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449B1 - 팽창밸브 - Google Patents

팽창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449B1
KR100349449B1 KR1019990059539A KR19990059539A KR100349449B1 KR 100349449 B1 KR100349449 B1 KR 100349449B1 KR 1019990059539 A KR1019990059539 A KR 1019990059539A KR 19990059539 A KR19990059539 A KR 19990059539A KR 100349449 B1 KR100349449 B1 KR 100349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ower element
expansion valve
pressure refrigeran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529A (ko
Inventor
히로타히사토시
사에키신지
센도이사오
가와하타마사이치
시오타도시유키
고바야시다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지케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지케이
Publication of KR2000005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3/00Other constructional types of cut-off apparatus; Arrangements for cutting-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3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 F25B41/3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via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8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 F25B2341/0683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the sensor is disposed in the suction line and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or the pressure of the suction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5Cos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히 심플하고 비용이 들지 않는 구성에 의하여 고압냉매의 압력변동에 대한 동작의 안정을 달성할 수 있는 팽창밸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밸브체(16)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로드(20)에 대하여 파워엘리멘트(30)로부터 우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팽창밸브{EXPANSION VALVE}
본 발명은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증발기에 보내어지는 냉매의 유량제어를 실시하면서 냉매를 단열팽창시키기 위한 팽창밸브에 관한 것이다.
팽창밸브에는 각종의 타입이 있는데, 증발기에 보내어지는 고압냉매가 통과하는 고압냉매유로의 도중을 가늘게 좁혀서 형성된 밸브좌구멍에 대하여 상류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밸브체를 배치하고, 증발기로부터 송출되는 저압냉매의 온도와 압력에 대응하여 밸브체를 개폐동작시키도록 한 팽창밸브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와 같은 팽창밸브에 있어서는 증발기로부터 송출되는 저압냉매의 온도와 압력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파워엘리멘트에 의하여 축선방향으로 진퇴 자유로운 로드를 통해 밸브체를 개폐동작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팽창밸브에 보내어지는 고압냉매에는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상류측에 있어서 압력변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그 압력변동은 고압냉매액을 매체로 하여 팽창밸브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팽창밸브에 있어서는, 밸브체의 상류측의 냉매압력이 압력변동에 의하여 상승하면 그것이 밸브체를 닫는 방향에 작용하므로, 밸브체의 상류측의 냉매압력이 더욱 상승하여 압력변동이 한층 큰 것이 되어서 팽창밸브의 동작이 매우 불안정한 것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종래는 파워엘리멘트와 밸브체의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진퇴 자유롭게배치된 로드에 대하여 스프링 등으로 측방으로부터 탄성지지력을 줌으로써 밸브체가 고압측냉매의 압력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도록 하여 동작을 안정시키고 있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97-222268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팽창밸브는 고압냉매의 압력변동에 대한 동작의 안정을 도모하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지만 축선방향으로 진퇴하는 로드를 측방으로부터 누르는 스프링을 기구중에 안정된 상태로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구조나 조립작업이 번잡해져서 비싼 비용이 들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극히 심플하고 비용이 들지 않는 구성에 의하여 고압냉매의 압력변동에 대한 동작의 안정을 달성할 수 있는 팽창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팽창밸브는 증발기에 보내어지는 고압냉매가 통과하는 고압냉매유로의 도중을 가늘게 좁혀서 형성된 밸브좌구멍에 대하여 상류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밸브체를 배치하고, 축선방향으로 진퇴 자유로운 로드를 증발기로부터 송출되어 저압냉매유로를 통과하는 저압냉매의 온도와 압력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파워엘리멘트와 밸브체의 사이에 끼워 설치하고, 밸브체를 개폐동작시키도록 한 팽창밸브에 있어서, 파워엘리멘트로부터 로드에 대하여 우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파워엘리멘트로부터 로드에 대하여 힘이 가해지는 작용점이 로드의 축선상으로부터 편위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로드의 축선의 연장선이 파워엘리멘트의 대략 중심축을 통과하고 있어도 좋고, 작용점이 파워엘리멘트의 중심축위치에 있어도 좋다. 그리고 로드의 파워엘리멘트에 맞닿는 측의 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로드의 단부에 맞닿는 파워엘리멘트측의 부재의 맞닿음면이 로드의 축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로드를 축선방향으로 진퇴 자유롭게 받치는 받침부가 파워엘리멘트와 저압냉매유로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재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 구획부재가 파워엘리멘트의 하우징의 일부이어도 좋다.
