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146B1 - 유기박막el디바이스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박막el디바이스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146B1
KR100324146B1 KR1019980055383A KR19980055383A KR100324146B1 KR 100324146 B1 KR100324146 B1 KR 100324146B1 KR 1019980055383 A KR1019980055383 A KR 1019980055383A KR 19980055383 A KR19980055383 A KR 19980055383A KR 100324146 B1 KR100324146 B1 KR 10032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hin film
ultraviolet
organic thin
c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3103A (ko
Inventor
미쓰마 오오이시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90063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1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10T428/239Complete cover or ca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자외선 조사에 대해 상이한 경화조건을 갖는 접착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투명절연기판 및 밀봉용 캡을 구비한 유기박막 EL (Electroluminescence)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또한, 투명절연기판의 밀봉용 캡 사이에 자외선 조사에 대해 상이한 경화조건을 갖는 다수의 자외선 경화 접착제를 배치하는 공정 및 상이한 조사조건을 갖는 자외선 조사를 다수의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대해 다단계로 실시하여 상이한 경화조건을 가진 접착제들이 각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경화되도록 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투명절연기판과 밀봉용 캡으로 구성되는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의 제조방법도 개시된다.

Description

유기박막 EL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ORGANIC THIN FILM EL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박막 EL (Electroluminescence)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개평2-73229(1990) 는 열경화성 밀봉제를 내측에 사용하고 자외선 경화성 밀봉제를 외측에 사용하는 액정표시패널 (Liquid-crystal Display Pannel) 의 구조를 개시한다.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유기재료의 유리전이온도는 100℃ 정도인데, 열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100℃ 이상의 온도를 수시간 동안 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발광특성의 열화가 초래될 수도 있다.
또한,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 접착제를 사용해 유리기판과 밀봉용 캡을 접착하고 그 접착제를 경화시킨 후에 플렉시블 (Flexible) 인쇄회로보드를 열압착하면, 경화된 접착제와 유리기판간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해 유리기판과 경화된 접착제 사이에 박리 (Peeling) 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화된 접착제로부터 5㎜ 정도 이내의 거리에서 200℃ 이상의 온도를 가하면, 경화된 접착제와 유리기판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기 쉽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렉시블 인쇄회로보드와 자외선 경화 접착제 사이의 거리를 늘리면, 표시면적이 축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 특개소62-231927(1987) 는, 액정표시패널에 있어서, 밀봉재의 일부에 자외선을 조사 (Irradiation) 하여 일시적 접착을 이룬 뒤에 전체를 경화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에서도, 일본 특개소62-231927 에서와 같이, 동일한 접착제의 일부를 경화시키고 플렉시블 인쇄회로보드를 열압착 한 뒤에 접착제의 모든 부분을 경화시키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본 특개소62-231927에서 개시된 기술을 그대로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에 적용하면, 경화에 의해 접착제가 수축하기 때문에 생기는 서로 다른 응력이 제 1 접착부분 및 제 2 접착부분에 가해진다. 따라서, 한번에 접착제 전부를 경화시키는 경우에 비해 접착력이 저하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부분에 가해지는 응력을 흡수해 접착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유기박막 EL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착부분에 가해지는 응력을 흡수해 접착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유기박막 EL 디바이스 제조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유기박막 EL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a 및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유기박막 EL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유기박막 EL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밀봉용 캡을 도시하는 저면도.
