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762B1 -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762B1
KR102433762B1 KR1020210116415A KR20210116415A KR102433762B1 KR 102433762 B1 KR102433762 B1 KR 102433762B1 KR 1020210116415 A KR1020210116415 A KR 1020210116415A KR 20210116415 A KR20210116415 A KR 20210116415A KR 102433762 B1 KR102433762 B1 KR 10243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ontrol
elevator
contact
switch
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랑
이준봉
유성주
김서연
최재명
Original Assignee
(주)대륜엘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륜엘리스 filed Critical (주)대륜엘리스
Priority to KR1020210116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4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기의 실시간 원격감시와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가 개시된다.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는, 승강기의 감시 대상을 감지하는 감지기, 감지기와 감시 대상 간의 접촉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동되는 가동자, 가동자의 가동에 의해 저항 값이 가변되는 가변 저항기, 및 저항 값에 따른 스위치 동작 상태와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SMART SAFETY CONTROL SWITCH FOR ELEVATOR AND ESCALATOR}
본 발명은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실시간 원격감시와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인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철 역사나 공항, 백화점 및 대형 쇼핑몰 등에 설치되어 운행된다. 이러한 승강기는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구동 축이 회전하면서 탑승한 승객이나 물건을 이동시킨다.
한편, 승강기에 적용되고 있는 안전 스위치는 접점 동작 상태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아 스위치 동작 결함으로 인한 승강기의 고장을 사전에 파악하기 어렵다.
그리고, 승강기에 적용되는 있는 다수의 안전 스위치들은 직렬 회로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한 개의 안전 스위치가 차단되면 원인을 찾느라 많은 시간을 허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승강기의 고장 원인을 찾는 동안 승강기는 운행을 정지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들로 큰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승강기의 안전 스위치는 동작 상태에 따라 접점이 폐쇄되거나 오픈되는 접점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접점 구조는 승강기 안전 장치의 상태가 변형되는 경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로프 또는 에스컬레이터 스텝체인 등의 텐션이 늘어나 있는 경우 운행 중 작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도 순간적으로 접점이 오픈 되었다가 폐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인버터 제어 시스템은 오류로 인지하여 승강기를 정지 시키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승강기의 안전 스위치는 구동 수단의 작동불량 등을 현장에서 점검함에 따라 불량여부를 파악하는 데에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승강기의 감시 대상 별 상태 파악과 운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운행 중에 발생되는 이상 상황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승강기의 실시간 원격감시와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의 감시 대상 및 운행 상태를 원격 통합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여 승강기의 고장을 진단하거나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는, 승강기의 감시 대상을 감지하는 감지기, 감지기와 감시 대상 간의 접촉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동되는 가동자, 가동자의 가동에 의해 저항 값이 가변되는 가변 저항기, 및 저항 값에 따른 스위치 동작 상태와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가동자는 상기 감지기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동되는 가동 부재, 가변 저항기와 결합되고 가동 부재의 가동 시 가변 저항기의 저항 값을 가변시키는 결합 부재, 가동 부재의 가동에 따라 접점 위치가 변경되는 제1 가동자 접점부, 가동 부재의 가동에 따라 접점 위치가 변경되는 제2 가동자 접점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1 가동자 접점부는 접점 위치에 따른 제1 접점 신호를 인쇄회로기판으로 출력하도록 제1 고정 접점부와 접촉된다.
실시예에서, 제2 가동자 접점부는 상기 접점 위치에 따른 제2 접점 신호를 외부의 안전 제어 보드에 출력하도록 제2 고정 접점부와 접촉되는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실시예에서, 가변 저항기의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감지 신호를 안전 제어 보드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스위치 제어기는 가변 저항기의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스위치 동작 상태 및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하도록 표시기를 제어한다.
실시예에서, 표시기는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이상 상태, 동작 상태 또는 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기, 및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하는 제2 표시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는 가변 저항기의 저항 값의 변화로 가동자의 위치를 판별하여 가동자의 작동 여부와 스위치 동작 상태를 감시한다.
