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094B1 - 집적반도체메모리용용장도회로 - Google Patents

집적반도체메모리용용장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094B1
KR100349094B1 KR1019950024768A KR19950024768A KR100349094B1 KR 100349094 B1 KR100349094 B1 KR 100349094B1 KR 1019950024768 A KR1019950024768 A KR 1019950024768A KR 19950024768 A KR19950024768 A KR 19950024768A KR 100349094 B1 KR100349094 B1 KR 10034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circuit
fet
partia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534A (ko
Inventor
도미니끄 사비냑
디터 좀머
올리버 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60008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 G11C29/8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improved layout
    • G11C29/806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improved layout by reducing size of deco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 G11C29/8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improved layout
    • G11C29/812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improved layout using a reduced amount of f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의 메모리셀의 임의의 그룹의 어드레스(A0...10; A'0...10)가 제 1 부분 어드레스(A8...10; A'8...10) 및 제 2 부분 어드레스(A0...7; A'0...7)로 형성되는 방식의, 정상의 메모리셀 및 용장성 메모리셀을 가진 집적반도체 메모리용 용장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용장도 회로는 M(M≥1)개의 프로그램가능한 어드레스회로(FSO...FS7)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가능한 어드레스회로는 제 1 부분어드레스(A8...10; A'8...10)중 하나에 할당된다. 정상의 메모리셀의 대체될 그룹의 제 2 부분 어드레스(R0...7; A'8...10)가 대응하는 어드레스회로(FS0...FS7)에서 코딩된다. 어드레스(A0...10)의 인가시, 인가되는 제 1 부분 어드레스(A8...10)에 관련되는 어드레스회로는 상기 어드레스회로가 코딩되면 인에이블신호(RDA)를 송출한다. 인에이블신호(RDA)의 인가시 모든 어드레스회로에 공통인 어드레스 비교기(AV1; AV2)는 인가된 제 2 부분 어드레스(A0...7)를 상기 어드레스회로에 저장된 제 2 부분 어드레스(R0...7)와 비교하고, 일치시 대응하는 용장도 디코더(RRDEC', RCDO)가 트리거된다.

Description

집적 반도체메모리용 용장도회로
본 발명은 예컨대 IEEE Journal of Solid State Circuit, 제 26권, 1호, 1991, 1월, 12페이지 이하 또는 유럽 특허 공개 제 0 472 209호에 공지된 바와 같은, 집적 반도체메모리용의, 특히 DRAM에서 워드라인 또는 비트라인의 복구를 위한 용장도회로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메모리세대에서 모듈크기의 축소는 셀필드에서의 결함확률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생산성을 위해 상기 결함을 복구할 수 있는 장치가 메모리에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가능한 코딩소자를 이용해서 결함이 있는 셀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용장성 셀이 제공된다.
대용량의 메모리에서 메모리셀은 다수의 블록으로 세분된다. 메모리 셀의 매트릭스형 배치로 인해, 용장성 셀도 마찬가지로 행 및 열로 배치된다. 상기 용장성 라인은 일반적으로 셀필드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용장성 라인은 인가된 어드레스와 관련해서 프로그램가능한 어드레스회로에 의해 선택된다.
상기 프로그램가능한 어드레스회로는 예컨대 레이저 분리가능한 퓨즈블록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퓨즈블록은 하나 또는 다수의 라인에 할당된다. 일반적으로 독립 메모리블록의 수만큼의 퓨즈블록 및 어드레스 비교기가 사용된다.
제 1도는 열 용장도에서 열 어드레스의 코딩을 위한 선행기술에 따른 통상의회로를 나타낸다. 예로서, 여기서는 메모리셀이 블록어드레스(A'8), (A'9), (A'10)에 의해 호출될 수 있는 8개의 메모리블록으로 세분된다. 내부블록 어드레스(A'0...7), 즉 하나의 메모리블록 내부의 열의 어드레스가 여기서는 8비트이다. 어드레스회로에서 코딩소자로서 여기서는 레이저 분리가능한 퓨즈블록이 사용된다. 퓨즈블록 당 내부블록 어드레스 비트의 2배의 분리가능한 접속소자(F0),...(F15)가 필요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메모리블록당 2개의 용장성 열이 제공되고, 어드레스회로의 2그룹(E0), (E1)에 의해 코딩된다. 여기에는 단 하나의 유니트(E0)만이 상세하게 도시되어있다. 이러한 유니트는 8개의 동일한 어드레스회로(CF0,0)...(CF7,0) {(E1)에서는 (CF0,1)...(CF7,1)}, 및 8개의 입력(RDN0...7) 및 하나의 출력(RDO) {(E1)에서는 (RD1)}을 가진 NAND게이트(NGN)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유니트(E0), (E1)에서 어드레스회로(CF0,0...7,0)는 8개의 메모리블록중 하나에 할당된다. 2개의 출력신호(RD0) 및 (RD1)는 출력(CSR0) 또는 (CSR1) 및 NOR게이트(NOR)를 가진 용장성 드라이버(RCD0) 또는 (RCD1)에 공급된다. 상기 게이트(NOR)의 출력은 드라이버(CFRD)에 접속되고,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은 (CFR)로 표시되어있다. 상기 신호(CFR)는 정상의 열 디코더에 공급되어, 용장성 드라이버(RCD0또는 RCD1)가 활성화되면, 정상의 메모리셀의 열 디코더를 차단시킨다. 3개의 드라이버(RCD0), (RCD1) 및 (CFRD)가인에이블신호(FR)에 접속된다. 상기 인에이블신호(FR)는 논리"0"의 상태에서 정상의 선택라인 및 용장성 선택라인을 낮은 전위 논리"0"으로 유지시킨다. 인에이블신호(FR)는 통상적으로 칩상에서 동기화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메모리는 메모리블록 당 메모리셀의 28=256 열을 가진 23=8 메모리 블록으로 조직된다. 따라서, 각각의 회로(CFij)는 블록코딩을 위한 3개의 입력, 및 NAND 게이트(NGN)의 입력에 접속된 출력(RTNi)을 갖는다.
