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448B1 -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448B1
KR100349448B1 KR1020000001974A KR20000001974A KR100349448B1 KR 100349448 B1 KR100349448 B1 KR 100349448B1 KR 1020000001974 A KR1020000001974 A KR 1020000001974A KR 20000001974 A KR20000001974 A KR 20000001974A KR 100349448 B1 KR100349448 B1 KR 100349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valve timing
valve
advanc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474A (ko
Inventor
다카하시다쓰히코
와치사토시
하시모토아쓰코
오오우치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61Controlling the valve overl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03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 F02D13/0215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changing the valve timing only
    • F02D13/0219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changing the valve timing only by shifting the phase, i.e. the opening periods of the valves are const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23Variable control of the intake valves only
    • F02D13/0234Variable control of the intake valves only changing the valve timing only
    • F02D13/0238Variable control of the intake valves only changing the valve timing only by shifting the phase, i.e. the opening periods of the valves are const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2013/029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in the start-up phase, e.g. for warming-up cold engine or cataly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내연기관을 시동시킬때는 시동성을 좋게하기 위해 연료 분사량을 증가 시킨다. 내연기관이 충분히 더워졌을때에 연료 분사량을 증대 하는 동시에 밸브 오버랩을 통상치로 하면 운전상태가 악화 되어 있었다.
이런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목표 진각량(進角量) 연산수단은 내연기관의 기관온도에 불구하고 소정시간이 카운트 될때까지는 목표 진각량을 통상시 보다 작게 연산하는 동시에 밸브 타이밍 제어수단은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 보다 작게 설정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VALVE TIMING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을 제어하는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일본국 특개평 6-299876호 공보에 기재된 밸브 타이밍 기구를 구비한 내연기관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구비한 내연기관 (1)은 에어클리너(2), 에어플로 센서(3), 스로틀 밸브(4), 스로틀 센서(5),흡기관 (6), 인젝터(7), 점화플러그(8), 배기관(9), O2센서(10), 삼원촉매(11), 센서 플레이트(12), 크랭크각 센서(13), 센서 플레이트(14), 캠각 센서(15), 오일컨트롤 밸브(16), EUC(17), 점화코일(18)을 구비한다.
또, 하우징(21), 로터(22), 지각실(遲角室)(23) 및 진각실(進角室)(24)은 VVT 액추에이터(20)를 구성한다.
에어클리너(2)는 흡기관(6)의 입구에 부착되어 있고 내연기관이 흡입하는 공기를 정화한다. 또 에어 플로센서(3)는 에어클리너(2)의 하류측에 부착되어 있고 내연기관(1)의 흡기량을 검출한다. 스로틀 밸브(4)는 액셀패달에 연동해서 개폐함으로써 흡기량을 조절한다.
스로틀 센서(5)는 스로틀 밸브(4)의 개도를 검출한다.
이러한, 내연기관에서 운전자의 액셀페달을 밟는량에 따라 스로틀 밸브(4)가 개폐되고, 인젝터(7)로 부터 분사되는 연료와 혼합된 혼합가스가 실린더내에 도입된다. 실린더내에 혼합가스가 도입되고 점화 플러그에 의해 인화되면 폭발력에 의해 피스톤이 밀어 내려져서 크랭크 샤프트가 회전한다.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력은 내연기관의 출력으로서 인출된다. 이러한 내연기관의 운전에 따라 O2센서(10)는 배기가스내의 잔존 산소량을 검출한다.
삼원촉매(11)는 배기가스내의 유해가스인 THC,CO,NOX를 동시에 정화한다.
도 13 및 도 14는 VVT 액추에이터의 요부를 확대해서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표시하는 VVT(VVT:Variable Valve Timing) 액추에이터는 흡기측에 부착되어 있고, 하우징(21), 로터(22), 진각실(23) 및 지각실(24)을 구비한다.
로터(22)는 도시하지 않은 캠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고 또 하우징(21)과 일정한 위치관계(예를들면 도 13에 표시하는 위치관계)를 유지 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21)에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밸브 또는 타이밍 체인이 걸려 있다. 이 타이밍 밸브는 도시하지 않은 크랭크 샤프트에도 걸려있다.
이런 구성에서 크랭크 샤프트가 회전하면 타이밍 밸트를 통해서 캠 샤프트도 회전한다.
또, 오일 컨트롤 밸브(16)는 캠 샤프트에 부착된 VVT(Variable Valve Timing) 액추에이터(20)에 공급하는 유압을 전환하기 위한 밸브이다.
따라서, 내연기관의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의 개폐 타이밍 즉, 밸브 타이밍을변환 시키기 위해서는 ECU(17)은 오일 컨트롤 밸브(16)를 통해서 VVT 액추레이터 (20)를 제어하고 지각실(23) 및 진각실(24)에 공급하는 윤활유의 량을 조정한다.
ECU(17)는 예를들면 하우징(21)에 대한 로터(22)의 상대 위치를 도 13에 표시하는 위치에서 도 14에 표시한 위치에 변화 시킴으로써 밸브 타이밍을 변경한다.
도 15는 밸브 타이밍과 밸브 오버랩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특성도이다. 여기에 밸브 오버랩 이라는 것은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시기와 배기밸브가 열려있는 시기의 중복을 말한다.