도 2d 내지 2f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유기박막 EL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유기박막 EL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투명절연기판 및 밀봉용 캡을 구비하는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 접착제가 자외선 조사에 대해 경화조건이 상이한 접착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투명절연기판 및 밀봉용 캡을 구비하는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 접착제가 저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1 접착제 및 고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2 접착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투명절연기판과 밀봉용 캡을 구비하는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 접착제가 저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1 접착제, 고조사량의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2 접착제 및 중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3 접착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투명절연기판 및 밀봉용 캡으로 구성된 유기박막 EL 디바이스 제조방법은, 자외선 조사에 대해 상이한 경화조건을 갖는 다수의 자외선 경화 접착제를 투명절연기판과 밀봉용 캡 사이에 위치시키는 공정 및 상이한 조사조건을 갖는 자외선조사를 다수의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대해 다단계로 실시하여 경화조건이 상이한 접착제들을 각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경화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유기박막 EL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에서 본 발명의 유기박막 EL 디바이스는,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해 투명절연기판과 밀봉용 캡이 접착된 기본구조를 가지며, 그 자외선 경화 접착제는 상이한 자외선 경화조건을 가진 접착제들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해 투명절연기판과 밀봉용 캡이 접착된 기본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유기박막 EL 디바이스 제조방법은, 투명절연기판과 밀봉용 캡사이에 상이한 자외선 경화조건을 가진 접착제들을 위치시키는 공정 및 상이한 조사조건을 갖는 자외선조사를 다수의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대해 다단계로 실시하여 상이한 자외선 경화조건을 가진 접착제들이 각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경화되도록 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유기박막 EL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도 1 및 2 에서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에서는, 투명전극배선 (2) 이 투명절연기판 (1) 상에 형성되고, 유기화합물 박막 (3) 이 전극배선 (2) 의 일부분상에 형성된다. 이 유기화합물 박막 (3) 은 단층 또는 적층구조를 가지며 EL 발광현상을 제공한다. 이 막은 진공증착 또는 스핀 코팅 (Spin Coating)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캐소드 (Cathode) (4) 가 유기화합물 박막 (3) 상에 형성된다. 캐소드의 재료로서, 작은 일함수를 가진 금속의 합금, 예를 들면 마그네슘-은 (Magnesium-silver) 이나 마그네슘-인듐 (Magnesium-indium), 이 사용된다.
유기화합물 박막 (3) 및 캐소드 (4) 는 밀봉용 캡 (7) 으로 피복되고 밀봉용 캡 (7) 의 하부개구 주변부는 기판에 접착되며 이에 의해 유기화합물 박막 (3) 및 캐소드 (4) 가 기밀봉합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밀봉용 캡 (7) 의 하부개구 주변부를 기판에 접착시키는 접착제로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2 종류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이 두 종류의 접착제는 제 1 접착제 (5) 및 제 2 접착제 (6) 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접착제는, 주식회사 스리본드에서 제조되는 30Y-298C 로서,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10~20 %, 그외 에폭시 수지 50~60 %, 무기충전제·광중합개시제 25~35 %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접착제는, 주식회사 나가세케무텍스에서 제조되는 UVRESIN XNR5493T 로서,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66%, 트리알릴술포늄헥사플로오르안티모네이트 1%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접착제 (5) 는 저조사량의 자외선으로 경화될 수 있으며 제 2 접착제 (6) 는 고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제 1 접착제 (5) 를 내측에 제 2 접착제 (6) 를 외측에 배치하여 밀봉용 캡 (7) 의 하부개구 주변부를 기판에 접착시킨다.
밀봉용 캡 (7) 의 하구개부 주변부를 기판에 접착함에 있어, 우선 저조사량의 자외선을 조사해 제 1 접착제 (5) 를 경화시키고 나서, 제 1 접착제는 경화되고 제 2 접착제는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렉시블 인쇄회로보드 (9) 를 이방도전성접착제 (8) 를 사용해 투명절연기판 (1) 위의 전극배선에 열압착시킨다. 경화되지 않은 제 2 접착제 (6) 는 자외선을 더 조사하여 경화시키며 이를 통해 유기박막 EL 디바이스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유기박막 EL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 2a 내지 2f 에서 설명한다.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1.1㎜ 두께의 유리기판 (투명절연기판) 상에 인듐주석 산화물 (Indium-Tin Oxide, ITO) 을 20㎚ 스퍼터링하고 리소그래피 기술 및 습식 식각을 사용해 투명전극배선 (2) 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배선 (2) 의 일부분상에 진공증착에 의해 유기화합물 박막 (3) 및 캐소드 (4) 를 증착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유기화합물 박막 (3) 은 정공운송층 (3a) 및 발광층인 전자운송층 (3b) 의 적층구조를 가진다. 유기화합물 박막 (3) 의 제조에 있어서, 정공운송층 (3a) 으로서는 50㎚의 디아민 (Diamine) 유도체를, 발광층인 전자운송층 (3b) 으로서는 50㎚의 트리스 (8-퀴노린올) 알루미늄 (Alq3; Tris (8-quinolinol) Aluminum) 을 우선 증착한다. 그리고 나서, 마그네슘 및 이리듐을 동시에 증착하여 원자비 10:1 을 가진 합금으로 이루어진 200㎚ 두께의 캐소드 (4) 를 그 위에 적층한다.
