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927Y1 -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927Y1
KR200382927Y1 KR20-2005-0002901U KR20050002901U KR200382927Y1 KR 200382927 Y1 KR200382927 Y1 KR 200382927Y1 KR 20050002901 U KR20050002901 U KR 20050002901U KR 200382927 Y1 KR200382927 Y1 KR 200382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c
terminal
cover
terminal bracke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2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가 장착되는 단자(40)가 중심부로 관통되게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터미널브라켓(20)과,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를 외부와 차폐하도록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끼워진 상태로 타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탄성후크결합되는 커버(28)와, 상기 피티씨부(4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일단은 상기 커버(28)의 내부로 향해 돌출되게 상기 커버(28)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34)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피티씨부(42)와 접촉하여 상기 피티씨부(42)를 향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탄성수단이 상기 피티씨부(42)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단자(40)로부터의 상기 피티씨부(42)의 탈락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A Terminal Assembly For Hermatic Compressor}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전원을 압축기 내부로 인가하기 위한 전자부품 및 전선을 밀폐용기에 설치하기 위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에는 단자가 터미널브라켓과 하부용기를 관통하는 상태에 대한 구성이 상당부분 생략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용기(11)의 외주연에는 터미널브라켓(1)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브라켓(1)은 상기 하부용기(11)에 일반적으로 스폿용접을 통해 장착된다. 이러한 터미널브라켓(1)은 크게 바닥판(2)과 상부측판(3) 및 하부측판(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2)의 중앙부에는 관통구(2a)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구(2a)로는 다수개의 단자(13)가 통과되어 노출된다. 상기 단자(13)에는 피티씨부(15)와 휴즈부(17)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측판(3)은 상기 바닥판(2)의 가장자리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2)의 상단부의 가장자리에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측판(3)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커버(5)와 탄성후크결합 가능하도록 관통된 요홈부(3a)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측판(4)은 상기 바닥판(2)의 하단부 가장자리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측판(4)에는 체결공(4a)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4a)을 통해 상기 커버(5)의 지지부(8)가 끼움결합된다.
커버(5)는 상기 피티씨부(15)와 휴즈부(17)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5')가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5)는 상기 피티씨부(15)와 휴즈부(17)의 외곽을 덮어 압축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오물로부터 상기 피티씨부(15)와 휴즈부(17)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5)의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1)의 요홈부(3a)에 탄성후크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공(4a)에 끼움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5)의 내측면에는 상기 터미널브라켓(1)의 요홈부(3a)에 대응되는 후크부(7)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부(7)는 상기 상부측판(3)에 탄성변형되며 진입하여 상기 요홈부(3a)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커버(5)의 일단이 상기 터미널브라켓(1)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5)의 하단에는 상기 터미널브라켓(1)의 체결공(4a)에 삽입가능한 지지부(8)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8)는 상기 커버(5)의 하단이 상기 터미널브라켓(1)에 끼움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후크부(7)에 의한 후크결합과 함께 상기 커버(5)가 상기 터미널브라켓(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커버(5)의 내주면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된 돌기부(9)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9)는 상기 피티씨부(15)가 단자(13)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9)는 상기 피티씨부(15)와 접촉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렇게 되면 상기 커버(5)의 체결 불량이 발생하므로 상기 피티씨부(15)와 돌기부(9)는 어느 정도의 간격(G)이 유지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조립체에서 상기 커버(5)에는 상기 피티씨부(15)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부(9)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돌기부(9)와 상기 피티씨부(15)와의 간격(G)이 작으면 상기 커버(5)를 상기 터미널브라켓(1)에 체결하는 작업이 곤란해진다. 그리고 그 간격(G)이 크면 상기 돌기부(9)가 상기 피티씨부(15)의 탈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피티씨부(15)와 돌기부(9) 사이의 간격(G)이 어느 정도 유지되어야 함으로써 상기 피티씨부(15)에 압축기의 운전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피티씨부(15)가 단자(13)로부터 탈락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피티씨부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브라켓에 대한 커버의 체결이 용이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피티씨부와 휴즈부가 장착되는 단자가 중심부로 관통되게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터미널브라켓과, 상기 피티씨부와 휴즈부를 외부와 차폐하도록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끼워진 상태로 타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탄성후크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피티씨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일단은 상기 커버의 내부로 향해 돌출되게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피티씨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티씨부를 향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돌기부의 내주연에 일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서는 상기 탄성수단이 상기 피티씨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단자로부터의 상기 피티씨부의 탈락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커버와 코일스프링의 결합관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3에는 단자가 터미널브라켓과 하부용기를 관통하는 상태에 대한 구성이 상당부분 생략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미널브라켓(20)은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구비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이 밀폐용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용기(38)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은 상기 하부용기(38)에 일반적으로 스폿용접을 통해 장착된다. 