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847B1 - 단일단부입력논리게이트를가진집적논리회로 - Google Patents

단일단부입력논리게이트를가진집적논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847B1
KR100332847B1 KR1019940013856A KR19940013856A KR100332847B1 KR 100332847 B1 KR100332847 B1 KR 100332847B1 KR 1019940013856 A KR1019940013856 A KR 1019940013856A KR 19940013856 A KR19940013856 A KR 19940013856A KR 100332847 B1 KR100332847 B1 KR 100332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logic
transistors
transistor
contro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231A (ko
Inventor
로버트에이.블라우스차일드
다니엘제이.라인바거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950002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08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K19/08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bipolar transistors
    • H03K19/086Emitter coupled log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새로운 논리 장치는 CML 논리 게이트보다 더 빠른 속도를 가진다. 이 새로운 논리 장치는 다수 입력의 각각의 입력 트랜지스터에 대해 트랜지스터의 차동쌍을 사용하여 다수의 입력과 단일 논리 레벨로 작동한다. 상기 새로운 논리 장치는 더 낮은 작동 전류와 종래 기술보다 현저하게 증가된 전력-지연의 향상으로 종래기술보다 고속 작동 또는 더 빠른 속도를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단일 단부 입력 논리 게이트를 가진 집적 논리 회로
본 발명은 상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의 차동쌍을 가진 집적 논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 3,655,998호 미국 특허에서는 두개의 입력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각 트랜지스터는 다른 입력의 차동쌍에서 논리 입력으로 연결된 제어 전극을 구비한 회로를 개시하고 있다. 전류 전원으로부터의 전류는 입력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서의 논리 신호에 따라 기준 트랜지스터의 주 전류 채널이나 입력 트랜지스터의 주전류 채널중 하나를 통해 도통된다.
입력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의 보상은 기준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서의 전압을 제어하는데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논리 신호의 어느 하나가 대응 입력 트랜지스터의 주전류 채널을 도통하게 하면,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서의 전압은 기준 트랜지스터가 더 낮은 도전성이 되도록 반대 방향으로 변화하게끔 된다.
상기 회로는 입력에서의 전압이 변화할 때, 입력(입력 신호차)의 논리 상태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조차, 노이즈에 민감하다.
또 다른 회로는, 미국 특허 제 4,877,977 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로는 제 1 저항과, 이 제 1 저항을 거쳐 공급 전압 단자에 결합된 기준 트랜지스터의 주전류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주전류 채널과 제 1 저항사이의 노드는 전류의 출력 0 를 형성한다. 입력 트랜지스터의 주전류 채널은 제 2 저항을 거쳐 공급 전압 단자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주 전류 채널과 제 2 저항사이의 노드는 상기 제 1 출력을 보조하여 다른 출력을 형성한다.
작동을 살퍼보면, 상기 회로의 입력 접점 A 내지 D 중의 어느 하나에서의 전압 레벨이 기준 입력 REF 에서의 (VREF) 보다 더 높을때, 출력 O 의 전압은 논리 하이(1ogic high)가 된다. 따라서 회로는 OR 게이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로는 전압 공급 장치에서 나오는 잡음에 민감하다. 이 경우에, A 내지 D 의 입력에서의 신호의 논리 상태가 변하지 않을지라도 상기 A 내지 D 의 입력에서의 전압 레벨은 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급 전압 장치가 규정된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소규모 신호 스윙(small signa1-swings)이 필요한 고속 논리 회로에서 악화될 수 있다.
더욱 복잡한 변형에는 Current-mode logic(CML)회로로 이루져 있으며, Colace, Electronic Product Design, January 1986, pages 43-46 와 Millman 등의, "Pulse Digital, 및 Switching Waveforms", McGraw Hill Book Company, New York, 1965, pages 358-359 와 Hamilton 등의, "Basic Integrated Circuit Engineering",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1975, pages 492-497 에 나타나 있다.
