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321B1 -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 Google Patents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321B1
KR100328321B1 KR1019990042736A KR19990042736A KR100328321B1 KR 100328321 B1 KR100328321 B1 KR 100328321B1 KR 1019990042736 A KR1019990042736 A KR 1019990042736A KR 19990042736 A KR19990042736 A KR 19990042736A KR 100328321 B1 KR100328321 B1 KR 100328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erminal cover
terminal
bimet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8827A (ko
Inventor
우에노스윤지
사토노부테루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674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265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516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5929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2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시의 작업성을 높여, 접촉 불량이나 단자간 단락 없이 안전하고도 확실하게 동작 가능하게 하고, 급전용 커넥터나 온도 검출 소자를 확실하게 지지 및 고정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바이메탈 소자(31)는 장착 홀더(34)에 수납된 뒤에, 단자(31b) 사이에 베이스부(30h)가 삽입되는 상태로 단자 커버(30) 내에 고정된다. 장착 홀더(34)는 감열부(31a)의 주변부를 지지하고, 감열부(31a)는 터미널 박스(23)에서 0.5 mm∼1 mm만큼 이격된다. 급전용 커넥터(32)는 베이스부(30i, 30k)의 정상부 상에 배치되어 걸어맞춤 클로(30m)(claw) 등에 의해 걸어맞춤되어 고정된다. 이 때, 베이스부(30k)와 급전용 커넥터(32) 사이에 아암부(34a)가 끼워지고, 장착 홀더(34)도 동시에 고정된다. 단자 커버(30) 내에 바이메탈 소자(31), 급전용 커넥터(32) 등을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21)는 급전용 커넥터(32)와 3심 단자(25)를 끼워맞추면서 터미널 박스(23)에 끼워넣어져, 커버 누름 스프링(33)에 의해서 고정된다.

Description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FEEDER FOR USE IN COMPRESSOR}
본 발명은 콤프레서 외면에 설치된 단자대의 급전 단자에 접속되어 급전을 행하는 동시에 콤프레서의 외면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냉장고의 콤프레서에 이용되는 종래의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를 도 11에 도시한다. 이 도 11에서, 콤프레서(1)의 측면에는 전면 및 하면이 개방된 장방형 상자 모양의 터미널 박스(2)가 장착되어 있다. 이 터미널 박스(2)의 콤프레서 부착면에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원형 구멍(3)과 장방형 구멍(4)이 있고, 콤프레서(1)의 측면에 약간 융기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원형 형상의 단자대(5)가 원형 구멍(3)을 통하여 터미널 박스(2) 내부를 향하고 있다. 이 단자대(5)에는 3심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급전용 커넥터(6)는 이 3심 단자와 끼워맞추어 콤프레서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인버터 전원으로부터의 3상 교류 전력을 급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금속제의 원통 케이스 내에 바이메탈을 배치하여 구성되는 온도 검출 소자(이하, 바이메탈 소자라 함)(7)는 그 원통 케이스의 일단면(감열면)이 장방형 구멍(4)을 통하여 콤프레서(1)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누름 스프링(8)에 의해서 압박 고정된다.
급전용 커넥터(6)로부터 인출되는 3가닥의 리드선(9)과 바이메탈 소자(7)의 양 단자에 평형(faston) 단자(10)에 의해 접속되는 2가닥의 리드선(11)은 내열(耐熱) 테이프(12)로 감긴 뒤에, 터미널 박스(2)의 하면 개구부로부터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터미널 박스(2)는 충전부를 보호하고 충전부에 물이나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를 갖는 장방형 상자 모양의 난연(難燃) 부재로 만든 터미널 커버(13)로 덮이도록 되어 있다. 이 터미널 커버(13)는 탈락 방지를 위해 커버 누름 스프링(14)의 양단을 터미널 박스(2)의 걸어맞춤 구멍(2a)에 걸어맞춤으로써 터미널 박스(2)에 고정된다.
