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923Y1 -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923Y1
KR200382923Y1 KR20-2005-0002897U KR20050002897U KR200382923Y1 KR 200382923 Y1 KR200382923 Y1 KR 200382923Y1 KR 20050002897 U KR20050002897 U KR 20050002897U KR 200382923 Y1 KR200382923 Y1 KR 200382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rd
terminal bracket
termina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무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2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9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H01R9/18Fastening by means of screw or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단자(40)가 중심부로 관통되게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터미널브라켓(32)과, 상기 터미널브라켓(32)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에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코드락커조립체(46)와,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를 외부와 차폐하도록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32)에 탄성후크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드락커조립체(46)에 끼움결합되는 커버(54)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락커조립체(46)의 상단에는 판상의 가이드부(48h)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54)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부(48h)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커버(54)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48h)에 대응되는 가이드채널(58)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커버(54)는 상기 터미널브라켓(3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됨으로써 안정적으로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 등의 전자부품을 보호하고, 상기 커버(54)의 이탈로 인한 작업자의 감전위험을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A Terminal Assembly For Hermatic Compressor}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전원을 압축기 내부로 인가하기 위한 전자부품 및 전선을 밀폐용기에 설치하기 위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조립체의 코드락커조립체와 커버의 결합관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에서는 종래 기술의 구성을 명확하게 보이기 위해 피티씨부와 휴즈부를 생략하였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용기(1)의 외주연에는 터미널브라켓(3)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브라켓(3)은 상기 하부용기(1)에 일반적으로 스폿용접을 통해 장착된다. 이러한 터미널브라켓(3)은 크게 바닥판(4)과 상부측판(5) 및 하부측판(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4)의 중앙부에는 관통구(4a)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구(4a)로는 다수개의 단자(7)가 통과되어 노출된다. 상기 단자(7)에는 피티씨부(9)와 휴즈부(11)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측판(5)은 상기 바닥판(4)의 가장자리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4)의 상단부의 가장자리에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측판(5)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커버(17)와 탄성후크결합 가능하도록 관통된 요홈부(5a)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측판(6)은 상기 바닥판(4)의 하단부 가장자리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측판(6)에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을 통해 이하에서 설명될 코드락커조립체(13)가 탄성후크결합된다.
코드락커조립체(13)는 상기 터미널브라켓(3)의 일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피티씨부(9)와 휴즈부(11)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전선(미도시)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코드락커조립체(13)는 크게 락커본체(14)와 코드스토퍼(15) 및 코드스크류(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락커본체(14)에는 터미널브라켓(3)에의 장착을 위한 체결후크(14a), 체결지지부(14b) 및 고정스토퍼(14c)가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후크(14a)와 체결지지부(14b)는 터미널브라켓(3)의 하부측판(6)의 각 면에 대접하여 체결된다. 즉, 상기 체결지지부(14b)는 상기 하부측판(6)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후크(14a)가 상기 하부측판(6)의 체결공에 탄성변형되며 체결되게 하고, 상기 체결후크(14a)가 안정적으로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토퍼(14c)는 상기 체결후크(14a)와 체결지지부(14b)가 체결된 부분의 일단부에 걸어져 락커본체(14)가 터미널브라켓(3)에서 유동되지 않게 한다.
상기 락커본체(14)에는 코드슬롯(14e) 한쌍이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코드슬롯(14e)은 락커본체(14)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락커본체(14)의 일단부로 개구된다. 이러한 코드슬롯(14e)의 사이는 구획벽(14f)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각 코드슬롯(14e)이 각각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상기 구획벽(14f)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코드스토퍼(15)를 상기 락커본체(14)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스크류(14d)가 결합되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14f)의 상단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커버(17)의 하판(17a)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4g)가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14g)는 그 내부로 상기 커버(17)의 하판(17a)이 삽입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획벽(14f)에서 'ㄱ'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17)의 하판(17a)을 지지한다.