또 그 구획부재에 저압냉매유로내의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파워엘리멘트측에 천천히 전달하기 위한 냉매통과구멍이 뚫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파워엘리멘트측에 설치된 부재가 로드측을 향하여 봉상으로 가늘고 길게 신장하여 형성되고, 그 봉상부의 단면이 축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밸브체에 대한 로드의 맞닿음부의 변형예의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밸브체에 대한 로드의 맞닿음부의 제 2 변형예의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다이어프램받침판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다이어프램받침판의 다리모양부의 변형예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다이어프램받침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다이어프램받침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다이어프램받침판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다이어프램받침판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파워엘리멘트의 하우징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파워엘리멘트의 하우징부분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팽창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저압냉매유로 13: 고압냉매유로
14: 관통구멍 15: 밸브좌(座)구멍
16: 밸브체 17: 압축코일스프링
20: 로드 21: 선단부분
30: 파워엘리멘트 32: 다이어프램
33: 다이어프램받침판 36: 사면
37: 로드받침 38: 냉매통과구멍
40: 냉매통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팽창밸브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1은 증발기, 2는 압축기, 3은 응축기, 4는 응축기(3)의 출구측에 접속되어 고압의 액체냉매를 수용하는 수액기, 10은 팽창밸브이다. 이들에 의하여 냉동사이클이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자동차의 실내냉방장치(카에어콘)에 이용된다.
팽창밸브(10)의 본체블록(11)에는 증발기(1)로부터 압축기(2)에 보내어지는저온저압의 냉매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저압냉매유로(12)와, 증발기(1)에 보내어지는 고온고압의 냉매액을 통과시켜서 단열팽창시키기 위한 고압냉매유로(13)가 형성되어 있다.
저압냉매유로(12)는 입구측의 단부가 증발기(1)의 출구에 접속되고 출구측이 압축기(2)의 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고압냉매유로(13)는 입구측의 단부가 수액기(4)의 출구에 접속되고 출구측이 증발기(1)의 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저압냉매유로(12)와 고압냉매유로(13)는 서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수직인 관통구멍(14)이 저압냉매유로(12)와 고압냉매유로(13)의 사이를 관통해 있다. 또 저압냉매유로(12)로부터 바깥쪽으로 빠지도록 관통구멍(14)과 같은 방향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파워엘리멘트(30)가 부착되어 있다.
고압냉매유로(13)의 도중에는 유로면적을 도중에 좁게 좁힌 형태의 밸브좌구멍(15)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밸브좌구멍(15)에 상류측으로부터 대향하여 구상의 밸브체(16)가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밸브체(16)와 밸브좌구멍(15)의 입구부의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은 부분이 고압냉매유로(13)의 스로틀부가 되고, 그곳으로부터 증발기(1)에 이르는 하류측의 유로내에 있어서 고압냉매가 단열팽창한다. 밸브체(16)는 압축코일스프링(17)에 의하여 밸브좌구멍(15)에 접근하는 방향(즉 닫힘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18은 스프링받침이다.
관통구멍(14)내에 끼워 통해진 로드(20)는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은 파워엘리멘트(30)의 이면부근에 달하며, 중간부분이 저압냉매유로(12)를 수직으로 가로질러서 관통구멍(14)내에 끼워 맞추고, 하단은 밸브좌구멍(15)내를 통과하여 밸브체(16)의 두부에 맞닿아 있다. 또한 로드(20)는 밸브좌구멍(15)의 벽면과의 사이가 냉매유로가 되도록 밸브좌구멍(15)에 비하여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파워엘리멘트(30)는 두꺼운 금속판제의 하우징(31)과 가요성이 있는 금속제박판(예를 들면 두께 0. 1㎜의 스테인레스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32)에 의하여 기밀하게 둘러싸여져 있다.
파워엘리멘트(30)내에는 냉매유로(12, 13)내에 흐르게 되는 냉매와 같거나 또는 성질이 비슷한 포화증기상태의 가스가 봉입되어 있고 가스봉입용의 주입구멍은 마개(34)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다이어프램(32)의 이면에 면하여 큰 접시모양으로 형성된 다이어프램받침판(33)이 배치되어 있고 다이어프램받침판(33)의 이면에 로드(20)의 단부가 맞닿아 있다.
