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237A -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237A
KR20210116237A KR1020210024546A KR20210024546A KR20210116237A KR 20210116237 A KR20210116237 A KR 20210116237A KR 1020210024546 A KR1020210024546 A KR 1020210024546A KR 20210024546 A KR20210024546 A KR 20210024546A KR 20210116237 A KR20210116237 A KR 20210116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d switch
block
main housing
switch assembly
plu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은
천기덕
김성철
조병희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ree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설치가 용이한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수용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되는 블록 결합부, 및 상기 블록 결합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복수의 터미널이 구비되는 플러그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REED SWITCH ASSEMBLY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이하의 설명은 냉장고 등의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리드 스위치는, 밀봉된 유리관 내부에 자성체로 형성되는 2개의 리드 편이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리드 스위치는 자석과의 거리에 따라 2개의 리드 편이 접촉 또는 분리되면서 접점이 개폐된다. 이러한 리드 스위치는 근접 스위치의 일종으로, 누름 스위치, 서멀 센서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일 예로, 리드 스위치는 냉장고에 사용된다. 리드 스위치는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고, 도어에 자석이 설치되어서,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고,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냉장고 내부의 조명을 점등시킨다.
여기서, 리드 스위치는 냉장고의 외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다. 리드 스위치는 냉장고의 내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보드에 연결하기 위해서,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이하, '커넥터')(wire-to-wire connector)가 사용된다. 커넥터는 리드 스위치에 와이어로 연결되는 플러그와, 메인 보드에 와이어로 연결되는 리셉터클로 구성된다.
기존에는 리드 스위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내부 케이스의 외측에 리드 스위치가 구비되고, 내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내부에 플러그를 설치하고,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체결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기존에는 리드 스위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불필요하게 커넥터의 수가 증가하고,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복잡해지고, 설치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였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설치 공정이 간단한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수용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되는 블록 결합부, 및 상기 블록 결합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복수의 터미널이 구비되는 플러그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블록 결합부는, 상기 플러그 블록을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블록의 전방 일부가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리드 스위치가 실장되는 PCB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블록은 상기 관통부를 통해서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이 상기 PCB에 접속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블록 결합부는, 상기 플러그 블록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블록의 후면에 체결되는 블록 빠짐 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록 빠짐 방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블록은,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블록 결합부와의 결합을 안내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블록은,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부가 상기 커버 하우징에 결합되고, 하면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부는 상기 블록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블록은 상기 하면에서 상기 제2 슬라이드부의 후방에 스톱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메인 하우징은 설치 대상에 가압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 체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 체결편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양쪽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이 설치 대상에 삽입되는 방향인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측면에서 이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메인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중 어느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중 타측에는 상기 걸림편과 체결되는 고정편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가전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중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자석과 대응되어 작동하도록 구비되는 제1항 기재의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러그 블록과 하우징으로 구성되므로, 별도의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가 필요 없고, 플러그 블록을 하우징에 삽입하는 것으로 설치 및 전기적 연결이 완료되므로, 설치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배선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의 설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10)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블록(12)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에 따른 하우징(11)의 단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10)의 설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10)는, 리드 스위치(310)를 포함하는 센서부(13)와, 센서부(13)를 수용하는 메인 하우징(120)과, 복수의 터미널(230)를 구비하는 플러그 블록(1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전, 후, 상, 하"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10)를 설치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가전기기로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설치 대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한 가전기기들이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센서부(1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센서부(13)는 리드 스위치(310)와 PCB(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드 스위치(310)는, 자성체로 형성되는 리드(311)와, 불활성 가스가 봉입된 봉지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드(311)는 봉지부(312) 내부에 구비되는 부분이 2개로 분리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어서 가동 접점(미도시)을 형성한다. 리드(311)가 봉지부(312)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절곡 형성되고, 그 단부가 PCB(320)에 실장된다.
PCB(320)는 일 측에 터미널(23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접점부(32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하우징(11)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우징(11)은, 센서부(13)가 수용되는 메인 하우징(120)과, 메인 하우징(120)에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110) 및 플러그 블록(12)이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 하우징(110)은 메인 하우징(120)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형성된다.