CML 을 제 2 도에 도시하였다. 제 2 도의 멀티 레벨 CML 은 여러 신호 경로를 사용하므로 전압 공급 장치의 변화로 인하여 생기는 잡음에 민감하지 않다. 그렇지만, 입력 A,A 와 B,B 에 대해 다른 논리 레벨을 필요로 한다. 에미터 플로워(emitter fol1owers)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위 레벨(top 1evel)에서 맨아래 레벨(bottom level)까지 변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2 도에 도시된 전류 모드 논리(CML)는 고속이지만 논리 레벨의 필요한 스태킹(stacking)이 실행을 제한한다. 이 실행제한은 낮은 전압 공급 작용이 필요할 때는 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2 볼트이하의 작동에서는 단지 두개의 논리 레벨이 사용될 수 있다. 2-입력 게이트를 직렬로 연결하여 4-입력 게이트를 실현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 지연과 여분의 레벨 시프트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전압에서 고속으로 작동하는 새로운 논리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새로운 논리 회로는 1 불트의 공급 전압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며, 더 적은 수의 소자와 더 낮은 작동 전류로 다른 논리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논리 집적 회로는 논리적 상보신호를 차동 증폭기 수단의 입력에 제공하기 위하여 논리 입력의 적어도 하나는 입력의 차동 쌍의 부분이 되는 것과, 입력의 차동쌍에서 검출되는 바에 따라 제어 전극 수단의 전압 레벨을 논리입력의 전압 레벨에서의 변화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논리 입력이 하이이면, 기준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으로 들어온 전압은 감소되며, 기준 트랜지스터의 주전류 채널을 비전도 상태로 되게 한다. 입력트랜지스터의 입력들중 하이인것이 하나도 없으면 기준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서의 전압은 높아진다. 따라서 기준 트랜지스터의 주채널은 전도가 된다. 기준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서 전압 레벨의 변화는 논리 입력에서 전압 레벨의 잡음에 대한 마진을 증가시킨다.
기준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서 전압의 변화는 그 자체가 차동 신호에 의존하며 따라서 잡음에 민감하지 않다.
이러한 새로운 논리 회로는 CML 회로를 장착함으로써 고속 및 낮은 잡음으로작동하면서도 공급 전압은 낮다. 이 구조체는 낮은 전류로 속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며 전럭 지연 (power-delay)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실시예는 각각의 논리 입력이 입력의 각각의 차동쌍의 부분이 되며, 논리적 상보 신호를 각각의 차동 증폭기 수단의 입력으로 제공하며, 제어 전극 수단에 결합된 각각의 차동 증폭기 수단의 출력은 각각의 차동 증폭기 수단의 입력의 차동쌍에서의 검출되는 바에 따라, 상기 제어 전극 수단에서의 전압 레벨을 논리 입력에서의 전압 레벨의 변화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어떤 입력에서의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입력 트랜지스터에 대한여러 논리 입력이 하이일때, 차동 증폭기 수단은 트랜지스터를 구동시켜 논리 함수를 복사하여 논리 입력의 단일 입력은 하이이다. 유일한 차이는 여러 논리 입력이하이이므로 기준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서 전압 레벨의 변화량은 증가한다는 점이다. 기준 트랜지스터 수단은 기준 트랜지스터로 되어 있으며, 제어 전극은 제어전극 수단을 형성한다. 그러나 원리적으로 기준 트랜지스터가 다수의 기준 트랜지스터에 의하여 병렬로 주전류 채널로 대체되면 잡음이 감소될 수 있으며 각각의 차동 증폭기 수단은 각각의 기준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을 구동한다. 이것은 증폭기 수단이 상기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모두 접속되었을 때 더 많은 회로를 필요로 하지만 포화 문제를 더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 1 주 전극에 상호 접속된 트랜지스터의 차동쌍을 포함하며, 입력 접속의 차동쌍의 입력 접속은 트랜지스터 차동 쌍의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연결되며 , 단일 단부 입력 논리 게이트의 입력에 결합되어 있는 트랜지스터 차동쌍의 트랜지스터의 제 2 주전극은 제어 전극 수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동쌍은 차동 증폭기 수단이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입력 트랜지스터에 대한 다수의 입력이 하이일때, 기준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의 전압은 트랜지스터의 차동쌍의 공통 트랜지스터가 포화되도록 낮아짐으로써 논리 속도는 저하된다.
포화를 방지하려면 기준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서 전압 레벨의 변화량을 제한하는 제한 수단(limiting means)을 제공해야 한다. 전압 제어 변화를 제한하는데 쇼트키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연결된 차동 증폭기 수단을 가진 다수의 단일 단부 입력 논리 게이트가 더욱 복잡한 논리 회로를 형성하도록 직렬로 연결된다.
