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204B1 -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204B1
KR100338204B1 KR1019997010893A KR19997010893A KR100338204B1 KR 100338204 B1 KR100338204 B1 KR 100338204B1 KR 1019997010893 A KR1019997010893 A KR 1019997010893A KR 19997010893 A KR19997010893 A KR 19997010893A KR 100338204 B1 KR100338204 B1 KR 100338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hamber
valve
hydraulic press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2925A (ko
Inventor
도도다모쯔
쯔루따세이찌
우에하라히로까즈
Original Assignee
도오다 고오이찌로
가부시끼가이샤 유니시아 젝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294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70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025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7067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오다 고오이찌로, 가부시끼가이샤 유니시아 젝스 filed Critical 도오다 고오이찌로
Publication of KR2001001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2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3/00Lift-valve,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Parts or accessories thereof
    • F01L3/06Valve members or valve-seats with means for guiding or deflecting the medium controlled thereby, e.g. producing a rotary motion of the drawn-in cylinder 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밍 스프로켓(1)과 캠축(2)을 하우징(6) 내의 진각측 유압실(32)과 지각측 유압실(33)에의 상대적인 유압의 공급 배출에 의해서 베인(3)을 정역 회전시켜 상대 회전 위상을 변환시켜서 흡기 밸브의 개폐 시기를 변경 가능하게 한다. 또, 캠축의 정의 회전 변동 토크에 따른 베인의 지각측으로부터 진각측으로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역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10)를 설치했다. 이 규제 기구는 고압실(54)에 공급된 유압에 의해서 플런저(52)를 진출시켜 일측면(13a)에 항상 접촉시키고, 체크 밸브(56)에 의한 플런저(52)의 압박력에 의해 정의 변동 토크에 대하여 대항시키도록 했다. 베인의 회전중에 있어서의 캠축의 회전 변동 토크에 따른 역복귀 현상이 규제되어 밸브 타이밍의 제어 응답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VALVE TIMING CONTROL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종래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8-1211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개략을 설명하면, 이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는 상기 개구 단부가 전방 덮개와 후방 덮개로 폐색된 타이밍 풀리의 통 형상의 하우징 내부에, 캠축의 단부에 고정된 베인이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는 동시에, 하우징의 내주면에 직경 방향으로부터 서로 내측으로 돌출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두 개의 격벽부와 베인의 두 개의 블레이드부 사이에 진각측 유압실과 지각측 유압실이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기관 운전 상태에 따라서 상기 진각측과 지각측의 각 유압실에 유압이 공급 배출되어 걸리는 구동 유압에 의해 베인을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타이밍 풀리와 캠축의 상대 회전 위상을 변화시켜서 흡기 밸브의 개폐 시기를 변경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캠축에는 기관 작동중에 있어서의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력 등에 기인하여 정부(정회전, 역회전)의 회전 변동 토크(교번 토크)가 발생하고 있는 것은 주지한 바와 같지만, 전술한 베인의 지각측 또는 진각측으로의 회전 구동중에 상기 큰 변동 토크가 작용하면, 베인의 구동 유압이 회전 변동 토크의 반력을 못이기고 베인이 밀려 복귀됨으로써 베인의 회전 거동이 불안정해진다. 즉, 베인은 예를 들어 진각측으로 회전할 때, 진각측 유압실에 공급된 구동 유압이 정의 변동 토크의 반력을 못이기고 도8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진각측과 지각측으로의 정회전, 역회전(진퇴)을 반복하면서 진각측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캠축도 마찬가지로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타이밍 풀리와의 상대 회전을 행하므로, 기관 밸브의 개폐 시기 제어인 밸브 타이밍의 제어 응답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특히, 유압이 낮은 엔진 영역에 있어서 밸브 타이밍을 지각 제어로부터 진각 제어로 변화시킬 때의 장치의 응답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일본 특허 공개 평8-12112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베인의 내부에 역지 밸브와 파일럿 밸브로 이루어진 파일럿식 역지 밸브를 설치하고, 이 양밸브의 작동에 의해 진각측 또는 지각측 유압실에 공급된 구동 유압의 오일 통로내로의 역류를 규제하여 변동 토크에 따른 베인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것도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 후자의 종래예에 있어서는 파일럿식 역지 밸브를 사용하여 각 유압실내의 구동 유압의 역류를 저지하기는 하지만, 이 파일럿식 역지 밸브는 각 유압실에 공급된 유압을 직접 이용하여 작동하므로, 이러한 유압실내의 유압의 보유지지 능력의 저하에 의해서 작동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즉, 하우징 내부를 미끄럼 이동 회전하는 베인의 전후 단부면과 전방 덮개 및 후방 덮개 사이에는 베인의 양호한 미끄럼 이동 회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인접하는 각 유압실 사이에는 큰 압력차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한 쪽 유압실에 공급된 유압이 미소한 간극을 통해서 다른 쪽 유압실내로 누설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결과, 파일럿식 역지 밸브의 체크 기능이 저하되어 역류를 효과적으로 저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 하우징과 전방 덮개 및 후방 덮개 사이의 밀봉 부재도 장기간 경과후의 열화 등에 의해 각 유압실로부터 외부로의 유압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에도 파일럿식 역지 밸브의 체크 기능이 저하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결과, 밸브 타이밍의 제어 응답성이 저하되는 등의 전자의 종래예와 동일한 기술적 과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인 기관 밸브의 개폐 시기를 운전 상태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게 하는, 소위 베인형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3의 A-A선으로부터 본 도면.
도2는 본 실시 형태의 일부 확대도.
도3은 도1의 B-B선 단면도.
도4는 본 실시 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실시 형태에 이용되는 로크 기구를 도시한 도1의 C-C선 단면도.
도6은 본 실시 형태의 베인의 진각측으로의 회전 중간 위치를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7은 본 실시 형태의 베인의 최대 진각시의 작용 설명도.
도8은 본 실시 형태와 종래예의 베인의 회전 특성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11은 동 실시 형태의 베인의 최대 진각시의 작용 설명도.
도12는 본 실시 형태에 이용되는 시트 부재의 정면도.
도13은 본 실시 형태에 이용되는 시트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15는 동 실시 형태의 베인의 최대 진각시의 작용 설명도.
도16은 동 실시 형태의 베인의 중간 보유 지지시의 작용 설명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18은 동 요부 확대 단면도.