예를들면 흡기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지각 시키기 위해서는 오일 컨트롤 밸브(16)는 지각실(23)에 오일을 공급한다.
이때, 로터(22)는 하우징(21)에 대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흡기밸브의 밸브 타이밍이 지각되며(도 15중 화살표 A의 방향) 밸브 오버랩이 감소된다.
한편, 흡기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지각 시키면(도 15중 화살표 B의 방향) 밸브 오버랩은 증대된다.
또, 흡기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가장 지각 시키는 경우에는 하우징(21)을 로터(22)에 접해서 기계적으로 정지하는 위치(도 14 참조)에 고정한다. 이 위치에서 밸브 오버랩은 최소가 된다.
이하, 흡기밸브의 밸브 타이밍이 당해 위치에 있을때의 진각량을 최지각량 이라 부르고, 이 경우에서의 흡기밸브의 밸브 타이밍은 최지각위치에 있다고 표현한다.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의 제어에서는 상술한 최지각량을 기준으로 해서 VVT기구에 의한 실질적인 진각량(이하 VVT 제어량 이라함)을 결정한다.
또, 이와같은 밸브 타이밍의 제어는 ECU(17)에 의해 실시된다. 내연기관에 요구되는 최적한 밸브 타이밍은 운전조건에 의해 다르므로 ECU(17)는 운전 상황에 따라 항상 밸브 타이밍을 제어하고 있다.
예를들면, ECU(17)의 ROM내에는 크랭크각 센서(13)로 검출한 기관 회전수 및 충전효율에 따라 목표 진각량을 결정하기 위한 2차원 맵이 기억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ECU(17)은 기관 회전수 및 충전효율에 따라 2차원 맵에서 구해지는 목표 진각량과 VVT 제어량을 일치 시키도록 밸브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러한 목표 진각량은 최지각량을 기준으로 한 진각량의 편차로 저장되고 VVT 제어량의 목표치를 표시한다.
따라서, 목표 진각량이 O일때는 ECU(17)에 의해 VVT 제어량을 0으로 하는 제어가 실시되고, 밸브 타이밍은 최지각측에 설정된다.
다음, 밸브 타이밍의 검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크랭크 샤프트 및 캠 샤프트에는 각각 센서 플레이트(12) 및 센서 플레이트 (14)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의 센서 플레이트(12) 및 (14)의 외주에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 센서 플레이트(12) 및(14) 근방에는 이들의 외주에 대면 하도록 크랭크 각 센서(13) 및 캠각센서(15)가 배치되어 있다.
크랭크각 센서(13) 및 캠각 센서(15)는 센서 플레이트(12) 및 (14)의 회전에 따른 크랭크 각 센서(13) 및 캠각 센서(15)와 센서 플레이트(12) 및 (14)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자계의 변화로서 검출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크랭크 샤프트 및 캠 샤프트가 회전하면 이에따라 센서 플레이트 (12) 및 (14)가 회전하고 이들의 외주에 설치된 돌기를 크랭크 각 센서(13) 및 캠각 센서(15)가 각각 검출 함으로써 크랭크 각 및 캠각이 각각 검출된다.
도 16은 종래의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에서의 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스텝(1601)에서 내연기관(1)의 냉각수온도에 따라 내연기관(1)의 난기운전이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난기운전이 완료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플로는 스텝(1602)로 진행되고,밸브오버랩을 통상시의 값에 설정한다.
여기에 밸브 오버랩이라는 것은 흡기밸브가 열려 있는 시기와 배기밸브가 열여 있는 시기의 중복을 말한다.
한편, 스텝(1601)에서 난기운전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플로는 스텝(1603)으로 진행되고,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 보다 작게한다.
이렇게 해서 종래의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에서는 난기운전이 완료 될때까지는 밸브 오버랩을 작게 설정하고 난기운전이 완료된후에는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의 값에 설정하고 있었다.
종래의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와 같이 내연기관의 난기운전이 완료되어 있지 않을때 즉, 내연기관이 냉각되어 있을때에 밸브 오버랩을 작게 설정하고 있었던 것은 내연기관이 냉각되어 있을때에는 연소상태가 안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연소상태가 불안정한 경우에 밸브오버랩을 증대 시키면 내부 EGR의 효과에 의해 실린더내에서의 배기가스 잔류량이 증가하고, 연소온도의 저하에 의해 연소상태가 더욱 불안정해지며, 실화의 발생등을 초래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이 냉각되어 있을때에는 밸브 오버랩을 작게 설정 하도록 하는 제어가 실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은 내연기관에서는 난기운전의 완료후에서도 연소상태가 불 안정한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들면,내연기관을 시동 시킬때에는 시동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연료 분사량을 증대 시킨다. 이같은 제어는 난기운전 완료후의 시동시에서도 실시되고 시동직후는 시동시의 과연료의 영향에 의해 연소가 불안정하게 되는 일이 있었다.