본 발명을 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 회로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실행되는 새로운 논리 장치에 따라 예를 들면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새로운 논리 장치는 1VBE플러스 1VCESAT의 공급범위내에서 작동하며 단일 셀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하다. 제 3 도에서 Vcc 를 수신하는 Q1 과같이 하나의 입력 트랜지스터의 최소 작동 전압은 VBES+ VI2(전류원 I2를 걸친 전압)이다. I2를 걸친 전압은 VCESAT만큼 낮아질 수 있으며 거의 0.1 내지 0.2 볼트이다. VBE는 0.6 내지 0.7 볼트이고 최소 Vcc = 0.7 내지 0.9 볼트이다. 이것은 더낮은 공급 제한이며 전류는 전류원 I1및 I2의 전압 강하까지 작동할 수 있다.
단일 셀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은 1.1 내지 1.5 볼트의 전압으로 작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새로운 논리 장치는 이 전압으로 적절하게 작동하지만 종래의 멀티레벨 CML 은 그렇지 못하다.
본 발명의 구조체에서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동 논리는 유지되면서도, 소자수는 적어지며 작동 전류는 적게 요구된다. 이것이 종래 직렬의 CML 과 다른 점이다.
제 3 도는 새로운 논리의 2-입력 버젼에 대한 회로도이다. 트랜지스터 Ql, Q2, Q3 가 제 1 도의 단일 단부 논리와 유사한 구조체를 형성한다. 제 3 도의 새로운 논리에서, 트랜지스터 Q3 의 베이스 전압은 트랜지스터 Q4, Q5 및 Q6, Q7 의 차동쌍으로 구동된다. 이 게이트는 제 2 레벨 버퍼를 포함하는 2-입력 CML 게이트 보다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필요로 하지만, 더 낮은 공급 전압의 오프(off)를 작동할 수 있다. 게이트는 트랜지스터 Q1 및 Q2 와 병렬로 입력 트랜지스터를 부가하고 그리고 트랜지스터 Q6, Q7 와 병렬로 트랜지스터의 차동쌍을 가산함으로써 n 개의 입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제 3 도에서, 트랜지스터 Q1 에 대한 입력 A 가 하이 (High)이고, 트랜지스터 Q2 에 대한 입력 B 가 로우(1ow)이면, 트랜지스터 Q4, Q5 및 Q6, Q7 의 각각의 차동쌍의 트랜지스터 Q4 와 Q7 에 전류가 흐른다. 트랜지스터 Q5 를 흐르는 전류는 또한 저항 R3 도 흐름으로써 트랜지스터 Q3 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킨다. 트랜지스터Q1 의 베이스에서의 전압은 하이이고 트랜지스터 Q2 및 Q3 의 베이스에서의 전압은 로우이므로, 트랜지스터 Q1 은 전도되며 출력 O 는 하이가 되고 출력 O 는 로우가 된다. 출력 0 와 0 는 논리 게이트 출력이며 소정의 논리 설계에서 다른 게이트의 입력에 접속될 수 있다. 이 분석은 입력 A 가 로우이고 입력 B 가 하이일때면 동일하다.
입력 A, B 가 모두 하이가 아니면 전류는 트랜지스터 Q4 와 Q6 를 흐르며 트랜지스터 Q3 의 베이스에서의 전압은 하이가 된다. 그런 다음 트랜지스터 Q1 과 Q2 는 오프이며 트랜지스터가 전도이면, 출력 O 는 로우가 되고 출력 O 는 하이가 된다.
입력 A, B 가 모두 하이이면, 트랜지스터 Q5 와 Q7 은 전도가 되고, 논리함수가 복사되어 입력 A 또는 B 가 하이가 된다. 유일한 차이는 입력들 모두가 하이이면 R3 에 걸친 전압은 2 배가 된다는 점이다. 더 많은 논리 입력이 부가되면, 예를 들어 제 4 도에서 입력 C 와 D 가 부가되면 R3 를 걸친 전압은 다수의 하이 입력으로 증가한다. 동시에, 트랜지스터 Q3 의 베이스에서의 전압은 트랜지스터 Q5, Q7 등이 충분히 포화될 정도로 낮아지며 논리의 속도는 저하된다. 쇼트키 다이오드가 R3 에 걸친 전압을 제한하는 것이 사용되어 트랜지스터의 포화를 방지할 수 있다.