도19는 본 실시 형태의 베인의 최대 진각시에 있어서의 작용 설명도.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기관의 크랭크축에 의해서 회전 구동하는 회전체와, 외주에 기관 밸브를 작동시키는 구동캠을 구비하고 또 회전체와 상대 회전 가능한 캠축과, 상기 캠축의 단부에 고정되고 회전체의 하우징 내부를 미끄럼 이동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구비한 베인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와 상기 각 블레이드부의 양측면 사이에 구획 형성된 지각측 유압실 및 진각측 유압실과, 상기 양 유압실에 상대적으로 유압을 공급 배출하여 상기 베인을 정역 회전시키는 유압 회로를 구비한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과 베인 사이에, 기관 작동시 상기 캠축에 작용하는 회전 토크 변동에 따른 베인의 요동 진동을 규제하는 규제기구를 설치하며, 상기 규제 기구는 격벽부의 일측면에 압접되는 플런저와, 진각측 유압실과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 고압실과, 플런저가 격벽부의 일측면에 압접된 상태에서 진각측 유압실에서 고압실로만 유압의 유입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밸브를 통해 고압실로 유입한 유압의 작용에 의해 베인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플런저가 적어도 유압 또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대향벽에 압접되어 캠축에 작용하는 회전 토크 변동에 따른 베인의 요동 진동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규제 기구는 베인의 블레이드부 내에 형성된 작동용 구멍과, 상기 작동용 구멍내에 고정된 대략 통 형상의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외주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용 구멍으로부터 상기 격벽부의 일측면 또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압접되는 상기 플런저와, 상기 시트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간막이 벽을 거쳐서 구획 형성된 저장실 및 고압실과, 간막이 벽에 뚫려 상기 저장실과 고압실을 연통하는 연통로를 개폐하여 저장실로부터 고압실측으로만 작동액의 유통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저장실에 한 쪽 유압실의 유압을 공급 배출하는 공급 배출 통로와, 저장실 내의 유압이 저하되었을 때 상기 고압실 내의 작동액을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관 운전 상태의 변화에 따라 베인이 예를 들어 지각측 위치로부터 진각측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저장실에 공급된 유압이 체크 밸브의 밸브 부재를 밀어 개방하여 고압실로 유입되고, 상기 고압 오일에 의해 플런저를 예를 들어 격벽부의 일측면 방향으로 밀어내어 플런저의 선단부를 상기 일측면에 항상 압접시키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여기서 캠축으로부터 전달된 회전 토크 변동이 작용하여, 예를 들어 정의 변동 토크에 의해 진각측 유압실에 공급된 유압에 대항하여 베인을 지각측으로 되돌려 보내려고 하는 반력이 작용해도 플런저의 격벽부 일측면에 대한 압박력, 즉 버팀력에 의해서 정의 쪽 토크 변동을 이겨낸다. 이로 인해, 베인은 플런저의 진출에 따라 역회전이 확실하게 규제되면서 진각측으로 신속하게 회전한다. 그리고, 여기서 부의 회전 변동 토크는 베인을 진각측으로 회전시키는 조력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은 상기 정의 토크 변동을 흡수하면서 상기 부의 토크 변동을 조력할 수도 있으므로, 밸브 타이밍의 지각 제어로부터 진각 제어로 변화시킬 때의 장치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배출 수단은 시트 부재의 후방부측에 상기 다른 쪽 유압실의 유압에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전방 단부면 중앙에 고정되어 선단부가 저장실을 통해서 관통 구멍으로부터 체크 밸브의 밸브 부재를 가압하여 개방 작동시키는 푸시 로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다른 쪽 유압실의 유압이 높아지면 피스톤은 그 유압에 즉시 대응하여 피스톤 로드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그에 의해서 체크 밸브의 밸브 부재를 개방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다른 쪽 유압실의 압력 상승과 동시에 한 쪽 유압실 내의 오일을 신속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베인의 역회전 속도가 빨라져서 밸브 타이밍 제어의 응답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시트 부재와 플런저 사이에 형성되어 일단부가 고압실에 면하는 배출 통로부와, 상기 시트 부재의 주위벽에 관통 형성되어 배출 통로부의 타단부와 저장실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과, 시트 부재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장실의 유압에 따라서 상기 관통 구멍을 개폐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관통 구멍을 개폐하는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에 연결되고 저장실의 유압을 받아 밸브 부재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상기 밸브 부재와 간막이 벽 사이에 제어 밸브를 탄성 지지하는 보유 지지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제어 밸브의 미끄럼 이동시의 진동은 보유 지지 스프링에 의해서 억제되고, 그 결과 제어 밸브의 작동이 원활해진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제어 밸브는 수압부의 후방 단부측에 탄성적으로 장착되어 밸브 부재를 개방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상기 수압부의 후방 단부면을 상기 플런저가 진퇴 이동하는 유압실과 반대측의 다른 쪽 유압실에 면하게 설치하고, 상기 다른 쪽 유압실 내의 유압과 상기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의 공동 압력으로 밸브 부재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예를 들어 베인을 최대 진각 위치로부터 지각측으로 회전시키려고 유압 회로로부터 지각측 유압실에 유압을 공급하면, 이 유압이 수압부의 후방 단부면에 작용하는 한편, 저장실 내의 저압이 수압부의 전방 단부면에 작용하고, 수압부에 작용하는 이들 압력과 스프링 부재의 힘의 합성력에 의해서 밸브 부재가 전방으로 밀어내어지고 그 밸브 부재가 관통 구멍을 개방하게 된다. 이로 인해, 고압실 내의 유압은 관통 구멍을 통해서 일단 저장실로 신속하게 유입되고, 이곳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플런저는 격벽부의 일측면에 대한 압박력이 즉시 해제되어 자유롭게 후퇴 이동한다. 이에 따라, 베인은 지각측 유압실 내의 유압에 의해서 지각측으로 신속하게 회전할 수 있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은, 상기 배출 통로부를 시트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 또는 축방향 홈에 의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배출 통로부를 시트 부재의 외주면 전체가 아니라 축방향을 따라서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플런저에 대한 시트 부재의 외주면에 의한 큰 미끄럼 이동 안내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플런저의 직경 방향의 덜걱거림이나 편하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시트 부재의 외주면과 플런저의 내주면 사이의 마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1 기재의 발명은, 상기 규제 기구는, 베인의 블레이드부 내에 형성된 제1 미끄럼 이동용 구멍 및 제2 미끄럼 이동용 구멍과, 상기 양 미끄럼 이동용 구멍을 연통하는 오일 통로 구멍과, 상기 제1 미끄럼 이동용 구멍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머리부가 격벽부의 일측면 또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플런저와, 상기 제2 미끄럼 이동용 구멍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오일 통로의 일단부 개구를 개폐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의 바닥벽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한 쪽 유압실과 상기 오일 통로 구멍을 연통하는 연통로와, 밸브 부재내에 설치되어 한 쪽 유압실의 유압을 연통로로부터 오일 통로 구멍 방향으로만 유통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플런저와 밸브 부재를 각 미끄럼 이동용 구멍내에 따로 설치했기 때문에, 플런저 및 밸브 부재와 각 미끄럼 이동용 구멍의 밀봉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 결과 이러한 밀봉부의 간극을 크게 할 수 있어 각 수압실 내로 유입된 작동 오일내의 기포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2 기재의 발명은,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가 대향하는 대향벽을, 격벽부의 일측면 또는 하우징의 내주면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일측면 또는 내주면을 내마모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규제 기구의 장기간에 걸친 사용후에도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인의 지각측으로부터 진각측 또는 진각측으로부터 지각측으로의 회전시에 규제 기구에 의해 정부의 회전 변동 토크에 따른 베인의 역회전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으므로, 베인의 일방향으로의 회전 속도가 상승하여 밸브 타이밍 제어의 응답성이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은 규제 기구가 종래예와 같이 각 유압실의 유압을 직접 이용하여 오일 통로를 폐색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코일 스프링 또는 체크 밸브와 고압실의 유압을 이용하여 플런저를 진출시켜 대향벽에 압접시킴으로써 변동 토크에 대항시키는 것이므로, 설령 각 유압실 내의 유압이 외부로 누설되어 저압이 되더라도플런저의 진출 이동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항상 안정되고 또한 확실한 규제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흡기 밸브측에 적용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기관의 도시하지 않은 크랭크축에 의해 합성 수지로 된 타이밍 체인을 거쳐서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인 타이밍 스프로켓(1)과,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캠축(2)과, 상기 캠축(2)의 단부에 고정되어 타이밍 스프로켓(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베인(3)과, 상기 베인(3)을 유압에 의해서 정역 회전시키는 유압 회로(4)와, 타이밍 스프로켓(1)과 베인(3)의 상대 회전을 최대 지각측 회전 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 기구(10)와, 상기 캠축(2)에 작용하는 정의 회전 변동 토크에 따른 베인의 요동 진동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은 도3 및 도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에 타이밍 체인이 맞물리는 기어부(5a)를 지닌 회전 부재(5)와, 상기 회전 부재(5)의 전방에 배치되고, 베인(3)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통 형상의 하우징(6)과, 상기 하우징(6)의 전방단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인 원판형 전방 덮개(7)와, 하우징(6)과 회전 부재(5) 사이에 배치되고, 하우징(6)의 후방단 개구를 폐색하는 대략 원판형 후방 덮개(8)로 구성되고, 이들 회전 부재(5)와 하우징(6) 및 전방 덮개(7), 후방덮개(8)는 4개의 소경 볼트(9)에 의해서 축방향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 부재(5)는 대략 둥근 고리 모양을 이루고, 주위 방향의 약 90°의 등간격 위치에 각 소경 볼트(9)가 나사 결합되는 4개의 암나사 구멍(5b)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내부 중앙 위치에 후술하는 슬리브(25)가 끼워 맞춰지는 단차 직경형 끼워 맞춤 구멍(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단부면에는 상기 후방 덮개(8)가 끼워 맞춰지는 원판형 끼워 맞춤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6)은 전후 양단부가 개구 형성된 원통 형상을 이루고, 내주면의 주위 방향의 90 °위치에는 4개의 격벽부(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격벽부(13)는 대략 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각각 하우징(6)의 축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전후의 각 양단부 모서리가 하우징(6)의 양단부 모서리와 동일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기초 단부측에는 소경 볼트(9)가 삽입 관통하는 4개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14)이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격벽부(13)의 내측 단부면 중앙 위치에 축방향을 따라서 절결 형성된 보유 지지홈(13b) 내에 ㄷ자형의 밀봉 부재(15)와 상기 밀봉 부재(15)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판 스프링(16)이 끼워 맞춰져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 한 개의 격벽부(13)의 일측면(13a)이 만곡 형상으로 절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덮개(7)는 중앙에 비교적 대경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17)이 뚫려 있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6)의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14)과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볼트 구멍(18)이 뚫려 있다.