그리고, 이런 경우에 밸브 오버랩을 통상의 값으로 제어하면 내부 EGR의 증대에 의해 연소온도의 저하를 초래하고 연소상태가 더욱 불안정해 지므로 배기가스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동시에 연비의 악화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게 된 것으로 시동직후의 연소상태가 불안정한 경우에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 보다 작게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청정도 및 연비의 향상을 도모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는 크랭크 각에 대한 캠각을 진각 또는 지각 시키는 가변 밸브 타이밍 수단과, 크랭크 각에 대한 캠각의 위상차인 진각량을 연상하는 진각 연산수단과, 내연기관의 운전상황에 따라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는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과, 진각량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진각량과,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목표 진각량에 따라 가변 밸브 타이밍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밸브 타이밍 제어량을 연산하고 이 밸브 타이밍 제어량에 따라 가변밸브 타이밍 수단을 제어하는 밸브 타이밍 제어수단과 내연기관의 시동후의 경과 기간을 계측하는 기간 계측수단을 구비하고,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은 기간 계측수단에 의해 경과기간이 계측되기 까지는 목표 진각량을 통상시 보다 작게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는 크랭크각에 대한 캠각을 진각 또는 지각 시키는 가변 밸브 타이밍 수단과, 크랭크 각에 대한 캠각의 위상차인 진각량을 연산하는 진각량 연산수단과 내연기관의 운전상황에 따라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는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과 진각량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진각량과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목표 진각량에 따라 가변 밸브 타이밍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밸브 타이밍 제어량을 연산하고, 이 밸브 타이밍 제어량에 따라 가변 밸브 타이밍 수단을 제어하는 밸브 타이밍 제어수단과, 내연기관의 시동후의 경과기간을 계측하는 기간 계측수단을 구비하고 기간 계측수단에 의해 경과기간이 계측될때까지는 밸브 타이밍의 제어를 강제적으로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내연기관의 시동후에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와의 밸브 오버랩을 작게 설정하기 위한 경과기간을 설정하는 기간 설정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은 기간 계측수단에 의해 경과기간이 계측될때 까지는 통상시에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 1맵 보다도 목표 진각량이 작은 영역이 넓게 설정된 제 2맵을 사용해서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2맵에서 제 1맵 보다도 목표 진각량을 작게 설정하는 영역은 내연기관의 연소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운전영역에 대응해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은 기간 계측수단에 의해 경과기간이 계측될때 까지는 통상시에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 1맵에 따라 연산되는 목표 진각량에 상한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과기간은 내연기관의 시동에서 연소상태가 안정될때 까지에 필요한 기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과기간은 내연기간의 시동시에서의 기관 온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관 온도가 낮을수록 경과기간은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과기간은 내연기관의 시동시에서의 흡기온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흡기온도가 낮을수록 경과기간은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과기간은 내연기관의 시동시에서의 기관온도 및 흡기온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과기간은 기관온도가 낮을 수록 길고, 또 흡기온도가 낮을 수록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과기간은 내연기관의 시동후의 운전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 보다 작게 제어하고 있는 동안에 내연기관의 충전효율 또는 회전수가 상승한 경우에는 경과기간을 계측할때의 절감량을 증가시키고 조기에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의 값에 까지 증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 보다 작게 제어하고 있는 동안에 내연기관의 충전효율 또는 기관 회전수가 상승한 경우에는 경과기간을 리세트해서 기간 계측수단에 의해 계측을 증지시키고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의 값까지 증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의 값까지 증대 시킬때에는 밸브 오버랩을 서서히 증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간 계측수단은 내연기관의 시동후의 경과기간으로서의 경과기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이고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은 카운트 수단에 의해 소정기간이 카운트 될때까지는 목표 진각량을 통상시 보다 작게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형태 1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처리 내용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기관 회전수와 충전효율에 따른 목표 진각량의 맵을 표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기관 회전수와 충전효율에 따른 목표 진각량의 맵을 표시하는 도면,
도 5는 내연기관의 냉각수 온도와 소정시간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표시하는 맵,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기관 회전수 및 충전효율에 따른 목표 진각량의 맵을 표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기관회전수 및 충전효율에 따른 목표 진각량의 맵을 표시하는 도면,
도 8은 냉각수 온도와 흡기 온도에 따른 소정시간의 맵을 표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동작내용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타임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처리내용을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타임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처리내용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타임차트,
도 12는 일본국 특개평 6-299876호 공보에 기재된 밸브 타이밍 기구를 구비한 내연기관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도면,
도 13은 VVT 액추에이터의 요부를 확대해서 표시하는 도면,
도 14는 VVT 액추에이터의 요부를 확대해서 표시하는 도면,
도 15는 밸브 타이밍과 밸브 오어랩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특성도,
도 16은 종래의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에서의 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크랭크각 센서(크랭크각 검출수단) 15 : 캠각센서(캠각 검출수단)
20 : VVT 액추에이터(가변 밸브 타이밍 수단)
25 : ECU (진각량 연산수단,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 밸브 타이밍 제어수단, 기간 계측수단, 카운터 수단, 기간 설정수단)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종래의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크랭크각 센서(13)는 크랭크 각 검출수단으로서 캠각센서(15)는 캠각 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ECU(25)는 진각량 연산수단,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 밸브 타이밍 제어수단, 기간 계측수단, 카운터 수단 및 기간 설정수단으로서 기능된다. VVT액추에이터(20)는 가변 밸브 타이밍 수단으로서 기능된다.
