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230A -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230A
KR20070019230A KR1020050073979A KR20050073979A KR20070019230A KR 20070019230 A KR20070019230 A KR 20070019230A KR 1020050073979 A KR1020050073979 A KR 1020050073979A KR 20050073979 A KR20050073979 A KR 20050073979A KR 20070019230 A KR20070019230 A KR 20070019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ptc
gasket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9230A/ko
Publication of KR2007001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50Intrinsic materi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 F05B2280/5001Elastic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가 장착되는 단자(40)가 중심부로 관통되게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터미널브라켓(20)과,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를 외부와 차폐하도록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끼워진 상태로 타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탄성후크결합되는 커버(28)와, 상기 커버(28)와 미폐용기의 외주연의 접합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진 탄성체로 형성되는 가스켓(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스켓(36)이 상기 커버(28)와 밀폐용기의 외주연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압축기, 터미널, 커버, 가스켓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A Terminal Assembly For Hermatic Compress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가스켓과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터미널브라켓 22 : 바닥판
24 : 상부판 26 : 하부판
27 : 결합공 28 : 커버
30 : 후크부 32 : 지지부
33 : 관통공 34 : 돌기부
36 : 가스켓 38 : 하부용기
40 : 단자 42 : 피티씨부
44 : 휴즈부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전원을 압축기 내부로 인가하기 위한 전자부품 및 전선을 밀폐용기에 설치하기 위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에는 단자가 터미널브라켓과 하부용기를 관통하는 상태에 대한 구성이 상당부분 생략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용기(11)의 외주연에는 터미널브라켓(1)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브라켓(1)은 상기 하부용기(11)에 일반적으로 스폿용접을 통해 장착된다. 이러한 터미널브라켓(1)은 크게 바닥판(2)과 상부판(3) 및 하부판(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2)의 중앙부에는 관통구(2a)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구(2a)로는 다수개의 단자(13)가 통과되어 노출된다. 상기 단자(13)에는 피티씨부(15)와 휴즈부(17)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판(3)은 상기 바닥판(2)의 가장자리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2)의 상단부의 가장자리에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판(3)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커버(5)와 탄성후크결합 가능하도록 관통 된 요홈부(3a)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4)은 상기 바닥판(2)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판(4)에는 체결공(4a)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4a)을 통해 상기 커버(5)의 지지부(8)가 끼움결합된다.
커버(5)는 상기 피티씨부(15)와 휴즈부(17)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5')가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5)는 상기 피티씨부(15)와 휴즈부(17)의 외곽을 덮어 압축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오물로부터 상기 피티씨부(15)와 휴즈부(17)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5)의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1)의 요홈부(3a)에 탄성후크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공(4a)에 끼움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5)의 내측면에는 상기 터미널브라켓(1)의 요홈부(3a)에 대응되는 후크부(7)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부(7)는 상기 상부판(3)에 탄성변형되며 진입하여 상기 요홈부(3a)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커버(5)의 일단이 상기 터미널브라켓(1)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5)의 하단에는 상기 터미널브라켓(1)의 체결공(4a)에 삽입가능한 지지부(8)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8)는 상기 커버(5)의 하단이 상기 터미널브라켓(1)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후크부(7)에 의한 후크결합과 함께 상기 커버(5)가 상기 터미널브라켓(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커버(5)의 내주면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된 돌기부(9)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9)는 상기 피티씨부(15)가 단자(13)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역 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9)는 상기 피티씨부(15)와 접촉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렇게 되면 상기 커버(5)의 체결 불량이 발생하므로 상기 피티씨부(15)와 돌기부(9)는 어느 정도의 간격(G)이 유지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밀폐형 압축기는 그 사용 용도나 용량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하다. 