또, 후방 덮개(8)는 후방 단부면에 상기 회전 부재(5)의 끼워 맞춤홈(12) 내에 끼워 맞춰져서 보유 지지되는 원판부(8a)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중앙에 슬리브(25)의 소경의 둥근 고리형부(25a)가 끼워 넣어지는 삽입 구멍(8c)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볼트 삽입 관통 구멍(14)에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볼트 구멍(19)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축(2)은 실린더 헤드(22)의 상단부에 캠 베어링(23)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면 소정 위치에 흡기 밸브를 밸브 리프터를 거쳐서 개방 작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캠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전방 단부에는 플랜지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인(3)은 소결 합금재로 일체로 형성되고, 플랜지부(24)와 끼워 맞춤 구멍(11)에 각각 전후 부분이 끼워 맞춰진 상기 슬리브(25)를 거쳐서 축방향으로부터 삽입 관통된 고정 볼트(26)에 의해서 캠축(2)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에 상기 고정 볼트(26)가 삽입 관통하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27a)을 지닌 둥근 고리 형상의 로터부(27)와, 상기 로터부(27)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의 90 °위치에 일체로 형성된 4개의 블레이드부(2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블레이드부(28)는 3개가 횡단면이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고, 다른 하나가 단면이 대략 역사다리꼴 모양을 이루며, 각각이 각 격벽부(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각 외주면의 중앙의 축방향으로 절결된 보유 지지홈(29)에, 하우징(6)의 내주면(6a)에 미끄럼 접촉하는 ㄷ자형의 밀봉 부재(30)와 상기 밀봉 부재(30)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판 스프링(31)이 각각 끼워 넣어져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 이 각 블레이드부(28)의 양측과 각 격벽부(13)의 양측면 사이에 각각 4개의 진각측 유압실(32)과 지각측 유압실(33)이 격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압 회로(4)는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각측 유압실(32)에 대하여 유압을 공급 배출하는 제1 유압 통로(41)와, 지각측 유압실(33)에 대하여 유압을 공급 배출하는 제2 유압 통로(42)의 2계통 유압 통로를 구비하고, 이 양 유압 통로(41, 42)에는 공급 통로(43)와 배출 통로(44)가 각각 통로 절환용 전자 절환 밸브(45)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급 통로(43)에는 오일팬(46) 내의 오일을 압송하는 오일 펌프(47)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배출 통로(44)의 하류 단부가 오일팬(46)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1 유압 통로(41)는 실린더 헤드(22) 내로부터 캠축(2)의 축심 내부에 형성된 제1 통로부(41a)와, 고정 볼트(26)의 내부 축선 방향을 거쳐서 머리부(26a) 내에서 분기 형성되어 제1 통로부(41a)와 연통하는 제1 유로(41b)와, 상기 머리부(26a)의 소경의 외주면과 베인(3)의 기초부(27) 내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27a)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유로(41b)에 연통하는 오일실(41c)과, 베인(3)의 기초부(27) 내에 대략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오일실(41c)과 각 진각측 유압실(32)에 연통하는 4개의 분기로(41d)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유압 통로(42)는 실린더 헤드(22) 내 및 캠축(2)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제2 통로부(42a)와, 상기 슬리브(25)의 내부에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2 통로부(42a)와 연통하는 제2 유로(42b)와, 회전 부재(5)의 끼워 맞춤구멍(11)의 외주측 구멍 모서리에 형성되고, 제2 유로(42b)와 연통하는 4개의 오일 통로홈(42c)과, 후방 덮개(8)의 주위 방향의 약 90°위치에 형성되고, 각 오일 통로홈(42c)과 지각측 유압실(33)을 연통하는 4개의 오일 구멍(42d)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 절환 밸브(45)는 4포트 3위치 형태로서, 내부의 밸브 부재가 각 유압 통로(41, 42)와 공급 통로(43) 및 배출 통로(44)를 상대적으로 절환 제어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제어기(4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절환 작동되게 되어 있다. 제어기(48)는 기관 회전수를 검출하는 크랭크각 센서와 흡입 공기량을 검출하는 에어 플로우 미터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현재의 운전 상태를 검출하는 동시에, 크랭크각 및 캠각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타이밍 스프로켓(1)과 캠축(2)의 상대 회전 위치를 검출하고 있다.
상기 로크 기구(10)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부재(5)의 끼워 맞춤홈(12)의 외주측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5c)과, 이 결합홈(5c)에 대응한 상기 후방 덮개(8)의 소정 위치에 관통 형성되고 내주면이 테이퍼 형상인 결합 구멍(21)과, 상기 결합 구멍(21)에 대응한 상기 하나의 블레이드부(28)의 대략 중앙 위치에 내부 축방향을 따라서 관통 형성된 미끄럼 이동용 구멍(35)과, 상기 미끄럼 이동용 구멍(35)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크 핀(34)과, 상기 로크 핀(34)의 후방 단부측에 탄성적으로 장착된 스프링 부재인 코일 스프링(39)과, 로크 핀(34)과 미끄럼 이동용 구멍(35) 사이에 형성된 환상 수압실(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인(3)이 최대 지각측으로 회전한 시점에서 코일 스프링(39)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로크 핀(34)이 진출하여 선단 결합부(34a)가 결합 구멍(21)에 결합됨으로써 베인(3)을 후방 덮개(8)에 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한편, 진각측으로의 회전시에는 진각측 유압실(32)에의 유압의 공급과 동시에 오일 구멍(36)을 거쳐서 환상 수압실(40)에 동일한 유압이 공급되고, 로크 핀(34)을 코일 스프링(39)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후퇴 이동시켜서 상기 결합부(34a)와 결합 구멍(21)의 걸림 고정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규제 기구(20)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위 방향으로 두께가 두꺼운 하나의 블레이드부(28)에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부(28)의 진각측 유압실(32) 쪽의 내부 원주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작동용 구멍(50)과, 상기 작동용 구멍(50)의 내부에 고정된 원통형 시트 부재(51)와, 상기 시트 부재(51)의 외주면에 진각측 유압실(32)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고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52)와, 시트 부재(51)의 내부 전방 단부측에 설치된 간막이 벽(51a)의 전후, 즉 시트 부재(51)의 내부와 플런저 머리부(52a)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53) 및 고압실(54)과, 간막이 벽(51a)의 중앙에 뚫린 연통로(55)를 개폐하고, 저장실(53)의 유압을 고압실(54) 내로만 유입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56)와, 작동용 구멍(50)과 반대측에 설치되고, 전후 체크 밸브(56)를 개방 작동시키는 배출 수단(57)과, 저장실(53)과 상기 저장실(53)을 거쳐서 고압실(54)로 유압을 공급, 배출하는 공급 배출 통로(5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작동용 구멍(50)은 진각측 유압실(32)에 면하는 플런저(52)의 미끄럼이동용 구멍부와, 그 후방 단부측의 소경 구멍부로 구성되어 있고, 미끄럼 이동용 구멍부는 내주면이 