단 로드(20)의 선단부분(21)은 예를 들면 60°정도의 각도로 작게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쑥 내민 끝이 다이어프램받침판(33)의 이면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로드(20)는 축선방향으로 진퇴 자유롭게 다이어프램받침판(33)과 밸브체(16)의 사이에 끼워서 붙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로드(20)의 축선의 연장선상에 다이어프램받침판(33)의 중심축이 위치해 있다. 따라서 로드(20)의 쑥 내민 끝은 다이어프램받침판(33)의 중심축위치로부터 편위한 위치에서 다이어프램받침판(33)에 맞닿아 있다.
40은 파워엘리멘트(30)가 저압냉매의 급격한 온도변화에 영향받지 않도록 다이어프램(32)의 이면으로의 저압냉매의 돌아서 들어감을 규제하기 위해 다이어프램받침판(33)에 형성된 냉매통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팽창밸브에 있어서는 저압냉매유로(12)내를 흐르는 저압냉매의 온도가 내려가면 다이어프램(32)의 온도가 내려가서 파워엘리멘트(30)내의 포화증기가스가 다이어프램(32)의 내표면에서 응축한다.
그러면 파워엘리멘트(30)내의 압력이 내려가서 다이어프램(32)이 변위하므로 로드(20)가 압축코일스프링(17)에 눌려서 이동하고, 그 결과 밸브체(16)가 밸브좌구멍(15)측으로 이동하여 고압냉매의 유로면적이 좁아져서 증발기(1)에 보내어지는 냉매의 유량이 준다.
저압냉매유로(12)내를 흐르는 저압냉매의 온도가 올라가면 상기와 반대의 동작에 의해 파워엘리멘트(30)로 눌려진 로드(20)에 의하여 밸브체(16)가 밸브좌구멍(15)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압냉매의 유로면적이 넓어져서 증발기(1)에 보내어지는 고압냉매의 유량이 증가한다.
그와 같이 동작하는 로드(20)는 선단부분(21)이 작게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고, 파워엘리멘트(30)로부터 로드(20)에 대하여 힘이 가해지는 작용점이 로드(20)의 축선상(축선의 연장선상)으로부터 편위해 있다.
따라서 파워엘리멘트(30)와 압축코일스프링(17)으로부터 로드(20)가 받는 힘은 축선의 방향을 바꾸는 방향으로 로드(2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우력으로도 작용한다.
그 결과 로드(20)가 진퇴할 때에는 관통구멍(14)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당히 큰 마찰저항이 발생하므로, 고압냉매유로(13)내의 고압냉매에 압력변동이 있었을 때 로드(20)의 동작(즉 밸브체(16)의 개폐동작)이 그것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다. 또한 로드(20)의 선단부분(21)은 작게 구부러진 형상 이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팽창밸브(10)를 나타내고 있으며, 로드(20)의 선단부분(21)이 맞닿는 다이어프램받침판(33)을 열전도율이 낮은 두께의 어떤 플라스틱재로 형성한 것이다. 그 밖은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팽창밸브(10)를 나타내고 있으며, 작게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로드(20)의 선단부분(21)의 쑥 내민 끝을 다이어프램받침판(33)의 중심축위치에 맞닿게 한 것이다.
그 결과 파워엘리멘트(30)의 중심축과 로드(20)의 축선이 편위해 있지만 파워엘리멘트(30)가 중심축위치에서 로드(20)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므로 동작의 균형이 좋다.
다이어프램받침판(33)의 이면의 중심위치에는 로드(20)의 쑥 내민 끝이 걸어 맞추는 원형의 오목모양부(35)가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또한 로드(20)의 편위방향은 어떠한 방향이어도 좋고, 그 위치결정을 하기 위한 가이드를 저압냉매유로(12)와 파워엘리멘트(30)의 사이부근에 설치해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팽창밸브(10)를 나타내고 있으며, 로드(20)와 파워엘리멘트(30)는 축선을 일치시켜서 배치되어 있다(일치해 있지 않아도 좋다).
로드(20)는 한개의 곧은 봉상이지만 로드(20)가 맞닿는 다이어프램받침판(33)의 맞닿음면부분이 로드(20)의 축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서 형성되어 있다.
그 사면(36)에 맞닿는 로드(20)의 단면은 매끈매끈한 곡면상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단 사면(36)에 맞닿는 로드(20)의 단면형상은 원추형 그 밖의 각종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파워엘리멘트(30)로부터 로드(20)에 대하여 우력이 가해지므로 상기의 각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팽창밸브(10)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팽창밸브는 상기의 제 4 실시형태의 것을 더욱 개량한 것이며, 각 부에 대해서 약간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구상의 밸브체(16)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체(16)가 면하는 밸브좌구멍(15)의 개구단은 테이퍼상의 챔퍼링이 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16)측으로 점차 직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상으로 형성된 압축코일스프링(17)은 밸브체(16)와 똑같은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분에 밸브체(16)가 용접 등에 의하여 직접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시에 밸브체(16)가 압축코일스프링(17)으로부터 탈락하지 않고 또 양 부재가 동일 재질인 것으로부터 리사이클처리가 용이하다.