실시예에서,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는 가변 저항기의 저항 값이 접점 위치와 대응되는 경우 정상적인 작동으로 판단하고, 가변 저항기의 저항 값이 접점 위치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판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는 승강기의 실시간 원격감시와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는 승강기의 감시 대상 및 운행 상태를 원격 통합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여 승강기의 고장을 진단하거나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는 승강기의 실시간 원격감시와 제어를 가능하게 하므로 운행 중에 발생되는 이상 상황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는 승강기의 운행 중의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안전 운행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고, 승강기에 대한 사고 예방, 승객 안전 및 시설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는 스위치 작동 상태를 내장된 저항체에 의 해 조정되고 디지털 숫자로 표시할 수 있고 직렬 통신 지원에 의해 개별로 통신 ID를 지정하여 각각의 스위치들 작동 시 메인 통신 서버에 등록하여 동작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는 승강기 각 개소의 안전 스위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사물 인터넷에 기반한 승강기 제어 장치와 중앙관제 센터에서도 스위치 별 작동 상태와 변위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는 승강기 관계자나 유지 보수 담당자의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도 실시간 원격 감시와 점검을 가능하게 하므로 승강기의 종류와 규격에 관계없이 예지 보전 관리가 가능하고 승강기 고장 시 빠른 수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는 승강기 예를 들어 승객용 엘리베이터, 화물용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공사현장의 리프트 카 등은 물론이고 타 산업 및 타 설비의 자동 제어와 관련된 제어 스위치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의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의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의 조정이 필요한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의 조정이 필요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가 적용된 원격 통합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의 블록도이다.
전술한 목적, 수단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승강기의 실시간 원격감시와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를 개시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감지기(110), 가동자(130), 가변 저항기(120) 및 표시기(142, 144)를 포함한다.
감지기(110)는 승강기의 감시 대상(400)과 접촉된다. 여기서, 감시 대상(400)은 승강기의 부품이다. 일례로, 승강기가 에스컬레이터인 경우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역회전 감지 센서, 메인 스프라켓 속도 센서, 모터 감속기 속도 센서, 핸드레일 속도 센서, 스텝 미싱 센서, 발판 하중 센서일 수 있으며, 감시 대상(400)은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의 접점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단자나 대상일 수 있다.
이러한 감지기(110)는 감시 대상(400)과 접촉되어 가동자(130)를 일 방향으로 가동한다. 후술하는 스위치 제어기(156)는 감지기(110)와 감지 대상(400) 간의 접촉으로 가동되는 가동자(130)의 의해 가변되는 저항 값의 변화로 스위치 동작 상태와 스위치 동작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가동자(130)는 감지기(110)와 감시 대상 간의 접촉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동된다. 가동자(130)는 가동 부재(131), 결합 부재(132), 제1 가동자 접점부(133) 및 제2 가동자 접점부(134)를 포함한다.
가동 부재(131)는 감지기(110)와 감시 대상 간의 접촉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동된다. 여기서, 일 방향은 가동 부재(131)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가동 부재(131)는 감지기(110)와 감시 대상 간의 접촉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가동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2)는 가변 저항기(120)와 결합되고 가동 부재(131)의 가동 시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을 가변시킨다. 일례로, 결합 부재(132)는 가변 저항기(1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가동 부재(131)의 가동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가동하여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을 변환시킬 수 있다.