플런저(52)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지니고, 플런저(5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원통형 공급 배출 통로(58)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시트 부재(51)는 후방 단부(51b)가 미끄럼 이동용 구멍부의 바닥부측에 형성된 소경 단차식 홈(50a) 내에 압입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후방 단부(51b)의 내부에 둥근 고리형 보유 지지부(59)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52)는 덮개가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선단부(52a)의 외면이 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선단부(52a)가 하나의 격벽부(13)의 횡단면의 만곡 형상으로 절결된 일측면(13a)에 접촉 배치되어 있고, 그 선단부(52a)의 내부에 상기 고압실(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크 밸브(56)는 고압실(54)의 내부에 설치되고, 연통로(55)를 개폐하는 볼 밸브 부재(62)와, 상기 볼 밸브 부재(62)를 컵 형상의 리테이너(63)를 거쳐서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밸브 스프링(64)과, 플런저 선단부(52a)의 바닥벽과 리테이너(63)의 외주 모서리 플랜지부 사이에 탄성적으로 장착되고, 리테이너(63) 및 볼 밸브 부재(62) 등을 격벽(51a) 방향으로 보유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6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리테이너(63)의 측면에는 저장실(53)의 유압을 고압실(54)로 도입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 수단(57)은 블레이드부(28)의 작동용 구멍(50)과 반대측에 형성된 실린더 홈(66)과, 상기 실린더 홈(66) 내부를 플런저(52)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대경의 피스톤(67)과, 상기 피스톤(67)의 전방 단부면 중앙에 일체로 고정되고 선단부가 연통로(55)로부터 볼 밸브 부재(62)를 가압하여 개방시키는 푸시 로드(68)로 구성되어 있다. 또, 실린더 홈(66)의 내주면 후방 단부에 구비한 끼움홈 내에는 피스톤(67)의 외측으로의 탈락을 규제하는 스톱퍼 링(69)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홈(66)은 내경이 비교적 대경으로 형성되고, 일단부 개구가 지각측 유압실(33)에 면하고, 따라서 피스톤(67)의 대경의 후방부 수압면(67a)에 지각측 유압실(33)의 유압이 작용하게 되어 있다.
상기 공급 배출 통로(58)는 작동용 구멍(50)의 내주면과 플런저(52)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진각측 유압실(32)과 연통하는 환상 통로부(58a)와, 시트 부재(51)의 후방 단부(51b) 주위벽에 뚫려 환상 통로부(58a)와 저장실(53)을 연통하는 한 쌍의 관통 구멍(60, 6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격벽부(13)의 만곡형 일측면(13a)은 세라믹 등의 내마모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기관 시동시 및 아이들링 운전시에는 제어기(48)로부터 제어 신호가 출력된 전자 절환 밸브(45)가 공급 통로(43)와 제2 유압 통로(42)를 연통시키는 동시에 배출 통로(44)와 제1 유압 통로(41)를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 오일 펌프(47)로부터 압송된 유압은 제2 유압 통로(42)(오일 통로홈(42c)→오일 구멍(42d))를 통해서 지각측 유압실(33)에 공급되는 한편, 진각측 유압실(32)에는 기관 정지시와 마찬가지로 유압이 공급되지 않아 저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베인(3)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블레이드부(28)가 진각측 유압실(32)측의 각 격벽부(13)의 일측면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타이밍 스프로켓(1)과 캠축(2)의 상대 회전 위치가 한 쪽(지각측)으로 보유 지지되어, 흡기 밸브의 개폐 시기를 지각측으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관성 흡기의 이용에 따른 연소 효율이 향상되어 기관 회전의 안정화와 연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여기서, 규제 기구(20)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각측 유압실(33)에 공급된 유압에 의해 피스톤(67)의 수압면(67a)이 가압되어 푸시 로드(68)가 볼 밸브 부재(62)를 밸브 스프링(64)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밀어내어 연통로(55)를 개방시키고 있는 동시에, 진각측 유압실(32)에는 유압이 공급되지 않아 고압실(54) 내부가 저압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플런저(52)는 진출 이동(신장 스트로크)하지 않고, 전술한 지각측 유압실(33)의 유압에 의한 상기 다른 3개의 베인(28)의 격벽부(13)의 일측면에의 접촉과 마찬가지로, 선단부(52a)가 대향하는 일측면(13a)에 접촉하고 있다.
또, 이 시동시에 있어서의 최대 지각측 위치에서는 로크 기구(10)의 로크 핀(34)에 의해서 베인(3)이 고정되어 회전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정부의 회전 토크 변동에 따른 베인(3)의 요동 진동이 억제된다.
그 후, 차량이 발진하여 기관이 저회전 저부하 영역으로부터 중회전 중부하 영역의 통상 운전으로 이행하면, 제어기(4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전자 절환 밸브(45)가 작동하여 공급 통로(43)와 제1 유압 통로(41)를 연통시키는 한편,배출 통로(44)와 제2 유압 통로(42)를 연통시킨다. 따라서, 이번에는 지각측 유압실(33) 내의 유압이 제2 유압 통로(42)를 통해서 배출 통로(44)로부터 오일팬(46) 내로 복귀되어 지각측 유압실(33)의 내부가 저압이 되는 한편, 진각측 유압실(32) 내로 유압이 제1 유로(41a, 41b) 및 분기로(41d)를 경유하여 공급되어 고압이 된다. 이로 인해, 로크 기구(10)는 수압실(40) 내의 유압의 상승에 따라 로크 핀(34)이 후퇴하여 베인(3)의 결합 고정을 해제하는 한편, 상기 베인(3)은 도1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각 블레이드부(28)가 도6에 도시한 중간 위치를 경유하여,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대측(지각측 유압실측) 각 격벽부(13)의 다른 측면에 접촉하는 최대 진각 위치까지 회전한다.
따라서, 타이밍 스프로켓(1)과 캠축(2)은 다른 쪽으로 상대 회전하여 흡기 밸브의 개폐 시기를 진각측으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기관의 펌프 손실이 저감하여 출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규제 기구(20)는 이러한 지각측으로부터 진각측으로 절환된 시점에서는 도6 및 도7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각측 유압실(33) 내의 유압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되어 저압 상태가 되므로, 피스톤(67) 및 푸시 로드(68)에 의한 볼 밸브 부재(62)의 개방 작동력이 해제된다. 한편, 진각측 유압실(32)에 공급된 유압이 공급 배출 통로(58)로부터 저장실(53)로 유입되고, 또 연통로(55)로부터 볼 밸브 부재(62)를 밸브 스프링(64)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밀어 개방하여 고압실(54) 내로 유입시킨다. 이로 인해, 플런저(52)는 블레이드부(28)의 도1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 스트로크량에 따라서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출(신장)하여 선단부(52a)가 일측면(13a)에 항상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캠축(2)으로부터 베인(3)에 전달된 변동 토크 중, 정의 변동 토크가 작용하여 블레이드부(28)를 반시계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고압실(54)의 압력이 높아져서 볼 밸브 부재(62)를 폐색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플런저(52)는 볼 밸브 부재(62)로 폐색된 고압실(54)의 유압에 의해서 후퇴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규제 기구(20)는 정의 변동 토크에 대한 베인(3)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대하여, 이를테면 압박력이 작용하여 상기 정의 변동 토크를 이겨낸다. 이에 의해, 베인(3)은 도8의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지각측으로부터 최대 진각측으로의 회전중에 플런저(52)의 진출에 따라 반시계 방향(지각측)으로의 회전이 확실하게 규제되면서 코일 스프링(65)의 조력에 힘입어 시계 방향(진각측)으로 신속하게 회전한다.