도 12의 (a) 및 (b)에는 바이메탈 소자(7)의 종단면도(a) 및 횡단면도(b)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 12의 (a)에 있어서, 바닥이 원형인 용기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7a)의 개구부(상부)에서부터 내부에 걸쳐 대략 원형 형상을 지니며 하측으로 볼록형을 이루는 두꺼운 속덮개(7b)가 삽입되고, 그 속덮개(7b)의 중앙부에 설치된 삽입 관통 구멍에는 상기 케이스(7a)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핀(7c)이 자유롭게 삽입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7a)의 상부 개구면은 알루미늄으로 만든 캡(7d)으로 덮여 있고, 케이스(7a)내의 상부에는 캡(7d)의 하면에 근접하고 또 이 캡(7d)과 상기 가이드 핀(7c)의 상단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며 원형 접시 모양인 바이메탈판(7e)(소위 스냅 액션 바이메탈)이 상온에서 상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7a)의 바닥부에는 2개의 단자(7f, 7g)가 리벳(7h, 7i)에 의해 고정되고, 이들 단자(7f, 7g)는 리벳(7h, 7i)을 통해 케이스(7a) 내에 설치된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7a)의 바닥부에는 가이드 핀(7c)의 하측에 위치하여,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 방향으로 압박하는 접점 스프링(7j)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바이메탈 소자(7)의 캡(7d)의 외면이 감열면(感熱面)이 되고, 그 감열면이 콤프레서(1)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콤프레서(1)의 외면 온도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감열면의 온도가 소정의 동작 온도보다도 낮을 때에는 바이메탈판(7e)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바이메탈판(7e)의 중앙부가 가이드 핀(7c)을 하측으로 밀어 내리는 일은 없으며, 가동 접점은 접점 스프링(7j)의 압박력에 의해서 고정 접점과 접촉된다. 이에 대해, 감열면의 온도가 상기 동작 온도 이상일 때에는 바이메탈판(7e)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휜 상태에서 반전하여, 바이메탈판(7e)의 중앙부가 가이드 핀(7c)을 하측으로 밀어 내리기 때문에, 접점 스프링(7j)이 하측으로 눌리어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에서 멀어진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에는 아래에 진술하는 몇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로, 상기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를 콤프레서(1)에 조립하는 경우 부품수가 많고, 또 작업자는 콤프레서(1)가 설치된 장소, 예컨대 냉장고 기계실의 좁은 공간안에서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 조립 작업이 수고스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부품수가 많고, 더구나 좁은 공간 내에서 조립 작업을 해야할 경우 각 부품간의 치수를 어느 정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체가 대형화되게 된다.
둘째로, 급전용 커넥터(6)는 단자대(5)의 3심 단자와 단자 끼워맞춤력만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선(9)이 인장되면 급전용 커넥터(6)가 기울어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셋째로, 바이메탈 소자(7)는 누름 스프링(8)에 의해 그 원통 케이스의 감열부가 콤프레서(1)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지만, 콤프레서(1)의 접촉면에 돌기 등이 있으면 원통 케이스의 감열부가 변형되고, 원통 케이스내의 바이메탈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동작 이상이 발생하거나 동작 온도가 변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넷째로, 리드선(9, 11)은 고온이 되는 콤프레서(1)의 표면에 접촉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염화비닐로 만든 리드선(9, 11)을 이용할 경우 내열상 문제가 있어, 그 내열 보호 처리[내열 테이프(12)를 감아 붙이는 등의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터미널 커버(13)에 배선 구멍을 형성하여, 리드선(9, 11)의 인출 위치를 콤프레서(1)에서 떨어진 위치로 규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리드선(9, 11)의 구멍 통과 작업이 번거롭게 된다. 다섯째, 바이메탈 소자(7)의 양 단자는 원통 케이스의 단부면에 있어서 마주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조립 작업시에 잘못하여 양 단자를 접촉시킬 우려가 있었다. 여섯째, 바이메탈 소자(7)는 누름 스프링(8)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만, 리드선(11)의 처치 등을 잘못하면 누름 스프링(8)의 스프링 훅이 떨어져, 바이메탈 소자(7)가 탈락되는 일도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립 작업시의 작업성이나 단자간의 단락 방지 등을 고려하여,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를 소형화할 수 없다고 하는 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바이메탈판(7e)은 캡(7d)의 하면과 속덮개(7b) 상면과의 좁은 공간 내에 수납된 상태에 있으며, 바이메탈판(7e)의 반전 동작이 방해받지 않도록, 케이스(7a)의 내주면과 바이메탈판(7e)의 외주변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갭이 마련되어 있다(도 12의 (b) 참조). 즉, 바이메탈판(7e)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휜 상태에 있을 때에는, 바이메탈판(7e)은 상기 수납 공간 내에서 가이드 핀(7c)의 상단면에 규제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바이메탈 소자(7)가 콤프레서(1)에 장착된 상태에서 콤프레서(1)가 운전되면, 콤프레서(1)의 진동에 의해서 바이메탈판(7e)이 진동하여, 바이메탈판(7e)이 캡(7d)의 하면이나 케이스(7a)의 내주면에 부딪힘으로써 딱딱똑똑과 같은 이음(異音)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로는 조립시의 작업성이 우수한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한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를 제공하고, 둘째로는 급전용 커넥터 및 온도 검출 소자가 접촉 불량이나 단자간 단락 없이 안전하고 또한 확실하게 동작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를 제공하고, 셋째로는 급전용 커넥터, 온도 검출 소자 및 배선을 확실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콤프레서의 운전 중에 바이메탈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이음(異音)을 방지할 수 있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의 콤프레서장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의 배면도.
도 3은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를 일부 파단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단자 커버의 정면도.
도 6은 장착 홀더의 사시도.
도 7의 (a) 및 (b)는 방진(防振)용 자석의 자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소음 레벨의 주파수 분석도.