에어 클리너(2)는 흡기관(6)의 입구에 부착되어 있고 내연기관이 흡입하는 공기를 정화한다. 또 에어플로 센서(3)는 에어클리너(2)의 하류측에 부착되어 있고, 내연기관(1)의 흡기량을 계량한다. 스로틀 밸브(4)는 액셀페달에 연동해서 개폐함으로써 흡기량을 조절한다. 스로틀 센서(5)는 스로틀 밸브(4)의 개도를 검출한다.
이와같은 내연기관에서 운전자가 액셀페달을 밟는량에 따라 스로틀 밸브(4)가 개폐되고 인젝터(7)에서 분사되는 연료와 혼합된 혼합가스가 실린더 내로 도입된다. 실린더내에 혼합가스가 도입되고 점화 플러그에 의해 인화되면 폭발력에 의해 피스톤이 내려 눌려져 크랭크 샤프트가 회전한다.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력은 내연기관의 출력으로 인출된다.
이같은 내연기관의 운전에 따라 O2센서(10)은 배기가스내의 잔존 산소량을 검출한다. 삼원촉매(11)는 배기가스내의 유해가스인 THC,CO,NOx를 동시에 정화한다.
2차원 맵에 기록되어 있는 목표 진각량은 난기운전이 완료되어 있고, 또 연소상태가 안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연기관의 성능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내연기관이 냉각되어 있을때에 상기 2차원 맵을 사용해서 밸브 타이밍을 제어하면 내연기관의 성능이 저하한다. 또, 난기운전 완료후에 연소상태가 불안정한 경우에 상기 2차원 맵을 사용해서 밸브 타이밍을 제어해도 내연기관의 성능은 저하 하므로 지각제어를 한 쪽이 기관 성능은 개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처리 내용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기관 회전수와 충전효율에 따른 목표 진각량의 맵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같은 제어처리는 모두 ECU(25)에 의해 실시되는 것으로 특히, 도 2에 표시하는 처리내용은 ECU(25)내에서 소정 시간마다 반복해서 실시된다.
아래에서는 흡기밸브측에 VVT기구를 구비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텝(201)에서는 내연기관이 시동중 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시동중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플로는 스텝(206)에 진행되고,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 보다 작게 설정하기 위한 소정시간을 설정한다.
스텝(201)에서의 내연기관이 시동중 인지의 여부의 판정은 예를들면 셀모터가 작동중 인지의 여부 또는 기관 회전수가 일정한 회전수 보다도 상승하고 있지 않는지의 여부등에 따라 판정하면 된다.
또 여기에 통상시라는 것은 내연기관이 충분히 더워져 있을때를 말하며 따라서 밸브 오버랩의 통상시의 값이라는 것은 통상시에 가변제어 되는 밸브 오버랩의 값을 가르킨다.
스텝(201)에서 내연기관이 시동중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플로는 스텝 (202)으로 진행되고, 시동후의 경과시간을 카운트 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206)에서 설정된 일정 시간을 카운트 다운 한다.
플로는 스텝(203)으로 진행하고 스텝(202)에서 카운트 다운한 결과 카운터가 0으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시동 개시후에 일정시간이 경과 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203)에서 일정시간이 경과 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플로는 스텝(204)로 진행되고,밸브 오버랩을 통상시의 값까지 증대 시키도록 흡기 밸브측의 밸브 타이밍을 진각 시킨다.
이와같이 밸브 타이밍을 진각 시킬때는 예를들면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설정한 제 1 맵으로서의 목표 진각량 맵에 따라 목표 진각량의 연산을 하고, 이 목표 진각량과 VVT 제어량을 일치 시키도록 밸브 타이밍의 제어를 한다.
한편, 스텝(203)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플로는 스텝(205)으로 진행하고 밸브 오버랩이 통상시 보다 작게 되도록 흡기 밸브측의 밸브 타이밍을 지각 시킨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예를들면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기관 회전수 및 충전효율에 의하지 않고, 목표 진각량을 O(deg CA)에 설정한 제 2맵으로서의 목표 진각량 맵에 따라 목표 진각량의 연산을 하고 이 목표 진각량과 VVT제어량을 일치 시키도록 밸브 타이밍의 제어를 한다.
이와같이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목표 진각량 맵을 사용해서 밸브 타이밍을 제어하면 도 3에 표시하는 목표진각량 맵을 사용해서 밸브 타이밍을 제어하는 경우 보다도 밸브 오버랩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스텝(206)에서 설정하는 시간은 항상 일정한 시간이 라도 무방하나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연소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시간은 시동시의 내연기관의 온도에 의해 변화한다.
따라서, 시동시에 내연기관이 냉각되어 있을수록 스텝(206)에서 설정하는 시간을 길게해도 된다.
도 5는 내연기관의 냉각수의 온도와 일정시간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표시하는 맵이다. 예를들면,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냉각수 온도를 기관 온도로서 사용하고 수온센서 (도시않음)에서 검출한 냉각수 온도에 대해 스텝(206)에서 설정하는 소정시간을 미리 ECU(25)의 ROM에 기억해 둔다.
내연기관의 시동시에는 시동시에서의 수온을 사용해서 도 5에 표시하는 값에 대해 보간 참조를하고,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 보다 작게 하도록 흡기 밸브측의 밸브 타이밍을 지각시켜 두기 위한 일정시간을 설정한다.