따라서,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한 캠축(2)의 진각측으로의 상대 회전 속도가 상승하여 밸브 타이밍의 제어 응답성이 향상된다.
또, 여기서 부의 회전 변동 토크는 베인(3)을 진각측으로 회전시키는 조력으로서 작용하므로, 밸브 타이밍의 제어 응답성이 한층 더 향상되게 된다.
또, 격벽부(13)의 일측면(13a)은 내마모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52)의 선단부(52a)가 정의 변동 토크에 의해서 항상 압접된 상태가 계속되어도 마모의 발생이 없어 내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기관 고회전 고부하 영역으로 이행하면, 전자 절환 밸브(45)가 작동하여 아이들링 운전시 등과 마찬가지로 공급 통로(43)와 제2 유압 통로(42), 배출통로(44)와 제1 유압 통로(41)를 각각 연통시키고, 진각측 유압실(32)을 저압, 지각측 유압실(33)을 고압으로 하므로, 베인(3)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타이밍 스프로켓(1)과 캠축(2)을 한 쪽으로 상대 회전시켜 흡기 밸브의 개폐 시기를 지각측으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흡기 충전 효율의 향상에 따른 출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지각측 유압실(33)에 공급된 유압에 의해서 피스톤(67)이 전방으로 가압되어 푸시 로드(68)가 볼 밸브 부재(62)를 밀어 개방하므로, 고압실(54) 내의 유압이 연통로(55)로부터 저장실(53)을 거쳐서 공급 배출 통로(58)로부터 진각측 유압실(32)로 유입되고, 또 여기서 진각측 유압실(32) 내의 유압과 함께 제1 유압 통로(41) 및 배출 통로(44)를 통해서 배출된다. 따라서, 플런저(52)의 압박력이 해제되고, 베인(3)을 반시계 방향(지각측)으로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복귀 응답성도 양호해진다.
또, 이 시점에서는 기관의 고회전화에 따라 오일 펌프(47)의 토출 압력도 높아져 있으므로, 최대 지각 위치에 회전 보유 지지된 베인(3)은 지각측 유압실(33)의 높은 유압에 의해 진각측 유압실(32)측의 격벽부(13) 방향으로 강하게 밀어 붙여진다. 따라서, 정부의 변동 토크에 의한 베인(3)의 요동 진동(덜걱거림)이 억제되고 있다.
또, 규제 기구(20)에 의한 베인(3)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변동 토크에 의한 진각측 유압실(32)의 일시적인 고압화에 따른 상기 진각측 유압실(32)로부터의 유압의 외부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동 오일의 소비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규제 기구(20)를 하나의 블레이드부(28)의 내부 대략 직경 방향으로 배치한 것이다. 즉, 블레이드부(28)의 외주면(28a)이 테이퍼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외주면(28a)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부터 작동용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작동용 구멍(50) 내에 통 형상의 시트 부재(51)와 플런저(5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저장실(53)에는 베인(3)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 구멍(70)을 거쳐서 진각측의 제1 유압 통로(41)로부터 유압이 공급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실린더 홈(66)에는 마찬가지로 베인(3)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 구멍(71)을 거쳐서 지각측 유압실(33)로부터 유압이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플런저(52)의 선단부(52a)가 접촉하는 하우징(6)의 내주면(6a)은 내마모재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플런저(52)가 하우징(6)의 내주면(6a)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므로, 각 통로 구멍(70, 71)의 연통 대상을 변경할 뿐으로 베인(3)의 진각측으로부터 지각측으로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규제 기구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 실시 형태와는 규제 기구(20)의 작동용 구멍(50), 시트 부재(51), 플런저(52), 체크 밸브(56) 등의 기본 구성은 대략 동일하지만, 특히 배출 수단(57)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배출 수단(57)은 고압실(54) 내에 공급된 유압을 저장실(53) 내로 복귀시키는 복귀 통로(72)와, 시트 부재(51)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귀 통로(72)를 개폐하는 스풀 형상의 제어 밸브(7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귀 통로(72)는 시트 부재(51)의 간막이 벽(51a) 근방에 직경 방향을 따라서 뚫려 저장실(53)에 면하는 제2 관통 구멍(72a)과, 시트 부재(51)의 간막이 벽(51a)측의 외주면과 플런저(52)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제2 관통 구멍(72a)과 고압실(54)을 연통하는 통로홈(72b)(배출 통로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통로홈(72b)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부재(51)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2 관통 구멍(72a)의 외주에 형성된 둥근 고리형 홈부(72c)와, 상기 둥근 고리형 홈부(72c)로부터 축방향으로 직선상으로 형성된 축방향 홈부(72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 밸브(73)는 저장실(53)의 간막이 벽(51a)측의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 제2 관통 구멍(72a)을 개폐하는 밸브 부재(73a)와, 상기 밸브 부재(73a)의 반대측에 밸브축을 거쳐서 설치되고 시트 부재(51)의 후방 단부(51b) 내를 미끄럼 이동하는 수압부(73b)와, 상기 밸브 부재(73a)와 간막이 벽(51a) 사이에 탄성적으로 장착되고 밸브 부재(73a)를 상기 복귀 통로(72)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귀환 스프링(73c)(보유 지지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부재(73a)는 횡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 그 길이가 간막이 벽(51a)과 제2 관통 구멍(72a)의 구멍 모서리 부근까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고, 전방 단부 모서리가 간막이 벽(51a)의 단부면에 접촉한 단계에서 제2 관통 구멍(72a)을 완전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는 한편, 수압부(73b)가 작동용 구멍(50)의 바닥면에 접촉 이동한 상태에서 제2 관통 구멍(72a)을 완전 폐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밸브 부재(73a)에는 저장실(53)과 연통로(55)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74)이 뚫려 있다.
상기 수압부(73b)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저장실(53)측의 전방 단부면이 제1 수압면으로서 형성되고, 후방 단부면이 제2 수압면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압면과 작동용 구멍(5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수압실(75)에는 블레이드부(28)의 기초 단부에 뚫린 관통 구멍(28a)을 거쳐서 지각측 유압실(33)의 유압이 공급되게 되어 있다.
상기 귀환 스프링(73c)은 저장실(53)과 수압실(75)에 유압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밸브 부재(73a)를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정도의 작은 설정 하중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규제 기구(2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전술한 기관 시동시 및 아이들링 운전시에 있어서의 규제 기구(20)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각측 유압실(33)에 공급된 유압에 의해서 수압부(73b)의 제2 수압면이 가압되고, 밸브 부재(73a)를 간막이 벽(51a)측으로 밀어 붙여서 제2 관통 구멍(72a)을 완전 개방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52)는 고압실(54) 내부가 저압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진출 이동(신장 스트로크)하지 않고, 전술한 지각측 유압실(33)의 유압에 의한 상기 다른 3개의 베인(28)의 격벽부(13)의 일측면에의 접촉과 마찬가지로, 선단 머리부(52a)가 대향하는 일측면(13a)에 접촉하고 있다.
그 후, 차량이 발진하여 기관이 저회전 저부하 영역으로부터 중회전 중부하 영역의 통상 운전으로 이행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인(3)이 도10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격벽부(13)의 다른 측면에 접촉하는 최대 진각 위치까지 회전한다.