도 9는 장착 홀더의 단자 커버로의 장착 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의 콤프레서장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종래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의 (a)는 바이메탈 소자의 종단면도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선 A-A에 따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39 :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22 : 콤프레서
24 : 단자대
25 : 3심 단자(급전 단자)
30 : 단자 커버
31 : 바이메탈 소자
31a : 감열면
31c : 바이메탈판
32 : 급전용 커넥터
38 : 방진용 자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는, 개구부 및 바닥부가 있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콤프레서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장착되는 단자 커버와, 상기 콤프레서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수납되는 온도 검출 소자와,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수납되고, 상기 단자 커버가 상기 콤프레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콤프레서의 단자대에 설치된 급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용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 검출 소자 및 급전용 커넥터의 배선은 콤프레서와 접촉하지 않게 상기 단자 커버의 외부로 미리 인출되고,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온도 검출 소자 및 상기 급전용 커넥터가 수납 고정된 상태에서 콤프레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를 콤프레서에 조립하는 경우, 미리 급전용 커넥터와 온도 검출 소자를 단자 커버 내에 수납 고정하여 상기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를 조립한 뒤에, 그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를 콤프레서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이 대폭으로 향상된다. 이 경우, 급전용 커넥터 및 온도 검출 소자는 조립 라인 등에 있어서 미리 단자 커버 내에 수납 고정해 두면 되므로, 이들을 컴팩트하게 종합하여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급전용 커넥터와 상기 온도 검출 소자의 배선은 콤프레서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방진용 테이프 등을 감을 필요가 없어져서, 단자 커버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는, 개구부 및 바닥부가 있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콤프레서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장착되는 단자 커버와, 바이메탈판에 근접하게 형성된 감열면이 상기 콤프레서의 외면을 향하도록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유지되는 바이메탈 소자와,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수납되고, 상기 단자 커버가 상기 콤프레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콤프레서의 단자대에 설치된 급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용 커넥터로 이루어진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 소자 및 상기 급전용 커넥터의 배선은 콤프레서와 접촉하지 않게 단자 커버의 외부로 미리 인출되고,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바이메탈 소자 및 상기 급전용 커넥터가 수납 고정된 상태에서 콤프레서에 장착되며, 상기 바이메탈 소자를 유지한 단자 커버가 상기 콤프레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메탈 소자의 감열면과 상기 콤프레서의 외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위치에 고정되는 방진(防振)용 자석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가 콤프레서에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고정 상태에 있는 방진용 자석의 자기 흡인력이 바이메탈 소자의 감열면을 통해 바이메탈 소자 내부에 있는 바이메탈판에 작용하기 때문에, 바이메탈판은 감열면측으로 눌려진 상태로 규제된다. 그 결과, 콤프레서가 운전되어 그 진동이 바이메탈 소자에 가해진 경우라도, 바이메탈판은 감열면(바이메탈 소자의 내측면)에서 멀어지는 일이 없어져, 바이메탈판이 감열면에 부딪힘으로써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이메탈판이 감열면에 접촉함으로써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바이메탈판의 감열면을 따른 방향으로의 움직임도 억제되고, 바이메탈판의 주변부와 바이메탈 소자의 케이스 내주면이 부딪히는 소리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21)를, 예컨대 냉장고용의 콤프레서(22)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콤프레서(22)의 측면에는 전면 및 하면이 개방된 장방형 상자 모양의 금속제 터미널 박스(23)가 열전도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터미널 박스(23)의 콤프레서 부착면에는 그 거의 중앙부에 원형 구멍(23a)이 형성되어 있고, 콤프레서(22)의 측면에 약간 융기하여 배치된 원형의 단자대(24)가 상기 원형 구멍(23a)을 통하여 터미널 박스(23)내로 향하고 있다. 이 단자대(24)에는, 콤프레서(22) 내에 수납되어 있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 3심 단자(25)(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전 단자)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터미널 박스(23)의 상면은 그 전방 모서리측으로부터 콤프레서 부착면측을 향해 약간 하강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 기계실 내에 설치된 콤프레서 받침대(26)의 상면에는, 방진 고무(27)를 매개로 나사(28)에 의해 콤프레서 지지 플레임(29)이 고정되어 있고, 콤프레서(22)는 상기 콤프레서 지지 플레임(29) 상에 지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21)의 배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21)는, 장방형의 개구부와 바닥부가 있는 용기 형상의 단자 커버(30) 내에, 바이메탈 소자(31)와 급전용 커넥터(32)를 수납 고정하여 구성되고, 단자 커버(30)의 개구부가 터미널 박스(23)에 의해서 폐쇄되도록 터미널 박스(23)에 장착된다.