압축코일스프링(17)이 배치된 구멍(19)은 밸브좌구멍(15)과 동일 방향(따라서 고압냉매유로(13)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본체블록(11)에 형성되어 있어 바깥쪽으로 빠져 있다.
그 구멍(19)내에는 압축코일스프링(17)의 기단측을 받치는 스프링받침(18)이 바깥쪽으로부터 압입고정되어 있어 나사결합부가 없으므로 비틀어 넣음에 의한 금속부스러기의 발생이 없다.
스프링받침(18)은 내측의 단면이 막힌 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압축코일스프링(17)의 스프링력이 적정값이 되도록 조립시에 고정위치가 조정되어 구멍(19)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맞붙여져 있다.
그와 같이 O링 등의 시일부재를 이용하는 일없이 본체블록(11)에 대한 스프링받침(18)의 부착부분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나사록 또는 용접 등을 실시해도 좋고, 스프링받침(18)에 스프링성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여 스프링백에 의해 기밀성을 얻어도 좋다.
밸브체(16)와 맞닿는 로드(20)의 단면에는 V자모양의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로드(20)의 단면에 대하여 밸브체(16)가 덜컹거리지 않고 밸브체(16)부분으로부터 진동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로드(20)의 단면의 오목부(22)의 형상은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U자모양으로 형성해도 좋고, 로드(20)의 직경에 비하여 작은 V자모양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 5로 되돌아가서 관통구멍(14)부분에서는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로드(20)가 끼워 맞추어 있으며, 예를 들면 끼워맞춤길이가 10∼15㎜정도이고 끼워맞춤간격이 0. 01∼0. 12㎜정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20)의 덜컹거림이 규제되어 있다. 이것도 밸브체(16)부분으로부터의 진동음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또 관통구멍(14)의 저압냉매유로(12)측 개구부(14a)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에는 로드(20)에 돌기(23)가 뚫어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23)는 로드(20)를 측방으로부터 눌러 찌부러뜨려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기(23)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로드(20)가 그 이상 관통구멍(14)내에 들어가지 않으므로 조립시에 로드(20)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14)의 저압냉매유로(12)측 개구부(14a)는 테이퍼상으로 챔퍼링되어 있다.
파워엘리멘트(30)는 모든 부품이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은 같은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팽창밸브(10)를 파괴할 때에는 파워엘리멘트(30)를 꺼내서 용이하게 리사이클처리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받침판(33)은 도 8에 사시도가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3개의 다리모양부(33a)가 구부러져서 형성된 접시모양으로 되어 있고 판재로부터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이어프램받침판(33)의 중앙부분에는 사면(36)이 형성되어 있다. 그 각도(다이어프램(32)면에 대한 각도)는 5∼25도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적당하다. 이 각도가 너무 크면 슬라이딩운동력이 커져서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고 너무 작아서는 사면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다리모양부(33a)는 하우징(31)의 내주면에 느슨하게 끼워 맞추어 다이어프램받침판(33)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다리모양부(33a)가 구부러짐으로써 절개된 부분이 냉매통로(40)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다리모양부(33a)의 선단부분을 내측으로 구부려서 형성함으로써 하우징(31)의 내주면과의 슬라이딩접합상태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아 움직임이 보다 원활해진다.
다이어프램받침판(33)은 다양한 실시형태를 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캡모양으로 형성해도 좋다. 냉매통로(40)는 작은 구멍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받침판(33)을 단조 등에 의하여 리벳의 두부모양으로 형성해도 좋다. 냉매통로(40)는 홈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로 되돌아가서 파워엘리멘트(30)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된 하우징(31)에는 본체블록(11)과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부(25)가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26은 시일부재이다.
