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281B1 - 자동차용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281B1
KR100345281B1 KR1020000039534A KR20000039534A KR100345281B1 KR 100345281 B1 KR100345281 B1 KR 100345281B1 KR 1020000039534 A KR1020000039534 A KR 1020000039534A KR 20000039534 A KR20000039534 A KR 20000039534A KR 100345281 B1 KR100345281 B1 KR 100345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gear
rotary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075A (ko
Inventor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0003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281B1/ko
Priority to US09/901,069 priority patent/US7693390B2/en
Priority to JP2001210157A priority patent/JP2002087176A/ja
Publication of KR2002000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에 프런트 패널 개폐장치를 추가하여 화면의 각도조절 및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확보하고, 2개의 데크 메카니즘을 채용하여 기록 매체를 삽입 또는 취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공간적으로 제한적인 각도 조절 구조로 인하여 기록매체를 1가지만 사용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다른 매체를 사용할 때 외부 입력에 의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프런트 패널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하는 수평운동 수단과;
프런트 패널을 별도의 회전용 궤적없이 회전시키는 회전운동 수단과;
상기 프런트 패널의 각도 조절시 회전 운동 수단 및 수평 운동 수단으로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운동전달 수단과;
상기 운동전달 수단, 수평운동 수단, 회전운동 수단에 의해 프런트 패널을 완전히 개폐시키는 프런트 패널 개폐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을 완전히 오픈할 수 있어 공간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2개의 데크를 채용하여 기록매체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An angle controlling appartus of AV front pannel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에이브이(AV : Audio/Video) 프런트 패널의 각도조절 장치에 기구학적 링크 장치를 응용한 프런트 패널 개폐장치를 추가하여 화면의 각도조절 및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확보하고, 2개의 데크 메카니즘을 채용하여 기록 매체를 삽입 또는 취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카오디오는 라디오방송의 청취를 위한 라디오수신기와,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을 위한 카세트 플레이어를 일체화하여 차량의 전면에 설치하여 차량을 운행중인 운전자가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카오디오는 요즈음의 개발 추세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에 수록된 음악을 고품질의 음량으로 재생하기 위한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를 상기의 카오디오에 일체로 형성하는 경향이 많이 있다.
더구나 차량을 이동하는 중에 교통정보를 들으면서 찾아가고자 하는 목적지의 안내를 위한 카 네비게이션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도 차량의 내부에 설치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카오디오의 프런트 패널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을 형성하고, 상기 콘트롤 패널의 내부에 카오디오의 카세트 플레이어나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를 설치하여 콘트롤 패널을 소정의 각도만큼 각도를 조절하면서 액정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거나 내부의 카세트 플레이어에 카세트 테이프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종래 카 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각도조절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패널(1)의 배면 일측에 개방면(1A)이 형성된 요입부(1B)를 형성하고,
상기 프런트 패널(1)이 결합되는 에스커션(2)에는 상기 요입부(1B)에 삽지될 수 있도록 돌출된 돌기(5A)를 마련하였다.
상기 돌기(5A)가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일체화된 에스커션(2)의 배면으로 축설되고, 상기 에스커션(2) 내면의 누름편(4)에 의해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돌출편(5)을 연설하여 상기 누름편(4)과 밀착시키고 스프링(6)을 탄지시켜 복원력을 부여한 것으로, 상기 프런트 패널(1)은 에스커션(2)의 정면에 위치하여 요입부(1B)에 고정되면서, 본체와 프런트 패널(1)이 접속되어 카 오디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카 오디오를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프런트 패널(1)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릴리이스 노브(3)를 누르면, 프런트 패널(1)의 배면으로 핀부(3A)가 돌출되어 누름편(4)을 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돌기(5A)는 돌출편(5)이 스프링(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일측으로 회동되므로, 개방면(1A)쪽으로 빠지게 되어 프런트 패널(1)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에스커션(2)에서 분리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착탈장치는 프런트 패널(1)이 에스커션(2)에 일측에서 하나의 돌기(5A)만으로 고정되므로, 접속 상태가 안정되지 못하여 차량의 운행시 에스커션(2)에 접속된 프런트 패널(1)이 흔들려서 진동이 발생하고, 상기의 진동이 심한 경우에는 프런트 패널(1)이 에스커션(2)에서 이탈하여 차량의 내부 바닥에 떨어짐으로써, 프런트 패널(1)이 손상되거나 운전자의 심리를 불안하게 하였으며, 에스커션(2)의 배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등이 금속재로 되어 있어서 제작시 프레스 가공을 하여야 하는 등 제작 비용이 높아지고, 조립시 일일이 나사 결합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에서 걸림돌기를 삽입하는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프런트 패널을 양측에서 고정하여 에스커션에 접속시킴으로써 에스커션에 프런트 패널을 안정되게 접속하여 차량의 운행시 진동을 방지하고, 상기 착탈부재를 플라스틱으로 성형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카 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착탈장치가 1999년 3월 8일 등록번호 20-147220호로 등록된 바 있다.