또한,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21)의 측면도를 도 4에 도시하고, 단자 커버(30)의 정면도를 도 5에 도시한다. 단자 커버(30)는 난연성 및 절연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고, 터미널 박스(23)에 장착할 때 상면이 되는 부분에는 터미널 박스(23)의 상면부와 서로 겹치는 부분(개구부측)으로부터 전면측(바닥부측)으로 기울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30a)가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커버(30)의 하측 벽에는 상기 단자 커버(30)의 바닥부로부터 개구부까지 연장하는 배선 인출용 슬릿(30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커버(30)의 바닥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슬릿(30b)에 연속한 반원형의 배선 인출 구멍(30c)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바닥부에는 상기 배선 인출 구멍(30c)을 상기 단자 커버(30)의 상면측에서부터 덮는 식의 방적(防滴) 커버(30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커버(30)의 양 외측면에는 그 바닥부로부터 개구부까지 연장하는 홈부(30e)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 커버(30)의 외측 바닥면에는 2개의 볼록 라인부(30f) 사이에 형성된 안내부(30g)가 상기 홈부(30e)와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단자 커버(30)의 개구측 가장자리에는 슬릿(30b)에 인접하여 클로(30q)(claw)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클로(30q)를 터미널 박스(23)의 바닥면(콤프레서 부착면)의 하단부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단자 커버(30)를 터미널 박스(23)에 장착하여, 대략자형인 커버 누름 스프링(33)(도 1 참조)을 상기 홈부(30e) 및 안내부(30g)에 따라서 눌러 넣는 동시에, 그 커버 누름 스프링(33)의 양 선단부에 마련된 절곡편부(도시되지 않음)를 터미널 박스(23)의 측면에 마련된 걸어맞춤 구멍(도시되지 않음)에 걸어맞춤으로써, 단자 커버(30)를 터미널 박스(23)의 내측으로 끼워넣은 상태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단자 커버(30) 내에 수납되는 바이메탈 소자(31)는 터미널 박스(23)를 매개로 콤프레서(22)의 외면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검출 소자이다. 예컨대, 냉장고 기계실에 설치된 팬 모터의 고장 등에 의해 콤프레서(22)가 고온 상태 그대로 계속해서 운전되면, 콤프레서(22) 내부의 오일이나 콤프레서 모터의 권선에 절연 열화(劣化)가 발생한다. 그래서, 냉장고는 바이메탈 소자(31)를 이용함으로써, 소정 온도 이상에서는 콤프레서(22)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바이메탈 소자(31)는 종래 기술에서 기술된 바이메탈 소자(7)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원통 케이스 내에 바이메탈판(31c)(도 1 참조)이 배치되어 있고, 그 원통 케이스의 일단면은, 감열면(31a)으로서 알루미늄으로 만든 캡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 케이스 내에는, 온도 변화에 따른 바이메탈판(31c)의 휘어짐의 반전에 의해서 개폐되는 접점이 수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원통 케이스의 타단면에는 상기 접점에 접속된 2개의 단자(31b)가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바이메탈 소자(31)의 감열면(31a)에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방진용 자석(38)이 밀착 장착되어 있다. 이 방진용 자석(38)은, 예컨대 바륨 페라이트계의 고무 자석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a) 및 (b)에는 이 방진용 자석(38)의 자화 상태가 도시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방진용 자석(38)은 양면 자화 타입으로서, 그 한쪽 면이 N극으로 자화되고 다른 쪽 면이 S극으로 자화되어 있다. 또한, 이 대신에 도 7의 (b)에 나타내는 단면 자화 타입의 방진용 자석(38a)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방진용 자석(38a)의 자화면은 상기 자화면에 따른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교대로 늘어선 상태로 자화되어 있다. 또, 방진용 자석(38, 38a)의 자력은 바이메탈 소자(31)의 동작 온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자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급전용 커넥터(32)는, 3심 단자(25)와 끼워맞추어져 콤프레서 모터에 인버터 전원의 3상 교류 전력을 급전하기 위한 커넥터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한쪽 면에는 상기 3심 단자(25)의 단자 배치에 대응하여 3개의 끼워맞춤 구멍(32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워맞춤 구멍(32a) 내부의 리셉터클(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 3가닥의 리드선(37)은 급전용 커넥터(32)의 일단부(도 2에서는 상측부)에 형성된 리드선 인출구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또한, 이 리드선 인출구와는 반대측이 되는 급전용 커넥터(32)의 양측부에는 걸어맞춤 고정용 돌출부(32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바이메탈 소자(31) 및 급전용 커넥터(32)를 수납 고정하기 위해서, 단자 커버(30)의 내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커버(30)의 내측 바닥부의 하측 코너부에는 바이메탈 소자(31)를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의 베이스부(30h)와, 급전용 커넥터(32)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30i, 30i, 30j, 30k)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30i)와 베이스부(30j)는 급전용 커넥터(32)를 직접 지지하기 위해서 동일한 높이를 갖고 있고, 베이스부(30k)는 후술하는 장착 홀더(34)의 아암부(34a)를 매개로 급전용 커넥터(32)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부(30i, 30j)보다 아암부(34a)의 두께만큼 낮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커버(30)의 상부에는 급전용 커넥터(32)를 고정하기 위한 걸어맞춤 클로(30m)가 일체로 형성되고, 단자 커버(30)의 중앙부에는 마찬가지로 급전용 커넥터(32)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 변형 가능한 2개의 걸어맞춤 클로(30n)가 상기 급전용 커넥터(32)의 폭과 거의 같은 간격으로 대향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21)의 조립 순서, 즉 단자 커버(30)내에 바이메탈 소자(31) 및 급전용 커넥터(32)를 수납 고정하는 순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기에서 바이메탈 소자(31)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홀더(34)는, 대략 원통 형상인 유지부(34b)와, 그 유지부(34b)에서 하측으로 연장하는 지지판부(34g)를 매개로 측면으로 돌출 설치된 아암부(34a)와, 끼워맞춤 홈(34e)을 구비한 폐쇄부(34c)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지부(34b)에는 바이메탈 소자(31)를 유지하였을 때에 감열면(31a)의 주변부와 접촉하는 플랜지부(34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유지부(34b)에는 바이메탈 소자(31)의 수납을 용이하게 하는 절결부(34f)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부(34g)에는, 아암부(34a)에 면하며 유지부(34b)로부터 아암부(34a)에 걸쳐 경사진 가이드부(34h)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 순서로는, 우선 바이메탈 소자(31)의 양 단자(31b)에 리드선(36)이 달린 평형 단자(35)를 끼워맞추고, 그 리드선(36)과 급전용 커넥터(32)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37)(모두 염화비닐로 제조됨)을 종합하여 슬릿(30b)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바이메탈 소자(31)의 감열면(31a)이 장착 홀더(34)의 플랜지부(34d)와 접촉하도록 상기 바이메탈 소자(31)를 유지부(34b)에 수납한 후, 양 단자(31b) 사이에 베이스부(30h)를 삽입하는 동시에, 장착 홀더(34)의 아암부(34a)가 베이스부(30k)에 얹히도록 바이메탈 소자(31)를 베이스부(30h)의 정상부에 얹어 놓는다.
