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008B1 -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008B1
KR101049008B1 KR1020090121706A KR20090121706A KR101049008B1 KR 101049008 B1 KR101049008 B1 KR 101049008B1 KR 1020090121706 A KR1020090121706 A KR 1020090121706A KR 20090121706 A KR20090121706 A KR 20090121706A KR 101049008 B1 KR101049008 B1 KR 101049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e building
balcony
floor
cabin
wire ro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905A (ko
Inventor
조항민
Original Assignee
조항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항민 filed Critical 조항민
Publication of KR2010007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 시에는 고층건물의 각 층 발코니로 활용되는 한편 화재 등의 비상 시에는 각 층 인원을 상대적으로 안전한 고층건물 상 하단의 제 1 및 제 2 안전공간으로 이송하는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상 하단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안전공간을 관통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안전공간 사이의 상기 고층건물 외곽을 수직으로 두르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 상기 고층건물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고층건물의 각 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평상 시(侍) 상기 고층건물의 각 층을 연장하는 발코니로 고정 활용되는 한편 비상 시(侍) 상기 고층건물의 각 층 인원을 상기 제 1 및 제 2 안전공간으로 이송하도록 승강되는 복수의 캐빈을 포함하는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balcony type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multi-storied building}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평상 시에는 고층건물의 각 층 발코니(balcony)로 활용되는 한편 화재 등의 비상 시에는 각 층 인원을 상대적으로 안전한 고층건물 상 하단의 제 1 및 제 2 안전공간으로 이송하는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코니(balcony)란 거실(居室) 등을 연장할 목적으로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노대(露臺)를 지칭한다.
최근 들어 전용정원(專用庭園)이 없는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이 주거환경의 주를 이루면서 발코니는 바깥공기와 접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으로서 그 활용도를 높여가고 있다.
통상의 발코니는 지붕을 제외한 바닥과 난간으로 이루어지며, 보통은 거실로부터 연장되어 식물재배, 일광용, 휴양, 놀이터 등의 휴식 및 전망에 사용되는 리 빙 발코니(living balcony) 그리고 부엌으로부터 연장되어 주방의 보조공간으로 활용되는 서비스 발코니(service balcony)로 나누어볼 수 있다. 참고로, 발코니는 층별 공통규격을 보임에 따라 상하층의 끝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수직을 이룬다는 점에서 베란다(veranda)와 구분되는데, 베란다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아래층의 지붕 위 공간으로서 상하층의 끝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사선을 이룬다.
한편, 요사이 들어 각종 건물이 대형화, 고층화, 다양화, 복합화되면서 건물 내 수용인원이 급격히 늘어났고, 주거, 사무, 쇼핑공간 등이 집약된 이른바 주상복합건물이 널리 보급되면서 건물 하나가 하나의 도시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처럼 건물 내 수용인원이 증가하면 화재와 같은 사고의 발생가능성 역시 높아지고, 사고 발생시(侍) 막대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수반한다.
이에 부응해서 최근의 건축방재는 화재발생방지에 만반의 노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화재발생 시(侍) 조기발견하여 초기에 소화하고 신속한 피난을 유도하여 피해확대를 방지하는 것에 기본방향을 둔다. 즉, 화재예방에 주안점을 둔 수동적 화재방호시스템(passive fire protection system)과 대처 및 진화에 주안점을 둔 능동적 화재방호시스템(active fire protection system)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가운데 비상시 혼란 없는 대응(fool proof)과 후속의 피해확대방지를 위한 2중, 3중의 안전방안수립(fail safe)을 주된 목표로 한다.
하지만,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고층건물 내 각 층 인원은 건물안전설계의 완전성 여부와 무관하게 큰 혼란에 빠지고, 한시라도 빨리 해당 층을 벗어나 외부로 탈출 또는 소통이 가능한 옥상이나 지하로 층 간 이동하려는 본능적인 행동을 취한다. 때문에 한꺼번에 많은 인원이 엘리베이터, 비상계단 등에 몰린다.