즉, 에스커션(12)에서 분리되는 프런트 패널(11)을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릴리이즈 노브(13)를 누르면 모터(14)가 정회전하므로서 각각의 기어(15)(16)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기어(16)에 치합되는 래크(17)가 형성된 슬라이드 플레이트(18)는 기어(16)의 회전에 따라 래크(17)가 외부로 토출되는 상태가 되어 프런트 패널(11)이 각도조절 구간(a)에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 구간(a)의 최외각 상태에서 릴리이즈 노브(13)를 다시 온시키면 모터(14)가 역회전하여 프런트 패널(11)이 닫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AV 프런트 패널은, 공간적으로 제한적인 각도조절 구조로 인하여 기록매체를 1가지만 사용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다른 매체를 사용할 때 외부 입력에 의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의 각도조절 장치에 기구학적 링크 장치를 응용한 프런트 패널 개폐장치를 추가하여 화면의 각도조절 및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확보하고, 2개의 데크 메카니즘을 채용하여 기록 매체를 삽입 또는 취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는,
프런트 패널이 별도의 회전용 궤적을 갖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운동 수단과;
상기 프런트 패널의 회전 운동을 위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의 회전운동 수단으로 전달하는 회전운동 전달수단과;
상기 프런트 패널의 각도 조절시 모터의 회전에 따른 회전운동을 수평운동 수단으로 바꾸어 전달하기 위한 운동전달 수단과;
상기 운동전달 수단, 회전운동 전달수단 및 회전운동 수단에 의해 프런트 패널을 완전히 개폐시키는 프런트 패널개폐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카 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착탈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카 오디오의 프런트 패널의 각도조절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개폐상태의 초기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의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프런트 패널 22 : 각도조절 버튼
23 : 각도조절 모터 25, 45 : 워엄
26, 46 : 워엄 기어 28, 48 : 기어
29, 49 : 회전기어 31 : 피니언 기어
32 : 래크 33 : 슬라이드 플레이트
39 : 각도조절 궤적홀 40 : 회전힌지
43 : 개폐용 모터 51 : 섹터 기어
54 : 아암 링크 55 :아암 안내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는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 패널이 별도의 회전용 궤적을 갖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운동 수단과;
상기 프런트 패널의 회전 운동을 위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의 회전운동 수단으로 전달하는 회전운동 전달수단과;
상기 프런트 패널의 각도 조절시 모터의 회전에 따른 회전운동을 수평운동 수단으로 바꾸어 전달하기 위한 운동전달 수단과;
상기 운동전달 수단, 회전운동 전달수단 및 회전운동 수단에 의해 프런트 패널을 완전히 개폐시키는 프런트 패널개폐 수단으로 구성한다.