이 때, 도 3에 있어서, 장착 홀더(34)의 폐쇄부(34c)에 마련된 끼워맞춤 홈(34e)을 슬릿(30b)의 일단면과 끼워맞춘 상태에서 활주시키면서 슬릿(30b)을 폐쇄해 나가면, 최종적으로 플랜지부(34d)의 상면이 단자 커버(30)의 터미널 박스 접촉면과 동일 면의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리드선(36, 37)은 배선 인출 구멍(30c)을 통하여 단자 커버(30)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이 경우, 단자 커버(30)의 하측으로 인출되는 리드선(36, 37)은 폐쇄부(34c)의 하단부에 의해서 U자형으로 굴곡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도 4 참조), 이 굴곡부에서의 마찰력에 의해서 리드선(36, 37)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인장력이 흡수된다.
그 후, 급전용 커넥터(32)의 리드선(37)을 단자 커버(30)의 내측 바닥부의 베이스부(30i, 30i) 사이 및 베이스부(30j, 30k) 사이로 뻗어가게 한 뒤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커버(30) 내에 일체로 형성된 규제벽(30p)에 따라서 급전용 커넥터(32)의 리드선 인출구측 단부 모서리를 걸어맞춤 클로(30m)에 걸어맞춘다. 계속해서, 이 걸어맞춤 클로(30m)를 지점으로 하여 2개의 걸어맞춤 클로(30n)를 확대 개방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급전용 커넥터(32)의 돌출부(32b)측을 지지판부(34g)에 형성된 가이드부(34h)를 따르게 하여 단자 커버(30)의 바닥부 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돌출부(32b)를 걸어맞춤 클로(30n)에 걸어맞춘다. 그 결과, 베이스부(30i)의 정상부 상에 급전용 커넥터(32)의 리드선 인출구측이 배치되고 베이스부(30j)의 정상부 상에 급전용 커넥터(32)의 돌출부(32b)가 배치된 상태에서, 급전용 커넥터(32)가 단자 커버(30) 내에 고정된다. 또한, 이 때 베이스부(30k)의 정상부와 급전용 커넥터(32) 사이에 장착 홀더(34)의 아암부(34a)가 끼워넣어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급전용 커넥터(32)가 고정되는 동시에 바이메탈 소자(31)를 유지한 장착 홀더(34)도 아울러 고정된다.
바이메탈 소자(31) 및 급전용 커넥터(32)의 단자 커버(30)내로의 수납 고정이 완료된 후, 전술한 방진용 자석(38)을 바이메탈 소자(31)의 감열면(31a)에 밀착시킨다. 이 때, 이 감열면(31a)을 매개로 방진용 자석(38)과 바이메탈 소자(31) 내부의 바이메탈판(31c) 사이에 자기 흡인력이 작용하여, 방진용 자석(38)은 감열면(31a)에 밀착한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바이메탈판(31c)도 감열면(31a)측으로 눌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 양면 자화 타입의 방진용 자석(38) 대신에 단면 자화 타입의 방진용 자석(38a)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화면을 감열면(31a)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된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21)는, 전술된 바와 같이 클로(30q)를 터미널 박스(23)의 콤프레서 부착면의 하단부에 걸어맞추고, 터미널 박스(23)의 3심 단자(25)와 급전용 커넥터(32)의 끼워맞춤 구멍(32a)을 끼워맞추면서 터미널 박스(23)의 내측에 끼워맞춰진 후, 커버 누름 스프링(33)에 의해 고정된다. 이 조립 상태에 있어서, 바이메탈 소자(31)의 감열면(31a)과 방진용 자석(38)과의 갭, 그리고 방진용 자석(38)과 터미널 박스(23)의 외면과의 갭은 모두 0.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 커버(30)와 터미널 박스(23)와의 밀착성이 나쁜 경우에는 진동으로 인한 부딪히는 소리를 방지하고 방수성을 높이기 위해서, 예컨대 부틸고무로 이루어진 완충재를 접촉면에 삽입하면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이하에 기술하는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21)가 콤프레서(22)에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바이메탈 소자(31)의 감열면(31a)과 터미널 박스(23)의 외면과의 사이에 방진용 자석(38)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방진용 자석(38)과 바이메탈 소자(31)의 바이메탈판(31c)과의 사이에 자기 흡인력이 작용하여, 바이메탈판(31c)이 감열면(31a)측으로 눌려진다. 따라서, 콤프레서(22)가 운전되어 그 진동이 바이메탈 소자(31)에 전해지더라도, 콤프레서(22)의 방향으로 볼록하게 휜 상태에 있는 바이메탈판(31c)은 감열면(31a)(바이메탈 소자(31)의 내측면)에서 멀어지는 일이 없어져, 바이메탈판(31c)이 감열면(31a)에 부딪힘으로써 생기는 딱딱똑똑과 같은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이메탈판(31c)이 감열면(31a)측으로 눌려질 때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바이메탈판(31c)의 감열면(31a)을 따른 방향으로의 움직임도 억제되어, 바이메탈판(31c)의 주변부와 바이메탈 소자(31)의 케이스 내주면의 부딪히는 소리도 작아진다.