상기 회로(CFij)는 8개의 입력을 가진 NAND게이트(NGN), 후속접속된 인버터(P1), (N1), 직렬접속된 퓨즈소자를 가진 2·8 n채널 트랜지스터, 및 출력인버터(IV)로 이루어진다. 상기 퓨즈소자는 인버터(P1), (N1)의 출력(A)에 병렬로 접속된다. 블록선택은 입력NAND게이트(NGN)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컨대 3개의 블록 어드레스라인 (A'8,9,10) 및 그것의 상보 라인( 8,9,10)으로 된 3개 라인의 모든 가능한 조합체중 하나가 상기 입력NAND게이트(NGN)에 공급된다. 회로(CFij)는 상기 NAND게이트의 모든 입력이 논리"1"일때 활성화된다. 그러면, 그것의 출력은 논리"0"이고, 그에따라 인버터(P1), (N1)의 출력(K)은 논리"1"이다. 모든 다른 회로(CF)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A'm) 또는 (m)은 논리"0"이다. 그에따라 인버터 입력(K)은 논리"0"이고, 라인(RDNn)은 논리"1"이다.
Y'=2N'선택라인이 존재하면, 일반적인 제한없이, 열 어드레스의 코딩을 위해2·N' 열 어드레스라인, 예컨대 (A'0...N'-1) 또는 ( 0...N'-1')이 필요한데, 그이유는 n채널 트랜지스터 및 레이저 분리가능한 퓨즈소자로된 직렬회로가 논리"1"을 가진 입력신호에서만 작용하기 때문이다.
활성화된 회로(CFi, j)에서, 대응하는 열 어드레스라인이 논리"1"의 상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퓨즈소자가 분리되지 않으면, 노드(K)가 상기 접속된 n채널 트랜지스터를 통해, 출력인버터(IV)가 논리"1"에 접속될 정도로 낮은 전위로 유지된다. 이 경우 모든 라인(RDN0...7)은 논리"1"의 상태를 갖고, (NGN)의 출력라인(RDJ)은 논리"0"의 상태를 갖는다. 관련 용장성 선택라인(CSRj)은 신호(FR)와 무관하게 활성화되지 않는다. 즉, 논리"0"이다. 두 라인 (RD0) 및 (RD1)에서 이것이 이루어지면, 게이트(NOR)의 출력은 논리"1"이다. 인에이블신호(FR)가 활성화되면, 신호(CFR)는 마찬가지로 논리"1"의 상태를 취하고, 정상의 열 디코더를 접속시킨다. 이 경우에는 정상의 비트라인그룹이 선택된다.
이와는달리 활성 회로(CFi, 0) 또는 (CFi, 1)에서, 대응하는 열 어드레스라인이 논리"1"인 모든 퓨즈소자가 분리되면, 노드(K)는 높은 전위로 되고 출력인버터(IV)는 논리"0"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에따라 라인(RD1) 또는 (RD2)은 논리"1"의 상태를 취한다. 게이트(NOR)의 출력은 논리"0"이다. 이것은 마찬가지로 인에이블신호(FR)와 무관하게 신호(CFR)에 적용되므로, 정상의 열 디코더가 차단된다. 한편으로는,용장성 선택라인(CSR0) 또는 (CSR1)이 활성화되고, 활성 메모리블록(BKi)에서 대응하는 용장성 비트라인 그룹이 선택된다.
전술한 해결책의 단점은 프로그램되지않은 열 어드레스의 인가시, 즉 Y'의 Y'-1경우에 전체 활성 사이클에서 전류의 횡축성분이 보다 낮은 전위를 따라 선택된 회로(CFi, j)의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른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류의 횡축성분은 각각의 메모리블록그룹(E1, E2)에서 2배로 발생하고, 다수의 상기 그룹을 가진 구체적인 해결책에서는 허용될 수 없는 높은 값을 취한다. 또다른 단점은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경우에 너무 많은 수의 라인(RDN1...N)및 그로인한 많은 출력게이트(NGN)이다.
또한, 어드레스회로당 내부블록 어드레스의 비트수 보다 2배많은 분리가능한 접속소자가 필요하다. 용장성 어드레스 디코더의 실시예는 2가지 단점을 갖는다: 첫번째는 장소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판당 칩의 수가 줄어들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메모리세대에서는 트리거회로의 면적을 포함해서 퓨즈블록에 필요한 면적이 용장성 메모리셀이 필요로 하는 면적과 대략 동일하다. 두번째로는 이러한 방식의 회로는, 특히 열 용장도의 트리거가 전체 활성 사이클에서 작동준비되는 열 용장도에서, 높은 전류소비를 일으킨다. 이로인해, 출력라인이 많은 부하를 받는다.
간행물 유럽공개공보 제 0 492 099호에는 퓨즈블록에서 대체될 열 또는 행의 내부블록 어드레스가 프로그램되는 용장도 회로가 개시되어있다. 여기서는 비트수만큼의 분리가능한 접속소자만이 필요하다. 상기 어드레스는 메모리의 접속단계동안 국부 버스를 통해 관련된 용장도 디코더에 기입된다. 용장도 디코더에서는 대체될 열 또는 행의 어드레스가 플립플롭회로에 의해 저장된다. 인가된 어드레스와 대체될 열-행의 어드레스 사이의 비교는 각각의 용장도 디코더에서 별도로 수행된다. 따라서, 분리가능한 접속소자의 수가 절감되기는 하지만, 전류소비가 높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장성 어드레스회로의 표면이 최소로 필요로 하고, 전류의 소비가 줄어들며, 어드레스라인의 부하가 줄어들도록, 열 또는 행 용장도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8개의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 2도는 행 용장도를 갖는 용장도 회로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회로도이다.
제 3도에는 열 용장도를 갖는 실시예의 블록 회로도가 도시되어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회로가 예컨대 접지 또는 공급전압일 수 있는 제 1 (VSS) 및 제 2 (VDD)기준 전위에 접속된다.