그리고, 규제 기구(20)는 이러한 지각측으로부터 진각측으로 절환된 시점에서는 지각측 유압실(33) 내의 유압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되어 저압 상태가 되므로, 수압실(75) 내의 유압도 관통 구멍(28a)을 거쳐서 지각측 유압실(33)로 복귀되어 저압이 된다. 한편, 진각측 유압실(32)에 공급된 유압이 도11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배출 통로(58)를 통해서 저장실(53) 내로 유입되고, 수압부(73b)의 제1 수압면을 가압하여 수압부(73b)를 작동용 구멍(50)의 바닥면에 밀어 붙인다. 따라서, 밸브 부재(73a)는 밸브축을 거쳐서 수압실(75)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제2 관통 구멍(72a)을 완전 폐쇄 상태로 한다. 이로 인해, 제2 관통 구멍(72a)를 거친 고압실(54)과 저장실(53)의 연통이 차단되는 한편, 저장실(53) 내의 유압이 밸브 부재(73a)의 각 관통 구멍(74)을 통해서 연통로(55)로부터 밸브 스프링(64)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볼 밸브 부재(62)를 밀어 개방하면서 고압실(54) 내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플런저(52)는 블레이드부(28)의 도10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 스트로크량에 따라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출(신장)하여 머리부(52a)가 일측면(13a)에 항상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캠축(2)으로부터 베인(3)에 전달된 변동 토크 중, 정의 변동 토크가작용하여 블레이드부(28)를 반시계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플런저(52)는 코일 스프링(65)의 압박력과 볼 밸브 부재(62)로 폐색된 고압실(54)의 유압에 의해서 후퇴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정의 변동 토크에 대한 베인(3)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대하여, 이를테면 압박력이 작용하여 상기 정의 변동 토크를 이겨낸다. 이에 의해, 베인(3)은 최대 지각측으로부터 최대 진각측으로의 회전중에 플런저(52)의 진출에 따라 반시계 방향(지각측)으로의 회전이 확실하게 규제되면서 시계 방향(진각측)으로 신속하게 회전한다. 또, 코일 스프링(65)의 압박력이 베인(3)의 시계 방향(진각측)으로의 회전을 조력한다.
따라서, 타이밍 스프로켓(1)과 캠축(2)의 진각측으로의 상대 회전 속도가 상승하여 밸브 타이밍의 제어 응답성이 향상된다.
한편, 기관 중회전 중부하 영역으로부터 고회전 고부하 영역으로 이행한 경우는 진각측 유압실(32)로부터 작동 오일이 배출되는 한편, 지각측 유압실(33)에 유압이 공급되고, 이 유압이 배출 수단(57)을 거쳐서 저장실(53)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어 밸브(73)의 밸브 부재(73a)는 수압실(75) 내의 상승 유압에 의해서 간막이 벽(51a) 방향으로 신속하게 미끄럼 이동하여 제2 관통 구멍(72a)을 개방한다. 이로 인해, 고압실(54)의 작동 오일이 제2 통로(72)를 통해서 일단 저장실(53)로 유입되고, 이곳으로부터 공급 배출 통로(58), 진각측 유압실(32)을 거쳐서 배출 통로(44)로 배출된다. 따라서, 플런저(52)는 격벽부의 일측면(13a)에 대한 압박력이 즉시 해제되어 자유롭게 후퇴 이동한다.
이에 의해, 베인(3)은 지각측 유압실(33) 내의 유압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지각측)으로 신속하게 회전할 수 있고, 타이밍 스프로켓(1)과 캠축(2)을 한 쪽으로 상대 회전시켜 흡기 밸브의 개폐 시기를 지각측으로 응답성 좋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 충전 효율의 향상에 따른 출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51)의 외주에 형성되는 통로홈(72b)을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관통 구멍(72a)의 외주에 형성된 둥근 고리형 홈부(72c)로부터 직선형이 아니라 나선형으로 형성한 나선홈(72d)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14 내지 도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 형태는 제3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한 기본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배출 수단(57)을 구성하는 제어 밸브(173)의 구성이 약간 다르다.
즉, 제어 밸브(173)는 저장실(53)의 간막이 벽(51a)측의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고 제2 관통 구멍(72a)을 개폐하는 밸브 부재(173a)와, 상기 밸브 부재(173a)의 반대측에 밸브축을 거쳐서 설치되고 시트 부재(51)의 후방 단부내를 미끄럼 이동하는 수압부(173b)를 구비하고 있는 점은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수압부(173b)의 후방 단부측에 밸브 부재(173a)를 개방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로서 귀환 스프링(173c)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귀환 스프링(173c)은 블레이드부(28)에 형성된 소경 홈부(50a)의 바닥면과 상기 수압부(173b) 사이에 개재되어 장착되고, 기관 정지시와 같이 수압실(75)과 저장실(53)의 액압 차이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밸브 부재(173a)를 간막이 벽(51a)에 밀어 붙이고, 그에 의해 밸브 부재(173a)가 제2 관통 구멍(72a)을 완전 개방으로 하게 되어 있다. 또, 밸브 부재(173a)는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그 축 길이가 간막이 벽(51a)과 제2 관통 구멍(72a)의 구멍 모서리 부근까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밸브 부재(173a)의 전방 단부면이 간막이 벽(51a)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관통 구멍(72a)을 완전 개방으로 하고, 그 상태로부터 밸브 부재(173a)가 수압실(75)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관통 구멍(72a)을 점차로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므로, 기관의 저회전 저부하시와 고회전 고부하시에는 제어 밸브(173)의 수압부(173b)에 작용하는 지각측 유압실(33)의 유압과 귀환 스프링(173c)의 스프링력의 합성력에 의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인(3)의 블레이드부(28)가 반시계 방향으로 변위하고, 한편 기관의 중회전 중부하시에는 제어 밸브(173)의 수압부(173b)에 작용하는 진각측 유압실(32)의 유압에 의해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인(3)의 블레이드부(28)가 시계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캠축(2)의 지각측과 진각측의 절환 제어는 이상과 같이 행해지는데, 지각측으로부터 진각측으로의 절환 제어시에는 제어 밸브(173)의 수압부(173b)에 진각측 유압실(32)의 고압이 작용함으로써 밸브 부재(173a)가 제2 관통 구멍(72a)을 폐쇄하는 한편, 진각측 유압실(32)의 유압이 체크 밸브(56)를 개방하여 고압실(54)에 도입되고, 그에 따라서 플런저(52)가 진출하여 그 선단부면이 격벽부(51a)의 일측면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플런저(52)에 의한 압박력이 작용하여 캠축(2)에 작용하는 정의 변동 토크에 의한 베인(3)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저지된다.
한편, 캠축(2)의 진각측으로부터 지각측으로의 절환 제어시에는 제어밸브(173)의 수압부(173b)에 지각측 유압실(33)의 고압이 작용함으로써 밸브 부재(173a)가 제2 관통 구멍(72a)을 개방하고, 그 결과 베인(3)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고압실(54) 내의 유압이 신속하게 배출된다.
또, 기관 정지시와 같이 수압실(75)과 저장실(53)의 액압 차이가 거의 없는 상태에 있어서는 귀환 스프링(173c)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밸브 부재(173a)가 간막이 벽(51a)에 밀어 붙여지고, 그 결과 밸브 부재(173a)가 제2 관통 구멍(72a)을 완전 개방하여 고압실(54) 내의 유압을 외부로 배출한다.
그런데, 이상에서는 베인(3)을 최대 지각 위치와 최대 진각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로 변위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어기(48)(도3 참조)에 의한 제어에 의해서 전자 절환 밸브(45)를 적절하게 단속적으로 절환 작동시킴으로써 베인(3)을 임의의 중간 회전 위치에 보유 지지시킬 수도 있다.