상기 회전운동 수단은 섹터 기어(51)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전운동 전달수단은 개폐용 모터(43), 워엄(45), 워엄 기어(46) 및 기어(48), 회전기어(49)를 포함하여 상기의 섹터 기어(5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운동전달 수단은, 각도조절 모터(23), 워엄(25), 워엄 기어(26) 및 기어(28), 회전기어(29), 피니언기어(31), 랙크(32) 및 슬라이트 플레이트(33)를 포함하여 프런트 패널(21)이 소정의 각도만큼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프런트 패널개폐 수단은 회전용 아암 링크(54)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조절된 상기의 프런트 패널을 완전히 개폐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프런트 패널의 각도조절 및 개폐의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에 의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운동전달 수단은 프런트 패널(21)의 각도조절 버튼(22)을 온시키면 동작하는 각도조절 모터(23)가 정회전하고,
상기 각도조절 모터(23)의 정회전에 의해 축(24)에 형성된 워엄(25)도 정회전하면서 이에 치합된 워엄 기어(2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워엄 기어(26)와 같은 축(27)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28)도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기어(2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회전기어(29)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의 회전기어(29)와 같은 축(30)에 형성된 피니언기어(3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래크(32)가 외부로 이동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의 래크(32)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트 플레이트(33)가 장공(34)(35)에 핀(36)(37)이 끼워진 상태에서 직선으로 얼마간 이동하면서 끝단의 힌지축(38)에 하단이 힌지결합된 프런트 패널(21)이 각도조절 궤적홀(39)에 상단의 회전힌지(40)가 끼워진 상태에서 하향으로 이동하는 각도조절이 행하여지도록 한다.
상기 회전운동 전달수단은 프런트 패널(21)의 카세트 테이프 취출버튼(41)이나 컴팩트 디스크 취출버튼(42)을 온시키면 상기의 각도조절의 동작을 수행한 후 동작하는 개폐용 모터(43)가 정회전하고,
상기 개폐용 모터(43)의 정회전에 의해 축(44)에 형성된 워엄(45)도 정회전하면서 이에 치합된 워엄 기어(4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워엄 기어(46)와 같은 축(47)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48)도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기어(4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회전기어(49)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의 회전기어(49)가 회전축(5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상기 회전운동 수단의 섹터 기어(5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운동 수단은 상기 회전운동 전달수단의 회전기어(49)에 의해 섹터 기어(51)가 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외주면에 형성한 돌기(53)가 프런트 패널개폐 수단의 회전용 아암 링크(54)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프런트 패널개폐 수단은 상기 회전운동 수단의 섹터 기어(51)에 돌출형성한 돌기(53)가 아암안내공(55)에 끼워지면서 회전용 아암 링크(54)가 상기 회전운동 전달수단의 회전기어(49)의 회전축(50)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용 아암 링크(54)의 타측이 결합된 상기 프런트 패널(21)의 상단 회전힌지(40)가 각도조절 궤적홀(39)의 개구부(39a)를 통하여 이탈한 상태에서 슬라이트 플레이트(33)의 끝단의 힌지축(38)에 힌지결합된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완전히 개폐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는,
먼저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각도조절 버튼(22)을 한번 온시키면 외부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각도조절 모터(23)가 정회전한다.
상기 각도조절 모터(23)의 정회전에 의해 축(24)에 형성된 워엄(25)도 정회전하면서 이에 치합된 워엄 기어(2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워엄 기어(26)와 같은 축(27)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28)도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기어(2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회전기어(29)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의 회전기어(29)와 같은 축(30)에 형성된 피니언기어(3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래크(32)가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래크(32)가 외부로 이동함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트 플레이트(33)가 장공(34)(35)에 핀(36)(37)이 끼워진 상태에서 직선으로 전방의 외부로 이동하면서 끝단의 힌지축(38)에 힌지결합된 프런트 패널(21)의 하단을 밀어주게 된다.
상기 프런트 패널(21)의 하단이 외부로 밀림에 따라 상단의 회전힌지(40)가 각도조절 궤적홀(39)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각도의 조절이 행하여지게 된다.
상기의 프런트 패널(21)의 내면에는 카세트의 안착부를 형성하여 각도가 조절된 프런트 패널(21)의 열려진 공간을 통하여 카세트의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프런트 패널(21)을 닫고자 할 경우에는 각도조절 버튼(22)을 다시 한번 온시키면 각도조절 모터(23)가 역회전한다.