대체될 열 또는 행의 어드레스(R0-7), ( 0-7)는 제 2도에 따른 회로에서
예컨대 국부 코딩버스(C0-7), 및 독립 메모리 블록(BKO)의 수(a)에 상응하는 수의 어드레스회로(FS0) 내지 (FS7)에 의해 프로그램된다. 제 4도에는 어드레스회로(FS0)가 상세히 도시되어있다. 예로서, 여기서는 a=8 메모리블록(BK0) 내지 (BK7)이 선택된다. 내부블록 어드레스, 즉 하나의 메모리(BK)의 내부에 있는 행 또는 열의 어드레스가 여기서는 8비트이다. 내부블록 어드레스는 분리가능한 접속소자(F0) 내지 (F7)에 의해 코딩된다. 상기 접속소자는 여기서 제 1 FET(TN0...7)와 코딩버스의 제 1 노드점 사이에 접속된다.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BK)에서 용장도가 사용되면, 부가의 안전소자(F8)가 분리된다. 상기 부가의 안전소자(F8)에 의해, 어드레싱에 대한 통상의 60개의 안전소자 대신에 단지 8개의 안전소자(F0) 내지 (F7)만이 필요하게된다.
일반적으로 메모리는 a 메모리블록을 갖는다. 여기서 A=2M이다. 각각의 메모리블록(BK0...7)를 Y'열 및 Y행을 가지며, 여기서 Y=2N및 Y'=2N'이다. 이 경우에는 행-내부블록 어드레스에 대해 N(N=내부블록 어드레스의 비트수)안전소자가 필요하다. 메모리 블록 자체가 2·M 어드레스 라인을 통해 어드레스될 수 있다. 이하, 행 어드레스는 (A)로, 그리고 열 어드레스는 (A')로 표시한다. 이것에 대한 상보 행 또는 열 어드레스는 () 또는 (A')로 표시한다.
제 2도에 도시된 회로는 용장성 라인 당 하나의 회로가 필요한 제 1도에 도시된 회로와는 달리, 각각의 메모리 블록(BK)에서 용장성 라인당 하나가 필요하다. 즉, 이 경우에는 8개의 회로가 필요하다. 각각의 메모리 블록(BK)에 2개의 용장성 라인이 제공되면, 2개의 회로가 사용된다.
분리가능한 접속소자(F8)(제 4도 참고)가 차단되지않으면, 준비신호(RSL)가 제 1 기준전위(VSS)(접지)를 갖는다. 제 4도에서 어드레스회로(FS0)의 2개의 캐패시터(CS) 및 (CD)는 분리가능한 접속소자(F8)가 분리되면, 제 2 기준전위(VDD)에 준비신호를 확실하게 세팅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 2도에 도시된 어드레스 비교기(AV1)에서, 인가된 내부블록 어드레스(A0-7)가 대체될 어드레스(R0-7)와 비교된다. 제 5a도에는 어드레스 비교기(AV1)의 회로 실시예가 도시된다.
각각의 용장도 회로에서 어드레스 비교가 이루어지는 제 1도에 도시된 회로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라 개별 어드레스 비교기(AV1)에 의해 비교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어드레스 비교는 어드레싱된 블록에서 그것의 관련어드레스회로(FS0) 내지 (FS7)가 프로그램됨으로써, 활성화신호(RDA)가 예컨대 낮은 레벨을 취할때만, 즉 인가된 어드레스가 프로그램된 어드레스회로(퓨즈 박스라고도함)(FS0) 내지 (FS7)를 갖는 메모리블록에 관련될때만, 이루어진다. 이로인해 내부블록 어드레스 라인(A0-7), ()이 보다 적은 부하를 받으며, 전체 메모리회로의 전류소비가 줄어든다.
제 5a도의 어드레스 비교기(AV1)는 활성화단(RBW)에서 제 3 제어신호(RST)를, 제 5b도에 도시된 회로에 의해 활성화신호(RDA)로 부터 발생될 수 있는 펄스신호의 형태로 사용한다. 제 5d도에는 펄스신호(RST)대신에 지연된 제 4 제어신호(RDADN)를 사용하는 활성화단(RBW)의 회로 변형예가 도시되어있다. 이러한 회로는 제 5a도에 도시된 회로 보다 약간 더 신속하다. 이러한 펄스신호(RST) 또는지연된 신호(RDADN)에 의해 전류소비가 더욱 줄어든다.
제 5a도의 어드레스 비교기(AV1)는 활성화단(RBW)에서 제 3 제어신호(RST)를, 제 5b도에 도시된 회로에 의해 활성화신호로 부터 발생될 수 있는 펄스신호의 형태로 사용한다. 제 5a도의 활성화단(RBW)은 제 6 및 제 7 FET(T6), (T7)의 직렬회로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T6)은 p채널 FET이고 (T7)은 n채널 FET이다. 신호(RDA) 및 (RST)는 제 7 FET(T7) 및 제 6 FET(T6)의 제어입력에 접속된다.
제 3 제어신호(RST)는 제 5b도에 도시된 회로(RSTG)로 부터 발생될 수 있다. 회로(RSTG)는 4개의 연속하는 인버터단(IR1) 내지 (IR4)의 직렬회로를 포함한다. 직렬회로의 입력에 활성화신호(RDA)가 공급되고, 직렬회로의 출력(K8)은 NAND게이트(NAND1)에 접속된다. 제 1 및 제 2 인버터단(IR1), (IR2) 사이의 노드점(K7)은 NAND게이트(NAND1)에 접속된다. 커패시터(C)는 제 1기준전위(접지)와, 제 2 및 제 3 인버터단 사이의 노드점 사이에 접속된다. 제 3 제어신호(RST)는 NAND게이트(NAND1)의 출력신호이다. 제 5c도는 회로(RSTG)의 시간 다이어그램이다. 활성화신호(RDA)가 논리"0"으로 되면, 제 3 제어신호(RST)가 시간간격(T)동안 논리"0"에 놓이는 펄스이고, 그렇지 않으면 제 3제어신호(RST)의 레벨은 논리"1"의 레벨을 갖는다.