그리고 나서,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350㎚의 파장에서 1500mJ/㎠의 적산광량 (Accumulated Light Amount) 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며 저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1 접착제 (5) 및 350㎚의 파장에서 6000mJ/㎠의 적산광량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며 고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2 접착제 (6) 를 밀봉용 캡으로서의 유리 캡 (7) 의 하부개구 주변부 (7a) 에 도포한다. 이 과정에서, 고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2 접착제 (6) 는 열압착 부위에 인접한 외측에 도포되고, 저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1 접착제 (5) 는 접합부의 내측에 도포된다. 또한, 저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1 접착제 (5) 는 0.5 내지 1.0㎜의 폭을 가지도록 하며 고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2 접착제 (6) 의 폭은 접착부 전체 폭의 반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도 2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활성기체 분위기에서, 지그 (Jig) 를 사용해 두께 15㎜의 석영유리로 1㎏/㎠의 압력을 유리기판 (1) 과 유리 캡 (7) 의 접합부에 가하고, 자외선을 그 위에 조사하여, 유리기판 (1) 과 유리 캡(7)을 서로 접착시킨다.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는, 우선 고압 수은램프를 이용해 350㎚의 파장에서 100㎽/㎠의 조도를 가진 자외선을 30초간 조사한다. 이에 의해, 석영유리 및 유리 캡 (7) 을 투과하는 자외선의 조도가 50% 정도로 감소하기 때문에, 약 1500mJ/㎠의 자외선이 제 1 및 제 2 접착제 (5,6) 에 조사된다. 따라서, 제 1 접착제 (5) 는 대부분 경화되며 제 2 접착제 (6) 는 거의 경화되지 않는다. 자외선의 첫 번째 조사에서는, 제 1 접착제 (5) 의 경화반응이 95% 이상이 되고 제 2 접착제 (6) 의 경화반응은 50%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제 1 접착제 (5) 는 대부분 경화되고 제 2 접착제 (6) 는 거의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방도전성접착제 (8) 를 사용한 열압착에 의해 유리기판 (1) 상의 전극배선 (2) 과 플렉시블 인쇄회로보드 (9) 를 접착시킨다. 구체적으로, 경화되지 않은 제 2 접착제 (6) 로부터 3㎜ 정도 떨어진, 이방도전성접착제 (8) 상의 플렉시블 인쇄회로보드 (9) 를 250℃에서 20초간 가압한다.
그리고 나서, 도 2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및 두께 15㎜의 석영유리를 사용해 유리기판 (1) 과 유리 캡 (7) 의 접착부에 1.2㎏/㎠ 의 압력을 다시 가하고 두 번째 자외선 조사를 실시한다. 제 1 및 제 2 접착제 (5,6) 에 4500mJ/㎠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첫 번째 및 두 번째 조사를 합쳐 약 6000mJ/㎠의 자외선이 조사된다. 두 번째 조사에 의해 제 2 접착제 (6) 가 완전히 경화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자외선이 유리 캡 (7) 쪽에서부터 조사되었으나 유리기판(1) 측에서부터 조사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2 접착제 (6) 가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방도전성 접착제 (8) 를 열압착하기 때문에, 제 2 접착제 (6) 가 유리기판 (1) 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접착제 (5) 가 경화된 상태에서 이방도전성 접착제 (8) 를 열압착하기 때문에 유리 캡 (7) 이 유리기판 (1) 으로부터 어긋나지 않는다. 따라서 공정에서 이들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투명절연기판과 밀봉용 캡을 접착함에 있어 제 1 접착제 (5) 를 내측에, 제 2 접착제 (6) 를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제 1 접착제 (5) 가 경화되면서 발생한 응력이 제 2 접착제 (6) 에 의해 흡수될 수 있으므로 접착력의 저하를 방지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저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1 접착제 (5), 고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2 접착제 (6), 중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3 접착제 (10) 의 세 종류의 자외선 경화 접착제를 사용하여 유리기판 (1) 과 유리 캡 (7) 을 접착한다.