커버 하우징(110)은 둘레를 따라 메인 하우징(120)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편(111)이 형성된다. 걸림편(111)은 메인 하우징(120)에 체결되어서 커버 하우징(110)과 메인 하우징(120)을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걸림편(111)은 고정편(124)에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개구가 형성되며, 예를 들어, 대략 'ㄷ'자 또는 'ㅁ'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편(111)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걸림편(111)은 탄성력에 의해서 고정편(124)과 결합될 때 걸림편(111)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해서 분리가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걸림편(111)의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메인 하우징(120)에 걸림 결합 또는 물리적 체결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버 하우징(110)은 내측면에 후술하는 플러그 블록(12)의 제1 슬라이드부(221)가 체결되는 제1 슬라이드 가이드(112)(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0)은 내부에 센서부(13)가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메인 하우징(120)은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PCB(320)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리드 스위치(310)가 커버 하우징(110)을 향하는 자세로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하우징(110)에는 메인 하우징(120)에 결합되었을 때, PCB(320)에 접촉되거나 가압하도록 형성되어서, PCB(320)가 위치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0)의 전면(121)은 가전기기(미도시)의 패널(1)(도 5 참조)에 설치되었을 때 패널(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전면(121)은 패널(1)에 형성된 설치 개구(1a)(도 5 참조)를 폐쇄하고, 설치 개구(1a) 주변에 걸려서 메인 하우징(120)이 패널(1)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전면(121)은 메인 하우징(120)의 단면(즉, 전면(121)에 평행하게 자른 단면)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0)의 둘레면(즉, 양쪽 측면(122) 및 후면(123))에는 커버 하우징(110)의 걸림편(111)과 체결되는 고정편(124)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편(124)은 양 측면(122)과 후면(123)에서 외면에 각각 형성되며, 외측 방향을 향해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고정편(124)과 걸림편(111)은 각각 4개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고정편(124)과 걸림편(111)의 개수와 위치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버 하우징(110)에 걸림편(111)이 형성되고, 메인 하우징(120)에 고정편(124)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대로, 메인 하우징(120)에 걸림편(111)이 형성되고, 커버 하우징(110)에 고정편(124)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인 하우징(120)의 양쪽 측면(122)에는 설치 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 체결편(125)이 형성된다. 탄성 체결편(125)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부가 메인 하우징(120)의 후방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메인 하우징(120)의 전방을 향함에 따라 측면(122)으로부터 점차 이격된 외팔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탄성 체결편(125)은 메인 하우징(120)을 설치 대상이 되는 패널(1)에 설치할 때, 탄성 체결편(125)이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변형됨에 따라 메인 하우징(120)이 설치 개구(1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메인 하우징(120)이 설치 개구(1a)에 삽입된 후에는, 탄성 체결편(125)의 탄성력 및 형상에 의해서 메인 하우징(120)이 역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패널(1)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블록 결합부(130)는 메인 하우징(120)과 일체로 형성되며 메인 하우징(120)의 후면(123)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플러그 블록(12)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블록 결합부(130)는 내측면에 플러그 블록(12)의 결합을 안내하는 제2 슬라이드 가이드(135)가 형성될 수 있다.
블록 결합부(130)는 플러그 블록(12)이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블록(12)의 상면(214) 및 후면(212)에 체결되어서 플러그 블록(12)이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록 빠짐 방지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빠짐 방지부(134)는 블록 결합부(130)의 상면(131)의 이면에서 블록 결합부(130)의 내부를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블록 빠짐 방지부(134)가 상면(13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블록 빠짐 방지부(134)의 형상 및 설치 위치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블록 결합부(130)는 블록 빠짐 방지부(134)가 형성된 부분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결합부(130)는 상면(131)에서 블록 빠짐 방지부(134) 양측이 절개되어 슬릿(13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릿(133)은 블록 결합부(130)의 상면(131)에서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을 향해 소정 길이 길게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슬릿(133)을 형성함으로써, 블록 빠짐 방지부(134)는 전단부가 메인 하우징(120)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자유단인 외팔보 형태를 가지므로, 자체로서 탄성을 갖게 된다. 즉, 블록 빠짐 방지부(134)는 플러그 블록(12)이 블록 삽입결합부(130)에 삽입될 때는 상측으로 벌어지면서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력에 의해서 플러그 블록(12)의 후면(212)에 결합되어서 플러그 블록(12)이 블록 삽입결합부(130)에서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2개의 슬릿(133)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슬릿(133)의 개수와 위치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블록 결합부(130)는 하면(132)에 후술하는 스톱퍼(22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132)이 소정 크기로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슬릿(133) 및 하면(132)의 절개부의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략 가능하다.