상기 각도조절 모터(23)의 역회전에 의해 축(24)에 형성된 워엄(25)도 역회전하면서 이에 치합된 워엄 기어(2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워엄 기어(26)와 같은 축(27)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28)도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기어(2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회전기어(29)는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의 회전기어(29)와 같은 축(30)에 형성된 피니언기어(31)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에 치합된 래크(32)가 내부로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의 래크(32)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트 플레이트(33)가 장공(34)(35)에 핀(36)(37)이 끼워진 상태에서 직선으로 얼마간 이동하면서 끝단의 힌지축(38)에 하단이 힌지결합된 프런트 패널(21)이 각도조절 궤적홀(39)에 상단의 회전힌지(4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향으로 이동하여 원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삽입한 카세트 테이프를 취출하거나,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컴팩트 디스크를 삽입하거나 또는 삽입된 컴팩트 디스크를 취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도조절 버튼(22)을 온시키면 동작하는 각도조절 모터(23)가 정회전한다.
상기 각도조절 모터(23)의 정회전에 의해 축(24)에 형성된 워엄(25)도 정회전하면서 이에 치합된 워엄 기어(2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워엄 기어(26)와 같은 축(27)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28)도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기어(2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회전기어(29)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의 회전기어(29)와 같은 축(30)에 형성된 피니언기어(3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래크(32)가 외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의 래크(32)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트 플레이트(33)가 장공(34)(35)에 핀(36)(37)이 끼워진 상태에서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끝단의 힌지축(38)에 하단이힌지결합된 프런트 패널(21)이 각도조절 궤적홀(39)에 상단의 회전힌지(40)가 끼워진 상태에서 하향으로 이동하는 전술한 것과 같은 각도조절이 행하여지게 된다.
이때에는 카세트 테이프 취출버튼(41)이나 컴팩트 디스크 취출버튼(42)을 온시킨 상태이므로 각도조절 모터(23)가 얼마간 더 정회전하도록 하여 워엄(25), 워엄 기어(26), 기어(28), 회전기어(29), 피니언기어(31) 및 래크(32)를 통하여 슬라이트 플레이트(33)를 전방의 외부로 더 이동시켜 프런트 패널(21)의 상단의 회전힌지(40)가 각도조절 궤적홀(39)에서 이탈하도록 하고, 이 상태를 센서로 정확하게 인식하면 각도조절 모터(23)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의 프런트 패널(21)이 각도조절 궤적홀(39)에서 이탈한 상태를 인식하게 되면 개폐용 모터(43)가 정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용 모터(43)의 정회전에 의해 축(44)에 형성된 워엄(45)도 정회전하면서 이에 치합된 워엄 기어(4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워엄 기어(46)와 같은 축(47)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48)도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기어(4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회전기어(49)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의 회전기어(49)가 회전축(5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섹터 기어(5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기어(49)에 의해 섹터 기어(51)가 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외주면에 형성한 돌기(53)가 회전용 아암 링크(54)의 아암안내공(55)에 끼워지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개폐용 모터(43)가 계속 정회전하게 되면 워엄(45)에 치합된 워엄 기어(46)가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서 기어(48)를 통하여 회전기어(49)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기어(49)의 회전에 의해 섹터 기어(5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기어(49)에 의해 섹터 기어(51)가 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외주면에 형성한 돌기(53)가 아암안내공(55)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용 아암 링크(54)를 회전기어(49)의 회전축(5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의 회전용 아암 링크(5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의 타측이 결합된 상기 프런트 패널(21)의 상단 회전힌지(40)가 각도조절 궤적홀(39)의 개구부(39a)를 이탈한 상태에서 계속 회전하여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되면 센서를 통하여 인식한 후 개폐용 모터(43)가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프런트 패널(21)이 열린 상태에서 컴팩트 디스크를 취출하거나 카세트 테이프를 취출한 후, 컴팩트 디스크 취출 버튼(41) 또는 카세트 테이프 취출 버튼(42)을 입력하거나 컴팩트 디스크를 삽입한 경우에는, 개폐 모터(43)가 역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용 모터(43)의 역회전에 의해 축(44)에 형성된 워엄(45)도 역회전하면서 이에 치합된 워엄 기어(4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워엄 기어(46)와 같은 축(47)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48)도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기어(4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회전기어(49)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의 회전기어(49)가 회전축(5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섹터 기어(5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기어(49)에 의해 섹터 기어(51)가 축(5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외주면에 형성한 돌기(53)가 아암안내공(55)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용 아암 링크(54)를 회전기어(49)의 회전축(5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용 아암 링크(54)의 타측에 상단이 결합된 상기 프런트 패널(21)의 하단이 슬라이트 플레이트(33)의 끝단의 힌지축(38)에 힌지결합된 상태이므로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완전히 개폐된 상태에서 상향이동에 의해 얼마간 닫히도록 한다.