이러한 터미널브라켓(20)은 크게 바닥판(22)과 상부측판(24) 및 하부측판(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22)의 중앙부에는 관통구(22a)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구(22a)로는 다수개의 단자(40)가 통과되어 노출된다. 상기 단자(40)에는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가 장착된다. 상기 피티씨부(42)는 내부의 단자와 상기 단자(40) 사이에 개재되는 피티씨(PTC :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피티씨소자의 동작여부에 따라 압축기의 전동부(미도시)로 인가되는 전류의 단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피티씨소자는 전류가 흐르게 되면 발열하면서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저항이 증가되면 단락된다. 그리고 단락된 후 온도가 내려가면 저항이 줄어들면서 소정 시점에서 다시 통전이 시작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상기 휴즈부(44)는 내부에 오엘피(OLP)소자가 포함된 과부하 보호장치로서 압축기의 전동부에 이상 과부하가 걸릴 경우 전원을 차단시켜 상기 전동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측판(24)은 상기 바닥판(22)의 가장자리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22)의 상단부에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측판(24)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커버(28)와 탄성후크결합 가능하도록 관통된 요홈부(24a)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부(24a)는 상기 커버(28)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후크부(30)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측판(26)은 상기 바닥판(22)의 하단부 가장자리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측판(26)에는 체결공(26a)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26a)을 통해 상기 커버(28)의 외주면에 돌출된 지지부(32)가 끼움결합된다.
커버(28)는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28')가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28)는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의 외곽을 덮어 압축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오물로부터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28)의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탄성후크결합되고, 타단은 끼움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28)의 내주면에는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의 요홈부(24a)에 대응되는 후크부(3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부(30)는 상기 상부측판(24)에 의해 탄성변형되며 진입하여 상기 요홈부(24a)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커버(28)의 일단이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8)의 하단에는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의 체결공(26a)에 삽입가능한 지지부(3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32)는 상기 커버(28)의 하단이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끼움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후크부(30)에 의한 후크결합과 함께 상기 커버(28)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커버(28)의 내주면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된 돌기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34)는 상기 피티씨부(42)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피티씨부(42)와 일정한 간격(G)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34)는 상기 피티씨부(42)가 단자(40)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34)는 상기 피티씨부(42)와 접촉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렇게 되면 상기 커버(28)의 체결 불량이 발생하므로 어느 정도의 간격(G) 유지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간격(G)을 매워 상기 피티씨부(42)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상기 돌기부(34)에 탄성수단이 장착된다. 즉,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돌기부(34)에 일단이 지지되고 탄성변형 가능하게 타단이 상기 피티씨부(42)의 일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커버(28)의 체결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상기 피티씨부(42)의 탈락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부(34)의 내주연에 일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코일스프링(36)을 예시하였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36)의 일단은 상기 돌기부(34)의 내주연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피티씨부(42)의 일면에 소정의 탄성력을 보유한 상태로 접촉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코일스프링(36)은 상기 커버(28)를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체결할 때 압축되며 상기 커버(28)가 체결되게 하고, 상기 커버(28)가 체결되면 상기 피티씨부(42)에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티씨부(42)는 압축기의 운전에 의한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이 있어도 상기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단자(4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밀폐용기 중 하부용기(38)의 일측에 설치된 단자(40)가 관통구(34a)를 통해 관통되도록 터미널브라켓(20)을 상기 하부용기(38)에 장착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은 상기 하부용기(38)에 스폿용접에 의해 체결된다.
이 후, 상기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다수개의 단자(40)에는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가 각각 실장된다. 이러한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는 외부로부터 압축기의 전동부로 전류를 인가하고 과전류가 흐르거나 온도가 상승되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로는 외부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는 전선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가 외부에 차폐되도록 커버(28)를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장착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28)의 지지부(32)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의 체결공(26a)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28)의 후크부(30)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의 상부측판(24)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상기 커버(28)의 상단을 밀면 상기 후크부(30)는 상기 상부측판(24)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탄성변형되며 진입되고, 이러한 진입은 상기 후크부(30)가 상기 상부측판(24)의 요홈부(24a)에 끼워질 때까지 계속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크부(30)가 요홈부(24a)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32)는 상기 체결공(26a)에 대응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상기 체결공(26a)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상기 커버(28)의 돌기부(34)에 일단이 지지된 코일스프링(36)은 상기 피티씨부(42)와 접촉되며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8)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완전히 장착되면 상기 코일스프링(36)은 압축에 의한 소정의 탄성력을 보유한 상태로 상기 피티씨부(42)의 일면에 접촉되어 있게 된다.