쇼트키 다이오드는 또한 저항 R3 에 걸쳐 포함될 수 있어서 스웡(swing)을 제한할 수 있다.
제 4 도는 4-입력 게이트를 가진 새로운 논리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이회로는 두개의 부가적인 입력 트랜지스터 Q8, Q9 과 부가적으로 트랜지스터 Q10, Q11 과 Q12, Q13 의 차동쌍을 포함한다. 이들 트랜지스터의 차동쌍은 트랜지스터 Q4, Q5 와 Q6, Q7 의 차동쌍에 포함되어 트랜지스터 Q3 를 구동하며 각각의 트랜지스터 Ql, Q2, Q8, Q9 에 대해 트랜지스터 Q3 을 거쳐 다수의 입력 A, B, C, D 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로의 작동은 제 3 도의 작동과 유사하며, 새로운 논리 장치에 있어서 증가된 입력과 구동 장치를 도시한다. 또한 상이한 구동 트랜지스터의 유사한 수 n 을 가진 입력 트랜지스터의 임의의 수로 회로가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다.
링 발진기(ring oscillators)는 종래의 기술과 본 발명의 논리 장치 실행을 비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9-스테이지 CML 링(3 개의 직렬을 나타내며, 제 2 도의 CML 논리의 4-입력 게이트)은 새로운 논리 게이트의 n 스테이지 링과 비교될 수 있다. 이 결과가 아래의 표에 비교되어 나타나 있으며 새로운 논리가 전류를 45% 절약하여 36% 의 속도가 향상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CML 게이트는 2V 를 공급하고 새로운 논리는 1 볼트를 공급하며 전력-지연은 5.7 배가 향상되었다. 새로운 논리에서는 더 적은 수의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50% 이상의 게이트-영역 감소를 얻는 잇점이 있다.
단일 터브(single tubs)로 디바이스에 공통 콜렉터를 결합시킴으로써 캐패시턴스를 감소시켜 부가적인 속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표 4 - 입력 게이트 비교
통상의 바이폴라 처리에 있어서, "터브(tubs)"라는 용어는 격리된 에피택셜포켓 또는 반도체 제품의 확산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제 3 도에서 트랜지스터 Q1 과 Q2 는 논리의 반도체 제품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 Q5, Q7, Q4, Q6 도 마찬가지이다. 다이오드가 스윙이 작거나 또는 공통-모드 입력이 낮아서 포화를 방지하는데 필요하지 않다면, 다이오드를 제거하여 회로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예를 들어 MOS FET(더욱 상세히 말하면 IGFET)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제 1 도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는 종래의 단일 단부 입력 논리의 예에 대한 도시도.
제 2 도는 두 입력 게이트 CML 의 종래 기술 도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새로운 논리 소자에 대한 회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새로운 논리 소자의 확장 버젼 도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B, C, D : 입력
0 : 출럭
Q1, Q2, Q3, Q4 : 트랜지스터

Claims (7)

  1. 전류 전원(I1)과;
    입력의 쌍중 각 한쌍(A,B)으로부터의 논리 입력에 연결된 제어전극을 각각 가진 적어도 두개의 입력 트랜지스터(Q1,Q2)와;
    기준 트랜지스터(Q3)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 및 입력 트랜지스터의 주 전류 채널들이 전류 전원과 전압 공급단자 사이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진단일 단부 입력 게이트를 포함하는, 상보적 신호((A,_A),(B,_B)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들의 차동쌍을 가진 집적 논리 회로로서,
    상기 입력의 쌍중 각 쌍의 논리 입력에서의 신호들(A,B)의 논리 NOR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 변화를 발생시키고 상기 논리 레벨 변화를 기준 트랜지스터(Q3)의 제어 전극에 제공하기 위하여, 기준 트랜지스터(Q3)의 제어 전극에 연결된 논리 조합 회로(I2 ,I3 ,Q4 ,Q5 ,Q6, Q7 ,R3, D1)를 포함하는, 상기 집적 논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논리 조합 회로는 차동 증폭기들(l2, Q4, Q5),(I3, Q6, Q7)을 포함하며, 각각의 입력의 차동쌍((A_A),(B_B))은 상기 차동 증폭기들(I2, Q4, Q5), (I3, Q6, Q7)중 각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차동 증폭기들(I2, Q4, Q5),(I3, Q6, Q7)의 출력은 상기 전압 레벨 변화를 형성하도록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논리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증폭기들(I2, Q4, Q5),(I3, Q6, Q7)은 상호 연결된 제 1 주 전극을 가진 트랜지스터(Q4, Q5, Q6, Q7)의 차동쌍을 포함하며,
    입력 커넥션의 차동쌍의 상기 입력 커덱션은 상기 트랜지스터(Q4, Q5, Q6, Q7)의 차동쌍의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연결되고,