즉, 상기의 섹터 기어(51)가 축(5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용 아암 링크(54)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의 타측이 결합된 상기 프런트 패널(21)의 상단 회전힌지(40)가 각도조절 궤적홀(39)의 개구부(39a)에 끼워지기 전의 상태가 되면 각도조절이 완료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되므로 센서를 통하여 인식한 후 개폐용 모터(43)가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의 개폐용 모터(43)의 회전이 정지된 후에는 각도조절 모터(23)가 역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각도조절 모터(23)의 역회전에 의해 축(24)에 형성된 워엄(25)도 역회전하면서 이에 치합된 워엄 기어(2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워엄 기어(26)와 같은 축(27)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28)도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기어(2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회전기어(29)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의 회전기어(29)와 같은 축(30)에 형성된 피니언기어(31)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래크(32)가 내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의 래크(32)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트 플레이트(33)가 장공(34)(35)에 핀(36)(37)이 끼워진 상태에서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끝단의 힌지축(38)에 하단이 힌지결합된 프런트 패널(21)의 회전힌지(40)가 각도조절 궤적홀(39)의 개구부(39a)를 통하여 끼워진 상태가 되고 계속해서 각도조절 모터(23)가 얼마간 더 역회전하도록 하여 워엄(25), 워엄 기어(26), 기어(28), 회전기어(29), 피니언기어(31) 및 래크(32)를 통하여 슬라이트 플레이트(33)를 내부로 완전히 이동시켜 프런트 패널(21)의 상단 회전힌지(40)가 각도조절 궤적홀(39)을 통해 완전히 상향이동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 상태를 센서로 정확하게 인식하면 각도조절 모터(23)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는, 패널을 완전히 오픈할 수 있어 공간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2개의 데크를 채용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는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프런트 패널의 각도 조절시 모터의 회전에 따른 회전운동을 운동전달 수단에서 수평운동 수단으로 바꾸어 전달하도록 한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프런트 패널이 별도의 회전용 궤적을 갖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운동 수단과;
    상기 프런트 패널의 회전 운동을 위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의 회전운동 수단으로 전달하는 회전운동 전달수단과;
    상기 운동전달 수단, 회전운동 전달수단 및 회전운동 수단에 의해 프런트 패널을 완전히 개폐시키는 프런트 패널개폐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운동 전달수단은 프런트 패널(21)의 카세트 테이프 취출버튼(41)이나 컴팩트 디스크 취출버튼(42)을 온시키는 상태에 의해 개폐용 모터(43)가 정/역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개폐용 모터(43)의 정회전에 의해 축(44)에 형성된 워엄(45)도 정회전하면서 이에 치합된 워엄 기어(4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워엄 기어(46)와 같은 축(47)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48)도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기어(4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회전기어(49)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의 회전기어(49)가 회전축(5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상기 회전운동 수단의 섹터 기어(5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운동 수단은 상기 회전운동 전달수단의 회전기어(49)에 의해 외주면에 돌기(53)를 형성한 섹터 기어(51)가 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기 프런트 패널개폐 수단은 상기 회전운동 수단의 섹터 기어(51)에 돌출형성한 돌기(53)가 아암안내공(55)에 끼워지면서 회전용 아암 링크(54)가 상기 회전운동 전달수단의 회전기어(49)의 회전축(50)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용 아암 링크(54)의 타측이 결합된 상기 프런트 패널(21)의 상단 회전힌지(40)가 각도조절 궤적홀(39)의 개구부(39a)를 통하여 이탈한 상태에서 슬라이트 플레이트(33)의 끝단의 힌지축(38)에 힌지결합된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완전히 개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이브이(AV)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KR1020000039534A 2000-07-11 2000-07-11 자동차용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KR100345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534A KR100345281B1 (ko) 2000-07-11 2000-07-11 자동차용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US09/901,069 US7693390B2 (en) 2000-07-11 2001-07-10 Apparatus for controlling angle of AV front panel for automobile