제 5d도에는 제 3 제어신호(RST) 대신에 제 4 제어신호(RDADN)를 사용하는 활성화단(RBW)의 변형예가 도시되어있다. (RST)와 같은 펄스 대신에, (RDADN)은 (RDA)가 논리"0"으로 떨어진 후 시간간격(T')후에 레벨 논리"1"을 트리거시키는 신호이다. 제 5d도의 활성화단(RBW)은 제 9 , 제 10 및 제 11 FET(T9) 내지 (T11)의 직렬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T9)는 n채널형이고, (T10) 및 (T11)은 p채널형이다. 활성화신호(RDA)는 제 9 및 제 11 FET(T9), (T11)의 제어입력에 접속되며, 제 4 제어신호(RDADN)는 제 10 FET(T10)의 제어입력에 접속된다.
제 3 제어신호는 예컨대 제 5c도에 도시된 회로(RDADNG)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회로는 3개의 연속하는 인버터단(I'R1) 내지(I'R3)의 직렬회로를 포함한다. 활성화신호(RDA)는 직렬회로의 입력에 공급되고, 직렬회로의 출력에는 제 4 제어신호(RDADN)가 생긴다. 커패시터(C')는 제 1 공급전위(접지)와, 제 1 및 제 2 인버터단(I'R1), (I'R2) 사이의 노드점 사이에 접속된다. 제 5f도는 회로(RDADNG)의 시간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제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어드레스 비교기(AV1)의 출력신호(RSP)는 용장도의 사용시 용장성 행 디코더(PRDEC)를 트리거시키고 동시에 각각의 메모리블록(BK0) 내지 (BK1)에서 정상의 행 디코더(RDEC)를 차단시킨다. 따라서, 메모리블록(BKk)의 세팅될 행(Wik)대신에 용장성 행(WRk)이 어드레스된다.
제 3도는 열 용장도을 가진 용장도 회로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블록회로도이다. 파선으로 표시된 부분 IV및 VI은 제 4도 및 6도에서 상세히 도시된다.
어드레스 비교기(AV2)의 기능은 제 2도 및 5a도에 도시된 어드레스 비교기(AV1)에서와 동일하다. 행 용장도와 비교해서, 여기서는 제 4제어신호(ATDN)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진다.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이, 제 4 제어신호(ATDN)는 전류의 횡축 성분이 어드레스 비교기(AV2)에 의해 피해지게하는 기능을 한다. 제 3도에서는, 각각의 블록에서 선택라인(CSRO) 및 (CSR1)을 가진 2개의 용장성 열 디코더(RCD0) 및 (RCD1)가 사용되면, 2열의 어드레스회로(FS0)-(FS7) 및 2개의 어드레스 비교기(AV2)가 어떻게 서로 접속되는지를 부가로 나타낸다. 용장성 열 디코더(RCD0) 및 (RCD1)는 메모리블록(BK0-7) 당 각각 하나의 용장성 비트스위치(RBS)를 트리거시킨다. 신호(CFR)에 의해 용장성 열의 선택시 정상의 열 디코더(CDEC)가 차단되므로, 이 경우에는 정상의 비트스위치(BS)가 트리거되지 않는다.
제 5a도 및 6도에 도시된 어드레스 비교기(AV2)에서 용장도 인에이블신호(CSR0)는 모든 노드점(RK'0) 내지 (RK'7)이 논리"0"이고 제 3 노드점(K'3)이 논리"1"일때만 활성화된다. 상기 노드점(RK'0) 내지 (RK'7)중 적어도 하나가 논리"1"이면, (K'3)가 접속된 n채널 트랜지스터(N'0) 내지 (N'7)를 통해, 후속 접속된 인버터(I3')가 출력레벨 논리"1"을 가질 정도로 낮은 전위로 유지된다.
제 2도, 4도 및 5a도에 따른 회로의 기능은 제 7도의 시간 다이어그램을 참고로 설명되며, 여기에는 이것에 필요한 메모리 신호만에 도시되어있다. 제 7a도는 행 용장도를 사용한 사이클을 나타내는 한편, 제 7b도는 용장도를 사용하지않은 정상의 경우를 나타낸다.
휴지상태()에서는 어드레스(A0-7), () 및 제 2 제어신호 또는 부하신호(PRCH)가 논리"0"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모든 n채널 제 3 FET(N0-7)가 차단되고 p채널 제 2 FET(TP0-8)가 도통된다. 그에따라 노드(K1)는 논리"1"이고, 제 1 제어신호를 제 1 트랜지스터(TN0...7) 및 (TNR)에 공급하는 노드(K2)는 논리"0"이다. 제 1 어드레스출력(R0-7) 및 국부 코딩 버스(C0) 내지 (C8)의 제 1 출력(RDA)은 모두 논리"1"인 한편 제 1 어드레스 출력에 대한 상보 출력()은 논리"0"이다. 이로인해, 제 3 노드점(K3)이 논리"0"이고 인에이블 신호(RSP)가 논리"0"이다.
기록 또는 판독 사이클은 신호()의 하강에지에 의해 개시된다. 제 2 제어신호(PRCH)는 신호()의 하강에지에 따라 논리"1"이다. 노드(K1)의 논리"1" 상태는 접속된 인버터(I1)의 피드백에 의해 유지된다. 잠시후 출력라인(A0-10) 및()의 조합체가 논리"1"로 활성된다. 여기서, (A0-7) 및 ()은 내부 블록 어드레스이고, (A8-10) 및 () 는 블록어드레스이다. 예컨대,
이 모두 논리"1"이면, 메모리블록(BK0)이 어드레스된다. 따라서, 어드레스 회로(FS0)의 3개의 n채널 트랜지스터(TN8) 내지 (TN10)가 도통된다. (Ai)=논리"1"이면, 제 4 노드점(RKi)은 논리"1"로 되고, 그렇지않으면 (RKj)는 논리"0"이다.