도 8은 방진용 자석(38)을 이용한 경우와 제외한 경우에 있어서의 콤프레서 운전시의 냉장고 후방의 소음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횡축은 소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소음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방진용 자석(38)을 이용한 경우의 소음 레벨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방진용 자석(38)을 제외한 경우의 소음 레벨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로부터, 방진용 자석(38)을 이용하면 2kHz 전후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소음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구성에서는 방진용 자석(38)으로서 고무 자석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방진용 자석(38)이 터미널 박스(23)의 외면에 존재하는 돌기부 등에 부딪혀 파손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가령 방진용 자석(38)이 파손된 경우라도, 그 파편에 의해 바이메탈 소자(31)의 감열면(31a)이 변형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그 동작 온도가 변하게 되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방진용 자석(38)의 두께 치수를 감열면(31a)과 터미널 박스(23) 외면 사이의 갭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했기 때문에, 방진용 자석(38)이 콤프레서(22)의 진동을 받아 감열면(31a)으로부터 멀어져 터미널 박스(23)의 외면에 흡착되었을 때라도, 바이메탈판(31c)에 작용하는 자기 흡인력의 저하가 작다. 또한, 방진용 자석(38)과 바이메탈판(31c)과의 자기 흡인력이 약한 경우, 혹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기 흡인력이 저하하는 경우에는 양면 자화 타입의 방진용 자석(38) 대신에 단면 자화 타입의 방진용 자석(38a)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방진용 자석(38a)은 터미널 박스(23)에 대향하는 면이 자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방진용 자석(38a)과 터미널 박스(23) 사이의 흡인력은 작고, 방진용 자석(38a)은 감열면(31a)에 밀착한 상태로 유지되기 쉽게 된다. 그 결과, 바이메탈판(31c)의 진동 억제 효과, 즉 소음 억제 효과를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방진용 자석(38a)은 그 비자화면에 약한 자력이 남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자화면과 비자화면을 다른 색으로 착색하거나, 자화면에 양면 테이프를 점착하는 등으로 하여 양면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이에 따라,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21)의 조립시에 있어서, 자화면과 비자화면을 오해할 우려가 없어진다.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21)의 조립 작업은 콤프레서(22)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 예컨대 냉장고 기계실내가 아니라 조립 라인 등에 있어서 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조립 작업은 바이메탈 소자(31)를 유지한 장착 홀더(34)를 소정 위치에 셋트한 후, 급전용 커넥터(32)를 장착 홀더(34)의 가이드부(34h)를 따라 이행시키면서 걸어맞춤 클로(30m, 30n)에 고정시키는 것뿐으로 간단한 것이다. 특히, 가이드부(34h)를 설치함으로써, 급전용 커넥터(32)의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 시간이 대폭으로 경감되어 작업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동시에, 급전용 커넥터(32) 및 바이메탈 소자(31)를 컴팩트하게 종합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21)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걸어맞춤 클로(30m, 30n) 및 커버 누름 스프링(33)에 의한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클로(30q)가 터미널 박스(23)와 걸어맞추어지기 때문에, 단자 커버(30) 또는 리드선(36, 37)을 통해 바이메탈 소자(31)나 급전용 커넥터(32) 등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급전용 커넥터(32)와 3심 단자(25)와의 접촉 불량이나 감열면(31a)의 위치 어긋남, 부유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로(30q)에 의해,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21)를 터미널 박스(23)에 장착할 때에 장착감를 얻을 수 있다.