다음으로 코드스토퍼(15)는 상기 락커본체(14)의 일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코드슬롯(14e)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코드스토퍼(15)는 상기 한쌍의 코드슬롯(14e)을 폐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락커본체(14)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코드스토퍼(15)에는 대략 중심부에 상기 고정스크류(14d)가 통과가능한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관통구를 통과한 고정스크류(14d)가 상기 구획벽(14f)의 체결공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코드스토퍼(15)가 상기 락커본체(14)에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코드스토퍼(15)에는 상기 코드슬롯(14e)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코드스크류(16)가 통과되고, 상기 코드스크류(16)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암나사가 천공된다.
상기 코드스토퍼(15)의 삽입공(15a)을 관통하여서는 코드스크류(16)가 구비된다. 이러한 코드스크류(16)는 상기 코드슬롯(14e)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코드스크류(16)의 선단에는 누름머리(16a)가 구비되는데, 상기 누름머리(16a)는 상기 코드슬롯(14e)을 통과하는 전선을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17)는 상기 피티씨부(9)와 휴즈부(11)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17')가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17)는 상기 피티씨부(9)와 휴즈부(11)의 외곽을 덮어 압축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오물로부터 상기 피티씨부(9)와 휴즈부(1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17)의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3)에 탄성후크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드락커조립체(13)에 끼움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17)의 내측면에는 상기 터미널브라켓(3)의 요홈부(5a)에 대응되는 후크부(18)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부(18)는 상기 상부측판(5)을 탄성변형시키며 진입하여 상기 요홈부(5a)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커버(17)의 일단이 상기 터미널브라켓(3)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조립체에서 터미널브라켓(3)에 대한 커버(17)의 장착은, 상기 커버(17)의 후크부(18)와 상기 터미널브라켓(3)의 요홈부(5a)가 탄성후크결합되고, 코드락커조립체(13)의 지지부(14g)에 상기 커버(17)의 하판(17a)이 끼움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지지부(14g)에 의한 커버(17)의 끼움결합은 상기 커버(17)가 상기 터미널브라켓(3)에 실질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탄성후크결합의 결속력을 거의 향상시키지 못한다. 즉, 상기 커버(17)에 대한 끼움결합은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17)의 종방향 이동을 제한할 뿐 횡방향 이동은 제한하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커버(17)와 상기 터미널브라켓(3)의 치수 산포에 따라 상기 후크결합의 결합력이 약화될 경우 상기 커버(17)가 상기 터미널브라켓(3)으로부터 쉽게 탈거될 수 있어 피티씨부(9)와 휴즈부(11) 및 전선에 의한 감전위험 등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터미널브라켓과 코드락커조립체로부터의 용이한 이탈이 방지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피티씨부와 휴즈부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단자가 중심부로 관통되게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터미널브라켓과, 상기 터미널브라켓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티씨부와 휴즈부에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코드락커조립체와, 상기 피티씨부와 휴즈부를 외부와 차폐하도록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탄성후크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드락커조립체에 끼움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락커조립체의 상단에는 판상의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커버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가이드채널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브라켓의 양측에는 소정 형상으로 관통된 요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요홈부에 대응되는 후크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요홈부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커버의 일단이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서는 상기 커버는 상기 터미널브라켓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됨으로써 안정적으로 피티씨부와 휴즈부 등의 전자부품을 보호하고, 상기 커버의 이탈로 인한 작업자의 감전위험을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코드락커조립체와 커버의 결합관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6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명확하게 보이기 위해 피티씨부와 휴즈부를 생략하였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미널브라켓(32)은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구비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브라켓(32)이 밀폐용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용기(30)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터미널브라켓(32)은 상기 하부용기(30)에 일반적으로 스폿용접을 통해 장착된다. 이러한 터미널브라켓(32)은 크게 바닥판(34)과 상부측판(36) 및 하부측판(3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34)의 중앙부에는 관통구(34a)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구(34a)로는 다수개의 단자(40)가 통과되어 노출된다. 상기 단자(40)에는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가 장착된다. 상기 피티씨부(42)는 내부의 단자와 상기 단자(40) 사이에 개재되는 피티씨(PTC :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피티씨소자의 동작여부에 따라 압축기의 전동부(미도시)로 인가되는 전류의 단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피티씨소자는 전류가 흐르게 되면 발열하면서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저항이 증가되면 단락된다. 그리고 단락된 후 온도가 내려가면 저항이 줄어들면서 소정 시점에서 다시 통전이 시작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상기 휴즈부(44)는 내부에 오엘피(OLP)소자가 포함된 과부하 보호장치로서 압축기의 전동부에 이상 과부하가 걸릴 경우 전원을 차단시켜 상기 전동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측판(36)은 상기 바닥판(34)의 가장자리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34)의 상단부의 가장자리에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측판(36)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커버(54)와 탄성후크결합 가능하도록 관통된 요홈부(36a)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부(36a)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54)의 양측판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측판(36)의 각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는 상기 커버(54)가 상기 터미널브라켓(32)에 장착될 때 좌우 대응되는 두 지점에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터미널브라켓(32)에 대한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측판(38)은 상기 바닥판(34)의 하단부 가장자리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측판(38)에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을 통해 이하에서 설명될 코드락커조립체(46)가 탄성후크결합된다.