그러나 고층건물 내 각 층 인원의 무분별한 층간 이동은 오히려 화염과 유독가스의 전파속도를 높이고, 추락, 압사, 고립 등으로 인한 추가피해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며, 외부에서 각 층 인원의 분포상황 및 동선을 파악할 수 없게 하여 효과적인 대처계획 수립에 큰 장해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화재 등의 비상 시(侍) 불필요한 층간 이동 및 이로 인한 추가피해 가능성과 화염, 유독가스의 전파를 최소화하면서도 고층건물 내 각 층 인원을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고, 외부에서는 고층건물 내 대피상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평상 시에는 고층건물의 각 층 발코니로 활용되는 한편 화재 등의 비상 시에는 각 층 인원을 상대적으로 안전한 고층건물 상 하단의 제 1 및 제 2 안전공간으로 이송하여 대피를 가능케 하는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상 하단에 마련 된 제 1 및 제 2 안전공간을 관통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안전공간 사이의 상기 고층건물 외곽을 수직으로 두르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 상기 고층건물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고층건물의 각 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평상 시(侍) 상기 고층건물의 각 층을 연장하는 발코니로 고정 활용되다가 비상 시(侍) 상기 고층건물의 각 층 인원을 상기 제 1 및 제 2 승안전공간으로 이송하도록 승강되는 복수의 캐빈을 포함하는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캐빈의 좌 우측을 따라 수직 배치되어 상기 캐빈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는 각각 상기 캐빈과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 사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안전공간에 적어도 하나씩 장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가 상기 고층건물의 전 후면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가 각각 도르래 식으로 감기는 제 1 및 제 2 풀리; 상기 제 1 안전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를 회전시키는 전동기; 및 상기 전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캐빈은, 상기 고층건물의 전 후면을 향하는 양측이 개폐 가능한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인원의 탑승공간 및 발코니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수평의 크로스바; 및 상기 크로스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지지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는 평상 시 각 층의 발코니로 활용될 수 있어 효용도가 높고 비상 시 각 층의 인원을 안전한 곳으로 이송할 수 있어 안전성이 뛰어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를 이용하는 고층건물 내 각 층 인원은 자신에게 익숙한 옥내환경에서 층간 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혼란을 감소시킬 수 있고 추락, 압사, 고립 등의 추가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화염, 유독가스의 전파속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에서는 고층건물 내 각 층 인원의 대피상황을 동선을 육안으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한층 더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는 고층건물의 효용성은 물론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본다.
첨부된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이하, 간략하게 '비상탈출장치'라 한다.)에 대한 개요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정면 모식도, 도 2는 단면 모식도에 각각 해당된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고층건물(H)을 대상으로 하며, 이를 위한 고층건물(H)의 상하 임의의 층에는 별도의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이 마련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상하 임의의 층에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이 확보될 수 있는 고층건물(H)에 적용 가능한 것을 전제로 하는데,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주요부를 위한 설치공간이자 후술하는 캐빈(70)이 통과하면서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반환지점인 동시에 캐빈(70)을 타고 각 층에서 이송되어온 인원이 하차하는 하차지점이 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은 외부로 탈출 또는 외부와 소통 가능한 고층건물(H)의 최상층인 옥상과 최하층인 지하에 마련된다.
이때, 옥상과 지하는 통상의 고층건물(H)에 당연히 존재하는 공간임을 감안하면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대부분의 고층건물(H)에 적용이 가능하며, 고층건물(H)의 구조 내지는 목적 등에 따라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은 고층건물(H)의 옥상과 지하를 제외한 나머지 층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 경우 해당 층은 화재 등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거나 공중연결통로, 탈출로드 등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화재 등의 비상 시(侍) 고층건물(H)의 각 층 인원을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고, 이를 위한 필수구성요소로서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을 관통해서 그 사이의 고층건 물(H) 외곽을 수직으로 두르는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 고층건물(H)에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 고층건물(H)의 각 층에 대응되도록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캐빈(70)을 포함한다.