도 5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수온이 낮을수록 일정시간을 길게 설정하고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시동직후의 연소상태가 불안정할 때는 내연기관의 난기운전이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밸브 오버랩이 통상시 보다 작게 되도록 흡기 밸브측의 밸브 타이밍을 지각 시키므로 시동직후에서의 배기가스의 청정도, 연비, 운전원활성을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이상에서는 흡기밸브측에 VVT기구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 하였으나 배기밸브측에 VVT기구를 구비하는 경우나 흡기측 및 배기측의 양측에 VVT기구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기간 계측수단으로서의 카운터가 소정기간으로서의 일정시간을 카운트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기간으로서 소정의 점화 회전수, 기관 회전수의 일정한 적산치등을 사용해서 내연기관의 시동후에 이들의 경과기간이 경과할때 까지의 사이에 제어를 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기관 회전수 및 충전효율에 따른 목표 진각량의 맵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들의 맵은 제 2맵으로 사용한다
내연기관의 운전조건에 따라서는 시동 직후라도 연소상태가 안정되어 있어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의 값에 설정한 쪽이 운전상태가 좋아지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에서는 기관 회전수가 낮을때, 부하가 작을때 또는 밸브 오버랩을 증대 시켰을때 등에서 연소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이같은 운전상태 이외에서는 시동 직후라도 내연기관의 연소상태는 안정되어 있고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의 값에 설정해도 문제는 없고 도리어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향상 시킬 수 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처리내용은 기본적으로 도 2에 표시하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처리 내용과 같다.
또,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제어처리는 모두 ECU(25)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처리내용에서는 통상시는 도 3에 표시한 맵에 따라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고 목표 진각량을 작게 설정하는 경우(스텝 205)에는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목표 진각량이 0(deg CA)의 맵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시의 형태 2에서는 항상 도 6 또는 도 7의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맵을 사용해서 목표 진각량을 연산한다.
도 6 및 도 7에 표시하는 맵에서는 도 3에 표시하는 맵 보다도 목표 진각량을 작게하는 영역을 설치하고 있다. 즉, 예를들면 도 6에 표시하는 맵에서는 도 3에서의 목표 진각량이 1O(deg CA)의 영역을 삭제 하였고, 또, 도 7에 표시하는 맵에서는 도 3에서의 목표 진각량이 40(deg CA)의 영역을 삭제하고 있다.
또, 도 6 또는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맵을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도 3에 표시하는 맵을 참조하고 목표 진각량에 상한을 설정함으로써 상술한 경우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는 스텝(205)에서 도 6 또는 도 7에 표시하는 맵에 따라 보완 연산해서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고 있으므로 실시의 형태 1에서 도 3의 맵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작고, 또, 도 4의 맵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도 크게 목표 진각량을 연산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의 값으로해도 연소상태가 안정되는 운전상태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밸브 오버랩을 작게하는 일이 없으므로 배기가스의 청정도, 연비,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스텝(206)에서 설정하는 시간을 냉각수 온도에 따라 결정하고 있으나 예를들면 냉각수 온도가 같은 경우라도 분위기 온도(흡기온)의 차이에 의해 연소상태는 변화하고 연소상태가 안정할때까지의 시간도 변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는 흡기온도에도 따라 목표 진각량을 연산 하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냉각수 온도와 흡기온도에 따른 일정시간의 맵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처리 내용은 기본적으로 도 2에 표시하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처리내용과 같다.
또,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제어처리는 모두 ECU(25)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냉각수 온도에 대해 일정시간의 데이터를 기록한 테이블을 사용해서 스텝(206)에서 설정하는 시간을 구하였으나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분위기 온도에 상당하는 파라미터로서 흡기온도를 사용한도 8에 표시하는 맵에 따라 스텝(206)에서의 일정시간을 설정한다.
도 8에 표시하는 일정시간의 데이터는 냉각수 온도가 낮을수록 길고 또, 흡기온도가 낮을 수록 길게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상 냉각수 온도 및 흡기온도에 따라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 하였으나 흡기온도만에 따라 목표 진각량을 연산해도 되고 이런 경우에는 흡기온도가 낮을수록 일정시간을 길게 설정하면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에 의하면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 보다 작게하기 위한 시간을 냉각수 온도 및 흡기온도라는 2개의 파라미터에 따라 설정 하므로 배기가스의 청정도, 연비,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제어장치와 같으나 스텝(206)에서 설정되는 일정 시간을 단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 이같은 기능은 ECU(25)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에서는 스텝(206)에서 설정한 시간이 경과할때까지는 그후의 운전상태의 변화에 관계없이 흡기밸브측의 밸브 타이밍을 진각 시켜서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의 값까지 증대하는 것을 실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의 운전상태에서는 시동직후에 연료상태가 불안정한 기간은 변화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동작내용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타임차트이다.
시점 A에서 시점 B의 사이는 내연기관의 시동기간이다. 이 시동기간에는 밸브 오버랩을 작게 설정하기 위한 일정기간을 설정해 두고 있으며 스텝(206)의 처리를 하고 있는 기간에 상당한다.