이 후, 압축기를 가동하면, 상기 압축기에서는 진동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8)로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40)에 꽂혀 있는 피티씨부(42)는 상기 코일스프링(36)에 의해 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상기 진동이나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기 단자(4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면 상기 코일스프링(36)은 상기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압축 또는 이완되며 상기 피티씨부(42)가 상기 단자(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티씨부(42)는 상기 코일스프링(36)에 의해 상기 단자(40)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므로 안정적으로 상기 피티씨부(42)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서는 커버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에 탄성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단자에 장착된 피티씨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탄성수단이 상기 피티씨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단자로부터의 상기 피티씨부의 탈락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피티씨부는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접촉되어 있어도 상기 커버가 터미널브라켓에 체결될 때 상기 탄성수단이 압축되면서 상기 커버의 체결을 가능케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피티씨부와 돌기부 사이에 탄성수단이 개재되어 실질적으로 그 사이의 간격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탄성수단의 압축/이완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커버의 체결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커버와 코일스프링의 결합관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터미널브라켓 22 : 바닥판
24 : 상부측판 26 : 하부측판
28 : 커버 30 : 후크부
32 : 지지부 34 : 돌기부
36 : 코일스프링 38 : 하부용기
40 : 단자 42 : 피티씨부
44 : 휴즈부

Claims (2)

  1. 피티씨부와 휴즈부가 장착되는 단자가 중심부로 관통되게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터미널브라켓과,
    상기 피티씨부와 휴즈부를 외부와 차폐하도록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끼워진 상태로 타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탄성후크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피티씨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일단은 상기 커버의 내부로 향해 돌출되게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피티씨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티씨부를 향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돌기부의 내주연에 일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20-2005-0002901U 2005-01-31 2005-01-31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200382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901U KR200382927Y1 (ko) 2005-01-31 2005-01-31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901U KR200382927Y1 (ko) 2005-01-31 2005-01-31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927Y1 true KR200382927Y1 (ko) 2005-04-27

Family

ID=4368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901U KR200382927Y1 (ko) 2005-01-31 2005-01-31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9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471B1 (ko) * 2006-06-23 201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피티씨 고정구조
KR101270454B1 (ko) 2006-12-27 2013-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KR101281916B1 (ko) * 2006-12-15 201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피티씨 장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471B1 (ko) * 2006-06-23 201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피티씨 고정구조
KR101281916B1 (ko) * 2006-12-15 201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피티씨 장착구조
KR101270454B1 (ko) 2006-12-27 2013-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7733B1 (en) Connecting package for refrigerator compressor
KR20038292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WO2006080698A1 (en) Clamp device for mounting connecting package for refrigerator compressor
JP5294092B2 (ja) 三相電動機の保護装置
EP1486671B1 (en) Thermally-actuated switch
KR200382938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CN108767388B (zh) 铆接式微波隔离器壳体结构及微波隔离器
KR200382923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20070019230A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20090099619A (ko) 반복 퓨즈
JP4537968B2 (ja) サーモスタット
KR20070019231A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200264453Y1 (ko) 캐패시터와 모터 보호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냉장고압축기용 접속 패키지
JP3010141B2 (ja) 密閉形電動圧縮機用プロテクタ
KR100328321B1 (ko)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JPH0988824A (ja) 圧縮機の露出電装部品覆蓋構造
KR100494009B1 (ko) 냉장고 압축기용 통합 접속 패키지
KR10111569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JP3916037B2 (ja) 密閉形電動圧縮機用プロテクタ
EP3812586B1 (en) Compressor
JPH07241061A (ja) 密閉形電動圧縮機用プロテクタ
KR20090099373A (ko) 방폭형 과부하 보호장치
JPH1089254A (ja) 密閉形電動圧縮機用プロテクタ
JPH09268977A (ja) 圧縮機の露出電装部品覆蓋構造
JP3526534B2 (ja) コンプレッサ用給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