각각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는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을 관통해서 그 사이의 고층건물(H) 외곽을 수직으로 두르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서로 동일한 길이의 원형을 나타낸다.
이때,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는 가급적 인장 강도가 높고 내열성이 높은 것이 유리한바, 일례로 엘리베이터의 주 로프(hoist lope)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금속 세선(細線)의 꼬임 구조로 이루어지며 건물의 규모 등에 따라 적절한 규격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수단(40)은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가 고층건물(H)의 전 후면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을 따라 실질적인 무한궤도 운동을 하도록 회전시키는 부분으로서,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가 각각 도르래 식으로 감기는 제 1 및 제 2 풀리(42,52), 제 1 또는 제 2 안전공간(5 또는 10)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풀리(42,52)를 매개로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32,42)를 회전시키는 전동기(62,64)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풀리(42,52)는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에 각각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가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 사이의 고 층건물(H) 전 후면을 따라서는 실질적인 수직을,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에서는 실질적인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제 1 및 제 2 풀리(42,52)는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 1 풀리(42)는 제 1 안전공간(5)의 전면 상단 좌측, 후면 상단 좌측, 제 2 안전공간(10)의 전면 하단 좌측, 후면 하단 좌측에 4개 이상이 장착되고, 제 2 풀리(52)는 제 1 안전공간(5)의 전면 상단 우측, 후면 상단 우측, 제 2 안전공간(10)의 전면 하단 우측, 후면 하단 우측에 4개 이상이 장착된다.
하지만, 제 1 및 제 2 풀리(42,52)는 반드시 해당 위치에 해당 수량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설치위치 및 설치수량 등에 적절한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풀리(42,52)가 고층건물(H)의 폭 방향 길이보다 큰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어도 해당 기능, 예컨대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가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 사이의 고층건물(H) 전 후면을 따라서는 실질적인 수직을,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에서는 실질적인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 등을 참조하지 않아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전동기(62,64)는 제 1 및 제 2 풀리(42,52)를 회전시키고, 이로써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는 고층건물(H)의 전 후면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을 따라 실질적인 무환궤도 방식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는 동일한 속도로 승강될 필요가 있는 바, 전동기(62,64)는 제 1 와이어로프(22)의 회전을 위해 제 1 풀리(42) 중 하나에 연결된 제 1 전동기(62) 그리고 제 2 와이어로프(32)의 회전을 위해 제 2 풀리(52) 중 하나에 연결된 제 2 전동기(64)로 이루어져 공통의 제어반(미도시)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제 1 및 제 2 전동기(62,64)는 고층건물(H) 상단의 제 1 안전공간(5)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풀리(42,52) 중 서로 마주보는 하나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불필요한 동력손실을 막을 수 있어 적절하다.
다음으로, 캐빈(70)은 고층건물(H)의 각층에 대응되도록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에 수평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캐빈(70)은 평상 시 전동기(62,64)가 정지하였을 때에는 고층건물(H)의 전 후면을 따라 고정되어 각 층의 발코니로 활용되는 반면 비상 시 전동기(62,64)가 구동되면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를 따라 승강하여 각 층 인원을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으로 운송한다.
이를 위한 캐빈(7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나타내는데,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첨부된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른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은 캐빈(70)을 위주로 그와 연관된 구성요소를 나타낸 임의의 층에 대한 일부 사시도, 도 4는 캐빈(70)을 위주로 그와 연관된 구성요소를 나타낸 제 1 안전공간(5)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앞서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한다.