시점 B에서 시점 C사이에서는 스텝(206)에서 설정된 소정시간에 따라 밸브 오버랩을 작게하고 있는 기간이고 도 2의 스텝(205)의 처리를 하고 있는 기간에 상당한다.
시점 D는 내연기관의 운전상태가 변화한 시점이고 예를들면 운전자가 액셀페달을 밟아 차량을 가속 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액셀페달이 밟아지면 흡기량이 증대되고 충전효율 Ce도 상승한다.
충전효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기관에 관한 부하가 커지는 것으로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의 값에까지 중대 시킨쪽이 연소상태는 안정된다.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에서는 시점 D와 같이 충전효율이 상승 했을때에 스텝(206)에서 설정된 소정시간을 카운트할때의 점감량을 증가 시킨다.
점감량의 증대는 내연기관의 부하 즉, 충전효율이 중대 할수록 점감량을 증대시키고 밸브 오버랩을 작게 제어하고 있는 시간을 짧게하는 쪽이 좋다.
도 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들면 충전효율의 상승이 없는 경우에는 일정시간은 파선으로 표시한바와 같이 점감하나 충점효율이 상승한 경우에는 실선으로 표시한바와 같이 점감시키고 단위 시간당의 카운트 수를 증대 시킨다.
이와같이 일정시간의 카운트에서 점감량을 증대 시키면 스텝(206)에서 설정된 일정시간을 단축 시킬 수가 있으므로 충전효율이 상승한 경우에서의 내연기관의 연소상태를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는 냉가수 온도와 흡기온도에 따라 목표진각량을 제어 할 수 있으므로 충전효율의 변동을 감시하면 시동직후의 내연기관에서의 연소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밸브 오버랩을 작게 설정하는 기간을 단축할 수가있고 배기가스의 청정도,연비,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충전효율의 증가에 의한 점감량을 증가에 의한 밸브 오버랩량을 작게하고 있는 기간을 짧게하고 있으나, 기관 회전수를 증대시킴으로써 점감량을 증가시키고 밸브 오버랩을 작게하고 있는 기간을 짧게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처리 내용을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제어장치와 같으나 시동직후에서의 내연기관의 연소상태를 양호하게 하도록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 보다 작게 설정하는 기간을 조정하는 것이다. 또 이같은 처리는 ECU(25)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다.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시점 C에서 충전효율 Ce가 상승하면 스텝(206)에서 설정된 소정시간을 리세트한다.
소정시간이 리세트되면 즉시 밸브 오버랩이 통상시의 값까지 증대되므로 실시의 형태 4에서의 제어처리를 하는 경우 보다도 보다 신속한 대응능력을 구비하고 배기가스의 청정도,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의 처리내용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타임차트이다. 실시의 형태 1에서 실시의 형태 5까지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에서는 스텝(206)에서 설정된 일정기간이 종료되면 즉시 밸브 오버랩이 통상시의 값까지 증대 되므로 그 순간에서 내연기관의 연소상태가 급변하고 충격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는 이런 충격을 없게하기 위한 제어처리를 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또, 이같은 처리는 ECU(25)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다.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시점 C에서 일정기간의 카운트가 종료된 경우에 실선에서 표시하는 바와같이 밸브 오버랩을 서서히 증대 시킨다.
또, 파선으로 표시하는 것은 이같은 제어를 하지 않는 경우의 밸브 오버랩의 변화를 표시한다.
이와같은 밸브 오버랩을 서서히 증대 시키는 경우에는 직선적으로 변화 하도록 설정 하거나 1차 필터를 설치한 처리를 하는등 여러가지가 있으나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방법이면 어느 방법이라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서는 일정시간이 종료된 후 밸브 오버랩을 서서히 증대 시켜서 통상시의 값으로 되돌리므로 급격히 밸브 타이밍이 증대됨으로써 생기는 토크 변동을 억제하고 보다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가있다.
실시의 형태 4,5에서도 밸브 오버랩을 작게 설정하는 지각제어가 종료되면 진각량을 서서히 변화 시키는 것은 쇼크 저감에서 유효한 수단이므로 도 9,10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같은 일을 해도된다.
이상 흡기측의 밸브 타이밍 가변을 예로 설명 하였으나 배기측 밸브 타이밍 제어에 사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밸브 타이밍을 가변하는 방식을 위상 가변방식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적용에는 그 방식을 묻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7.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 실시의형태 6에서는 밸브 오버랩량을 작게 제어하는 경우에서 밸브 타이밍의 제어량을 조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는 목표 진각량의 여하에 관계없이 오일 컨트롤 밸브(16)에 공급하는 전류를 강제적으로 0에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같은 기능은 ECU(25)가 담당한다.
내연기관 시동후 카운터에 의해 일정시간이 카운트 될때까지 오일 컨트롤 밸브(16)에 공급하는 전류를 강제적으로 0에 설정하면 밸브 타이밍을 최지각 위치에 제어할 수가 있다.
이런때는 오일 컨트롤 밸브(16)에 공급하는 전류를 차단 하거나 또는 공급 전류를 완전히 0으로 하지 않아도 오일컨트롤 밸브(16)가 동작하지 않을 정도의 전류치에 설정하면 된다.