또한, 블록 결합부(130)는 내부의 면(즉, 메인 하우징(120)의 후면(123)과 공유하는 면)을 관통하도록 개구된 관통부(136)가 형성된다. 플러그 블록(12)이 블록 결합부(130)에 삽입되면, 플러그 블록(12)의 전방 일부가 관통부(136)를 통해서 메인 하우징(120) 내부로 삽입되고, 터미널(230)이 PCB(320)에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 블록(12)은 복수의 터미널(230)이 수용된다. 플러그 블록(12)의 전면(211)은 터미널(230)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플러그 블록(12)의 후면(212)을 통해 터미널(230)은 플러그 블록(12)의 내부로 삽입되어서 장착된다. 여기서, 터미널(230)에는 와이어(W)(도 5 참조)가 결합되어 있고, 플러그 블록(12)의 후면(212)을 통해 외부로 와이어(W)가 연장된다.
플러그 블록(12)의 상면(214) 및 하면(215)에는 각각 블록 결합부(130)와 체결되는 슬라이드부(221, 223)가 형성된다.
일 예로, 플러그 블록(12)의 상면(214)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부(221)는, 상방을 향해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1 슬라이드부(2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110)에 결합되므로, 플러그 블록(12)이 블록 결합부(130)에 결합되었을 때 메인 하우징(1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 가장자리 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드부(222221)는 플러그 블록(12)의 길이 방향 직선에 대해서 대칭이 되도록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부(221)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22)는 블록 결합부(130)의 내벽면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슬라이드부(2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110)의 제1 슬라이드 가이드(112)를 따라 슬라이드 되어 걸림부(222)가 제1 슬라이드 가이드(112)에 끼워짐으로써 플러그 블록(12)과 커버 하우징(110) 및 메인 하우징(120)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플러그 블록(12)의 하면(215)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부(223)는, 하방을 향해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슬라이드부(223)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슬라이드부(223)는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 또는 단차 형상을 갖는 걸림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슬라이드부(223) 중 가장 외측의 2개는 걸림부(224)가 측방을 향해 절곡 또는 단차 형상을 갖고, 중앙의 2개는 걸림부(224)가 전방을 향해 절곡 또는 단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슬라이드부(22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결합부(130) 내부에 형성된 제2 슬라이드 가이드(135)를 따라 삽입되어서 블록 결합부(130) 및 메인 하우징(12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블록(12)은 하면(215)에서 제2 슬라이드부(223)의 후방에 스톱퍼(225)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톱퍼(225)는 플러그 블록(12)이 블록 결합부(130) 내부에 삽입될 때 제2 슬라이드 가이드(135)의 가장자리 또는 블록 결합부(130)의 가장자리에 걸려서 더 이상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슬라이드부(221) 및 제2 슬라이드부(223)의 형상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톱퍼(225)는 생략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도 3에서 도면부호 213은 플러그 블록(12)의 측면(213)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10)의 설치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10)는 가전기기(미도시)에서 설치 대상이 되는 패널(예를 들어, 내부 케이스의 패널)(1)의 외측에서 하우징(11)이 설치되고, 패널(1)의 내측에서 플러그 블록(12)이 설치된다.
우선, 하우징(11)은 패널(1)의 외측에서 가압되면서 패널(1)에 형성된 설치 개구(1a)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11)은 메인 하우징(120)의 후면(123)으로부터 설치 개구(1a)에 삽입되어서, 메인 하우징(120)의 전면(121)이 설치 개구(1a)를 막도록 설치된다.