보이는 것처럼,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는 고층건물(H)의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을 관통해서 그 사이의 고층건물(H) 외곽을 두른다. 이때,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는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풀리(42,52)에 도르래 식으로 감겨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 사이의 고층건물(H) 전 후면을 따라서는 실질적인 수직을,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에서는 실질적인 수평을 유지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에는 고층건물(H)의 각 층에 대응되는 복수의 캐빈(70)이 수평하게 장착되고, 제 1 안전공간(5)의 제 1 및 제 2 풀리(42,52) 중 하나씩에는 각각 공통의 제어반(68)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및 제 2 전동기(62,64)가 연결된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전동기(62,64)의 정지 시(侍) 캐빈(70)은 고층건물(H) 각 층의 전 후면을 따라 고정되므로 각 층 실내공간을 연장하는 발코니로 활용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전동기(62,64)의 구동 시(侍) 캐빈(70)은 고층건물(H)의 전 후면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을 지나도록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를 따라 승강되므로 각 층 인원은 캐빈(70)을 타고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캐빈(7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본체(82),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수평의 크로스바(72), 크로스바(72)와 본체(82)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와이어(92)를 포함하여 곤돌라(gondola)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낸다.
이때, 캐빈(70)의 본체(82)는 평상 시 고층건물(H)의 각 층 베란다 공간으로 활용되다가 비상 시 각 층 인원의 탑승공간이 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고층건물(H)의 전 후면을 향하는 전후 측면이 각각 개방 가능한 도어(8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평상 시에는 고층건물(H)을 향하는 본체(82) 일 측의 도어(84) 만을 개방해서 베란다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비상 시에는 각 층 인원이 탑승한 후 본체(82)의 양측 도어(84)를 닫아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까지 안전하게 이동한 다음 적절한 방향의 도어(84)를 열어 신속하게 하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캐빈(70)의 정지 또는 승강을 가이드하는 별도의 가이드레일(102,104)을 제공하고, 이로써 캐빈(70)의 정지 또는 승강 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때, 가이드레일(102,104)은 서로 마주보는 일 측면을 따라 소정의 홈이 만입되어 캐빈(70)의 본체(82) 좌우 양측으로 수직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102,104)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102,104)을 향하는 캐빈(70)의 본체(82) 양 측면에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102,104)의 홈에 각각 유격있게 삽입되는 소정의 삽입단(88)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삽입단(88)에는 베어링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82)를 비롯한 캐빈(70)은 정지 또는 승강 시 불필요한 흔들림 없이 상시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102,104) 중 고층건물의 전 후면을 향하는 일측은 각각 위 아래로 갈수록 그 사이 간격이 늘어나는 곡선의 호 형상(도 4의 원내 A 참조)을 나타낼 수 있고, 이로써 제 1 하차공간(5)에서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102,104)로 진입하거나 제 2 하차공간(10)에서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102,104)로 진입하는 캐빈(70) 본체(82)의 삽입단(88)은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102,104)의 홈에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더 나아가 도 3의 V-V 선에 대한 단면도인 도 5와 같이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22,32)는 각각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102,104)과 본체(82)의 삽입단(88) 사이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캐빈(70)의 정지 또는 승강시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102,104)의 흔들림이나 부딪힘 등의 불필요한 위험요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 6은 캐빈(80)의 크로스바(72)와 제 1 와이어로프(22), 크로스바(72)와 지지와이어(92)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의 원내 B 부분 중 제 1 가이드레일(102)을 생략한 일부 확대 사시도에 해당된다. 본 도면을 앞서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며, 아래의 설명은 제 2 와이어로프(32)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보이는 것처럼, 캐빈(80)의 크로스바(72)는 제 1 와이어로프(22)에 긴밀하게 고정된다. 이때, 필요하다면 크로스바(72)와 제 1 와이어로프(22)의 긴밀한 결합을 위한 소정의 브라켓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와이어(92)는 크로스바(7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지지와이어(92)의 말단은 크로스바(72)에 유격있게 관통되는 고리형상을 나타낸다.