이러한 제어를 하면 내연기관의 시동후에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1)이 로터(22)에 접혀서 기계적으로 정지하는 위치에 고정되고, VVT액추에이터 (20)의 지각실(23)에 윤활유가 충전된채로의 상태를 쉽게 보존할 수가 있으므로 실시의 형태 1 내지 6에 관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있다.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는 크랭크각에 대한 캠각을 진각 또는 지각 시키는 가변 밸브타이밍 수단과 크랭크각에 대한 캠각의 위상차인 진각량을 연산하는 진각량 연산수단과 내연기관의 운전상황에 따라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는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과 진각량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진각량과 목표 진각량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목표 진각량에 따라 가변 밸브 타이밍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밸브 타이밍 제어량을 연산하고, 이 밸브 타이밍 제어량에 따라 가변 밸브 타이밍수단을 제어하는 밸브 타이밍 제어수단과 내연기관의 시동후의 경과 기간을 계측하는 기간 계측수단을 구비하고,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은 기간 계측수단에 의해 일정기간이 계측될때 까지는 목표 진각량을 통상시 보다 작게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시동직후에서의 배기가스의 청정도,연비,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는 크랭크각에 대한 캠각을 진각 또는 지각 시키는 가변 밸브타이밍 수단과 크랭크각에 대한 캠각의 위상차인 진각량을 연산하는 진각량 연산수단과 내연기관의 운전상태에 따라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는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과 진각량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진각량과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목표 진각량에 따라 가변 밸브 타이밍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밸브타이밍 제어량을 연산하고 이 밸브타이밍 제어량에 따라 가변 밸브타이밍 수단을 제어하는 밸브 타이밍 제어수단과 내연기관의 시동후의 경과기간을 계측하는 기간 계측수단을 구비하고, 기간 계측수단에 의해 일정기간이 계측될때 까지는 밸브타이밍의 제어를 강제적으로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필요한 때에는 확실하게 밸브타이밍을 강제적으로 최지각 위치로 제어할 수가 있고, 시동 직후의 배기가스의 청정도,연비,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내연기관 시동후에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의 밸브 오버랩을 작게 설정하기 위한 경과기간을 설정하는 기간 설정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시동직후에서의 배기가스의 청정도,연비,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은 기간 계측수단에 의해 경과기간이 계측될때 까지는 통상시에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 1맵 보다도 목표 진각량이 작은 영역이 넓게 설정된 제 2맵을 사용해서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시동직후에서의 내연기관의 밸브 오버랩을 확실하게 작게 할 수가 있고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있다.
또, 상기 제 2맵에서 제 1맵보다도 목표 진각량을 작게 설정하는 영역은 내연기관의 연소상태가 불안정하게되는 운전영역에 대응해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시동직후에서의 내연기관의 밸브오버랩을 확실하게 작게할 수가 있어 운전윤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은 기간 계측수단에 의해 경과기간이 계측될때까지는 통상시에 목표 진각량을 연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 1맵에 따라 연산되는목표 진각량에 상한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시동직후에서의 내연기관의 밸브오버랩을 확실하게 작게 할 수가 있어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경과기간은 내연기관의 시동에서 연소상태가 안정할때 까지에 필요한 기간에 따라 설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시동직후에서의 내연기관의 밸브 오버랩을 확실하게 작게 할 수가 있고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경과기간은 내연기관의 시동시에서의 기관 온도에 따라 설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시동직후에서의 내연기관의 밸브오버랩을 확실하게 작게 할 수가 있고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기관온도가 낮을수록 경과기간은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여러가지 상황하에서 시동직후에의 내연기관의 밸브오버랩을 확실하게 작게 할 수가 있고,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경과기간은 내연기관의 시동시에서의 흡기온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여러가지 상황하에서 시동직후에서의 내연기관의 밸브 오버랩을 확실히 작게할 수 있고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흡기온도가 낮을수록 경과기간은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여러가지 상황하에서 시동직후에서의 내연기관의 밸브오버랩을 확실하게 작게할 수있고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경과기간은 내연기관의 시동시에서의 기관온도 및 흡기온도에 따라 설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여러가지 상황하에서 시동직후에서의 내연기관의 밸브 오버랩을 확실하게 작게할 수가 있고,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경과기간은 기관온도가 낮을 수록 길고 또, 흡기온도가 낮을수록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여러가지 상황하에서 시동 직후에서의 내연기관의 밸브오버랩을 확실하게 작게할 수가 있고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경과기간은 내연기관의 시동후의 운전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여러가지 상황하에서 시동직후에서의 내연기관의 밸브오버랩을 확실하게 작게할 수있고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있다.