하우징(31)의 저압냉매유로(12)에 면하는 부분의 중앙부분에는 로드(20)가 단부근처에서 슬라이딩운동 자유롭게 끼워 맞추는 로드받침(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로드(20)의 덜컹거림이 규제되어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
로드받침(37)의 주위의 저압냉매유로(12)에 면하는 부분에는저압냉매유로(12)내를 통과하는 냉매를 파워엘리멘트(30)내에 소량만 인도하기 위한 냉매통과구멍(38)이 하우징(31)에 뚫어 설치되어 있으며, 저압냉매유로(12)내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와 압력의 상태변화가 다이어프램(32)의 이면에 지연되어 느슨하게 전달되므로 팽창밸브(10)가 급격한 동작변화를 하지 않는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31)의 저압냉매유로(12)에 면하는 부분만을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시(131) 등의 별도부재에 의하여 형성하고 파워엘리멘트(30)와 본체블록(11)의 사이에 부시(131)를 끼워 두어도 좋다.
그 경우 도 1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부시(131)를 표리의 중간부분을 경계로 하여 대칭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부시(131)에 표리의 구별이 없어져서 조립이 용이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을 했는데 본 발명은 더욱 각종의 실시형태를 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로드(20)를 관통구멍(14)내의 부분으로부터 파워엘리멘트(30)측의 단부까지 굵게 형성해도 좋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받침(18)이 본체블록(11)에 비틀어 넣어져서 부착되어 있다.
또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받침판(33)측으로부터 굵은 축부(133)를 로드(20)측을 향하여 봉상으로 가늘고 길게 신장하여 형성하고 로드(20)의 단면이 맞닿는 사면(36)을 그 축부(133)의 단면에 형성해도 좋다. 또 도 1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또한 그 굵은 축부(133)를 다이어프램받침판(33)과 별도부재로 형성하여 다이어프램받침판(33)에 연결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체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로드에 대하여 파워엘리멘트로부터 우력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로드가 양단에 있어서 받는 힘이 로드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그 결과 로드가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할 때에 큰 마찰저항이 발생하므로 고압냉매에 압력변동이 있어도 밸브체의 동작이 그것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극히 심플하고 비용이 들지 않는 구성에 의하여 고압냉매의 압력변동에 대해 동작이 안정된 팽창밸브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증발기에 보내어지는 고압냉매가 통과하는 고압냉매유로의 도중을 가늘게 좁혀서 형성된 밸브좌구멍에 대하여 상류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밸브체를 배치하고, 축선방향으로 진퇴 자유로운 로드를 상기 증발기로부터 송출되어 저압냉매유로를 통과하는 저압냉매의 온도와 압력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파워엘리멘트와 상기 밸브체의 사이에 끼워 설치하고, 상기 밸브체를 개폐동작시키도록 한 팽창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워엘리멘트로부터 상기 로드에 대하여 우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엘리멘트로부터 상기 로드에 대하여 힘이 가해지는 작용점이 상기 로드의 축선상으로부터 편위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축선의 연장선이 상기 파워엘리멘트의 대략 중심축을 통과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점이 상기 파워엘리멘트의 중심축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기 파워엘리멘트에 맞닿는 측의 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기 파워엘리멘트에 맞닿는 측의 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기 파워엘리멘트에 맞닿는 측의 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단부에 맞닿는 상기 파워엘리멘트측의 부재의 맞닿음면이 상기 로드의 축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를 축선방향으로 진퇴 자유롭게 받치는 받침부가 상기 파워엘리멘트와 상기 저압냉매유로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가 상기 파워엘리멘트의 하우징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에 상기 저압냉매유로내의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상기 파워엘리멘트측에 천천히 전달하기 위한 냉매통과구멍이 뚫려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엘리멘트측에 설치된 부재가 상기 로드측을 향하여 봉상으로 가늘고 길게 신장하여 형성되고, 그 봉상부의 단면이 축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KR1019990059539A 1999-01-13 1999-12-21 팽창밸브 KR100349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5894 1999-01-13
JP589499 1999-01-13
JP24948199 1999-09-03
JP99-249481 1999-09-03
JP99-273559 1999-09-28
JP27355999A JP3576886B2 (ja) 1999-01-13 1999-09-28 膨張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529A KR20000052529A (ko) 2000-08-25
KR100349449B1 true KR100349449B1 (ko) 2002-08-22

Family

ID=2727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539A KR100349449B1 (ko) 1999-01-13 1999-12-21 팽창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96194B1 (ko)