이때, 지지와이어(92)의 말단이 해당 형상을 나타내는 이유는 캐빈(70) 본체(82)의 상시적인 수평유지를 위한 것으로, 제 1 와이어로프(22)를 따라 캐빈(70) 이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을 통과할 때 각각의 크로스바(72) 역시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한다. 하지만 지지와이어(92)의 말단은 크로스바(72)에 유격있게 관통된 고리형상을 나타내므로 크로스바(72)의 회전은 지지와이어(92) 및 본체(82)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고, 본체(82)는 상시적으로 수평을 유지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크로스바(72)에는 지지와이어(92)의 불필요한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의 걸림턱(74)이 마련될 수 있고, 이로써 캐빈(70)의 정지 또는 승강에 대한 안정성을 더욱 높인다.
더불어, 첨부된 도 7은 제 1 풀리(42)를 나타낸 확대사시도로서 앞서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한다. 이하의 설명 역시 제 2 풀리(52)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보이는 것처럼, 바람직하게는 제 1 풀리(42)는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의 홈(44)이 만입되는데, 상기 홈(44)의 역할은 제 1 풀리(42)와 크로스바(72) 사이의 불필요한 간섭에 의한 캐빈(70)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1 풀리(42)에 도르래 식으로 감긴 제 1 와이어로프(22)는 전동기(62,64)의 구동에 의해 제 1 풀리(42)를 따라 승강되는데, 이 과정 중에 제 1 와이어로프(22)에 수평으로 장착된 캐빈(70) 각각의 크로스바(72) 역시 주기적으로 제 1 풀리(42)를 타 넘는다.
그리고 이로 인해 캐빈(70)에 불필요한 진동이 가해진다.
따라서 해당 현상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 1 풀리(42)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일정간격의 홈(44)이 만입되는바, 제 1 와어어로프(22)의 승강에 의해 캐빈(70)의 크로스바(72)는 홈(44)에 맞물리면서 자연스럽게 제 1 풀리(42)를 타 넘고, 이로써 캐빈(70)의 불필요한 진동 등을 최소화해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를 앞서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제 1 안전공간(5)의 바닥에는 가이드롤러(112,114)가 설치된다. 이하의 설명은 제 2 안전공간(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은 캐빈(70)이 수평이동하는 부분으로서 캐빈(70)에 탑승한 인원은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에서 하차한다. 이때, 캐빈(70)에 정해진 인원 이상이 탑승한 경우에는 자칫 캐빈(70)이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의 바닥면에 끌려 기울어질 수 있고, 하차에 따른 하중변화로 인해 캐빈(70)이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해당 현상들은 모두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에서 하차하는 인원의 사고가능성을 크게 높인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안전공간(5,10)의 바닥을 따라서는 수평의 가이드롤러(112,114)가 설치되어 캐빈(70)을 슬라이딩 지지하며, 이로써 캐빈(70)이 상시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한층 더 안정적인 하차를 도모한다.
이를 위한 가이드롤러(112,114)는 캐빈(70)의 좌우 양측을 각각 슬라이딩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롤러(112,11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및 제 2 가이드롤러(112,114) 각각은 원기둥 형상을 나타내는 다수의 롤러를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열한 컨베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캐빈(70) 본체(82)의 도어(84)를 열고 제 1 및 제 2 가이드롤러(112,114)의 사이 공간으로 하차한 후 재빨리 제 1 또는 제 2 가이드롤러(112,114)의 바깥쪽으로 이동해서 후속의 캐빈(70)에 탑승한 인원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캐빈(70)의 이동속도는 초속 1m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상의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한가지 예시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지만 이들 모든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인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으므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의 정면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의 단면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의 일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의 일부사시도.