상기 어드레스회로(FSO)가 코딩되면, 부가 안전소자(F8)가 분리된다. 이로인해, (RSL)이 논리"1"로 된다. 따라서, 노드(K1)는 논리"0"이고, 노드(K2)는 논리"1"이다. 어드레스회로의 제 4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분리된 안전소자(Fj), (j=0-7)가 논리"1"이고, 완전한 안전소자(Fi)가 논리"0"이도록 접속된다. 코딩버스(C0) 내지 (C7)에 의해 대체될 행의 어드레스(A0-7) 및 ()가 발생된다. 동시에 어드레스회로의 제 1 출력(C8)에 활성화신호(RDA) 논리"0"이 발생된다. (Ri) 및 (Ai) 또는(i=0...7)가 모두 동일하면, 모든 (RKi)가 논리"0"이다. 따라서, 모든 제 3 FET(n-채널)(N0) 내지 (N7)가 차단된다.
신호(RDA)의 하강에지에 의해 시간간격(T)동안 논리"0"이 되는 펄스(RST)가 발생된다. 모든 제 3 n채널 트랜지스터(N0-7)가 차단되기 때문에, 제 3 노드점(K3)이 논리"1"로 상승한다. 여기서, 피드백되는 인버터(I3)의 형태인 홀딩단(I3)에 의해, 펄스(RST)가 논리"1"로 되돌아 간 후에도 (K3)은 논리"1"로 유지된다. 이로인해, 인에이블신호(RSP)가 용장성 디코터의 트리거를 위해 논리"1"로 된다.
정상의 경우에, 즉 어드레스(A0-7) 및 (R0-7)가 일치하면, 적어도 하나의 (An)≠(Rn)이다. 이로인해 적어도 하나의 제 4 노드점(RKn)이 논리"1"로 유지된다. 펄스신호(RST)가 논리"0"이 되면, 제 3 노드점(K3)의 전위가 상승하기는 하지만, 도통되는 n채널 트랜지스터(Nn)에 의해 전위가 충분히 상승하지않기 때문에 피드백되는 인버터(I3)가 전환스위칭된다. 따라서, 펄스(RST)에 따라 (K3)이 논리"0"으로 유지되고, 인에이블신호(RSP)가 논리"0"으로 유지된다.
제 3도, 4도 및 6도에 도시된 열 용장도에 대한 용장도회로의 기능은 제 8도의 시간 다이어그램을 참고로 설명된다. 여기서는 제 3도에 도시된 시간 다이어그램과의 차이점만이 설명된다. 제 4도와 비교해서, 여기서는 제 3 제어신호(RST)가 제 4 제어신호(ATDN)로 대체된다. 제 4 제어신호(ATDN)는 (RDADN)과 마찬가지로, 활성화신호(RDA)로 부터 제 5도에 따른 회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의 그밖의 부분회로에 이미 존재하는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FR)도 이용될 수 있다. (CSRO)는 용장성 열 디코더(RBS)용 인에이블신호이며, (CFR)을 논리"1"의 상태에서 정상의 열 디코더(CDEC)를 차단시키는 신호이다. (CFR)은 NAND 게이트에 의해 신호(RN0), (RN1)로 부터 발생된다. 제 8a도는 -제 7a,b도에서와 같이- 용장도에서의 시간 다이어그램을 나타내고 제 8b도는 "정상의 경우"를 나타낸다.
휴지상태(= 논리"1")에서 어드레스(A'0-7) 및 () 및 제 2 제어신호(PRCH)가 논리"0"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모든 n채널 제 1 FET(N0-7)가 차단되고, p채널 제 2 FET(TP0-8)가 도통된다. 그에따라 노드(K1)는 논리"1"이고, 제 1 제어신호를 제 1 트랜지스터(TN0...7) 및 (TNR)에 공급하는 노드(K2)는 논리"0"이다. 제 1 어드레스출력(R0...7) 및 국부 코딩버스(C0) 내지 (C8)의 제 1 출력(RDA)은 논리"1"인 한편, 제 1 어드레스출력에 대한 상보어드레스출력()은 논리"0"이다. 이로인해, 제 3 노드점(K'3)은 논리"1"이고, 인에이블신호(RNO)는 논리"1"이다. 따라서, 용장성 비트디코더(RCD0)가 차단된다. 이로 인해, 제어신호(CSRO)는 논리"0"으로 유지되고, 따라서 용장성 비트회로(RBS)는 차단된다. 정상의 열 디코더(CDEC)도 CFR=논리"0"에 의해 차단된다.
기록 또는 판독 사이클은 신호의 하강에지에 의해 개시된다. 제 2 제어신호(PRCH)는 신호의 하강에지에 따라 논리"1"로 된다. 노드(K1)의 논리"1"상태는 피드백되는 인버터(I1)에 의해 유지된다.
잠시후에 출력라인(A'0...10) 및의 일정한 조합체가 논리"1"로 활성된다. 여기서, (A'0-7) 및은 내부블록 어드레스이고, (A'8-0) 및는 블록 어드레스이다. (A'i)이 논리"1"이면 제 4 노드점(RK'i)이 논리"1"로 되고, 그렇지않으면 제 4 노드점(RK'j)=논리"0"이다.
상기 어드레스회로가 코딩되면, 부가안전소자(F8)가 분리된다. 이로 인해, (RSL)이 논리"1"로 된다. 따라서, 노드점(K1)은 논리"0"이 되고 노드(K2)는 논리 "1"로 된다. 코딩버스(C0) 내지 (C8)에 의해 대체될 열의 어드레스(R0...7), ()가 발생된다. 동시에 (RDA)가 논리"0"으로 된다. 모든 (Ri) 및 (A'i) 또는 (Ri)(i=0...7)이 동일하면, 모든 (RK'i)가 논리"0"으로 된다. 따라서, 모든 n채널 트랜지스터(N'0) 내지 (N'7)가 차단된다.