바이메탈 소자(31)에 의한 과열 보호는, 과도적인 온도 상승에 의한 보호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예컨대 수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하는 콤프레서(22)의 오일 등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방진용 자석(38)을 매개로 함에 따른 온도의 검출 지연은 문제가 되지 않고, 오히려 순간적인 과열에 의한 바이메탈 소자(31)의 동작을 억제하여, 냉장고의 운전 정지가 빈발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장착 홀더(34)는 베이스부(30k)의 정상부와 급전용 커넥터(32)와의 사이에 아암부(34a)가 끼워넣어져 고정되어 있지만, 그 대신에 도 9에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단자 커버(30)에 있어서 슬릿(30b) 일단면의 개구면측에 이탈 방지 돌출부(30r)를 일체로 설치하고, 장착 홀더(34)에는 끼워맞춤 홈(34e)의 상부에서 상기 이탈 방지 돌출부(30r)와 걸어맞춤가능한 단부(34i)를 설치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장착 홀더(34)의 폐쇄부(34c)에 마련된 끼워맞춤 홈(34e)을 슬릿(30b)의 일단면과 끼워맞춘 상태에서 활주시키면서 슬릿(30b)을 폐쇄해 나가면, 최종적으로 플랜지부(34d)의 상면이 단자 커버(30)의 터미널 박스 접촉면과 동일면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이탈 방지 돌출부(30r)와 단부(34i)가 걸어멎춰져, 장착 홀더(34)가 고정된다. 따라서, 아암부(34a)가 불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리드선(36)을 인장하는 경우에도 장착 홀더(34)의 부유를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10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이하 다른 구성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은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39)를 예컨대 냉장고용의 콤프레서(22)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도 10에 있어서, 장착 홀더(34')의 플랜지부(34d')는 그 두께 치수가 원주에 걸쳐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34d') 중에서 지지판부(34g)가 장착된 쪽(도 10에 있어서 상측)이 가장 얇고, 그 반대측(도 10에 있어서 하측)이 가장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에 맞춰 단자 커버(30)의 바닥부에 마련된 베이스부(30h')의 정상부도 단자 커버(30')의 바닥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39)를 콤프레서(22)에 장착한 경우, 바이메탈 소자(31)는 그 감열면(31a)이 연직면에 대하여 하향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바이메탈 소자(31)내에 있어서, 바이메탈판(31c)은 감열면(31a)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12의 (a) 참조). 따라서, 바이메탈판(31c)의 자중(自重)은 바이메탈판(31c)의 주변부뿐만 아니라, 바이메탈판(31c)과 감열면[바이메탈 소자(31)의 내측면]과의 접점에도 가해지게 된다. 그 결과, 콤프레서(22)의 운전 중에 이 접점 부분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바이메탈판(31c)의 진동이 억제되어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바이메탈 소자(31)를 감열면(31a)이 연직면에 대하여 상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바이메탈 소자(31)는 감열면(31a)의 온도가 소정의 동작 온도보다도 낮을 때에는 바이메탈판(31c)이 가이드 핀[도 12의 (a) 및 (b) 참조]의 방향으로 볼록하게 휜 상태가 되고, 감열면(31a)의 온도가 상기 동작 온도 이상일 때에는 바이메탈판(31c)이 감열면(31a)의 방향으로 볼록하게 휜 상태가 되는 타입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감열면(31a)의 온도가 동작 온도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만 바이메탈판(31c)이 진동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도, 방진용 자석(38)의 사용에 의해 또는 감열면(31a)을 연직면에 대하여 기울임으로써, 콤프레서(22)의 진동이 수반하는 바이메탈 소자(31)로부터의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에 따르면 바닥이 있는 용기 형상의 단자 커버 내에 온도 검출 소자와 급전용 커넥터를 수납 고정한 뒤에 조립 작업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 효율이 대폭으로 향상되는 동시에 전체적으로 소형화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에 따르면, 콤프레서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이메탈 소자의 감열면과 콤프레서의 외면과의 사이에 방진용 자석을 배치했기 때문에, 바이메탈 소자내의 바이메탈판은 방진용 자석에 흡인되어 감열면측으로 눌려진 상태로 규제된다. 그 결과, 콤프레서가 운전되더라도 바이메탈판의 진동이 억제되어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2)

  1. 개구부 및 바닥부가 있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콤프레서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장착되는 단자 커버와;
    상기 콤프레서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수납되는 온도 검출 소자와;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수납되고, 상기 단자 커버가 상기 콤프레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콤프레서의 단자대에 설치된 급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용 커넥터
    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 검출 소자 및 상기 급전용 커넥터의 배선은 콤프레서와 접촉하지 않게 상기 단자 커버의 외부로 미리 인출되고,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온도 검출 소자 및 상기 급전용 커넥터가 수납 고정된 상태에서 콤프레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의 내측 바닥부에는, 상기 온도 검출 소자가 수납될 때 온도 검출 소자의 단자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절연 재료로 제조된 베이스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단자 커버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수납되어 온도 검출 소자를 유지하는 장착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온도 검출 소자는 상기 장착 홀더와 베이스부 사이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홀더는 온도 검출 소자의 감열부의 주변부를 유지하는 동시에, 그 유지 상태에서 상기 감열부가 콤프레서의 외면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홀더는 온도 검출 소자의 감열부를 콤프레서 외면에서부터 소정 치수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에는 급전용 커넥터에 걸어맞추어 그 수납 상태를 유지하는 걸어맞춤 클로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 홀더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아암부가 일체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급전용 커넥터는, 상기 걸어맞춤 클로에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홀더의 아암부에 상기 단자 커버의 개구부측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상기 장착 홀더를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의 