즉, 이 경우 전자 절환 밸브(45)를 단속적으로 절환 작동시킴으로써 진각측 유압실(32)과 지각측 유압실(33)로의 공급 오일량을 적절하게 조정하고, 그 조정을 완료한 시점에서 양 유압실(32, 33)에 대한 유로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각 유압실(32, 33)에는 대략 균일한 유압이 공급되고, 베인(3)의 각 블레이드부(28)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각측과 지각측의 대략 중간 위치에 보유 지지되고, 타이밍 스프로켓(1)과 캠축(2)의 상대 위치가 중간 회전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이 때, 저장실(53)과 수압실(75)에는 각 유압실(32, 33)과 마찬가지로 대략 균일한 유압이 공급되므로, 밸브 부재(173a)는 귀환 스프링(173c)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간막이 벽(51a)측으로 압박되어 제2 관통 구멍(72a)을 개방한다. 따라서, 플런저(52)는 압박력이 해제되어 자유로운 상태로 되는데, 이 시점에서는 베인(3)이 중간 위치에 보유 지지될 뿐이므로, 정부의 변동 토크가 작용해도 제어 응답성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17 내지 도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규제 기구(20)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즉, 이 규제 기구(20)는 하나의 베인(3)의 블레이드부(28) 내에 형성된 제1 미끄럼 이동용 구멍(80)과, 상기 제1 미끄럼 이동용 구멍(80)과 나란히 형성된 제2 미끄럼 이동용 구멍(81)과, 블레이드부(28)의 내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양 미끄럼 이동용 구멍(80, 81)을 연통하는 오일 통로 구멍(83)과, 상기 제1 미끄럼 이동용 구멍(80)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머리부(84a)가 진각측 유압실(32)로부터 격벽부(13)의 일측면(13a)에 접촉하는 플런저(84)와, 상기 제2 미끄럼 이동용 구멍(81)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일 통로 구멍(83)의 일단부 개구(83a)를 개폐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밸브 부재(85)와, 상기 밸브 부재(85)의 바닥벽에 관통 형성되고 진각측 유압실(32)과 오일 통로 구멍(83)을 연통하는 연통로(86)와, 밸브 부재(85)의 내부에 설치되고 진각측 유압실(32)의 유압을 밸브 부재(85) 내의 고압실(87)을 거쳐서 오일 통로 구멍(83) 방향으로만 유입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88)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84)는 제1 미끄럼 이동용 구멍(80)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장착된 압축 스프링(89)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진출 방향으로 압박 보유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오일 통로 구멍(83)과 연통하는 제1 미끄럼 이동용 구멍(80)의후방 단부에 구비한 제1 수압실(90) 내로 유압에 의해서 진출 방향으로 가압되게 되어 있다.
상기 밸브 부재(85)는 스풀 형상을 이루고, 주위벽의 중앙에 긴 홈(91)을 거쳐서 고압실(87)에 적절하게 연통하는 관통 구멍(92)이 직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2 미끄럼 이동용 구멍(81)의 바닥면측의 단차면(81a)에 접촉한 가장 좌측 방향의 미끄럼 이동 위치에서 긴 홈(91)이 오일 통로 구멍(83)에 연통하고, 제2 미끄럼 이동용 구멍(81)의 개구 모서리에 설치된 스톱퍼 링(93)에 맞닿는 가장 우측 방향의 위치에서 오일 통로 구멍(83)과의 연통를 차단하게 되어 있다. 또, 밸브 부재(85)는 전방 단부면(85a)이 진각측 유압실(32)의 유압에 의해 가장 좌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한편, 제2 미끄럼 이동용 구멍(81)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장착된 코일 스프링(94)의 스프링력으로 도면중 우측 방향, 즉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는 동시에, 후방부측의 제2 수압실(95)에 관통 구멍(28a)을 거쳐서 공급된 지각측 유압실(33)의 유압에 의해서 마찬가지로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관 시동시 및 아이들링 운전시에는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각측 유압실(33)에 공급된 저유압과 코일 스프링(94)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밸브 부재(85)가 가장 우측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긴 홈(91)과 오일 통로 구멍(83)의 연통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플런저(84)는 제2 수압실(95)로부터 오일 통로 구멍(83)을 거쳐서 공급된 제1 수압실(90) 내의 저유압과 압축 스프링(89)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약한 힘으로 진출하여머리부(84a)가 일측면(13a)에 접촉한다. 이 시점에서는 지각측 유압실(33)에 공급된 저유압이 수압 면적이 큰 블레이드부(28)의 일측면에 작용하므로, 베인(3)은 플런저(84)의 반력에 의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반시계 방향으로 밀어 붙여져 있다.
또, 기관이 저회전 영역으로부터 중회전 중부하 영역의 통상 운전으로 이행하면, 전자 절환 밸브(45)의 절환 작동에 의해 지각측 유압실(33)의 유압이 배출되는 한편, 진각측 유압실(32)에 고압 오일이 공급된다. 이로 인해, 베인(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부재(85)의 전방 단부면(85a)에 작용한 고압 오일에 의해서 밸브 부재(85)가 가장 좌측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동시에 체크 밸브(88)가 개방되어 진각측 유압실(32)의 고압 오일이 고압실(87)로부터 관통 구멍(92), 긴 홈(91), 오일 통로 구멍(83)을 통해서 제1 수압실(90)에 공급된다. 따라서, 플런저(84)는 전방으로 진출하여 압박력을 발휘하여 정의 토크 변동에 대항한다. 이에 의해, 베인(3)은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코일 스프링(65)의 조력에 힘입어 지각측으로부터 진각측으로의 회전 속도가 빨라져서 응답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플런저(84)와 밸브 부재(85)를 각 미끄럼 이동용 구멍(80, 81)에 각각 개별로 설치했으므로, 플런저(84)와 제1 미끄럼 이동용 구멍(80) 사이의 밀봉 길이(미끄럼 접촉 면적)와, 밸브 부재(85)와 제2 미끄럼 이동용 구멍(81) 사이의 밀봉 길이(미끄럼 접촉 면적)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러한 밀봉 부위의 간극의 크기를 비교적 크게 설정할 수 있고, 상기 큰 간극에 의해서 각 수압실(90, 95)에 유입된 작동 오일속의 기포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 압축 스프링(89)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캠 토크 변동이 큰 엔진에서도 고하중의 압축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크게 하지 않고 설정 하중을 비교적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압축 스프링이 파손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규제 기구(20)를 각 블레이드부(28)에 2개 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플런저(52)를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고, 베인(3)의 진각측으로부터 지각측으로의 회전중에 있어서 부의 변동 토크에 대한 회전 복귀를 규제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양 쪽을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고압실(54)에 공급되는 유압의 유압 회로를 각 유압실(32, 33)의 유압 회로(4)와는 독립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리고 배출 수단(57)을 다른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기관의 크랭크축에 의해서 회전 구동하는 회전체와, 외주에 기관 밸브를 작동시키는 구동캠을 구비하고 또 회전체와 상대 회전 가능한 캠축과, 상기 캠축의 단부에 고정되고 회전체의 하우징 내부를 미끄럼 이동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구비한 베인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와 상기 각 블레이드부의 양측면 사이에 구획 형성된 지각측 유압실 및 진각측 유압실과, 상기 양 유압실에 상대적으로 유압을 공급 배출하여 상기 베인을 정역 회전시키는 유압 회로를 구비한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과 베인 사이에, 기관 작동시 상기 캠축에 작용하는 회전 토크 변동에 따른 베인의 요동 진동을 규제하는 규제기구를 설치하며,
    상기 규제 기구는
    격벽부의 일측면에 압접되는 플런저와,
    진각측 유압실과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 고압실과,
    플런저가 격벽부의 일측면에 압접된 상태에서 진각측 유압실에서 고압실로만 유압의 유입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밸브를 통해 고압실로 유입한 유압의 작용에 의해 베인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유압 또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진출하여 대향벽에 압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기구는 베인의 블레이드부 내에 형성된 작동용 구멍과, 상기 작동용 구멍내에 고정된 대략 통 형상의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외주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용 구멍으로부터 상기 격벽부의 일측면 또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압접되는 상기 플런저와, 상기 시트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간막이 벽을 거쳐서 구획 형성된 저장실 및 고압실과, 간막이 벽에 뚫려 상기 저장실과 고압실을 연통하는 연통로를 개폐하여 저장실로부터 고압실측으로만 작동액의 유통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저장실에 한 쪽 유압실의 유압을 공급 배출하는 공급 배출 통로와, 저장실 내의 유압이 저하되었을 때 상기 고압실 내의 작동액을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시트 부재의 후방부측에 상기 다른 쪽 유압실의 유압에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전방 단부면 중앙에 고정되어 선단부가 저장실을 통해서 관통 구멍으로부터 체크 밸브의 밸브 부재를 가압하여 개방 작동시키는 푸시 로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시트 부재와 플런저 사이에 형성되어 일단부가 고압실에 면하는 배출 통로부와, 상기 시트 부재의 주위벽에 관통 형성되어 배출 통로부의 타단부와 저장실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과, 시트 부재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장실의 유압에 따라서 상기 관통 구멍을 개폐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관통 구멍을 개폐하는 밸브 부재와,상기 밸브 부재에 연결되고 저장실의 유압을 받아 밸브 부재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와 간막이 벽 사이에 제어 밸브를 탄성 지지하는 보유 지지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는 수압부의 후방 단부측에 탄성적으로 장착되어 밸브 부재를 개방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부의 후방 단부면을 상기 플런저가 진퇴 이동하는 유압실과 반대측의 다른 쪽 유압실에 면하게 설치하고, 상기 다른 쪽 유압실 내의 유압과 상기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의 공동 압력으로 밸브 부재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통로부를 시트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 또는 축방향 홈에 의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기구는, 베인의 블레이드부 내에 형성된 제1 미끄럼 이동용 구멍 및 제2 미끄럼 이동용 구멍과, 상기 양 미끄럼 이동용 구멍을 연통하는 오일 통로 구멍과, 상기 제1 미끄럼 이동용 구멍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머리부가 격벽부의 일측면 또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플런저와, 상기 제2 미끄럼 이동용 구멍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오일 통로의 일단부 개구를 개폐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의 바닥벽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한 쪽 유압실과 상기 오일 통로 구멍을 연통하는 연통로와, 밸브 부재내에 설치되어 한 쪽 유압실의 유압을 연통로로부터 오일 통로 구멍 방향으로만 유통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가 대향하는 대향벽을, 격벽부의 일측면 또는 하우징의 내주면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일측면 또는 내주면을 내마모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KR1019997010893A 1998-03-25 1999-03-19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KR100338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676298 1998-03-25