    단일 단부 입력 논리게이트의 입력(A,B)과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차동쌍의 상기 트랜지스터(Q5,Q7)의 제2 주 전극은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Q3)의 제어 전극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논리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Q3)의 제어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의 차동쌍중 하나라도 포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어 전극에서의 전압 레벨의 변화량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단 (Dl, R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논리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수단은 상기 제어 전극과 상기 전압 공급 단자 사이의 저항(R3)에 병렬로 연결된 쇼트키 다이오드(D1)를 포함하는 집적 논리 회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트랜지스더(Q3)의 주 전류 채널은 제 1 저항(R2)를 통해 전압공급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의 주 전류채널들과 상기 제 1 저항 사이의 제 1 노드가상기 단일 단부 입력 논리 게이트의 제 1 출력을 형성하는 집적 논리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트랜지스터(Q1, Q2)의 상기 주 전류 채널들은 제 2 저항(Rl)을 통해 상기 전압 공급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 트랜지스터(Ql, Q2)의 상기 주 전류 채널들과 제 2 저항(R1)사이의 제 2 노드는 상기 단일 단부 입력 논리 게이트의 제 2 출력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은 제 1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라 연결된 또 다른 차동 중폭기수단을 구비한 또 다른 단일 단부 입력 게이트 회로의 차동쌍을 형성하는 집적 논리 회로.
  7. 제 1 항 내 제 4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들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집적 논리 회로.
KR1019940013856A 1993-06-16 1994-06-16 단일단부입력논리게이트를가진집적논리회로 KR100332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71993A 1993-06-16 1993-06-16
US078.719 1993-06-16
US078719 1993-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231A KR950002231A (ko) 1995-01-04
KR100332847B1 true KR100332847B1 (ko) 2002-11-13

Family

ID=2214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856A KR100332847B1 (ko) 1993-06-16 1994-06-16 단일단부입력논리게이트를가진집적논리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10539A (ko)
EP (1) EP0630113B1 (ko)
JP (1) JP3530582B2 (ko)
KR (1) KR100332847B1 (ko)
DE (1) DE6942671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7621B2 (ja) * 1996-05-28 2004-03-1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
KR100275948B1 (ko) 1998-04-14 2000-12-15 김영환 차동모드낸드/노어게이트
US6137310A (en) * 1999-02-19 2000-10-24 Teradyne, Inc. Serial switch driver architecture for automatic test equipment
US6215330B1 (en) 1999-06-11 2001-04-10 Trw Inc. Differential diode transistor logic (DDTL) circuit enhancements
US6380794B1 (en) 2000-03-24 2002-04-30 Sige Microsystems Inc. Hybrid circuit having current source controlled by a comparator
KR100387920B1 (ko) * 2000-08-22 2003-06-18 김대진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KR100387919B1 (ko) * 2000-08-22 2003-06-18 김대진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US6489811B2 (en) * 2001-03-08 2002-12-03 Hiband Semiconductor, Inc. Logic gate with symmetrical propagation delay from any input to any output and a controlled output pulse width
US10256998B1 (en) * 2018-05-03 2019-04-09 Micron Technology, Inc. Reducing supply noise in current mode logic transmitte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3128A (en) * 1980-03-04 1981-09-28 Nec Corp Logic circuit
JPS56156026A (en) * 1980-05-02 1981-12-02 Hitachi Ltd Composite logical circuit
JPS5981921A (ja) * 1982-11-01 1984-05-11 Hitachi Ltd 高速論理回路
JPS62105528A (ja) * 1985-11-01 1987-05-16 Hitachi Ltd 動作マ−ジンを拡大させた高速論理回路
US4857771A (en) * 1986-12-16 1989-08-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an ECL logic circuit having diode-clamped loads and reference bia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9362A (en) * 1966-08-19 1970-04-28 Rca Corp Switching circuit
BE755245A (fr) 1969-08-25 1971-02-25 Siemens Ag Circuit de porte logique realise selon la technique des circuits logiques a emetteur couple (ecl)