가변 저항기(120)는 가동자(130)의 가동에 의해 저항 값이 가변된다. 일례로, 가변 저항기(120)는 인쇄회로기판(15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가동자(130)의 가동에 따라 가변되는 저항 값을 스위치 제어기(156)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가동자 접점부(133)는 가동 부재(131)의 가동에 따라 접점 위치가 변경된다. 제1 가동자 접점부(133)는 접점 위치에 따른 제1 접점 신호를 인쇄회로기판(150)으로 출력하도록 제1 고정 접점부(152)와 접촉된다. 여기서, 제1 고정 접점부(152)는 인쇄회로기판(15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스위치 제어기(15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접점 신호를 스위치 제어기(156)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가동자 접점부(134) 역시 가동 부재(131)의 가동에 따라 접점 위치가 변경된다. 제2 가동자 접점부(134)는 접점 위치에 따른 제2 접점 신호를 외부의 안전 제어 보드(200)에 출력하도록 제2 고정 접점부(154)와 접촉된다. 여기서, 제2 고정 접점부(154)는 인쇄회로기판(15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접점 신호를 안전 제어 보드(200)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기는 저항 값에 따른 스위치 동작 상태와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한다. 표시기는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이상 상태, 동작 상태 또는 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기(142) 및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하는 제2 표시기(144)를 포함한다.
스위치 제어기(156)는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감지 신호를 안전 제어 보드(200)에 출력한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기(156)는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스위치 동작 상태 및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하도록 제1 표시기(142) 및 제2 표시기(144)를 제어한다.
그리고,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의 변화로 가동자(130)의 위치를 판별하여 가동자(130)의 작동 여부와 스위치 동작 상태를 감시한다. 그리고,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이 접점 위치와 대응되는 경우 정상적인 작동으로 판단하고,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이 접점 위치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판단한다.
일례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가변 저항기(120)과 인쇄회로기판(150)의 스위치 제어기(156)을 이용하여 가동자(130)가 움직일 때 스위치 제어기(156)가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을 읽어 세븐 세그먼트로 제2 표시기(144)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의 변화로 가동자(130)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고 스위치의 작동 여부와 스위치 접속 상태를 이중으로 감시할 수 있게 한다.
일례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이상 상태, 동작 상태 또는 정상 상태를 옐로우, 레드, 그린 엘이디로 제1 표시기(142)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의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일례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이 스위치의 동작 점과 일치할 때는 정상적인 작동으로 판별할 수 있고, 스위치의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스위치의 접점이 단락 시 가변 저항 값과 접점의 동작 점 위치가 다르므로 비정상적인 작동을 검출하여 안전 제어 보드(200)에 통보할 수 있다. 이는 스위치의 비정상적인 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안전 재해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의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감지기(110)와 감시 대상(400)이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경우 제2 표시기(144)에 0을 표시하고 제1 표시기(142)의 옐로우 엘이디를 점등시켜 스위치의 이상 상태를 표시한다.
여기서, 이상 상태는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에러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자신의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일례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감지기(110)가 1mm 눌려지는 경우 정상 상태로 판단하여 제1 표시기(142)의 그린 엘이디를 점등시킬 수 있고, 감지기(110)가 2mm 이상 눌려지는 경우 작동 상태로 판단하여 레드 엘이디를 점등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의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감지기(110)와 감시 대상(400)이 접촉되어 1 ~ 10 사이의 값으로 눌려지는 경우 제2 표시기(144)에 1 ~ 10 사이의 값을 표시하고 제1 표시기(142)의 그린 엘이디를 점등시켜 스위치의 정상 상태를 표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의 조정이 필요한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감지기(110)와 감시 대상(400)이 접촉되어 10 ~ 70 사이의 값으로 눌려지는 경우 제2 표시기(144)에 해당 값을 표시하고 제1 표시기(142)의 그린 엘이디를 점등시켜 스위치의 정상 상태를 표시한다.
일례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가 10 ~ 70 사이의 값으로 표시되면 관리자는 접점 접촉 상태가 예민한 상태로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예민한 상태는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의 조정이 필요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의 조정이 필요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감지기(110)와 감시 대상(400)이 접촉되어 70 ~ 100 사이의 값으로 눌려지는 경우 제2 표시기(144)에 해당 값을 표시하고 제1 표시기(142)의 레드 엘이디를 점등시켜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일례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가 70 ~ 100 사이의 값으로 표시되면 관리자는 검출 상태로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 상태는 70에서 스위치를 작동시켜 눌림 량을 확인하고 눌림 양이 부족하여 추후 접촉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조정이 필요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가 적용된 원격 통합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원격 통합 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1, 100-2, 100-3, 100-4), 안전 제어 보드(200) 및 모니터링 서버(300)를 포함한다.