신호(RDA)의 하강에지에 의해 시간간격(T')후에 논리"1"로 되는 제 4 제어신호(ATDN)가 발생된다. 모든 n채널 트랜지스터(N'0...7)가 차단되기 때문에, 노드(K'3)가 상기 시간간격(T')동안 논리"1"로 상승한다. 인버터(I'3)의 피드백회로에 의해 상기 시간간격(K'3)동안, 제 4 제어신호(ATDN)가 논리"0"의 값으로 될때도 논리"1"의 레벨로 유지된다. 이로인해, 용장도 인에이블신호(RNO)가 논리"0"으로 된다. 인에이블신호(FR)가 논리"1"로 되면, 용장성 신호가 접속되고, 용장성 비트스위치(RBS)의 제어신호(RSRO)가 논리"1"로 된다. 동시에 (CFR)이 논리"0"으로 되고, 정상의 열 디코더(CDEC)가 차단된다.
정상의 경우에, 즉 어드레스(A'0...7) 및 (R0...7)가 일치하지않는 경우, 적어도하나의 (A'i)가 (Ri)과 동일하지 않다. 이로인해, 적어도 하나의 노드(RK'i)가 논리"1"로 유지된다. (RDA)가 논리"0"으로 되고, 제 4 제어신호(ATDN)가 논리"1"로 되면, 노드(K'3)의 전위가 상승하기는 하지만, 도통하는 n채널 트랜지스터(N'i)에 의해 전위가 층분히 상승되지않으므로 피드백되는 인버터(I'3)가 전환스위칭된다. 따라서, (ATDN)에 따라 (K'3)이 논리"0"으로 유지되고, (RNO)가 논리"1"로 유지된다. 용장성 비트디코더(RCD0)는 차단된다. 인에이블신호(FR)가 논리"1"로 되면, (CFR)이 논리"1"로 상승하고, 정상의 열 디코더(CDEC)가 활성화된다.
실시예에서 하나의 행 또는 열이 본 발명에 따른 용장도 회로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컨대 2, 4 또는 8 행 또는 열의 부가의 그룹없이도 동시에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어드레스 디코더(FS0)-(FS7)에 저장된 내부블록 어드레스가 1, 2 또는 3 비트 더 짧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행 또는 하나의 열만이 어드레싱됨에도 불구하고 행 또는 열의 임의의 그룹이 내부블록 어드레스에 의해 어드레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장도 회로는 분할과 같은 메모리 아키텍쳐와 무관하게 메모리 블록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의 어드레스회로가 하나의 블록 어드레스에 할당되지않고, 일반적으로 각각의 어드레스 회로가 한 그룹의 메모리셀의 전체 어드레스의 제 1 부분어드레스에 할당될 수 있다. 제 2 부분어드레스, 즉 전체 어드레스의 나머지가 어드레스 회로에서 예컨대 레이저 퓨즈와 같은 분리가능한 접속소자에 의해 코딩된다. 예컨대 8개의 메모리 블록 및 4개의 어드레스 회로를 가진 하나의 메모리에서 어드레스회로의 선택을 위해 블록어드레스(A8), (A9), (A10)의 단지 2개의 어드레스 라인(A8), (A9)만이 사용되면, 각각의 어드레스 회로가 2개의 메모리 블록에 할당될 수 있다. 제 3 블록 어드레스 라인, 예컨대 (A10)은 어드레스 디코더(FS0)-(FS7)에서 부가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드레스 비교기(AV1), (AV2)는 부가의 어드레스 라인을 얻는다. 따라서, 단 하나의 활성어드레스회로, 예컨대(FS2)에 의해 메모리셀의 그룹이 선택적으로 2개의 상이한 메모리블록에서 대체될 수 있다. 반대로, 다수의 어드레스회로가 하나 또는 다수의 메모리블록에 공통으로 할당됨으로써, 블록없는 용장도의 방식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어드레스의 인가시 항상 하나의 어드레스회로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어드레스회로의 수(M)의 제 1 부분어드레스의 비트수(n1)는 M≤2n1이도록 선택되어야한다.
제 1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열 용장도의 어드레스회로 및 그것의 트리거를 위한 회로의 블록회로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행 용장도회로의 블록회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용장도회로의 블록회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어드레스회로의 실시예.
제5a-f도는 본 발명에 따른 행 용장도의 어드레스 비교기의 2가지 실시예.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용장도의 어드레스 비교기의 실시예.
제 7도는 제 2, 4 및 5도에 따른 회로의 신호의 시간다이어그램.