제 3 접착제 (10) 는 내측에 배치된 제 1 접착제 (5) 와 외측에 배치된 제 2 접착제 (6) 사이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투명절연기판과 밀봉용 캡이 접착된다.
제 3 접착제 (10) 의 경화수축율 및 열팽창비는 각각 제 1 및 제 2 접착제의 해당하는 값의 중간값을 갖도록 설정된다. 이에 의해,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접착제가 서로 인접해 있는 경우에 비해, 경화수축에 의한 응력에 기인한 접착력의 저하 및 온도변화에 기인한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3 접착제 (10) 는 제 1 및 제 2 접착제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이 명확하고 완전한 개시를 위해 특정 실시예에 대해 기재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기에서 설명된 기본적 교시에 포함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모든 변형예 및 선택적인 구성을 구체화한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방도전성 접착제를 열압착하기 때문에, 제 2 접착제와 기판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접착제가 경화된 상태에서 이방도전성접착제를 열압착하기 때문에 밀봉용 캡과 기판이 어긋나는 일이 없어 취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접착제를 내측에, 제 2 접착제를 외측에 배치해 투명절연기판과 밀봉용 캡을 접착하기 때문에, 제 1 접착제가 경화할 때 발생하는 응력을 경화되지 않은 제 2 접착제가 흡수해 접착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제 1 접착제는 내측에, 제 2 접착제는 외측에 각각 배치하여 투명절연기판과 밀봉용 캡을 접착하는 경우, 제 3 접착제의 경화수축율 및 열팽창계수를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의 경화수축율 및 열팽창계수의 중간값을 가지게 함으로써, 경화수축에 의한 응력에 의한 접착력의 저하나 온도변화에 의한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의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투명절연기판 및 밀봉용 캡을 구비한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 접착제가, 자외선 조사에 대해 상이한 경화조건을 갖는 접착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박막 EL 디바이스.
  2.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투명절연기판 및 밀봉용 캡을 구비한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 접착제가 저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1 접착제 및 고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2 접착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박막 EL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절연기판과 상기 밀봉용 캡 사이의 접착부의 내측에 상기 제 1 접착제가 배치되고, 상기 접착부의 외측에 상기 제 2 접착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박막 EL 디바이스.
  4.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투명절연기판 및 밀봉용 캡을 구비한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 접착제가, 저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1 접착제, 고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2 접착제, 및 중조사량의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제 3 접착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박막 EL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접착제가, 상기 투명절연기판과 상기 밀봉용 캡 사이의 접착부의 내측에 위치한 제 1 접착제 및 상기 접착부의 외측에 위치한 제 2 접착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박막 EL 디바이스.