다수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1, 100-2, 100-3, 100-4)는 직렬 연결되며, 안전 제어 보드(200)로부터 아이디가 할당된다. 일례로, 485 통신 지원에 의해 개별로 통신 아이디를 지정하여 각각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들 작동 시 모니터링 서버(300)에 등록하여 동작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안전 제어 보드(200)는 승강기의 각종 센서들, 다수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로부터 감지 신호들을 수신하고, 감지 신호들에 대응하는 감지 데이터를 사물 인터넷 기반의 통신망을 통해 원격 통합 제어 시스템의 모니터링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안전 제어 보드(200)는 인버터 인터페이스 회로, 운행 표시기 인터페이스 회로, 역회전 방지 브레이크 및 모터 가속기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 음성 안내 장치 인터페이스, 에러 표시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제어 보드(200)는 전원 고장 대응이 가능하도록 슈퍼 캐패시터와 같은 내장 전원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 고장 시 운전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를 내장할 수 있으며, 상호 고장 감지를 위한 듀얼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할 수 있다.
안전 제어 보드(200)는 승강기에 대한 각종 센서들의 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제어 보드(200)는 라이다 센서 신호 입력 프로그램 모듈, 발판 하중 센서 신호 입력 프로그램 모듈, 역회전 감지 센서 프로그램 모듈, 메인 스프라켓 속도 센서 프로그램 모듈, 핸드레인 속도 센서 처리 프로그램 모듈, 인버터 상태 센서 신호 처리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제어 보드(200)는 각종 제어 장치의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제어 보드(200)는 역회전 방지 보조 브레이크 제어 프로그램 모듈, 모터 가속기 주 브레이크 제어 프로그램 모듈, 에스컬레이터 인버터 모터 제어 모듈, 운행 표시기 제어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제어 보드(200)는 일반 운전, 정지 및 비상정지 운전 시나리오 프로그램, 사물 인터넷 통신을 위한 이더넷 기반 서버 통신 프로그램, 고장 대응 운전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제어 보드(200)는 각종 센서들, 안전 제어 스위치들의 감지 신호들을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고, 승강기의 운행 상태 및 감시 대상 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제어 보드(200)는 승강기의 운행 상태 및 감시 대상 상태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들을 사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원격 통합 제어 시스템의 모니터링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제어 보드(200)는 사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원격 통합 제어 시스템(10)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의 고장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데이터에 따라 승강기의 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는 안전 제어 보드(200)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감지 데이터를 다수의 센서들, 안전 및 제어 스위치들 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는 감지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파라미터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고장 관련 예지 보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예지 보전 데이터를 관제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모니터링 서버(300)는 감지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른 모니터링 데이터를 안전 제어 보드(200)에 제공할 수 있고, 관제 장치를 통해서 모니터링 데이터를 표시 또는 알람할 수 있다. 그러면, 안전 제어 보드(200)는 모니터링 서버(300)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신 시 모니터링 데이터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승상기의 제어 스위치들(14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모니터링 서버(300)는 안전 제어 보드(200)와 연계될 수 있으며, 승강기의 센서들, 안전 제어 스위치들의 운행 상태 및 감시 대상 상태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들에 대응하는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감지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감지 데이터를 그래프, 차트 또는 그 밖에 읽고 이해하기 쉬운 시각적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서버(300)는 시설 내에 설치된 승강기들 각각에 대한 운행 상태와 감시 대상 상태를 나타내는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감지 데이터와 기준 파라미터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고장 관련 예지 보전 데이터를 생성하며, 예지 보전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기준 파라미터는 승강기 설치 시에 설정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모니터링 서버(300)는 승강기들 각각에 대하여 다양한 센서들, 각종 안전 제어 