또한, 상기 I폐형 압축기는 일반적으로 타원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압축기의 외주연에 커버(5)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5)를 압축기의 종류에 따라 별개로 제작하여야 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커버를 교환하여 사용하지 못하므로 부품들간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터미널 조립체에서는 상기 커버(5)와 압축기의 외주연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액체 등이 상기 피티씨부(15)나 휴즈부(17)에 침투하여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형 압축기의 외주연과 상기 커버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터미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티씨부와 휴즈부가 장착되는 단자가 중심부로 관통되게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터미널브라켓과,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체결되어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밀폐용기의 접합면 사이에 설치되어 터미널을 차폐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스켓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탄성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피티씨부와 휴즈부를 외부와 차폐하도록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끼워진 상태로 타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탄성후크결합되고, 일측에 추가적인 볼트결합에 의해 밀폐용기의 외주연과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서는 상기 가스켓이 상기 압축기 외주연과 상기 커버 사이에 위치하므로 이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가스켓과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미널브라켓(20)은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구비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이 밀폐용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용기(38)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은 상기 하부용기(38)에 일반적으로 스폿용접을 통해 장착된다. 이러한 터미널브라켓(20)은 크게 바닥판(22)과 상부판(24) 및 하부판(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22)의 중앙부에는 관통구(22a)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구(22a)로는 다수개의 단자(40)가 통과되어 노출된다. 상기 단자(40)에는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가 장착된다. 상기 피티씨부(42)는 내부의 단자와 상기 단자(40) 사이에 개재되는 피티씨(PTC :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피티씨소자의 동작여부에 따라 압축기의 전동부(미도시)로 인가되는 전류의 단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피티씨소자는 전류가 흐르게 되면 발열하면서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저항이 증가되면 단락된다. 그리고 단락된 후 온도가 내려가면 저항이 줄어들면서 소정 시점에서 다시 통전이 시작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상기 휴즈부(44)는 내부에 오엘피(OLP)소자가 포함된 과부하 보호장치로서 압축기의 전동부에 이상 과부하가 걸릴 경우 전원을 차단시켜 상기 전동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바닥판(22)의 상부에는 후술할 커버(28)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27)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공(27)의 내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24)은 상기 바닥판(22)의 가장자리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22)의 상단부에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판(24)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커버(28)와 탄성후크결합 가능하도록 관통된 요홈부(24a)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부(24a)는 상기 커버(28)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후크부(30)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26)은 상기 바닥판(22)의 하단부 가장자리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판(26)에는 체결공(26a)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26a)을 통해 상기 커버(28)의 외주면에 돌출된 지지부(32)가 결합된다.
커버(28)는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28')가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28)는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의 외곽을 덮어 압축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오물로부터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28)의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탄성후크결합되고, 타단은 끼워져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28)의 내주면에는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의 요홈부(24a)에 대응되는 후크부(3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부(30)는 상기 상부판(24)에 의해 탄성변형되며 진입하여 상기 요홈부(24a)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커버(28)의 일단이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8)의 하단에는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의 체결공(26a)에 삽입가능한 지지부(3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32)는 상기 커버(28)의 하단이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후크부(30)에 의한 후크결합과 함께 상기 커버(28)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커버(28)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결합공(27)과 대응하여 나사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3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3)은 체결나사(33a)가 상기 관통공(33)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27)에 결합하여 상기 커버(28)가 상기 압축기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커버(28)의 내주면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된 돌기부(34)가 형성된 다. 상기 돌기부(34)는 상기 피티씨부(42)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피티씨부(42)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34)는 상기 피티씨부(42)가 단자(40)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34)는 상기 피티씨부(42)와 접촉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렇게 되면 상기 커버(28)의 체결 불량이 발생하므로 어느 정도의 간격 유지는 필수적이다.
한편, 상기 커버(28)와 밀폐형 압축기가 접하는 면에는 탄성체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가스켓(36)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켓(36)은 상기 커버(28)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커버(28)의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스켓(36)은 상기 밀폐형 압축기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28)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스켓(36)은 탄성을 지닌 여러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고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밀폐용기 중 하부용기(38)의 일측에 설치된 단자(40)가 관통구(34a)를 통해 관통되도록 터미널브라켓(20)을 상기 하부용기(38)에 장착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은 상기 하부용기(38)에 스폿용접에 의해 체결된다.