  6.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투명절연기판 및 밀봉용 캡으로 구성되는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명절연기판과 상기 밀봉용 캡 사이에 자외선 조사에 대해 상이한 경화조건을 갖는 다수의 상기 자외선 경화 접착제를 배치하는 공정; 및
    상이한 조사조건을 갖는 자외선 조사를 상기 다수의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대해 다단계로 실시해 경화조건이 상이한 상기 접착제를 상기 각각의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경화되도록 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박막 EL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KR1019980055383A 1997-12-17 1998-12-16 유기박막el디바이스및그제조방법 KR100324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48038A JP2845239B1 (ja) 1997-12-17 1997-12-17 有機薄膜el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97-348038 1997-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103A KR19990063103A (ko) 1999-07-26
KR100324146B1 true KR100324146B1 (ko) 2002-03-08

Family

ID=1839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383A KR100324146B1 (ko) 1997-12-17 1998-12-16 유기박막el디바이스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10815B1 (ko)
JP (1) JP2845239B1 (ko)
KR (1) KR100324146B1 (ko)
TW (1) TW3938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077A (ko) * 2000-07-27 2002-02-02 마케드 대릴 에프 골프 클럽 헤드 및 이에 대한 중량 조정 부재의 고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7330B2 (ja) * 1999-04-22 2002-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高周波回路のシールド構造
TWI240592B (en) * 1999-06-03 2005-09-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8853696B1 (en) * 1999-06-04 2014-10-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01035659A (ja) * 1999-07-15 2001-02-09 Nec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517182A (ja) * 1999-12-17 2003-05-20 オスラム オプト セミコンダクタ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有機ledデバイスのカプセル封じ
US7394153B2 (en) * 1999-12-17 2008-07-0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Encapsulation of electronic devices
JP3409764B2 (ja) * 1999-12-28 2003-05-26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el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3536763B2 (ja) * 2000-02-04 2004-06-14 日本電気株式会社 封止装置
US6624572B1 (en) * 2000-02-17 2003-09-23 Lg Electronics,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sealing the same
JP3558578B2 (ja) * 2000-03-23 2004-08-25 日東電工株式会社 固定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ならびにその背面基板
JP4526682B2 (ja) * 2000-03-28 2010-08-18 日東電工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112800B2 (ja) * 2000-12-05 2008-07-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70921B1 (ko) * 2000-12-07 2003-02-05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이중 경화공정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패널 및 그제조방법
JP2002299043A (ja) * 2001-03-30 2002-10-11 Sanyo Electric Co Ltd 有機電界発光型ディスプレイの封止構造
US6706316B2 (en) * 2001-05-08 2004-03-16 Eastman Kodak Company Ultrasonically sealing the cover plate to provide a hermetic enclosure for OLED displays
KR20040002956A (ko) * 2001-05-24 2004-01-07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인캡슐레이션 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3086355A (ja) * 2001-09-05 2003-03-20 Kiko Kenji Kagi Kofun Yugenkoshi 有機el素子の封止構造並びに封止方法及び封止装置
TWI299632B (ko) * 2001-09-28 2008-08-01 Sanyo Electric Co
KR100768182B1 (ko) * 2001-10-26 2007-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자 발광 소자와 그 제조방법
JP3724725B2 (ja) 2001-11-01 2005-12-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I271833B (en) * 2001-12-10 2007-01-21 Delta Optoelectronics Inc Packaging structure of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6791660B1 (en) * 2002-02-12 2004-09-14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s
KR100563675B1 (ko) * 2002-04-09 2006-03-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발광소자 및 유기 발광소자 패키지
KR100433992B1 (ko) * 2002-04-25 2004-06-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30219531A1 (en) * 2002-05-22 2003-11-27 Farzad Parsapour Method of manufacturing a dual color filter cathode ray tube (CRT)
US6710542B2 (en) * 2002-08-03 2004-03-23 Agilent Technologies, Inc.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ith improved moisture seal
US7224116B2 (en) 2002-09-11 2007-05-2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Encapsulation of active electronic devices
US20040048033A1 (en) * 2002-09-11 2004-03-11 Osram Opto Semiconductors (Malaysia) Sdn. Bhd. Oled devices with improved encapsulation
US7193364B2 (en) * 2002-09-12 2007-03-20 Osram Opto Semiconductors (Malaysia) Sdn. Bhd Encapsulation for organic devices
JP2004303733A (ja) 2003-03-31 2004-10-28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構成素子、とりわけ有機発光ダイオードを備える表示装置
DE10329366B4 (de) * 2003-03-31 2005-06-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Bauelement, insbesondere Anzeigevorrichtung mit organischen Leuchtdioden
US7262550B2 (en) * 2003-04-15 2007-08-28 Luminus Devices, Inc. Light emitting diode utilizing a physical pattern
US7026660B2 (en) * 2003-04-25 2006-04-11 Osram Opto Semiconductors (Malaysia) Sdn. Bhd Interconnection for organic devices