JP2001210157A JP2002087176A (ja) 2000-07-11 2001-07-11 自動車用avフロントパネルの角度調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534A KR100345281B1 (ko) 2000-07-11 2000-07-11 자동차용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075A KR20020006075A (ko) 2002-01-19
KR100345281B1 true KR100345281B1 (ko) 2002-07-20

Family

ID=1967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534A KR100345281B1 (ko) 2000-07-11 2000-07-11 자동차용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93390B2 (ko)
JP (1) JP2002087176A (ko)
KR (1) KR100345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4829A (zh) * 2018-12-18 2019-04-23 山东超越数控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车载显示屏设备固定旋转的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105B1 (ko) * 2002-03-07 2008-02-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US7791586B2 (en) * 2003-05-15 2010-09-07 Audiovox Corporation Entertainment system mountable in a vehicle seat
US7954894B2 (en) * 2003-05-15 2011-06-07 Audiovox Corporation Headrest mountable video system
US7909397B2 (en) 2003-05-15 2011-03-22 Audiovox Corporation In-vehicle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media player
US7609946B2 (en) 2003-05-15 2009-10-27 Audiovox Corporation Portable video system
KR100503310B1 (ko) 2003-09-15 2005-07-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슬라이드 섀시 보강구조
KR100520991B1 (ko) 2003-09-15 2005-10-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구동부 어셈블리
JP4099594B2 (ja) * 2004-07-30 2008-06-11 ソニー株式会社 記憶媒体収納装置
KR100753466B1 (ko) 2005-03-30 2007-08-31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틸트 장치 및 전자기기
ES2451645T3 (es) 2005-11-07 2014-03-28 Audiovox Corporation Sistema audiovisual montable en un asiento de vehículo y procedimientos de montaje y visualización del mismo
KR100745793B1 (ko) * 2005-12-28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정보 단말기의 프런트 패널 각도 제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JP2007203935A (ja) * 2006-02-03 2007-08-16 Kenwood Corp 車載用電子機器の可動パネルガイドレールの取付構造
US20080162512A1 (en) * 2006-12-29 2008-07-03 Sanjeet Mall Efficient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for non-transactional data
US20080170165A1 (en) * 2007-01-16 2008-07-17 Mark Lee Reception Structure for Mobile Video and Audio Device
KR100798621B1 (ko) * 2007-04-26 2008-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널 회전장치
DE102010001196A1 (de) 2010-01-15 2011-07-2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42551 Vereinfachte Vorrichtung einer Kameraeinheit eines Kraftfahrzeugs
DE102010001108A1 (de) * 2010-01-15 2011-07-2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42551 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bewegbar gelagerten Kameraeinheit sowie Kraftfahrzeug
JP5653075B2 (ja) * 2010-05-25 2015-01-1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前面パネル装置
JP5728898B2 (ja) * 2010-11-19 2015-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パネル体の傾動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CN102537620B (zh) * 2012-03-02 2013-11-13 湖州鸿迪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显示器支架