스위치들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으며,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서버(300)는 감지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른 고장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안전 제어 보드(200)에 제공할 수 있고, 관제 장치를 통해서 모니터링 데이터를 표시 또는 알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승강기 각 개소의 안전 스위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사물 인터넷에 기반한 승강기의 안전 제어 보드(200)와 모니터링 서버(300) 및 관제 센터에서도 스위치 별 작동 상태와 변위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해당 건물 승강기 관계자나 유지 보수 담당자의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도 실시간 원격감시와 점검이 가능하므로 승강기의 종류와 규격에 관계없이 예지보전 관리가 가능하고 안전 스위치에 의한 승강기 고장 시 즉시 수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모든 승강기 예를 들어, 승객용 엘리베이터, 화물용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공사현장의 리프트 카 등은 물론이고 타 산업 및 타 설비의 자동제어 관련된 제어 스위치에도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고하면,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가변 저항기(120), 제1 고정 접점부(152), 제2 고저 접전부(154), 제1 표시기(142), 제2 표시기(144) 및 스위치 제어기(156)를 포함한다.
가변 저항기(120)는 가동자(130)의 가동에 따라 가변되는 저항 값을 스위치 제어기(156)에 제공한다.
제1 가동자 접점부(133)는 가동 부재(131)의 가동에 따라 접점 위치가 변경되고, 접점 위치에 따른 제1 접점 신호를 스위치 제어기(156)에 제공한다.
제2 가동자 접점부(134)는 가동 부재(131)의 가동에 따라 접점 위치가 변경되고, 접점 위치에 따른 제2 접점 신호를 외부의 안전 제어 보드(200)에 출력하도록 스위치 제어기(156)에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2 가동자 접점부(134)는 제2 고정 접점부(154)와 접촉되고 제2 고정 접점부(154)를 통해서 외부로 제2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표시기(142)는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이상 상태, 동작 상태 또는 정상 상태를 표시하고, 제2 표시기(144)는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한다.
스위치 제어기(156)는 스위치 제어기(156)는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스위치 동작 상태 및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하도록 제1 표시기(142) 및 제2 표시기(144)를 제어한다.
스위치 제어기(156)는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의 변화로 가동자(130)의 위치를 판별하고, 가동자(130)의 위치에 따라 가동자(130)의 작동 여부와 스위치 동작 상태를 감시한다. 스위치 제어기(156)는 가동자(130)의 작동 여부와 스위치 동작 상태에 대한 감지 신호를 안전 제어 보드(200)에 제공한다.
일례로, 스위치 제어기(156)는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이 접점 위치와 대응되는 경우 정상적인 작동으로 판단할 수 있고,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이 접점 위치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스위치 제어기(156)는 가동자(130)가 움직일 때 스위치 제어기(156)가 가변 저항기(120)의 저항 값을 세그먼트로 표시할 수 있고, 스위치의 이상 상태, 동작 상태 또는 정상 상태를 각 색상의 엘이디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100)는 사물 인터넷 기반 기술을 적용하여 해당 건물의 승강기 관리자 또는 업체 관리자들이 스마트폰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승강기의 운행 상태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등의 동작 상태나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110: 감지기
120: 가변 저항기 130: 가동자
131: 가동 부재 132: 결합 부재
133: 제1 가동자 접점부 134: 제2 가동자 접점부
135: 제1 스프링 136: 제2 스프링
137: 제3 스프링 142: 제1 표시기
144: 제2 표시기 150: 인쇄회로기판
152: 제1 고정자 접점부 154: 제2 고정자 접점부
160: 연결 부재 170: 바디 박스
200: 제어 보드 300: 모니터링 서버
400: 승강기의 감시 대상
100-1, 100-2, 100-3, 100-4: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Claims (10)

  1. 승강기의 감시 대상을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기와 상기 감시 대상 간의 접촉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동되는 가동자;
    상기 가동자의 가동에 의해 저항 값이 가변되는 가변 저항기; 및
    상기 저항 값에 따른 스위치 동작 상태와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자는,
    상기 감지기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동되는 가동 부재;
    상기 가변 저항기와 결합되고, 상기 가동 부재의 가동 시 상기 가변 저항기의 저항 값을 가변시키는 결합 부재;
    상기 가동 부재의 가동에 따라 접점 위치가 변경되는 제1 가동자 접점부;