JP2007505445A (ja) * 2003-07-07 2007-03-08 アイファイアー・テクノロジー・コープ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シールおよびシール方法
JP2006160962A (ja) * 2004-12-09 2006-06-22 Ricoh Co Ltd 接合方法、接合構造および接合装置
US8038495B2 (en) 2006-01-20 2011-10-18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673765B1 (ko) * 2006-01-20 2007-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35514B1 (ko) * 2006-01-23 2006-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456092B2 (ja) 2006-01-24 2010-04-28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624309B2 (ja) * 2006-01-24 2011-02-02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164257B2 (en) * 2006-01-25 2012-04-2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88796B1 (ko) * 2006-01-25 200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0688795B1 (ko) * 2006-01-25 200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71641B1 (ko) * 2006-01-25 2007-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5853B1 (ko) * 2006-01-25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633674B2 (ja) 2006-01-26 2011-02-16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71647B1 (ko) * 2006-01-26 2007-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0732808B1 (ko) * 2006-01-26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671639B1 (ko) * 2006-01-27 2007-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8790B1 (ko) * 2006-01-27 200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2817B1 (ko) 2006-03-29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8108890A (ja) * 2006-10-25 2008-05-08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回路基板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体
TWI323826B (en) * 2006-11-15 2010-04-21 Ether Precision Inc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mbine of optical lens and chip
KR100883075B1 (ko) * 2007-03-02 2009-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
JP2008249839A (ja) * 2007-03-29 2008-10-16 Fujifilm Corp 有機el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299123A (zh) * 2011-05-20 2011-12-28 电子科技大学 一种光电子器件的封装方法
KR101420332B1 (ko) * 2012-11-14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71007B1 (ko) * 2013-02-13 2020-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617007B (zh) * 2015-01-23 2017-08-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提高封装胶图形密封性测试准确性的方法、母板和掩膜板
WO2017056682A1 (ja) * 2015-09-29 2017-04-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US20190044091A1 (en) * 2015-09-29 2019-02-07 Konica Minolta,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ce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1927A (ja) 1986-04-01 1987-10-12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H0273229A (ja) 1988-09-08 1990-03-13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パネルの構造
KR960000980B1 (ko) * 1990-03-27 1996-01-15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무전해도금용 기재 접착제, 이 접착제를 사용한 프린트 회로판 및 이의 용도
US5909081A (en) * 1995-02-06 1999-06-01 Idemitsu Kosan Co., Ltd. Multi-color light emission apparatus with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5981092A (en) * 1996-03-25 1999-11-09 Tdk Corporation Organic E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077A (ko) * 2000-07-27 2002-02-02 마케드 대릴 에프 골프 클럽 헤드 및 이에 대한 중량 조정 부재의 고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10815B1 (en) 2001-04-03
TW393819B (en) 2000-06-11
JP2845239B1 (ja) 1999-01-13
JPH11185954A (ja) 1999-07-09
KR19990063103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4146B1 (ko) 유기박막el디바이스및그제조방법
US7867054B2 (en)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930129B1 (ko)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7595588B2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717052B2 (en) Housing structure with multiple sealing layers
JP4458379B2 (ja) 有機el表示装置
KR10157412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3139462B2 (ja) 有機薄膜el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1274807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6798133B1 (en) Glass cover and process for producing a glass cover
JP4708360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503066A (ja) カプセル化された有機電子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20010079597A (ko) 유기 전자 발광 디바이스
KR10062413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4101547B2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elディスプレイ用基板
JPH11283739A (ja) 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028951B1 (ja) 有機薄膜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0926116B1 (ko) 밀봉 캡
KR100370921B1 (ko) 이중 경화공정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패널 및 그제조방법
KR100906428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38038B1 (ko) 밀봉 캡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JP2003187969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511589B1 (ko) 밀봉 캡
KR20050014410A (ko) 더미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