위와 각각 비교하여 미세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 각각의 미세 조정량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조정량 결정부(147)에서 미세 조정이 필요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장력(Tension)을 미세 조정하고,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위치 변이를 미세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100)은, 초고층 건물에서 피난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는 피난용 승강기의 운전모드로의 신속한 전환을 위한 안전점검 및 상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승강기 로프의 조임을 미세하게 조정하거나 승강기 가이드레일의 위치 변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100)은, 피난용 승강기(110)의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이탈,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변형 등의 안전점검을 실시간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각각의 안전점검 부위에서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160)에 의해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방법]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방법은, 먼저, 초고층 건물(200)의 모든 승강기를 정상 운행한다(S110).
다음으로, 초고층 건물(200)에서 재난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0).
다음으로, 재난상황이 발생한 경우, 초고층 건물(200)의 모든 승강기 운행을 정지하고, 피난용 승강기(110)의 운전모드로 전환한다(S130). 구체적으로, 초고층 건물(200)에서 재난상황 발생시 모든 승강기들은 기준층으로 복귀되거나 또는 해당 층에서 운행이 정지되며, 안전점검 이후에 피난용 승강기(110)의 재운행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운행이 정지된 후에 신속한 재운행을 위한 안전점검을 실시간으로 수행하여야 하며,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방법은,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때, 미세한 조정이 필요한 경우, 간단히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160)를 구동한다(S14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는 제1 레이저 발광부(151) 및 제1 레이저 수광부(152)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양단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는 각각 제2 레이저 발광부(161) 및 제2 레이저 수광부(162)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160)에 의해 길이(또는 거리) 및 수직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160)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각각 확인한다(S150).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160)는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재운행시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기설정된 길이 및 수직도 오차범위와 비교하여 각각 미세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160).
다음으로,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을 미세 조정한다(S170). 이때,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미세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장력(Tension)을 미세 조정하고,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위치 변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안전점검을 완료하고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를 재운행한다(S180).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160)는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재운행시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이때,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를 재운행을 중지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고층 건물에서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에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각각 설치하고,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승강기 로프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함으로써 미세한 휘어짐 또는 위치 변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초고층 건물의 재난상황 발생에 따른 피난용 승강기의 운전모드 전환시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을 실시간으로 수행함으로서 피난용 승강기를 신속하게 재운행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재실자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200: 초고층 건물
110: 피난용 승강기
120: 승강기 로프
130: 승강기 가이드레일
140: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
150: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160: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141: 안전점검 제어부
142: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
143: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
144: 전원공급장치
145: 승강기 로프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
146: 승강기 가이드레일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
147: 조정량 결정부
151: 제1 레이저 발광부
152: 제1 레이저 수광부
161: 제2 레이저 발광부
162: 제2 레이저 수광부
210: 해당 피난층
220: 피난 안전구역

Claims (12)

  1.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이 구비되고, 초고층 건물(200)에서 평상시에는 승객용으로 사용하다가 재난상황 발생시 운전모드(비상모드)로 전환될 경우, 모드 승강기의 운행이 중지된 상태에서 안전점검이 수행되는 피난용 승강기(Occupant Evacuation Elevator: OEE)(110);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를 운행시키는 운전모드 전환시 모드 승강기의 운행을 중지하고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재운행을 위해 안전점검을 수행하는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양단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하는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양단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하는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를 포함하되,
    상기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는,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안전점검을 완료하고 재운행시키며,
    상기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는,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를 구동시키는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2);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를 구동시키는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3);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및 상기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에 무정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44);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2)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하는 승강기 로프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5);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3)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6); 및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2, 143)를 구동하여 상기 승강기 로프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5)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6)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인지 비교하여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미세 조정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안전점검을 완료하고 재운행시키는 안전점검 제어부(141)를 포함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는,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기설정된 길이 및 수직도의 오차범위와 각각 비교하여 미세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 각각의 미세 조정량을 결정하는 조정량 결정부(147)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량 결정부(147)에 의해 미세 조정이 필요하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장력(Tension)을 미세 조정하고,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위치 변이를 미세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는,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재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는 제1 레이저 발광부(151) 및 제1 레이저 수광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는 제2 레이저 발광부(161) 및 제2 레이저 수광부(162)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및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는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재운행시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8. a) 초고층 건물(200)의 모든 승강기를 정상 운행하는 단계;
    b) 초고층 건물(200)에서 재난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재난상황이 발생한 경우, 초고층 건물(200)의 모든 승강기 운행을 정지하고, 피난용 승강기(110)의 운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d)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160)를 구동하는 단계;
    e)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160)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각각 확인하는 단계; 및
    f)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안전점검을 완료하고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를 재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기 (f) 단계의 피난용 승강기(110)의 안전점검은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를 구동시키는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2);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를 구동시키는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3);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및 상기 레이저 거리 측정기(160)에 무정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44); 상기 제1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2)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하는 승강기 로프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5); 상기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3)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확인하는 승강기 가이드레일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6); 및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 구동부(142, 143)를 구동하여 상기 승강기 로프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5)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 길이 및 수직도 확인부(146)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인지 비교하여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미세 조정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 각각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안전점검을 완료하고 재운행시키는 안전점검 제어부(141)를 포함하는 피난용 승강기 안전점검부(140)를 구비한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지도록 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기설정된 길이 및 수직도의 오차범위와 각각 비교하여 미세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을 미세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미세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승강기 로프(120)의 장력(Tension)을 미세 조정하고, 상기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위치 변이를 미세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제1 및 제2 레이저 거리 측정기(150, 160)는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의 재운행시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로프(120) 및 승강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및 수직도가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피난용 승강기(110)를 재운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방법.
KR1020170156621A 2017-11-22 2017-11-22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7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621A KR101857449B1 (ko) 2017-11-22 2017-11-22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218439A JP6669840B2 (ja) 2017-11-22 2018-11-21 居住者避難エレベータ用安全性検査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201811397099.8A CN109809268B (zh) 2017-11-22 2018-11-22 用于乘员疏散电梯的安全性检测系统及其方法
US16/198,800 US11767195B2 (en) 2017-11-22 2018-11-22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occupant evacuation elevato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621A KR101857449B1 (ko) 2017-11-22 2017-11-22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449B1 true KR101857449B1 (ko) 2018-05-15