코드락커조립체(46)는 상기 터미널브라켓(32)의 일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전선(미도시)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코드락커조립체(46)는 크게 락커본체(48)와 코드스토퍼(50) 및 코드스크류(5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락커본체(48)에는 터미널브라켓(32)에의 장착을 위한 체결후크(48a), 체결지지부(48b) 및 고정스토퍼(48c)가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후크(48a)와 체결지지부(48b)는 터미널브라켓(32)의 하부측판(38)의 각 면에 대접하여 체결된다. 즉, 상기 체결지지부(48b)는 상기 하부측판(38)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후크(48a)가 상기 하부측판(38)의 체결공에 탄성변형되며 체결되게 하고, 상기 체결후크(48a)가 안정적으로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토퍼(48c)는 상기 체결후크(48a)와 체결지지부(48b)가 체결된 부분의 일단부에 걸어져 락커본체(48)가 터미널브라켓(32)에서 유동되지 않게 한다.
상기 락커본체(48)에는 코드슬롯(48e) 한쌍이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코드슬롯(48e)은 락커본체(48)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락커본체(48)의 일단부로 개구된다. 이러한 코드슬롯(48e)의 사이는 구획벽(48f)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각 코드슬롯(48e)이 각각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상기 구획벽(48f)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코드스토퍼(50)를 상기 락커본체(48)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스크류(48d)가 결합되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48f)의 상단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커버(54)의 하판(54a)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8g)가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48g)는 그 내주면으로 상기 커버(54)의 하판(54a)이 삽입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벽(48f)에서 'ㄱ'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54)의 하판(54a)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락커본체(48)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부(48g)와 협력하여 상기 커버(54)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부(48h)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48h)는 상기 락커본체(48)의 상면과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어 이하에서 설명될 커버(54)의 가이드채널(5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48h)는 상기 요홈부(36a)와 상기 커버(54)의 후크부(56) 사이의 결합이 상기 커버(54)와 상기 터미널브라켓(32)의 치수 산포가 클 경우에 상기 커버(54)가 상기 터미널브라켓(3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48h)는 상기 가이드채널(58)에 의해 폭방향으로는 거의 유동이 없어, 상기 커버(54)는 도 6을 기준으로 횡방향 유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터미널브라켓(32)과의 치수 산포로 인한 탈거가 방지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코드스토퍼(50)는 상기 락커본체(48)의 일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코드슬롯(48e)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코드스토퍼(50)는 상기 한쌍의 코드슬롯(48e)을 폐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락커본체(48)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코드스토퍼(50)에는 대략 중심부에 상기 고정스크류(48d)가 통과가능한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관통구를 통과한 고정스크류(48d)가 상기 구획벽(48f)의 체결공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코드스토퍼(50)가 상기 락커본체(48)에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코드스토퍼(50)에는 상기 코드슬롯(48e)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코드스크류(52)가 통과되고, 상기 코드스크류(52)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암나사가 천공된다.