제 8도는 제 3, 4및 6도에 따른 회로의 신호의 시간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V1, AV2; 어드레스 비교기 C0...C8; 코딩버스
F0...7; 안전소자 FS0...FS7; 어드레스 회로
K2, PRCH, RST; 제어신호 I3, I'3; 홀딩단
I10...I17; 인버터 PRDEC, RCD0; 용장도 디코더
RBW: 활성화단 RSP, RNO; 인에이블 신호

Claims (10)

  1. 메모리의 메모리셀의 임의의 그룹의 어드레스(A0...10; A'0...10)가 제 1 부분 어드레스(A8...10; A'8...10) 및 제 2 부분 어드레스(A0...7; A'0...7)로 형성되는 방식의, 정상의 메모리셀 및 용장성 메모리셀을 가진 집적 반도체 메모리용 용장도 회로에 있어서,
    - M(M≥1)개의 프로그램가능한 어드레스회로(FS0...FS7), 및
    - 모든 어드레스회로(FS0...FS7)에 공통인 어드레스 비교기(AV1; AV2)를 포함하며,
    - 상기 프로그램가능한 어드레스회로(FS0...FS7)는 제 1 부분어드레스(A8...10; A'8...10)중 하나에 할당되고, 프로그램가능한 어드레스회로(FS0...FS7)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정상의 메모리셀의 대체될 그룹의 제 2 부분 어드레스(R0...7) 및 제 1 출력(C8)을 가지며, 어드레스회로(FS0...FS7)의 활성화된 상태에서, 회로에 인가된 제 1 부분 어드레스(A8...10; A'8...10)가 어드레스회로(FSi)에 관련된 제 1 부분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활성화신호(RDA)가 상기 제 1 출력(C8)에 인가되고,
    - 상기 어드레스 비교기(AV1; AV2)는 어드레스회로(FS0...FS7)의 활성화신호(RDA)의 인가시 상기 어드레스회로에 저장된 제 2 부분 어드레스(R0...7)를 인가된 제 2 부분 어드레스(A0...7; A'0...7)와 비교하고, 상기 두 부분어드레스의일치시 인에이블신호(RSP; RNO)가 어드레스 비교기(AV1; AV2)의 제 1 출력(20; 20')에 인가되고, 인에이블신호(RSP; RNO)는 용장도 디코더(RRDEC; RCD0)의 트리거에 사용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용 용장도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어드레스회로(FS0...FS7)가 N+1 분리가능한 접속소자(F0...8)를 통해 프로그램가능하며, 상기 N은 제 2 부분 어드레스(A0...7; A'0...7)의 비트수인 집적 반도체 메모리용 용장도 회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어드레스 비교기(AV1; AV2)가 국부코딩버스(C0...C8)를 통해 모든 어드레스회로(FS0...FS7)에 접속되고, 상기 국부 코딩버스는 어드레스회로내에 저장된 제 2 부분 어드레스(R0...7,) 및 활성화신호(RDA)를 어드레스 비교기(AV1; AV2)로 전달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용 용장도 회로.
  4.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어드레스회로(FS0...FS7)가 분리가능한 안전소자(F0...7) 및 제 1 FET(TN0...7)의 N 직렬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직렬회로는 제 1 공급전위(VSS) 및 각각의 제 1 노드점(C0...C7) 사이에 접속되고, 제 1노드점(C0...C7) 및 제 1 출력(C8)은 국부 코딩버스를 형성하며, 어드레스회로의 서로 대응하는 안전소자(F0...7)는 동일한 노드점에 접속되고, 제 1 노드점(C0...7)은 제 2 FET(TP0...7)를 통해 제 2 공급전위(VDD), 및 제 1 인버터(I10...I17)의 입력에 연결되며, 제 1 제어신호(K2)가 제 1 FET(TN0...7)의 제어단자에 공급되고, 제 2 제어신호(PRCH)가 제 2 FET(TP0...7)에 공급되며, 제 1 노드점(C0...C7)은 제 1 어드레스출력(R0...7)을 형성하고, 제 1 인버터(I10...17)의 출력은 제 1 어드레스출력에 대한 상보 어드레스출력()을 형성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용 용장도 회로.
  5. 제 1항, 제 2 항 또는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드레스 비교기(AV1; AV2)는 N 제 3 FET(N0...N7; N'0...N'7)를 포함하며, 상기 N은 제 2 부분 어드레스(A0...7; A'0...7)의 비트수이고, 제 3 FET(N0...7', N'0...N'7)의 부하구간은 제 3 노드점(K3; K'3)과 제 1공급전위(VSS) 사이에 접속되며, 그것의 제어입력은 N 제 4 노드점(RK0...7; RK'0...7)중 하나에 접속되고, 제 4 FET(N01...N71; N'01...N'71) 및 제 5 FET(N02...N72; N'02...N'72)가 제 4 노드점에 할당되며, 제 4 FET(N01...N71; N'01...N'71)의 부하구간은 관련 제 4 노드점(RK0...7, RK'0...7)과 인가된 어드레스(A0...7; A'0...7)의 관련 어드레스 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대응하는 제 5FET(N02...N72; N'02...N'72)의 부하구간은 관련 제 4 노드점(RK0...7, RK'0...7)과 관련 어드레스라인(A0...7; A'0...7)에 대한 상보 어드레스 라인사이에 접속되고, 어드레스회로(FSO...FS7)내에 저장된 제 2 부분 어드레스의 어드레스라인(R0...7)에 제 4 FET(N01...N71; N'01...N'71)의 제어입력에 공급되며, 어드레스회로에 저장된 제 2 부분어드레스의 어드레스 라인에 대한 상보 어드레스 라인이 제 5 FET(N02...N72; N'02...N'72)의 제어입력에 공급되고, 어드레스 비교기(AV1; AV2)는 홀딩단(I3; I'3)을 포함하며, 그것의 입력단자는 제 3 노드점(K3; K'3)에 접속되고, 출력단자에서 제 1 인에이블신호(RSP; RNO)가 탭될 수 있으며, 어드레스 비교기(AV1; AV2)는 활성화단(RBW; RBW')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단의 출력신호는 제 3 노드점(K3; K'3)에 공급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용 용장도 회로.
  6. 제 5항에 있어서, 활성화단(RBW)은 제 6 FET(T6) 및 제 7 FET(T7)의 직렬회로로 이루어지고, 직렬회로는 제 1 기준전위(VSS) 및 제 2 기준전위(VDD) 사이에 접속되며, 제 3 제어신호(RST)가 제 6 FET(T6)의 제어입력에 공급되고, 어드레스회로(FS0...FS7)의 활성화신호(RDA)가 제 7 FET(T7)의 제어단자에 공급되며, 제 6 FET 및 제 7 FET의 부하구간 사이의 노드점(K)이 제 3 노드점(K3)의 부분인 집적 반도체 메모리용 용장도 회로.
  7. 제 6항에 있어서, 회로가 제 3 제어신호(RST)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RTSG)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RTSG)는 4개의 연속하는 인버터단(IR1...IR4)의 직렬회로를 포함하고, 어드레스회로(FS0...FS7)의 활성화신호(RDA)가 직렬회로의 입력에 공급되며, 직렬회로의 출력(K8)은 NAND 게이트(NAND1)의 제 1 입력에 접속되고, NAND 게이트의 제 2 입력은 제 1 인버터단(IR1) 및 제 2 인버터단(IR2)사이의 노드점(K7)에 접속되며, NAND 게이트의 출력에서 제 3 제어신호(RST)가 탭될 수 있고, 제 1 공급전위(VSS)와 노드점(K9) 사이의 캐패시터(C)는 제 2 인버터단(IR2)과 제 3 인버터단(IR3) 사이에 접속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용 용장도 회로.