JP6217106B2 (ja) * 2013-03-28 2017-10-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パネル装置
KR101481289B1 (ko) * 2013-07-05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이브이엔 모니터 작동장치
JP6391270B2 (ja) * 2014-03-31 2018-09-19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表示システム、及び、収納方法
CN107304921B (zh) * 2017-04-17 2019-02-01 浙江沐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电视曲面屏
CN107654810B (zh) * 2017-08-29 2019-04-26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7763382B (zh) * 2017-11-06 2020-06-09 苏州同美展示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博物馆展柜的监控装置
CN208021350U (zh) * 2018-02-11 2018-10-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显示屏组件和具有其的车辆
CN108167604A (zh) * 2018-02-12 2018-06-15 泰州市创新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器支撑架
CN109969095B (zh) * 2019-04-01 2021-03-19 常熟理工学院 一种用于隐藏车载显示屏的翻转装置
CN110103841A (zh) * 2019-04-18 2019-08-09 襄阳风神物流有限公司 一种可调节高度的agv红外避碰装置
JP7383419B2 (ja) * 2019-08-09 202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N112628566B (zh) * 2021-01-08 2022-10-25 吉林农业科技学院 一种计算机图像采集装置
CN113653917B (zh) * 2021-08-16 2022-05-20 昆明理工大学 一种一体化旋转式野生动物摄影装置及摄影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472A (ja) * 1998-05-07 1999-11-24 Xanavi Informatics Corp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122562A (ja) * 1998-10-09 2000-04-28 Harness Syst Tech Res Ltd 表示装置開閉機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130B2 (ja) * 1989-08-31 1995-11-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演奏装置
KR970038807A (ko) * 1995-12-28 1997-07-24 배순훈 전면 패널 회동구조
JP3172683B2 (ja) * 1996-10-09 2001-06-04 株式会社ケンウッド 車載用電子機器
JP2000172186A (ja) * 1998-12-04 2000-06-23 Fujitsu Ten Ltd フロントパネルの開閉構造
DE60027619T2 (de) * 1999-02-02 2006-09-14 Alpine Electronics Inc. Elektronisches Gerät mit beweglichem und einziehbarem Frontte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472A (ja) * 1998-05-07 1999-11-24 Xanavi Informatics Corp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122562A (ja) * 1998-10-09 2000-04-28 Harness Syst Tech Res Ltd 表示装置開閉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4829A (zh) * 2018-12-18 2019-04-23 山东超越数控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车载显示屏设备固定旋转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87176A (ja) 2002-03-26
US7693390B2 (en) 2010-04-06
KR20020006075A (ko) 2002-01-19
US20020005897A1 (en) 200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281B1 (ko) 자동차용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KR100944759B1 (ko) 전자장치
JPH1016654A (ja) パネル移動及び着脱装置
JP4245451B2 (ja) 車載機器用のパネル駆動装置
WO2008072397A1 (ja) パネル駆動装置
JP4337117B2 (ja) フロントパネル駆動装置
KR100467012B1 (ko) 자동차용 에이브이 모니터 개폐장치
JPH09123842A (ja) 車載用電子機器
US5038238A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a door accessing adjusting controls to a tape recorder
JP3186966B2 (ja) 車載用音響映像装置
KR0125935Y1 (ko) 자기기록재생기 프론트로딩기구의 캐리어 고정장치
JP2930155B2 (ja) 車載用機器の機構ロック装置
KR100539081B1 (ko) 카오디오 시스템
JP2569384Y2 (ja) 車載用機器
KR200187148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트레이 강제 취출장치
JP2003019926A (ja) 車載用電子機器
JP3039148B2 (ja) カセットデッキのカセット扉開閉機構
JP2000067496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切換機構
JPH05282762A (ja) カートリッジ挿入口のドア開閉装置
KR200157769Y1 (ko) 카 오디오용 더스트 커버
KR100316482B1 (ko) 카로직데크의레코드스위치결합장치
JPH09267699A (ja) 車載用電子機器
JP3647297B2 (ja) 車載用電子機器
JPH09251766A (ja) 車載用電子機器
JPH0660508A (ja) 磁気記録再生器のダブルモード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