    상기 가동 부재의 가동에 따라 접점 위치가 변경되는 제2 가동자 접점부를 포함하는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자 접점부는 상기 접점 위치에 따른 제1 접점 신호를 인쇄회로기판으로 출력하도록 제1 고정 접점부와 접촉되는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자 접점부는 상기 접점 위치에 따른 제2 접점 신호를 외부의 안전 제어 보드에 출력하도록 제2 고정 접점부와 접촉되는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기의 상기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감지 신호를 안전 제어 보드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상기 가변 저항기의 상기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상기 스위치 동작 상태 및 상기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기를 제어하는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상기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이상 상태, 동작 상태 또는 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기; 및
    상기 저항 값의 변화에 따른 상기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하는 제2 표시기를 포함하는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8. 승강기의 감시 대상을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기와 상기 감시 대상 간의 접촉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동되는 가동자;
    상기 가동자의 가동에 의해 저항 값이 가변되는 가변 저항기; 및
    상기 저항 값에 따른 스위치 동작 상태와 스위치 동작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기의 상기 저항 값의 변화로 상기 가동자의 위치를 판별하여 상기 가동자의 작동 여부와 상기 스위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기의 상기 저항 값이 접점 위치와 대응되는 경우 정상적인 작동으로 판단하는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기의 상기 저항 값이 상기 접점 위치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판단하는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KR1020210116415A 2021-09-01 2021-09-01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KR102433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415A KR102433762B1 (ko) 2021-09-01 2021-09-01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415A KR102433762B1 (ko) 2021-09-01 2021-09-01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762B1 true KR102433762B1 (ko) 2022-08-18

Family

ID=8311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415A KR102433762B1 (ko) 2021-09-01 2021-09-01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7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4489A (ja) * 2016-08-08 2018-02-15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異常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4489A (ja) * 2016-08-08 2018-02-15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異常検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9629B1 (en) Image analytics for elevator maintenance
US7073633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maintenance of an elevator
JP60089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AU2012384009B2 (en) Position and load measurement system for an elevator
CN108861923B (zh) 自动电梯检查系统和方法
CN110294398B (zh) 电扶梯远程监测控制系统及方法
CN111377325B (zh) 用于增强电梯传感器操作的系统和方法
KR101642699B1 (ko) 무대 시설물의 이상 감지 및 이를 이용한 고장 예측 시스템과, 그 방법
EP3872018B1 (en) An elevator monitoring system
CN111434600B (zh) 用于电梯系统的远程监控系统及远程监控电梯系统的方法
CN106395538A (zh) 电梯轿厢停靠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10683441A (zh) 电梯困人检测装置及其控制方法
CN215828083U (zh) 一种基于物联网数字化管理的电梯程控系统
KR102433762B1 (ko)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CN110371814B (zh) 一种电梯运行监测系统及电梯运行监测方法
KR101602143B1 (ko) 크레인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102093615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JPWO2018122909A1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KR100372814B1 (ko)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장치
JP4509522B2 (ja)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KR20170116748A (ko)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KR101812926B1 (ko)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KR102545137B1 (ko) 에스컬레이터용 안전 제어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제어 시스템
CN110790099A (zh) 在人员被困期间追踪服务技工状态
KR100368774B1 (ko)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