측벽에는 그 바닥부에서 개구부까지 연장하는 배선 인출용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 홀더에는 상기 슬릿 내에 배선 인출용 구멍부을 남기는 상태로 삽입되는 슬릿 폐쇄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에는, 바닥부에 배선 인출용 구멍이 형성되고 측벽에 상기 구멍에 연속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 홀더에는 상기 슬릿 내에 삽입되는 슬릿 폐쇄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인출용 구멍부는 단자 커버가 콤프레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 커버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단자 커버에는 상기 구멍부를 그 상측에서부터 덮는 방적(防滴)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 소자는 감열부를 구성하는 케이스 내에 바이메탈을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는 콤프레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면이 되는 부분이 개구부측에서 바닥부쪽으로 하향 경사져 있는 경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의 콤프레서 접촉면에는 밀봉재가 도포 또는 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 소자는, 바이메탈판에 근접하게 형성된 감열면이 상기 콤프레서의 외면을 향하도록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유지되는 바이메탈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 소자를 유지한 단자 커버를 상기 콤프레서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바이메탈 소자의 감열면과 상기 콤프레서의 외면 사이에 고정되게 방진용 자석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용 자석은 바이메탈 소자의 감열면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용 자석의 두께 치수는 바이메탈 소자의 감열면과 콤프레서의 외면과의 사이의 갭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용 자석은 고무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용 자석은 바이메탈 소자의 감열면에 밀착하는 면을 자화면으로 하는 단면 자화 타입의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용 자석은 그 자화면과 비자화면이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용 자석은 그 자화면에 양면 테이프가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22. 개구부 및 바닥부가 있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콤프레서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장착되는 단자 커버와,
    바이메탈판에 근접하게 형성된 감열면이 상기 콤프레서의 외면을 향하도록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유지되는 바이메탈 소자와,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수납되고, 상기 단자 커버가 상기 콤프레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콤프레서의 단자대에 설치된 급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용 커넥터
    를 구비하며, 상기 바이메탈 소자 및 상기 급전용 커넥터의 배선은 콤프레서와 접촉하지 않게 단자 커버의 외부로 미리 인출되고,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바이메탈 소자 및 상기 급전용 커넥터가 수납 고정된 상태에서 콤프레서와 장착되며,
    상기 바이메탈 소자는 상기 단자 커버가 상기 콤프레서에 장착된 상태에서 감열면이 연직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상기 단자 커버 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KR1019990042736A 1998-10-08 1999-10-05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KR100328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674398A JP3526534B2 (ja) 1998-10-08 1998-10-08 コンプレッサ用給電装置
JP98-286743 1998-10-08
JP32516298A JP3495929B2 (ja) 1998-11-16 1998-11-16 コンプレッサ用給電装置
JP98-325162 1998-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827A KR20000028827A (ko) 2000-05-25
KR100328321B1 true KR100328321B1 (ko) 2002-03-13

Family

ID=2655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736A KR100328321B1 (ko) 1998-10-08 1999-10-05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28321B1 (ko)
CN (1) CN1138922C (ko)
TW (1) TW4496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063A (ja) * 2001-07-16 2003-01-29 Sanyo Electric Co Ltd ターミナル用カバー装置及び圧縮機
JP4789477B2 (ja) * 2005-02-08 2011-10-12 三洋電機株式会社 ターミナルカバー及びそのターミナルカバーを備えた密閉型電動圧縮機及びその密閉型電動圧縮機により冷媒回路が構成される冷媒サイクル装置
CN105370535B (zh) * 2014-08-29 2018-06-0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除湿机、压缩机及除湿机控制方法
CN111287947A (zh) * 2018-12-06 2020-06-16 安徽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压缩机和制冷装置
CN111502956B (zh) * 2019-01-31 2022-07-08 安徽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压缩机及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49646B (en) 2001-08-11
CN1138922C (zh) 2004-02-18
CN1250843A (zh) 2000-04-19
KR20000028827A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6636B2 (ja) 冷却装置圧縮機の接続パッケージ
KR100328321B1 (ko)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JP2001216578A (ja) 火災感知器
JP2003065558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382493B2 (ja) 熱応動スイッチ
JP3495929B2 (ja) コンプレッサ用給電装置
US6215080B1 (en) Switch device with AC inlet and AC switch
US6201197B1 (en) Switch device with AC inlet
US11387597B2 (en) Connector device
CN211093884U (zh) 电机、分水器和具有该分水器的洗碗机
KR20038292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JP3704809B2 (ja) 回路ボックス
JP3526534B2 (ja) コンプレッサ用給電装置
CN111502956B (zh) 压缩机及冰箱
JP3601475B2 (ja) 電磁誘導炊飯器
JP2002373734A (ja) コンプレッサ用給電装置
JP3699891B2 (ja) 火災感知器
JP2944811B2 (ja) 天井直付け形照明器具
KR20210116237A (ko)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JP3528515B2 (ja) 引掛シーリング
KR200158226Y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온도감지부 고정구조
JPH046053B2 (ko)
JPH0658260A (ja) 密閉形電動圧縮機
JPH0982128A (ja) 電灯取付装置
JPH02291677A (ja) 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