이 후, 상기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다수개의 단자(40)에는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가 각각 실장된다. 이러한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는 외부로부터 압 축기의 전동부로 전류를 인가하고 과전류가 흐르거나 온도가 상승되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로는 외부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는 전선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가 외부에 차폐되도록 커버(28)를 상기 터미널브라켓(20)에 장착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커버(28)의 테두리에 가스켓(36)을 끼운 후에 상기 커버(28)의 지지부(32)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의 체결공(26a)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28)의 후크부(30)가 상기 터미널브라켓(20)의 상부판(24)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상기 커버(28)의 상단을 밀면 상기 후크부(30)는 상기 상부판(24)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탄성변형되며 진입되고, 이러한 진입은 상기 후크부(30)가 상기 상부판(24)의 요홈부(24a)에 끼워질 때까지 계속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크부(30)가 요홈부(24a)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32)는 상기 체결공(26a)에 대응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상기 체결공(26a)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상기 커버(28)의 테두리는 압축기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위치한 가스켓(36)을 압축시킨다. 다음으로 관통공(33)에 체결나사(33a)를 넣고 체결공(27)과 나사결합한다. 상기 나사결합은 상기 가스켓(36)을 더욱 압축시키고 상기 커버(28)와 압축기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없도록 한다.
이 후, 상기 커버(28)의 외부에 액상의 물질(누수등)이 흘러들어도, 상기 커버(28)와 압축기의 외주연 사이에 공간이 없으므로 상기 커버(28) 내부의 터미널에 침투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서는 커버와 압축기 외주연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가스켓이 방지해 주므로 압축기의 형태가 다소 다르더라도 커버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호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서는 가스켓에 의하여 압축기의 외주연과 커버 사이가 완전히 밀폐되므로 누수 등의 침투우려가 적어 피티씨부재나 휴즈등의 고장의 원인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피티씨부와 휴즈부가 장착되는 단자가 중심부로 관통되게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터미널브라켓과;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체결되어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커버와 밀폐용기의 접합면 사이에 설치되어 터미널을 차폐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탄성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피티씨부와 휴즈부를 외부와 차폐하도록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끼워진 상태로 타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탄성후크결합되고, 일측에 추가적인 볼트결합에 의해 밀폐용기의 외주연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1020050073979A 2005-08-11 2005-08-11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20070019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979A KR20070019230A (ko) 2005-08-11 2005-08-11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979A KR20070019230A (ko) 2005-08-11 2005-08-11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230A true KR20070019230A (ko) 2007-02-15

Family

ID=4365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979A KR20070019230A (ko) 2005-08-11 2005-08-11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92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01814A1 (en) * 2019-01-31 2021-09-30 Daikin Industries, Ltd. Compr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01814A1 (en) * 2019-01-31 2021-09-30 Daikin Industries, Ltd. Compres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7733B1 (en) Connecting package for refrigerator compressor
US6375439B1 (en) Hermetic refrigeration compressor with improved control and connection means
MXPA96006393A (en) Electric connection pin
JP2003142146A (ja) 電 池
US20150354575A1 (en) Pump unit
KR200492137Y1 (ko) 전자석 코일 장치
CN111033040B (zh) 密闭型压缩机
KR20038292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20070019230A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101178506B1 (ko) 삼상 전동기의 보호장치
EP3754193B1 (en) Compressor
KR200382923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200382938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10111569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JPH0988824A (ja) 圧縮機の露出電装部品覆蓋構造
KR20070019231A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101804465B1 (ko) 단자조립체
EP3812586B1 (en) Compressor
KR20090099373A (ko) 방폭형 과부하 보호장치
KR101064461B1 (ko) 파워 모듈 및 그 조립방법
CN113027732A (zh) 压缩机的壳体组件、压缩机及制冷设备
JPS6357628B2 (ko)
CN116013747A (zh) 密封的直列式熔断器模块
JP2527424Y2 (ja) 高圧カットアウト用ヒューズ筒におけるガスバック防止構 造
JPS60173393A (ja) 電気井戸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