도 5는 도 3의 III-III 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원내 B 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 7은 도 4의 일부 확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0 : 제 1 및 제 2 안전공간 22,32 :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
40 : 구동수단 42,52 : 제 1 및 제 2 풀리
62,64 : 제 1 및 제 2 전동기 70 : 캐빈
72 : 크로스바 82 : 본체
84 : 도어 92 : 지지와이어
102,104 :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 112,114 : 제 1 및 제 2 가이드롤러

Claims (5)

  1. 고층건물의 상 하단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안전공간을 관통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안전공간 사이의 상기 고층건물 외곽을 수직으로 두르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
    상기 고층건물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고층건물의 각 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평상 시(侍) 상기 고층건물의 각 층을 연장하는 발코니로 고정 활용되다가 비상 시(侍) 상기 고층건물의 각 층 인원을 상기 제 1 및 제 2 승안전공간으로 이송하도록 승강되는 복수의 캐빈을 포함하는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좌 우측을 따라 수직 배치되어 상기 캐빈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는 각각 상기 캐빈과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 사이로 배치되는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안전공간에 적어도 하나씩 장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가 상기 고층건물의 전 후면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가 각각 도르래 식으로 감기는 제 1 및 제 2 풀리;
    상기 제 1 안전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를 회전시키는 전동기; 및
    상기 전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고층건물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빈은,
    상기 고층건물의 전 후면을 향하는 양측이 개폐 가능한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인원의 탑승공간 및 발코니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로프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수평의 크로스바; 및
    상기 크로스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지지와이어를 포함하는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KR1020090121706A 2008-12-19 2009-12-09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KR101049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037 2008-12-19
KR20080130037 2008-12-19
KR20090002229 2009-01-12
KR1020090002229 2009-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905A KR20100071905A (ko) 2010-06-29
KR101049008B1 true KR101049008B1 (ko) 2011-07-12

Family

ID=4236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706A KR101049008B1 (ko) 2008-12-19 2009-12-09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0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806A (ko) * 2020-02-14 2021-08-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상자형 탑승장치 및 이를 포함한 대피시스템
US11767195B2 (en) 2017-11-22 2023-09-26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occupant evacuation elevator,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7615A (zh) * 2015-01-28 2015-05-06 重庆交通大学 火灾救援系统
KR20180053975A (ko) * 2016-11-14 2018-05-24 (주)헬퍼로보텍 산업곤충 수확을 위한 자동화설비
KR101863901B1 (ko) * 2017-08-30 2018-06-01 주식회사 에스엠텍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354A (ko) * 2002-10-08 2005-07-20 이스케이프 레스큐 시스템즈 엘티디. 대피 시스템 및 방법
JP2005305076A (ja) 2004-04-20 2005-11-04 Isao Yamashita 火災避難用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354A (ko) * 2002-10-08 2005-07-20 이스케이프 레스큐 시스템즈 엘티디. 대피 시스템 및 방법
JP2005305076A (ja) 2004-04-20 2005-11-04 Isao Yamashita 火災避難用昇降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7195B2 (en) 2017-11-22 2023-09-26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occupant evacuation elevator, and method thereof
KR20210103806A (ko) * 2020-02-14 2021-08-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상자형 탑승장치 및 이를 포함한 대피시스템
KR102422366B1 (ko) * 2020-02-14 2022-07-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상자형 탑승장치 및 이를 포함한 대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905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008B1 (ko) 고층건물의 발코니형 비상탈출장치
CN102120064B (zh) 伸缩式高层楼房应急逃生装置
US7191873B2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CN101249300A (zh) 用于高层建筑的升降机逃生救生系统
KR101934979B1 (ko)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0701790B1 (ko)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829867B1 (ko) 고층 건물용 화재 대피 장치
KR101065487B1 (ko) 피난용 사다리
US6318503B1 (en) Exterior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on a multi-storied building
CN202020803U (zh) 伸缩式高层楼房应急逃生装置
CN107419878A (zh) 逃生通道及楼房
KR20140117030A (ko)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대
KR101771711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159646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CN102877781A (zh) 紧急疏散梯
RU2355623C2 (ru)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варианты)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195437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N104225813A (zh) 一种缓降器
JP2004197456A (ja) 非常用梯子装置
WO1991018820A1 (en) Lifting system installed in building which makes emergency stair unnecessary
KR101898984B1 (ko) 고층건물의 긴급 대피용 엘리베이트장치
KR20070087319A (ko) 비상 승강장치
KR200381379Y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