Family

ID=6218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621A KR101857449B1 (ko) 2017-11-22 2017-11-22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67195B2 (ko)
JP (1) JP6669840B2 (ko)
KR (1) KR101857449B1 (ko)
CN (1) CN1098092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4104B2 (en) * 2017-12-08 2022-09-06 Otis Elevator Company Continuous monitoring of rail and ride quality of elevator system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568A (ja) * 1996-01-26 1997-08-0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長さ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JP2000007251A (ja) * 1998-06-22 2000-01-1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主索長の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1019285A (ja) * 1999-07-06 2001-01-23 Toshiba Corp エレベータ案内装置
JP2003321171A (ja) * 2002-05-07 2003-11-11 Kajima Corp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および運転復旧システム
KR20070005647A (ko) * 2006-09-27 2007-01-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로프 장력 조정 장치
JP2012056698A (ja) * 2010-09-08 2012-03-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3193857A (ja) * 2012-03-22 2013-09-3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ガイドレールの調整式固定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3203498A (ja) * 2012-03-27 2013-10-0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327A (ja) * 1996-10-23 1998-05-12 Toshiba Elevator Technos Kk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ロープの異常検出装置
JPH10139308A (ja) * 1996-11-12 1998-05-26 Toshiba Elevator Technos Kk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4372397B2 (ja) * 2001-08-27 2009-11-25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レールストレッチの状態を測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50136986A1 (en) 2003-12-17 2005-06-23 Santa Cruz Cathy D. Occupant detection safety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07119228A (ja) * 2005-10-31 2007-05-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運転再開方法
JP2008044701A (ja) * 2006-08-11 2008-02-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装置
KR100701789B1 (ko) 2006-12-15 2007-03-29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초고층건물의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시스템
KR20070015237A (ko) 2007-01-10 2007-02-01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고층건물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KR101225039B1 (ko) 2007-12-07 2013-01-2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승강로들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JP5183185B2 (ja) * 2007-12-14 2013-04-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管制運転方法
JP5128961B2 (ja) * 2008-01-07 2013-01-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装置および方法
KR101049008B1 (ko) 2008-12-19 2011-07-12 조항민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WO2010124891A1 (de) 2009-04-29 2010-11-04 Inventio Ag Markierungsvorrichtung in aufzugsanlage
KR101481930B1 (ko) * 2011-02-28 2015-01-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20150003476U (ko) 2014-03-12 2015-09-2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거리측정용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카의 현재 위치 인식 시스템
WO2016151694A1 (ja) * 2015-03-20 2016-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829867B1 (ko) 2016-04-20 2018-03-29 한국과학기술원 고층 건물용 화재 대피 장치
CN107144260A (zh) * 2017-06-22 2017-09-08 乐山市特种设备监督检验所 电梯导轨轨距及垂直度自动测量仪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568A (ja) * 1996-01-26 1997-08-0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長さ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JP2000007251A (ja) * 1998-06-22 2000-01-1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主索長の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1019285A (ja) * 1999-07-06 2001-01-23 Toshiba Corp エレベータ案内装置
JP2003321171A (ja) * 2002-05-07 2003-11-11 Kajima Corp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および運転復旧システム
KR20070005647A (ko) * 2006-09-27 2007-01-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로프 장력 조정 장치
JP2012056698A (ja) * 2010-09-08 2012-03-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3193857A (ja) * 2012-03-22 2013-09-3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ガイドレールの調整式固定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3203498A (ja) * 2012-03-27 2013-10-0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52745A1 (en) 2019-05-23
CN109809268A (zh) 2019-05-28
US11767195B2 (en) 2023-09-26
JP6669840B2 (ja) 2020-03-18
CN109809268B (zh) 2020-10-09
JP2019094214A (ja)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4564B2 (en) Elevator system
US7621378B2 (en) System for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and method of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JP4675890B2 (ja) エレベータの火災管制装置
JP5660594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5526092B2 (ja) 電子化エレベータ
US8493230B2 (en) Elevator evacuation supporting system
US20180237261A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KR101828005B1 (ko) 피난용 승강기를 이용한 피난전략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10035315A1 (en) Device for the evacuation of elevator passengers
CN114728758B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JP5558484B2 (ja) エレベータの報知装置
EP2557062A1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5615104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223183A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方法および装置
KR101857449B1 (ko) 피난용 승강기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036340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
JP2007246230A (ja) エレベータの救出システム
JP491272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EP3317220B1 (en) Elevator car location zones in hoistway
JPWO2016046916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3492416B1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for occupant evacuation
JPH08301545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管制運転装置
KR101935639B1 (ko) 엘리베이터의 자동 구출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20063957A1 (en) Elevator smoke and fire detection system
JP201314734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