US4408134A (en) * 1981-01-19 1983-10-04 Advanced Micro Devices, Inc. Unitary exclusive or-and logic circuit
US4390848A (en) * 1981-02-12 1983-06-28 Signetics Linear transconductance amplifier
JPS5945706A (ja) * 1982-09-09 1984-03-14 Nippon Shiguneteitsukusu Kk 差動増幅回路
US4542305A (en) * 1983-02-22 1985-09-17 Signetics Corporation Impedance buffer with reduced settling time
US4754173A (en) * 1985-06-13 1988-06-28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Emitter coupled logic latch with boolean logic input gating network
US4677315A (en) * 1986-07-28 1987-06-30 Signetics Corporation Switching circuit with hysteresis
US4792706A (en) * 1986-12-16 1988-12-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CL gates using diode-clamped loads and Schottky clamped reference bias
JPS63302621A (ja) * 1987-06-02 1988-12-09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
JP2824780B2 (ja) * 1989-04-18 1998-11-18 科学技術振興事業団 論理回路
US5111074A (en) * 1990-07-26 1992-05-0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ulti-input compound function complementary noise-immune logic
US5115206A (en) * 1990-11-08 1992-05-19 North American Philips Corp., Signetics Division Merged differential amplifier and current source
US5206547A (en) * 1992-01-06 1993-04-27 Motorola, Inc. High-speed programmable state coun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3128A (en) * 1980-03-04 1981-09-28 Nec Corp Logic circuit
JPS56156026A (en) * 1980-05-02 1981-12-02 Hitachi Ltd Composite logical circuit
JPS5981921A (ja) * 1982-11-01 1984-05-11 Hitachi Ltd 高速論理回路
JPS62105528A (ja) * 1985-11-01 1987-05-16 Hitachi Ltd 動作マ−ジンを拡大させた高速論理回路
US4857771A (en) * 1986-12-16 1989-08-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an ECL logic circuit having diode-clamped loads and reference bi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30582B2 (ja) 2004-05-24
DE69426713T2 (de) 2001-09-06
JPH0738414A (ja) 1995-02-07
DE69426713D1 (de) 2001-03-29
US5610539A (en) 1997-03-11
EP0630113B1 (en) 2001-02-21
EP0630113A2 (en) 1994-12-21
EP0630113A3 (en) 1996-03-06
KR950002231A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6295A (en) Current mode logic circuits employing IGFETS
US5289055A (en) Digital ECL bipolar logic gates suitable for low-voltage operation
US4333020A (en) MOS Latch circuit
US5909127A (en) Circuits with dynamically biased active loads
US4920284A (en) CMOS level converter circuit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KR900000830B1 (ko) 상보형(相補型) Bi-MIS 게이트 회로
JPH03149920A (ja) 電圧変換器
KR100332847B1 (ko) 단일단부입력논리게이트를가진집적논리회로
US5059829A (en) Logic level shifting circuit with minimal delay
US5343094A (en) Low noise logic amplifier with nondifferential to differential conversion
EP0569127A2 (en) CMOS ECL translator with incorporated latch
JP2852971B2 (ja) Ttlからecl/cmlへの変換回路
US4518871A (en) Ga/As NOR/NAND gate circuit using enhancement mode FET's
JP2534346B2 (ja) 高速論理回路
US5311075A (en) Level shifting CMOS integrated circuits
US4837458A (en) Flip-flop circuit
US4868904A (en) Complementary noise-immune logic
US6215330B1 (en) Differential diode transistor logic (DDTL) circuit enhancements
US5463332A (en) Multiple differential input ECL or/nor gate
US7132857B2 (en) High speed receiver with wide input voltage range
IE910093A1 (en) Signal level converter
US6380794B1 (en) Hybrid circuit having current source controlled by a comparator
JPH06326592A (ja) ドライバ回路を具える電子回路
JP2555776B2 (ja) Bimosレベル変換器
KR920008047B1 (ko) 논리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