또, 상기 밸브오버랩을 통상시 보다 작게 제어하고 있는 동안에 내연기관의 충전효율 또는 기관 회전수가 상승한 경우에는 경과기간을 계측할때의 점감량을 증가시켜 조기에 밸브오버랩을 통상시의 값에까지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운전상황에 따라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밸브오버랩을 통상시 보다 작게 제어하고 있는 동안에 내연기관의 충전효율 또는 기관 회전수가 상승한 경우에는 경과기간을 리세트해서 기간 계측수단에 의한 계측을 중지시켜 밸브 오버랩을 통상시의 값까지 증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운전상황에 따라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밸브오버랩을 통상시의 값까지 증대 시킬때는 밸브오버랩을 서서히 증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기간 계측수단은 내연기관 시동후의 경과수단으로서의 경과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이고,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은 카운터 수단에 의해 일정시간이 카운트 될때까지는 목표 진각량을 통상시 보다 작게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시동직후에서의 배기가스의 청정도,연비, 운전원활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3)

  1. 크랭크각에 대한 캠각을 진각 또는 지각 시키는 가변 밸브타이밍 수단과 크랭크각에 대한 캠각의 위상차인 진각량을 연산하는 진각량 연산수단과, 내연기관의 운전상황에 따라 목표진각량을 연산하는 목표진각량 연산수단과, 상기 진각량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진각량과, 상기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목표 진각량에 따라 상기 가변 밸브타이밍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밸브타이밍 제어량을 연산하고 이 밸브타이밍 제어량에 따라 상기 가변 밸브타이밍 수단을 제어하는 밸브타이밍 제어수단과, 내연기관 시동후의 경과기간을 계측하는 기간 계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은 상기 기간 계측수단에 의해 경과기간이 계측될때까지는 목표 진각량을 통상시 보다 작게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
  2. 크랭크각에 대한 캠각을 진각 또는 지각 시키는 가변 밸브타이밍 수단과 크랭크각에 대한 캠각의 위상차인 진각량을 연산하는 진각량 연산수단과, 내연기관의 운전상황에 따라 목표진각량을 연산하는 목표진각량 연산수단과, 상기 진각량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진각량과, 상기 목표 진각량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목표 진각량에 따라 상기 가변 밸브타이밍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밸브타임이밍 제어량을 연산하고 이 밸브타이밍 제어량에 따라 상기 가변 밸브타이밍 수단을 제어하는 밸브타이밍 제어수단과 내연기관의 시동후의 경과기간을 계측하는 기간 계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간 계측수단에 의해 경과기간이 계측되기까지는 밸브타이밍의 제어를 강제적으로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시동후에 흡기밸브와 배기밸브가 작동하는 사이의 밸브오버랩을 작은값에 설정하기 위한 경과기간을 설정하는 기간 설정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
KR1020000001974A 1999-05-20 2000-01-17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 KR100349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40300 1999-05-20
JP14030099A JP3292707B2 (ja) 1999-05-20 1999-05-20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474A KR20000076474A (ko) 2000-12-26
KR100349448B1 true KR100349448B1 (ko) 2002-08-22

Family

ID=1526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974A KR100349448B1 (ko) 1999-05-20 2000-01-17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83074B1 (ko)
JP (1) JP3292707B2 (ko)
KR (1) KR100349448B1 (ko)
DE (1) DE1995458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9079B2 (ja) * 2000-06-29 2007-06-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6431130B1 (en) * 2000-08-29 2002-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Torque control in an engine with a hybrid valvetrain
US6386156B1 (en) * 2000-08-29 2002-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Transitions among operating modes in an engine with a hybrid valvetrain
JP4577469B2 (ja) * 2001-01-25 2010-11-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装置
JP3699655B2 (ja) * 2001-02-01 2005-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DE102005010290B4 (de) * 2005-03-02 2017-07-06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ntilsteuerung beim Startvorgang eines Verbrennungsmotors
JP4743287B2 (ja) * 2009-02-04 2011-08-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可変動弁装置の制御装置
JP5986736B2 (ja) * 2011-11-16 2016-09-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システム
KR102261363B1 (ko) 2017-05-12 2021-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압 egr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5617B2 (ja) 1990-11-28 1999-05-24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358242B2 (ja) 1992-09-25 2002-12-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3395240B2 (ja) * 1993-04-14 2003-04-07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351090B2 (ja) * 1994-03-31 2002-11-25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H08270470A (ja) * 1995-03-31 1996-10-1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888178B2 (ja) * 1995-04-13 1999-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750157B2 (ja) * 1995-08-29 2006-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JP3620684B2 (ja) 1997-01-31 2005-02-16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3068806B2 (ja) 1997-12-15 2000-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632424B2 (ja) * 1998-01-30 2005-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開閉特性制御装置
US5937806A (en) 1998-03-13 1999-08-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Closed-loop camshaft phaser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92707B2 (ja) 2002-06-17
DE19954586A1 (de) 2000-11-30
DE19954586B4 (de) 2005-10-27
US6283074B1 (en) 2001-09-04
JP2000328970A (ja) 2000-11-28
KR20000076474A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840B1 (ko)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US7207306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ngine
EP2660449B1 (en) Starting control method and starting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630365B1 (en) Intake valv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831377B2 (en) Ignition tim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engine control unit
EP266045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starting control device
US6510835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s
KR100349448B1 (ko)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
JP5504869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10502175B2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estimating combustion chamber-wall tempera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113490B2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482010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72520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296798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EP1496229A2 (en) Start-up control of direct injection engine
JP4445625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7113521A (ja) 可変動弁系の制御装置
JP4258453B2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2005048621A (ja) 内燃機関の圧縮比算出装置、圧縮比算出方法、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174686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9228530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8202541A (ja) 内燃機関の制御システム
JP2002227685A (ja) 筒内噴射火花点火式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3328789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可変制御装置
JP2006037907A (ja) 内燃機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