JP98-76762 1998-03-25
JP11294898A JP3817065B2 (ja) 1998-04-23 1998-04-23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98-112948 1998-04-23
JP12025998A JP3817067B2 (ja) 1998-03-25 1998-04-30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98-120259 1998-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925A KR20010012925A (ko) 2001-02-26
KR100338204B1 true KR100338204B1 (ko) 2002-05-27

Family

ID=2730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893A KR100338204B1 (ko) 1998-03-25 1999-03-19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63843B1 (ko)
KR (1) KR100338204B1 (ko)
DE (1) DE19980580T1 (ko)
WO (1) WO19990491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77B1 (ko) * 1999-08-17 2003-11-21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가변밸브 타이밍 제어장치
JP4224944B2 (ja) * 2000-03-01 2009-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02122009A (ja) * 2000-08-09 2002-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4159241B2 (ja) 2000-11-30 2008-10-01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4001070B2 (ja) * 2003-07-22 2007-10-3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弁開閉時期制御装置
DE10161258A1 (de) * 2001-12-13 2003-07-03 Bosch Gmbh Robert Kraftstoffhochdruckpumpe mit integrierter Sperrflügel-Vorförderpumpe
WO2003083270A1 (en) * 2002-03-28 2003-10-09 Cogen Microsystems Pty Ltd Reciprocating engine and inlet system therefor
GB0303556D0 (en) * 2003-02-17 2003-03-19 Delphi Tech Inc Variable cam phaser
US6772721B1 (en) * 2003-06-11 2004-08-10 Borgwarner Inc. Torsional assist cam phaser for cam in block engines
DE102004012460B3 (de) * 2004-03-11 2005-10-13 Hydraulik-Ring Gmbh Nockenwellenversteller mit konstruktiv frei wählbarer Verriegelungsposition
DE102005013402A1 (de) * 2004-06-03 2005-12-22 Ina-Schaeffler Kg Vorrichtung zur Veränderung der Steuerzeit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4028868A1 (de) * 2004-06-15 2006-01-05 Ina-Schaeffler Kg Brennkraftmaschine mit einer hydraulischen Vorrichtung zur Drehwinkelverstellung einer Nockenwelle gegenüber einer Kurbelwelle
US7000580B1 (en) * 2004-09-28 2006-02-21 Borgwarner Inc. Control valves with integrated check valves
DE102008032948A1 (de) * 2008-07-12 2010-01-14 Schaeffler Kg Vorrichtung zur variablen Einstellung der Steuerzeiten von Gaswechselventilen einer Brennkraftmaschine
JP4900451B2 (ja) * 2009-11-09 2012-03-21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US8984853B2 (en) 2010-05-21 2015-03-24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ccessing a valve assembly of a turbomachine
DE102010024197A1 (de) 2010-06-17 2011-12-2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otor für einen Nockenwellenversteller und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0025883A1 (de) 2010-07-02 2012-01-0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otor für einen Nockenwellenversteller und Nockenwellenversteller
US8881702B1 (en) 2013-08-21 2014-11-11 Delphi Technologies, Inc. Camshaft phaser
US9341089B2 (en) 2014-04-04 2016-05-17 RB Distribution, Inc. Camshaft phaser
KR101575304B1 (ko) * 2014-12-02 2015-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E102016113646B4 (de) * 2016-07-25 2020-04-23 Hilite Germany Gmbh Exzenter-Verstelleinrichtung zur Verstellung einer effektiven Pleuellänge eines Pleuels einer Brennkraftmaschine
US11946395B2 (en) * 2022-02-11 2024-04-02 Borgwarner Inc. Variable cam timing phas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303A (ja) 1991-09-19 1993-04-02 Nec Corp 無手順通信制御方式
JPH0583303U (ja) * 1992-04-14 1993-11-12 トーヨーエイテック株式会社 内燃機関の弁開閉時期制御装置
JPH08121124A (ja) 1994-05-13 1996-05-14 Nippondenso Co Ltd 内燃機関用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3191849B2 (ja) 1994-08-29 2001-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GB2302391B (en) * 1995-06-14 1999-08-18 Nippon Denso Co Control apparatus for varying the rotational or angular phase between two rotational shafts
JPH1068306A (ja) * 1996-06-21 1998-03-10 Denso Corp 内燃機関用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US5870983A (en) 1996-06-21 1999-02-16 Denso Corporation Valve timing regulation apparatus for engine
JP3888395B2 (ja) * 1996-07-11 2007-02-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弁開閉時期制御装置
JPH1037721A (ja) * 1996-07-23 1998-02-10 Aisin Seiki Co Ltd 弁開閉時期制御装置
DE69712992T2 (de) * 1996-07-23 2003-01-09 Aisin Seiki Ventilzeitsteuervorrichtungen
JP3262207B2 (ja) * 1996-10-02 2002-03-04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3116858B2 (ja) * 1996-11-29 2000-12-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可変機構
EP1229216B1 (en) * 1996-12-12 2004-09-29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alve timing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49187A1 (fr) 1999-09-30
DE19980580T1 (de) 2000-06-21
KR20010012925A (ko) 2001-02-26
US6263843B1 (en) 2001-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204B1 (ko)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US9494152B2 (en) Variable vane displacement pump utilizing a control valve and a switching valve
JP5270525B2 (ja) 制御弁装置
KR100242589B1 (ko) 내연기관의 가변밸브 타이밍기구
JP5382440B2 (ja) 弁開閉時期制御装置
EP0799976A1 (en)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50047496A (ko) 로우 캠 토셔널을 가진 엔진 조건에서 작동을 위한 비례오일 압력을 가진 씨티에이 페이저
JP2009138611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H0960508A (ja) 内燃機関用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EP2278130A1 (en) Variable valve timing control apparatus
JP6578896B2 (ja) 弁開閉時期制御装置
JPH06330712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CN113614333A (zh) 工作油控制阀以及阀正时调整装置
US6014952A (en) Valve timing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1343820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498976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18112080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の油圧制御弁と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6490975B2 (ja) オイルポンプ
JP3910760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817067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02256823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7064922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及び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に用いられる制御弁
JP3817065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123589B2 (ja) 内燃機関の吸排気弁駆動制御装置及びv型内燃機関
JP2003106113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