상기 코드스토퍼(50)의 삽입공을 관통하여서는 코드스크류(52)가 구비된다. 이러한 코드스크류(52)는 상기 코드슬롯(48e)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코드스크류(52)의 선단에는 누름머리(52a)가 구비되는데, 상기 누름머리(52a)는 상기 코드슬롯(48e)을 통과하는 전선을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54)는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54')가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54)는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의 외곽을 덮어 압축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오물로부터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54)의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32)에 탄성후크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드락커조립체(46)에 끼움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54)의 내측면에는 상기 터미널브라켓(32)의 요홈부(36a)에 대응되는 후크부(56)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부(56)는 상기 상부측판(36)을 탄성변형시키며 진입하여 상기 요홈부(36a)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커버(54)의 일단이 상기 터미널브라켓(32)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54)의 하판(54a)에는 상기 가이드부(48h)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커버(54)의 하판(54a)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48h)에 대응하는 가이드채널(58)이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채널(58)은 상방을 향하여,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54)의 하판(54a)에서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채널(58)은 상기 커버(54)가 상기 터미널브라켓(32)에 체결될 때 상기 가이드부(48h)가 슬라이드되며 진입되게 하여 상기 커버(54)와 상기 터미널브라켓(3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밀폐용기 중 하부용기(30)의 일측에 설치된 단자(40)가 관통구(34a)를 통해 관통되도록 터미널브라켓(32)을 상기 하부용기(30)에 장착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터미널브라켓(32)은 상기 하부용기(30)에 스폿용접에 의해 체결된다.
이 후, 상기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다수개의 단자(40)에는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가 각각 실장된다. 이러한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는 외부로부터 압축기의 전동부로 전류를 인가하고 과전류가 흐르거나 온도가 상승되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로는 외부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는 전선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브라켓(32)에는 코드락커조립체(46)가 장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코드락커조립체(46)는 그 락커본체(48)에 형성된 체결후크(48a), 체결지지부(48b) 및 고정스토퍼(48c)를 사용하여 터미널브라켓(32)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브라켓(32)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코드슬롯(48e)을 상하로 관통하게 전선을 각각 통과시킨다.
이 후, 코드스토퍼(50)를 코드스크류(52)에 의해 상기 락커본체(48)에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코드스토퍼(50)의 삽입공으로 코드스크류(52)를 삽입하여 상기 코드스크류(52)의 누름머리(52a)가 상기 전선을 눌러 고정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피티씨부(42)와 휴즈부(44)가 외부에 차폐되도록 커버(54)를 상기 터미널브라켓(32)에 장착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54)의 후크부(56)가 상기 터미널브라켓(32)의 요홈부(36a)에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커버(54)를 상기 터미널브라켓(32)을 향하여 전진시키면 상기 코드락커조립체(46)의 지지부(48g)로는 상기 커버(54)의 하판(54a)이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54)를 계속 전진시키면 상기 커버(54)의 가이드채널(58)에는 상기 코드락커조립체(46)의 가이드부(48h)이 슬라이드되며 진입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56)는 상기 터미널브라켓(32)의 요홈부(36a)에 후크결합된다. 즉, 상기 후크부(56)가 상기 터미널브라켓(32)의 상부측판(36)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상부측판(36)을 탄성변형시키며 진입하게 된다. 그 후 상기 후크부(56)가 상기 상부측판(36)의 요홈부(36a)를 만나면 상기 상부측판(36)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후크부(56)가 상기 요홈부(36a)에 체결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8g)에 상기 커버(54)의 하판(54a)이 진입되면서 상기 커버(54)의 가이드채널(58)에는 상기 코드락커조립체(46)의 가이드부(48h)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54)의 하판(54a)은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부(48h)와 상기 지지부(48g)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54)가 상기 터미널브라켓(32)과 상기 코드락커조립체(46)에 체결되면 상기 커버(54)는 압축기에서 발생된 진동이나 손 등으로 잡고 빼내는 등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커버(54) 상단에서 이루어지는 후크결합이 상기 커버(54)의 하단에서 이루어지는 끼움결합에 의해 그 결속력이 보강됨으로써 상기 커버(54)가 상기 터미널브라켓(32)과 코드락커조립체(46)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는 특히 상기 커버(54)와 상기 터미널브라켓(32)의 치수 산포가 큼으로써 상기 커버(54)의 횡방향 유동에 의해 상기 탄성후크결합이 쉽게 와해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이 치수 산포가 크더라도 상기 가이드부(48h)가 가이드채널(58)에 의해 횡방향 유동이 제한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커버(54)의 상기 터미널브라켓(32)에 대한 유동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54)와 터미널브라켓(32) 사이의 탄성후크결합은 결합이 쉽게 해체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커버(5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서는 커버가 터미널브라켓과는 탄성후크결합되고 코드락커조립체과는 끼움결합된다. 