플러그 블록(12)은 패널(1)의 내측에서 하우징(11)의 블록 결합부(130)에 삽입되면 설치가 완료된다. 여기서, 플러그 블록(12)은 터미널(230)이 메인 하우징(120)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10)는 플러그 블록(12)을 하우징(11)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리드 스위치(310)와 메인 보드(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설치가 완료될 수 있으므로, 설치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W)는 터미널(230)에 결합되어 플러그 블록(12)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플러그 블록(12)이 하우징(11)에 결합되면 터미널(230)과 PCB(3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PCB(320)에 직접 와이어(W)를 연결시키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배선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패널
1a: 설치 개구
10: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11: 하우징
110: 커버 하우징
111: 걸림편
112: 제1 슬라이드 가이드
120: 메인 하우징
121: 전면
122: 측면
123: 후면
124: 고정편
125: 탄성 체결편
130: 블록 결합부
131: 상면
132: 하면
133: 슬릿
134: 블록 빠짐 방지부(retainer)
135: 제2 슬라이드 가이드
136: 관통부
12: 플러그 블록
211: 전면
212: 후면
213: 측면
214: 상면
215: 하면
221: 제1 슬라이드부
222: 제1 슬라이드부의 걸림부
223: 제2 슬라이드부
224: 제2 슬라이드부의 걸림부
225: 스톱퍼
230: 터미널
13: 센서부
310: 리드 스위치
311: 리드
312: 봉지부
320: PCB
321: 접점부

Claims (11)

  1.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수용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되는 블록 결합부; 및
    상기 블록 결합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복수의 터미널이 구비되는 플러그 블록;
    을 포함하는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결합부는, 상기 플러그 블록을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블록의 전방 일부가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관통부가 형성되는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리드 스위치가 실장되는 PCB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블록은 상기 관통부를 통해서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이 상기 PCB에 접속되는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결합부는, 상기 플러그 블록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블록의 후면에 체결되는 블록 빠짐 방지부가 구비되는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빠짐 방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블록은,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블록 결합부와의 결합을 안내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가 형성되는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블록은,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부가 상기 커버 하우징에 결합되고,
    하면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부는 상기 블록 결합부에 결합되는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블록은 상기 하면에서 상기 제2 슬라이드부의 후방에 스톱퍼가 더 구비되는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설치 대상에 가압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 체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 체결편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양쪽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이 설치 대상에 삽입되는 방향인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측면에서 이격된 형태를 갖는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중 어느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중 타측에는 상기 걸림편과 체결되는 고정편이 형성되는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11. 본체;
    상기 본체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중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자석과 대응되어 작동하도록 구비되는 제1항 기재의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KR1020210024546A 2020-03-17 2021-02-24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KR20210116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374 2020-03-17
KR20200032374 2020-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237A true KR20210116237A (ko) 2021-09-27

Family

ID=7792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546A KR20210116237A (ko) 2020-03-17 2021-02-24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62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4781B2 (en) Terminal
US8357016B2 (en) Plug connector with adapter
US5312273A (en) Shielded modular jack
KR950004986B1 (ko) 전기 접속기
KR101463132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US5562486A (en) Lock detection connector
US544552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mounting
US9806442B2 (en) Plug connection device
KR101998077B1 (ko)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20110103901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US5707249A (en) Device holder attaching to a printed circuit board
EP2472678A2 (en) Connector member comprising a retainer
US7077703B2 (en) Plug connector
KR940001158B1 (ko) 이동가능한 콘택트안내 및 랜스지지부재를 가진 전기콘넥터
US677327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ple plug and shroud compartments
US20130267102A1 (en) Connector
EP2953209B1 (en) Terminal attachment base, terminal, and audio apparatus
EP0871253B1 (en) Lock detection connector
KR20210116237A (ko) 리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EP1383203B1 (en) Anti-overstress electrical connector
KR970702597A (ko) 전기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US5967854A (en) Circuit connector
US9356378B1 (en) Electric connector housing with a terminal interface
CN219203571U (zh) 电连接器及其连接器公头连接器公座
KR20010088409A (ko) 전기 장치 및 전기 장치와 램프 터브를 구비한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