  8. 제 5항에 있어서, 활성화단(RBW; RBW')이 제 9 FET(T9, T'9), 및 제 10 및 제 11 FET(T10, T11; T'10, T'11)의 직렬회로를 포함하며, 직렬회로는 제 2 공급전위(VDD) 및 제 3 노드점(K3; K'3) 사이에 접속되고, 제 9 FET(T9; T'9)의 부하구간은 제 3 노드점(K3; K'3)과 제 1 공급전위(VSS) 사이에 접속되며, 제 9 및 제 11 FET(T9, T11; T'9, T11)는 서로 상보 도전형이고, 어드레스회로(FS0...FS7)의 활성화신호(RDA)가 제 9 및 제 11 FET(T9, T11; T'9, T11)의 제어단자에 공급되며, 제 4제어신호(RDADN; ATDN)가 제 10 FET(T10; T'10)의 제어단자에 공급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용 용장도 회로.
  9. 제 1항, 제 2항 또는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모리 셀이 M 메모리블록(BK0...7)에 배치되고, 메모리블록(BK0...7)은 블록 어드레스(A8...10; A'8...10)에 의해 호출될 수 있으며, 메모리 블록내의 메모리셀은 내부블록에 의해 호출될 수 있고, 상기 M≥1이며, 제 1 부분 어드레스는 블록어드레스이고, 제 2 부분 어드레스는 내부블록 어드레스이며, 프로그램가능한 어드레스회로(FS0...FS7)는 M 메모리블록(BK0...7)에 할당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용 용장도 회로.
  10. 제 1항, 제 2항 또는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도체메모리가 DRAM인 집적 반도체 메모리용 용장도 회로.
KR1019950024768A 1994-08-12 1995-08-11 집적반도체메모리용용장도회로 KR100349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112661A EP0697659B1 (de) 1994-08-12 1994-08-12 Redundanz-Schaltungsanordnung für einen integrierten Halbleiterspeicher
EP94112661.7 1994-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534A KR960008534A (ko) 1996-03-22
KR100349094B1 true KR100349094B1 (ko) 2002-12-28

Family

ID=821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768A KR100349094B1 (ko) 1994-08-12 1995-08-11 집적반도체메모리용용장도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57279A (ko)
EP (1) EP0697659B1 (ko)
JP (1) JP3626254B2 (ko)
KR (1) KR100349094B1 (ko)
AT (1) ATE187826T1 (ko)
DE (1) DE59409008D1 (ko)
HK (1) HK1004494A1 (ko)
TW (1) TW2736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6292A (en) 1996-04-25 1998-01-06 Micron Technology, Inc. Layout fo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dundant elements
JP2982695B2 (ja) * 1996-07-15 1999-11-2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
CA2202692C (en) * 1997-04-14 2006-06-13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Column redundancy in semiconductor memories
US6002620A (en) * 1998-01-09 1999-12-14 Information Storage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column redundancy for non-volatile analog and multilevel memory
US6137735A (en) * 1998-10-30 2000-10-24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Column redundancy circuit with reduced signal path delay
US6473872B1 (en) 2000-03-08 2002-10-29 Infineon Technologies Ag Address decoding system and method for failure toleration in a memory bank
CN104835529B (zh) * 2014-02-10 2018-05-29 晶豪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半导体装置的冗余评估电路
CN113327641B (zh) * 2020-02-28 2024-05-03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eFuse存储单元、eFuse存储阵列及其使用方法、eFuse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3099A (ja) * 1990-08-23 1992-04-06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H0831279B2 (ja) * 1990-12-20 1996-03-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冗長システム
JP2629475B2 (ja) * 1991-04-04 1997-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5293564A (en) * 1991-04-30 1994-03-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dress match scheme for DRAM redundancy sche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96595A (ja) 1996-04-12
DE59409008D1 (de) 2000-01-20
US5657279A (en) 1997-08-12
EP0697659A1 (de) 1996-02-21
ATE187826T1 (de) 2000-01-15
JP3626254B2 (ja) 2005-03-02
TW273628B (ko) 1996-04-01
EP0697659B1 (de) 1999-12-15
HK1004494A1 (en) 1998-11-27
KR960008534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8225A (en) Block specific spare circuit
US7345903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o which information can be written only once
US4905192A (en) Semiconductor memory cell
US4639897A (en) Priority encoded spare element decoder
JPH0670880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6191984B1 (en) Redundancy circuit capable of disabling use of redundant memory cells that are defective
KR970076893A (ko) 비휘발성 집적회로용 리던던시 방법 및 장치
US4587639A (en) Stat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orporating redundancy memory cells
KR100286789B1 (ko) 메모리용 컬럼 여유도 회로
KR100349094B1 (ko) 집적반도체메모리용용장도회로
US6058052A (en) Redundancy scheme providing improvements in redundant circuit access time and integrated circuit layout area
KR10028754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던던시 디코더 인에이블회로
KR100279064B1 (ko) 결함 메모리 셀을 구제하기 위한 디코더
US6388925B1 (en) Row redundancy scheme capable of replacing defective wordlines in one block with redundant wordlines in another block
JP3339641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6460110B2 (en) Semiconductor memory
US6195300B1 (en) CBR refresh control for the redundancy array
US6339554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placement programming circuit
US6809972B2 (en) Circuit technique for column redundancy fuse latches
US6545920B2 (en) Defective address storage scheme for memory device
JPH11110996A (ja) 半導体記憶装置
US6115302A (en) Disabling a decoder for a defective element in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redundant elements
JPH0250560B2 (ko)
KR950001731B1 (ko) 저전력퓨우즈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리던던시회로
KR970005122B1 (ko) 반도체 소자의 리던던시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