이때 상기 코드락커조립체와의 끼움결합은 상기 커버의 가이드채널에 상기 코드락커조립체의 가이드부가 슬라이드되고, 상기 커버의 하판이 상기 코드락커조립체의 지지부에 끼워짐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는 상기 터미널브라켓과의 치수 산포가 크더라도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는 가이드채널에 의해 그 횡방향 유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상기 터미널브라켓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됨으로써 안정적으로 피티씨부와 휴즈부 등의 전자부품을 보호하고, 상기 커버의 이탈로 인한 작업자의 감전위험을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조립체의 코드락커조립체와 커버의 결합관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코드락커조립체와 커버의 결합관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하부용기 32 : 터미널브라켓
34 : 바닥판 36 : 상부측판
36a : 요홈부 38 : 하부측판
40 : 단자 42 : 피티씨부
44 : 휴즈부 46 : 코드락커조립체
48 : 락커본체 48a : 체결후크
48b : 체결지지부 48c : 고정스토퍼
48d : 고정스크류 48e : 코드슬롯
48f : 구획벽 48g : 지지부
48h : 가이드부 50 : 코드스토퍼
52 : 코드스크류 54 : 커버
54a : 하판 56 : 후크부
58 : 가이드채널

Claims (2)

  1. 피티씨부와 휴즈부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단자가 중심부로 관통되게 밀폐용기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터미널브라켓과,
    상기 터미널브라켓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티씨부와 휴즈부에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코드락커조립체와,
    상기 피티씨부와 휴즈부를 외부와 차폐하도록 일단은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탄성후크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드락커조립체에 끼움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락커조립체의 상단에는 판상의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커버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가이드채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브라켓의 양측에는 소정 형상으로 관통된 요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요홈부에 대응되는 후크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요홈부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커버의 일단이 상기 터미널브라켓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20-2005-0002897U 2005-01-31 2005-01-31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200382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897U KR200382923Y1 (ko) 2005-01-31 2005-01-31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897U KR200382923Y1 (ko) 2005-01-31 2005-01-31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923Y1 true KR200382923Y1 (ko) 2005-04-27

Family

ID=4368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897U KR200382923Y1 (ko) 2005-01-31 2005-01-31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9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809B1 (ko) * 2006-05-26 2012-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KR101509346B1 (ko) 2013-10-30 2015-04-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엔진의 가변흡기유동 장치용 액츄에이터의 터미널
KR101841846B1 (ko) * 2016-10-27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809B1 (ko) * 2006-05-26 2012-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KR101509346B1 (ko) 2013-10-30 2015-04-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엔진의 가변흡기유동 장치용 액츄에이터의 터미널
KR101841846B1 (ko) * 2016-10-27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1654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7462741B2 (ja) 電気的プラグコネクタ
JP2000311576A (ja) 電源遮断装置
US11059437B2 (en) Electronic module
RU2582574C2 (ru)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комплектующие элементы на стороне подключения
EP3611751B1 (en) Conductive connection structure, multifunctional high-voltage connector and battery product
KR200382923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US10154600B1 (en) Cover locking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JP4884327B2 (ja) 開閉器の差込み端子装置
KR20060054743A (ko) 냉장고 압축기용 접속 패키지
WO2014181663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0693704B1 (ko) 회로차단기의 방진구조
CA2605268C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20038292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JP4930268B2 (ja) 電子機器用筺体の構造
KR101522270B1 (ko) 차단기
JP7123006B2 (ja) 回路遮断器
JP2008075547A (ja) 電動圧縮機の過負荷リレー保持装置
JP4513639B2 (ja) 差込接続器
KR100914207B1 (ko) 기중차단기
JP5012297B2 (ja) コネクタ装置
CN214313111U (zh) 贴片保险丝
KR200382938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JP4122979B2 (ja) スイッチ
CN216624127U (zh) 动触头支架组件和接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