EP (1) EP1020690B1 (ko)
JP (1) JP3576886B2 (ko)
KR (1) KR100349449B1 (ko)
DE (1) DE6002163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3455B2 (ja) * 2000-06-28 2007-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温度式膨張弁
JP4142290B2 (ja) 2001-07-12 2008-09-03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JP4081295B2 (ja) * 2002-04-30 2008-04-23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JP2004137922A (ja) * 2002-10-16 2004-05-13 Tgk Co Ltd 可変容量圧縮機の容量制御弁
JP2005164208A (ja) * 2003-12-05 2005-06-23 Fuji Koki Corp 膨張弁
FR2866937B1 (fr) * 2004-02-26 2007-03-16 Otto Egelhof Gmbh & Co Kg Dispositif d'ouverture et de fermeture d'un passage present dans un boitier
JP2008076031A (ja) * 2006-09-25 2008-04-03 Denso Corp 膨張弁
DE102008058210A1 (de) * 2008-11-19 2010-05-20 Voith Patent Gmbh Wärmetauscher und Verfahren für dessen Herstellung
JP5807613B2 (ja) * 2012-05-29 2015-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膨張弁
JP6142181B2 (ja) * 2013-03-12 2017-06-07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および防振ばね
JP6447906B2 (ja) * 2014-10-30 2019-01-0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US10436349B2 (en) * 2015-06-09 2019-10-08 Denso Corporation Pressure reduction valve
JP6811479B2 (ja) * 2017-02-10 2021-01-13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JP7300705B2 (ja) * 2019-02-28 2023-06-30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JP7385288B2 (ja) * 2021-04-21 2023-11-22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3046C3 (de) * 1973-08-25 1980-01-03 Danfoss A/S, Nordborg (Daenemark) Thermostatisches Expansionsventil für Kälteanlagen
JPS5252766U (ko) * 1975-10-15 1977-04-15
JP2520510Y2 (ja) * 1990-03-14 1996-12-18 東芝精機株式会社 圧力調整弁
EP0513568B1 (en) * 1991-05-14 1997-01-29 DEUTSCHE CONTROLS GmbH Expansion valve
JP3046668B2 (ja) * 1991-12-04 2000-05-2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JP3418238B2 (ja) * 1994-01-24 2003-06-16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JPH08145505A (ja) * 1994-11-25 1996-06-07 Tgk Co Ltd 膨張弁
JPH08334280A (ja) * 1995-04-07 1996-12-17 Fuji Koki Seisakusho:Kk 膨張弁及び冷凍システム
US5961038A (en) * 1995-07-13 1999-10-05 Pacific Industrial Co., Ltd. Thermal type expansion valve
JP3452719B2 (ja) * 1995-12-14 2003-09-2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JP3507612B2 (ja) * 1996-03-08 2004-03-15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JP3481036B2 (ja) * 1996-03-25 2003-12-22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FR2755757B1 (fr) * 1996-11-12 1999-01-15 Valeo Climatisation Composant pour circuit de fluide refrigerant, en particulier pour la climatisation de l'habitacle d'un vehicule automobile
JPH10288424A (ja) * 1997-04-11 1998-10-27 Fuji Koki Corp 温度式膨張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529A (ko) 2000-08-25
DE60021635T2 (de) 2005-12-29
EP1020690B1 (en) 2005-08-03
JP3576886B2 (ja) 2004-10-13
JP2001141335A (ja) 2001-05-25
EP1020690A2 (en) 2000-07-19
DE60021635D1 (de) 2005-09-08
US6296194B1 (en) 2001-10-02
EP1020690A3 (en) 200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9449B1 (ko) 팽창밸브
JP4331571B2 (ja) 膨張弁
JP6779030B2 (ja) 膨張弁
US6805155B2 (en) Cartridge relief valve with improved stability
US7455154B2 (en) Shock absorber
KR20030006945A (ko) 팽창 밸브
JP3452719B2 (ja) 膨張弁
KR20040038803A (ko) 전자 밸브 일체형 팽창 밸브
JP3481036B2 (ja) 膨張弁
JP6639980B2 (ja) 膨張弁
JP3780127B2 (ja) 膨張弁
JP3507615B2 (ja) 膨張弁
JP2002181227A (ja) 可変オリフィス装置
JP3859913B2 (ja) 膨張弁
JP3924119B2 (ja) 膨張弁
JP4704451B2 (ja) 膨張弁用防振部材
JP3897974B2 (ja) 膨張弁
JP3507612B2 (ja) 膨張弁
JP2001091106A (ja) 膨張弁
JPH10238903A (ja) 膨張弁
JP2001091108A (ja) 膨張弁
JP2001091109A (ja) 膨張弁
JP3827898B2 (ja) 膨張弁
JP2001091107A (ja) 膨張弁
JP3485748B2 (ja) 膨張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